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572A -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 - Google Patents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3572A
KR20160083572A KR1020140195767A KR20140195767A KR20160083572A KR 20160083572 A KR20160083572 A KR 20160083572A KR 1020140195767 A KR1020140195767 A KR 1020140195767A KR 20140195767 A KR20140195767 A KR 20140195767A KR 20160083572 A KR20160083572 A KR 201600835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fixing
bearing
belt
fixing ji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갑석
최영광
장우석
최봉석
변인호
황민지
Original Assignee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5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3572A/ko
Publication of KR20160083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5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9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 F16H7/083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of the dissipating material type, e.g. elastomeric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2007/0802Actuators for final output members
    • F16H2007/0806Compression coi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2중 장력조절 가능한 텐셔너 구조는, 벨트에 접촉하여 텐션을 발생 시키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상향으로 밀어올려 텐션을 발생시키는 압축스프링; 상기 베어링이 고정된 지지바 및 압축스프링을 고정하는 고정 지그;로 이루어진 상하텐션 조절부와, 상기 상하텐션 조절부의 고정 지그 양쪽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 지그를 관통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하텐션 조절부를 좌우로 움직이는 나사형상의 이동용레일; 상기 고정 지그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지그를 현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용 스톱퍼;로 이루어진 좌우텐션 조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압축스프링에 의한 벨트에 접촉하는 베어링이 항시 벨트를 밀어올려 일정한 장력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좌우 텐션 조절부에 의하여 상기 상하텐션 조절부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베어링이 접촉하는 부분의 좌우이동으로 인한 추가적인 장력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TENSION ADJUSTABLE APPARATUS OF TENSIONER}
본 발명은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엔진 등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의 장력을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사용되는 벨트 텐셔너의 텐션력의 조정이 용이하게 한 벨트 텐셔너의 장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텐셔너는 동력이 발생되는 구동축과 이와 연계되어 구동되는 종동축을 연계하는 벨트를 장력을 조절하여 구동축의 구동력에 따른 종동축의 정확한 회전수가 얻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자동차의 엔진에서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축인 크랭크축과 이와 연계되어 정확한 회전비로 회전되는 캠축을 연결하는 타이밍벨트의 장력이나, 구동모터와 크랭크 축, 그리고 워터펌프를 연계하는 하는 팬벨트의 장력을 조정하여 벨트의 장력이 적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벨트 텐셔너는 텐셔너 풀리의 이동을 위하여 가이드 축의 나사부에 체결된 너트를 풀어 가이드 축이 가이드 구의 가이드 홈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한 후 텐셔너 풀리의 이동이 가능한 것으로 텐셔너 풀리의 이동을 위한 작업성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하여 임의 위치에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텐셔너 풀리의 적정한 위치설정과 그에 따른 작업성이 용이하지 못하였다.
KR 10-1449293 US 5720171 B1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2중으로 장력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하 조절 및 좌우 조절구조를 취하여 벨트의 텐션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는, 벨트에 접촉하여 텐션을 발생 시키는 베어링; 상기 베어링을 지지하는 지지바; 상기 지지바를 상향으로 밀어올려 텐션을 발생시키는 압축스프링; 상기 베어링이 고정된 지지바 및 압축스프링을 고정하는 고정 지그로 이루어진 상하텐션 조절부와, 상기 상하텐션 조절부의 고정 지그 양쪽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 지그를 관통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하텐션 조절부를 좌우로 움직이는 나사형상의 이동용레일; 상기 고정 지그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지그를 현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용 스톱퍼로 이루어진 좌우텐션 조절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는, 압축스프링에 의한 벨트에 접촉하는 베어링이 항시 벨트를 밀어올려 일정한 장력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좌우 텐션 조절부에 의하여 상기 상하텐션 조절부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베어링이 접촉하는 부분의 좌우이동으로 인한 추가적인 장력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 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 의 상하 텐션조절을 나타낸 작동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 의 좌우 텐션조절을 나타낸 작동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도 1을 참고하면, 벨트(1)에 접촉하여 텐션을 발생 시키는 베어링(100); 상기 베어링(100)을 지지하는 지지바(110); 상기 지지바(110)를 상향으로 밀어올려 텐션을 발생시키는 압축스프링(120); 상기 베어링(100)이 고정된 지지바(110) 및 압축스프링(120)을 고정하는 고정 지그(130);로 이루어진 상하텐션 조절부(1000)와, 상기 상하텐션 조절부(100)의 고정 지그(130) 양쪽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200); 상기 고정 브라켓(200) 및 상기 고정 지그(130)를 관통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하텐션 조절부(1000)를 좌우로 움직이는 나사형상의 이동용 레일(210); 상기 고정 지그(13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지그(130)를 현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용 스톱퍼(220);로 이루어진 좌우텐션 조절부(20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벨트 체인과 같은 주변의 온도 습도 등에 의하여 쉽게 장력이 변화하는 동력전달 수단은 이러한 장력변화에 따라 벨트(1)를 상승 또는 하강 시켜 일정한 장력이 유지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벨트(1)가 주변의 온습도에 의하여 늘어난 경우 벨트(1)의 장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이러한 벨트(1)를 늘어난 만큼 일부분 일어줌으로써, 줄어든 장력을 보상하여 벨트(1)가 일정한 장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텐셔너 구조는, 이러한 벨트(1)의 장력 손실을 즉각적으로 보상할 수 있도록 상기와 같이 벨트(1)와 접하여 밀어 올리는 베어링(100)과 이러한 베어링(100)을 고정하는 지지바(110)를 상향으로 밀어 올리는 압축스프링(120)을 장착한다.
이러한 압축스프링(120)은, 내부에 가스압으로 인한 완충작용을 하는 가스 실린더의 외경에 스프링을 감은 가스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도 2와 같이 상기 벨트(1)의 텐션이 저하될 경우 자동적으로 이를 보상하여 상기 베어링(100)을 밀어 올림으로써, 벨트(1)의 텐션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이러한 베어링(100)의 상승으로 인한 텐션유지와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벨트(1)와 상기 베어링(100)의 접점을 이동시켜 추가적인 텐션 조절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즉, 상기 상하텐션 조절부(1000)의 지그(130) 및 상기 고정 브라켓(200)을 관통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하텐션 조절부(1000)를 좌우로 움직이는 나사형상의 이동용 레일(210)에 의해, 상기 상하텐션 조절부(1000)가 전체적으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용 레일(210)은 수동으로 상기 이동용 레일(210)의 헤드 부분을 회전시켜 상기 상하텐션 조절부(1000)의 위치를 조정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위치에 의하여 텐션이 조정되는 것은 도 3을 참고하면 명확해진다.
즉, 베어링(100)의 상승으로 인하여 장력 조절이 되고 있는 상기 벨트(1)의 상기 베어링(100)과의 접점을 좌, 우로 이동함으로써, 미세한 장력 변화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좌우 장력조절은 사용자가 직접 상기 이동용 레일(210)의 헤드 부분을 회전하는 것 이외에, 이동용 레일(210)과 정-역회전이 가능한 회전모터를 연결하여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텐션조절을 위하여 좌우로 이동한 상하텐션 조절부(1000)의 위치고정을 위하여, 고정용 스톱퍼(220)를 추가로 구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기 고정용 스톱퍼(220)는, 축회전에 의해 상하 조절할 수 있는 너트로서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용 스톱퍼(220)를 좌우로 이격할 수 있는 스톱퍼 이동홈(221)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 브라켓(200)사이를 좌우 이동하는 상하텐션 조절부(1000)를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는, 압축스프링(120)에 의한 벨트(1)에 접촉하는 베어링(100)이 항시 벨트(1)를 밀어올려 일정한 장력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좌우 텐션 조절부(2000)에 의하여 상기 상하텐션 조절부(1000)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으므로, 상기 베어링(100)이 접촉하는 부분의 좌우이동으로 인한 추가적인 장력조절이 가능한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1 : 벨트
100 : 베어링
200 : 고정 브라켓
1000 : 상하텐션 조절부
2000 : 좌우텐션 조절부

Claims (3)

  1. 벨트(1)에 접촉하여 텐션을 발생 시키는 베어링(100);
    상기 베어링(100)을 지지하는 지지바(110);
    상기 지지바(110)를 상향으로 밀어올려 텐션을 발생시키는 압축스프링(120);
    상기 베어링(100)이 고정된 지지바(110) 및 압축스프링(120)을 고정하는 고정 지그(130);로 이루어진 상하텐션 조절부(1000)와,
    상기 상하텐션 조절부(100)의 고정 지그(130) 양쪽에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200);
    상기 고정 브라켓(200) 및 상기 고정 지그(130)를 관통하고 회전에 의하여 상기 상하텐션 조절부(1000)를 좌우로 움직이는 나사형상의 이동용 레일(210);
    상기 고정 지그(130)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 지그(130)를 현위치에 고정하는 고정용 스톱퍼(220);로 이루어진 좌우텐션 조절부(2000)로 구성되는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스톱퍼(220)는, 축회전에 의해 상하 조절할 수 있는 너트로서 형성되고, 이러한 고정용 스톱퍼(220)를 좌우로 이격할 수 있는 스톱퍼 이동홈(2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120)은, 내부 가스의 압력으로 작동되는 가스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
KR1020140195767A 2014-12-31 2014-12-31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 KR201600835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767A KR20160083572A (ko) 2014-12-31 2014-12-31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767A KR20160083572A (ko) 2014-12-31 2014-12-31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572A true KR20160083572A (ko) 2016-07-12

Family

ID=56505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767A KR20160083572A (ko) 2014-12-31 2014-12-31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35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2011A (zh) * 2018-05-25 2018-10-26 安徽工程大学 一种大型电机皮带张紧装置
CN112678445A (zh) * 2020-12-31 2021-04-20 南通嘉浩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皮带线用张紧滚筒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0171A (en) 1996-06-11 1998-02-24 Atoma International, Inc. Device for heating and cooling a beverage
KR101449293B1 (ko)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 컵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0171A (en) 1996-06-11 1998-02-24 Atoma International, Inc. Device for heating and cooling a beverage
KR101449293B1 (ko) 2013-06-03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냉온장 컵홀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12011A (zh) * 2018-05-25 2018-10-26 安徽工程大学 一种大型电机皮带张紧装置
CN112678445A (zh) * 2020-12-31 2021-04-20 南通嘉浩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皮带线用张紧滚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83572A (ko) 2중 장력조절이 가능한 텐셔너 구조
GB2524428A8 (en) Electric and mechanical stretching apparatus for movable sofa
EP1529511A3 (en) Massaging machine and mechanism for adjusting protrusion of massaging balls therefor
US20180354043A1 (en) Multifunctional adjustable drilling machine
NZ582230A (en) Apparatus for selective rotation of a structural bearm used for welding the beam
KR101931976B1 (ko) 캠샤프트 재제조 연마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캠샤프트 재제조 연마장치
ATE486272T1 (de) Riemenspannrollenvorrichtung mit einem messgerät und zugehöriges prüfungsverfahren
KR20120132831A (ko) 일정한 하중 중심을 구현하는 회전 굽힘 피로 시험 장치
JP2016011931A (ja) 電磁波測定装置
KR101017747B1 (ko) 자동차의 타이밍 벨트용 장력조절장치
CN108297383B (zh) 吹瓶机中拉伸杆的驱动装置
CN204339244U (zh) 汽车方向盘的宝塔弹簧组装机构
BRPI0906239A8 (pt) acionamento linear para uma máquina-ferramenta e processo para movimentar um carro porta-ferramentas
RU2015116530A (ru) Полевой измельчитель
RU2020111084A (ru) Шиносб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или разрезания компонентов шин
KR101246611B1 (ko) 엑츄에이터의 간단한 벨트텐션장치
CN205859074U (zh) 链条传动张紧装置
JP2010145251A (ja) 動特性検査装置
JP2008101767A (ja) 車両空気調和装置におけるコンプレッサに対する動力伝達ベルトの張力調整機構
CN102756472B (zh) Bopet双向拉伸片材传动装置
KR101572785B1 (ko) 체인의 장력조절장치
US1571153A (en) Pulley drive and belt tightener
CN104907651A (zh) 线切割运丝筒皮带松紧自动调节器
KR20100035414A (ko) 부품 실장용 필름의 장력 조절장치
JP2007330116A (ja) 麺帯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