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553A -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 - Google Patents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3553A
KR20160083553A KR1020140195690A KR20140195690A KR20160083553A KR 20160083553 A KR20160083553 A KR 20160083553A KR 1020140195690 A KR1020140195690 A KR 1020140195690A KR 20140195690 A KR20140195690 A KR 20140195690A KR 20160083553 A KR20160083553 A KR 201600835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crew
conveyor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4449B1 (ko
Inventor
박태완
Original Assignee
(주)아이피에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피에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아이피에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195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4449B1/ko
Publication of KR20160083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4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4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1/00Wrapping, e.g. partially or wholly 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in strips, sheets or blanks, of flexible material
    • B65B11/50Enclosing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y disposing contents between two sheets, e.g. pocketed sheets, and secur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1/00Supplying or feeding container-forming sheets or wrapping material
    • B65B41/02Feeding sheets or wrapp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수축 필름을 이용한 자동화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열수축필름이 컨베이어의 진행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필름공급롤러부; 상부가이드부; 및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에 의하면, 제품의 높이에 따라 가이드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가이드부와 함께 필름공급롤러부의 높이가 연동됨으로써 개별적인 조작이 불필요하여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일관된 제품 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조작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Packaging system with adjustable film guide unit}
본 발명은 열수축 필름을 이용한 자동화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컨베이어벨트로 이송되는 제품의 다양한 크기에 맞춰 가이드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균일한 품질의 포장이 이뤄지도록 하는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용품, 식료품, 전자제품, 사무용품 등과 같은 제품의 포장을 위하여, 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포장필름에 제품이 수용되도록 한 상태에서, 포장필름의 커팅과 실링에 의해 제품이 포장필름으로 감싸여지도록 하고, 포장필름을 열에 의해 수축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열수축 필름은 PP, LLDPE, PE, PO, PVC, PET 등의 필름 제조시 열을 가해 필름을 인발한 후 연신, 냉각시킨 것으로서, 제품을 포장한 후 가열터널을 통과할 때 재가열에 의해 연신된 필름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일정 수준 이상의 분자사슬 길이를 가지는 폴리머들을 연신, 냉각시켜 필름에 잔류응력이 남도록 함으로써, 재가열 시 잔류응력을 해소하기 위해 필름이 스스로 수축하게 되어 제품 표면에 밀착되는 포장재질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열수축필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포장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생산라인의 최종 단계에서 다량의 제품을 포장하는 자동 포장시스템에 공급되어 연속적인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사용된다.
종래의 포장필름을 이용한 제품의 포장장치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105440호의 포장용 필름을 이용한 제품 포장장치가 있다. 이는 컨베이어의 한쪽 측면에서 폭방향으로 필름을 공급하는 필름 로딩장치와, 필름이 공급되는 하단부에서 제품을 공급하는 제품 공급장치와, 필름 로딩장치의 하단부에서 필름의 반전과 그 사이로 제품을 수용하는 필름 반전장치와, 필름을 당겨주면서 길이방향으로 절단, 융착접합하는 피딩/제1커팅장치와, 센서수단에 의한 제품의 감지와 동시에 필름을 폭방향으로 절단하는 제2커팅장치와, 상기 각 장치들의 작동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동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포장장치 뿐만 아니라, 포장필름으로 제품을 포장하는 기존 포장장치의 경우, 제품의 높이가 달라질 경우 필름 로딩장치의 높이 내지 간격을 조절하는 적절한 기구가 마련되지 않거나 각 유닛별로 별도의 조작을 가하여 수동으로 조절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필름을 로딩하는 가이드부 및 필름 공급 장치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제품의 높이에 맞게 필름을 공급하여 불량률을 줄이고 미려한 재단선을 구현할 수 있는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품의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일정 경로로 제품을 이송시키도록 마련되는 컨베이어; 일측이 접혀 상층과 하층의 두 겹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일 측면으로부터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열수축필름; 및 상기 열수축필름이 상기 컨베이어의 진행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열수축필름이 공급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열수축필름의 길이방향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필름공급롤러부; 상기 필름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열수축필름의 상층과 하층이 각각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측과 하면측을 따라 이송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정렬시키는 상부가이드부; 및 상기 상부가이드 및 상기 필름공급롤러가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에서 승강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 길이가 상기 필름공급롤러부의 이동길이에 대해 일정한 비율을 갖도록 작동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상부가이드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공급되는 상기 열수축필름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 위치하고, 45˚로 커팅된 모서리가 상기 열수축필름 일측에 접하여 공급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상부가이드판; 상기 상부가이드판이 상기 컨베이어에 대해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이동레일; 상기 높이조절부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제 1 스크류; 상기 제 1 스크류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상부가이드판 및 상기 이동레일이 결합되는 가이드판지그; 및 상기 가이드판지그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높이조절부 저면에 결합되는 제 1 가이드봉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공급롤러부는, 한 쌍이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열수축필름의 상하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가 상기 상부가이드부에 대해 전후로 이동되도록 상기 롤러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이동레일; 상기 높이조절부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제 2 스크류; 상기 제 2 스크류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이동레일 및 상기 롤러부가 결합되는 롤러지그; 및 상기 롤러지그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높이조절부 저면에 결합되는 제 2 가이드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스크류는, 상기 제 2 스크류의 피치보다 110 ~ 200% 넓은 간격의 피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 1 스크류 내지는 상기 제 2 스크류에 수직하게 배열되도록 마련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스크류 및 상기 제 2 스크류 상단에 각각 마련되는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마련되는 손잡이; 및 상기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의 일단이 관통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조절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열수축필름의 하층이 감겨 공급 방향이 전환되도록 마련되는 하부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에 의하면, 제품의 높이에 따라 가이드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가이드부와 함께 필름공급롤러부의 높이가 연동됨으로써 개별적인 조작이 불필요하여 작업 효율이 향상되고, 일관된 제품 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며,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한 조작이 용이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의 가이드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의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컨베이어(110, 130), 열수축필름(10) 및 가이드부(200)로 구성될 수 있다.
컨베이어(110, 130)는 일정한 경로를 따라 제품을 이송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연속적인 공정에서 대상물을 이송시키는 일반적인 이송수단으로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는 제 1 컨베이어(110)와 제 2 컨베이어(130)로 분할되어 제품의 크기에 따른 재단면을 조절할 수 있다.
열수축필름(10)은 제품의 전체적인 포장을 위해 한 겹의 필름 원단을 반으로 접어 두 겹이 되도록 한 것을 권취하여 제공된다. 이는 두 겹의 필름 사이에 제품이 위치하도록 하여 일 측면만을 재단하여 처리할 수 있어 공정을 단축시키고 재단선을 최소화하여 포장 강도를 높이기 위한 형태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열수축필름(10)이 두 겹으로 제공됨에 따라, 필름(10)이 제 1 컨베이어(110)의 진행방향을 따라 진행되는 제품의 상하면으로 분할되어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부(200)가 제공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부(200)는 상부가이드부(210), 필름공급롤러부(220) 및 조절손잡이부(23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필름공급롤러부(220)는 제 1 컨베이어(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열수축필름(10)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롤러로 마련되는 롤러부(221) 사이에 열수축필름(10)이 위치하여 필름이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롤러부(221)를 구성하는 한 쌍의 롤러는 열수축필름(10)이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된다. 또한 롤러부(221)가 열수축필름(10)의 폭에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롤러프레임(226)의 상면에 이동레일(222)이 결합된다.
롤러프레임(226)의 일측에는 가이드판지그(213)가 결합되어 제 1 스크류(215) 및 제 1 가이드봉(214)이 관통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상부가이드부(210)는 열수축필름(10)이 제 1 컨베이어(110)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공급됨에 따라, 열수축필름(10)의 진행방향을 직각으로 꺾어 제 1 컨베이어(110)에 평행한 방향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열수축필름(10)의 진행방향이 전환될 시에 필름(10)의 외측면과 내측면이 전도되고, 상층(10a)과 하층(10b)이 제 1 컨베이어(110)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열수축필름(10)이 제 1 컨베이어(110)의 상면과 저면으로 분할되어 위치하고, 제 1 컨베이어(110)가 끝나는 지점에서 하층(10b)이 다시 제 2 컨베이어(140)의 상면으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제 1 컨베이어(110)를 따라 이동하는 제품이 열수축필름(10)의 상층(10a)과 하층(10b) 사이에 오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가이드부(210)는 열수축필름(10)이 그 공급방향에 대해 90˚로 꺾일 수 있도록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커팅된 모서리가 마련되는 상부가이드판(212)이 구비된다. 열수축필름(10)은 상부가이드부(210)의 상면으로 공급되어 상부가이드판(212) 모서리를 따라 접혀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으로 방향전환된다.
이때 두 겹으로 마련되는 열수축필름(10)의 상층(10a)은 상부가이드판(212)의 저면과 제 1 컨베이어(110)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고, 하층(10b)은 상층(10a)과 분할되어 제 1 컨베이어(110)의 하층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열수축필름(10)은 작업라인의 전방에 마련되는 견인롤러(미도시)에 의해 컨베이어 상의 제품과 함께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포장시스템에 의해 포장되는 제품의 크기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특히 제품의 높이(h0)에 따라 상부가이드부(210)의 높이가 조절될 필요가 있다. 상부가이드부(210)의 높이가 제품의 높이(h0)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되지 않을 경우 열수축필름(10)과 제품이 원활하게 밀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의 높이(h0)가 높을 경우 상부가이드부(210)가 높아지고, 제품의 높이(h0)가 낮을 경우 이에 맞춰 상부가이드부(210)가 낮아져야 한다.
또한 상부가이드부(210)의 높이가 변경됨에 따라 열수축필름(10)을 공급하는 필름공급롤러부(220)의 높이도 변경될 필요가 있다. 열수축필름(10)은 상부가이드부(210)의 상면으로 공급되어야 하므로, 필름공급롤러부(220)는 항상 상부가이드부(210)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상부가이드부(210)와 필름공급롤러부(220)는 제 1 컨베이어(110)의 일측면에서 높이조절부(230)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도록 마련되고, 높이조절부(230)의 조작에 따라 필름공급롤러부(220)가 상부가이드부(210)보다 항상 높게 위치하도록 연동하여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상부가이드부(210)는 제 1 가이드봉(214)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가이드판지그(213) 및 제 1 스크류(215)가 마련되고, 필름공급롤러부(230)에는 제 2 가이드봉(224)을 따라 상하로 승강하는 롤러지그(223) 및 제 2 스크류(225)가 마련된다. 가이드판지그(213) 및 롤러지그(223)의 일측에는 제 1 스크류(215) 내지 제 2 스크류(225)가 관통결합되는 스크류결합구(213a, 223a)가 마련된다. 스크류결합구(213a, 223a)는 제 1 스크류(215) 내지 제 2 스크류(225)의 피치(미도시)에 결합되어 스크류가 회전할 시에 지그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 1 스크류(215)와 제 2 스크류(225)의 피치 간격은, 제 2 스크류(225)의 피치 간격이 제 1 스크류(215)의 피치 간격보다 110 ~ 200% 넓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됨으로써 제 1 스크류(215)와 제 2 스크류(225)가 동일한 회전수에 따라 회전되더라도 필름공급롤러부(220)가 상부가이드부(210)보다 더 긴 거리를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필름공급롤러부(220)가 상부가이드부(210)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230)는 조절부프레임(234), 손잡이(231), 회전축(232) 및 피니언기어(2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조절부프레임(234)은 회전축(232), 제 1 가이드봉(214) 및 제 2 가이드봉(224)이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마련된다.
회전축(232)은 제 1 스크류(215) 내지 제 2 스크류(225)의 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조절부프레임(234)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축(232)에는 한 쌍의 피니언기어(233)가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고, 각각의 피니언기어(233)는 제 1 스크류(215) 내지 제 2 스크류(225)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기어(b)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손잡이(231)는 회전축(232) 일단에 결합되어 회전축(232)을 인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손잡이(231)를 회전시키면, 회전축(232)이 회전하면서 피니언기어(233)가 제 1 스크류(215) 및 제 2 스크류(225)를 동시에 회전시킴으로써 상부가이드부(210)와 필름공급롤러부(220)를 상하로 승강시키게 된다.
한편 제 1 컨베이어(110)의 하부에는 상부가이드부(210)와 대칭되는 위치에 하부가이드부(24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하부가이드부(240)는 열수축필름(10)의 하층(10b)을 지지함으로써 폭이 넓은 열수축필름(10)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열수축필름(10)을 필름공급롤러부(220)의 롤러부(221) 사이로 통과시켜 상부가이드부(210)의 상면에 위치시킨다. 이후 열수축필름(10)의 상층(10a)과 하층(10b)을 분리하여 상층(10a)은 상부가이드부(210)와 제 1 컨베이어(11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고, 하층(10b)은 제 1 컨베이어(110) 하부 내지는 하부가이드부(210)의 저면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때 제품의 높이(h0)가 상부가이드부(210)와 제 1 컨베이어(110) 사이의 높이보다 높을 경우, 높이조절부(230)의 손잡이(231)를 돌려 상부가이드부(210)가 이동되도록 한다.
높이조절부(230)의 손잡이(231)를 돌리면 피니언기어(233)의 회전에 의해 제 1 스크류(215) 및 제 2 스크류(225)가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가이드판지그(213)와 롤러지그(223)가 제 1 스크류(215) 내지 제 2 스크류(225)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제 1 스크류(215)의 피치 간격은 제 2 스크류의 피치 간격보다 조밀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롤러지그(223)가 더 빠르게 상승하여 필름공급롤러부(220)가 상부가이드부(210)보다 높게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제품의 높이(h0)에 비해 상부가이드부(210)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을 경우, 손잡이(231)를 반대로 돌려 상부가이드부(21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필름공급롤러부(220)가 동시에 하강하게 되는데, 상부가이드부(210)의 이동속도보다 필름공급롤러부(220)의 이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르기 때문에, 필름공급롤러부(220)의 이동 하한선은 상부가이드부(210)의 이동 하한선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높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높이조절부(230)의 조작에 의해 상부가이드부(210)와 필름공급롤러부(220)가 동시에 이동되도록 하고, 필름공급롤러부(220)가 상부가이드부(210)보다 높게 위치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열수축필름(10)이 상부가이드부(210)의 상면측으로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제 1 컨베이어 111 : 제 1 지지부재
120 : 제 1 이동가이드 121 : 가이드축
122 : 슬라이딩결합부재 130 : 제 2 컨베이어
131 : 제 2 지지부재 140 : 제 2 이동가이드
141 : 가이드축 142 : 슬라이딩결합부재
150 : 제품정렬부 151 : 리드스크루
200 : 가이드부 210 : 상부가이드부
211 : 이동레일 212 : 상부가이드판
213 : 가이드판지그 214 : 제 1 가이드봉
215 : 제 1 스크류 220 : 필름공급롤러부
221 : 롤러 222 : 이동레일
223 : 롤러지그 224 : 제 2 가이드봉
225 : 제 2 스크류 230 : 높이조절부
231 : 손잡이 232 : 회전축
233 : 피니언기어 234 : 조절부프레임

Claims (4)

  1. 제품의 포장 시스템에 있어서,
    일정 경로로 제품을 이송시키도록 마련되는 컨베이어;
    일측이 접혀 상층과 하층의 두 겹을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컨베이어의 일 측면으로부터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열수축필름; 및
    상기 열수축필름이 상기 컨베이어의 진행 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열수축필름이 공급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열수축필름의 길이방향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공급되도록 마련되는 필름공급롤러부;
    상기 필름공급롤러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열수축필름의 상층과 하층이 각각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측과 하면측을 따라 이송방향으로 진행되도록 정렬시키는 상부가이드부; 및
    상기 상부가이드 및 상기 필름공급롤러가 상기 컨베이어의 상면에서 승강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이동 길이가 상기 필름공급롤러부의 이동길이에 대해 일정한 비율을 갖도록 작동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가이드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공급되는 상기 열수축필름의 상층과 하층 사이에 위치하고, 45˚로 커팅된 모서리가 상기 열수축필름 일측에 접하여 공급되는 방향을 변경시키는 상부가이드판;
    상기 상부가이드판이 상기 컨베이어에 대해 좌우, 또는 전후로 이동되도록 상기 가이드판의 일측에 결합되는 이동레일;
    상기 높이조절부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제 1 스크류;
    상기 제 1 스크류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상부가이드판 및 상기 이동레일이 결합되는 가이드판지그; 및
    상기 가이드판지그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높이조절부 저면에 결합되는 제 1 가이드봉을 포함하고,
    상기 필름공급롤러부는,
    한 쌍이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상기 열수축필름의 상하면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가 상기 상부가이드부에 대해 전후로 이동되도록 상기 롤러부의 상면에 결합되는 이동레일;
    상기 높이조절부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제 2 스크류;
    상기 제 2 스크류를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마련되고, 일측에 상기 이동레일 및 상기 롤러부가 결합되는 롤러지그; 및
    상기 롤러지그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일단이 상기 높이조절부 저면에 결합되는 제 2 가이드봉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스크류는,
    상기 제 1 스크류의 피치보다 110 ~ 200% 넓은 간격의 피치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 1 스크류 내지는 상기 제 2 스크류에 수직하게 배열되도록 마련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스크류 및 상기 제 2 스크류 상단에 각각 마련되는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마련되는 손잡이; 및
    상기 제 1 스크류 및 제 2 스크류의 일단이 관통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조절부프레임을 포함하는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
  4. 청구항 2 내지 3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저면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열수축필름의 하층이 감겨 공급 방향이 전환되도록 마련되는 하부가이드판을 더 포함하는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
KR1020140195690A 2014-12-31 2014-12-31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 KR101714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690A KR101714449B1 (ko) 2014-12-31 2014-12-31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690A KR101714449B1 (ko) 2014-12-31 2014-12-31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553A true KR20160083553A (ko) 2016-07-12
KR101714449B1 KR101714449B1 (ko) 2017-03-10

Family

ID=56505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690A KR101714449B1 (ko) 2014-12-31 2014-12-31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444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23560A1 (de) 2016-07-01 2018-01-04 Hyundai Motor Company Klimaanlagensteuerungssystem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sselben
KR102315770B1 (ko) * 2021-04-07 2021-10-21 안태만 도어 시트 제조장치
KR102545421B1 (ko) * 2022-08-31 2023-06-23 김진완 조미김 포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741B1 (ko) * 2018-08-09 2019-09-30 한종상 다열식 비닐원단 인쇄 마크 제어장치의 엘리베이터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4002U (ko) * 1986-04-17 1987-11-05
JPH0699921A (ja) * 1992-09-22 1994-04-12 Shoko Kiko Kk 2重折りフィルムラッピングマシ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4002U (ko) * 1986-04-17 1987-11-05
JPH0699921A (ja) * 1992-09-22 1994-04-12 Shoko Kiko Kk 2重折りフィルムラッピングマシ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23560A1 (de) 2016-07-01 2018-01-04 Hyundai Motor Company Klimaanlagensteuerungssystem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desselben
KR102315770B1 (ko) * 2021-04-07 2021-10-21 안태만 도어 시트 제조장치
KR102545421B1 (ko) * 2022-08-31 2023-06-23 김진완 조미김 포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4449B1 (ko) 2017-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4449B1 (ko)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
US7114609B2 (en) Product diverter and method
KR20160048139A (ko) 평탄한 물체를 이송하고 회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4141196A (en) Seal wrapping machine
US9919873B2 (en) Feeding unit for feeding sealed packs of pourable food products
US10011047B1 (en) Masonry veneer machine
US20170113825A1 (en) Multi-column automatic packaging machine
EP3265386B1 (en) Device for continuous compensation of stretching of film during drawing applicable on packaging machines
MX2014012093A (es) Mordazas de sellado para una empacadora.
US10781006B2 (en) Packaging machine for packaging with stretch film and optimized packaging method
JP5057878B2 (ja) エンドシー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機並びにピロー包装機
US20210229849A1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sition of a material web edge
JP6731363B2 (ja) 位置調整機構
US20070284388A1 (en) Device for separating stacked cup-shaped containers and feeding individual cup-shaped containers
JP6753810B2 (ja) フィルム包装装置とフィルム包装方法
JP2015174672A (ja) ボトルの搬送位置決め装置
KR102350431B1 (ko) 포장기계시스템의 사이드 실링장치
US6923311B2 (en) Device to modify the pitch between pusher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roduct
JP2022529598A (ja) 包装機において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を供給するための供給ユニット
US2414337A (en) Take-off table
JP2015048129A (ja) トップシール装置
KR102554840B1 (ko) 직접투입방식의 필로우 포장기
JP2023169811A (ja) 横形製袋充填機の物品押え装置
JP2012193029A (ja) 搬送装置
GB2500263A (en) Leaflet application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