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1393A - 분리형 보청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보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1393A
KR20130101393A KR1020120022512A KR20120022512A KR20130101393A KR 20130101393 A KR20130101393 A KR 20130101393A KR 1020120022512 A KR1020120022512 A KR 1020120022512A KR 20120022512 A KR20120022512 A KR 20120022512A KR 20130101393 A KR20130101393 A KR 20130101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band
gain
beep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1822B1 (ko
Inventor
장윤환
Original Assignee
(주)샤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샤론테크 filed Critical (주)샤론테크
Priority to KR102012002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1822B1/ko
Publication of KR20130101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1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1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1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4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between microphone and amplifier or using Tcoi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 H03G5/16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55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using an external connection, either wireless or wired
    • H04R25/558Remote control, e.g. of amplification, 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70Adaptation of deaf aid to hearing loss, e.g. initial electronic fi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서, 귀에 착용하며 무선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음향정보를 디코딩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무선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을 처리하여 무선 이어폰으로 무선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송신 본체를 구비하고, 송신 본체는 사용자에게 맞는 주파수 대역별 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피팅모드를 선택하는 피팅모드 선택키와, 청취 적합유무에 대한 확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확정키가 마련된 조작부와, 제어신호에 따라 비프음 발생부에 발생되는 비프음의 대역 및 증폭레벨을 조정하는 비프음 제어부와, 송신대상 음향을 설정된 대역별 이득 조정값에 따라 조정하여 출력하는 이퀄라이저와, 조작부를 통해 피팅모드로 설정되면, 비프음 발생부에서 설정된 대역별로 설정된 증폭분 만큼 단계별로 증폭된 비프음이 무선이어폰으로 송출되게 하면서 확정키로부터 청취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증폭값을 대역별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청취모드로 선택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대역별 증폭값에 따라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된 음향을 대역별로 조정되어 출력되게 처리하는 송신제어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분리형 보청기에 의하면, 피팅모드로 조작하면 대역별 비프음이 증폭 레벨을 다단계로 제공하면서 청취자로부터 수신된 확인신호를 통해 대역별 증폭레벨값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분리형 보청기{wireless hearing aid}
본 발명은 분리형 보청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송신기와 수신기가 분리되어 있으면서도 주파수 대역별로 사용자에 적합하게 이득 특성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된 분리형 보청기에 관한 것이다.
청각 장애인이 착용하는 보청기는 귀에 착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대부분 음향을 수신하는 마이크로폰과, 수신된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일체형 보청기의 경우 마이크로폰과 스피커의 이격 거리가 짧아 하울링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과 스피커를 분리한 분리형도 제안되고 있으나, 귀에 착용하는 수신기와 마이크로폰이 장착된 송신기와의 사용환경에 따른 이격거리 또는 주변 잡음에 의해 주파수 대역별로 이득을 조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주파수 대역별 이득 조정을 사용자가 청취하면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분리형 보청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보청기는 귀에 착용하며 무선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음향정보를 디코딩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무선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을 처리하여 상기 무선 이어폰으로 무선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송신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 본체는 사용자에게 맞는 주파수 대역별 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피팅모드를 선택하는 피팅모드 선택키와, 청취 적합유무에 대한 확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확정키가 마련된 조작부와;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비프음 발생부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비프음 발생부에 발생되는 비프음의 대역 및 증폭레벨을 조정하는 비프음 제어부와; 송신대상 음향을 설정된 대역별 이득 조정값에 따라 조정하여 출력하는 이퀄라이저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의 이득을 조정하여 상기 이퀄라이저에 출력하는 이득조정부와; 상기 조작부를 통해 피팅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비프음 제어부를 통해 상기 비프음 발생부에서 설정된 대역별로 설정된 증폭분 만큼 단계별로 증폭된 비프음이 상기 무선이어폰으로 송출되게 하면서 상기 확정키로부터 청취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증폭값을 대역별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청취모드로 선택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대역별 증폭값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된 음향을 대역별로 조정되어 출력되게 처리하는 송신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피팅모드 수행과정에서 대역별 최고 증폭값에 대해서도 상기 확정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최고 증폭값을 설정값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팅모드와 관련된 수행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어나운스 멘트를 상기 송신 제어부에 제어되어 상기 이퀄라이저를 통해 출력하는 보이스 어나운스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피팅모드 수행과정에서 상기 청취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보이스 어나운스부를 제어하여 현재 대역 증폭값으로 피팅모드 수행과 관련된 어나운스 멘트가 상기 무선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피팅모드 수행에 의해 결정된 대역별 이득 조정정보를 상기 이어폰 수신기에도 저장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보청기에 의하면, 피팅모드로 조작하면 대역별 비프음이 증폭 레벨을 다단계로 제공하면서 청취자로부터 수신된 확인신호를 통해 대역별 증폭레벨값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보청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형 보청기의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의 분리형 보청기의 피팅모드시의 처리계통 플로우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 보청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보청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형 보청기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분리형 보청기(100)는 송신 본체(110)와 무선 이어폰(200)을 구비한다.
송신 본체(110)는 마이크로폰(120)을 통해 입력된 음향을 처리하여 무선 이어폰(200)으로 무선 송신 안테나(185)를 통해 송출한다.
송신 본체(110)는 마이크로폰(120), 조작부(130), 비프음 발생부(141), 비프음 제어부(143), 이퀄라이저(145), 이득조정부(147), 보이스 어나운스부(151), 변조부(155), 표시부(161), 송신제어부(165)를 구비한다.
조작부(130)는 사용자에게 맞는 주파수 대역별 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피팅모드를 선택하는 피팅모드 선택키(131)와, 청취 적합유무에 대한 확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확정키(133), 외부 음향을 청취하기 위한 청취모드 선택키(135)를 포함한 각종 키가 송신본체(110)상에 마련되어 있다.
비프음 발생부(141)는 비프음 제어부(143)에 제어되어 비프음을 설정된 대역 및 증폭레벨에 대응되게 발생시켜 이퀄라이저(145)로 출력한다.
여기서 비프음은 "삐"소리와 같이 청취자가 음향 청취 가능 여부를 구분하기 위한 신호음을 말한다.
비프음 제어부(143)는 송신 제어부(165)의 제어신호에 따라 비프음 발생부(141)에 발생되는 비프음의 대역 및 증폭레벨을 조정한다.
이퀄라이저(145)는 송신 제어부(165)에 제어되어 송신대상 음향을 설정된 대역별 이득 조정값에 따라 조정하여 출력한다. 즉, 이퀄라이저(145)는 피팅모드시에는 송신제어부(165)에 제어되어 비프음 발생부(141)에서 발생되는 비프음을 그대로 변조부(155)로 출력하고 청취모드에서는 송신제어부(165)에서 각 대역별 증폭 레벨에 대응되게 마이크로폰(120)을 통해 이득조정부(147)를 거쳐 입력된 외부음향을 조정하여 변조부(155)로 출력한다.
이득조정부(147)는 마이크로폰(120)을 통해 입력된 음향에 대해 이득을 조정하여 상기 이퀄라이저(145)에 출력한다. 여기서 이득조정부(147)는 자동으로 이득을 조정하는 AGC(Auto Gain Controller)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득조정부(147)는 청취모드시에 송신 제어부(165)에 제어되어 마이크로폰(120)을 통해 입력된 음향을 이득조정하여 이퀄라이저(145)에 출력한다.
보이스어나운스부(151)는 지원되는 기능에 대한 각종 안내멘트를 송신 제어부(165)에 제어되어 음향정보로서 제공한다.
즉, 보이스 어나운스부(151)는 송신본체(110)의 조작부(130)의 키 조작시 대응되는 안내멘트가 있는 경우 안내 멘트를 송신제어부(165)에 제어되어 이퀄라이저(145)를 통해 출력한다.
변조부(155)는 이퀄라이저(145)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무선신호로 변조하여 송신 안테나(185)를 통해 출력한다.
송신 제어부(165)는 조작부(130)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며, 대응되는 표시정보가 있는 경우 표시정보를 표시부(161)를 통해 표시되게 처리한다.
송신 제어부(165)는 조작부(130)의 피팅모드 선택키(131)를 조작하여 피팅모드로 설정되면, 비프음 제어부(143)를 통해 비프음 발생부(141)에서 설정된 대역별로 설정된 증폭분 만큼 단계별로 증폭된 비프음이 무선이어폰(200)으로 송출되게 하면서 사용자에 의해 확정키(133)로부터 청취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증폭값을 대역별로 메모리(167)에 저장하고, 청취모드 선택키(135)를 조작하여 청취모드로 선택되면 메모리(167)에 저장된 대역별 증폭값에 따라 마이크로폰(120)을 통해 수신된 음향을 대역별로 조정되게 이퀄라이저(145)를 제어하여 출력되게 처리한다.
여기서, 비프음 발생부(141)를 통해 생성되는 비프음의 대역들은 400Hz 대역, 800Hz대역, 1KHz대역, 2KHz대역, 4KHz대역 각각에 대한 5개의 대역에 대해 비프음을 독립적으로 생성하되, 각 대역에 대해 기본음향레벨을 기준으로, 3dB 증폭분 만큼 단계적으로 증폭하여 생성할 수 있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한, 송신 제어부(165)는 피팅모드 수행과정에서 대역별 최고 증폭값에 대해서도 확정키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최고 증폭값을 설정값으로 처리한다.
또한, 송신 제어부(165)는 피팅모드 수행에 의해 결정된 대역별 이득 조정정보가 이어폰 수신기(200)에도 저장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선 이어폰(200)은 귀(10)에 착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무선 수신 안테나(205)를 통해 수신된 음향정보를 디코딩하여 스피커(230)를 통해 출력한다.
무선 이어폰(200)은 무선 수신 안테나(205)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증폭하여 처리하는 수신부(210)와,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신호를 디코딩하여 스피커(230)를 통해 출력하는 수신 처리부(220)를 구비한다.
여기서, 수신처리부(220)는 송신제어부(165)는 피팅모드 수행에 의해 결정된 대역별 이득 조정정보가 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되면 해당 정보를 메모리(225)에 저장한다. 이 경우 메모리(225)에 저장된 대역별 이득조정 정보는 송신본체(110)를 분실하거나 그 밖의 이유에 의해 자신의 대역별 청취감도 정보를 알고 싶을 때 이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송신본체의 피팅모드 수행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피팅모드로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단계 310), 피팅모드로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대역 기본음향에 해당하는 비프음을 무선 이어폰(200)으로 송출한다(단계 320).
다음은 설정된 대기시간 이내에 무선 이어폰(200)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의 감도로 청취가 되었는지를 확인하는 청취확인 신호가 확인키(133)를 통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30). 단계 330에서 청취확인 신호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최종 증폭레벨인지를 판단한다(단계 340).
단계 340에서 최종 증폭레벨이 아닌것으로 판단되면 설정된 증폭레벨에 해당하는 증분만큼 비프음을 증폭시켜 송출한다(단계 350).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는 동안 단계 330에서 청취확인 신호가 수신되거나 단계 340에서 최종 증폭레벨로 판단되면 현재 적용된 대역에 대한 적합레벨정보를 현재의 증폭값으로 저장하고(단계 360), 현재 대역 증폭값으로 피팅모드 수행과 관련된 어나운스 멘트를 수신 이어폰(200)을 통해 수신하도록 출력한다(단계 370).
즉, 송신 제어부(165)는 피팅모드 수행과정에서 청취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보이스 어나운스부(151)를 제어하여 현재 대역 증폭값으로 피팅모드 수행과 관련된 어나운스 멘트가 무선 송신 안테나(185)를 통해 송출하도록 처리한다.
일 예로서, 피팅모드에서 800Hz대역에 대한 기본 음향에 해당하는 비프음이 무선 이어폰(200)에 출력된 후 확인키(133) 신호가 수신되면, 송신 제어부(165)는 "다음 대역인 1KHz에 대한 비프음을 단계별로 증폭하면서 송출하니 적절한 감도로 청취되면 확인키를 눌러주세요"라는 어나운스 안내멘트를 800Hz대역으로 기본 음향의 비프음에 해당하는 증폭레벨로 출력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청취감도가 적절하다고 확정된 대역의 증폭레벨로 안내멘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370 이후에는 최종 대역까지 수행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380).
단계 380에서 최종 대역까지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다음 대역에 대한 음향을 송출하고(단계 390), 단계 330으로 복귀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단계 380에서 최종 대역까지 수행한 것으로 판단되면, 저장된 대역별 청취 적합 레벨정보를 취합하여 사용자 청취 적합레벨을 조정한다(단계 400).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청취 적합레벨이 조정된 이후, 청취모드로 선택되면, 송신 제어부(165)는 마이크로폰(120)을 통해 입력된 외부 음향에 대해 대역별로 이득이 조정되게 처리하여 무선으로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무선 이어폰(200)을 착용한 착용자는 자신의 청취 감도에 맞는 외부 음향을 들을 수 있다.
110: 송신 본체 120: 마이크로폰
130: 조작부 141: 비프음 발생부
143: 비프음 제어부 145: 이퀄라이저
147: 이득조정부 151: 보이스 어나운스부
155: 변조부 151: 표시부
165: 송신제어부 200: 무선 이어폰

Claims (4)

  1. 분리형 보청기에 있어서,
    귀에 착용하며 무선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음향정보를 디코딩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무선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을 처리하여 상기 무선 이어폰으로 무선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송신 본체;를 구비하고,
    상기 송신 본체는
    사용자에게 맞는 주파수 대역별 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피팅모드를 선택하는 피팅모드 선택키와, 청취 적합유무에 대한 확정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확정키가 마련된 조작부와;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비프음 발생부와;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비프음 발생부에 발생되는 비프음의 대역 및 증폭레벨을 조정하는 비프음 제어부와;
    송신대상 음향을 설정된 대역별 이득 조정값에 따라 조정하여 출력하는 이퀄라이저와;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입력된 음향의 이득을 조정하여 상기 이퀄라이저에 출력하는 이득조정부와;
    상기 조작부를 통해 피팅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비프음 제어부를 통해 상기 비프음 발생부에서 설정된 대역별로 설정된 증폭분 만큼 단계별로 증폭된 비프음이 상기 무선이어폰으로 송출되게 하면서 상기 확정키로부터 청취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증폭값을 대역별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청취모드로 선택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대역별 증폭값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된 음향을 대역별로 조정되어 출력되게 처리하는 송신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보청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피팅모드 수행과정에서 대역별 최고 증폭값에 대해서도 상기 확정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해당 최고 증폭값을 설정값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보청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팅모드와 관련된 수행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어나운스 멘트를 상기 송신 제어부에 제어되어 상기 이퀄라이저를 통해 출력하는 보이스 어나운스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송신 제어부는 상기 피팅모드 수행과정에서 상기 청취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보이스 어나운스부를 제어하여 현재 대역 증폭값으로 피팅모드 수행과 관련된 어나운스 멘트가 상기 무선 송신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보청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제어부는 상기 피팅모드 수행에 의해 결정된 대역별 이득 조정정보를 상기 이어폰 수신기에도 저장할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보청기.
KR1020120022512A 2012-03-05 2012-03-05 분리형 보청기 KR101361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512A KR101361822B1 (ko) 2012-03-05 2012-03-05 분리형 보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512A KR101361822B1 (ko) 2012-03-05 2012-03-05 분리형 보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393A true KR20130101393A (ko) 2013-09-13
KR101361822B1 KR101361822B1 (ko) 2014-02-12

Family

ID=49451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2512A KR101361822B1 (ko) 2012-03-05 2012-03-05 분리형 보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182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1487A (zh) * 2013-09-17 2014-01-01 深圳市其力昌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调频抗干扰隐蔽耳机系统
KR20160086589A (ko) * 2015-01-12 2016-07-20 주식회사 옵티메드 보청기 시스템
CN106535022A (zh) * 2016-12-07 2017-03-22 北京工业大学 一种带均衡器的具有功放功能的耳机降噪电路
KR20210045374A (ko) 2021-04-06 2021-04-26 조성재 모바일 플러그인 보청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767B1 (ko) * 2010-02-25 2012-03-27 박의봉 보청기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및 그 제어방법
KR101175723B1 (ko) * 2010-08-12 2012-08-22 주식회사 바이오사운드랩 보청장치 및 제어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1487A (zh) * 2013-09-17 2014-01-01 深圳市其力昌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调频抗干扰隐蔽耳机系统
CN103491487B (zh) * 2013-09-17 2016-04-27 深圳市其力昌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调频抗干扰隐蔽耳机系统
KR20160086589A (ko) * 2015-01-12 2016-07-20 주식회사 옵티메드 보청기 시스템
CN106535022A (zh) * 2016-12-07 2017-03-22 北京工业大学 一种带均衡器的具有功放功能的耳机降噪电路
KR20210045374A (ko) 2021-04-06 2021-04-26 조성재 모바일 플러그인 보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1822B1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81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binaural hearing assistance system using monaural audio signals
US8526649B2 (en) Providing notification sounds in a customizable manner
EP298485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hearing assistance to a user
EP3057337A1 (en) A hearing system comprising a separate microphone unit for picking up a users own voice
JP2020025250A (ja) バイノーラルアクティブ閉塞キャンセレーション機能を有するバイノーラル聴覚機器システム
US10951995B2 (en) Binaural level and/or gain estimator and a hearing system comprising a binaural level and/or gain estimator
US10284969B2 (en) Hearing device incorporating dynamic microphone attenuation during streaming
US20220217475A1 (en) Hearing aid with wireless transmission function
US20080240477A1 (en) Wireless multiple input hearing assist device
KR101361822B1 (ko) 분리형 보청기
CN103155409A (zh) 用于向用户提供听力辅助的方法与系统
JP2013247559A (ja) 聴覚補装具送信機及び聴覚補装具
KR102055187B1 (ko) 음색 보정 기능을 갖는 블루투스 기반의 음성 방송시스템
KR20140044699A (ko) 사용자 참여에 의한 보청기 피팅장치
KR101528621B1 (ko) 분리형 보청기
KR101835349B1 (ko) 좌우 청력 보정 기능을 갖는 이어폰
KR102139599B1 (ko) 음향 전달 장치
KR101971608B1 (ko) 웨어러블 음향 장치
KR20140109739A (ko) 분리형 보청기
KR101122043B1 (ko) 음향 송수신장치 및 그 송수신방법
KR101821671B1 (ko) 음악 청취 기능과 주변 청취 기능을 지닌 블루투스 음향 장치
US20190373380A1 (en) Adaptation of hearing device parameters using ultrasound signal transmitters, hearing device and system
KR101099525B1 (ko) 공공장소 비치용 휴대 보청기
KR20200064396A (ko) 음향 보정 기능을 지닌 음향 전달 장치
WO2023169755A1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ai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