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752A - 일회용 밴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회용 밴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752A
KR20160088752A KR1020150008236A KR20150008236A KR20160088752A KR 20160088752 A KR20160088752 A KR 20160088752A KR 1020150008236 A KR1020150008236 A KR 1020150008236A KR 20150008236 A KR20150008236 A KR 20150008236A KR 20160088752 A KR20160088752 A KR 20160088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ilicone resin
present
disposable
su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소수림
류예진
Original Assignee
소수림
류예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수림, 류예진 filed Critical 소수림
Priority to KR1020150008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8752A/ko
Publication of KR20160088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7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08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61F13/01017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ynthetic, e.g. polymer based
    • A61F13/00021
    • A61F13/0003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051Accessories for dressings
    • A61F13/00085Accessories for dressings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the application on the skin, e.g. single hand handling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099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treating webs, e.g. for moisturising, coating, impregnating or applying pow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1021Non-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dres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361Plasters
    • A61F2013/00655Plasters adhesive
    • A61F2013/00723Plasters adhesive non-adhesive skin fix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소정 폭을 갖는 실리콘 수지로 이뤄진 밴드로서, 중앙부의 쿠션 패드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의 내측면에 다수의 흡반(吸盤)이 배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밴드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일회용 밴드 및 그 제조방법 {Disposable ban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일회용 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사용자의 피부에 무해하며 자극을 주지 않도록 구성된 일회용 밴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밴드는 거의 모든 가정에서 보관하고 있는 의약품 중 한가지이다. 상처가 난 자리에 간편하게 붙일 수 있다는 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1900년대에 개발되어 그 역사가 100년이 넘어가는 요즘, 일회용 밴드는 크기, 모양, 디자인을 다양화하여 편리성을 높이는 형태로 다양화되고 있다.
기존 일회용 밴드는 접착제가 발라져 있는 폴리우레탄 필름과 상처부위를 덮는 쿠션패드와 폴리에틸렌 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예시된 종래의 일회용 밴드는, 평상시에는 잘 붙어 있지만 물과 접촉하면 접착력이 크게 약화되어 금방 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처가 공기 중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접착제를 이용한 일회용 밴드는 그 테두리 부근의 사용자 피부에 접착물질 때문에 지저분한 때가 발생하는 단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 물속에서 잘 떨어지지 않는 방수밴드가 개발된 바 있다. 일예로, 종래의 방수밴드는 폴리우레탄 필름에 있는 통기구멍을 없애 물과의 접촉을 차단시키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구조를 통해 물에 닿으면 쉽게 떨어지는 일반 밴드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개선할 수 있었다.
그러나, 기존의 방수밴드의 경우, 사용 후 밴드를 떼어내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고, 피부가 민감한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는 밴드 접착 부위에 접착제에 의해 피부가 상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90977호 (2005.07.18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 사용자의 피부에 무해하며 자극을 주지 않도록 구성된 일회용 밴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소정 폭을 갖는 실리콘 수지로 이뤄진 밴드로서, 중앙부의 쿠션 패드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의 내측면에 다수의 흡반(吸盤)이 배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밴드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반(吸盤)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며, 소정 폭을 갖는 테두리 내부로 요홈부를 갖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리콘 수지는 PDMS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측면에 따르면, 1) 투명 필름에 밴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2) 스핀코터를 이용하여 실리콘웨이퍼 위에 포토레지스트를 고르게 도포하고 소프트 베이킹 처리하는 단계; 3)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실리콘웨이퍼 위에 상기 밴드 패턴이 형성된 투명 필름을 얹은 후 UV를 조사하여 UV에 노출된 부분을 경화 처리하고, 하드 베이킹 처리하는 단계; 4) 현상액(Developing Solution)을 이용하여 경화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몰드를 수득하는 단계; 5) 몰드 위에 액상의 실리콘 수지를 붓고 경화 처리하여 실리콘 수지로 이뤄진 밴드 본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일회용 밴드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6) 상기 5) 단계에서 수득한 밴드 본체의 중앙부에 쿠션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회용 밴드는, 화학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피부에 무해하며 자극을 주지 않는다는 장점을 제공하며, 특히, 피부에 민감한 어린아이들에게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밴드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밴드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밴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밴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밴드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밴드의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일회용 밴드는 소정 폭을 갖는 실리콘 수지로 이뤄지며, 중앙부의 쿠션 패드(10)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연장부(20)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20)의 내측면에 다수의 흡반(吸盤, 30)이 배치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흡반(吸盤, 30)은, 평면 방향을 기준으로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며, 소정 폭(또는 직경)을 갖는 테두리 내부로 요홈부(34)를 갖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흡반(吸盤, 30)은 연장부(20)의 내측면으로부터 다소 돌출 형성된 돌기부(36) 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원형의 테두리(32)가 내부의 요홈부(34)보다 더 높은 경사 구조를 갖는다.
상기 요홈부(34)는 접시와 같이 내측으로 만곡된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사용자가 흡반(吸盤, 30)이 형성된 연장부(20)를 피부에 눌러 가압 시에 음압에 의한 부착 효과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반(吸盤, 30)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부에 대한 부착 효과를 고려하여 다양한 크기와 배치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테두리 부분은 다소 작은 흡반(吸盤, 30)을 촘촘하게 배치하고 중앙부는 다소 큰 흡반(吸盤, 30)을 배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흡반(吸盤, 30)의 크기는 직경을 기준으로 대략 0.2~3 mm 정도의 크기 범위에서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소재의 유연성과 부착성, 밴드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와 배치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실시예의 일회용 밴드를 이루는 상기 실리콘 수지는 PDMS(polydimethylsiloxane)가 사용될 수 있다. PDMS 소재는 내열성과 신축성이 아주 우수한 소재이며, 젖먹이용 영아의 인공 젖꼭지, 압력솥 테두리 개스킷 고무, 유리창 틈새 실란트, 소프트렌즈 등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PDMS는 매우 부드럽고 산소 투과성도 매우 우수하고 착용감이 좋다는 장점이 있는데, 친수성이 부족해서 물에 잘 젖지 않으므로 방수성을 갖는 일회용 밴드의 소재로서 장점을 갖는다.
쿠션 패드(10)는 기존의 일회용 패드에 사용되던 섬유재의 패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실리콘 수지로 이뤄진 연장부의 중앙부 측에 부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밴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밴드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 모식도이다. 본 실시예의 일회용 밴드는 일예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S1 단계에서, 투명 필름에 밴드 패턴을 형성한다.
S2 단계에서, 스핀코터를 이용하여 실리콘웨이퍼 위에 포토레지스트를 고르게 도포하고 소프트 베이킹 처리한다.
S3 단계에서,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실리콘웨이퍼 위에 상기 밴드 패턴이 형성된 투명 필름을 얹은 후 UV(자외선광)를 조사하여 UV에 노출된 부분을 경화 처리하고, 하드 베이킹 처리한다. S3 단계는 도 4의 공정 모식도를 통해 더욱 상세하게 예시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S4 단계에서, 현상액(Developing Solution)을 이용하여 경화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몰드를 수득한다. S4 단계는 도 4의 공정 모식도를 통해 더욱 상세하게 예시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S5 단계에서, 몰드 위에 액상의 실리콘 수지를 붓고 경화 처리하여 실리콘 수지로 이뤄진 밴드 본체를 수득한다.
S6 단계에서, 상기 S5 단계에서 수득한 밴드 본체의 중앙부에 쿠션 패드를 부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필름과 포토레지스트, 자외선광을 이용한 몰드 수득 공정을 예시하였지만, 반드시 이러한 공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리콘 수지(특히, PDMS)를 이용하여 미세한 흡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는 공정이라면 공지의 다양한 공정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 쿠션 패드
20: 연장부
30: 흡반

Claims (5)

  1. 소정 폭을 갖는 실리콘 수지로 이뤄진 밴드로서,
    중앙부의 쿠션 패드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소정 길이로 연장된 연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의 내측면에 다수의 흡반(吸盤)이 배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반(吸盤)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가지며, 소정 폭을 갖는 테두리 내부로 요홈부를 갖는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수지는 PDM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밴드.
  4. 1) 투명 필름에 밴드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2) 스핀코터를 이용하여 실리콘웨이퍼 위에 포토레지스트를 고르게 도포하고 소프트 베이킹 처리하는 단계;
    3) 포토레지스트를 도포한 실리콘웨이퍼 위에 상기 밴드 패턴이 형성된 투명 필름을 얹은 후 UV를 조사하여 UV에 노출된 부분을 경화 처리하고, 하드 베이킹 처리하는 단계;
    4) 현상액(Developing Solution)을 이용하여 경화되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여 몰드를 수득하는 단계;
    5) 몰드 위에 액상의 실리콘 수지를 붓고 경화 처리하여 실리콘 수지로 이뤄진 밴드 본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일회용 밴드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6) 상기 5) 단계에서 수득한 밴드 본체의 중앙부에 쿠션 패드를 부착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일회용 밴드 제조방법.
KR1020150008236A 2015-01-16 2015-01-16 일회용 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887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236A KR20160088752A (ko) 2015-01-16 2015-01-16 일회용 밴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236A KR20160088752A (ko) 2015-01-16 2015-01-16 일회용 밴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752A true KR20160088752A (ko) 2016-07-26

Family

ID=56680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236A KR20160088752A (ko) 2015-01-16 2015-01-16 일회용 밴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875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977Y1 (ko) 2005-05-12 2005-07-28 김종수 일회용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977Y1 (ko) 2005-05-12 2005-07-28 김종수 일회용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312406A1 (en) Wound Dressings
TWI400778B (zh) 密封微構件的方法
JP2015513424A5 (ko)
RU2005141426A (ru) Защитный препарат, образующий эластомер
US20110295174A1 (en) Bandage with built-in raiser
CN109533960A (zh) 一种基于壁虎仿生结构辅助的真空吸附结构及制作方法
JP2012509723A5 (ko)
JP2009534057A (ja) 接着ウエハー
CN108784670A (zh) 柔性吸附装置及其制造方法
RU2704601C2 (ru) Система раневой повязки
TWI297508B (en) Pellicle for photolithograph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0481185Y1 (ko) 오염방지기능을 갖는 일회용 의료밴드
CA2477106A1 (en)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a wound in the skin of a patient
US10435593B2 (en) Thermoresponsive smart adhesive pad
KR20160088752A (ko) 일회용 밴드 및 그 제조방법
ITMI20081177A1 (it) Dispositivo per il trattamento di una ferita con mezzi per creare una pressione negativa.
JP3187573U (ja) 無電解めっき用シリコンウェハ
KR102259620B1 (ko) 펠리클
CN204050638U (zh) 一种吸盘式导管
CN206499570U (zh) 一种可重复使用的仿生造口胶盘
CN218451633U (zh) 可视压迫止血器
US20200197241A1 (en) Umbilical cord cover
US20190099157A1 (en) Adhesive hydrophilic pad for ultrasound transducer
CN215020434U (zh) 腹腔引流术后带管患者沐浴防水装置
CN215620583U (zh) 一种粘接硅胶的布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