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3315A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3315A
KR20160083315A KR1020140194080A KR20140194080A KR20160083315A KR 20160083315 A KR20160083315 A KR 20160083315A KR 1020140194080 A KR1020140194080 A KR 1020140194080A KR 20140194080 A KR20140194080 A KR 20140194080A KR 20160083315 A KR20160083315 A KR 20160083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play
display panel
bending
support plate
transparent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4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3315A/ko
Publication of KR2016008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3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4Parallel electrical configurations of multiple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6Series electrical configurations of multiple OLED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벤딩 응력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와 배선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층간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영역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최외곽과 하부 최외곽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벤딩 부재와 하부 벤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벤딩 부재와 상기 하부 벤딩 부재 각각에 가해지는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은 기준 비율값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FLEXI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벤딩 응력에 의한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동 통신 단말기, 전자 수첩, 전자 책,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UMPC(Ultra Mobile PC), 모바일 폰,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및 와치 폰(watch phone)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기기뿐만 아니라 텔레비전, 노트북, 및 모니터 등의 다양한 제품의 표시 화면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중에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는 박형화가 가능하므로, 이들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하기 위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플렉서블 기판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부와 배선 등을 형성한 것으로, 종이처럼 휘어져도 화상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디스플레이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과도한 곡률로 벤딩되거나 반복적으로 벤딩되는 경우, 벤딩 영역 상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배선을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층에 벤딩 응력이 집중되어 박막 트랜지스터가 손상되거나 배선에 크랙(crack)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층간의 계면에서 벤딩 변형량의 차이로 인하여 층간 박리 현상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벤딩 응력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와 배선의 손상이 최소화되고 층간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영역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최외곽과 하부 최외곽에 각각 위치하는 상부 벤딩 부재와 하부 벤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벤딩 부재와 상기 하부 벤딩 부재 각각에 가해지는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은 기준 비율값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벤딩 응력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와 배선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고, 층간 박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터치 라인에 발생되는 크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효과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소 어레이층에 마련된 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벤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터치 패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에", “상부에”, 및 “하부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화소 어레이층에 마련된 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110), 투명 접착층(1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 및 편광 필름(14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1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지지한다. 지지 플레이트(110)는 플렉서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플레이트(110)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또는 PU(polyurethane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110)는 투명 접착층(120)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후면에 부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지지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편평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투명 접착층(120)은 지지 플레이트(110)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후면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 OCA(optical clear adhesive), OCR(optical curable resin), 또는 자외선 수지(ultraviolet resin)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PSA(pressure sensitive adhesiv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영상을 표시한다.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플렉서블 기판(131), 화소 어레이층(133), 및 봉지층(encapsulation layer; 135)을 포함한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131)는 유연한 플라스틱 재질, 예를 들어, 불투명 또는 유색 폴리이미드(PI; Polyimid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131)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캐리어 기판(미도시)에 형성되어 있는 릴리즈층의 상면에 일정 두께로 도포된 플라스틱 물질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 기판은 레이저 릴리즈 공정을 이용한 릴리즈층의 릴리즈에 의해 플렉서블 기판(131)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화소 어레이층(133)은 플렉서블 기판(131) 상에 마련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른 화소 어레이층(133)은 박막 트랜지스터(TFT), 평탄화층(PL), 애노드 전극(AE), 뱅크층(BL), 유기 발광 소자(OLED), 및 캐소드 전극(CE)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TFT)는 플렉서블 기판(131) 상에 정의된 복수의 화소 영역 각각의 트랜지스터 영역에 마련되는 것으로, 게이트 전극, 게이트 절연막, 반도체층,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박막 트랜지스터는 a-Si TFT, poly-Si TFT, Oxide TFT, 또는 Organic TFT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평탄화층(PL)은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덮도록 플렉서블 기판(131) 상에 마련되는 것으로,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131) 상에 평탄면을 마련한다.
상기 애노드 전극(AE)은 상기 각 화소 영역에 정의된 개구 영역에 중첩되는 평탄화층(PL) 상에 패턴 형태로 마련된다. 애노드 전극(AE)은 평탄화층(PL)에 마련된 컨택홀을 통하여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소스 전극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애노드 전극(AE)은 반사율이 높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뱅크층(BL)은 애노드 전극(AE)의 가장자리 부분과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덮도록 평탄화층(PL) 상에 마련되어 각 화소 영역의 개구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상기 뱅크층(BL)에 의해 정의된 개구 영역의 애노드 전극(AE) 상에 형성된다. 유기 발광 소자(OLED)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유기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층은 생략이 가능하다. 상기 유기 발광층은 화소 별로 동일한 색, 예로서 화이트(white)의 광을 발광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화소 별로 상이한 색, 예로서, 적색, 녹색, 또는 청색의 광을 발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캐소드 전극(CE)은 유기 발광 소자(OLED)와 뱅크층(BL) 상에 마련되어 각 화소 영역에 마련된 유기 발광 소자(OLED)에 공통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캐소드 전극(CE)은 광투과율이 높은 투명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봉지층(135)은 각 화소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캐소드 전극(CE)을 덮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봉지층(135)은 유기 물질층 또는 무기 물질층, 유기 물질층과 무기 물질층이 교대로 적층된 복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투명 접착제(120)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부착됨으로써 편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사용자 터치에 대한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당업계에 공지된 인-셀 터치 타입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14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 즉 봉지층(135)의 상면에 부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편광 필름(140)은 외부 광의 반사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의 광학적 특성을 보상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편광 필름(140)은 지지 플레이트(110)보다 두꺼운 두께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10)를 벤딩의 내측 중심으로 하여 벤딩 영역(BA)을 일정 곡률로 벤딩하게 되며, 벤딩되는 중심에 위치하는 지지 플레이트(110)에는 압축 응력(compressive strain)이 가해지게 되고, 벤딩되는 중심으로부터 최외곽에 위치하는 편광 필름(140)에는 상대적으로 큰 인장 응력(Tensile strain)이 가해지게 되며, 이러한 응력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전달된다. 상기 벤딩 영역(BA)에 압축 응력과 인장 응력이 가해질 때, 벤딩 영역(BA)의 내부에는 중립면(neutral plane)(NP)이 존재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은 중립면(NP)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대적으로 큰 압축 응력 또는 인장 응력을 받게 된다. 여기서, 중립면(NP)은 압축 응력과 인장 응력이 0(zero)이 되는 위치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압축 응력 또는 인장 응력이 반복적으로 가해지거나 각 층이 견딜 수 있는 한계 응력을 초과하는 응력이 가해질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TFT)가 손상되거나 각 화소에 연결된 배선에 크랙이 발생될 수 있고, 층간 박리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터치 라인에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외곽에 위치한 지지 플레이트(110)와 편광 필름(140) 각각에 가해지는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이 기준 비율값 미만으로 설정됨으로써 벤딩 응력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배선의 손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고, 층간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터치 라인에 발생되는 크랙이 최소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BA)에 가해지는 벤딩 응력은 중립면(NP)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상대적으로 높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또는 중립면(NP)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 최외곽에 위치한 지지 플레이트(110)(또는 하부 벤딩 부재)와 편광 필름(140)(또는 상부 벤딩 부재) 각각에 가해지는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을 기준 비율값 미만으로 설정한다.
상기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은 상기 편광 필름(140)에 가해지는 제 1 벤딩 응력(BS1)에 대한 제 1 편차율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110)에 가해지는 제 2 벤딩 응력(BS2)에 대한 제 2 편차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편차율은 상기 기준 비율값 미만으로 설정된다.
상기 제 1 편차율은 제 1 벤딩 응력(BS1)과 제 2 벤딩 응력(BS2) 간의 편차(BS1-BS2)를 기반으로, 제 1 벤딩 응력(BS1)에 대한 상기 편차(BS1-BS2)의 비율((BS1-BS2)/BS1)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편차율은 제 1 벤딩 응력(BS1)과 제 2 벤딩 응력(BS2) 간의 편차(BS1-BS2)를 기반으로, 제 2 벤딩 응력(BS2)에 대한 상기 편차(BS1-BS2)의 비율((BS1-BS2)/BS2)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준 비율값은 20% 미만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는 사전 시험을 통하여 설정된 값이다. 사전 실험에서는, 지지 플레이트(110)와 편광 필름(140) 각각의 두께와 재질을 변경하여 다양한 실험 예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하였고, 다양한 실험 예들 각각에 대해 벤딩 응력에 대한 신뢰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신뢰성 테스트 수행 결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손상 여부와 층간 박리 현상의 발생 여부에 따라 양품과 불량품을 분류하였다. 그런 다음, 지지 플레이트(110)와 편광 필름(140) 각각에 대한 탄성 계수, 두께, 곡률, 푸아송비(Poisson's ratio) 등의 기계적인 물성치를 기반으로, 양품의 실험 예들 각각과 불량품의 실험 예들 각각에 대해 상기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을 측정하였다. 상기 편차율의 측정 결과, 양품의 실험 예들은 공통적으로 20% 미만의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불량품의 실험 예들은 공통적으로 20% 이상의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 즉 상기 제 1 및 제 2 편차율 각각은 20% 미만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210), 제 1 투명 접착층(2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30), 편광 필름(240), 제 2 투명 접착층(250), 및 커버 윈도우(26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2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30)을 지지한다. 지지 플레이트(210)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또는 PU(polyurethane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210)는 제 1 투명 접착층(220)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30)의 후면에 부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지지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30)을 편평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30)는 제 1 투명 접착층(220)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3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예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투명 접착층(22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예의 투명 접착층(12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편광 필름(24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30), 즉 봉지층(135; 도 2 참조)의 상면에 부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3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편광 필름(240)은 외부 광의 반사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30)의 광학적 특성을 보상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편광 필름(240)은 지지 플레이트(110)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다.
상기 커버 윈도우(260)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커버 윈도우(260)는 상기 제 2 투명 접착제(250)에 의해 편광 필름(240)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커버 윈도우(26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30)로부터 편광 필름(240)을 투과하는 광을 외부로 투과시킴과 아울러 외부 충격으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30)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커버 윈도우(260)는 상기 편광 필름(240)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210)의 절반 두께를 갖는다.
상기 제 2 투명 접착층(250)은 커버 윈도우(260)를 편광 필름(240)의 상면에 부착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1 투명 접착층(220)과 동일한 물질과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외곽에 위치한 지지 플레이트(210)(또는 하부 벤딩 부재)와 커버 윈도우(260)(또는 상부 벤딩 부재) 각각에 가해지는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이 기준 비율값 미만으로 설정됨으로써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예와 동일하게 벤딩 응력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배선의 손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고, 층간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터치 라인에 발생되는 크랙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310), 제 1 투명 접착층(2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30), 편광 필름(240), 제 2 투명 접착층(250), 및 커버 윈도우(36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3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310)와 커버 윈도우(360)를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는 PU(polyurethanes)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된 지지 플레이트(21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36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26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외곽에 위치한 지지 플레이트(310)와 커버 윈도우(360) 각각에 가해지는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이 기준 비율값 미만으로 설정됨으로써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예와 동일하게 벤딩 응력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배선의 손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고, 층간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터치 라인에 발생되는 크랙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410), 제 1 투명 접착층(4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30), 제 2 투명 접착층(440), 배리어 필름(450), 제 3 투명 접착층(460), 터치 패널(470), 제 4 투명 접착층(480), 및 편광 필름(49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을 지지한다. 지지 플레이트(410)는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또는 PU(polyurethanes)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410)는 제 1 투명 접착층(420)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후면에 부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30)을 지지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30)을 편평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30)는 제 1 투명 접착층(420)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410)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3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예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30)은 사용자 터치에 대한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터치 라인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투명 접착층(42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예의 투명 접착층(12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배리어 필름(45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30)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배리어 필름(450)은 수분 투습도가 낮은 재질, 예를 들어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리어 필름(450)은 제 2 투명 접착층(440)을 이용한 직접 본딩 공정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30), 즉 봉지층(135; 도 2 참조)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투명 접착층(440)은 상기 제 1 투명 접착층(42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제 1 투명 접착층(420)과 같거나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터치 패널(470)은 상기 배리어 필름(450) 상에 배치되어 사용자 터치에 대한 터치 위치를 검출한다. 터치 패널(470)은 제 3 투명 접착층(460)을 이용한 직접 본딩 공정에 의해 배리어 필름(45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3 투명 접착층(460)은 상기 제 2 투명 접착층(44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제 2 투명 접착층(440)과 같거나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일 예에 따른 터치 패널(47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471), 터치 전극층(미도시), 및 보호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필름(471)은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전극층은 베이스 필름(471) 상에 마련된 복수의 송신 라인(Tx) 및 복수의 수신 라인(Rx)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송신 라인(Tx)은 베이스 필름(471)의 하면에 제 1 길이 방향(Y)을 따라 미리 설정된 피치를 가지도록 나란하게 마련된다. 상기 복수의 송신 라인(Tx) 각각은 상기 제 1 길이 방향(Y)과 교차하는 제 2 길이 방향(X)을 따라 미리 설정된 피치를 갖는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TE), 및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TE) 사이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 1 브릿지(BG1)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구동 전극(TE)은 다각 형태, 예를 들어 마름모 형태의 평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브릿지(BG1)는 인접한 터치 구동 전극(TE)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복수의 수신 라인(Rx)은 베이스 필름(11)의 하면에 상기 제 2 길이 방향(X)을 따라 미리 설정된 피치를 가지도록 나란하게 마련된다. 상기 복수의 수신 라인(Rx) 각각은 상기 제 1 길이 방향(Y)을 따라 미리 설정된 피치를 가지도록 배치된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SE), 및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SE) 사이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제 2 브릿지(BG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치 센싱 전극(SE)은 상기 터치 구동 전극(TE)과 동일한 평면 형태를 가지며, 상기 터치 구동 전극(TE) 사이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터치 구동 전극(TE)과 복수의 터치 센싱 전극(SE)은 체크 무늬 형태를 가지도록 동일측에 배치되게 된다. 상기 제 2 브릿지(BG2)는 상기 제 1 브릿지(BG1)와 교차하도록 마련되어 인접한 터치 센싱 전극(SE)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복수의 송신 라인(Tx)과 상기 복수의 수신 라인(Rx) 각각은 라우팅 라인을 통해 베이스 필름(471)의 일측 가장자리 부분에 마련된 터치 패드부(PP)의 패드 전극에 일대일로 연결된다.
상기 복수의 송신 라인(Tx)과 상기 복수의 수신 라인(Rx)은 절연체층(또는 유전체층)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도록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층은 인접한 터치 구동 전극(TE)과 터치 센싱 전극(SE) 사이에 상호 정전 용량(mutual capacitance)을 형성한다. 상기 상호 정전 용량은 터치 패널(470)에 대한 사용자 터치를 센싱하는 터치 센서의 기능을 한다.
상기 복수의 송신 라인(Tx)과 상기 복수의 수신 라인(Rx) 각각은 마름모 형태의 전극(TE, SE)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극(TE, SE) 없이 바(bar)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나아가 터치 패널(470)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상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의 전극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상기 터치 전극층을 덮도록 베이스 필름(471)의 상면에 마련된다.
다시 도 6에서, 상기 편광 필름(490)은 터치 패널(470)의 상면에 부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30)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편광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편광 필름(490)은 외부 광의 반사와 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30)의 광학적 특성을 보상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편광 필름(490)은 지지 플레이트(410)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편광 필름(490)은 제 4 투명 접착층(480)을 이용한 직접 본딩 공정에 의해 터치 패널(47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 4 투명 접착층(480)은 상기 제 3 투명 접착층(46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지며, 제 3 투명 접착층(460)과 같거나 얇은 두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외곽에 위치한 지지 플레이트(410)와 편광 필름(490) 각각에 가해지는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이 기준 비율값 미만으로 설정됨으로써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예와 동일하게 벤딩 응력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배선의 손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고, 층간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터치 라인에 발생되는 크랙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5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510), 제 1 투명 접착층(5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530), 배리어 필름(540), 제 2 투명 접착층(250), 및 커버 윈도우(36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와 제 1 투명 접착층(520) 각각은 전술한 본 발명의 제 2 예의 지지 플레이트(210)와 제 1 투명 접착층(220)와 각각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530)는 제 1 투명 접착층(520)에 의해 지지 플레이트(510)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530)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예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30)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530)은 사용자 터치에 대한 터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복수의 터치 라인을 포함하지 않는다.
상기 배리어 필름(54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430), 즉 봉지층(135; 도 2 참조)의 상면에 부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530)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배리어 필름(540)은 수분 투습도가 낮은 재질, 예를 들어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윈도우(56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510)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거나, 도 5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26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커버 윈도우(560)는 상기 제 2 투명 접착제(550)을 이용한 직접 본딩 공정에 의해 배리어 필름(540)의 상면에 부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외곽에 위치한 지지 플레이트(510)와 커버 윈도우(560) 각각에 가해지는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이 기준 비율값 미만으로 설정됨으로써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예와 동일하게 벤딩 응력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배선의 손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고, 층간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터치 라인에 발생되는 크랙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210), 제 1 투명 접착층(2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30), 편광 필름(640), 제 2 투명 접착층(250), 및 커버 윈도우(66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6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편광 필름(640)과 커버 윈도우(360)를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편광 필름(640)은 지지 플레이트(210)보다 얇으면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30)의 두께보다 두꺼운 두께, 및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된 편광 필름(24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66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210)의 1/4 두께를 가지거나 도 4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260)의 절반 두께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26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6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외곽에 위치한 지지 플레이트(210)와 커버 윈도우(660) 각각에 가해지는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이 기준 비율값 미만으로 설정됨으로써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예와 동일하게 벤딩 응력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배선의 손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고, 층간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터치 라인에 발생되는 크랙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7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지 플레이트(310), 제 1 투명 접착층(2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230), 편광 필름(240), 제 2 투명 접착층(250), 및 커버 윈도우(76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7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커버 윈도우(760)를 제외하고는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3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들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 윈도우(760)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310) 또는 도 5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360)의 절반 두께를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5에 도시된 커버 윈도우(36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7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최외곽에 위치한 지지 플레이트(310)와 커버 윈도우(760) 각각에 가해지는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이 기준 비율값 미만으로 설정됨으로써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예와 동일하게 벤딩 응력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배선의 손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화되고, 층간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터치 라인에 발생되는 크랙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예들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벤딩 응력에 대한 신뢰성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1
위의 표 1에서, T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작용하는 중립면을 기준으로 상측 최외곽에 위치한 편광 필름 또는 커버 윈도우에 가해지는 벤딩 응력, B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작용하는 중립면을 기준으로 하측 최외곽에 위치한 지지 플레이트에 가해지는 벤딩 응력, DR1은 T에 대한 제 1 편차율, DR2는 B에 대한 제 2 편차율을 각각 의미한다. 그리고, 실험 예 1 내지 7 각각은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응력에 대한 신뢰성 테스트 결과이며, 비교 예는 커버 윈도우의 두께를 지지 플레이트보다 두껍게 변경한 본 발명의 제 2 예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신뢰성 테스트 결과이다.
실험 예 1 내지 7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20% 미만의 제 1 및 제 2 편차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실험 예 1 내지 7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손상과 층간 박리 현상이 발생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비교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은 20% 이상의 제 1 및 제 2 편차율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비교 예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손상과 층간 박리 현상이 발생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벤딩 영역에 작용하는 중립면을 기준으로 상측 최외곽에 위치한 편광 필름(140, 490) 또는 커버 윈도우(260, 360, 560, 690, 760)에 가해지는 상측 벤딩 응력과 상기 중립면을 기준으로 하측 최외곽에 위치한 지지 플레이트(110, 210, 310, 410, 510)에 가해지는 하측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을 기준 비율값인 20% 미만으로 설정함으로써 벤딩 응력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TFT)와 배선의 손상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고, 층간 박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터치 라인에 발생되는 크랙을 최소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부 또는 전체가 곡면 형태로 벤딩되는 벤딩 영역을 갖는 모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평면 상태로 펼치거나 설정된 곡률로 접을 수 있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일측 또는 양측 가장자리 부분이 설정된 곡률로 벤딩된 벤디드(bended) 디스플레이 장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가 곡면 형태로 휘어진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두루말이 처럼 감을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 발명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설명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벤딩 영역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또는 중립면)을 기준으로 상부 최외각에 위치하는 상부 벤딩 부재와 하부 최외각에 위치하는 하부 벤딩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7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지지 플레이트는 제 2 벤딩 응력이 가해지는 하부 벤딩 부재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4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편광 필름은 제 1 벤딩 응력이 가해지는 상부 벤딩 부재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 2, 제 3, 제 5 내지 제 7 예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커버 윈도우는 제 1 벤딩 응력이 가해지는 상부 벤딩 부재로 정의될 수 있다. 상부 벤딩 부재에 가해지는 제 1 벤딩 응력과 하부 벤딩 부재에 가해지는 제 2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은 기준 비율값,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미만으로 설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210, 310, 410, 510: 지지 플레이트
120, 220, 250, 420, 440, 460, 480, 520, 550: 투명 접착제
130, 230, 430, 53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131: 플렉서블 기판
133: 화소 어레이층
135: 봉지층
140, 240, 490, 640: 편광 필름
260, 360, 560, 660, 760: 커버 윈도우

Claims (10)

  1. 곡면 형태로 벤딩되는 벤딩 영역을 갖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 최외곽에 위치하고, 상기 벤딩 영역에서 제 1 벤딩 응력이 가해지는 상부 벤딩 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 최외곽에 위치되고, 상기 벤딩 영역에서 상기 제 1 벤딩 응력과 상반되는 제 2 벤딩 응력이 가해지는 하부 벤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벤딩 부재와 상기 하부 벤딩 부재 각각에 가해지는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은 기준 비율값 미만으로 설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비율값은 20% 미만으로 설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응력 간의 편차율은 상기 제 1 벤딩 응력에 대한 제 1 편차율 및 상기 제 2 벤딩 응력에 대한 제 2 편차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편차율은 상기 기준 비율값 미만으로 설정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편차율은 상기 제 1 및 제 2 벤딩 응력 간의 편차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벤딩 응력에 대한 상기 편차의 비율로 설정되고,
    상기 제 2 편차율은 상기 제 2 벤딩 응력에 대한 상기 편차의 비율로 설정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에 결합된 편광 필름; 및
    제 1 투명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부착된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벤딩 부재는 상기 편광 필름이고, 상기 하부 벤딩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제 2 투명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부착된 배리어 필름; 및
    제 3 투명 접착제에 의해 상기 배리어 필름의 상면에 부착된 터치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편광 필름은 제 4 투명 접착제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의 상면에 부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투명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부착된 지지 플레이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부착된 편광 필름; 및
    제 2 투명 접착제에 의해 상기 편광 필름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같거나 얇은 두께를 갖는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벤딩 부재는 상기 커버 윈도우이고, 상기 하부 벤딩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투명 접착제에 의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부착된 지지 플레이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면에 부착된 배리어 필름; 및
    제 2 투명 접착제에 의해 상기 배리어 필름의 상면에 부착된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 벤딩 부재는 상기 커버 윈도우이고, 상기 하부 벤딩 부재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194080A 2014-12-30 2014-12-3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83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080A KR20160083315A (ko) 2014-12-30 2014-12-3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080A KR20160083315A (ko) 2014-12-30 2014-12-3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3315A true KR20160083315A (ko) 2016-07-12

Family

ID=56504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080A KR20160083315A (ko) 2014-12-30 2014-12-3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331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3203B2 (en) 2016-12-30 2019-04-16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3689799A (zh) * 2018-02-13 2021-11-2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可弯折显示器
US11355718B2 (en) 2019-09-23 2022-06-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protective substrate and cushion lay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3203B2 (en) 2016-12-30 2019-04-16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CN113689799A (zh) * 2018-02-13 2021-11-2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可弯折显示器
CN113689798A (zh) * 2018-02-13 2021-11-2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可弯折显示器
CN113689798B (zh) * 2018-02-13 2023-08-22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可弯折显示器
US11355718B2 (en) 2019-09-23 2022-06-07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a protective substrate and cushion layer
US11793062B2 (en) 2019-09-23 2023-10-17 Samsung Display Co., Ltd. Carrier panel including dummy adhesive lay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1427B2 (en) Curved display device
KR102593789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EP3098855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577239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9933870B2 (en) Back plate member for flexible display,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239656B2 (en)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3681742B (zh) 有机发光显示器及其制造方法
US10725353B2 (en) Display device
KR10239379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용 백 플레이트 부재와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1383531A (zh) 可拉伸显示面板和包括其的可拉伸显示装置
US9477108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9768411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042252B2 (en) Display device
US20170110529A1 (en) Flexible Display Panel With Redundant Bent Signal Lines
US11404495B2 (en) OLED display panel, fabrication method thereof and OLED display device
KR20200002576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US20200161590A1 (en) Display Apparatus
KR20210086284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7353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20160083315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71919B1 (ko) 표시 장치
KR102444979B1 (ko) 터치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터치표시장치
US10551979B2 (en) Touch display device
US2022039951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specting the same
US11372505B2 (en) Touch display panel,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