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164A -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가맹점 장치 - Google Patents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가맹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164A
KR20160085164A KR1020150002218A KR20150002218A KR20160085164A KR 20160085164 A KR20160085164 A KR 20160085164A KR 1020150002218 A KR1020150002218 A KR 1020150002218A KR 20150002218 A KR20150002218 A KR 20150002218A KR 20160085164 A KR20160085164 A KR 20160085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order
information
wireless communication
sh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2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진
김대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씽크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씽크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씽크풀
Priority to KR1020150002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5164A/ko
Publication of KR20160085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1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06Q20/3267In-app 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06Q50/2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 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은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러 온 상기 가맹점의 배달원이 소지한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가맹점 장치가 상기 주문의 대상인 상기 가맹점에 상응하는 가맹점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가맹점 장치가 정당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주문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결제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가맹점 장치{Method of paying, a application system, and member apparatus for delivery service}
본 발명은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가맹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문하는 상품의 배달을 수행하는 가맹점 측(또는 배달원)이 소정의 가맹점 장치를 소지하도록 하고 상기 가맹점 장치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시스템,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품의 배달과 관련한 상거래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상품 배달 서비스는 특정 배달 상품(예컨대, 음식 등)을 제공하는 상점(음식점 등)에 직접 고객이 주문을 하면, 상기 가맹점에서 배달을 수행하고 상품의 대가를 획득하는 방식이 있다.
최근에는 고객이 직접 상점에 주문을 하지 않고 배달(중개) 서비스측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상기 배달(중개) 서비스측에 주문을 수행하면, 상기 주문의 대상이 되는 가맹점으로 주문을 전달하는 서비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배달중개 서비스측에 의한 주문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가 수행되기도 하지만, 많은 경우 여전히 전통적인 배달 서비스에서의 결제와 같이 배달원이 배달을 하러 온 경우에 상품을 전달받으면서 결제가 수행된다.
도1을 통해 종래의 배달중개 서비스에서의 결제 방식을 설명한다.
고객은 단말기(10)를 이용해 배달중개 서비스측(이하, 서비스측, 20)으로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S10). 이러한 주문은 전화주문 또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소정의 UI의 연속적인 선택 등에 의한 데이터 통신을 통해 수행될 수도 있다.
그러면 서비스측(20)은 고객이 선택한 가맹점(30)에 주문을 전달하고(S20), 가맹점을 위해 일하는 배달원(가맹점에 소속되어 있거나, 또는 배달을 대행하는 곳의 배달원일 수도 있다.)은 주문한 상품을 고객에게 배달하게 된다(S30). 고객은 배달원에게 상품을 전달받고 결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현금으로 결제를 하거나 배달원이 소지한 결제장치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게 된다(S40). 후자의 경우 고객은 결제수단(예컨대, 결제용 카드)을 배달원에게 전달하면, 배달원은 결제장치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고객은 결제수단을 배달원에게 전달하고, 배달원이 소지한 결제장치에 의해 결제수단이 리딩되므로 결제수단 정보가 타인에게 넘어간다는 리스크가 존재한다.
또한 서비스측에서는 배달원을 통해 결제가 수행되는 경우, 결제에는 자신들이 참여하지 못하게 되므로 결제를 통한 수익을 획득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배달을 수행하는 배달원 또는 가맹점측(배달대행업체 포함)에서는 상대적으로 고가의 결제장치를 다수개 구비하여 각각의 배달원에게 배포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공개특허(공개번호 10-2014-0047783호,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한국공개특허(공개번호 10-2013-0038102호,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음식 배달 업체에 대한 검색, 주문, 결제 및 위치 추적방법")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맹점측에 할당되는 소정의 가맹점 장치를 이용하여 배달원이 배달을 수행할 때에도 간편하게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하면,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은,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러 온 상기 가맹점의 배달원이 소지한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가맹점 장치가 상기 주문의 대상인 상기 가맹점에 상응하는 가맹점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가맹점 장치가 정당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주문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결제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비활성화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활성화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결제수행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UI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주문을 전화를 통해 수행한 경우 상기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은 상기 배달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측의 서비스 서버로부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수행 단계는 수신한 상기 주문정보에 기초하여 결제금액이 특정되고, 특정된 결제금액에 상응하는 상기 결제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장치는 상기 가맹점에 할당되어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장치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가맹점 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수신된 상기 가맹점 장치의 식별정보가 상기 주문의 대상인 상기 가맹점에 상응하는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 또는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주문을 전화를 통해 수행한 경우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가맹점 장치로부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수행 단계는 수신한 상기 주문정보에 기초하여 결제금액이 특정되고, 특정된 결제금액에 상응하는 상기 결제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결제수행 단계는 판단 결과 상기 가맹점 장치가 정당한 경우, 상기 고객 단말기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결제수단 정보를 결제측 시스템에 전송하거나, 소정의 결제계좌로 이체를 수행하거나 상기 고객 단말기를 이용한 핸드폰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수행 단계는 판단 결과 상기 가맹점 장치가 정당한 경우,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고객의 결제수단과의 제2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결제측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수행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 상기 결제수단이 미리 등록된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미리 등록된 상기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 결제수단인 경우에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주문이 수행된 제1위치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는 제2위치가 상응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 정당성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가 상응하여야 상기 결제 수행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은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러 온 상기 가맹점의 배달원이 소지한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주문이 수행된 제1위치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는 제2위치가 상응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 정당성 판단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위치 정당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주문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결제수행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 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서비스측과 전화 호를 연결하고, 연결된 전화 통화를 통해 상기 주문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러 온 상기 가맹점의 배달원이 소지한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전화 주문을 접수한 서비스측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주문정보에 포함된 결제금액에 상응하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결제수행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 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은 주문을 수행한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러 온 상기 가맹점의 배달원이 소지한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비활성화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 활성화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주문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결제수행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 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주문을 수행하기 위한 주문처리 모듈,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러 온 상기 가맹점의 배달원이 소지한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가맹점 장치가 상기 주문의 대상인 상기 가맹점에 상응하는 가맹점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모듈, 및 판단 결과 상기 가맹점 장치가 정당한 경우, 상기 주문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비활성화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모듈을 더 포함하며, 활성화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결제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모듈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UI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주문을 전화를 통해 수행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배달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측의 서비스 서버로부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상기 주문정보에 기초하여 결제금액이 특정되고, 특정된 결제금액에 상응하는 상기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모듈은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장치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가맹점 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가맹점 장치의 식별정보가 상기 주문의 대상인 상기 가맹점에 상응하는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 또는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주문을 전화를 통해 수행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가맹점 장치로부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주문정보에 기초하여 결제금액이 특정되고, 특정된 결제금액에 상응하는 상기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판단 결과 상기 가맹점 장치가 정당한 경우,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고객의 결제수단과의 제2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한 상기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 상기 결제수단이 미리 등록된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미리 등록된 상기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 결제수단인 경우에 상기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주문이 수행된 제1위치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는 제2위치가 상응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 정당성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위치 정당성 판단 모듈에 의해 판단되는 위치 정당성이 있어야, 상기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 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서비스측과 전화 호를 연결하고, 연결된 전화 통화를 통해 상기 주문이 수행되도록 하는 주문처리 모듈 및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러 온 상기 가맹점의 배달원이 소지한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전화 주문을 접수한 서비스측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주문정보에 포함된 결제금액에 상응하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 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주문을 수행하기 위한 주문처리 모듈,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러 온 상기 가맹점의 배달원이 소지한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비활성화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모듈, 및 활성화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주문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가맹점 장치는 상기 가맹점 장치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모듈 및 상기 고객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가맹점 장치는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원이 소지하여 상기 주문을 수행한 고객의 고객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어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의해 상기 주문의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저장모듈은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결제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주문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장치는 상기 고객 단말기에 의해 결제가 수행되면, 결제완료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장치는 상기 결제완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장치는 상기 결제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상기 고객의 단말기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배달이 수행될 때 고객이 간편하게 결제를 수행하면서도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신이 주문을 수행한 가맹점에 상응하는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되어야만 결제를 수행할 수 있거나, 주문을 수행한 위치에서 배달이 수행되어야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맹점 장치가 고객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여부와 무관하게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고 결제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어서, 즉, 주문의 결제 프로세스를 시작시키기 위한 장치로 이용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일일이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애플리케이션에서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조작과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어서 간편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비스 측에서는 배달 수행시에 결제가 수행됨에도 자신들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결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수익의 창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맹점 측에서도 고가의 결제장치 등을 다수 개 소지할 필요없이 상대적으로 저렴할 수 있는 가맹점 장치를 이용해 결제를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은 종래의 배달중개 서비스에서의 결제방식을 나타낸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결제방법을 나타낸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결제방법을 위한 데이터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고객 단말기에 나타나는 화면의 일예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가맹점 장치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결제방법을 나타낸다.
도2를 참조하면, 고객이 이용하는 고객 단말기(10)에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고객 단말기(10)의 하드웨어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배달중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측(2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상기 서비스측(20)에는 배달중개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서버(200)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통신을 수행하면서 배달중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배달중개 서비스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을 통해 주문이 수행되면(S50), 주문의 대상이 되는 가맹점측(300)으로 주문을 전달하고(S60), 주문을 전달받은 가맹점측(300)은 주문된 상품(예컨대, 음식 또는 기타물품 등)을 고객에게 배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S70).
고객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을 통해 전화주문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전화주문을 위해 상기 서비스측(200)에는 콜센터 또는 전화주문을 자동으로 응대하기 위한 ARS 시스템 등이 더 구현될 수도 있다. 특히 고객이 전화주문을 하는 경우에는 종래의 방식에 의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이 주문정보(예컨대, 주문내역, 결제금액, 가맹점 정보 등)를 알 수 없었는데, 본 발명에 의하면 전화주문의 경우에도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에서 주문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주문정보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에 의해 특정이 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을 통한 결제가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객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이 제공하는 다양한 UI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통한 주문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주문에 상응하는 주문정보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가맹점측(300)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가맹점 장치(400)가 할당될 수 있다. 배달원은 상기 가맹점 장치(400)를 소지하여 배달을 수행할 수 있다.
배달원은 상기 가맹점 장치(400)와 배달할 상품을 소지하고 고객을 방문할 수 있다. 그러면 배달원은 상품을 고객에게 전달하고, 상기 가맹점 장치(400)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이 설치된 고객 단말기(10)에 근거리 무선통신시킬 수 있다.
상기 가맹점 장치(400)와 상기 고객 단말기(10)가 근거리 무선통신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은 자동으로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서비스(예컨대, 모바일 OS에서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단위 컴포넌트), 액티비티, 또는 UI 등을 활성화할 수 있다. 고객은 활성화된 서비스, 액티비티, 또는 UI를 이용하여 간단한 절차만을 수행함으로써 결제를 완료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가맹점 장치(400)와 상기 고객 단말기(10)가 근거리 무선통신되면, 상기 주문의 결제 프로세스가 자동으로 완료되어 결제가 완료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미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에 결제방식 및/또는 결제수단에 대한 정보가 등록되어 있을 수도 있다.
고객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카드결제, 핸드폰 소액결제, 계좌이체 등의 방식을 수행할 수 있다. 일예에 의하면, 고객은 주문을 수행한 후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기 전에 미리 일련의 결제절차를 미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절차는 예컨대, 결제방식의 선택, 결제수단의 선택, 기타 결제에 필요한 정보의 입력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최종적으로 미리 수행한 결제절차에 상응하는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결제절차는 한 번만 수행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에 미리 상기 결제절차에 상응하는 정보들이 등록되어 있을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고객 단말기(10)와 상기 가맹점 장치(400)가 근거리 무선통신되면, 이미 등록된 결제절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가 수행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후, 사용자는 소정의 결제절차의 입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결제를 위해 필요한 정보의 입력(결제절차) 프로세스 및 고객 단말기(10)와 가맹점 장치(400)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어야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결제절차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결제절차 프로세스 및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수행이외에도 소정의 인증절차(예컨대, 카드 비밀번호의 입력,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비밀번호의 입력, 지문 등 생체 정보 입력, 기타 인증 절차 등)가 더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예컨대, 결제절차는 미리 수행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바로 결제가 완료될 수도 있지만, 고객에게 소정의 인증절차를 더 입력하도록 하거나 특정 버튼을 선택하여 결제의사를 더 확인하는 절차가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즉, 결제절차 프로세스, 근거리 무선통신, 및/또는 추가적으로 수행되는 인증절차를 결제 프로세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결제의 일예는 소정의 결제수단(예컨대, 신용카드, 직불카드 등) 정보가 결제측 시스템(예컨대, PG(Payment Gateway))으로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미리 정해진 계좌(예컨대, 상기 서비스 측(20)에 지정된 계좌)로 계좌이체가 수행되는 것이 상기 결제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고객 단말기(10)가 핸드폰인 경우, 이동통신사가 제공하는 핸드폰 결제가 상기 결제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결제절차 프로세스가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후에 일어난 경우에는 배달원이 상대적으로 오랫동안 결제를 위해 기다려야 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고객 단말기(10)와 상기 가맹점 장치(400)의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후, 고객은 자신이 결제할 결제수단(500)을 상기 고객 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통신시키는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가 일일이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하지 않고, 간편하게 결제수단 정보의 입력 즉, 결제절차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고 필요에 따라 확인 버튼의 입력 또는 비밀번호 등의 입력과 같은 간단한 인증절차만 더 수행하면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될 수도 있다. 물론, 미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에 결제절차가 수행된 경우(즉, 사용자가 주문 후에 결제방식의 선택, 결제수단 정보의 입력 등을 입력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에 미리 등록된 결제정보(결제방식 및/또는 결제수단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제2근거리 무선통신은 수행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한편, 결제 프로세스가 수행되기 위해서는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주문정보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에 의해 특정될 필요가 있다. 고객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을 이용해 데이터 통신을 통한 주문을 수행한 경우에는 상기 주문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에 의해 특정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고객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을 통해 전화 주문을 수행한 경우에는 주문을 수행한 주문정보(예컨대, 결제금액, 주문 내역 등)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에서 확인되지 않을 수 있다. 주문정보 확인을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은 전화 주문을 수행한 후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전화주문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서비스측(20)에서는 상기 주문정보를 소정의 방식으로 기록하여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주문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은 상기 가맹점 장치(400)로부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될 때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가맹점 장치(400)는 서비스측(20)으로부터 주문전달을 받은 후(S60), 상기 가맹점 장치(400)에 상기 주문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또는 상기 가맹점 장치(400)로부터 주문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므로, 고객이 설령 전화주문을 하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간단하게 자신의 고객 단말기(10) 즉,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보안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가맹점 장치(400)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위치 정당성을 판단하는 위치 정당성 판단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물론,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절차 및 위치 정당성 판단절차 모두가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절차 및/또는 위치 정당성 판단절차가 성공되어야,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은 결제 프로세스를 완료할 수 있다. 즉, 결제가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절차는 고객이 수행한 주문의 대상이 되는 가맹점에 상응하는 가맹점 장치(400)와 상기 고객 단말기(10)가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어야 정당하다고 판단되는 절차일 수 있다.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절차가 수행되면, 혹시 고객 단말기(10)가 분실, 도난, 또는 해킹 당해 임의의 가맹점 장치와의 근거리무선통신을 통해 잘못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현저히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치 정당성 판단절차는 통상적으로 배달 주문을 수행하는 고객이 주문을 수행하는 위치와 배달을 받는 위치가 동일한 것이 일반적이므로, 고객 단말기(10)의 분실, 도난, 해킹 등과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주문의 수행위치와 배달받는 위치(즉,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는 위치)가 다른 경우에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안 스킴일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정당성 판단절차는 주문이 수행된 위치와 배달받는 위치가 동일(또는 일정 오차 범위 내)한 경우에 정당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가맹점 장치(400)와 고객 단말기(10)의 근거리 무선통신은 배달이 수행되었음을 나타냄과 함께 고객에게 간편하게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 또는 완료시킬 수 있는 절차로서의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맹점 장치(400)를 이용하여 고객 단말기(10)로 결제가 수행되므로 고객은 결제수단 정보를 배달원측(또는 가맹점측)에 넘기지 않을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가맹점측은 배달원마다 비교적 고가인 결제장치를 소지시키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서비스측은, 종래에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 내에서 미리 결제를 수행한 경우 이외에 배달이 완료된 후 배달원을 통해 결제가 수행될 때에는 결제에 참여하지 못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이러한 경우에도 자신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수익창출이 가능한 효과가 있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은 제어모듈(110) 및 주문처리 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은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모듈(130), 활성화 모듈(140), 및/또는 위치 정당성 판단모듈(150)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모듈들은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코드가 고객 단말기(10)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행되는 구성으로 정의되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전술한 바와 같은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주문처리 모듈(120)은 상기 서비스측(20)으로 주문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주문처리 모듈(120)은 가맹점의 선택,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의 선택, 수량의 선택 등을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UI를 상기 고객 단말기(10)로 제공하여 데이터 통신을 통한 주문을 서비스 서버(20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문처리 모듈(120)은 고객이 선택한 가맹점에서 판매하는 상품을 전화를 통해 주문할 수 있도록 상기 고객 단말기(10)를 상기 서비스 측(20)의 콜센터 또는 ARS 시스템에 전화 호를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모듈(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맹점 장치의 정당성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고객 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가맹점 장치(400)가 상기 주문의 대상이 되는 가맹점에 상응하는 장치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모듈(130)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가맹점 장치(400)의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객 단말기(10)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가맹점별로 상응하는 가맹점 장치(400)의 식별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가맹점 장치(400)의 식별정보를 가맹점별로 대응시키는 실시 예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모듈(130)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가맹점 장치(400)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식별정보가 주문의 대상인 가맹점에 상응하는지 여부를 미리 상기 고객 단말기(10)에 저장된 정보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활성화 모듈(140)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고객 단말기(10)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주문을 수행하고 고객 단말기(10)를 다른 용도로 이용하는 중에 배달원이 배달오면, 사용자는 다시 수동으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가맹점 장치(400)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결제 프로세스를 위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면 상기 활성화 모듈(140)은 상기 고객 단말기(10)와 상기 가맹점 장치(400)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다고 함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비실행중인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이긴 하지만(즉, 종료되지 않은 상태이지만) 타 애플리케이션이 고객에 의해 사용중이어서 중지된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최우선으로 실행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서비스(또는 UI)가 상기 고객 단말기(10)의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활성화 모듈(14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비활성화(종료 또는 중지)된 상태에서도 백그라운드로 실행되고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활성화 모듈(140)은 상기 고객 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 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가맹점 장치(40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활성화 모듈(140)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가맹점 장치(400)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맹점 장치(40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 장치(400)의 식별정보는 가맹점 장치(400)인지를 알 수 있도록 미리 정해진 고유한 패턴 또는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고객 단말기(10)나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가맹점 장치(400)의 식별정보들이 미리 저장되고,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 장치가 가맹점 장치(40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이든 정당한 가맹점 장치(400)이어야만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활성화 모듈(140)은 가맹점 장치(4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되면 단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도 있지만, 상기 애플리케이션 중에서도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또는 UI)를 선택적으로 활성화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활성화 모듈(140)은 상기 가맹점 장치(4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프로세스 서비스(또는 UI)를 상기 고객 단말기(10)에서 최상위 레이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결제금액 및 주문내역이 포함된 화면이 상기 고객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면 고객은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결제 프로세스가 디스플레이된 후 소정의 결제절차 프로세스 즉, 결제정보의 입력 프로세스가 더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결제절차 프로세스는 경우에 따라서는 고객의 결제수단(500)과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프로세스일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결국, 상기 활성화 모듈(140)은 상기 결제 프로세스를 고객이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도록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결제 프로세스 서비스(또는 UI)를 최우선 레이어에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당성 판단모듈(15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주문이 수행된 제1위치 및 배달이 수행되는 위치 즉,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는 제2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이 소정의 시점 또는 소정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고객 단말기(10)의 위치를 판단하는 다양한 공지의 기술이 이미 공지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위치를 판단하는 자세한 방식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위치 정당성 판단모듈(150)에 의해 위치가 정당성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만 상기 결제 프로세스가 수행되거나 상기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모듈(130) 및/또는 위치 정당성 판단모듈(150)에 의해 가맹점 장치의 정당성이 판단되거나, 위치 정당성이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결제 프로세스를 완료할 수 있다.
상기 결제 프로세스는 결제정보(결제방식의 선택, 결제수단(카드, 결제금액이 인출될 계좌 또는 상기 계좌를 특정하기 위한 정보, 핸드폰 결제에 필요한 정보 등)의 입력 )를 입력하는 결제절차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정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기 전에 미리 상기 고객 단말기(10)에 등록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후 적어도 일부의 결제정보가 입력될 수도 있다. 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된 후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결제정보가 입력될 수도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활성화 모듈(140)에 의해 상기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소정의 결제 프로세스 서비스가 활성화될 수도 있고, 상기 결제 프로세스 서비스를 통해 상기 제어모듈(110)은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결제방법을 위한 데이터 플로우를 나타낸다.
도4를 참조하면, 상기 고객 단말기(10)는 배달원이 소지한 가맹점 장치(4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00).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은 상기 가맹점 장치(400)의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주문정보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주문정보가 상기 가맹점 장치(400)의 소정의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는 상기 주문정보는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으로 전송될 수도 있다(S130).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으로 상기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되기 전이면 어떠한 시점에서라도 상기 주문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주문이 데이터 통신으로 수행된 경우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으로 주문정보가 전송될 필요가 없을 수도 있다. 전화주문이 수행될 경우에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주문정보가 기록되면 기록된 주문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주문정보의 기록은 상기 서비스측(20) 직원에 의해 또는 ARS 시스템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의 활성화 모듈(140)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할 수 있다(S120). 구현 예에 따라서는 단순히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것이 아니라,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서비스(또는 UI)를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고객 단말기(10)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활성화 모듈(140)은 주문정보가 포함된 소정의 서비스, 화면, 또는 UI를 최우선 레이어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때에는 상기 주문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 자체에 의해 특정되거나, 상기 가맹점 장치(400)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수신되어 특정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활성화 모듈(140)은 고객 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통신한 장치가 가맹점 장치(400)인지 여부를 확인하고(S110), 정당한 가맹점 장치(400)로 판단되어야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결제 프로세스 서비스를 활성화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에 포함된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모듈(130) 및/또는 위치 정당성 판단모듈(150)은 가맹점 장치 정당성 및/또는 위치 정당성을 판단할 수 있다(S140, S140-1). 그리고 가맹점 장치 정당성 및/또는 위치 정당성이 인증되어야 결제 프로세스 중 남은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S150).
남은 프로세스는 결제정보의 입력일 수도 있고, 결제정보의 입력 중 일부의 입력일 수도 있고, 단순히 확인버튼 또는 소정의 인증절차를 걸치는 것일 수도 있고, 결제수단과 상기 고객 단말기(10)를 제2근거리 무선통신시키는 것일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그러면 상기 제어모듈(110)은 결제 프로세스를 완료할 수 있다. 즉, 선택된 결제방식에 상응하도록 결제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주문정보에 상응하는 결제금액 및 결제수단 정보가 결제측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소정의 결제계좌로 이체가 수행되거나, 핸드폰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결제가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200)는 결제결과를 결제측 시스템(미도시)으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결제결과를 상기 가맹점 측(300)에 구비된 소정의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결제결과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배달원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에 디스플레이되는 결제결과를 확인함으로써 결제의 완료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가맹점 장치(400)가 통신기능이 있는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가맹점 장치(400)로 상기 결제결과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가맹점측의 상기 단말기(미도시)와 연동하여 상기 가맹점 장치(400)가 결제결과를 전송받을 수도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해 고객 단말기에 나타나는 화면의 일예이다.
도5는 상기 고객 단말기(10)와 상기 가맹점 장치(400)가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고객 단말기(1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은 주문정보를 특정하고, 주문정보(주문내역, 결제금액)를 포함하는 결제 프로세스 서비스(UI 또는 화면)를 활성화할 수 있다.
고객은 상기 결제 프로세스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소정의 버튼(예컨대, a, b, c, d)등을 선택함으로써 결제 프로세스를 완료할 수 있다. 예컨대, 버튼(a)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에 미리 등록된 결제수단으로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UI일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a)를 선택함으로써 결제 프로세스를 완료할 수 있다. 예컨대, 버튼(b)는 계좌이체를 위한 UI일 수 있다. 상기 버튼(b)가 선택되면, 주문정보에 상응하는 결제금액이 소정의 결제계좌로 이체될 수 있다. 상기 버튼(c)가 선택되면 핸드폰 결제가 수행될 수도 있다. 핸드폰 결제에 필요한 정보는 미리 등록되어 있거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버튼(c)를 선택한 후 결제정보가 입력될 수도 있다. 예컨대, 버튼(d)는 결제수단을 근거리 무선통신시키기 위한 UI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버튼(d)를 누르거나 또는 상기 버튼(d)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결제수단을 상기 고객 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통신시킴으로써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 또는 서비스 서버(200) 또는 결제측 시스템(미도시)에 미리 소정의 결제수단 정보가 등록되어 있고, 등록된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 결제수단 또는 결제인증수단이 상기 고객 단말기(10)와 제2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어야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등록된 결제수단 정보를 결제측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완료할 수도 있다. 즉, 이때에는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이 소정의 인증절차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소정의 인증절차(예컨대, 애플리케이션 비밀번호, 결제수단의 비밀번호, 결제금액이 인출될 계좌 또는 서비스의 비밀번호 등)가 상기 결제 프로세스에 포함되어 더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등록된 결제수단 정보(이하, '등록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경우,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결제인증수단은, 등록된 결제수단 정보와는 별개의 수단으로써, 미리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 또는 결제측 시스템(미도시)에 상기 결제수단 정보와 대응되도록 등록된 수단일 수 있다. 즉, 등록된 결제수단 정보로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인증장치로서 결제인증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110)은 등록 결제수단 정보를 고객으로부터 직접 입력받거나, 상기 결제수단(예컨대, 근거리 무선통신 가능한 신용카드 등인 경우)을 상기 고객 단말기(10)에 근거리 무선통신시킴으로써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 또는 상기 고객 단말기(10)의 소정의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모듈(110)은 상기 등록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 결제인증수단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등록 결제수단 정보 및 이에 상응하는 결제인증수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등록 결제수단 정보는 신용카드 1의 결제금융정보(예컨대, 신용카드의 카드번호 등)일 수 있고,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결제인증수단은 신용카드 1과는 다른 신용카드, 교통카드 또는 신분증 등과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등록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 결제수단의 소유주와 결제인증수단의 소유주는 다를 수도 있다.
예컨대, 회사에서 직원들이 야식을 시키는 경우 등록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 결제수단(예컨대, 법인카드)과 결제인증수단(예컨대, 직원의 카드)은 상이할 수 있다. 통상 법인카드는 근거리무선통신이 탑재되지 않기 때문에, 결제수단 정보로써 미리 등록해두고 배달 후 결제 인증시에는 상기 법인카드에 상응하는 결제인증수단으로 미리 등록되어 있는 직원의 카드로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결제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면 결제는 법인카드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결제인증이 어떤 카드에 이루어졌는지 파악하기도 용이하여 정당 결제의 용이함과 함께 부당 결제의 폐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는 부모가 외부에 있고 자녀가 배달 주문을 하는 경우, 부모의 카드를 결제수단으로 등록해두고 자녀는 교통카드 등 부모의 결제카드와 연동되는 결제인증수단을 통해 배달 주문시에 결제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등록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가 수행되고, 등록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 결제수단과 별개의 결제인증수단이 결제 시에 인증 수단으로 이용될 경우, 등록 결제수단 정보(예컨대, 신용카드 정보, 결제할 계좌 정보, 핸드폰 결제에 필요한 정보 등)에 상응하는 명의자(예컨대, 신용카드 명의자, 결제할 계좌의 명의자, 핸드폰 명의자 등)의 단말기(예컨대, 모바일 폰)로 결제를 승인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승인절차가 더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 또는 서비스 서버(200)는 고객 단말기(10)와 결제인증수단이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결제인증수단의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을 통해 상기 결제인증수단의 식별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 는 결제인증수단에 대응되는 등록 결제수단 정보를 특정하고, 특정된 등록 결제수단 정보의 명의자의 단말기로 승인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승인요청 메시지는 SMS, MMS,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의 푸시 메시지 등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할 수 있다. 등록 결제수단 정보의 명의자의 단말기에 대한 정보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 미리 등록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명의자의 단말기로부터 승인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 또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결제측 시스템과 연동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본 발명이 구현될 수도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가맹점 장치의 구현 예를 나타낸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가맹점 장치(400)는 저장모듈(410) 및 근거리 통신모듈(420)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가맹점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IC카드로 구현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 상기 가맹점 장치(400)는 배달원이 소지할 소정의 이동통신단말기(예컨대, 스마트 폰 등)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가맹점 장치(400)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해 독자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상기 가맹점 장치(400)에는 통신모듈(4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430)은 상기 서비스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통신모듈(430)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가맹점 장치(400)는 디스플레이 모듈(44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통신모듈(430)이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가맹점 장치(400)는 고객에 의해 결제 프로세스가 완료되어 결제가 완료되면, 서비스 서버(200) 및/또는 결제측 시스템 등으로부터 결제결과를 직접 수신할 수도 있다. 그러면 배달원은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선, 상기 통신모듈(430)을 통해 수신된 결제결과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440)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440)이 구비되지 않고 통신모듈(430)만 구비된 경우에는 촉각(예컨대, 진동) 또는 청각(예컨대, 특정 소리 등)에 의해 결제가 성공되었음을 나타내는 결제결과의 수신이 배달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가맹점 장치(400)는 입력 모듈(450)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모듈(450)이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가맹점 장치(400)는 결제금액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430)을 통해 상기 고객 단말기(1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결제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저장모듈(410)에는 상기 가맹점 장치(400)의 식별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구현 예에 따라서는 상기 저장모듈(410)에 주문정보가 기록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저장모듈(410)은 복수의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각각 가맹점 장치(400)의 식별정보 및 주문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주문정보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상기 통신모듈(430)을 통해 직접 수신되어 상기 저장모듈(410)에 저장될 수도 있고, 상기 서비스 서버(200)에서 가맹점측 단말기로 주문정보가 전송되면, 상기 가맹점측 단말기에서 상기 저장모듈(410)로 상기 주문정보가 라이팅(writinig) 또는 전송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가맹점 측에는 상기 가맹점 장치(400)에 소정의 정보(예컨대, 주문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기록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 장치(400)가 배달원이 소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예컨대, 스마트 폰 등의 핸드폰)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가맹점 장치(400)의 식별정보는 전화번호일 수도 있다. 그리고 구현 예에 따라서는 복수의 가맹점에 상기 식별정보가 상응할 수도 있다. 예컨대, 특정 배달원이 복수의 가맹점의 배달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는 복수의 가맹점에 상응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배달중개 서비스를 수행하는 경우를 일예로 설명하였지만, 전통적인 배달 서비스 즉, 특정 판매주체(예컨대, 오픈마켓, 쇼핑몰 등)에 고객이 직접 주문을 하고 상기 판매점에서 배달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판매주체의 배달원이 가맹점 장치(또는 판매점 장치)를 소지하고 고객에게 배달을 수행하고, 고객 단말기(10)와 가맹점 장치(400)가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100)을 통해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이때에는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상기 판매주체의 서버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복수의 물리적 장치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현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서비스 서버(200)는 반드시 어느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필요는 없음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는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결제 방법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으며 상기 결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즉, 상기 애플리케이션 자체에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 명세서의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균등의 범위내에 가능한 변형된 실시를 포함함은 물론이다.

Claims (34)

  1.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 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러 온 상기 가맹점의 배달원이 소지한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가맹점 장치가 상기 주문의 대상인 상기 가맹점에 상응하는 가맹점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가맹점 장치가 정당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주문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결제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비활성화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활성화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결제수행 단계를 수행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UI를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주문을 전화를 통해 수행한 경우,
    상기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은,
    상기 배달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측의 서비스 서버로부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제수행 단계는,
    수신한 상기 주문정보에 기초하여 결제금액이 특정되고, 특정된 결제금액에 상응하는 상기 결제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장치는,
    상기 가맹점에 할당되어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통신장치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장치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가맹점 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수신된 상기 가맹점 장치의 식별정보가 상기 주문의 대상인 상기 가맹점에 상응하는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 또는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주문을 전화를 통해 수행한 경우,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가맹점 장치로부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수행 단계는,
    수신한 상기 주문정보에 기초하여 결제금액이 특정되고, 특정된 결제금액에 상응하는 상기 결제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수행 단계는,
    판단 결과 상기 가맹점 장치가 정당한 경우, 상기 고객 단말기에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결제수단 정보를 결제측 시스템에 전송하거나,
    소정의 결제계좌로 이체를 수행하거나,
    상기 고객 단말기를 이용한 핸드폰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수행 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고객의 결제수단과의 제2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결제측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수행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 상기 결제수단이 미리 등록된 등록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판단결과 미리 등록된 상기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 결제수단인 경우에 상기 등록 결제수단 정보를 상기 결제측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수행 단계는,
    상기 고객 단말기가 소정의 결제인증수단과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결제인증수단의 식별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결제인증수단의 식별정보가 미리 등록된 등록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등록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결제인증수단은,
    상기 등록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 결제수단과는 별개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주문이 수행된 제1위치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는 제2위치가 상응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 정당성 판단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위치와 상기 제2위치가 상응하여야 상기 결제 수행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13.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 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러 온 상기 가맹점의 배달원이 소지한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주문이 수행된 제1위치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는 제2위치가 상응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 정당성 판단 단계; 및
    판단 결과 상기 위치 정당성이 인정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주문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결제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14.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 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서비스측과 전화 호를 연결하고, 연결된 전화 통화를 통해 상기 주문이 수행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러 온 상기 가맹점의 배달원이 소지한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전화 주문을 접수한 서비스측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주문정보에 포함된 결제금액에 상응하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결제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15.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 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에 있어서,
    주문을 수행한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러 온 상기 가맹점의 배달원이 소지한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비활성화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는 단계;
    활성화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주문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결제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16.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 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상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결제수단에 상응하는 등록 결제수단 정보 및 상기 등록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 결제인증수단의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또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대상물품이 가맹점 측에 의해 배달되고, 상기 고객 단말기에 의해 소정의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 상기 장치가 상기 등록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결제인증수단인지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장치가 상기 결제인증수단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등록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17. 데이터 처리장치에 설치되며,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18.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 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문을 수행하기 위한 주문처리 모듈;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러 온 상기 가맹점의 배달원이 소지한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가맹점 장치가 상기 주문의 대상인 상기 가맹점에 상응하는 가맹점 장치인지를 판단하는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모듈; 및
    판단 결과 상기 가맹점 장치가 정당한 경우, 상기 주문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면, 비활성화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모듈을 더 포함하며,
    활성화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결제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모듈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UI를 활성화시키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주문을 전화를 통해 수행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배달 서비스를 수행하는 서비스측의 서비스 서버로부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상기 주문정보에 기초하여 결제금액이 특정되고, 특정된 결제금액에 상응하는 상기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장치 정당성 판단모듈은,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장치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가맹점 장치의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가맹점 장치의 식별정보가 상기 주문의 대상인 상기 가맹점에 상응하는지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저장된 정보 또는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주문을 전화를 통해 수행한 경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가맹점 장치로부터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주문정보에 기초하여 결제금액이 특정되고, 특정된 결제금액에 상응하는 상기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고객의 결제수단과의 제2근거리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결제수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한 상기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 상기 결제수단이 미리 등록된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 미리 등록된 상기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 결제수단인 경우에 상기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26.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고객 단말기가 소정의 결제인증수단과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상기 제2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상기 결제인증수단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상기 결제인증수단의 식별정보가 미리 등록된 등록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등록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며,
    상기 결제인증수단은,
    상기 등록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 결제수단과는 별개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27.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은,
    상기 주문이 수행된 제1위치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는 제2위치가 상응하는지를 판단하는 위치 정당성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위치 정당성 판단 모듈에 의해 판단되는 위치 정당성이 있어야, 상기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28.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 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측과 전화 호를 연결하고, 연결된 전화 통화를 통해 상기 주문이 수행되도록 하는 주문처리 모듈; 및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러 온 상기 가맹점의 배달원이 소지한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결제금액을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획득하거나, 상기 전화 주문을 접수한 서비스측 서비스 서버로부터 상기 주문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주문정보에 포함된 결제금액에 상응하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29.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 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문을 수행하기 위한 주문처리 모듈;
    상기 고객 단말기가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러 온 상기 가맹점의 배달원이 소지한 가맹점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면, 비활성화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성화하기 위한 활성화 모듈; 및
    활성화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주문의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30.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 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문을 수행하기 위한 주문처리 모듈;
    결제수단에 상응하는 등록 결제수단 정보 및 상기 등록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 결제인증수단의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또는 서비스 서버에 등록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대상물품이 가맹점 측에 의해 배달되어 상기 고객 단말기에 의해 소정의 장치와 근거리 무선통신 수행되면,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한 상기 장치가 상기 등록 결제수단 정보에 상응하는 상기 결제인증수단으로 판단되면, 상기 등록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결제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31. 고객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배달 중개를 수행하는 서비스 측으로 주문을 수행하면, 수행된 주문에 상응하는 가맹점이 상기 고객에게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가맹점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장치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모듈; 및
    상기 고객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가맹점 장치는,
    상기 대상물품을 배달하는 배달원이 소지하여 상기 주문을 수행한 고객의 고객 단말기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이 수행되어야 상기 고객 단말기에 의해 상기 주문의 결제가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가맹점 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모듈은,
    상기 주문에 상응하는 결제금액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더 저장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주문정보를 상기 고객 단말기로 전송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가맹점 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장치는,
    상기 고객 단말기에 의해 결제가 수행되면, 결제완료 정보를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가맹점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장치는,
    상기 결제완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배달 서비스를 위한 가맹점 장치.
KR1020150002218A 2015-01-07 2015-01-07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가맹점 장치 KR201600851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218A KR20160085164A (ko) 2015-01-07 2015-01-07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가맹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2218A KR20160085164A (ko) 2015-01-07 2015-01-07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가맹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164A true KR20160085164A (ko) 2016-07-15

Family

ID=56506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2218A KR20160085164A (ko) 2015-01-07 2015-01-07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가맹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516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578A (ko) 2017-10-25 2019-05-07 알티전자 주식회사 링크 타입 폴더블 힌지 구조
KR102040100B1 (ko) * 2019-03-14 2019-11-05 강민 일회용 패스워드(One Time Password; OTP) 기반 모바일 자동 결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119899B1 (ko) * 2019-06-05 2020-06-09 강민 모바일 자동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WO2023042948A1 (ko) * 2021-09-15 2023-03-23 쿠팡 주식회사 배달 중개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8102A (ko) 2011-10-08 2013-04-17 주식회사 이지딜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음식 배달 업체에 대한 검색, 주문, 결제 및 위치 추적 방법
KR20140047783A (ko) 2012-10-14 2014-04-23 와이엠디(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8102A (ko) 2011-10-08 2013-04-17 주식회사 이지딜 휴대용 기기를 이용하여 음식 배달 업체에 대한 검색, 주문, 결제 및 위치 추적 방법
KR20140047783A (ko) 2012-10-14 2014-04-23 와이엠디(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578A (ko) 2017-10-25 2019-05-07 알티전자 주식회사 링크 타입 폴더블 힌지 구조
KR102040100B1 (ko) * 2019-03-14 2019-11-05 강민 일회용 패스워드(One Time Password; OTP) 기반 모바일 자동 결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WO2020184815A1 (ko) * 2019-03-14 2020-09-17 강민 일회용 패스워드 기반 모바일 자동 결제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119899B1 (ko) * 2019-06-05 2020-06-09 강민 모바일 자동 결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WO2023042948A1 (ko) * 2021-09-15 2023-03-23 쿠팡 주식회사 배달 중개 서비스를 위한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1014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purchases at a gas station
US11195168B2 (en) Online transaction system
US10268810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securely authenticating a person depending on context
US20190066089A1 (en) Secure transactions using digital barcodes
TWI599970B (zh) 行動結帳系統及方法
US20170262836A1 (en) Location-based payment system and method
US20170076274A1 (en) Authentication systems and methods
KR20230129566A (ko) 거래 승인
EP2731065A1 (en) Method for processing a payment, and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for implementing the same
EP2823448A1 (e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conducting an electronic transaction via a backend server system
KR102421693B1 (ko) 고객 개시 지불 거래 방법
KR101330670B1 (ko) 결제 방법 및 그를 위한 결제 서버
KR20160085164A (ko) 배달 서비스를 위한 결제방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가맹점 장치
US20210133726A1 (en) Transaction support program and system
US20210019732A1 (en) Online transaction system
KR101635386B1 (ko) 공간위치기반 카드결제 차단방법 및 시스템
KR20160108658A (ko) 가맹점 장치를 이용한 간편한 결제방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서비스 시스템
KR101624289B1 (ko) 결제 내역 목록 제공 방법 및 결제 서버
KR20160108657A (ko) 무선신호를 출력하는 가맹점 장치를 이용한 결제방법,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서비스 시스템
KR20140143972A (ko) 개인 단말을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