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4585A - 센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4585A
KR20160084585A KR1020150000949A KR20150000949A KR20160084585A KR 20160084585 A KR20160084585 A KR 20160084585A KR 1020150000949 A KR1020150000949 A KR 1020150000949A KR 20150000949 A KR20150000949 A KR 20150000949A KR 20160084585 A KR20160084585 A KR 20160084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formation
representative
electronic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2168B1 (ko
Inventor
천재익
김세훈
김준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168B1/ko
Priority to PCT/KR2016/000093 priority patent/WO2016111540A1/en
Priority to EP16735161.8A priority patent/EP3243318B1/en
Priority to CN201610007191.3A priority patent/CN105763597B/zh
Priority to JP2017535985A priority patent/JP6710439B2/ja
Priority to US14/989,456 priority patent/US11019147B2/en
Publication of KR20160084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1Adding application-functional data or data for application control, e.g. addin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7Integrating service provisioning from a plurality of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11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s being hardware resources other than CPUs, Servers and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표 센서를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 센서의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센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서 정보를 기초로 전자 장치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로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는 센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센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ENSOR DATA}
본 발명은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표 센서를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 센서의 센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센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이란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은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말한다. 이러한 IoT환경에서는 기존의 유선 통신을 기반으로 한 인터넷이나 모바일 인터넷보다 더욱 진화된 단계로서,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사람의 개입 없이 상호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한다. IoT는 사물이 인간에 의존하지 않고 통신을 주고받는 점에서 기존의 유비쿼터스(Ubiquitous)나 사물지능통신인 M2M(Machine to Machine)과 유사한 점은 있지만, M2M의 개념을 인터넷으로 확장하여 사물은 물론이고 현실과 가상 세계의 모든 정보와 상호 작용하는 개념으로 진화한 단계로 볼 수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한 기술 요소로는 유형의 사물과 주위 환경으로부터 정보를 얻는 센싱 기술, 사물이 인터넷에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기술, 각종 서비스 분야와 형태에 적합하게 정보를 가공하고 처리하거나 각종 기술을 융합하는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대량의 데이터 등 사물인터넷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해킹이나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 기술 등이 있다.
한편, IoT환경에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많은 기기들은 각종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들 기기에 구비된 각종 센서들이 수집한 정보들은 서비스에 활용되도록 네트워크로 전달되어 서버에 저장될 수 있다.
IoT환경에서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가 증가할수록 해당 기기들이 구비한 센서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고, 이들 센서 데이터의 종류나 내용이 중복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센서에 의해 동일 공간, 동일 시간대에 수집된 데이터는 중복된 정보임에도 불구하고, 수집된 센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각 기기들의 전력 소모, 통신 자원 및 저장 공간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센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가 전송한 센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센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장치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로 상기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센서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센서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인 센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정보를 센서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결정한 대표 센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가 전송한 센서 정보를 처리하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장치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로 상기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 상기 센서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인 센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정보를 센서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결정한 대표 센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센서 정보 및 상기 대표 센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중복되는 센서 데이터 중 대표 센서로 결정된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하지 않으므로 효율적인 전력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유효한 대표 센서의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센서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으므로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센서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전자 장치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대표 센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표 센서를 결정하고 대표 센서 관련 정보에 따라 각 센서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표 센서를 결정하고 대표 센서 관련 정보에 따라 각 센서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센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패턴 재검사 요청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장치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장치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일정한 범위 전자 장치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센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하며 센서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센서의 종류가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동체센서, 먼지센서, 냄새센서 또는 소리센서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센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는 센서 및 통신 기능이 포함된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센서 및 통신 기능을 갖춘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전자 장치는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 ™™,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센서 및 통신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전자 장치가 구비한 센서 자체가 통신 기능을 갖춘 경우에는 센서와 전자 장치라는 용어가 혼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전자 장치가 구비한 센서가 수집한 정보를 센서 데이터라고 하고, 수집한 센서 데이터 또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를 센서 관련 정보라고 하기로 한다. 또한 전자 장치는 센서 데이터와 센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정보를 센서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데이터는 온도 데이터, 습도 데이터 등을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하고, 이들 데이터는 시간에 따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관련 정보는 센서의 종류, 센서의 위치, 센서의 전원유형, 센서 정보를 전송하는 신호의 출력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동작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제1 센서(101), 제2 센서(102), 제3 센서(103), 제4 센서(104), ……, 제n 센서(105))로부터 각 센서가 획득한 센서 데이터 및 센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신한 센서 정보에 포함된 센서 데이터를 센서의 종류, 위치 또는 센서 데이터의 패턴 등에 따라 그룹화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센서 중 어느 한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고, 대표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센서들의 센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대표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센서들로 하여금 센서 정보를 전송하지 않거나, 센서 정보를 수집하지 않도록 하는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대표 센서를 결정하는 기준은 경우에 따라 다양하게 선정될 수 있다. 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수신한 센서 정보를 기초로 대표 센서를 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정보 처리 장치(100)는 센서 정보에 포함된 센서 데이터 또는 센서 관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초로 대표 센서를 결정할 수 있다. 대표 센서가 결정되면,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센서 정보를 전송한 전자 장치에 센서 정보 응답을 피드백 정보로써 전송할 수 있다. 센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부터 센서 정보 응답을 수신한 복수의 센서(제1 센서(101), 제2 센서(102), 제3 센서(103), 제4 센서(104), ……, 제n 센서(105))들은 센서 정보 응답의 내용에 따라 임의의 시간 동안 센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 센서 정보를 전송하지 않거나, 센서를 이용한 센서 데이터 수집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일정 조건이 만족할 때까지 센서 정보 처리 장치(100)로 센서 정보를 전송하지 않거나, 센서를 이용한 센서 데이터 수집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통해 복수의 가전기기에 구비된 복수의 센서(제1 센서(101), 제2 센서(102), 제3 센서(103), 제4 센서(104), ……, 제n 센서(105))들의 전력 자원, 통신 자원, 메모리 자원 등의 사용효율이 개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센서 정보 처리 장치(100) 및 복수의 센서((제1 센서(101), 제2 센서(102), 제3 센서(103), 제4 센서(104), ……, 제n 센서(105))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센서 정보 처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201). 여기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 정보는 전자 장치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인 센서 데이터를 포함하고, 센서 데이터는 시간에 따른 값일 수 있다. 또한 센서 정보는 센서 데이터 및 전자 장치와 관련된 정보인 센서 관련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관련 정보는 센서 데이터와 관련된 것으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한 센서의 종류, 위치 등에 관한 정보와 전자 장치와 관련된 것으로 센서 정보를 전송할 센서의 목록(list) 또는 개수, 센서의 전원유형, 센서 정보를 전송할 신호의 출력, 센서정보를 저장할 메모리 크기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은 센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에게 센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방법과 전자 장치에서 센서 정보를 주위 단말로 방송(broadcasting)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수신한 센서 정보를 기초로 대표 센서를 결정할 수 있다(203).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수신한 센서 정보 중 센서 관련 정보에 따라 동일한 유형의 센서 별로 그룹화(grouping) 할 수 있다. 즉, 센서 관련 정보에 포함된 센서의 종류에 따라 동일 종류의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끼리 그룹화 할 수 있다. 예컨대 온도센서 데이터는 온도센서 데이터끼리, 습도센서 데이터는 습도센서 데이터끼리 그룹화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센서 데이터들 간의 일정한 패턴이 있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수신하는 센서 데이터는 임의의 공간에 존재하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센서가 수집한 것이므로, 그 변화의 패턴을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일정한 패턴을 센서 데이터 간의 상호 비교를 통해 일정한 패턴을 획득할 수 있다.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일정한 패턴을 보이는 센서들을 관련 센서로 결정하여 관리 할 수 있다.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일정한 패턴이 획득되면, 관련 센서 중 어느 하나를 대표 센서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표 센서를 결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4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대표 센서가 결정되면,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각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대표 센서 관련 정보는 대표 센서의 센서 데이터 또는 패턴, 대표 센서의 센서 관련 정보, 휴면상태 관련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 센서의 센서 관련 정보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수신한 대표 센서의 센서 관련 정보이고, 휴면상태 관련정보는 대표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센서의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면상태 관련정보는 관련 센서 중 대표 센서 이외의 센서들의 동작을 일정 시간 동안 오프(OFF) 시키거나, 센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거나, 대표 센서의 패턴과 상이한 패턴이 획득될 때까지 센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표 센서 관련 정보에 따른 다양한 실시 예는 도 7 내지 8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전자 장치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센서 정보 처리 장치(310)은 전자 장치(300)로부터 센서 데이터 및 센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에 따르면, 센서 정보 처리 장치(310)는 전자 장치(300)로 센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301)(Subscription request). 즉 센서 정보 처리 장치(310)가 지속적으로 전자 장치(300)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센서 정보 처리 장치(310)의 요청에 따라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대표 센서를 결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 센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센서 정보 처리 장치(310)가 전자 장치(300)로 전송하는 센서 정보 전송 요청에는 전자 장치(300)가 센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이벤트 조건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임의의 시간이 지난 뒤 센서 정보를 전송하거나, 센서 데이터가 임의의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에 한 해 센서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전자 장치(300)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310)에 센서 정보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센서 정보 전송 응답(ACK)을 전송할 수 있다(302).
303단계에서, 전자 장치는 이벤트(event)의 발생에 따라 센서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센서가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은 센서 정보 처리 장치(310)의 센서 정보 전송 요청(301)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즉, 센서 정보 전송 요청(301)을 수신한 뒤부터 바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고, 임의의 시간이 경과한 뒤에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임계 데이터를 초과하는 센서 데이터가 검출 되면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또는 센서 데이터를 기 설정된 시간 주기에 따라 계속하여 수집하고 있다가, 303 단계에서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센서 정보를 센서 정보 처리 장치(310)로 전송할 수 있다(304).
센서 정보 처리 장치(310)는 수신한 센서 정보에 대한 응답(ACK)로, 센서 정보 응답을 전자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305).
한편, 도 3에서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310)가 전자 장치(300)로 센서 정보 전송 요청(301)을 함으로써 전자 장치(300)가 센서 정보 처리 장치(310)로 센서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310)가 센서 정보를 획득하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 도 3에서 설명한 방식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전자 장치(300)가 획득한 센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으로 전송하고, 센서 정보 처리 장치(310)가 필요에 따라 센서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4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대표 센서를 결정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도 3에 따른 방법 또는 전자 장치가 브로드캐스팅하는 방법으로 전송한 센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센서 정보를 기초로 대표 센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4는 도 2의 203 단계가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구체적으로 401 단계에서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획득한 센서 정보를 센서의 종류에 따라 묶을 수 있다. 즉, 센서 정보 중 센서 관련 정보에 따라 동일한 유형의 센서 별로 데이터를 그룹화 할 수 있다. 또한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센서의 종류가 아닌 다른 속성을 기초로 센서 데이터를 그룹화 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센서의 종류에 따라 센서 정보를 그룹화 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온도센서 데이터는 온도센서 데이터끼리, 습도센서 데이터는 습도센서 데이터끼리 그룹화할 수 있다.
403 단계에서,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그룹화 된 센서 정보의 센서 데이터 간에 데이터 패턴이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한다. 센서 데이터는 온도 데이터, 습도 데이터 등을 데이터 그 자체를 의미하고, 이들 데이터는 시간에 따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에 따른 데이터의 증감 패턴이 일치하는지 판단하여 일정한 유형의 패턴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센서 데이터 처리 장치가 획득한 센서 데이터는 각 전자 장치에 구비된 것이고, 각 전자 장치는 일정한 공간 또는 범위에 존재 하고 있으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유사한 센서 데이터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센서 데이터의 패턴이 서로 일치하지 않아 공통된 패턴을 추출할 수 없는 경우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새로운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405), 새로이 수신한 센서 데이터의 그룹화를 수행할 수 있다(401).
403단계에서, 서로 일치하는 센서 데이터의 패턴이 있는 경우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각 센서 데이터를 수집한 센서간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407). 구체적으로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각 센서 데이터가 대표되는 패턴으로부터 양(+)과 음(-)의 값으로 얼마의 차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센서간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센서 A는 센서 B와 동일한 센서이고, 동일한 센서 패턴을 갖고 있는 경우, 센서 A와 센서 B를 하나의 패밀리 센서로 분류하고 관리할 수 있다. 하나의 패밀리 센서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센서들을 그룹화 하고 패밀리 센서로 분류하는 경우 센서 정보에 포함된 센서 관련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
408단계에서,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407 단계에서 결정된 센서간 관계 즉 패밀리 센서로 분류된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 중 대표 센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대표 센서를 결정하는 기준은 각 센서의 센서 정보에 포함된 센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당 센서가 구비된 전자 장치의 전원 유형을 기초로 대표 센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배터리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전자 장치와 유선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전자 장치 간에는 유선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여, 배터리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의 배터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도 3에서 전자 장치가 센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센서 정보 전송 요청(Subscription Request)의 목록(List)를 기초로 대표 센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센서 정보 전송 요청이 많은 전자 기기는 보다 많은 통신 트래픽을 사용하여 통신 자원의 효율 측면에서 하나의 전자 기기에 많은 통신 부하가 몰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정보 전송 요청(Subscription Request)의 목록(List)이 적은 전자 장치 즉 센서 정보 전송 요청이 적은 센서를 대표 센서로 선정하여 전체적인 통신 자원의 효율적 운용을 도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수신한 센서 정보에 포함된 센서 관련 정보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센서 정보를 전송한 전자 장치의 수신 신호 세기에 따라 대표 센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수신 신호의 세기가 큰 전자 장치는 보다 가까운 곳에 위치하거나 보다 높은 전력으로 동작하는 전자 장치거나 수신되는 센서 정보의 정확도가 높은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수신한 센서 정보의 수신 신호 세기가 강한 전자 장치가 구비한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는 경우 보다 정확한 센서 정보의 수신과 전체 시스템의 전력 사용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409 단계에서 상기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대표 센서가 결정되면, 도 2의 205 단계로 진행하여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각 센서 정보를 전송한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대표 센서 관련 정보는 대표 센서의 센서 데이터 또는 패턴, 대표 센서의 센서 관련 정보, 휴면상태 관련정보, 센서간 관계 설정 정보, 패밀리 센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대표 센서의 센서 관련 정보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수신한 대표 센서의 센서 관련 정보이고, 휴면상태 관련정보는 대표 센서를 제외한 나머지 센서의 동작을 지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휴면상태 관련정보는 관련 센서 중 대표 센서 이외의 센서들의 동작을 일정 시간 동안 오프(OFF) 시키거나, 센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거나, 대표 센서의 패턴과 상이한 패턴이 획득될 때까지 센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대표 센서를 결정하고 대표 센서 관련 정보에 따라 각 센서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수신한 센서 데이터는 센서 1 및 센서 2가 수집한 시간에 따른 값이다. 센서 1 및 센서 2 는 동일한 종류의 센서이며 두 센서는 서로 패밀리 센서의 관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5의 그래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는 동일한 형태의 패턴을 보인다. 이 경우 도 4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대표 센서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센서 1이 대표 센서로 결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센서 1의 값을 대표 센서의 데이터로 저장하고, 센서 2가 전송한 센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센서 2에게 센서 1의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전송하여 센서 2를 구비한 전자 장치로 하여금 센서 정보의 전송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대표 센서를 결정하고 대표 센서 관련 정보에 따라 각 센서의 동작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수신한 센서 데이터는 센서 1 및 센서 2가 수집한 시간에 따른 값이다. 도 5에서와 같이 센서 1 및 센서 2 는 동일한 종류의 센서이며 두 센서는 서로 패밀리 센서의 관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6의 그래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센서가 수집한 데이터는 동일한 형태의 패턴을 보인다. 다만, 도 6의 그래프와 도 5와의 차이는 도 5는 두 센서의 데이터가 거의 동일한 값을 갖는 다는 점이고, 도 6에서는 패턴은 동일하지만 시간에 따른 센서 값의 차이가 유지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이 경우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도 5에서와 같이 단순히 센서 2의 값을 삭제하고 센서 2에게 센서 정보를 전송할 것을 중지하는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센서 2에 대한 값도 저장할 필요가 있다. 다만, 메모리의 효율적인 운용 측면에서 센서 2의 값이 대표 센서인 센서 1의 값과 동일한 패턴을 보이고 있으므로, 센서 1과 센서 2의 데이터 값의 차이만을 저장하고, 센서 2로 하여금 센서 1에 대한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전송할 때 활용할 수 있다. 즉, 대표 센서의 데이터 전부를 보내는 것이 아닌, 대표 센서의 데이터가 센서 2의 데이터와 임의의 값만큼의 차이가 있음을 전송하여 대표 센서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에 갈음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 2은 해당 대표 센서의 데이터와의 차이 값만을 수신하여 센서 1의 데이터를 연산할 수 있다.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센서 1의 값을 대표 센서의 데이터로 저장하고, 센서 2가 전송한 센서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센서 1과 센서 2의 데이터 차이 값을 저장하고 이를 센서 2에 전송하여 센서 2를 구비한 전자 장치로 하여금 센서 정보의 전송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도 5 및 도 6에 대한 설명은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대표 센서를 결정하고 그에 대한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각 전자 장치에 전송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와 도 6의 처리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차이 값이 임계값 미만의 경우에는 도 5의 경우와 같이 차이 값을 저장하지 않을 수 있고, 차이 값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는 차이 값을 저장하거나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각 센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에 따르면, 전자 장치에 구비된 센서는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701). 센서의 종류에 따라 해당 센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의 예시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센서 전자 장치
온도 에어컨, 온도조절기, 보일러, 냉장고, 김치냉장고, 오븐, 공기청정기, 화재경보기, 가스렌지 등
습도 에어컨, 온도조절기, 가습기, 공기청정기, 냉장고, 김치냉장고, 식기세척기 등
조도 조명스위치, IP카메라 등
동체 에어컨, IP카메라, 침입감지기, 도어락, 게임기 등
먼지 에어컨, 공기청정기, 청소기 등
냄새 공기청정기, 화재경보기, 가스누출경보기 등
소리 오디오, IP카메라 등
각 센서는 온도, 습도 또는 조도 등의 센서 유형에 따른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센서가 수집한 센서 데이터는 시간에 따른 값일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수집한 센서 데이터 및 센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정보를 센서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703). 이 경우 센서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미리 센서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메시지(Subscription Request)를 수신한 경우일 수 있고, 해당 센서 정보 전송 요청은 각 센서 별로 목록화하여 관리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데이터는 각 센서가 측정 또는 수집한 데이터 그 자체일 수 있다. 센서 관련 정보는 센서의 종류, 센서의 위치, 센서의 전원유형, 센서 정보를 전송하는 신호의 출력 또는 센서의 센서 정보 요청 리스트(Subscription Request List)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수신한 센서 정보를 기초로 대표 센서를 결정하고,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각 전자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센서정보 처리 장치로부터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705). 여기서 대표 센서 관련 정보는 대표 센서의 센서 데이터 또는 패턴, 대표 센서의 센서 관련 정보, 휴면상태 관련정보, 센서간 관계 설정 정보, 패밀리 센서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707 단계에서 수신한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기초로 자신이 구비한 센서가 대표 센서 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자신의 센서가 대표 센서인 경우에는 상기 701단계 내지 705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707단계에서 판단 결과, 자신이 구비한 센서가 대표 센서가 아닌 경우에는 새로운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고(709), 새로운 센서 데이터가 대표 센서의 패턴과 허용 편차 이내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711). 판단 결과 대표 센서의 데이터와 허용 편차 이내인 경우에는 대표 센서를 재결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709단계 내지 711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711단계에서 판단 결과, 대표 센서의 데이터 패턴과 허용편차를 초과하는 새로운 센서 데이터가 수집된 경우에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로 하여금 대표 센서를 재결정하게 할 필요가 있으므로, 패턴 재검사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713).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패턴 재검사 요청을 수신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에 따르면,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대표 센서의 데이터 패턴과 허용편차를 초과하는 새로운 센서 데이터를 수집한 센서를 구비한 전자 장치로부터 패턴 재검사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801). 즉, 도 8에서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사전에 각 전자 장치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서 정보를 기초로 대표 센서를 결정한 뒤, 결정된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각 전자 장치로 전송하였음을 가정한다.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전자 장치가 전송한 센서 데이터와 기 저장된 대표 센서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패턴이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803). 판단 결과, 여전히 전자 장치가 전송한 센서 데이터가 대표 센서의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에는 대표 센서를 재결정 할 필요가 없으므로, 아무런 동작을 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803 단계에서 판단한 결과, 전자 장치가 전송한 센서 데이터가 대표 센서의 데이터 패턴과 일치 하지 않는 경우에는 더 이상 대표 센서의 데이터가 나머지 센서의 데이터를 대표할 수 없다. 따라서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센서간 관계 설정을 해제할 수 있다(805). 즉, 더 이상 해당 센서끼리 패밀리 센서 관계에 놓여 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센서간 관계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대표 센서의 재결정 필요가 생겼으므로 사전에 각 전자 장치에 전송한 대표 센서 관련 정보에 포함된 휴면 상태 설정 정보를 변경할 필요가 있다. 즉, 각 전자 장치가 구비한 센서들이 수집한 센서 정보를 다시 수신하고 수신한 새로운 센서 정보를 기초로 대표 센서를 결정할 필요가 있으므로, 앞서 전자 장치에 전송했던 대표 센서 관련 정보에 포함된 휴면 상태 설정 정보를 변경하여 전송할 수 있다(807). 여기서 변경된 휴면 상태 설정 정보는 도 3의 센서 정보 전송 요청(Subscription Request)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휴면 상태 설정 정보는 관련 센서 중 대표 센서 이외의 센서들의 동작을 일정 시간 동안 오프(OFF) 시키거나, 센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거나, 대표 센서의 패턴과 상이한 패턴이 획득될 때까지 센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대표 센서 관련 정보에 포함된 휴면 상태 설정 정보는 휴면 상태를 온(On)으로 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도 8의 경우는 휴면 상태를 오프(Off)로 설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변경된 휴면 상태를 수신한 전자 기기는 해당 센서의 휴먼 상태를 오프(Off)로 전환하고 다시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며 해당 센서 데이터를 포함하는 센서 정보를 다시 센서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서 정보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장치도이다.
도 9에 따르면, 본 발명의 센서 정보 처리 장치는 통신부(901), 제어부(903) 및 저장부(9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통신부(901), 제어부(903) 및 저장부(905) 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부(903) 외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모듈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어부(903)가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부(901)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제어부(90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서 정보를 기초로 전자 장치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로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905)는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센서 정보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수집한 센서 데이터 및 센서와 전자장치에 관한 센서 관련 정보로 구성되고, 센서 관련 정보는, 센서의 종류, 위치, 센서 정보를 전송할 센서의 목록, 센서의 전원유형, 센서 정보를 전송할 신호의 세기 또는 센서정보를 저장할 메모리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표 센서 관련 정보는, 결정된 대표 센서의 센서 데이터 또는 패턴, 대표 센서의 센서 관련 정보, 휴면상태 관련정보, 센서간 관계 정보 또는 패밀리 센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3)는 전자 장치로 센서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하고, 전자 장치가 전송한 센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3)는 센서 정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수집한 센서 데이터를 센서의 종류에 따라 그룹화하고, 그룹화 한 센서 데이터의 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일치하는 센서 데이터 패턴을 갖는 센서들을 패밀리 센서로 결정하고, 패밀리 센서의 센서의 센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대표 센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3)는 패밀리 센서 중 유선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거나 패밀리 센서 중 센서 정보를 전송할 센서의 수가 가장 적은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거나 패밀리 센서 중 센서 정보의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장치도이다.
도 10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통신부(1001), 제어부(1003), 저장부(1005) 및 센서부(1007)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서는 통신부(1001), 제어부(1003), 저장부(1005) 및 센서부(1007) 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부(1003)외에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각종 모듈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어부(903)가 모든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통신부(1001)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부(1007)는 센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저장부(1005)는 센서 정보 및 상기 대표 센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003)는 센서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인 센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정보를 센서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하고,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결정한 대표 센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센서 관련 정보는, 센서의 종류, 위치, 센서 정보를 전송할 센서의 목록, 센서의 전원유형, 센서 정보를 전송할 신호의 세기 또는 센서정보를 저장할 메모리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표 센서와 관련된 정보는, 결정된 대표 센서의 센서 데이터 또는 패턴, 대표 센서의 센서 관련 정보, 휴면상태 관련정보, 센서간 관계 정보 또는 패밀리 센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3)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대표 센서 인지 여부를 더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 대표 센서가 아닌 경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뒤에 센서 정보를 전송하거나 대표 센서의 센서 데이터 패턴과 허용편차를 초과하는 센서 데이터가 발생하면 센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모든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행의 대상이 되거나 생략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 예에서 단계들은 반드시 순서대로 일어날 필요는 없으며, 뒤바뀔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명세서의 실시 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명세서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901: 통신부
903: 제어부
905: 저장부

Claims (28)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가 전송한 센서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한 센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장치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로 상기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정보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수집한 센서 데이터 및 상기 센서와 상기 전자장치에 관한 센서 관련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 관련 정보는,
    센서의 종류, 위치, 센서 정보를 전송할 센서의 목록, 센서의 전원유형, 센서 정보를 전송할 신호의 세기 또는 센서정보를 저장할 메모리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센서 관련 정보는,
    상기 결정된 대표 센서의 센서 데이터 또는 패턴, 상기 대표 센서의 센서 관련 정보, 휴면상태 관련정보, 센서간 관계 정보 또는 패밀리 센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센서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장치가 전송한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처리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센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수집한 센서 데이터를 상기 센서의 종류에 따라 그룹화하는 단계;
    상기 그룹화 한 센서 데이터의 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일치하는 센서 데이터 패턴을 갖는 센서들을 패밀리 센서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패밀리 센서의 센서의 상기 센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대표 센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처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센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패밀리 센서 중 유선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처리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센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패밀리 센서 중 센서 정보를 전송할 센서의 수가 가장 적은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처리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센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패밀리 센서 중 상기 센서 정보의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처리 방법.
  9. 전자 장치의 센서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센서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인 센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정보를 센서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결정한 대표 센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센서 정보 전송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관련 정보는,
    센서의 종류, 위치, 센서 정보를 전송할 센서의 목록, 센서의 전원유형, 센서 정보를 전송할 신호의 세기 또는 센서정보를 저장할 메모리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전송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센서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결정된 대표 센서의 센서 데이터 또는 패턴, 상기 대표 센서의 센서 관련 정보, 휴면상태 관련정보, 센서간 관계 정보 또는 패밀리 센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전송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대표 센서 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센서 정보 전송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대표 센서가 아닌 경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뒤에 센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전송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대표 센서가 아닌 경우,
    상기 대표 센서의 센서 데이터 패턴과 허용편차를 초과하는 센서 데이터가 발생하면 센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전송 방법.
  1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가 전송한 센서 정보를 처리하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로부터 센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센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전자 장치가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자 장치로 상기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제어부; 및
    상기 대표 센서 관련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정보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수집한 센서 데이터 및 상기 센서와 상기 전자장치에 관한 센서 관련 정보로 구성되고,
    상기 센서 관련 정보는,
    센서의 종류, 위치, 센서 정보를 전송할 센서의 목록, 센서의 전원유형, 센서 정보를 전송할 신호의 세기 또는 센서정보를 저장할 메모리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센서 관련 정보는,
    상기 결정된 대표 센서의 센서 데이터 또는 패턴, 상기 대표 센서의 센서 관련 정보, 휴면상태 관련정보, 센서간 관계 정보 또는 패밀리 센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자 장치로 상기 센서 정보 전송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전자 장치가 전송한 센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
  19.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 정보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가 수집한 센서 데이터를 상기 센서의 종류에 따라 그룹화하고, 상기 그룹화 한 센서 데이터의 패턴이 서로 일치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일치하는 센서 데이터 패턴을 갖는 센서들을 패밀리 센서로 결정하고, 상기 패밀리 센서의 센서의 상기 센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대표 센서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밀리 센서 중 유선 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밀리 센서 중 센서 정보를 전송할 센서의 수가 가장 적은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패밀리 센서 중 상기 센서 정보의 수신 신호 세기가 가장 큰 센서를 대표 센서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정보 처리 장치.
  23. 전자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부;
    상기 센서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와 상기 전자 장치에 관한 정보인 센서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센서 정보를 센서 정보 처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센서 정보 처리 장치가 결정한 대표 센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센서 정보 및 상기 대표 센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관련 정보는,
    센서의 종류, 위치, 센서 정보를 전송할 센서의 목록, 센서의 전원유형, 센서 정보를 전송할 신호의 세기 또는 센서정보를 저장할 메모리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센서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결정된 대표 센서의 센서 데이터 또는 패턴, 상기 대표 센서의 센서 관련 정보, 휴면상태 관련정보, 센서간 관계 정보 또는 패밀리 센서 정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대표 센서 인지 여부를 더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대표 센서가 아닌 경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뒤에 센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8.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 대표 센서가 아닌 경우,
    상기 대표 센서의 센서 데이터 패턴과 허용편차를 초과하는 센서 데이터가 발생하면 센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50000949A 2015-01-06 2015-01-06 센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252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949A KR102252168B1 (ko) 2015-01-06 2015-01-06 센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PCT/KR2016/000093 WO2016111540A1 (en) 2015-01-06 2016-01-0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ensor information
EP16735161.8A EP3243318B1 (en) 2015-01-06 2016-01-0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ensor information
CN201610007191.3A CN105763597B (zh) 2015-01-06 2016-01-06 用于处理传感器信息的方法和设备
JP2017535985A JP6710439B2 (ja) 2015-01-06 2016-01-06 センサー情報の処理方法及び装置
US14/989,456 US11019147B2 (en) 2015-01-06 2016-01-0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ensor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949A KR102252168B1 (ko) 2015-01-06 2015-01-06 센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585A true KR20160084585A (ko) 2016-07-14
KR102252168B1 KR102252168B1 (ko) 2021-05-14

Family

ID=5628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949A KR102252168B1 (ko) 2015-01-06 2015-01-06 센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19147B2 (ko)
EP (1) EP3243318B1 (ko)
JP (1) JP6710439B2 (ko)
KR (1) KR102252168B1 (ko)
CN (1) CN105763597B (ko)
WO (1) WO201611154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291A (ko) * 2017-08-28 2019-03-08 주식회사 지오플랜코리아 6LoWPAN 노드와 LPWA 네트워크 서버를 효율적으로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방법
KR102161596B1 (ko) * 2019-03-22 2020-10-06 주식회사 노드톡스 환경 정보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환경 정보 감지 방법
KR20200118381A (ko) * 2020-09-23 2020-10-15 주식회사 노드톡스 환경 정보 감지 모듈과 제어기가 분리 구성된 환경 정보 감지기
KR102370790B1 (ko) * 2020-09-16 2022-03-07 주식회사 세수 환경 센서의 측정값 예측 방법
KR20220127783A (ko) * 2020-07-21 2022-09-20 주식회사 텍쎈 Iot 게이트웨이 장치, 다용도 센서 단말 및 그것의 수행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41460B (en) * 2015-08-21 2020-08-12 Senseye Ltd Network connected sensors
JP6723100B2 (ja) * 2016-07-11 2020-07-15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装置
US11055797B1 (en) * 2017-02-24 2021-07-06 Alarm.Com Incorporated Autonomous property monitoring
CN107197031A (zh) * 2017-06-19 2017-09-22 深圳市盛路物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于物联网的终端设备状态检测方法及系统
US20200344314A1 (en) * 2018-01-12 2020-10-29 Sony Corporation Grouping of mobile devices for location sensing
US11288158B2 (en) 2018-06-08 2022-03-29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Device identification device and device identification method
US10931546B2 (en) * 2018-06-30 2021-02-23 EMC IP Holding Company LLC Data reduction techniques for a multi-sensor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US10796411B2 (en) 2018-07-20 2020-10-06 EMC IP Holding Company LLC Super-resolution imaging for a multi-sensor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CN113596766A (zh) * 2018-07-22 2021-11-02 王铁军 多模异构iot网络
WO2020031759A1 (ja) 2018-08-07 2020-02-13 ソニー株式会社 センサーデータ処理装置、センサーデータ処理方法、センサーデバイス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7148800B2 (ja) * 2019-01-09 2022-10-06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収集プログラム、データ収集装置およびデータ収集方法
US11626010B2 (en) * 2019-02-28 2023-04-11 Nortek Security & Control Llc Dynamic partition of a security system
WO2020195148A1 (ja) * 2019-03-25 2020-10-01 株式会社Nttドコモ 情報処理装置
US11323883B2 (en) * 2019-09-30 2022-05-03 Inlecom Systems Limited Pattern driven selective sensor authentication for internet of things
JP7438034B2 (ja) 2020-06-15 2024-02-26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装置
JPWO2022172450A1 (ko) * 2021-02-15 2022-08-18
JP7184108B2 (ja) * 2021-03-05 2022-12-06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394B1 (ko) * 2009-12-17 2010-10-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노드의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40117973A (ko) * 2013-03-27 2014-10-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보조노드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연속 객체의 경계선 추적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센서노드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01271B2 (en) * 2001-05-17 2004-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physical characteristic data collected from two or more subjects
US7113130B2 (en) * 2004-06-06 2006-09-26 Pitney Bow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location by implication
KR100677753B1 (ko) 2004-11-26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센서 네트워크 및 그 데이터 수집방법
CN1889486B (zh) * 2005-06-30 2010-05-05 都科摩(北京)通信技术研究中心有限公司 无线传感器网络中的动态能量管理方法与装置
JP2007060155A (ja) * 2005-08-23 2007-03-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センサノード及び管理端末と、これらを用いたデータの収集システム
JP2008059160A (ja) * 2006-08-30 2008-03-13 Ntt Comware Corp センサノードシステム、方法、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EP1954004B1 (en) * 2007-01-31 2012-01-18 Deutsche Telekom AG Method for collaborative storage of event-related data in sensor networks and sensor network capable of providing a file system for storing event-related data
KR101368470B1 (ko) 2007-06-29 2014-03-12 주식회사 케이티 원격지 센서에서 측정된 대용량 데이터 처리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32911B1 (ko) 2007-11-13 2009-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선행적 데이터 필터링을 위한센서노드의 센싱 데이터 전송장치 및 방법
US8297231B2 (en) * 2009-02-03 2012-10-30 Faunus Ltd. System and methods for health monitoring of anonymous animals in livestock groups
GB2474007A (en) * 2009-08-27 2011-04-06 Simon R Daniel Communication in and monitoring of a disaster area, optionally including a disaster medical pack
KR100970238B1 (ko) * 2009-11-25 2010-07-1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센서 액추에이터 네트워크에서 상황 인식에 기반한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8536988B2 (en) * 2010-05-20 2013-09-17 Raytheon Bbn Technologies Corp. Self-organizing extensible distributed sensor array architecture
JP5365587B2 (ja) * 2010-06-23 2013-12-11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収集制御方法およびデータ収集制御装置
JP5441834B2 (ja) * 2010-06-25 2014-03-12 古野電気株式会社 航法データ共有システム及び航法機器
US8589389B2 (en) * 2011-02-17 2013-11-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haracterizing and selecting providers of relevant information based on quality of information metrics
CN102196502B (zh) * 2011-04-06 2013-10-16 东南大学 一种面向无线传感器网络的拥塞控制方法
JP5790555B2 (ja) 2012-03-15 2015-10-07 オムロン株式会社 センサモジュール、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センサ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収集方法
JP2014053729A (ja) * 2012-09-06 2014-03-20 Denso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JP5803962B2 (ja) * 2013-03-22 2015-11-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センサ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US9798860B1 (en) * 2013-05-16 2017-10-24 Carepredict, Inc. Methods and systems for remotely determining levels of healthcare interventions
US9654570B2 (en) * 2013-12-20 2017-05-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viding a sensor composite service based on operational and spatial constraints
CN105979858B (zh) * 2014-03-17 2018-02-16 皇家飞利浦有限公司 心率监测设备
US20170020438A1 (en) * 2014-04-15 2017-01-26 Monash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user posture
US10965756B2 (en) * 2014-09-16 2021-03-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ensor system of master and slave sensors, and method therei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394B1 (ko) * 2009-12-17 2010-10-12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센서 노드의 클러스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40117973A (ko) * 2013-03-27 2014-10-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보조노드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연속 객체의 경계선 추적 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센서노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3291A (ko) * 2017-08-28 2019-03-08 주식회사 지오플랜코리아 6LoWPAN 노드와 LPWA 네트워크 서버를 효율적으로 중계하는 게이트웨이 및 그 동작방법
KR102161596B1 (ko) * 2019-03-22 2020-10-06 주식회사 노드톡스 환경 정보 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환경 정보 감지 방법
KR20220127783A (ko) * 2020-07-21 2022-09-20 주식회사 텍쎈 Iot 게이트웨이 장치, 다용도 센서 단말 및 그것의 수행 방법
KR102370790B1 (ko) * 2020-09-16 2022-03-07 주식회사 세수 환경 센서의 측정값 예측 방법
KR20200118381A (ko) * 2020-09-23 2020-10-15 주식회사 노드톡스 환경 정보 감지 모듈과 제어기가 분리 구성된 환경 정보 감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43318B1 (en) 2018-08-29
CN105763597A (zh) 2016-07-13
CN105763597B (zh) 2020-06-23
JP6710439B2 (ja) 2020-06-17
US20160197999A1 (en) 2016-07-07
JP2018505477A (ja) 2018-02-22
US11019147B2 (en) 2021-05-25
EP3243318A4 (en) 2017-12-27
WO2016111540A1 (en) 2016-07-14
EP3243318A1 (en) 2017-11-15
KR102252168B1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4585A (ko) 센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3457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amification of sensor data interpretation in smart home
EP3211836B1 (en) Cooking state alerting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2383130B1 (ko)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504201B1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알림 출력 제어 방법
KR102277752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홈 디바이스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US952123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discovery and suggesting personalized gesture control based on user's habit and context
US11019149B2 (en) Hub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thereof
US202001175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 function between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EP3229409B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external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2314673B1 (ko) 서버,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US1089586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1146933B2 (en) Activity driven smart home system
CN107148786B (zh) 控制发送功率的方法及其电子设备
CN109672720B (zh) 用于控制IoT装置的电子装置及其操作方法
KR20150121128A (ko) Iot 디바이스를 위한 긴급 모드
CN108432213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48091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01616B1 (ko) 전자 장치 간의 장치 검색 방법
KR102498714B1 (ko) 콘텐트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354011B1 (ko) 테더링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20058556A (ko) 장치 id의 익명화 및 랜덤화
US20180131533A1 (en) Automation rule select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102525539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US2016021205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data i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