KR20160091484A - 비상 조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비상 조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484A
KR20160091484A KR1020150011187A KR20150011187A KR20160091484A KR 20160091484 A KR20160091484 A KR 20160091484A KR 1020150011187 A KR1020150011187 A KR 1020150011187A KR 20150011187 A KR20150011187 A KR 20150011187A KR 20160091484 A KR20160091484 A KR 20160091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emergency
button
primary
emergency ste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희
조원재
유재훈
서재욱
Original Assignee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1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1484A/ko
Publication of KR20160091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4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52Parts for 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2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 B63H25/04Initiating means for steering, for slowing 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or for dynamic anchoring automatic, e.g. reacting to com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08Steering gear
    • B63H25/14Steering gear power assisted; power driven, i.e. using steering engine
    • B63H25/18Transmitting of movement of initiating means to steering engine
    • B63H25/22Transmitting of movement of initiating means to steering engine by flui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5/00Steering; Slowing-down otherwise than by use of propulsive elements; Dynamic anchoring, i.e. positioning vessels by means of main or auxiliary propulsive elements
    • B63H25/06Steering by rudders
    • B63H25/08Steering gear
    • B63H25/14Steering gear power assisted; power driven, i.e. using steering engine
    • B63H25/26Steering engines
    • B63H25/28Steering engines of fluid type
    • B63H25/30Steering engines of fluid type hydraul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압에 의해 러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스티어링 기어; 조타실과 통신하기 위한 전화기를 포함하는 그룹 패널; 1차 유압 파이프 및 상기 1차 유압 파이프를 기준으로 상기 그룹 패널의 반대 쪽에 위치하는 2차 유압 파이프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 기어와 연결된 유압 공급부; 상기 2차 유압 파이프로의 유체 공급을 위해 상기 그룹 패널에 설치된 2차 비상 조타 버튼; 및 상기 2차 비상 조타 버튼으로부터 조타 신호를 수신하고, 이 조타 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 공급부를 제어하는 2차 제어기;를 포함하는 비상 조타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상 조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EMERGENCY STEERING APPATATUS AND SHIP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의 조향이 오토 파일롯(auto pilot)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없을 때 사용되는 비상 조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비상 조타 장치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해상 운송 수단으로서, 각종 화물이나 사람을 출발지로부터 목적지로 운송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선박이 목적지까지 이동하기 위해서는 추진력 외에 조향력을 가져야하므로, 선박에는 추진장치뿐만 아니라 조향장치도 구비되고 있다.
평상시 선박의 조향은 조타실에 설치된 오토 파일롯(auto pilot)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나, 오토 파일롯이나 전기 계통에 고장이 발생한 비상시에는 스티어링 기어 룸(steering gear room)에 설치된 비상 조타 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하, 종래의 비상 조타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비상 조타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기어(20)와, 비상 조타 버튼(10)과, 유압 펌프(31)와, 그룹 패널(40)을 포함한다.
비상 조타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는 스티어링 기어(20)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하는 비상 조타 버튼(10)을 조작한다. 이때, 두 비상 조타 버튼(10) 각각에는 좌현 버튼(미도시) 및 우현 버튼(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는데, 좌현 버튼이 조작되면 선박의 좌측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러더가 회전하게 되고, 우현 버튼이 조작되면 선박의 우측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러더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러더의 회전은 유압 펌프(31)로부터 펌핑된 유체가 유체 파이프(32)를 통해 스티어링 기어(20)로 공급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스티어링 기어 룸에는 관련 룰에 따라 전화기와, 러더 앵글 인디케이터(rudder angle indicator)와, 자이로 콤파스 리피터(gyro compass repeater)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들은 보통 그룹 패널(40)에 마련된다. 전화기는 스티어링 기어 룸에 위치하는 작업자와 조타실에 위치하는 조타수와의 통신을 위한 것이고, 러더 앵글 인디케이터는 러더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자이로 콤파스 리피터는 선박의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은 비상 조타 장치를 사용할 경우 스티어링 기어 룸에 있는 작업자는 전화기로 조타실의 조타수와 통신을 하면서, 그리고 러더 앵글 인디케이터 및 자이로 콤파스 리피터를 눈으로 확인하면서 비상 조타 버튼(10)을 조작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비상 조타 장치에서는 적어도 한 대의 전화기에 긴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데, 그래야 작업자가 조타수와 통화하면서 그룹 패널(40)의 반대측에 있는 비상 조타 버튼(10)을 조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전화기에 긴 케이블이 연결되어야만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그룹 패널(40)의 반대측에 있는 비상 조타 버튼(10)을 조작하는 작업자는 전화기를 들고 유압 파이프(32)를 넘어다녀야 하는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하고, 그룹 패널(40)에 러더 앵글 인디케이터 및 자이로 콤파스 리피터의 눈금을 잘 보지 못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선박용 비상 조타 장치에서는 비상 조타 버튼(10)이 유압 파이프(32)의 근처에 있기 때문에, 유압 파이프(32)의 파손시 비상 조타 버튼 조작자의 안전이 위협받게 될 뿐만 아니라 누출된 유압으로 인해 비상 조타 버튼(10)에 고장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비상 조타 장치에서는 이와 같이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바,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비상 조타 장치와, 이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유압에 의해 러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스티어링 기어; 조타실과 통신하기 위한 전화기를 포함하는 그룹 패널; 1차 유압 파이프 및 상기 1차 유압 파이프를 기준으로 상기 그룹 패널의 반대 쪽에 위치하는 2차 유압 파이프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 기어와 연결된 유압 공급부; 상기 2차 유압 파이프로의 유체 공급을 위해 상기 그룹 패널에 설치된 2차 비상 조타 버튼; 및 상기 2차 비상 조타 버튼으로부터 조타 신호를 수신하고, 이 조타 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 공급부를 제어하는 2차 제어기;를 포함하는 비상 조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비상 조타 장치는, 상기 1차 유압 파이프로의 유체 공급을 위해 상기 그룹 패널에 설치된 1차 비상 조타 버튼; 및 상기 1차 비상 조타 버튼으로부터 조타 신호를 수신하고, 이 조타 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 공급부를 제어하는 1차 제어기;를 포함한다.
상기 1차 제어기 및 2차 제어기 중 적어도 하는 조타실의 오토 파일롯으로부터 조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압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그룹 패널은 상기 유압 공급부 근처에 마련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유압 공급부는, 상기 1차 유압 파이프로의 유체 공급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1차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3차 비상 조타 버튼; 및 상기 2차 유압 파이프로의 유체 공급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2차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4차 비상 조타 버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비상 조타 장치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첫째, 그룹 패널에 설치된 전화기들 중 어느 것도 긴 케이블을 필요로 하지 않고, 둘째, 비상 조타수는 유압 파이프를 넘어다닐 필요도 없고, 러더 앵글 인디케이터 및 자이로 콤파스 리피터의 눈금을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셋째, 유압 파이프가 파손되더라도 비상 조타수의 안전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비상 조타 버튼의 고장이 초래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그룹 패널에 설치된 비상 조타 버튼이 무용지물이 되더라도 유압 공급부의 비상 조타 버튼을 조작하여 비상 조타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압 공급부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비상 조타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조타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비상 조타 장치의 비상 조타 버튼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조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조타 장치(100)는 선박 내의 스티어링 기어 룸에 마련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기어(110)와, 유압 공급부(200)와, 그룹 패널(300)과, 비상 조타 버튼(330a, 330b)과, 제어기(340a, 340b)를 포함한다.
상기 스티어링 기어(110)는 유압에 의해 러더(미도시)를 회전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유압 공급부(200)는 스티어링 기어(110)로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1차 유압 파이프(220a) 및 2차 유압 파이프(220b)를 통해 스티어링 기어(110)와 연결된다. 여기서, 1차 유압 파이프(220a)는 그룹 패널(300)에 상대적으로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고, 2차 유압 파이프(220b)는 1차 유압 파이프(220a)를 기준으로 그룹 패널(300)의 반대 쪽에 위치하는 것이다.
상기 1차 유압 파이프(220a)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중 어느 하나인 좌현용 1차 유압 파이프로 유체가 공급되면 선박의 좌측 진행이 이루어지도록 러더가 회전하고, 나머지 하나인 우현용 1차 유압 파이프로 유체가 공급되면 러더가 반대로 회전한다. 2차 유압 파이프(220a)도 이와 마찬가지로 좌현용 2차 유압 파이프 및 우현용 2차 유압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그룹 패널(300)은 전화기(310)와, 러더 앵글 인디케이터(rudder angle indicator)(322)와, 자이로 콤파스 리피터(gyro compass repeater)(324)를 구비한다. 전화기(310)는 스티어링 기어 룸에 위치하는 비상 조타수와 조타실에 위치하는 조타수와의 통신을 위한 것이고, 러더 앵글 인디케이터(322)는 러더의 현재 회전 각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자이로 콤파스 리피터(324)는 선박의 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스티어링 기어 룸에 위치하는 비상 조타수는 전화기(310)를 이용하여 조타실의 조타수와 통신하면서, 그리고 러더 앵글 인디케이터(322) 및 자이로 콤파스 리피터(324)를 확인하면서 비상 조타를 수행한다.
상기 비상 조타 버튼(330a, 330b)은 1차 비상 조타 버튼(330a)과, 2차 비상 조타 버튼(330b)으로 이루어진다. 1차 비상 조타 버튼(330a)은 1차 유압 파이프(220a)로의 유체 공급을 위한 것이고, 2차 비상 조타 버튼(330a)은 2차 유압 파이프(220b)로의 유체 공급을 위한 것이다. 상기 1차 비상 조타 버튼(330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현 버튼 및 우현 버튼을 갖는데, 좌현 버튼을 누르면 좌현용 1차 유압 파이프로 유체가 공급되고 우현 버튼을 누르면 우현용 1차 유압 파이프로 유체가 공급된다. 2차 비상 조타 버튼(330b)도 이와 동일하게 좌현 버튼 및 우현 버튼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비상 조타 장치(100)에서 2차 비상 조타 버튼(330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패널(300)에 설치된다. 그리고 2차 비상 조타 버튼(330b)은 2차 제어기(340b)를 통해 유압 공급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2차 제어기(340b)는 2차 비상 조타 버튼(330b)으로부터 조타 신호를 수신하고, 이 조타 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 공급부(200)를 제어한다. 예컨대, 2차 비상 조타 버튼(330b)으로부터 좌현 버튼이 가압되었음을 알리는 조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기(340b)는 유압 공급부(200)로 해당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그러면 유압 공급부(200)에서는 2차 유압 펌프(210b)가 작동함과 동시에 좌현용 2차 유압 파이프를 개폐하기 위한 2차 밸브(미도시)가 개방된다.
종래에는 상기 2차 비상 조타 버튼(330b)에 해당하는 비상 조타 버튼이 2차 유압 파이프(220b)와 스티어링 기어(110)가 결합되는 부위에 위치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2차 비상 조타 버튼(330b)이 그룹 패널(300)에 위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그룹 패널(300)에 설치된 전화기들(310) 중 어느 것도 긴 케이블과 연결될 필요가 없고, 비상 조타수가 전화기(310)를 들고 1차 유압 파이프(220a)를 넘어다닐 필요도 없다. 또한, 비상 조타수는 그룹 패널(300)의 러더 앵글 인디케이터(322) 및 자이로 콤파스 리피터(324)의 눈금을 쉽게 확인할 수 있고, 2차 유압 파이프(220b)가 파손되더라도 비상 조타수의 안전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2차 비상 조타 버튼(330b)의 고장이 초래되지 않는다.
상기 1차 비상 조타 버튼(330a)은 종래와 같이 1차 유압 파이프(220a)와 스티어링 기어(110)가 결합되는 부위에 마련되어도 좋은데, 이러하더라도 비상 조타수가 그룹 패널(300)의 근처에 위치할 수 있어 전화기(310)의 케이블이 길 필요가 없고, 러더 앵글 인디케이터(322) 및 자이로 콤파스 리피터(324)의 눈금도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1차 비상 조타 버튼(330a)은 2차 비상 조타 버튼(330b)과 마찬가지로 그룹 패널(30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1차 유압 파이프(220a)가 파손되더라도 비상 조타수의 안전이 보장될 뿐만 아니라 1차 비상 조타 버튼(330a)의 고장이 초래되지 않는 장점이 더 생긴다. 이러한 1차 비상 조타 버튼(330a)은 1차 제어기(340a)를 통해 유압 공급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1차 제어기(340b)는 1차 비상 조타 버튼(330a)으로부터 조타 신호를 수신하고, 이 조타 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 공급부(200)를 제어한다. 예컨대, 1차 비상 조타 버튼(330a)으로부터 좌현 버튼이 가압되었음을 알리는 조타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어기(340b)는 유압 공급부(200)로 해당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그러면 유압 공급부(200)에서는 1차 유압 펌프(210a)가 작동함과 동시에 좌현용 1차 유압 파이프를 개폐하기 위한 1차 밸브(미도시)가 개방된다.
한편, 이상과 같은 비상 조타 장치(100)에서 그룹 패널(300)과 제어기(340a, 340b) 간 전기 계통에 이상이 생기거나, 제어기(340a, 340b)와 유압 공급부(200) 간 전기 계통에 이상이 생기면, 상기 비상 조타 버튼(330a, 330b)은 무용지물이 된다. 이러한 추가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상기 비상 조타 장치(100)는 3차 비상 조타 버튼(미도시) 및 4차 비상 조타 버튼(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3차 비상 조타 버튼은 상기 1차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1차 밸브 근처에 위치하도록 유압 공급부(200)에 마련된다. 예컨대, 1차 밸브가 1차 유압 파이프(230a)가 결합되는 1차 결합부(230a)에 설치된다면, 3차 비상 조타 버튼은 1차 결합부(230a)에 마련된다. 이러한 3차 비상 조타 버튼은 1차 및 2차 비상 조타 버튼(330a, 330b)과 마찬가지로 좌현 버튼 및 우현 버튼을 갖는다.
상기 4차 비상 조타 버튼은 상기 2차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서, 2차 밸브 근처에 위치하도록 유압 공급부(200)에 마련된다. 예컨대, 2차 밸브가 2차 유압 파이프(230b)가 결합되는 2차 결합부(230b)에 설치된다면, 4차 비상 조타 버튼은 2차 결합부(230b)에 마련된다. 이러한 4차 비상 조타 버튼도 좌현 버튼 및 우현 버튼을 갖는다.
상기 4차 비상 조타 버튼은 그룹 패널(300)로부터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하므로, 4차 비상 조타 버튼을 조작하는 비상 조타수는 러더 앵글 인디케이터(322) 및 자이로 콤파스 리피터(324)의 눈금을 잘 확인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그룹 패널(300)은 유압 공급부(200)에 최대한 가깝게 위치하는 것이 좋다. 그룹 패널(300)이 이와 같이 유압 공급부(200) 근처에 마련되면, 1차 및 2차 비상 조작 버튼(330a, 330b)을 조작하는 비상 조타수가 유압 파이프(220a, 220b)의 파손시에도 안전하게 되는 장점이 추가로 발생한다.
한편, 상기 1차 및 2차 제어기(340a, 340b) 중 적어도 하나는 오토 파일롯용 제어기(조타실의 오토 파일롯으로부터 조타 신호를 수신하여 유압 공급부(200)를 제어하는 제어기)인 것이 좋다. 이 경우, 유압 공급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가 1개 또는 2개로 마련되면 족하고, 3개로 마련될 필요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비상 조타 장치 110 : 스티어링 기어
200 : 유압 공급부 210a, 210b : 유압 펌프
220a, 220b : 유압 파이프 230a, 230b : 결합부
300 : 그룹 패널 310 : 전화기
322 : 러더 앵글 인디케이터 324 : 자이로 콤파스 리피터
330a, 330b : 비상 조타 버튼 340a, 340b : 제어기

Claims (6)

  1. 유압에 의해 러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스티어링 기어;
    조타실과 통신하기 위한 전화기를 포함하는 그룹 패널;
    1차 유압 파이프 및 상기 1차 유압 파이프를 기준으로 상기 그룹 패널의 반대 쪽에 위치하는 2차 유압 파이프를 통해 상기 스티어링 기어와 연결된 유압 공급부;
    상기 2차 유압 파이프로의 유체 공급을 위해 상기 그룹 패널에 설치된 2차 비상 조타 버튼; 및
    상기 2차 비상 조타 버튼으로부터 조타 신호를 수신하고, 이 조타 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 공급부를 제어하는 2차 제어기;를 포함하는 비상 조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유압 파이프로의 유체 공급을 위해 상기 그룹 패널에 설치된 1차 비상 조타 버튼; 및
    상기 1차 비상 조타 버튼으로부터 조타 신호를 수신하고, 이 조타 신호에 따라 상기 유압 공급부를 제어하는 1차 제어기;를 포함하는 비상 조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제어기 및 2차 제어기 중 적어도 하는 조타실의 오토 파일롯으로부터 조타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압 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인 비상 조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패널은 상기 유압 공급부 근처에 마련된 비상 조타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공급부는,
    상기 1차 유압 파이프로의 유체 공급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1차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3차 비상 조타 버튼; 및
    상기 2차 유압 파이프로의 유체 공급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2차 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4차 비상 조타 버튼;을 포함하는 비상 조타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비상 조타 장치를 구비한 선박.

KR1020150011187A 2015-01-23 2015-01-23 비상 조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60091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187A KR20160091484A (ko) 2015-01-23 2015-01-23 비상 조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187A KR20160091484A (ko) 2015-01-23 2015-01-23 비상 조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484A true KR20160091484A (ko) 2016-08-03

Family

ID=56708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187A KR20160091484A (ko) 2015-01-23 2015-01-23 비상 조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14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0964A (ja) * 2017-06-30 2019-01-2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操舵制御システム、及び操舵装置の停止方法
JP2019010963A (ja) * 2017-06-30 2019-01-2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操舵制御システ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0964A (ja) * 2017-06-30 2019-01-2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操舵制御システム、及び操舵装置の停止方法
JP2019010963A (ja) * 2017-06-30 2019-01-24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操舵制御システム
KR20200016961A (ko) * 2017-06-30 2020-02-17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조타 제어 시스템
KR20200018600A (ko) * 2017-06-30 2020-02-19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조타 제어 시스템 및 조타 장치의 정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98267B1 (en) Direction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marine vessels
KR20160105768A (ko) 해저 폭발 방지기에 유압 유체를 제공하기 위한 매니폴드 및 관련 방법
KR20160091484A (ko) 비상 조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선박
US3209717A (en) Bow manoeuvring jet system for vessels
US9869998B2 (en) Wireless data communications between a remotely operated vehicle and a remote location
US11738847B2 (en) Interface unit
JP7139127B2 (ja) 操艦支援システム、艦船、及び、操艦支援方法
CN104778860B (zh) 一种船舶集装过闸装置及集装过闸方法
KR20150081755A (ko) 선박의 스프링클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0770279B1 (ko) 선박 자동 조타 컨트롤 인터페이스 장치
KR20230089692A (ko) 선박용 비상 조타 시스템
RU2085430C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управления скоростным судном
EP2949573B1 (en) Ship steering system for out-drive device
JP7328692B2 (ja) 緊急制御機能を備えた自動航行一軸二舵船
KR101546704B1 (ko) 선박용 비상 밸브 장치
KR20160101328A (ko) 사이드 스러스터 제어시스템
JP2006327215A (ja) ポッドプロペラ推進器を有する船舶の操船方法
US9114831B2 (en) Actuator control system
JPH0262439B2 (ko)
JP2010058741A (ja) 船舶推進機の旋回制御装置
KR101453125B1 (ko) 하이드로 펌프 유닛의 압력조절 장치
KR101566827B1 (ko) 잠수함의 타기 제어 장치 및 잠수함의 타기 제어 방법
EP4089004A3 (en) Marine vessel maneuvering system
KR20210046476A (ko) 무인 선박의 제어반에 사용되는 단선 검출 장치
Merayo et al. 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e in high speed craf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