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9595A - 전자 칠판 - Google Patents

전자 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9595A
KR20160089595A KR1020150008857A KR20150008857A KR20160089595A KR 20160089595 A KR20160089595 A KR 20160089595A KR 1020150008857 A KR1020150008857 A KR 1020150008857A KR 20150008857 A KR20150008857 A KR 20150008857A KR 20160089595 A KR20160089595 A KR 20160089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mage
user input
input signal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도현
박성우
Original Assignee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주)피케이엘앤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주)피케이엘앤에스 filed Critical 인하공업전문대학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8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9595A/ko
Publication of KR20160089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5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04N5/23216
    • H04N5/2251
    • H04N5/23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전자 칠판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칠판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용자 입력신호를 송신하는 다수의 입력부; 상기 입력부가 송신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가 송신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칠판{ELECTRONIC BOARD}
본 발명은 전자 칠판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신호 방향으로 회전하는 카메라를 구비한 전자칠판을 이용하여 화상 강의 또는 화상 회의를 진행할 수 있는 전자 칠판에 관한 것이다.
전자칠판은 만지는 입력과 출력이 상호작용하는 스크린으로 칠판을 대체하기 위해 만든 칠판의 일종으로, 흑판과는 달리, 컴퓨터를 이용하여 강의 등을 화면에 표시하면서 화면에 터치 입력 또는 판서가 가능한 장치를 말한다. 전자 칠판은 화면에 판서된 내용이나 강의 내용을 컴퓨터로 전송하여 저장하거나 인쇄할 수 있다.
또한, 전자칠판은 컴퓨터와 칠판이 양방향(interactive) 통신을 할 수 있는 칠판으로서, 통신을 할 수 있는 칠판으로서 현재 다양한 형태의 것이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칠판은 크게 3가지의 형태로 구분되는데 첫 번째로는 테블릿 타입의 LCD모니터형의 전자칠판이 있고, 두 번째로는 일반 화이트 보드 형태의 칠판형 전자칠판이 있으며 마지막으로 빔 프로젝트가 내장된 프로젝션 TV형 전자칠판이 개발 시판 되고 있다.
또한, 전자칠판은 판서방법에 있어서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판서 시 전자펜과 손을 모두 이용하여 판서가 가능한 시스템과, 반드시 전자펜만을 이용해야만 판서가 가능한 두 가지 방식이 개발되어 있다.
판서방식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전자칠판에 사용되는 터치 방식은 초음파, 적외선, 압력방식, 정전기 방식, 전자기장 방식 등이 존재한다. 특히 이들 방법들 중에서 초음파와 전자기장 방식은 전용 전자펜을 필요로 하는 방식이다. 다른 방식에서는 손 터치가 가능하지만, 실제 손 터치로 사용시에는 손의 마찰에서 오는 불편함과 스크린 자체의 온도 상승으로 인해 지휘봉이나 펜 등의 물체를 이용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강의실에는 강사의 강의 내용을 녹화하기 위하여 카메라가 설치되는바, 상기 카메라는 통상적으로 강의실의 천정 중앙에 고정 설치되어 강의 내용을 녹화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강의실의 천정 중앙에 설치된 카메라는 강의 또는 그룹 화상회의에서 발언을 하는 발언자를 촬영할 수 없어, 누가 발언을 하고 있는지 알기 어렵다.
또한, 상기 제시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카메라맨이 손수 카메라를 잡고, 교단의 좌,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강사의 강의 모습을 능동적으로 촬영할 수도 있으나, 카메라의 회전을 수작업으로 진행할 수 밖에 없어 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PC, 디스플레이 화면, 카메라을 구비된 전자칠판이 요구되며, 특히 카메라는 발언자를 자동으로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교탁 또는 정보기기와 연동하여 제어 가능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전자칠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홈 버튼을 이용하여 전자칠판에 내장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전자칠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 입력 신호 방향으로 회전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그룹 강의 또는 그룹 화상 회의에 참여한 다수의 사용자 중, 사용자 입력신호를 송신한 사용자를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는 전자칠판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사용자 입력신호를 송신하는 다수의 입력부; 상기 입력부가 송신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가 송신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칠판은 전자 칠판과 서버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전자 칠판으로 영상을 송신하고, 상기 전자 칠판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외부 기기와, 상기 촬영된 영상, 강의 영상, 강의 자료 및 상기 외부 기기의 사용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칠판은 전자 칠판에 내장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홈 버튼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 카메라부, 저장부 및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자 칠판에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칠판은 전자교탁 또는 정보기기와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입력부 중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를 송신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로 상기 카메라 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되도록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는 사용자가 무선 송신기를 이용하여 생성한 무선신호 이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무선 송신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에 의하면, 전자칠판은 전자교탁 또는 정보기기와 연동되어 제어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칠판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자교탁에 포함되는 카메라부가 사용자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가 송신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 신호가 송신된 위치 방향으로 카메라 부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어, 그룹 강의 또는 그룹 화상 회의에 참여한 다수의 사용자 중, 사용자 입력신호를 송신한 사용자를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칠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칠판의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칠판을 이용한 화상 강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칠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칠판의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전자 칠판(100)은 통신부(10), 카메라부(20), 제어부(30), 디스플레이부(40), 저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칠판(100)은 내부에 PC를 내장할 수 있고, 외부의 PC와도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칠판(100)은 홈 버튼(6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전자 칠판(100)에 내장된 기능을 이용할 수 있으며, 내장된 PC와 전자칠판(100)의 ON/OFF를 동시에 가능하게한다.
또한, 전자 칠판(100)은 전자교탁 또는 정보기기와 연동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전자 칠판을 이루는 각각의 요소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통신부(10)는 입력부가 송신한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통신부(10)는 전자 칠판(100) 외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입력부 중에서 전자 칠판으로 사용자 입력신호를 송신하는 입력부의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는 제어부(30)와 사용자를 연결해 줄 수 있다. 통신부(10)는 다수의 입력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입력부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고, 수신된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30)로 전달한다.
다음으로, 카메라부(20)는 다수의 입력부 중 사용자 입력신호가 송신된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정확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카메라부(20)는 촬영하는 이미지의 위치에 따라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부(20)의 회전 방향 및 초점거리는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된다.
다음으로, 제어부(30)는 카메라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 전자 칠판(100)의 디스플레이부(40)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전자 칠판(100)과 서버로 연결된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30)는 통신부(10)로부터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신호가 송신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상기 결정된 위치의 방향으로 카메라부가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그룹 강의 또는 그룹 화상 회의에 참여한 다수의 사용자 중,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한 사용자를 촬영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입력신호는 입력부를 이용하여 전자칠판의 통신부(10)로 송신된다.
디스플레이부(40)는 카메라부(20)가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강의자의 강의 영상 및 강의 자료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는 외부 기기의 사용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펜을 이용하여 작성한 판서 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저장부(50)는 카메라부(20)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0)는 전자 칠판에 내장된 PC 및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50)에 저장된 정보는 제어부(30)의 제어를 통해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칠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칠판은 입력부, 통신부(10), 카메라부(20), 제어부(30), 저장부(50), 디스플레이부(40) 및 외부기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칠판을 이루는 각각의 요소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입력부는 전자 칠판(100)으로 사용자 입력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의 입력부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 송신기일 수 있으며, 상기 무선 송신기는 강의 또는 회의에 참여하는 사용자가 갖고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부(10)는 전자 칠판(100) 외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입력부 중 전자 칠판으로 사용자 입력신호를 송신하는 입력부의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는 제어부(30)와 사용자를 연결해 줄 수 있다. 통신부(10)는 무선 송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감지하고 감지한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30)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부(20)는 다수의 입력부 중 사용자 입력신호가 송신된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정확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하여 카메라부(20)는 촬영하는 이미지의 위치에 따라 초점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부(20)의 회전 방향 및 초점거리는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된다.
다음으로, 제어부(30)는 카메라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카메라부(20)가 촬영한 영상이 전자 칠판(100)의 디스플레이부(40)에 디스플레이되거나, 전자 칠판(100)과 서버로 연결된 외부 기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30)는 통신부(10)로부터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가 송신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상기 결정된 위치로 카메라부(20)가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부(40)는 카메라부(20)가 촬영한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강의자의 강의 영상 및 강의 자료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는 외부 기기의 사용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저장부(50)는 카메라부(20)에서 촬영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50)는 전자 칠판에 내장된 PC 및 제어부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50)에 저장된 정보는 제어부(30)의 제어를 통해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외부기기(200)는 전자 칠판(100)과 공간적으로 분리된 곳에 위치하는 기기로써, 전자 칠판(100)과 서버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200)는 전자 칠판(100)과 서버를 통해 연결되어 전자 칠판(100)으로 영상을 송신하고, 전자 칠판(100)으로부터 카메라부(20)가 촬영한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200)는 카메라부(20)에서 촬영된 영상을 서버를 통해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 때, 외부기기(200)의 사용자는 강의를 하는 강의자 또는 화상을 통해 회의에 참여하는 회의 참여자일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200)는 또 다른 전자 칠판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데스크탑, 노트북, 태블릿 PC, PDA 및 IPTV 중 적어도 하나의 기기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설명된 전자칠판을 이루는 요소들을 이용하여 화상 강의가 이루어지는 매커니즘을 설명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명의 사용자는 각각 무선 송신기를 가지고 있으며, n명의 사용자 중 발언하는 사용자 또는 촬영되기를 원하는 사용자는 무선 송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사용자 입력신호는 전자 칠판에 포함된 통신부(10)에 수신되고, 전자 칠판(100)의 제어부(30)는 카메라부(20)가 사용자 입력신호가 송신된 입력부의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고, 카메라부(20)는 회전된 방향의 영상을 촬영한다.
이로써, 그룹 강의 또는 그룹 화상 회의에 참여한 다수의 사용자 중, 사용자 입력신호를 송신한 사용자를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다. 즉, 발언하는 사용자 또는 촬영되기를 원하는 사용자의 영상이 촬영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촬영된 영상은 전자 칠판(100) 또는 외부기기(200)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4를 참조하면, 제어부(30)는 위치 결정부(31) 및 영상 제공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결정부(31)는 다수의 입력부 중 사용자 입력신호를 송신하는 입력부 방향으로 카메라가 회전되도록 카메라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부(20)를 통해 회전된 방향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위치 결정부(31)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다수의 입력부 중 사용자 입력신호가 송신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로 카메라부(20)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영상 제공부(32)는 위치 결정부(31)에서 촬영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칠판을 이용한 화상 강의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를 이용한 화상 강의 방법을 설명한다. 이 때, 상기 화상 강의는 그룹 강의 및 그룹 화상 회의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이다.
우선적으로, 입력부는 전자 칠판으로 사용자 입력신호를 송신한다(S110).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칠판의 입력부는 다수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무선 송신기일 수 있다.
다음, 입력부가 송신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전자 칠판에 구비된 통신부(10)가 수신한다(S120). 여기서, 통신부(10)는 전자 칠판(100) 외부에 존재하는 다수의 입력부 중 전자 칠판으로 사용자 입력신호를 송신하는 입력부의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는 제어부(30)와 사용자를 연결해 줄 수 있다. 통신부(10)는 무선 송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명령을 감지하고 감지한 사용자 명령을 제어부(30)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30)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송신된 위치를 결정한다(S130).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30)는 통신부(10)로부터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가 송신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상기 결정된 위치로 카메라부(20)가 회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 카메라부(20)는 다수의 입력부 중 사용자 입력신호가 송신된 위치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된 방향의 영상을 촬영한다(S140).
마지막으로, 카메라부(20)에서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거나, 외부기기(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한다(S150).
상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 신호가 송신된 위치 방향으로 카메라 부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으며, 그룹 강의 또는 그룹 화상 회의에 참여한 다수의 사용자 중, 사용자 입력신호를 송신한 사용자를 카메라가 촬영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자칠판을 이용하는데 있어서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 카메라부
30: 제어부
31: 위치 결정부
32: 영상 제공부
40: 디스플레이부
50: 저장부
200: 외부 기기

Claims (9)

  1.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사용자 입력신호를 송신하는 다수의 입력부;
    상기 입력부가 송신한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가 송신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카메라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칠판과 서버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전자 칠판으로 영상을 송신하고, 상기 전자 칠판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외부 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 강의 영상, 강의 자료 및 상기 외부 기기의 사용자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 카메라부, 저장부 및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전자 칠판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칠판은 전자 칠판에 내장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홈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칠판은 전자교탁 또는 정보기기와 연동하여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다수의 입력부 중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가 송신된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위치로 상기 카메라 부의 회전을 제어하는 위치 결정부;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되도록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는 사용자가 무선 송신기를 이용하여 생성한 무선신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무선 송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칠판.
KR1020150008857A 2015-01-19 2015-01-19 전자 칠판 KR201600895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857A KR20160089595A (ko) 2015-01-19 2015-01-19 전자 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857A KR20160089595A (ko) 2015-01-19 2015-01-19 전자 칠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595A true KR20160089595A (ko) 2016-07-28

Family

ID=5668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857A KR20160089595A (ko) 2015-01-19 2015-01-19 전자 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95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851B1 (ko) * 2021-08-09 2022-07-28 (주)아하 실시간 방송 및 교육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및 교육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851B1 (ko) * 2021-08-09 2022-07-28 (주)아하 실시간 방송 및 교육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송 및 교육 시스템
KR102463067B1 (ko) * 2021-08-09 2022-11-03 (주)아하 실시간 방송 및 교육용 장치를 이용한 방송 및 교육 방법
KR102463062B1 (ko) * 2021-08-09 2022-11-03 (주)아하 실시간 방송 및 교육용 장치를 포함하는 1인 방송 및 교육용 격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8354B2 (en) Immersive video conference system
US9830831B2 (en) Mobile handwriting recording instrument and group lecture delivery and response system using the same
JP5903936B2 (ja) 情報の選択及び切り替えのための方法、記憶媒体及び装置
US8996974B2 (en) Enhancing video presentation systems
KR102031739B1 (ko) 디스플레이 화면과 별도로 수업 진행모드에 따른 강의화면을 구성하여 실시간 인터넷 방송을 지원하는 인터랙티브 화이트보드
JP6455138B2 (ja) 会議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20130126573A (ko) 텔레프롬프팅 시스템 및 방법
US20090119593A1 (en) Virtual table
WO2021204139A1 (zh) 视频显示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10437544B2 (en) Proj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jection system
US20180151098A1 (en) Proje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jector
KR20160082291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US913110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isplay control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EP263215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wo way communication
KR20160089595A (ko) 전자 칠판
KR101776839B1 (ko) 휴대용 강의저장 및 방송 시스템
KR101595880B1 (ko) 동영상 촬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519590B1 (ko) 모션인식 기반 인터랙티브 전자칠판 및 이의 운용방법
Ciofi et al. Very Simple and Inexpensive System for Distance Learning with the Use of Chalkboard
KR102463067B1 (ko) 실시간 방송 및 교육용 장치를 이용한 방송 및 교육 방법
EP4364402A1 (en) Tactile copresence
van Zon et al. Software-enhanced teaching and visualization capabilities of an ultra-high-resolution video wall
JP2020181161A (ja) 情報処理装置、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表示方法
KR101692946B1 (ko) 프로젝트 시스템
CN112204931A (zh) 用于数据的实时数字同步的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