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589A - 보청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보청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589A
KR20160086589A KR1020150004092A KR20150004092A KR20160086589A KR 20160086589 A KR20160086589 A KR 20160086589A KR 1020150004092 A KR1020150004092 A KR 1020150004092A KR 20150004092 A KR20150004092 A KR 20150004092A KR 20160086589 A KR20160086589 A KR 201600865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hearing aid
hearing
user
smar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0375B1 (ko
Inventor
김헌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옵티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옵티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옵티메드
Priority to KR1020150004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375B1/ko
Publication of KR2016008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0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 H04R25/505Customised settings for obtaining desired overall acoustical characteristics using digital signal proces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보청기가 개시되며, 상기 보청기는 상기 보청기와 스마트 단말 간의 무선 네트워크의 연결을 제어하는 통신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주파수 조정부; 및 상기 주파수 특성이 조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청기 시스템{HEARING AID SYSTEM}
본원은 보청기 및 상기 보청기를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청기는 청력 검사상 난청으로 진단된 환자의 귀에 장착하여 소리를 증폭하여 주는 기구로서, 소리를 받는 마이크로폰과 소리를 증폭시키는 증폭기, 증폭된 소리를 내보내는 스피커로 구성되어 있으며, 난청인 각각의 주파수별 청력에 맞추어 동작하게 된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15614호에 개시되어 있다.
보청기를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각 주파수마다 들을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의 크기와 가장 편안하게 들을 수 있는 소리의 크기, 불쾌감을 느끼는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여 증폭할 범위를 결정한다. 또한, 사용자의 청력도에 따라 적절한 보청기를 선택하고 보청기 주파수 대역별 증폭도와 최대출력 범위를 정확하게 맞추고, 보청기의 고장 여부 등을 확인하는 보청기의 보정 과정을 정기적으로 거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보청기의 보정 과정을 정기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보청기 전문기관을 주기적으로 방문해야 하기 때문에 보청기 사용자에게 시간과 비용적인 면에서 상당히 부담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보청기와 연결된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스스로 보청기의 보정을 수행할 수 있으나, 별도의 장치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컨디션 또는 주변 환경의 영향에 따라 사용자의 청력 능력이 변하게된 경우 또는 하나의 보청기를 사용하여 청력 능력이 서로 다른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보청기의 보정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보청기의 보정을 위해서는 보청기 전문기관을 방문해야 하거나, 보정 장치를 휴대하여야만 했기 때문에, 보청기의 보정이 용이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보청기는 별도의 장치에서 주파수 보정이 완료된 음향을 단순히 수신하여 재생하는 기능만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보청기만을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보청기의 보정을 수행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청기와 연결된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보청기 사용자 스스로 사용자의 청력 능력에 맞도록 보청기의 보정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보청기 및 보청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은 스마트 단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청기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이퀄라이저(Equalizer)를 이용하여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는 보청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는, 상기 보청기와 스마트 단말 간의 무선 네트워크의 연결을 제어하는 통신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주파수 조정부; 및 상기 주파수 특성이 조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은,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비프음 발생부; 상기 비프음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맞는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의 보청기로 상기 측정된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은,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의 특성을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된 음향의 특성과 미리 설정된 참조 음향 특성에 기초하여 보청기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온/오프 작동에 연동하여 스마트 단말에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보청기; 및 상기 보청기로부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보청기로 통화음향을 전송하는 통화음 전송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수시로 간편하게 측정하고, 측정된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보청기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이퀄라이저(Equalizer)를 이용하여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사용자의 컨디션 또는 주변 환경의 영향에 따라 사용자의 청력 능력이 변하게된 경우 또는 하나의 보청기를 사용하여 청력 능력이 다른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여 보청기의 보정 과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보청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의 특성에 따라 보청기 및 스마트 단말을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어, 보청기 작동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보청기의 배터리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에 의한 음향 출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보청기 시스템에 의한 음향 출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100)은 스마트 단말(110), 보청기(120) 및 네트워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10) 및 보청기(120)는 네트워크(13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130)는 단말 및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스마트 단말(110)은 네트워크(130)를 통해 보청기(120)와 연동되는 디바이스로서,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스마트 TV,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10)은 보청기(120)의 사용자의 청력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비프(beep)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110)은 각 주파수 대역 및 각 주파수 대역별 증폭 레벨마다 비프음을 발생시킨다.
상기 비프음은 '삐'소리와 같이 사용자의 음향 청취 가능 여부를 구분하기 위한 기계음 또는 신호음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프음은 단어 또는 문장을 포함하는 어음(語音)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10)은 어음의 비프음을 생성하고, 비프음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 또는 문장을 터치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청기(120)의 사용자는 단어 또는 문장을 포함하는 비프음을 듣고, 들리는 단어 또는 문장을 터치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보면서 확인함으로써, 보청기(120)에서 출력되는 소리가 정확히 들리는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 기계음 또는 신호음이 아니라 단어 또는 문장이 포함되어 있는 비프음을 통해 청력 측정을 함으로써, 실제 대화 환경에서와 같은 환경에서 보청기의 보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110)은 보청기(120)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또는 스마트 단말(110)과 연결되는 복수의 보청기 각각에 부여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또는 복수의 보청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청기(12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11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로그인 ID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10)은 사용자가 입력한 로그인 ID를 이용하여, 현재 보청기(12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110)은 스마트 단말(110)과 네트워크(130)를 통해 연결된 보청기 각각의 식별 번호, 일련 번호, 또는 ID 등을 이용하여 보청기 각각을 식별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10)은 비프음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청력 측정을 실시하고,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110)은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스마트 단말(110)과 연결되어 있는 보청기에 부여된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단말(110)은 복수의 사용자 각각 또는 복수의 보청기 각각에 부여된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보청기(120)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 또는 스마트 단말(110)과 연결된 복수의 보청기 각각의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청기(120)를 복수의 사용자가 공유하는 경우 또는 스마트 단말(110)을 이용하여 복수의 보청기를 제어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각각의 사용자에 맞는 청력 데이터의 측정 및 보청기의 보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110)은 보청기(120)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 또는 스마트 단말(110)과 연결된 복수의 보청기 각각의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에 맞는 비프음을 우선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110)은 각 사용자 또는 각 보청기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던 식별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참조하여, 해당 사용자가 주로 잘 들을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의 비프음을 먼저 추천하여 제공하고, 해당 대역의 증폭 레벨을 조정하면서 비프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단말(110)이 미리 저장되어 있던 각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에게 맞는 비프음을 추천하여 우선하여 발생시킴으로써, 청력 데이터 측정 및 보청기 보정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10)은 발생된 비프음을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네트워크(130)를 통해 보청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송된 비프음을 들은 보청기(120)의 사용자는 각 주파수 대역 및 증폭 레벨에 대하여 청취 가능 여부 및 청취 감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스마트 단말(110)에 구비되어 있는 터치스크린 또는 버튼 등을 통하여 스마트 단말(110)에 입력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10)은 비프음의 각 주파수 대역 및 증폭 레벨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110)은 스마트 단말(110)에 구비되어 있는 마이크로폰을 이용하여 스마트 단말(110)이 위치한 장소에서 발생하는 주변음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110)은 수신한 주변음의 크기, 파형 또는 주파수 특성 등을 분석하고, 주변음의 크기, 파형 또는 주파수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보청기(120)의 사용자에게 맞는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청기(120)의 사용자의 실제 청력 능력뿐만 아니라, 보청기(120)의 사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환경의 소음 등을 더 반영하여 보청기의 보정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더욱 정밀하게 청력 데이터의 측정 및 보청기의 보정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스마트 단말(110)은 측정된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하는 보청기(120)의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보청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단말(110)에서의 청력 데이터의 측정 및 측정된 청력 데이터의 전송은 스마트 단말(110)에 설치되는 청력 데이터의 측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구동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보청기(120)는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스마트 단말(110)로부터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하는 보청기(120)의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보청기(130)는 스마트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는 ROM (Read Only Memory)으로서, OTPROM (One Time Programmable ROM), EPROM (Erasable P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청력 데이터는 보청기(120)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마다의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청기(120)는 복수의 사용자 마다의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각 사용자의 식별자와 연계하여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보청기(120)는 보청기(120)에 구비되어 있는 마이크로폰을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 또는 보청기(120)의 주변에서 발생하는 각종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보청기(120)는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증폭기(예를 들어, 마이크 앰플리파이어(Amplifier))를 이용하여 수신한 음향을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보청기(120)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증폭된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보청기(120)는 주파수 특성이 조정된 음향을 증폭기(예를 들어, 오디오 앰플리파이어(Amplifier))를 이용하여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보청기(120)는 주파수 특성이 조정되어 증폭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청기(120)는 주파수 특성이 조정된 음향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향신호로 디코딩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청기(120)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사용자 마다의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 보청기(12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맞춰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절하고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단말(110)에 전화가 걸려와 스마트 단말(110)이 통화 신호를 수신하고, 스마트 단말(110)이 통화 모드로 전환되면, 보청기(120)는 스마트 단말(110)로부터 통화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110)이 통화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스마트 단말(110)과 보청기(120)는 동기 연결 기반(SOC: 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을 구축하고, 이에 따라 보청기(120)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전화통화를 할 수 있다. 또한, 보청기(120)는 사용자의 음성을 집진하여 고주파(RF)로 변조하여 스마트 단말(110)으로 전송하고, 스마트 단말(110)은 수신한 음성 신호를 CDMA나 GSM망을 통하여 통화 상대방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110)이 수신한 통화음향은 고주파(RF)로 변조되어 보청기(120)로 송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단말(110) 및 그와 연결된 무선 보청기, 이어폰, 헤드셋 등을 이용한 통화 방법은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청기(120)는 스마트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통화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보청기(120)의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보청기(120)는 주파수 특성이 조정된 통화음향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청기(12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의 특성을 분석한다. 예를 들어, 보청기(120)가 분석하는 음향의 특성이란 음향신호의 파형, 주파수 대역, 음향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청기(120)는 분석한 음향의 특성과 미리 설정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음향 특성에 기초하여 보청기(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청기(12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의 파형, 주파수 대역, 음향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참조 음향의 파형, 주파수 대역, 음향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보청기(120)의 전원의 온(ON) 또는 오프(OFF) 작동을 제어하거나, 볼륨(Volume)의 증가 또는 감소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110)에 전화가 걸려와 스마트 단말(110)이 통화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보청기(120)의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110)을 보고 현재 전화가 걸려오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보청기(120)의 마이크로폰의 주변부를 손가락으로 한 번 터치할 수 있고, 보청기(120)의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에 의해 발생한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보청기(120)는 수신한 터치 음향의 파형과 미리 저장되어 있던 전원 온 참조 음향의 파형을 비교하고, 두 파형이 일치하거나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보청기(120)의 전원을 온(ON)시키고, 스마트 단말(110)로 통화모드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보청기(120)로부터 통화모드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한 스마트 단말(110)은 보청기(120)로 통화음향을 전송할 수 있다. 보청기(120)는 통화음향을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통화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화가 끝난 경우, 사용자는 보청기(120)의 마이크로폰의 주변부를 손가락으로 두 번 터치할 수 있고, 보청기(120)의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에 의해 발생한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보청기(120)는 수신한 터치 음향의 파형과 미리 저장되어 있던 전원 오프 참조 음향의 파형을 비교하고, 두 파형이 일치하거나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보청기(120)의 전원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청기(120)의 볼륨을 증가시키기를 희망하는 경우, 사용자는 보청기(120)의 마이크로폰의 주변부를 손가락으로 세 번 터치할 수 있고, 보청기(120)의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에 의해 발생한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보청기(120)는 수신한 터치 음향의 파형과 미리 저장되어 있던 볼륨 증가 참조 음향의 파형을 비교하고, 두 파형이 일치하거나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보청기(120)의 볼륨을 단계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보청기(120)의 볼륨을 감소시키기를 희망하는 경우, 사용자는 보청기(120)의 마이크로폰의 주변부를 손가락으로 네 번 터치할 수 있고, 보청기(120)의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에 의해 발생한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보청기(120)는 수신한 터치 음향의 파형과 미리 저장되어 있던 볼륨 감소 참조 음향의 파형을 비교하고, 두 파형이 일치하거나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보청기(120)의 볼륨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보청기(120)의 마이크로폰 주변부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횟수에 따라 보청기(120)의 각 동작이 제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보청기(120)의 작동의 제어를 위한 음향 생성 동작 또는 패턴은 반드시 사용자의 터치 및 그 횟수 조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청기(120)의 각각의 제어동작에 따라 다양한 참조 음향 설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100)에 따르면, 보청기(120)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스마트 단말(11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수시로 간편하게 측정하고, 보청기(120)의 보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100)에 따르면, 보청기(120)를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거나, 스마트 단말(110)과 연결된 보청기가 다수대 있는 경우에도 스마트 단말(110)을 이용하여 각각의 사용자에 맞는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측정하여 보청기의 보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100)에 따르면, 주파수 특성의 보정이 완료된 음향을 보청기(120)가 수신하여 단순히 재생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보청기(120)에 저장한 후 저장된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실시간으로 음향의 주파수 특성의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100)에 따르면, 보청기(120)를 통해 입력되는 음향의 특성에 따라 보청기 및 스마트 단말을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어, 보청기 작동 조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보청기의 배터리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단말(110)은 통신부(202), 식별부(204), 비프음 발생부(206), 측정부(208), 주변음 분석부(210), 데이터 전송부(212), 표시부(214), 메모리(216), 수신부(218) 및 통화음 전송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단말(110)은 본원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은 본원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110)은 스마트 단말(1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음향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음향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등의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02)는 보청기(120)와 스마트 단말(110) 간의 무선 네트워크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블루투스(Bluetooth),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부(204)는 보청기(120)를 사용하고자 하는 복수의 사용자 또는 스마트 단말(110)과 연결되는 복수의 보청기 각각에 부여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의 사용자 또는 복수의 보청기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정보는 로그인 ID, 보청기 각각의 식별 번호, 일련 번호 또는 I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비프음 발생부(206)는 비프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프음 발생부(206)는 각 주파수 대역 및 각 주파수 대역별 증폭 레벨마다의 비프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프음 발생부(206)는 단어 또는 문장을 포함하는 어음(語音)을 포함하는 비프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프음 발생부(206)는 보청기(120)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 또는 스마트 단말(110)과 연결된 복수의 보청기 각각의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사용자에 맞는 비프음을 우선하여 발생시킬 수 있다.
측정부(208)는 비프음의 각 주파수 대역 및 증폭 레벨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부(208)는 스마트 단말(110)이 위치한 장소에서 발생하고, 스마트 단말(110)에 구비되어 있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주변음의 크기, 파형 또는 주파수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보청기(120)의 사용자에게 맞는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주변음 분석부(210)는 스마트 단말(110)이 위치한 장소에서 발생하고, 스마트 단말(110)에 구비되어 있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주변음의 크기, 파형 또는 주파수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석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부(212)는 측정부(208)에 의하여 측정된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무선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사용자의 보청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부(212)에 의해 전송되는 청력 데이터는 복수의 사용자 별 식별자와 연계된 복수의 사용자 마다의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부(212)에 의해 전송되는 청력 데이터는 스마트 단말(110)과 연결되는 복수의 보청기 각각의 식별자 및 복수의 보청기 각각의 사용자 별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전송부(212)는 현재 보청기(120)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식별정보 또는 스마트 단말(110)과 현재 연결되어 있는 보청기의 식별정보를 보청기(120)에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214)는 스마트 단말(110)을 이용하여 보청기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각종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214)는 터치스크린, 터치 패널 또는 LCD, LED 디스플레이 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14)는 비프음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표시부(214)를 터치함으로써, 각 주파수 대역별 및 증폭 레벨별 비프음에 대하여 청취 가능 여부 및 청취 감도 등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214)는 비프음에 포함되어 있는 단어 또는 문장을 포함하는 어음에 대응하는 데이터(예를 들어, 해당 단어 또는 문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메모리(216)는 측정부(208)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사용자의 식별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16)은 복수의 사용자 각각 또는 복수의 보청기 각각에 부여된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 또는 상기 복수의 보청기 각각의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수신부(218)는 스마트 단말(110)에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보청기(120)로부터 통화모드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화음 전송부(220)는 보청기(120)로 통화음향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110)이 통화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통화음 전송부(220)는 보청기(120)와의 동기 연결 기반(SOC: 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을 구축하고, 무선 네트워크(130)를 통해 통화음향을 보청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120)는 통신부(302), 데이터 수신부(304), 메모리(306), 주파수 조정부(308), 마이크로폰(310), 출력부(312), 분석부(314), 제어부(316), 인터페이스부(318) 및 통화음 수신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보청기(120)는 본원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형태로 변형이 가능함은 본원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청기(120)는 입력되는 음향을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 출력되는 음향을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기, 또는 보청기(1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02)는 보청기(120)와 스마트 단말(110) 간의 무선 네트워크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블루투스(Bluetooth),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304)는 스마트 단말(110)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수신부(304)는 보청기(120)를 사용하는 복수의 사용자 마다의 식별자 및 식별자와 연계된 각 사용자 마다의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하는 청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306)는 스마트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06)는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식별자와 연계하여 복수의 사용자 마다의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주파수 조정부(308)는 메모리(306)에 저장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마이크로폰(310)을 통해 입력된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조정부(308)는 메모리(306)에 저장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마트 단말(110)로부터 수신된 통화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파수 조정부(308)는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이퀄라이저(equalizer)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파수 조정부(308)는 메모리(306)에 저장되어 있는 각 사용자의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에 따라 보청기(12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청력 능력에 맞춰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310)은 보청기(120) 사용자의 음성을 포함하여 보청기(120)의 주변음을 수신하고, 수신된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조할 수 있다.
출력부(312)는 주파수 특성이 조정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312)는 주파수 특성이 조정된 통화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312)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314)는 마이크로폰(310)을 통해 입력된 음향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음향의 특성은 파형, 주파수 및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6)는 분석부(314)에 의해 분석된 음향의 특성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참조 음향 특성에 기초하여 보청기(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110)에 전화가 걸려오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보청기(120)의 마이크로폰(310)의 주변부를 손가락으로 한 번 터치할 수 있고, 보청기(120)의 마이크로폰(310)은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에 의해 발생한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분석부(314)는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에 의해 발생한 음향의 특성을 분석하고, 제어부(316)는 수신한 터치 음향의 파형과 미리 저장되어 참조 음향의 파형을 비교하고, 두 파형이 일치하거나 미리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보청기(120)의 전원을 온(ON)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6)는 보청기(12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16)는 통상의 연산, 제어 및 판단 기능을 갖는 마이콤, 마이크로프로세서, CPU, MPU (Micro Processing Unit), MMU (Memory Management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18)는 스마트 단말(110)과 보청기(120) 간의 신호의 송수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318)는 앞 단락에서 설명한 보청기(120)의 온/오프 작동에 연동하여 스마트 단말(110)에 통화모드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318)는 스마트 단말(110)로부터 현재 보청기(12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16)는 수신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읽어들여 주파수 조정부(308)에 제공할 수 있다.
통화음 수신부(320)는 스마트 단말이 통화 모드로 전환된 경우, 스마트 단말(110)로부터 통화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청기 시스템에 의한 음향 출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음향 출력 방법은 앞선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된 스마트 단말(110) 및 보청기(120)에 의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스마트 단말(110) 및 보청기(12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4에도 적용된다.
단계 S402에서, 스마트 단말(110) 및 보청기(120) 간에 무선 네트워크가 연결될 수 있다. 단계 S404에서, 스마트 단말(110)은 사용자의 청력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비프음을 발생시키고, 발생한 비프음을 보청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110)은 각 주파수 대역 및 각 주파수 대역별 증폭 레벨마다의 비프음을 발생시킨다.
단계 S406에서, 스마트 단말(110)은 비프음의 각 주파수 대역 및 증폭 레벨에 대하여 청취 가능 여부 및 청취 감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408에서, 스마트 단말(110)은 단계 S406에서 측정된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보청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10에서, 보청기(120)는 스마트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청력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412에서, 보청기(12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 또는 보청기(120) 주변으로부터 수신 가능한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414에서, 보청기(120)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읽어들여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계 S412에서 수신한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사용자의 청력 능력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416에서, 보청기(120)는 단계 S414에서 주파수 특성이 조정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 보청기 시스템에 의한 음향 출력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음향 출력 방법은 앞선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된 스마트 단말(110) 및 보청기(120)에 의하여 수행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스마트 단말(110) 및 보청기(12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5에도 적용된다.
단계 S502에서, 스마트 단말(110) 및 보청기(120) 간에 무선 네트워크가 연결될 수 있다. 단계 S504에서, 스마트 단말(110)은 사용자의 청력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비프음을 발생시키고, 발생한 비프음을 보청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단말(110)은 각 주파수 대역 및 각 주파수 대역별 증폭 레벨마다의 비프음을 발생시킨다.
단계 S506에서, 스마트 단말(110)은 비프음의 각 주파수 대역 및 증폭 레벨에 대하여 청취 가능 여부 및 청취 감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맞는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508에서, 스마트 단말(110)은 단계 S506에서 측정된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보청기(120)로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10에서, 보청기(120)는 스마트 단말(110)로부터 수신한 청력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512에서, 스마트 단말(110)은 통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14에서 보청기(120)는 마이크로폰을 통해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512에서, 스마트 단말(110)에 전화가 걸려와 스마트 단말(110)이 통화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 경우, 보청기(120)의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110)을 보고 현재 전화가 걸려오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단계 S514에서, 사용자는 보청기(120)의 마이크로폰의 주변부를 손가락으로 한 번 터치할 수 있고, 보청기(120)의 마이크로폰은 사용자의 손가락 터치에 의해 발생한 음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516에서, 보청기(120)는 상기 단계 S514에서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청기(120)가 분석하는 음향의 특성이란 음향 신호의 파형, 주파수 대역, 음향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18에서, 보청기(120)는 상기 단계 S516에서 분석한 음향의 특성과 미리 설정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참조 음향 특성에 기초하여 보청기(1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청기(120)의 온(ON) 작동)
단계 S520에서, 보청기(120)는 상기 단계 S518에서의 보청기(120)의 온(ON)작동과 연계하여, 스마트 단말(110)로 통화모드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22에서, 스마트 단말(110)은 통화모드로 전환되고, 보청기(120)로 통화음향을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524에서, 보청기(120)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읽어들여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단계 S522에서 수신한 통화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사용자의 청력 능력에 맞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26에서, 보청기(120)는 단계 S524에서 주파수 특성이 조정된 통화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음향 출력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은 앞서 설명된 음향 출력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은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 또는 이러한 모바일 기기에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앱 스토어 등이 보유하고 있는 서버에 포함되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보청기 시스템
110: 스마트 단말
120: 보청기
130: 네트워크

Claims (17)

  1. 보청기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와 스마트 단말 간의 무선 네트워크의 연결을 제어하는 통신부;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주파수 조정부; 및
    상기 주파수 특성이 조정된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보청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청력 데이터는 복수의 사용자 마다의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식별자와 연계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마다의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주파수 조정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맞춰 상기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것인 보청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의 특성을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음향의 특성과 미리 설정된 참조 음향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보청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석된 음향의 특성 및 참조 음향 특성은 파형, 주파수 및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의 작동은 보청기의 전원의 온(ON) 또는 오프(OFF) 및 볼륨(Volume)의 증가 또는 감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블루투스(Bluetooth),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이 통화 모드로 전환된 경우,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통화음향을 수신하는 통화음 수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조정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고,
    상기 출력부는 상기 주파수 특성이 조정된 통화음향을 출력하는 것인 보청기.
  7. 스마트 단말에 있어서,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비프음 발생부;
    상기 비프음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맞는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사용자의 보청기로 상기 측정된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복수의 사용자 각각 또는 복수의 보청기 각각에 부여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또는 상기 복수의 보청기를 식별하는 식별부;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 또는 상기 복수의 보청기 각각에 부여된 식별 정보와 연계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 또는 상기 복수의 보청기 각각의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청력 데이터 또는 상기 복수의 보청기 각각의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인 스마트 단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프음 발생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청력 데이터 또는 상기 복수의 보청기 각각의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게 맞는 비프음을 우선하여 발생시키는 것인 스마트 단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비프음 발생부는 어음(語音)을 포함하는 비프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비프음에 포함되어 있는 어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이 위치한 장소에서 수신되는 주변음의 크기, 파형 또는 주파수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분석하는 주변음 분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분석된 주변음의 크기, 파형 또는 주파수 특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맞는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측정하는 것인 스마트 단말.
  12. 보청기 시스템에 있어서,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의 특성을 분석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된 음향의 특성과 미리 설정된 참조 음향 특성에 기초하여 보청기의 온/오프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온/오프 작동에 연동하여 스마트 단말에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보청기; 및
    상기 보청기로부터 통화 모드 전환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보청기로 통화음향을 전송하는 통화음 전송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단말,
    을 포함하는 보청기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음향의 특성 및 참조 음향 특성은 파형, 주파수 및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시스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단말은,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비프음 발생부;
    상기 비프음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맞는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 및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보청기로 상기 측정된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청기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상기 스마트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통화음향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주파수 조정부; 및
    상기 주파수 특성이 조정된 음향 또는 통화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시스템.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프음 발생부는 어음(語音)을 포함하는 비프음을 발생시키고,
    상기 스마트 단말은,
    상기 비프음에 포함되어 있는 어음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인 보청기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청력 데이터는 복수의 사용자 마다의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의 식별자와 연계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마다의 주파수 대역별 이득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주파수 조정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맞춰 상기 통화음향 또는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는 것인 보청기 시스템.
KR1020150004092A 2015-01-12 2015-01-12 보청기 시스템 KR101660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092A KR101660375B1 (ko) 2015-01-12 2015-01-12 보청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4092A KR101660375B1 (ko) 2015-01-12 2015-01-12 보청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589A true KR20160086589A (ko) 2016-07-20
KR101660375B1 KR101660375B1 (ko) 2016-09-27

Family

ID=5667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092A KR101660375B1 (ko) 2015-01-12 2015-01-12 보청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3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125A (ko) * 2017-01-10 201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118A (ko) * 2009-04-06 201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보청기 제어 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 및 디지털 보청기
KR101236443B1 (ko) * 2012-07-27 2013-02-25 (주)알고코리아 원격제어기능이 구비된 무선 귓속형 보청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30101393A (ko) * 2012-03-05 2013-09-13 (주)샤론테크 분리형 보청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1118A (ko) * 2009-04-06 2010-10-1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보청기 제어 방법과 그 이동통신 단말기 및 디지털 보청기
KR20130101393A (ko) * 2012-03-05 2013-09-13 (주)샤론테크 분리형 보청기
KR101236443B1 (ko) * 2012-07-27 2013-02-25 (주)알고코리아 원격제어기능이 구비된 무선 귓속형 보청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125A (ko) * 2017-01-10 2018-07-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375B1 (ko)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11715A1 (en) Fit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hearing earphone
CN108430003B (zh) 音效补偿方法和装置、可读存储介质、终端
EP33279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ound field of earphone, terminal and earphone
KR102561414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KR2017007618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JP6633681B2 (ja) スマートヘッドフォン装置のパーソナライズシステム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10044338A (ko) 온라인 및 오프라인 보청기겸용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시스템
KR20190068317A (ko) 복수의 스피커의 상태에 기반하여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을 제어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1254660B1 (ko) 스마트 보청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스마트 보청 지원 시스템
US20220201404A1 (en) Self-fit hearing instruments with self-reported measures of hearing loss and listening
CN107203310B (zh) 睡眠提醒方法、装置及终端
US956550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nceling feedback in hearing aid
US20190200141A1 (en) Adaptive level estimator, a hearing device, a method and a binaural hearing system
KR101458998B1 (ko)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합된 보청기 기능의 실행 방법
KR101660375B1 (ko) 보청기 시스템
KR20170103539A (ko) 휴대기기 및 휴대기기를 활용한 청취패턴 제어방법 및 청취패턴 제어 시스템
US11082795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91887B1 (ko) 사용자 참여에 의한 보청기 피팅장치
KR102155555B1 (ko) 보청기 호환성 모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1398466B1 (ko) 음향조절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된 휴대단말
KR101995670B1 (ko) 지향성 채팅 기능을 갖는 스마트 헤드폰 장치의 개인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KR10135591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마이크 시스템
EP4201324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109218877B (zh) 智能型耳机装置个人化系统及其使用方法
WO2021120247A1 (zh) 听力补偿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