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5024A -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5024A
KR20160085024A KR1020150001855A KR20150001855A KR20160085024A KR 20160085024 A KR20160085024 A KR 20160085024A KR 1020150001855 A KR1020150001855 A KR 1020150001855A KR 20150001855 A KR20150001855 A KR 20150001855A KR 20160085024 A KR20160085024 A KR 201600850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unit
advertisement information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영호
임용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디솔루션
Priority to KR1020150001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5024A/ko
Publication of KR20160085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50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정보가 포함된 방송음원을 출력하는 방송수단; 상기 방송수단으로부터 출력되어 수신된 방송음원을 수신하는 모바일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상품정보를 전송하는 상품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광고정보가 포함된 방송음원을 수신하는 방송음원수신부; 상기 방송음원수신부에서 수신한 방송음원 중 광고정보를 추출하는 광고정보추출부; 상기 추출된 광고정보를 상품서버에 전송하는 광고정보전송부; 상기 광고정보에 매핑되는 상품정보를 상품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상품정보수신부; 상기 상품정보수신부에서 수신한 상품정보를 표시창에 표시해주는 상품정보표시부; 상기 상품정보표시부가 표시한 상품정보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구매요청입력부; 및 상기 구매요청입력부에 입력된 구매요청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상품서버에 요청하는 상품구매요청부를 포함하는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MOBILE ONLINE PRODUCT PURCHASING SYSTEM USING BRODCASTING VOICE SOURCE}
본 발명은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히 각종 매체를 통한 간접광고에 의해 상품을 광고하던 소극적인 방법에서 탈피하여 방송 중에 해당 상품이 노출되는 것과 동시에 광고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당해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즉시 확인해 볼 수 있고, 이에 따라 현장에서 구매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욕구를 적극적으로 유발하여 상품에 대한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TV 드라마나 영화산업의 호조로 인하여 방송컨텐츠 내에 특정 상품을 나타내는 간접광고(PPL)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간접광고를 포함한 방송이 순식간에 지나가버리기 때문에, 특정 배우가 입고 있는 옷이나, 마시고 있는 음료 혹은 악세사리와 같은 제품에 대하여 충분히 파악하기 어려워 상품의 마케팅 측면에서 매출에 즉각적인 기여는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기존 간접광고에 의해 상품을 소극적으로 어필하던 방법에서 탈피하여 방송 중에 해당 상품이 노출되는 것과 동시에 상품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방송의 시청 내지 청취 도중에 바로 구매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욕구를 적극적으로 유발하여 상품에 대한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순히 각종 매체를 통한 간접광고에 의해 상품을 광고하던 소극적인 방법에서 탈피하여 방송 중에 해당 상품이 노출되는 것과 동시에 광고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당해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즉시 확인해 볼 수 있고, 이에 따라 현장에서 구매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욕구를 적극적으로 유발하여 상품에 대한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음과 같은 수단에 의해 달성되어진다.
(1) 광고정보가 포함된 방송음원을 출력하는 방송수단; 상기 방송수단으로부터 출력되어 수신된 방송음원을 수신하는 모바일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상품정보를 전송하는 상품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광고정보가 포함된 방송음원을 수신하는 방송음원수신부; 상기 방송음원수신부에서 수신한 방송음원 중 광고정보를 추출하는 광고정보추출부; 상기 추출된 광고정보를 상품서버에 전송하는 광고정보전송부; 상기 광고정보에 매핑되는 상품정보를 상품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상품정보수신부; 상기 상품정보수신부에서 수신한 상품정보를 표시창에 표시해주는 상품정보표시부; 상기 상품정보표시부가 표시한 상품정보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구매요청입력부; 및 상기 구매요청입력부에 입력된 구매요청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상품서버에 요청하는 상품구매요청부를 포함하는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
(2) 상기 (1)에 있어서,
상품서버는 모바일단말기가 전송한 광고정보를 수신하는 광고정보수신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광고정보와 상품DB에 등록된 광고정보를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광고정보인증부;
광고정보에 매핑되어진 상품정보를 상품DB에 등록하고, 동일성이 인정된 상품정보를 상품DB에서 추출하는 상품정보생성관리부; 및
상기 상품DB에서 추출한 상품정보를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는 상품정보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
(3) 광고정보가 포함된 방송음원을 출력하는 방송수단; 상기 방송수단으로부터 출력되어 수신된 방송음원을 수신하는 모바일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상품정보를 전송하는 상품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상품서버로부터 방송에 삽입된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상품정보수신부; 광고정보가 포함된 방송음원을 수신하는 방송음원수신부; 상기 방송음원수신부에서 수신한 방송음원 중 광고정보를 추출하는 광고정보추출부; 상기 광고정보추출부에서 추출한 광고정보와 상품DB에 등록된 광고정보를 비교하여 동일성을 판단하는 광고정보인증부; 상기 광고정보인증부에서 인증된 광고정보에 매핑되어진 상품정보를 상품DB로부터 추출하여 표시창에 표시해주는 상품정보표시부; 상기 상품정보표시부가 표시한 상품정보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구매요청입력부; 및 상기 구매요청입력부에 입력된 구매요청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상품서버에 요청하는 상품구매요청부를 포함하는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
(4) 상기 (3)에 있어서,
상품서버는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상품광고앱의 다운로드 요청을 접수하면 상품광고앱을 전송하는 앱전송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상품정보의 요청이 있을 때, 서버측 상품DB에 등록된 상품정보를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는 상품정보전송부; 및
특정 방송 등에 간접광고로써 포함되는 상품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하거나, 정보가 갱신되었을 경우에는 갱신된 정보를 등록하는 상품정보생성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각종 매체를 통한 간접광고에 의해 상품을 광고하던 소극적인 방법에서 탈피하여 방송 중에 해당 상품이 노출되는 것과 동시에 광고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당해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즉시 확인해 볼 수 있고, 이에 따라 현장에서 구매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욕구를 적극적으로 유발하여 상품에 대한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구매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구매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구매과정의 절차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구매과정의 절차도이다.
도 5는 모바일단말기의 표시창에 표시되는 상품정보의 일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어지는 각 구성은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제외하고, 모바일단말기에서 실행되어지는 앱(app)(이하, 「상품광고앱」이라 함)을 통해 구현되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광고정보가 포함된 방송음원을 출력하는 방송수단(100); 상기 방송수단으로부터 출력되어 수신된 방송음원을 수신하는 모바일단말기(200);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상품정보를 전송하는 상품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단말기(200)는 광고정보가 포함된 방송음원을 수신하는 방송음원수신부(210); 상기 방송음원수신부에서 수신한 방송음원 중 광고정보를 추출하는 광고정보추출부(220); 상기 추출된 광고정보를 상품서버에 전송하는 광고정보전송부(230); 상기 광고정보에 매핑되는 상품정보를 상품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상품정보수신부(240); 상기 상품정보수신부에서 수신한 상품정보를 표시창에 표시해주는 상품정보표시부(250); 상기 상품정보표시부가 표시한 상품정보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구매요청입력부(260); 및 상기 구매요청입력부에 입력된 구매요청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상품서버에 요청하는 상품구매요청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방송수단(100)은 텔레비전, 오디오, 영화음향장치 등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포함되는 어떠한 수단도 포함되어진다. 또한, 방송수단(100)은 밀폐된 공간뿐만 아니라 오픈된 공간에 설치되어진 다양한 장치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방송수단은 가정집과 같은 한정된 공간에 비치된 텔레비전, 오디오 장치 뿐만 아니라, 공공의 오픈된 장소에서 불특정 다수인에게 방송할 목적으로 비치된 각종 방송장치 내지 음향장치가 포함되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음원은 방송수단(100)의 음향출력부(예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텔레비전에서 방영되고 있는 드라마 속 간접광고(PPL)를 포함할 수 있고, 라디오로 방송 중 간접광고의 형태일 수도 있다. 나아가, 길거리에서 특정 매장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외부로 방송되는 음향에 해당 매장이 판매하는 제품에 대한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광고정보」는 방송에 간접광고 등의 형식으로 노출되는 상품을 특정하기 위해 요구되는 정보로써, 예로 상품서버(300)의 상품DB(301)에 저장되는 특정 상품정보에 매핑되어지는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고정보를 포함한 방송음원은 모바일 단말기가 수신가능한 가청주파수에 해당하는 것으로써, 사람이 정상적으로는 듣기 어려운 주파수 대역의 음파를 이용할 것이 요구되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18~20 kHz의 음파를 이용함으로써, 모바일단말기는 수신이 가능하지만, 사람의 귀로는 들리지 않아 방송시청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모바일단말기(200)는 통상적으로 무선인터넷 통신이 가능하고 앱(app)을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어떠한 종류의 모바일 단말기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들 수 있다.
모바일단말기(200)의 방송음원수신부(210)는 통상적으로 일반적인 모바일단말기에 내장된 마이크로폰일 수 있으며, 예시한 18~20 kHz의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방송음원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추가적인 마이크로폰을 탑재할 필요가 없이 기존 모바일단말기에 탑재된 것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광고정보는 상품서버(300)의 상품DB(301)에 특정 상품정보와 매핑되어 등록되어 있는 해당 상품에 부여된 광고정보를 포함하며, 이러한 광고정보는 모바일단말기(200)의 광고정보추출부(220)를 통해 추출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광고정보추출부(220)에서 광고정보를 추출하면, 모바일단말기의 광고정보전송부(230)는 상기 추출된 광고정보를 상품서버(300)에 전송한다.
상품서버(300)의 광고정보수신부(340)는 모바일단말기가 전송한 광고정보를 수신하고, 상품서버(300)의 광고정보인증부(350)는 상품DB(301)에 등록된 광고정보와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
상품서버(300)는 모바일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광고정보와 상품DB(301)에 등록된 광고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상품정보생성관리부(320)가 해당 광고정보에 매핑되어진 상품에 대한 정보(예로, 상품이미지, 가격정보, 제조회사정보 등을 포함하며 이하, 「상품정보」라 한다)를 상품DB(301)에서 추출한다.
상품서버(300)의 상품정보전송부(330)는 상기 상품DB(301)에서 추출한 특정 상품정보를 모바일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상기 상품서버(300)의 상품정보전송부(330)로부터 상품정보가 전송되면, 모바일단말기(200)의 상품정보수신부(240)는 해당 상품정보를 수신하고, 상품정보표시부(250)가 상기 수신한 상품정보(예로, 상품이미지, 가격정보, 제조회사정보 등)이 표시창(201)에 소정의 형식으로 표시한다.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에 표시되는 상품정보는 바람직하게는 구매요청입력부(260)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구매요청입력부를 클릭하는 것에 의해 당해 상품에 대한 구매를 모바일단말기(200)에 요청한다.
이에 대하여 모바일단말기의 상품구매요청부(270)는 상기 구매요청입력부(260)에 입력된 구매요청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상품서버(300)에 요청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상품서버(300)는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요청된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접수하고, 후속적으로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통상적인 전자결제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은 사용자가 관심이 없는 간접광고도 포함되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에 대한 간접광고정보만을 선택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상품선택부(280)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받기를 원하는 상품 예를 들어, 드라마속 배우들이 입고 나오는 드레스에 한정된 간접광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상품에 대한 간접광고는 모바일단말기에서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히 각종 매체를 통한 간접광고에 의해 상품을 광고하던 소극적인 방법에서 탈피하여 방송 중에 해당 상품이 노출되는 것과 동시에 광고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당해 상품에 관한 정보를 즉시 확인해 볼 수 있고, 이에 따라 현장에서 구매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욕구를 적극적으로 유발하여 상품에 대한 매출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동일한 이름을 가진 구성에 대하여는 제1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광고정보가 포함된 방송음원을 출력하는 방송수단(100); 상기 방송수단으로부터 출력되어 수신된 방송음원을 수신하는 모바일단말기(200);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상품정보를 전송하는 상품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모바일단말기(200)는 상품서버(300)로부터 방송에 삽입된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상품정보수신부(240); 광고정보가 포함된 방송음원을 수신하는 방송음원수신부(210); 상기 방송음원수신부에서 수신한 방송음원 중 광고정보를 추출하는 광고정보추출부(220); 상기 광고정보추출부에서 추출한 광고정보와 상품DB(202)에 등록된 광고정보를 비교하여 동일성을 판단하는 광고정보인증부(290); 상기 광고정보인증부(290)에서 인증된 광고정보에 매핑되어진 상품정보를 상품DB(202)로부터 추출하여 표시창에 표시해주는 상품정보표시부(250); 상기 상품정보표시부(250)가 표시한 상품정보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구매요청입력부(260); 및 상기 구매요청입력부(260)에 입력된 구매요청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상품서버(300)에 요청하는 상품구매요청부(27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모바일단말기(200)의 상품정보수신부(240)는 상품서버(300)로부터 간접광고로 제공되어지는 상품정보를 다운로드한다. 이때, 다운로드되는 상품정보는 편성된 방송프로그램 마다 서버측 상품DB(301)에 등록되어 있는 것을 한꺼번에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방영중인 A 드라마를 시청하고자 한다면 상품서버(300)에 접속하여 A 드라마 내에 포함된 상품정보를 모두 다운로드 한다.
상기 다운로드되어지는 정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상품이미지, 가격정보, 제조사정보를 포함한 상품정보와 함께 상품의 광고정보로써 고유식별번호를 포함하고 이들은 상품DB(202)에 등록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바일 단말기(200)의 방송음원수신부(210)는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통상적으로 일반적인 모바일단말기에 내장된 마이크로폰일 수 있으며, 예시한 18~20 kHz의 광고정보를 포함하는 방송음원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광고정보는 서버측 상품DB(301)에 등록되어 있는 당해 상품에 할당된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광고정보는 모바일단말기(200)의 광고정보추출부(220)를 통해 추출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광고정보추출부(220)에서 광고정보를 추출하면, 모바일단말기는 광고정보인증부(290)에서 광고정보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 즉, 광고정보인증부(290)는 광고정보추출부(220)에서 추출한 광고정보와 상품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광고정보를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한다.
모바일단말기(200)는 광고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상품정보표시부(250)는 해당 광고정보(혹은 고유식별번호)에 매핑되어진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상품DB(202)에서 추출하여 상기 상품정보를 표시창(201)에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한다.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의 표시창(201)에는 예를 들어, 상품이미지, 가격정보, 제조사 정보 등의 상품정보가 표시되어진다.
모바일단말기(200)의 구매요청입력부(260)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표시창에 「구매」와 같은 소정의 버튼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클릭하는 것에 의해 당해 상품에 대한 구매요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대하여 모바일단말기의 상품구매요청부(270)는 상기 구매요청입력부(260)에 입력된 구매요청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상품서버(300)에 요청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상품서버(300)는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요청된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접수하고, 후속적으로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통상적인 전자결제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품서버(300)는 모바일단말기(200)로부터 상품광고앱의 다운로드 요청을 접수하면 앱전송부(310)가 상기 상품광고앱을 전송한다.
모바일단말기(200)로부터 상품정보의 요청이 있을 때, 상품정보전송부(330)는 상기 서버측 상품DB(301)에 등록된 상품정보를 모바일단말기(200)에 전송한다.
상품서버(300)의 상품정보생성관리부(320)는 특정 방송 등에 간접광고로써 포함되는 상품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하거나, 정보가 갱신되었을 경우에는 갱신된 정보를 등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온라인 구매시스템을 이용한 구매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 301에서 모바일단말기 사용자는 상품서버(300)에 접속하여 상품광고앱을 다운로드 받는다. 이때 필요에 따라 모바일단말기 사용자는 회원으로 한정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 받기 전에 ID, PW 등을 입력받아 회원DB(302)를 참조하여 회원인 사용자에게만 상품광고앱을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품광고앱은 상품서버(300)의 앱전송부(310)로부터 모바일단말기(200)로 전송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바일단말기(200)에서 실행되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품광고앱의 실행은 중지되어진다.
단계 302에서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 내지 청취하기 위하여 사전에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에 탑재된 상품광고앱을 실행시킨다.
단계 303에서 상품광고앱이 실행이 되면서, 방송을 통해 나오는 특정 상품에 대한 간접광고가 방송수단(100)으로부터 방송되는 때와 동기를 맞춰, 상기 상품에 매핑되어지는 광고정보를 포함한 방송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18~20kHz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방송한다.
단계 304에서 모바일단말기(200)는 단계 303에서 해당 주파수의 음파로 방송되는 방송음원을 방송음원수신부(210)에서 수신한다. 이때, 상기 방송음원에는 광고정보로써 해당 상품에 대한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 305에서는 방송음원수신부(210)에서 수신한 방송음원으로부터 광고정보추출부(220)에서 광고정보를 추출하면, 모바일단말기는 상기 광고정보를 상품서버(300)에 전송하고, 광고정보수신부(340)는 상기 광고정보를 수신한다.
단계 306에서 광고정보인증부(350)는 모바일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광고정보를 상품DB에 저장된 광고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단계 307에서 상품서버(300)가 모바일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광고정보를 상품DB(301)에 등록된 광고정보와 비교하여 동일한 것으로 판단될 경우, 상품정보생성관리부(320)는 해당 광고정보에 매핑된 상품에 대한 상품정보를 상품DB(301)로부터 추출한다. 이때 상품정보생성관리부(320)는 이미 등록된 상품정보에 변경이 없을 경우에는 기존에 등록된 상품정보를 이용하면 충분하고,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할 경우 이를 반영한 새로운 상품정보를 생성한다.
단계 308에서 상품서버(300)의 상품정보전송부(330)는 모바일단말기(200)에 해당 상품에 대한 상기 상품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309에서 모바일단말기(200)의 상품정보수신부(240)는 상품서버(300)로부터 상기 상품정보를 수신하고, 상품정보표시부(250)는 모바일단말기의 표시창(201)에 상기 상품정보를 디스플레이 하여 준다. 이때, 상기 표시창(201)에 표시되는 상품정보에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소정 형식의 구매요청수단이 표시되어질 수 있다. 상기 구매요청수단(260a)은 구매요청입력부(260)를 구성한다.
단계 310에서 사용자는 모바일단말기(200)의 표시창에 표시된 구매요청수단(260a)을 이용하여 구매요청입력부(260)에 구매요청을 입력한다.
단계 311에서는 단계 310을 통해 구매요청수단(260a)을 클릭하는 것에 의해 구매요청이 발생하면, 모바일단말기(200)를 구성하는 상품구매요청부(270)가 상기 구매요청입력부(260)에 입력된 구매요청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상품서버(300)에 요청하게 된다.
단계 312에서는 모바일단말기(200)로부터 구매요청을 받은 상품서버(300)가 후속하는 전자결제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 전자결제프로세스는 기존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결제프로세스를 그대로 따르면 충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을 이용한 상품의 구매과정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 401에서 모바일단말기 사용자는 상품서버(300)로부터 상품광고앱을 다운로드 받는다. 이때 필요에 따라 모바일단말기 사용자는 회원으로 한정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 받기 전에 ID, PW 등을 입력받아 회원DB(302)를 참조하여 회원인 사용자에게만 상품광고앱을 전송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품광고앱은 상품서버(300)의 앱전송부(310)으로부터 모바일단말기(200)로 전송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모바일단말기(200)에서 실행되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품광고앱의 실행은 중지되어진다.
단계 402에서 사용자는 시청 내지 청취하고자 하는 방송프로그램에 포함되어 있는 간접광고정보로써 상품정보를 모바일단말기(200)의 상품정보수신부(240)를 통해 상품서버(300)의 상품정보전송부(330)로부터 다운로드한다. 상기 광고정보에는 상품정보와 함께 해당 상품에 매핑되어지는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어지는 것으로 하며, 이들 정보는 상품DB(202)에 등록되어진다.
상품서버(300)의 상품정보생성관리부(320)는 이미 등록된 상품정보에 변경이 없을 경우에는 기존에 등록된 상품정보를 이용하면 충분하고, 업데이트 정보가 존재할 경우 이를 반영한 새로운 상품정보를 생성하고 등록한다.
단계 403에서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 내지 청취하기 위하여 사전에 상기 모바일단말기(200)에 탑재된 상품광고앱을 실행시킨다.
단계 404에서 상품광고앱이 실행이 되면서, 방송을 통해 나오는 특정 상품에 대한 간접광고가 방송되는 때와 동기를 맞춰, 상기 상품에 매핑되어지는 광고정보를 포함한 방송음원을 스피커를 통해 18~20kHz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방송한다.
단계 405에서 모바일단말기(200)는 단계 404에서 해당 주파수의 음파로 방송되는 광고정보를 방송음원수신부(210)에서 수신한다. 이때, 상기 광고정보에는 해당 상품에 대한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단계 406에서는 방송음원수신부(210)에서 수신한 방송음원으로부터 광고정보추출부(220)에서 광고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407에서 모바일단말기의 광고정보인증부(290)는 상기 광고정보추출부(220)에서 추출한 광고정보를 상품서버(3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상품DB(202)에 등록한 광고정보와 비교한다.
단계 408에서 모바일단말기(200)는 광고정보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상품정보표시부(250)가 해당 광고정보에 매핑되어진 상품정보를 상품DB(202)에서 추출하여 표시창(201)에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창(201)에 표시되는 상품정보에는 도 5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소정 형식의 구매요청수단(260a)이 표시되어질 수 있다. 상기 구매요청수단(260a)은 구매요청입력부(260)를 구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버튼」을 터치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단계 409에서 사용자는 모바일단말기(200)의 표시창(201)에 표시된 구매요청수단(260a)을 이용하여 구매요청입력부(260)에 구매요청을 입력한다.
단계 410에서는 상기 구매요청수단(260a)을 클릭하는 것에 의해 구매요청이 있으면, 모바일단말기를 구성하는 상품구매요청부(270)가 상기 구매요청입력부(260)에 입력된 구매요청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상품서버(300)에 요청하게 된다.
단계 411에서는 모바일단말기(200)로부터 구매요청을 받은 상품서버(300)가 후속하는 전자결제프로세스를 수행하게 된다. 이하, 전자결제프로세스는 기존 모바일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결제프로세스를 그대로 따르면 충분한 것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4에서는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각 도에 예시된 순서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방송수단
200: 모바일단말기
201: 표시창
210: 방송음원수신부
220: 광고정보추출부
230: 광고정보전송부
240: 상품정보수신부
250: 상품정보표시부
260: 구매요청입력부
270: 상품구매요청부
280: 상품선택부
290: 광고정보인증부(모바일측)
300: 상품서버
310: 앱전송부
320: 상품정보생성관리부
330: 상품정보전송부
340: 광고정보수신부
350: 광고정보인증부(서버측)

Claims (4)

  1. 광고정보가 포함된 방송음원을 출력하는 방송수단; 상기 방송수단으로부터 출력되어 수신된 방송음원을 수신하는 모바일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상품정보를 전송하는 상품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광고정보가 포함된 방송음원을 수신하는 방송음원수신부; 상기 방송음원수신부에서 수신한 방송음원 중 광고정보를 추출하는 광고정보추출부; 상기 추출된 광고정보를 상품서버에 전송하는 광고정보전송부; 상기 광고정보에 매핑되는 상품정보를 상품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상품정보수신부; 상기 상품정보수신부에서 수신한 상품정보를 표시창에 표시해주는 상품정보표시부; 상기 상품정보표시부가 표시한 상품정보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요청하는 구매요청입력부; 및 상기 구매요청입력부에 입력된 구매요청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상품서버에 요청하는 상품구매요청부를 포함하는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품서버는 모바일단말기가 전송한 광고정보를 수신하는 광고정보수신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광고정보와 상품DB에 등록된 광고정보를 비교하여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는 광고정보인증부;
    광고정보에 매핑되어진 상품정보를 상품DB에 등록하고, 동일성이 인정된 상품정보를 상품DB에서 추출하는 상품정보생성관리부; 및
    상기 상품DB에서 추출한 상품정보를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는 상품정보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
  3. 광고정보가 포함된 방송음원을 출력하는 방송수단; 상기 방송수단으로부터 출력되어 수신된 방송음원을 수신하는 모바일단말기; 및 상기 모바일단말기에 상품정보를 전송하는 상품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단말기는 상품서버로부터 방송에 삽입된 상품정보를 수신하는 상품정보수신부; 광고정보가 포함된 방송음원을 수신하는 방송음원수신부; 상기 방송음원수신부에서 수신한 방송음원 중 광고정보를 추출하는 광고정보추출부; 상기 광고정보추출부에서 추출한 광고정보와 상품DB에 등록된 광고정보를 비교하여 동일성을 판단하는 광고정보인증부; 상기 광고정보인증부에서 인증된 광고정보에 매핑되어진 상품정보를 상품DB로부터 추출하여 표시창에 표시해주는 상품정보표시부; 상기 상품정보표시부가 표시한 상품정보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요청을 수신하는 구매요청입력부; 및 상기 구매요청입력부에 입력된 구매요청에 따라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를 상품서버에 요청하는 상품구매요청부를 포함하는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품서버는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상품광고앱의 다운로드 요청을 접수하면 상품광고앱을 전송하는 앱전송부;
    모바일단말기로부터 상품정보의 요청이 있을 때, 서버측 상품DB에 등록된 상품정보를 모바일단말기에 전송하는 상품정보전송부; 및
    특정 방송 등에 간접광고로써 포함되는 상품정보를 생성하여 등록하거나, 정보가 갱신되었을 경우에는 갱신된 정보를 등록하는 상품정보생성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
KR1020150001855A 2015-01-07 2015-01-07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 KR2016008502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855A KR20160085024A (ko) 2015-01-07 2015-01-07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855A KR20160085024A (ko) 2015-01-07 2015-01-07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5024A true KR20160085024A (ko) 2016-07-15

Family

ID=56505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855A KR20160085024A (ko) 2015-01-07 2015-01-07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502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7048B2 (en) Automatic deal or promotion offering based on audio cues
KR20130046151A (ko) 카드 리더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수신기에서의 결제장치 및 방법
KR102139348B1 (ko) 실시간 상품 정보 제공 방법
CN105849692B (zh) 用于硬件装置的软件分发体系结构
JP2011108222A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及びそのコンテンツ提供方法、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897636B1 (ko) 개인화 홈쇼핑 프로그램 제공 장치
KR20130082890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방송 수신기에서의 결제 장치 및 방법
US201502156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oss-device targeting of users
KR101279849B1 (ko)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텔레비전 홈쇼핑 방송을 실시간으로 보조하는 방법
US2013017346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system thereof
RU244760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бора людей на основе предварительно запрограммированных предпочтений
US20160094896A1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US10172002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KR101490826B1 (ko) 광고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22008879A (ja) 情報処理装置
KR20160085024A (ko) 방송음원을 이용한 모바일 온라인 상품구매시스템
US20160066059A1 (en) Program play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KR20150125627A (ko) 컨텐츠 관련 정보 제공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사운드 큐알 생성 장치 및 사운드 큐알 관리 시스템
KR102386919B1 (ko) 비가청 신호를 이용한 온라인 구매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10056633A (ko) 주문 방법 및 장치
KR20160040751A (ko) 푸시 알림 메시지를 이용한 실시간 간접광고 상품 알림 방법
CN106982375A (zh) 信息推送方法、系统和电视
KR100667313B1 (ko) 방송 내용 관련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TWI568287B (zh) Message notification method and system, notification server
KR20060131400A (ko) 방송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136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0303

Effective date: 201711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