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586A -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586A
KR20160085586A KR1020150002777A KR20150002777A KR20160085586A KR 20160085586 A KR20160085586 A KR 20160085586A KR 1020150002777 A KR1020150002777 A KR 1020150002777A KR 20150002777 A KR20150002777 A KR 20150002777A KR 20160085586 A KR20160085586 A KR 20160085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quito
light source
stand
measuring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2149B1 (ko
Inventor
윤치영
김광규
김현중
김기훈
Original Assignee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214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5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2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2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Immu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rd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는, 스탠드(10)와; 상기 스탠드(10)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모기(1)를 유인하는 유인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모기유인장치(20)와; 상기 모기유인장치(20)와 인접한 채 상기 스탠드(10)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기 기피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광원(2)이 설치되는 측정광원거치장치(30)와; 상기 모기유인장치(20)와 인접한 채 상기 스탠드(10)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기유인장치(20) 주변으로 근접한 모기(1)를 포획하는 모기포획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스탠드에 모기를 유인하는 모기유인장치, 측정하고자 하는 광원이 거치되는 측정광원거치장치 및 유인된 모기를 포획하는 모기포획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광원의 파장에 따라 유인되어 포획된 모기의 수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파장에 따른 모기 기피 효과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of mosquito repellent effect on light}
본 발명은 LED 램프와 같은 조명의 파장에 따른 모기의 기피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기를 유인하기 위한 모기유인장치와 유인된 모기를 포획하는 모기포획장치를 구비하여 파장이 다른 램프를 설치해가면서 포획된 모기의 수를 파악하여 램프의 파장에 따른 모기의 기피 효과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기의 퇴치 방법은 살충제나 훈증제와 같은 신경계 마비 방식, 전기 감전 방식, 모기기피제 등과 같은 방법이 있다.
살충제를 이용한 방식의 경우 주로 사용하는 '페퍼트린'이 발암, 신경계 마비, 호흡기 장애, 현기증 및 두통 유발 등의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타지역의 곤충까지 유인하여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모기를 매개로 하는 병원체를 전파시키는 문제점 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빛으로 모기를 유인시켜 포집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관련 기술로 "모기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유인 포집기"(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32132호, 특허문헌 1)에는 빛을 발하는 램프를 이용하여 모기를 유인하고,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흡입팬을 램프 주위에 위치시켜 팬의 흡입력에 의해 모기를 포획하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인 방식의 기술은 야외에 설치될 경우 다수의 모기를 유인하게 되는 바, 생태계 교란, 병원체 전파 및 모기 사체로 인한 환경과 위생상의 문제를 그대로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맨홀용 모기 퇴치 램프"(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44078호, 특허문헌 2)에는 모기를 유인하는 방식이 아닌 모기가 기피하는 파장이 방출되는 LED 램프를 맨홀 주변에 설치하여 모기의 접근 자체를 차단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아직 모기가 기피되는 램프의 파장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지 아니하며, 더욱이 다양한 모기의 종류별 기피 파장이 다를 수 있기에 본 출원의 발명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기피 파장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모기의 기피 파장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실내 또는 야외에 모기망을 설치하고 모기망 내부에 일정 수의 모기를 채집하여 투입한 후 모기망 내부에 피실험자가 들어가 모기에 물린 수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진행되는 바, 실험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자연적인 환경 내에서 실험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신뢰도에 다소간의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KR 10-2012-0132132 (2012.12.05) KR 10-1344078 (2013.12.16)
본 발명의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스탠드에 모기를 유인하는 모기유인장치, 측정하고자 하는 광원이 거치되는 측정광원거치장치 및 유인된 모기를 포획하는 모기포획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광원의 파장에 따라 유인되어 포획된 모기의 수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파장에 따른 모기 기피 효과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광원과 모기유인장치 사이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광원과의 거리에 따른 모기 기피 효과도 측정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타이머가 내장된 컨트롤장치를 구비하고, 모기포획장치에 컨트롤장치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개폐식 덮개를 설치함과 더불어, 광원과 흡입팬이 컨트롤장치와 연결되도록 하여 광원의 점등과 덮개의 작동, 흡입팬의 작동이 연계되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스탠드(10)와; 상기 스탠드(10)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모기(1)를 유인하는 유인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모기유인장치(20)와; 상기 모기유인장치(20)와 인접한 채 상기 스탠드(10)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기 기피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광원(2)이 설치되는 측정광원거치장치(30)와; 상기 모기유인장치(20)와 인접한 채 상기 스탠드(10)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기유인장치(20) 주변으로 근접한 모기(1)를 포획하는 모기포획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측정광원거치장치(30)에 설치되는 광원(2)과 모기유인장치(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5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광원거치장치(30)는 일측이 상기 스탠드(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연결부(31)와; 상기 연결부(31)와 연결되어 있으며, 단부에 광원(2)이 체결되는 광원체결부(3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리조절수단(50)은 일측이 스탠드(1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연결부(31)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31)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5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모기유인장치(20)는 내부에 드라이아이스(21)가 저장되어 있고, 저부에 홀(22)이 형성되어 있어 드라이아이스(21)가 기화되어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홀(22)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측정광원거치장치(30)는 상기 모기유인장치(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기포획장치(40)는 내부에 흡입팬(41a)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 개폐식 덮개(41b)가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41)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흡입팬(41a)의 작동에 의해 흡입된 모기(1)가 저장되는 포획망(4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광원거치장치(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개폐식 덮개(41b)는 전기 신호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타이머(61)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개폐식 덮개(41b), 광원(2), 흡입팬(4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이머(61)의 작동에 의해 상기 광원(2)의 점등, 흡입팬(41a)의 작동 및 개폐식 덮개(41b)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장치(6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케이스(41)에는 흡입팬(41a) 상부에 원추 형상을 가지며, 망상 구조로 이루어진 가이드망(43)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스탠드에 모기를 유인하는 모기유인장치, 측정하고자 하는 광원이 거치되는 측정광원거치장치 및 유인된 모기를 포획하는 모기포획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광원의 파장에 따라 유인되어 포획된 모기의 수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여 파장에 따른 모기 기피 효과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광원과 모기유인장치 사이의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광원과의 거리에 따른 모기 기피 효과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타이머가 내장된 컨트롤장치를 구비하고, 모기포획장치에 컨트롤장치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는 개폐식 덮개를 설치함과 더불어, 광원과 흡입팬이 컨트롤장치와 연결되도록 하여 광원의 점등과 덮개의 작동, 흡입팬의 작동이 연계되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실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컨트롤장치가 구비된 실시예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의 미사용시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이동장치의 작동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모기포획장치가 측정광원거치장치와 연계되어 설치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는 크게 스탠드(10), 모기유인장치(20), 측정광원거치장치(30), 모기포획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탠드(10)는 도 1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에 삼각 지지대가 구비되어 지면이나 실내 바닥 위에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탠드(10)는 도면과 같이 다중관 형태로 구성되어 상하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기유인장치(20)는 상기 스탠드(10)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모기(1)를 유인하는 유인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유인수단으로는 종래에 공지되어 있는 조성물, 램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조성물을 통한 유인 방식의 경우 환경 오염 문제가 있으며, 램프 유도 방식의 경우 램프의 파장을 통한 기피 효과를 측정하고자 함에 비추어 볼 때 실험 효과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
이에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기를 유인하는 것으로 알려진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수단이 좋다.
도면에는 상부에 뚜껑(23)이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 드라이아이스(21)가 저장되어 있고, 저부에 홀(22)이 형성되어 있는 보온케이스로 모기유인장치(20)가 구성되어 드라이아이스(21)가 기화되어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홀(2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홀(22)의 크기는 0.3cm±0.2cm 정도로 작게 형성하여 홀을 통해 일정량의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드라이아이스(21) 외에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다른 공지의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더불어, 보온케이스는 다양한 공지의 클램핑 수단에 의해 스탠드(10)에 고정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측정광원거치장치(3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모기유인장치(20)와 인접한 채 상기 스탠드(10)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기 기피 효과를 측정하고자 하는 다양한 LED 램프를 착탈 설치할 수 있도록 모기 기피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광원(2)이 설치된다.
이때, 측정광원거치장치(30)는 모기유인장치(20)와 모기포획장치(4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면과 같이 모기포획장치(40)가 모기유인장치(20) 하부에 위치한 경우 측정광원거치장치(30) 역시 모기유인장치(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좋다.
측정광원거치장치(30)는 구체적으로, 일측이 상기 스탠드(10)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31)와, 상기 연결부(31)와 연결되어 있으며, 단부에 광원(2)이 체결되는 광원체결부(3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31)는 공지의 각종 클램핑 수단에 의해 스탠드(10)에 연결되며, 광원체결부(32)는 램프를 착탈 체결할 수 있도록 소켓이 구비된다.
이때, 광원을 하나의 단독으로 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다수의 광원을 설치할 수 있도록 광원체결부(32)는 연결부(31)에 연결된 채 모기유인장치(20) 하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광원(2)과 모기유인장치(20)와의 사이 거리에 따른 변화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광원거치장치(30)에 설치되는 광원(2)과 모기유인장치(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거리조절수단(50)의 가장 간단한 구성으로는 측정광원거치장치(30)와 모기유인장치(20)를 모두 스탠드(10)에 착탈식 클램프로 연결시키는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실험자가 직접 광원(2)과 모기유인장치(20) 사이의 거리를 수작업으로 측정해야 하며, 이에 따라 실험 속도가 더뎌지며,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에 연결부(31)가 도시된 것처럼 상기 스탠드(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거리조절수단(50)은 일측이 스탠드(1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연결부(31)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31)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51)로 구성될 수 있다.
도면의 예는 연결부(31)는 빈 관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스탠드(1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이동장치(51)의 예로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가 일측은 스탠드(10) 상부에, 타측은 연결부(31)에 고정되어 실린더 로드의 이동에 의해 거리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후술하는 컨트롤장치(60)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경우 정확한 거리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모기포획장치(40)는 상기 모기유인장치(20)와 인접한 채 상기 스탠드(10)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기유인장치(20) 주변으로 근접한 모기(1)를 포획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면의 예에는 모기포획장치(40)는 케이스(41)와 포획망(42)으로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케이스(41)는 내부에 흡입팬(41a)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 개폐식 덮개(41b)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41b)는 기본적으로 흡입팬(41a) 미작동시 케이스(41)를 차단시켜 포획된 모기(1)가 탈출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더불어, 흡입팬(41a)은 케이스(41) 상부의 공기를 빨아들이는 방향으로 작동된다.
덮개(41b)는 케이스(41)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되거나 도시된 것처럼 슬라이딩 방식으로 케이스(41) 상부 개구부를 개폐시키도록 할 수 있다.
덮개(41b)의 개폐 방식은 수작업에 의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나, 도시된 것처럼 자동으로 개폐되는 방식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면의 예를 살펴보면, 케이스(41) 상부 일측에 덮개(41b)가 수납되는 보조케이스가 구비되어 있고, 보조케이스 내부에는 덮개(41b)를 밀어 케이스(41) 상부를 개폐시키도록 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로 이루어진 덮개이동장치(41c)가 설치되어 있다.
이처럼 동력에 의해 개폐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경우 컨트롤장치(60)에 의한 자동 조절이 가능해지게 된다.
포획망(42)은 상기 케이스(41)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흡입팬(41a)의 작동에 의해 흡입된 모기(1)가 저장되는 망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흡입팬(41a)이 고속으로 회전하여 공기를 빨아들이는 과정에서 모기(1)가 흡입팬(41a)과 부딪혀 짖눌려 실험 집계에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41)에는 흡입팬(41a) 상부에 원추 형상을 가지며, 망상 구조로 이루어진 가이드망(43)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망(43)은 중앙 부위가 높고 주변 부위로 갈수록 높이가 낮은 원추 형상을 취하도록 함으로써 모기(1)가 미끄러지면서 하부의 포획망(42)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식 덮개(41b)가 동력에 의해 작동되도록 할 경우 전기 신호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는 컨트롤장치(60)를 구비하여 자동화된 실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장치(60)는 도 2와 같이 타이머(61)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개폐식 덮개(41b), 광원(2), 흡입팬(4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이머(61)의 작동에 의해 상기 광원(2)의 점등, 흡입팬(41a)의 작동 및 개폐식 덮개(41b)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도를 보면 컨트롤장치(60)는 버튼이나 키보드 등으로 구성되어 실험자가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63)와, 사용자 입력에 의해 작동 시간, 시각 등이 저장되는 타이머(61), 타이머(61)와 연결되어 있고 개폐식 덮개(41b), 광원(2), 흡입팬(4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3)로 구성될 수 있다.
작동 방식의 예로는 사용자가 입력한 작동 시간 데이터에 의해 타이머(61)로부터 신호를 받은 제어부(63)는 입력 값이 작동으로 저장될 때에는 흡입팬(41a)을 작동시키고, 개폐식 덮개(41b)는 열리는 상태가 되도록 하고, 광원(2)이 켜지도록 하며, 반대로 작동 중지의 경우 흡입팬(41a)이 멈추고, 개폐식 덮개(41b)는 닫히는 상태가 되고 광원(2)이 꺼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63)가 이동장치(51)와 연결되도록 하여 이동장치(51)의 이동까지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포획망(42) 내로 포획된 모기(1)의 수를 자동으로 계측하는 공지의 계측수단을 구비하고, 이를 컨트롤장치(60)와 연결하는 한편, 계측된 모기 수 데이타가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 및 이 저장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가 추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별도의 컨트롤장치(60) 없이 타이머만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알림기능이 있는 타이머를 활용하여 실험자가 직접 모기유인장치(20)에 드라이아이스(21)를 채운 후, 측정광원거치장치(30)에 측정하고자 하는 광원(2)을 설치하고, 개폐식 덮개(41b)를 개방한 다음 흡입팬(41a)을 작동시키고 타이머를 눌러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타이머의 알림이 끝난 후에는 덮개(41b)를 닫고 흡입팬(41a)을 중지시키고, 광원(2)을 끈 다음 포집망(42)에 포집된 모기(1) 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는 스탠드(10)에 모기유인장치(20), 측정광원거치장치(30), 모기포획장치(40) 등이 조립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야외에서의 실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1 : 모기 2 : 광원
10 : 스탠드 20 : 모기유인장치
21 : 드라이아이스 22 : 홀
23 : 뚜껑 30 : 측정광원거치장치
31 : 연결부 32 : 광원체결부
40 : 모기포획장치 41 : 케이스
41a : 흡입팬 41b : 덮개
41c : 덮개이동장치 42 : 포획망
43 : 가이드망 50 : 거리조절수단
51 : 이동장치 60 : 컨트롤장치
61 : 타이머 62 : 입력부
63 : 제어부

Claims (7)

  1.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에 있어서,
    스탠드(10)와;
    상기 스탠드(10) 일측에 설치되어 있고, 모기(1)를 유인하는 유인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모기유인장치(20)와;
    상기 모기유인장치(20)와 인접한 채 상기 스탠드(10)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기 기피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광원(2)이 설치되는 측정광원거치장치(30)와;
    상기 모기유인장치(20)와 인접한 채 상기 스탠드(10)에 설치되어 있으며, 모기유인장치(20) 주변으로 근접한 모기(1)를 포획하는 모기포획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광원거치장치(30)에 설치되는 광원(2)과 모기유인장치(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수단(5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광원거치장치(30)는 일측이 상기 스탠드(10)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연결부(31)와; 상기 연결부(31)와 연결되어 있으며, 단부에 광원(2)이 체결되는 광원체결부(32)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거리조절수단(50)은 일측이 스탠드(10)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연결부(31)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31)를 이동시키는 이동장치(5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기유인장치(20)는 내부에 드라이아이스(21)가 저장되어 있고, 저부에 홀(22)이 형성되어 있어 드라이아이스(21)가 기화되어 발생한 이산화탄소가 홀(22)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광원거치장치(30)는 상기 모기유인장치(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모기포획장치(40)는 내부에 흡입팬(41a)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에 개폐식 덮개(41b)가 설치되어 있는 케이스(41)와;
    상기 케이스(41)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흡입팬(41a)의 작동에 의해 흡입된 모기(1)가 저장되는 포획망(4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광원거치장치(30)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 덮개(41b)는 전기 신호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외부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타이머(61)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개폐식 덮개(41b), 광원(2), 흡입팬(4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타이머(61)의 작동에 의해 상기 광원(2)의 점등, 흡입팬(41a)의 작동 및 개폐식 덮개(41b)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장치(60)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1)에는 흡입팬(41a) 상부에 원추 형상을 가지며, 망상 구조로 이루어진 가이드망(43)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
KR1020150002777A 2015-01-08 2015-01-08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 KR101712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777A KR101712149B1 (ko) 2015-01-08 2015-01-08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777A KR101712149B1 (ko) 2015-01-08 2015-01-08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586A true KR20160085586A (ko) 2016-07-18
KR101712149B1 KR101712149B1 (ko) 2017-03-03

Family

ID=56679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777A KR101712149B1 (ko) 2015-01-08 2015-01-08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2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2949A (zh) * 2017-06-14 2017-09-22 福建师范大学 一种昆虫趋避行为的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75Y1 (ko) * 2010-09-20 2011-04-29 (주)링크옵틱스 엘이디를 이용한 해충 트랩 장치
KR20120132132A (ko)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이레그린 모기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유인 포집기
KR200468972Y1 (ko) * 2011-02-15 2013-09-10 김영일 곤충류 행동반응 측정장치
KR101344078B1 (ko) 2012-09-03 2013-12-24 주식회사 해밀라이트 맨홀용 모기 퇴치 램프
KR20140010493A (ko) * 2012-07-12 2014-01-27 그린테코 주식회사 Led를 이용한 해충 유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375Y1 (ko) * 2010-09-20 2011-04-29 (주)링크옵틱스 엘이디를 이용한 해충 트랩 장치
KR200468972Y1 (ko) * 2011-02-15 2013-09-10 김영일 곤충류 행동반응 측정장치
KR20120132132A (ko) 2011-05-27 2012-12-05 주식회사 이레그린 모기 유인제와 이를 이용한 모기 유인 포집기
KR20140010493A (ko) * 2012-07-12 2014-01-27 그린테코 주식회사 Led를 이용한 해충 유인 장치
KR101344078B1 (ko) 2012-09-03 2013-12-24 주식회사 해밀라이트 맨홀용 모기 퇴치 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82949A (zh) * 2017-06-14 2017-09-22 福建师范大学 一种昆虫趋避行为的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2149B1 (ko) 2017-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554B1 (ko) 해충정보관리를 위한 영상촬영기능을 갖춘 포충장치
CA2092658C (en) Trap for catching mosquitoes or all night flying insects and method therefor
KR101391174B1 (ko) 해충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KR100753435B1 (ko) 해충 포집장치
KR101424238B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해충 포집장치
KR200425859Y1 (ko) 해충포획장치
KR200396720Y1 (ko) 조수퇴치 및 해충 포집장치
JP2004254523A (ja) 害虫誘引捕獲器
US20120066958A1 (en) Insect trap
KR20170106121A (ko) 유인재를 이용한 해충 포획장치
KR101712149B1 (ko) 조명에 대한 모기 기피 효과 측정 장치
CN210382337U (zh) 一种智能昆虫诱捕器
CA2688976A1 (en) Flying insect trap and method
KR200468972Y1 (ko) 곤충류 행동반응 측정장치
KR102263751B1 (ko) 포충장치
CN113693041B (zh) 一种应用于无公害蔬菜的虫害防控装置及防控方法
CN109122625A (zh) 一种农业诱虫装置
KR101862046B1 (ko) 해충퇴치가 가능한 가로등
KR200485694Y1 (ko) 해충제거용 가로등
KR20150134602A (ko) 해충 유인 포획 장치
KR20090005532U (ko) 해충 포획기
ES1054744Y (es) Aparato aspirador de insectos
KR100632278B1 (ko) 포충기
KR101857372B1 (ko) 해충 트랩 장치
KR20160080495A (ko) 교차형 유인 조립체를 갖는 포충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