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598A -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 - Google Patents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84598A KR20160084598A KR1020150000992A KR20150000992A KR20160084598A KR 20160084598 A KR20160084598 A KR 20160084598A KR 1020150000992 A KR1020150000992 A KR 1020150000992A KR 20150000992 A KR20150000992 A KR 20150000992A KR 20160084598 A KR20160084598 A KR 201600845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power
- power transmission
- path changing
- driv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는, 게시대 프레임; 상기 게시대 프레임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게첨대; 상기 게첨대를 승하강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을 상기 게첨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이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거나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이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지 않도록 동력전달의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구동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거나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경로변경수단이 구비됨으로써, 경로변경수단의 위치 이동에 의해 구동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도록 하여 구동수단의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하거나 구동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수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하는 방식을 쉽고 간단하게 채택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승하강 하는 방식을 보다 간단하게 조작하면서도 조작의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구동수단의 동력으로 자동으로 승하강하는 방식과 구동수단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수동으로 승하강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현수막은 광고문 등을 인쇄하여 식당이나 회사를 일반인들에게 선전하거나 지방자치단체의 행사를 구민들에게 안내하는 등에 사용되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78253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78253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공보 제20-434432호 등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는 구동수단이 수동으로 현수막을 이동하거나 현수막 각도를 조정하는 감속기와 손잡이 등으로 구성된 수동 구동수단과, 동력으로 현수막을 이동하거나 각도 조정하는 모터와 기어열 등으로 구성된 동력 구동수단으로 대별되기 때문에, 동력 구동방식에서는 모터의 고장으로 인하여 모터의 수리를 하지 않고는 현수막 게시대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7077호(2012. 11. 26, '현수막 게시대용 구동장치')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7)의 본체의 한쪽 면에 경첩(8)의 회전판(8a)이 설치됨과 아울러 경첩(8)의 고정판(8b)이 브래킷에 형성된 경첩설치부(6a)에 설치되어 모터(7)가 경첩(8)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모터(7)의 본체의 다른쪽 면을 지지하는 모터지지수단에 의해 모터(7)의 본체가 경첩(8)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모터(7)의 축에 설치된 구동기어(9)가 종동기어(4)에 치합되거나 이격되도록 마련되어, 현수막을 모터(7)의 동력 또는 작업자의 수동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 중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89849호('2012. 10. 4, '현수막 게시대용 구동장치')에 따르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7)의 본체를 상하로 안내하는 가이드판이 현수막 게시대의 지주체의 하측에 설치되고, 모터(7)의 본체를 상하로 이동하는 모터이동수단이 모터(7)의 본체를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종동기어(4)와 구동기어(7)를 이격하거나 치합하도록 마련되어, 현수막을 모터(7)의 동력 또는 작업자의 수동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모터이동수단은 현수막 게시대의 지주체(1)의 바깥으로 돌출되는 지지대(9)의 단부와 현수막 게시대의 지주체(1) 즉 덮개(1a)의 외부면 사이에 걸이구(10)를 설치하여 상기 지지대(9)의 단부를 상측으로 걸어놓아서 종동기어(4)와 구동기어(7)의 치합 상태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걸이구(10)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 지지대(9)의 단부가 하강하여 종동기어(4)와 구동기어(7) 사이가 이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들은 모터(7)를 직접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모터(7)의 직접적인 이동에 의하여 구동기어와 종동기어가 치합될 때 치합의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구동수단의 동력으로 자동으로 승하강하는 방식과 구동수단의 동력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수동으로 승하강하는 방식을 쉽고 간단하게 채택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승하강 하는 방식을 보다 간단하게 조작하면서도 조작의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는, 게시대 프레임; 상기 게시대 프레임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게첨대; 상기 게첨대를 승하강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을 상기 게첨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이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거나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이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지 않도록 동력전달의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로변경수단은, 상기 경로변경수단이 마련된 평면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축 상에 마련된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게첨대를 승하강하는 체인기어와, 상기 체인기어의 회전축 상에 마련된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변경수단은, 일단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경로변경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판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경로변경기어가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동력전달기어와 치합되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동력전달기어에 전달되어 상기 체인기어가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판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경로변경기어가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동력전달기어와 이격되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동력전달기어에 전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체인기어와 상기 동력전달기어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이 장착되는 구동장치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변경수단은, 상기 구동장치 프레임의 일면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경로변경기어가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동력전달기어와 치합될 때 상기 회전판의 후면을 지지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로변경수단은,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판의 타단이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기어변속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체인기어의 회전축 상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체인기어를 회전시키는 수동식 핸들을 더 포함하여, 상기 경로변경기어가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동력전달기어와 이격될 때 상기 수동식 핸들을 상기 체인기어의 회전축 상에 연결하여 상기 체인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구동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거나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경로변경수단이 구비됨으로써, 경로변경수단의 위치 이동에 의해 구동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도록 하여 구동수단의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하거나 구동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수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하는 방식을 쉽고 간단하게 채택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승하강 하는 방식을 보다 간단하게 조작하면서도 조작의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수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하고자 할 때 구동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지 않도록 경로변경수단의 경로변경기어가 구동기어 및 동력전달기어와 이격됨으로써, 모터의 고장이 발생하거나 모터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수동으로 게첨대를 용이하게 승하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게첨대가 완전히 펼쳐졌을 때의 도면.
도 3은 도 1의 게첨대가 중간 정도 펼쳐졌을 때의 도면.
도 4는 도 1의 게첨대가 완전히 접혀졌을 때의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자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하고자 할 때 도 1의 구동수단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수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하고자 할 때 도 1의 구동수단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수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하고자 할 때 수동식 핸들을 장착한 도면.
도 12는 종래 현수막 게시대의 구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종래 다른 현수막 게시대의 구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게첨대가 완전히 펼쳐졌을 때의 도면.
도 3은 도 1의 게첨대가 중간 정도 펼쳐졌을 때의 도면.
도 4는 도 1의 게첨대가 완전히 접혀졌을 때의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자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하고자 할 때 도 1의 구동수단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0은 수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하고자 할 때 도 1의 구동수단의 작동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
도 11은 수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하고자 할 때 수동식 핸들을 장착한 도면.
도 12는 종래 현수막 게시대의 구동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종래 다른 현수막 게시대의 구동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게시대 프레임(100a, 100b)을 가지며, 양측의 게시대 프레임(100a, 100b)을 연결하는 광고판(110)을 포함한다.
각 게시대 프레임(100a, 100b)의 내측에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일(20)이 형성된다.
양측의 게시대 프레임(100a, 100b) 중 어느 하나의 게시대 프레임(100a)의 상단에는 풍속센서(150)가 설치되어 있고, 나머지 하나의 게시대 프레임(100b)의 상단에는 태양판(140)이 설치되어 있다. 편의상 풍속센서(150)가 설치되어 있는 게시대 프레임을 제1프레임(100a)이라 하고, 태양판(140)이 설치되어 있는 게시대 프레임을 제2프레임(100b)이라고 하기로 한다.
제1프레임(100a)의 일측에는 후술할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의 회전 및 정지를 제어하는 제어기기함(630)이 설치된다. 제어기기함(630)은 풍속센서(150)의 측정 결과에 따라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의 승강 및 정지를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기기함(630) 내에는 풍속에 의한 게첨대(120)의 승강 및 정지를 제어하는 제어판(미도시) 및 축전지(미도시), 승강을 알려주는 벨(미도시) 등의 제어기기가 설치된다.
제어기기함(630)의 상부에는 기기설치함(750)이 설치된다. 기기설치함(750) 에는 제어판(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를 승강시키는 구동장치(200)가 마련되어 있다.
기기설치함(750)에 마련되는 구동장치(200)는, 도 5 내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수단과 동력전달수단(230)과 경로변경수단(250)과 수동식 핸들(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프레임(100a)과 기기설치함(750) 사이에 장착되는 구동장치 프레임(201)에는, 하기에서 설명할 구동기어(213)와 체인기어(231)와 동력전달기어(233)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회전판(253)의 회전축(253a)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하기에서는 편의상 구동기어(213)와 체인기어(231)와 동력전달기어(233)가 배치된 면을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전면이라고 하고(도6 참고), 모터(211)가 배치되는 면을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후면이라고 하기로 한다(도 5 참고). 또한, 구동기어(213)와 체인기어(231)와 동력전달기어(233)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프레임을 구동장치 프레임(201)이라고 별도의 용어로 지징하였지만, 구동장치 프레임(201)이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기기설치함(750)의 일면이 구동장치 프레임(201)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211)와 구동기어(21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기어(213)는 모터(211)의 모터축(211a) 상에 마련되어 있어, 모터(211)의 동력에 의해 구동기어(213)가 회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211)가 기기설치함(750) 내에 배치되고, 모터(211)의 모터축(211a)은 구동장치 프레임(201)을 관통하며, 모터축(211a) 상에 마련된 구동기어(213)는 제1프레임(100a)의 내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구동기어(213)는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전면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모터(211)는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후면에 배치된다.
구동수단의 동력을 게첨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23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기어(231)와 동력전달기어(233)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인기어(231)는 게첨대를 승하강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동력전달기어(233)는 체인기어(231)의 회전축(231a) 상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인기어(231)가 구동장치 프레임(201) 상에 회전축(231a)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고, 체인기어(231)의 회전축(231a) 상에 동력전달기어(233)가 마련되어 있다. 즉, 체인기어(231)의 회전축과 동력전달기어(233)의 회전축은 동일한 축(231a)이며, 체인기어(231)의 후방에 동력전달기어(233)가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체인기어(231)와 동력전달기어(233)는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전면에 배치되며, 제1프레임(100a)의 내부에 위치한다. 체인기어(231)의 회전축(231a)은 구동장치 프레임(201)을 관통하여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후면으로 돌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하기에서 설명할 수동식 핸들(700)을 연결하기 위함이다. 회전축(231a)의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후면으로 돌출된 부분을 수동핸들 연결부(231b)라 지징하기로 한다.
평면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구동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230)에 전달되거나 구동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230)에 전달되지 않도록 동력전달의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변경수단(25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판(253)과 경로변경기어(255)와 기어변속 손잡이(259)와 고정핀(257)과 고정핀 손잡이(257a)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판(253)은 일단에 마련된 회전축(253a)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판(253)의 회전축(253a)은 구동장치 프레임(201)을 관통하여 구동장치 프레임(201) 상에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전면으로 돌출된 회전축(253a)에 회전판(253)의 일단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판(253)은 회전축(253a)을 기준으로 하여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판(253)의 후면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기에서 설명할 고정핀(257)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핀 삽입홈(253b)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 삽입홈(253b)의 작용은 하기에서 다시 설명하기로 한다.
회전판(253)의 타단에는 경로변경기어(255)가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경로변경기어(255)는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다.
기어변속 손잡이(259)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후면에 마련된 기어변속 손잡이 연결부(259a)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즉, 구동장치 프레임(201)을 관통한 회전판(253)의 회전축(253a)에는 기어변속 손잡이 연결부(259a)가 연결되어 있어,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후면에 마련된 기어변속 손잡이(259)를 상하로 이동시키면, 기어변속 손잡이 연결부(259a)와 회전판(253)의 회전축(253a)이 회전하므로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전면에 배치된 회전판(253)의 타단이 상하 이동한다. 따라서, 기어변속 손잡이(259)를 상하로 회전시키면 회전판(253)의 타단이 상하 이동한다.
고정핀(257)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전면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경로변경기어(255)가 구동기어(213) 및 동력전달기어(233)와 치합될 때 회전판(253)의 후면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장치 프레임(201)에 핀 관통공(201a)이 형성되어 있고, 핀 관통공(201a)이 형성된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후면에는 원통형의 핀 장착부(201b)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핀(257)은 핀 장착부(201b)와 핀 관통공(201a)을 통하여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전후면을 관통한다.
핀 장착부(201b) 내에는 고정핀(257)을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25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경로변경기어(255)가 구동기어(213) 및 동력전달기어(233)와 치합될 때 탄성 스프링(258)의 탄성에 의해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전면에 돌출된 고정핀(257)은 회전판(253) 후면의 고정핀 삽입홈(253b)에 삽입된다.
고정핀(257)의 핀 장착부(201b)를 관통한 부분의 끝단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핀 손잡이(257a)가 마련되어 있다. 고정핀 손잡이(257a)는 고정핀257)을 잡아당기기 용이하도록 마련됨으로써, 고정핀 손잡이(257a)를 잡아서 고정핀(257)을 잡아당기면, 회전판(253) 후면의 고정핀 삽입홈(253b)에 삽입된 고정핀(257)을 고정핀 삽입홈(253b)으로부터 삽입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기어(213)와 경로변경기어(255)와 동력전달기어(233)는 모두 평기어이나, 실시예에 따라 이들 기어는 종래 여러가지 기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경로변경수단(250)의 경로변경기어(255)는 하나의 기어로만 구성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기어가 치합된 형태로 될 수도 있다.
수동식 핸들(700)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인기어(231)의 회전축(231a)이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후면으로 돌출된 부분인 수동핸들 연결부(231b) 상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수동식 핸들(700)을 수동핸들 연결부(231b)에 연결하면 수동식 핸들(700)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체인기어(2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기기설치함(750)의 상부에는 A/S함(600)이 더 설치된다. A/S함(600,650)의 내부에는 게첨대(120)의 상하 이동을 감지하는 후술할 센서(12,13,14) 등이 설치되며, 실시예에 따라 게첨대(120)의 이동 위치를 감지하도록 하는 리미트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A/S함(600,650)은 보통 성인의 신장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므로 설치 및 관리, 수리가 용이하며, 유지관리가 능률적이라는 이점이 있다. 또한, A/S함(600,650)은 관리자의 열림 또는 닫힘 시를 제외하고는, 자체적으로 잠금장치가 내장되어, 외부 요인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제어기기 및 구동장치(200)는, 전기에너지뿐만 아니라 태양열에너지를 활용하여 풍속에 의해 게첨대를 프레임 상에 승강 및 정지시킬 수도 있다.
나아가, 모터(211)를 수동으로 작동하는 온오프스위치(미도시)와, 풍속센서의 작동을 차단하는 차단스위치(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온오프스위치(미도시)는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의 탈부착 또는 게시대 수리 시 수동으로 구동수단의 모터(211)를 제어한다. 차단스위치(미도시)는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의 탈부착 또는 수리 시, 풍속 측정 및 센서의 감지 등을 차단한다. 이러한 온오프스위치(미도시) 및 차단스위치(미도시)는 작업자가 현수막을 탈부착하거나 현수막 및 전광판(LED 등), 광고판 수리 시 풍속 제어 센서 기능을 일시 차단하여, 작업자가 원하는 위치로 게첨대(120)를 승강 및 정지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첨대(120)는, 제1프레임(100a) 및 제2프레임(100b)에 설치되어 게첨대(120)의 일부를 고정하는 고정부(5)와, 제1프레임(100a) 및 제2프레임(100b)을 따라 승강하는 복수개의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를 포함한다.
고정부(5)는 제1프레임(100a) 및 제2프레임(100b)의 하부에 설치되어, 최하단 게첨대고정부(120e)의 중심공(129e)에 결합되어 최하단 게첨대(120e)를 고정한다.
고정부(5)의 상부에 설치된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는 제1이동부와 제2이동부를 포함한다.
제1이동부는, 제1프레임(100a)의 내부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1스프로킷(310)과, 체인기어(231)와 제1스프로킷(310)에 설치되는 제1체인(300a)과, 일측은 제1체인(300a)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1체인(300a)의 타단과 연결되는 이동부재(400)를 포함한다.
제1이동부와 연동되어 제2프레임(100b)에 설치되는 제2이동부는, 제2프레임(100b)의 내부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스프로킷(320)과, 제2프레임(100b)의 내부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3스프로킷(330)과, 제2스프로킷(320)과 제3스프로킷(330)에 설치되는 제2체인(300b)과, 일측은 제2체인(300b)의 일단과 연결되고 타측은 제2체인(300b)의 타단과 연결되는 이동부재(400)를 포함한다.
제1스프로킷(310)은 제3스프로킷(330)과 샤프트(130)또는 와이어(미도시)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로 인해, 제3스프로킷(330)과 제1스프로킷(310)은 연동된다.
게첨대(120)를 게시대 프레임(100a, 100b) 상에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부재(400)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75730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05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7641호 등에 게시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보들을 참조하기로 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고정부(5)와 이의 고정부(5)와 결합된 최하단 게첨대고정부(120e) 및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에 결합되어 현수막 및 전광판(LED 등), 광고판을 걸 수 있는 바(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바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재(400)의 중심축과 결합되는 게첨대(120) 및 링크(124,1240)와, 전면 하부에 형성된 제1브라켓(1212)과, 후면 상부에 형성된 제2브라켓(1211)을 포함한다.
이러한 바와 제1브라켓(1212)과 제2브라켓(1211)과 링크(124,1240) 등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05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7641호 등에 게시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보들을 참조하기로 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바의 측면에는 현수막 등이 끼워지는 회전봉(미도시)이 설치된다. 이 구조를 현수막 게첨대(120)라 한다. 이러한 회전봉(미도시)의 설치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75730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7641호 등에 나타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링크(17)가 설치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의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을 ON 시킨다.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가 되도록 완전히 하강한다. 이때, 최하단 게첨대이동부(120d)의 중심축(129d)이 고정부(5)의 중심축(129e)에 닿을 때까지 완전히 하강한다.
그러면 도 4와 같이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와 게첨대고정부(120e) 등 모든 게첨대(120)는 프레임(100a,100b) 상에 일측 방향으로 완전히 접혀진 상태가 된다.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 풍속센서(150)가 풍속을 측정한다.
측정된 풍속이 10m/s 미만인 경우,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가 상승하며, 제1센서(12)가 최하단 게첨대이동부(120d)의 이동부재(400) 또는 이동부재(400)와 연결된 감지판 또는 중심축(129d) 또는 이와 결합된 링크, 부속장비 등 적정지점을 감지하면, 도 2와 같이 게첨대(120)는 프레임 상에 완전히 펼쳐진다.
그러면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와 게첨대고정부(120e) 등은 상호 결합된 링크(124,1240)에 의해 모든 게첨대(120)는 프레임(100a,100b) 상에 일측 방향으로 곧게 펼쳐지면서 정지한다.
측정된 풍속이 10m/s 이상 13m/s 미만인 경우,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 상승 시, 제2센서(13)가 최하단 게첨대이동부(120d)의 이동부재(400) 또는 이동부재(400)와 연결된 감지판 또는 중심축(129d) 또는 중심축(410)에 연결된 링크, 부속장비 등의 적정지점을 감지하면, 도 3과 같이 게첨대(120)는 프레임 상에 중간 정도 펼쳐진다.
이때 바는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와 게첨대고정부(120e) 등은 상호 결합된 링크(124,1240)에 의해 모든 게첨대(120)는 프레임(100a,100b) 상에 적정 각도인 약 75°정도(실시예에 따라 80°, 70° 등의 각도로 설정할 수 있음)의 각도로 기울어지면서 정지한다.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 하강 시, 제2센서(13)가 최하단 게첨대이동부(120d)의 이동부재(400) 또는 이동부재(400)와 연결된 감지판 또는 중심축(129d) 또는 중심축(410)에 연결된 링크, 부속장비 등의 적정지점을 감지하면, 게첨대(120)는 중간 정도 펼쳐진다. 이때 바는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와 게첨대고정부(120e) 등은 상호 결합된 링크(124,1240)에 의해 모든 게첨대(120)는 프레임(100a,100b) 상에 적정 각도인 약 75°정도의 각도로 기울어지면서 정지한다.
측정된 풍속이 13m/s 이상인 경우,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가 모두 하강하여, 제3센서(14)가 상부링크(17)의 제2관통공(170a) 또는 이동부재(400) 또는 이동부재(400)와 연결된 감지판 또는 중심축(410), 중심축(410)에 연결된 링크, 부속장비 등의 적정지점을 감지하면, 도 4와 같이 게첨대(120)는 완전히 접혀진다. 이때 바는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와 게첨대고정부(120e) 등은 상호 결합된 링크(124,1240)에 의해 모든 게첨대(120)는 프레임(100a,100b) 상에 완전히 하강하여 접혀지며 정지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상부링크(17)가 설치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태양에너지나 전기 등을 활용하여, 측정된 풍속에 의해 프레임 상에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의 게첨대를 승강시 전원을 OFF 한 후 ON 시킨다.
모든 게첨대(120)가 완전히 하강한다.
일정시간 후, 제어시스템이 풍속을 측정한다. 일정시간은 1분 내지 3분 정도인 것이 적당하나, 이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측정된 풍속에 따라 게첨대(120)는 특정 위치로 이동한다.
게첨대(120)가 해당 풍속 지점에 정지한다.
게첨대(120)가 완전 하강 후, 작업자가 일정시간(약 1~3분) 초과 작업시는 게첨대가 완전 하강시 전원을 OFF 하면 게첨대가 정지하므로, 해당 지점에서 작업한 후 ON 하면, 적정시간(약 1~3분) 후, 게첨대가 해당 풍속 감지 위치로 자동 승강하여 정지한다.
또한, 게시대 중간 지점에서 게첨대를 정지시켜 작업시는 해당 지점 도달시 전원을 OFF 하면 게첨대가 멈추고, 이의 작업 후, 전원을 ON 하면 게첨대가 완전 하강하여, 일정시간(약 1~3분) 후, 해당 풍속 지점으로 자동 승강한다.
위와 같이 상기 온오프스위치를 활용하면, 게첨대(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를 승강시 당초 작업자가 작업지점까지 작동 스위치를 계속 누르지 않아도, 손쉽게 승강하고, 작업 완료시 게첨대를 해당 풍속 지점으로 자동 승강할 수 있어서 작업이 편리하고 능률적이다.
이러한 게시대의 게첨대 제어방법에서는, 게첨대에 현수막이 아닌 전광판(LED 등), 광고판 등을 바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부링크부(17)가 설치되어 있는 게시대를 설명하였지만, 실시예에 따라 상부링크부(17)가 아닌 하부링크부 또는 중간링크부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하부링크부 또는 중간링크부가 설치된 게시대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7641호에 제시되어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의 작동 및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동수단에 전원이 공급되는지 구동수단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지 구동수단의 전원 공급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단계)
다음으로, 판단단계에 의해 구동수단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고 판단한 경우, 구동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23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판단단계에 의해 구동수단에 전원이 공급된다고 판단한 경우, 구동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230)에 전달되도록 하여 구동수단의 동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게첨대가 승하강하도록 하는 동력전달의 경로를 변경한다. (경로변경단계)
상기와 같은 제어방법에 의해 자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 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핀(257)의 고정핀 손잡이(257a)를 바깥쪽으로 당기고, 기어변속 손잡이(259)를 도 5와 같이 하방으로 내리면, 회전판(253)이 회전축(253a)을 중심으로 도 6 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경로변경기어(255)가 구동기어(213) 및 동력전달기어(233)와 치합된다. 이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스프링(258)에 의해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전면에 돌출되도록 탄성 지지되어 있는 고정핀(257)은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전면으로 돌출된 부분이 회전판(253) 후면의 고정핀 삽입홈(253b)에 삽입됨으로써, 회전판(253)이 더 이상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이렇게, 경로변경기어(255)가 구동기어(213) 및 동력전달기어(233)와 치합되면, 구동기어(213)의 회전력이 동력전달기어(233)에 전달되어 체인기어(231)가 모터(211)의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은 제어방법에 의해 수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 하고자 하는 경우 회전판(253) 후면의 고정핀 삽입홈(253b)에 삽입된 고정핀(257)의 삽입을 삽입해제하기 위하여 고정핀 손잡이(257a)를 바깥쪽으로 당기고, 기어변속 손잡이(259)를 도 8과 같이 상방으로 올리면, 회전판(253)이 회전축(253a)을 중심으로 도 9 상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경로변경기어(255)가 구동기어(213) 및 동력전달기어(233)와 치합 해제된다. 즉, 경로변경기어(255)가 구동기어(213) 및 동력전달기어(233)와 이격된다.
기어변속 손잡이(259)를 상방으로 올린 다음, 잡아당겼던 고정핀 손잡이(257a)를 놓으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핀(257)을 감싸고 있는 탄성 스프링(258)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핀(257)이 다시 구동장치 프레임(201)의 전면으로 돌출되고자 하며, 이렇게 탄성 스프링(258)의 복원력에 의해 전면으로 돌출된 고정핀(257)은 회전판(253)의 후면과 맞닿아 회전판(253)의 후면을 지지함으로써, 회전판(253)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경로변경기어(255)가 구동기어(213) 및 동력전달기어(233)와 이격되면 구동기어(213)의 회전력이 동력전달기어(233)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경로변경기어(255)가 구동기어(213) 및 동력전달기어(233)와 이격될 때 작업자가 수동식 핸들(700)을 체인기어(231)의 회전축(231a)에 결합된 수동핸들연결부(231b)에 연결하여 체인기어(231)를 수동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작업자가 수동으로 게첨대를 프레임 상에서 편리하게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경로변경기어(255)가 구동기어(213) 및 동력전달기어(233)와 치합될 때 고정핀(257)이 고정핀 삽입홈(253b)에 삽입되고, 경로변경기어(255)가 구동기어(213) 및 동력전달기어(233)와 이격될 때 고정핀(257)이 회전판(253)의 후면과 맞닿아 회전판(253)의 후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회전판(253) 후면에 다수의 고정핀 삽입홈(253b)이 형성되어 경로변경기어(255)가 구동기어(213) 및 동력전달기어(233)와 이격될 때에도 고정핀(257)이 고정핀 삽입홈(253b)에 삽입되어 회전판(253)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체인기어(231)를 회전시켜, 체인기어(231)에 맞물려 있는 제1체인(300a)을 회전시킴으로써, 게첨대이동부(120a,120b,120c,120d)를 상하로 승하강 시킬 수 있다.
이렇게, 구동수단의 전원 공급이 차단될 경우 구동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23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수동식 핸들(700)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하고, 구동수단에 전원이 공급될 경우 구동수단의 동력이 상기 동력전달수단(230)에 전달되도록 하여 구동수단의 동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는 구동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거나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경로변경수단이 구비됨으로써, 경로변경수단의 위치 이동에 의해 구동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도록 하여 구동수단의 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하거나 구동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수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하는 방식을 쉽고 간단하게 채택할 수 있으며, 간단한 구조로 인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동 또는 수동으로 승하강 하는 방식을 보다 간단하게 조작하면서도 조작의 정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수동으로 게첨대를 승하강하고자 할 때 구동수단의 동력이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지 않도록 경로변경수단의 경로변경기어가 구동기어 및 동력전달기어와 이격됨으로써, 모터의 고장이 발생하거나 모터의 공급이 차단되더라도 수동으로 게첨대를 용이하게 승하강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a, 100b : 게시대 프레임
120 : 게첨대
200 : 구동장치 201 : 구동장치 프레임
201a : 핀 관통공 201b : 핀 장착부
211 : 모터 211a : 모터축
213 : 구동기어 230 : 동력전달수단
231, 310, 320, 330 : 체인기어 231a : 회전축
231b: 수동핸들연결부 233 : 동력전달기어
250 : 경로변경수단 253 : 회전판
253a : 회전축 253b : 고정핀 삽입홈
255 : 경로변경기어 257 : 고정핀
257a: 고정핀 손잡이 258 : 탄성 스프링
259 : 기어변속 손잡이 259a : 기어변속 손잡이 연결부
300a, 300b : 체인 630 : 제어기기함
700 : 수동식 핸들 750 : 기기설치함
200 : 구동장치 201 : 구동장치 프레임
201a : 핀 관통공 201b : 핀 장착부
211 : 모터 211a : 모터축
213 : 구동기어 230 : 동력전달수단
231, 310, 320, 330 : 체인기어 231a : 회전축
231b: 수동핸들연결부 233 : 동력전달기어
250 : 경로변경수단 253 : 회전판
253a : 회전축 253b : 고정핀 삽입홈
255 : 경로변경기어 257 : 고정핀
257a: 고정핀 손잡이 258 : 탄성 스프링
259 : 기어변속 손잡이 259a : 기어변속 손잡이 연결부
300a, 300b : 체인 630 : 제어기기함
700 : 수동식 핸들 750 : 기기설치함
Claims (6)
- 게시대 프레임;
상기 게시대 프레임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는 게첨대;
상기 게첨대를 승하강하기 위한 구동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구동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을 상기 게첨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이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거나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이 상기 동력전달수단에 전달되지 않도록 동력전달의 경로를 변경하는 경로변경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변경수단은,
상기 경로변경수단이 마련된 평면 상에서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의 모터축 상에 마련된 구동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상기 게첨대를 승하강하는 체인기어와,
상기 체인기어의 회전축 상에 마련된 동력전달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변경수단은,
일단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경로변경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판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경로변경기어가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동력전달기어와 치합되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동력전달기어에 전달되어 상기 체인기어가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판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경로변경기어가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동력전달기어와 이격되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력이 상기 동력전달기어에 전달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체인기어와 상기 동력전달기어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이 장착되는 구동장치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로변경수단은,
상기 구동장치 프레임의 일면으로 돌출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경로변경기어가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동력전달기어와 치합될 때 상기 회전판의 후면을 지지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변경수단은,
상기 회전판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켜 상기 회전판의 타단이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기어변속 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체인기어의 회전축 상에 연결이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체인기어를 회전시키는 수동식 핸들을 더 포함하여,
상기 경로변경기어가 상기 구동기어 및 상기 동력전달기어와 이격될 때 상기 수동식 핸들을 상기 체인기어의 회전축 상에 연결하여 상기 체인기어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0992A KR101682615B1 (ko) | 2015-01-06 | 2015-01-06 |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00992A KR101682615B1 (ko) | 2015-01-06 | 2015-01-06 |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4598A true KR20160084598A (ko) | 2016-07-14 |
KR101682615B1 KR101682615B1 (ko) | 2016-12-05 |
Family
ID=56499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00992A KR101682615B1 (ko) | 2015-01-06 | 2015-01-06 |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8261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89239A (zh) * | 2019-06-17 | 2020-12-18 | 浙江花田组空间设计有限公司 | 一种建筑设计用图纸展示架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04192A (ko) * | 2005-03-29 | 2006-10-09 | 서흥석 | 동력저장전달장치 |
KR101397641B1 (ko) * | 2011-02-28 | 2014-05-22 | 최은숙 | 현수막 및 전광판(led 등), 광고판 게시대(일반, 접철식 등)의 제어방법 |
-
2015
- 2015-01-06 KR KR1020150000992A patent/KR1016826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104192A (ko) * | 2005-03-29 | 2006-10-09 | 서흥석 | 동력저장전달장치 |
KR101397641B1 (ko) * | 2011-02-28 | 2014-05-22 | 최은숙 | 현수막 및 전광판(led 등), 광고판 게시대(일반, 접철식 등)의 제어방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089239A (zh) * | 2019-06-17 | 2020-12-18 | 浙江花田组空间设计有限公司 | 一种建筑设计用图纸展示架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82615B1 (ko) | 2016-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97641B1 (ko) | 현수막 및 전광판(led 등), 광고판 게시대(일반, 접철식 등)의 제어방법 | |
WO2018032298A1 (zh) | 一种市政用可旋转式led电子屏 | |
CN205810310U (zh) | 双面滚动广告灯箱 | |
CN108877491A (zh) | 一种公路道路维修用警示装置 | |
KR101682615B1 (ko) | 자동 또는 수동으로 현수막, 전광판, 광고판 등을 게시하는 게시대 | |
CN205354583U (zh) | 广告闸杆及广告道闸 | |
CN110469178A (zh) | 一种垂直起降式维修用的通信设备 | |
KR101025936B1 (ko) | 현수막게시대 | |
CN111739444A (zh) | 一种可自动调节角度的广告展示架 | |
CN205194260U (zh) | 一种前框整体移动升降的换画灯箱 | |
CN206822173U (zh) | 一种电动折叠伞 | |
KR100324413B1 (ko) | 현수막 자동 회전 장치 | |
CN205428425U (zh) | 一种夜间旋转标识牌 | |
KR101750000B1 (ko) | 현수막 게시대 | |
CN210185180U (zh) | 一种自动挂画机构 | |
KR101651874B1 (ko) | 우편물 라벨 자동 부착 장치 | |
CN112233593A (zh) | 一种广告牌用可调广告架 | |
KR101050822B1 (ko) | 칠판의 승강장치 | |
KR101773449B1 (ko) | 자기부상식 광고판 | |
CN205306447U (zh) | 可以移动交流的导师转椅系统 | |
KR101025939B1 (ko) | 현수막게시대 | |
KR100748619B1 (ko) | 회전식 구체 광고판 | |
CN220512596U (zh) | 一种乡村旅游文化展示墙 | |
CN214530310U (zh) | 交通指示牌安装结构 | |
KR101189849B1 (ko) | 현수막 게시대용 구동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