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8619A -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8619A
KR20160088619A KR1020150007915A KR20150007915A KR20160088619A KR 20160088619 A KR20160088619 A KR 20160088619A KR 1020150007915 A KR1020150007915 A KR 1020150007915A KR 20150007915 A KR20150007915 A KR 20150007915A KR 20160088619 A KR20160088619 A KR 20160088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dust
indoor
vacuum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영
Original Assignee
이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영 filed Critical 이수영
Priority to KR1020150007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8619A/ko
Publication of KR20160088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8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36Reducing noise or vibration e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복수개의 집진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복수개의 집진공이 형성된 상기 본체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집진공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일측이 상기 집진공과 연결되고, 흡입력을 제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실내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분진이 발생되는 위치 또는 분진을 용이하게 집진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집진효율이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복수개의 집진공을 개별적으로 개폐하여 흡입영역별로 순차적인 집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음을 감소시키면서도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Dust collector for room}
본 발명은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환경에 따라 흡입영역 및 흡입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이에 따라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진제거동작시 발생되는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연습장은 바닥면에 인조잔디와 같은 매트를 설치한 후 골프공을 바닥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골프공을 타격하게 되는데, 반복되는 골프공 타격동작으로 인해 골프공이 마모되어 분진이 발생될 뿐 아니라 골프채를 스윙하는 경우 골프채가 매트를 스치면서 매트가 마모됨에 따라 분진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분진은 공기 중으로 비산되어 공기 중에 부유하게 되는데, 실내 골프 연습장, 특히 스크린 골프 연습장은 밀폐된 공간 내에서 다수의 사람이 골프공을 반복하여 타격함에 따라 상당한 양의 분진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실내 공기질이 매우 불량해질 뿐 아니라 발생된 분진이 호흡을 통해 체내로 유입되는 경우 호흡기 질환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분진이 많이 발생되는 스크린 골프 연습장과 같은 분진발생공간에 공기청정기를 설치함으로써 실내, 즉 분진발생공간의 공기질을 개선하고자 하였으나, 일반적인 공기정화기의 경우 스크린 골프장의 각 룸마다 설치하기에는 고가이고, 고가의 비용에 비해 발생되는 분진을 효율적으로 집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공기청정기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해 흡기팬이 지속적으로 구동되어 흡기팬에 의한 소음공해가 발생되는 바 상기한 소음으로 인해 집중력을 요하는 운동에 방해를 주게 되면서 이에 대한 불만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스크린 골프 연습장은 골프공의 마모 및 매트의 마모에 의한 분진 발생 뿐 아니라 스크린 골프 연습장을 입출하는 이용고객의 신발로부터 이물질 또는 먼지가 탈거되어 실내에 비산되면서 실내 공기질이 더욱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스크린 골프 연습장에서는 이용자의 신발에 묻은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공기청정기와 별도로 신발에 묻은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발판을 구비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발판(100)은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지지판(110)과, 발지지판(110) 하부에 설치되는 호퍼(120)와, 호퍼(120)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덕트(130) 및 호퍼(120)와 덕트(130) 사이에 설치되는 흡기팬(14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발판(100)은 이용자의 신발에 부착된 이물질 및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 흡기팬(140)이 지속적으로 구동되는데, 이로 인해 전력효율이 매우 떨어질 뿐 아니라 이용자의 신발과 대응되지 않은 영역까지 전체적으로 흡입함에 따라 제공되는 흡입력 대비 이물질 제거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발판(100)은 공기청정기와는 별도로 구비되면서 스크린 골프 연습장의 실내 공기질을 쾌적하게 유지하는데 소용되는 비용이 현격하게 증대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분진이 발생되는 위치 또는 분진을 용이하게 집진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집진효율이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복수개의 집진공을 개별적으로 개폐하여 흡입영역별로 순차적인 집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음을 감소시키면서도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진집진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이용자의 신발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발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공기질을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유지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용자의 신발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변에서 분진이 발생되는 시점에만 집진부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집진부의 구동에 따른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분진이 발생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실내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복수개의 집진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복수개의 집진공이 형성된 상기 본체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집진공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일측이 상기 집진공과 연결되고, 흡입력을 제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실내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밸브와, 상기 집진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집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집진공을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클리닝모드와, 상기 복수개의 집진공을 동시에 개방하는 공기청정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되게 상기 복수개의 개폐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클리닝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공기청정모드에 비해 상기 집진수단의 집진압력이 낮아지도록 상기 집진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집진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집진공과 연결되며,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집진공을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베큠부와, 상기 베큠부에 의해 흡입되는 상기 실내공기의 흡입로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수단과, 상기 몸체부의 일측 중 상기 집진수단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배출로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부 및 상기 실내공기의 배출로 중 상기 필터부 후단에 설치되고,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에 광을 조사하여 실내공기에 포함된 바이러스를 살균하는 살균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대상영역 일측에 설치되고, 주변의 소음이 미리 설정된 기준데시벨을 초과하는 경우 소음신호를 발생하는 소음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소음검출부로부터 상기 소음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집진부가 구동되게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분진이 발생되는 위치 또는 분진을 용이하게 집진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어 집진효율이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복수개의 집진공을 개별적으로 개폐하여 흡입영역별로 순차적인 집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소음을 감소시키면서도 분진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분진집진기능을 수행하면서도 이용자의 신발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발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실내 공기질을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유지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용자의 신발에 부착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주변에서 분진이 발생되는 시점에만 집진부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집진부의 구동에 따른 소음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이물질 제거용 발판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 커버부 및 개폐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가 골프연습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가 골프연습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가 스크린 골프 연습장에 설치된 것을 일예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본체, 커버부 및 개폐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2 내지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1)는 본체(10)와, 커버부(20)와, 개폐밸브(30)와, 집진부(40) 및 제어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대략 납작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어 분진이 발생되는 영역 또는 그 주변에 설치되고, 일측에 복수개의 집진공(11)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복수개의 집진공(11)과 연통되고 후술하는 집진부(40)과 연결되는 집진구(12)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는 후술하는 커버부(20) 및 개폐밸브(30)의 설치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스크린 골프 연습장 내 실내공기가 후술하는 집진부(40)로 이동될 수 있도록 실내공기의 이동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체(10)는 분진을 포함하는 실내공기가 상기한 집진공(11)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상면 일측이 집진공(11)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부(20)는 복수개가 본체(10)의 상부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21)와, 지지플레이트(21)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돌기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10)를 차폐하여 본체(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신발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21)는 각각 장방형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실내공기가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유입로를 제공하는 복수개의 흡입공(21a)이 형성되며, 본체(10)를 차폐하여 본체(1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이용자의 신발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돌기부(2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1)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데, 이러한 돌기부(22)는 스크린 골프 연습장에 설치되는 경우 인조잔디와 유사한 형상으로 보이도록 함으로써 인조잔디와 같이 설치되더라도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개폐밸브(30)는 복수개의 집진공(11)이 형성된 본체(10)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복수개의 집진공(11)을 개별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순차적인 집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인 솔레노이드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집진부(40)는 본체(10)의 외부에 설치되는 몸체부(41)와, 몸체부(41)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집진공(11)과 연결되는 베큠부(42)와, 베큠부(42)에 의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의 흡입로 일측에 설치되는 집진수단(43) 및 집진수단(43)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배출로 일측에 각각 필터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실내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집진하고,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
몸체부(41)는 대략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어 베큠부(42)와, 집진수단(43) 및 살균램프(45)의 설치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베큠부(4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집진공(11)과 연결되어 흡입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집진수단(43)은 실내공기의 흡입로 일측에 설치되고, 베큠부(42)에 의해 흡입되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집진수단(43)은 일반적인 먼지주머니가 사용될 수 있는데, 몸체부(41)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세척, 교환 또는 집진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몸체부(41)의 일측에 탈부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부(44)는 집진수단(43)을 통과한 실내공기가 다시 골프 연습장 실내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배출로 일측에 설치되고, 실내공기에 포함된 분진 또는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유닛(50)은 상기한 개폐밸브(30) 및 집진부(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공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을 제거할 수 있도록 각 구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제어유닛(50)의 동작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1)의 전체 동작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1)는 실내 골프연습장 중 분진이 발생되는 영역에 주로 설치되는데, 일예로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을 타격하기 위해 사용자가 위치하는 타격영역(A)과, 타격영역의 전방, 즉 골프공의 복귀경로(B) 및 스크린 하부(C)에 위치할 수 있다.
이는 이용자의 신발에 부착된 이물질 및 먼지를 제거하도록 함과 아울러 타격영역에서 발생되는 분진과, 스크린상에 충돌하여 낙하하면서 발생되는 분진 및 골프공이 경사면을 따라 수거되면서 발생되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1)는 제어유닛(50)의 제어방법에 따라 클리닝 모드와, 공기청정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각 모드에 따라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클리닝모드
먼저, 베큠부(42)가 구동되면, 베큠부(42)로부터 제공되는 흡입력에 의해 실내골프연장 내의 실내공기가 흡입공(21a)을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제어유닛(50)은 복수개의 개폐밸브(30)를 제어하여 지지플레이트(21)의 일단부와 대응되는 집진공(11)으로부터 지지플레이트(21)의 타단부와 대응되는 집진공(11)까지 복수개의 집진공(11)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집진수단(43)의 구동력을 조절한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1)는 클리닝모드시 일정 갯수의 집진공(11)이 순차적으로 개방되도록 함과 아울러 개방된 집진공(11)의 갯수에 따라 집진수단(43)의 구동력을 제어함으로써 집진수단(43)을 약하게 구동하면서도 집진압력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넓은 영역의 분진을 효율적으로 집진하면서도 구동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실내공기는 본체(10)의 집진구(12)를 통해 집진부(40)으로 이동되고, 실내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집진수단(43)에 집진된다.
집진수단(43)을 통과한 실내공기가 필터부(44)를 통과하면서 실내공기에 잔존하는 미세먼지가 여과되고, 여과된 실내공기는 몸체부(41)에 형성된 배출구(41a)를 통해 스크린 골프 연습장의 실내로 재유입된다.
한편, 타격영역(A)에 설치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1)는 클리닝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집진수단(43)의 구동력을 유지하면서도 복수개의 집진공(11)이 순차개방되어 국소적으로 강력한 집진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이용자의 신발에 부착된 이물질 또는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공기청정모드
공기청정모드는 클리닝모드와는 달리 공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모드로서, 공기청정모드가 구동되면, 제어유닛(50)이 복수개의 개폐밸브(30)를 제어하여 복수개의 집진공(11)이 모두 개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집진수단(43)을 제어하여 집진력이 클리닝모드에 비해 높아지도록 한다.
한편, 이러한 공기청정모드는 신속한 분진제거효율을 위해 집진수단(42)의 집진력이 최대로 구동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큰 소음이 발생될 수 있는 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분진이 발생되는 시점에 순간적으로 구동되거나 게임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공의 타격 및 이동방향을 검출하기 위해 스크린 골프 연습장에 설치된 광센서를 이용하여 공이 타격되는 경우 제어유닛(50)이 광센서로부터 타격신호를 인가받고 공기청정모드가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후의 이물질 집진동작은 앞서 설명한 클리닝모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6은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가 골프연습장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2 내지 도5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골프공 타격과 같이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에 공기청정모드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청정모드 구동에 의한 소음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1)는 주변의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고, 소음심호를 발생하는 소음검출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소음검출부(60)는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는 타격위치 주변에 설치되고, 골프공 타격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지한 후 소음신호를 발생하게 되는데, 여기서 제어유닛(50)은 소음검출부(60)로부터 소음신호를 인가받고, 소음신호에 따른 주변의 소음 데시벨이 미리 설정된 기준 데시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분석한 후 분석된 소음이 기준 데시벨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공기청정모드로 구동되도록 개폐밸브(30) 및 집진부(40)를 제어한다.
그 외의 구조는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 10 : 본체
11 : 집진공 12 : 집진구
20 : 커버부 21 : 지지플레이트
21a : 흡입공 22 : 하중검출부
30 : 개폐밸브 40 : 집진수단
41 : 몸체부 42 : 베큠부
43 : 집진부 44 : 필터부
45 : 살균램프 50 : 제어유닛
60 : 소음검출부

Claims (7)

  1. 분진이 발생되는 영역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실내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복수개의 집진공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된 커버부와;
    상기 복수개의 집진공이 형성된 상기 본체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집진공을 각각 개폐하는 개폐밸브; 및
    일측이 상기 집진공과 연결되고, 흡입력을 제공하여 실내공기를 흡입한 후 실내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와, 상기 집진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개폐밸브 및 상기 집진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복수개의 집진공을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클리닝모드와, 상기 복수개의 집진공을 동시에 개방하는 공기청정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되게 상기 복수개의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클리닝모드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공기청정모드에 비해 상기 집진수단의 집진압력이 낮아지도록 상기 집진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집진공과 연결되며, 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집진공을 통해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베큠부와;
    상기 베큠부에 의해 흡입되는 상기 실내공기의 흡입로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공기에 포함된 유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수단;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 중 상기 집진수단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의 배출로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여과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상영역 일측에 설치되고, 주변의 소음이 미리 설정된 기준데시벨을 초과하는 경우 소음신호를 발생하는 소음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소음검출부로부터 상기 소음신호를 인가받는 경우 상기 집진부가 구동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일측에 복수개의 흡입공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형성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
KR1020150007915A 2015-01-16 2015-01-16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 KR20160088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915A KR20160088619A (ko) 2015-01-16 2015-01-16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915A KR20160088619A (ko) 2015-01-16 2015-01-16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8619A true KR20160088619A (ko) 2016-07-26

Family

ID=5668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915A KR20160088619A (ko) 2015-01-16 2015-01-16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86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695A (ko) 2021-01-26 2022-08-02 박길석 실내 먼지 배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695A (ko) 2021-01-26 2022-08-02 박길석 실내 먼지 배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23212A (ko) 공기청정기
KR20090080228A (ko) 집진 테이블
JP2005016841A (ja) 空気清浄機
KR20190080303A (ko) 먼지차단막을 적용한 스크린 경기장용 공기정화장치
WO2013157325A1 (ja) 吸口体およびそれを備えた掃除機
KR20110052032A (ko) 다관절 로봇 진공청소기
JP2013230199A (ja) 吸込口体、吸込具、自走式掃除機
CN206809949U (zh) 一种用于定型机自动滤网清理系统的吸尘装置
JP2009142356A (ja) 空気清浄機
KR20160088619A (ko) 실내용 분진 집진장치
KR102328009B1 (ko) 가정용 에어 샤워장치
JP2016137488A (ja) 送風装置
KR102094801B1 (ko) 신발 청소 장치
KR100773980B1 (ko) 진공 청소기 겸용 로봇 공기 청정기 및 이에 연결되는진공청소기용 헤드
JP6833306B2 (ja) 布団用電気掃除機
KR200458981Y1 (ko) 집진 기능을 갖는 구두수선용 연삭장치
KR200421933Y1 (ko) 환기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JP5894692B2 (ja) 自走式掃除機
US20060010639A1 (en) Electro-optical vacuum cleaner
KR101933430B1 (ko) 자가발전이 가능한 침구청소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01573398B1 (ko) 하이브리드 환기구조를 갖는 흡연부스
JP5104966B2 (ja) 電気掃除機
KR20180002308A (ko) 클린 장치
JP2011143048A (ja) 電気掃除機
JP2007236470A (ja) 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