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694Y1 - 해충제거용 가로등 - Google Patents

해충제거용 가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694Y1
KR200485694Y1 KR2020160002471U KR20160002471U KR200485694Y1 KR 200485694 Y1 KR200485694 Y1 KR 200485694Y1 KR 2020160002471 U KR2020160002471 U KR 2020160002471U KR 20160002471 U KR20160002471 U KR 20160002471U KR 200485694 Y1 KR200485694 Y1 KR 2004856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ulb
exhaust fan
pest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900U (ko
Inventor
예인영
Original Assignee
예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예인영 filed Critical 예인영
Priority to KR2020160002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694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9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9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6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69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22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 A01M1/223Killing insects by electric means by using electroc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등에 모여든 해충을 송풍에 의해 포집제거하는 해충제거용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등 하부에 포집망을 구성하고 상부에 송풍구를 형성하여 송풍구에서 포집망으로 강하게 바람을 불어서 전등 주위의 해충이 포집망에 포집되도록 하고, 전등의 조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송풍에 의해 전등조도가 원래 조도로 복귀되지 않을 때 전등주위의 전류망에 전류를 흘려보내 해충을 감전시켜 제거되도록 하는 등 송풍과 전류에 의해 복합적으로 해충을 제거할 수 있는 해충제거용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충제거용 가로등{STREETLIGHT FOR REMOVING HARMFUL INSECT}
본 고안은 전등에 모여든 해충을 송풍에 의해 포집제거하는 해충제거용 가로등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전등 하부에 포집망을 구성하고 상부에 송풍구를 형성하여 송풍구에서 포집망으로 강하게 바람을 불어서 전등 주위의 해충이 포집망에 포집되도록 하고, 전등의 조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송풍에 의해 전등조도가 원래 조도로 복귀되지 않을 때 전등주위의 전류망에 전류를 흘려보내 해충을 감전시켜 제거되도록 하는 등 송풍과 전류에 의해 복합적으로 해충을 제거할 수 있는 해충제거용 가로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야간에 차량 및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하여 차량의 야간 주행 및 보행자의 보행에 안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로나 인도, 산책로 등에 설치되는 장치를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로등은 발광하는 전등 주변으로 나방 등 해충들이 모여들도록 하여 가로등이나 그 주변의 시설물 등에 피해를 주고, 가로등의 제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이러한 가로등의 경우 종래 해충을 제거방식인 살충제 살포나 살충용 향에 의한 접근 방지의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는 인체에도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적합하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10-1067110호(2011.09.16. 등록; 이하 '선행문헌1'이라 함)에는 해충방지용 가로등을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1은 내부가 비어있고 하단 내부에 수납, 인출이 자유로운 해충포집부를 포함하는 지주; 빛을 발산하는 벌브; 및 상기 지주의 개방된 상단에 위치하여 상부로부터 해충이 흡입되는 흡입부;를 포함하는 해충방지용 가로등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상단에 위치하여 상부를 덮는 덮개로써 선택적으로 흡입부를 개폐하는 단속덮개; 소정의 팬모터와 팬날개를 가지는 팬; 및 상기 팬이 역풍을 발생시킬 때 공기가 흡입되는 통기구인 흡입구를 가지는 포집깔때기;를 구비하고, 주변의 외기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측정된 경우, 상기 팬의 작동을 멈추게 하도록 주변의 온도를 감지 측정하는 온도센서; 및 상부의 벌브로 모여드는 해충들을 선택적으로 팬의 흡입에 의해 상기 해충포집부로 포집하도록 상기 흡입부 상부의 단속덮개에 내려앉은 물체의 중량을 측정 감지하여 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전자회로로 구성된 중량센서;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선행문헌1은 흡입방식임으로 전등으로부터 해충을 흡입하여 분리시키는데는 흡입팬을 작동시키기 위한 큰 용량의 모터를 필요로 함으로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흡입팬의 작동여부를 온도감지 또는 먼지감지 또는 동작감지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감지를 위한 복잡한 구조를 갖게되어 효율적이지 못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13-0115963(2013.10.22.공개; 이하 '선행문헌2'이라 함)은 날벌레 차단 포획구를 제시하였다. 상기 선행문헌2는 상단과 하단에 원형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연통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나사결합되어 날벌레를 포획하는 포획망으로 이루어지는 날벌레 포획구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단에 위치하여 벌레를 유인하기 위한 전구와, 상기 전구를 통해 유인된 벌레를 흡입하게 하는 회동필터와, 상기 본체의 하단내부에 위치하며 흡입팬을 움직이게 하는 모터와, 흡입된 날벌레가 나가지 않도록 하는 차단필터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선행문헌2도 흡입팬을 작동시켜 해충을 유입해서 전구로부터 분리해서 제거하는 것으로, 해충을 흡입하기 위해서는 큰 용량의 모터를 필요로 함으로 제조비용이 상승되고, 흡입팬을 작동여부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이 없어 과도한 작동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팬을 구동하는 모터의 용량을 낮춰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면서 필요할 때만 팬을 작동시켜 해충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10-1067110호(2011.09.16. 등록) : 해충방지용 가로등 한국공개특허 10-2013-0115963(2013.10.22.공개) : 날벌레 차단 포획구
이에 본 고안에 따른 해충제거용 가로등은,
해충유입구와 전구 및 배기팬을 동일 수직선상에 배치하여 배기팬의 송풍력에 의해 해충을 포획하도록 하고, 지주 일측에는 교체가능한 포획망이 구비된 해충포획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기팬은 송풍구에 의해 안내되어 전구방향으로 송풍되도록 하되, 상기 송풍구의 송풍은 전구 외벽에 교차되는 방향과 전구 외벽과 나란히 진행되는 방향으로 이중으로 분사하여 진행과정에서 난류를 형성해 해충의 포획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송풍 이외에 전류에 의한 감전사를 유도하여 해충을 제거하고, 주기적으로 조도를 측정하여 이전 측정값과의 조도차에 따라 송풍 또는 전류감전사를 선택적으로 이행하도록 하는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의 해충제거용 가로등은,
해충제거용 가로등에 있어서, 상단이 역삼각뿔 형태로 확장된 입구인 해충포집구가 형성되어 설치지역의 바닥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지주; 상기 지주와 동일 축상에 위치하고 지주의 해충포집구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 위치하는 등기구; 상기 지주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등기구 측면에 결합되어 등기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대; 상기 지주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지주 내부를 통해 해충포집구와 연통되어 해충포집구를 통해 유입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망이 내장된 포집보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등기구는, 내부에 배기팬과, 모터가 수직상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된 등본체와; 상기 등본체 하부에 결합되어 등본체 하부를 폐구시키면서 다수의 송풍구가 형성된 등마개와; 상기 등마개의 저면에 결합되는 전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등본체는 상부면과 측면을 폐구시키고, 측면에 배기팬 작동시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다수의 흡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마개는, 삼각뿔형태로 중심이 배기팬 방향으로 돌출되고, 저면에 전등이 장착되는 내부분산판과; 상기 내부분산판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송풍구와; 상부가 등본체에 결합되고 내면 일부가 내부분산판과 연결되어 내부분산판을 고정시키는 마개외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개외관은, 내측 하단이 내부분산판 하단보다 일정간격 하부에 위치하고, 내면직경은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을 축소시킨 역원뿔형태의 경사안내면을 형성하여 배기팬에 의한 송풍이 경사안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전등외면에 부딪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외관 내면은,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안내면과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안내면이 교대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송풍과 중심방향송풍이 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마개 저면에는 전구와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전구를 감싸는 전류망과, 상기 전류망 외부를 감싸는 안전망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구와 근접된 해충포집구 내면, 고정대 및 등기구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전구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더 설치하여, 조도센서의 설정값에 따라 배기팬을 작동시키거나 전류망에 전원을 공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충포집구에는 배기팬의 송풍력에 의해 하부로 회동되어 개방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해결수단에 의한 본 고안의 해충제거용 가로등은,
정원 또는 현관 인근에 배치 및 설치하여 주위를 수려하게 하는 인테리어용으로 사용되면서 해충을 포집제거하는 해충제거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복합 가로등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배기방식으로 불어서 해충을 포집하되 송풍되는 방향을 2열로 다르게 형성하여 전구와 근접한 영역에서 난류를 형성시켜 해충의 포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전구와 근접된 위치에 전류망을 배치하여 송풍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잔여 해충을 감전에 의해 포집제거하도록 하였으며, 주기적으로 전구조도를 센서로 감지하여 조도차에 의해 전류망으로의 통전을 실행함으로써 에너지소모를 최소화하면서 해충포집력을 증가시키는 유용한 장치의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제거용 가로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를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등기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주요부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등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류망과 안전망이 설치된 등기구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해충제거용 가로등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등기구를 확대도시한 단면도이다.
참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해충제거용 가로등(10)은, 설치지역의 바닥에 수직설치되는 지주(20)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위치하는 등기구(30)와, 상기 등기구를 고정시키는 고정대(40)와, 상기 지주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보관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지주(20)는, 원기둥 또는 다각 기둥으로 형성된 지주본체(21)와, 상기 지주본체 상부에 결합되는 해충포집구(22)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본체(21)는 보조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하단을 설치지역에 고정시키고, 측면에는 각종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23)와, 점검구(2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주본체 상단에 결합되는 해충포집구(22)는 상부가 개구되면서 확장된 호퍼 형태를 갖는 것으로, 외부 송풍력에 의해 밀려난 해충을 포집하도록 한다. 이러한 해충포집구(22)는 하부가 지주본체(21) 상단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지주본체에 삽입된 해충포집구 내부에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25)가 형성되어 해충포집구로 유입된 해충이 해충포집구를 통해 다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체크밸브(25)는 센서에 의해 송풍력 감지시에만 개구되는 자동형으로 장착되거나, 송풍력이 전달되면 회동되어 개방되는 수동형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해충포집구 하단은 별도의 연결관(26)을 배관하여 상기 포집보관대와 연결시켜 지주 내부의 전기배선과 영역이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등기구(30)는, 지주(20)와 동일축상에 위치하고, 지주의 해충포집구(22)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등기구는 해충포집구와 동일축상에 위치한다.
상기 등기구(3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배기팬(311) 및 모터(312)를 내설하는 등본체(31)와, 상기 등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등본체 하부를 폐구시키면서 다수의 송풍구(322)가 형성되어 배기팬의 작동에 의해 하부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등마개(32)와, 상기 등마개의 저면에 결합되는 전구(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등기구의 등본체(31)는 외부로부터 내장된 모터(312)와 배기팬(311)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망체로 형성하거나, 상부가 밀폐된 통체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밀폐형 일 경우에는 측면 또는 상부면에 다수의 흡입공(313)을 형성하여 배기팬 작동시 외부공기의 흡입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 때 상기 측면에 형성된 흡입공(313)은 적어도 배기팬(311)이 설치된 부분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배기팬을 중심으로 상부측에서는 외부공기가 등본체(31)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유입된 공기는 배기팬(311)을 통과하여 하부방향으로 송풍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등마개(32)는 등본체(31)와 나사결합 되거나 볼트조임 등 다양한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등마개(32)는 하단에 송풍구(322)가 형성되어 배기팬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를 하부 방향으로 송풍되도록 하며, 송풍구의 위치와 크기를 조절해 송풍력을 조절할 수 있고, 대표적으로는 송풍구에 슬라이딩 창을 형성하여 개폐에 의해 송풍구의 크기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구(33)는 등마개(32)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직접 전구가 등마개 저면에 설치되거나, 도 2를 참조한 바와같이 등마개(32) 저면에는 안전기가 내장된 전구본체(331)를 결합하고, 상기 전구본체의 저면에 전구(33a)가 결합되고, 상기 전구를 내포하도록 전구본체 저면에 결합되는 투명덮개(33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덮개는 인테리어를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의 전구(33)는 좁은 의미에서는 전구 자체이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상기 전구본체(331)와 투명덮개(332)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고정대(40)는, 일단이 지주(20)에 결합되고 타단이 등기구(30)에 결합되어 등기구를 지주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배치시키는 부재이다. 상기 고정대(40)는 관체로 구성되며, 디자인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는 내부로 전선을 배선시켜 지주측을 통해 등기구의 모터나 전구에 전기공급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40)는 등기구(30) 하부의 전구 하단과 지주 상부의 해충포집구 상단의 간격을 0~200mm 사이의 범위로 형성하여 상기 등기구의 송풍구에서 송풍된 압력에 의해 밀려난 해충이 해충포집구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면서, 해충포집구가 전구의 빛을 가리는 것을 최소화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집보관대(50)는, 지주(20)와 접하여 설치되거나 인근에 배치하여 해충포집구(22)를 통해 지주 내부로 유입된 해충을 별도로 포집하는 부재이다. 상기 포집보관대(50)는 내부에 포집망(51)을 설치하여 지주로부터 공급된 해충이 포집망에 포집되도록 한다. 또한 포집보관대의 측면에는 다수의 배기공(52)을 형성하여 송풍력에 의해 유입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등기구(30)의 상부에는 등갓(60)을 더 설치하여 인테리어적 요소를 향상시키면서 빗물이나 먼지등 이물질이 등기구 상부에 떨어지거나 적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해충제거용 가로등(10)은, 등마개(32)의 송풍구(322) 형태를 변경하여 전구에 전달되는 송풍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한 바와같이 등마개(32)는, 삼각뿔형태로 중심이 배기팬 방향으로 돌출되고 저면에 전등이 장착되는 내부분산판(321)과; 상기 내부분산판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송풍구(322)와; 상부가 등본체(31)에 결합되고 내면 일부가 내부분산판(321)과 연결되어 내부분산판을 고정시키는 마개외관(323);으로 구성 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팬(311)에서 발생된 송풍력은 내부분산판(321)의 면을 따라 송풍구(322)가 형성된 가장자리로 안내됨으로 이동과정에서의 송풍력이 저하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발생된 송풍력이 전량 송풍구 방향으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개외관(323)과 내부분산판(321)은 분리된 형태로 형성하여 별도의 보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조립형태로 제공하거나, 마개외관과 내부분산판을 일체로 구성하고 가장자리를 따라 천공하여 송풍구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송풍구는 마개외관과 내부분산판 사이를 따라 길게 형성되거나, 원형 통공으로 다수개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마개외관(323)은, 내면에 경사안내면(324)을 형성하여 송풍구의 송풍방향이 전구(33)의 외면을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마개외관(323)은 내측하단이 내부분산판(321) 하단보다 일정간격 하부에 위치하고, 내면 직경은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을 축소시킨 역원뿔형태의 경사안내면(324)을 형성하여 배기팬에 의한 송풍이 내부분산판(321)을 따라 외각으로 모여서 진행하다가 경사안내면(324)을 따라 전구 외면인 중심 방향으로 최종분사되어 전구외면에 모여든 해충을 하부로 밀어내도록 한다.
또한 송풍구(322)가 형성된 내부분산판(321) 하단 일부는 도시된 바와같이 마개외관(323)의 내측 경사안내면(324)과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중심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배기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토출되는 방향을 안내하게 할 수 있다.
도 5a와 마개외관의 A-A단면을 부분 도시한 도 5b를 참조한 바와같이 상기 마개외관(323) 내면은,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안내면(325)과,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안내면(324)이 교대로 형성되어 수직방향송풍과 중심방향송풍이 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와같이 하나의 송풍구(322)를 통해 2방향으로 송풍이 이루어지면, 중심방향송풍은 전구 외벽 방향으로 송풍되어 전구에 붙어 있는 해충을 직접 타격하여 분리포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전구 외벽에 부딪친 후 반사되어 나오는 중심방향송풍은 수직방향송풍과 교차가 이루어져 난류를 형성하고, 형성된 난류에 의해 전등과 인접한 영역의 해충까지 포집하여 제거가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해충제거용 가로등은, 등마개(32)의 저면에 전구(33a)와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전구를 감싸는 전류망(34)과, 상기 전류망 외부를 감싸는 안전망(3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류망(34)은 전원을 공급받아 통전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전구 인근의 해충을 감전시켜 제거시키는 것으로, 망 사이의 간격이 적어도 1~3cm의 간격으로 형성된 망체로 구성하여 전구 빛을 가리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전구 주변의 해충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전망(35)은 절연체로 형성하거나 절연물질로 코팅하여 관리자나 이동자가 실수로 전류망을 잡아 감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전류망(34)과 안전망(35)은 관체로 형성하여 측면 방향으로 대응하도록 하거나, 하부가 폐구된 통체로 형성하여 전방위에 대해 대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류망과 안전망은 등마개(32)의 저면에 설치하지 않고 등마개의 하단측면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에 안치 및 결합되어 전구를 감싸는 형태로 제공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등마개에 결합 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해충제거용 가로등(10)은, 전구(33)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장착하여 측정된 값의 변화에 따라 배기팬이나 전류망으로의 전원공급을 단속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전구와 근접된 해충포집구 내면, 고정대 및 등기구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전구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설치하여, 조도센서의 설정값에 따라 배기팬을 작동시키거나 전류망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에 의해 일정시간 단위로 전구의 조도센서에 의해 조도를 측정하고, 이전 측정된 조도값 대비 일정폭이상 떨어질 경우 배기팬을 작동시켜 전구 부근의 해충을 송풍에 의해 포집하거나, 전류망으로 전원을 수초동안 인가하여 전구 부근의 해충을 감전사시키는 방식을 선택적으로 실행하거나 둘 모두 시행하여 전구 인근의 해충을 제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충밀집여부의 감지를 조도센서로 확인하는 것 이외에 동작감지센서에 의해 판단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해충제거용 가로등의 작동상태를 간량하게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23)에 미리 설치된 시간간격 또는 센서에 의해 해충이 밀집됨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모터(312)에 전원을 인가하여 배기팬(311)이 작동되도록 한다. 배기팬의 작동에 의해 주위공기가 등기구(30) 내부로 흡입되고 배기팬을 통해 하부의 송풍구(322) 방향으로 송풍된다.
상기 송풍은 등마개(32) 내의 내부분산판(321)에 의해 외측으로 밀집되면서 송풍구(322)로 배출되며, 송풍구에서는 경사안내면(324) 또는 경사안내면(324)과 수직안내면(325)에 의해 2방향으로의 송풍이 이루어져 전구 인근에 밀집된 해충을 하부로 강하게 밀어낸다.
상기 하부로 밀린 해충은 지주 상단의 해충포집구(22)에 유입되며, 강한 송풍력에 의해 해충포집구 내부의 체크밸브(25)가 개방되면서 해충이 지주 내부 관으로 유입되어 포집보관대(50)로 이동한다.
상기 포집보관대에서는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해충은 포집망(51)에 포집된다.
상기 과정에서 제어부(23)는 추가적으로 전류망(34)에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전구 인근의 해충은 전류망과 접하여 통전에 의한 감전으로 제거될 수 있으므로, 송풍력에 의해 제거되지 않는 큰 몸집의 해충도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해충제거용 가로등을 설치하면 인근 지역의 해충을 유인하여 포집할 수 있으므로, 해충에 의한 피해 또는 불편함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보다 쾌적한 생활을 제공할 수 있다.
10 : 해충제거용 가로등
20 : 지주
21 : 지주본체 22 : 해충포집구
23 : 제어부 24 : 점검구
25 : 체크밸브 26 : 연결관

30 : 등기구
31 : 등본체 32 : 등마개
33,33a : 전구 34 : 전류망
35 : 안전망
311 : 배기팬 312 : 모터
313 : 흡입공
321 : 내부분산판 322 : 송풍구
323 : 마개외관 324 : 경사안내면
325 : 수직안내면
331 : 전구본체 332 : 투명덮개
40 : 고정대
50 : 포집보관대
51 : 포집망 52 : 배기공
60 : 등갓

Claims (8)

  1. 해충제거용 가로등에 있어서,
    상단이 역삼각뿔 형태로 확장된 입구인 해충포집구(22)가 형성되어 설치지역의 바닥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지주(20);
    상기 지주와 동일 축상에 위치하고 지주의 해충포집구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배기팬(311)과 모터(312)가 수직상으로 순차적으로 설치된 등본체(31)와, 상기 등본체 하부에 결합되어 등본체 하부를 폐구시키면서 다수의 송풍구(322)가 형성된 등마개(32)와, 상기 등마개의 저면에 결합되는 전구(33)를 포함하는 등기구(30);
    상기 지주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등기구 측면에 결합되어 등기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대(40);
    상기 지주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지주 내부를 통해 해충포집구와 연통되어 해충포집구를 통해 유입된 해충을 포집하는 포집망(51)이 내장된 포집보관대(5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등기구(30)의 등마개(32)는,
    삼각뿔형태로 중심이 배기팬 방향으로 돌출되고, 저면에 전등이 장착되는 내부분산판(321)과; 상기 내부분산판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된 송풍구(322)와; 상부가 등본체(31)에 결합되고 내면 일부가 내부분산판과 연결되어 내부분산판(321)을 고정시키는 마개외관(32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마개외관(323)은,
    내측 하단이 내부분산판 하단보다 일정간격 하부에 위치하고, 내면직경은 하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직경을 축소시킨 역원뿔형태의 경사안내면(324)을 형성하여 배기팬에 의한 송풍이 경사안내면을 따라 안내되어 전등외면에 부딪치도록 하되, 상기 마개외관(323) 내면은,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안내면(325)과 중심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안내면(324)이 교대로 형성되어 전구외벽에 부딪쳐 반사된 중심방향송풍이 수직방향송풍과 교차되어 난류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제거용 가로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본체(31)는 상부면과 측면을 폐구시키고, 측면에 배기팬 작동시 외부 공기를 내부로 유입하는 다수의 흡입공(3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제거용 가로등.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마개(32) 저면에는 전구(33)와 일정간격 이격되면서 전구를 감싸는 전류망(34)과, 상기 전류망 외부를 감싸는 안전망(35)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제거용 가로등.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33)와 근접된 해충포집구(22) 내면, 고정대(40) 및 등기구(30) 중 어느 한 부분에는 전구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더 설치하여, 조도센서의 설정값에 따라 배기팬을 작동시키거나 전류망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제거용 가로등.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충포집구(22)에는 배기팬의 송풍력에 의해 하부로 회동되어 개방되는 역류방지용 체크밸브(2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충제거용 가로등.

KR2020160002471U 2016-05-09 2016-05-09 해충제거용 가로등 KR2004856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471U KR200485694Y1 (ko) 2016-05-09 2016-05-09 해충제거용 가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471U KR200485694Y1 (ko) 2016-05-09 2016-05-09 해충제거용 가로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00U KR20170003900U (ko) 2017-11-20
KR200485694Y1 true KR200485694Y1 (ko) 2018-02-08

Family

ID=60480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471U KR200485694Y1 (ko) 2016-05-09 2016-05-09 해충제거용 가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69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40300A (zh) * 2018-08-22 2019-01-04 张�林 一种电气自动化设备用led照明灯
CN112483947B (zh) * 2020-12-17 2021-11-30 江苏日月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带有灭蚊功能的室内智能照明灯
CN114857521B (zh) * 2022-05-09 2024-03-12 厦门市有好光科技有限公司 一种亮度自动调整的智能控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6987A (ja) * 2008-06-17 2009-12-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捕虫器
KR101151275B1 (ko) * 2011-04-18 2012-06-14 이현민 가로등용 해충유인 포획기구
KR101391174B1 (ko) 2013-06-18 2014-05-02 안중갑 해충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1153B2 (en) 2006-02-17 2013-03-05 Cisco Technology, Inc. Decoupling radio resource management from an access gateway
KR101067110B1 (ko) 2009-12-29 2011-09-22 방효기 해충 방지용 가로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6987A (ja) * 2008-06-17 2009-12-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捕虫器
KR101151275B1 (ko) * 2011-04-18 2012-06-14 이현민 가로등용 해충유인 포획기구
KR101391174B1 (ko) 2013-06-18 2014-05-02 안중갑 해충 포집장치 및 포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900U (ko) 201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5694Y1 (ko) 해충제거용 가로등
ES2741436T3 (es) Trampa para insectos que tiene un amortiguador accionado por aire
KR100753435B1 (ko) 해충 포집장치
JP5095227B2 (ja) サキシマアオドウガネを捕獲対象とする誘引捕獲装置
KR20070114452A (ko) 해충 포집장치
KR101067110B1 (ko) 해충 방지용 가로등
KR100928094B1 (ko) 흡입식 해충 포집장치
KR101862046B1 (ko) 해충퇴치가 가능한 가로등
JP2008173035A5 (ko)
KR101151275B1 (ko) 가로등용 해충유인 포획기구
KR102310622B1 (ko) 해충 포획용 유아등
KR200424113Y1 (ko) 가로등
KR20140036604A (ko) 에어 드랍 방식의 포충 장치
CN104170808A (zh) 灯柱及除虫装置
CN214546716U (zh) 自动高空测报灯
CN205180145U (zh) 一种可用于自动监测的昆虫诱捕装置
KR20090000352U (ko) 해충 방제기능을 갖는 가로등
KR20230020093A (ko) 지주부착형 해충유인 포획장치
CN113229242A (zh) 一种农业害虫诱捕装置及诱捕方法
KR200464342Y1 (ko) 전기충격살충기가 설치된 맨홀뚜껑
CN206686984U (zh) 一种多功能昆虫诱捕器进入口装置
CN206686983U (zh) 一种多功能分类收集昆虫诱捕器
CN206686972U (zh) 一种防昆虫返回机构
JP2005237310A (ja) 誘蛾灯装置
CN206879897U (zh) 一种具有边侧收集装置的多功能昆虫诱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