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935A - 미디어 데이터의 제공, 관리, 거래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미디어 데이터의 제공, 관리, 거래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935A
KR20160082935A KR1020150188901A KR20150188901A KR20160082935A KR 20160082935 A KR20160082935 A KR 20160082935A KR 1020150188901 A KR1020150188901 A KR 1020150188901A KR 20150188901 A KR20150188901 A KR 20150188901A KR 20160082935 A KR20160082935 A KR 20160082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piece
report data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리진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리진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리진픽스
Publication of KR20160082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1Item configuration or custo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F17/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복수의 제보자 단말로부터 영상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제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보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정보, 공간정보 또는 센싱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제보 데이터를 시공간 단위로 분류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시간, 공간, 또는 사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을 수신하면, 해당하는 제보 데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디어 데이터의 제공, 관리, 거래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ing, managing, and trading media data}
본 발명은 복수의 제보자들이 제공한 영상이나 소리 등의 미디어 데이터를 제공, 관리, 거래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보급률이 급증함에 따라, 일반인이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사건 관련 사진이나 동영상 자료가 언론사에 의해 활용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언론사는 일반인의 제보 사진 등을 수동적으로 제공받을 뿐 적극적으로 일반인의 제보 사진을 수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일반인의 경우 촬영한 사진의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한 경우에 이를 언론사에 제보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며, 제보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어떤 언론사에 어떻게 제보할지를 잘 모르는 경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적절한 보상을 받는데에도 한계가 있다.
국내특허공개공보 제2010-0008103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의 제보자로부터 제공받은 미디어 데이터를 언론사 등과 같은 복수의 구매자가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미디어 데이터의 제공, 관리, 거래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의 일 예는,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에서 제보 데이터를 거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복수의 제보자 단말로부터 영상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제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보 데이터에 대한 시간정보, 공간정보 또는 센싱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제보 데이터를 시공간 단위를 기초로 상황별로 분류하는 단계; 구매자 단말로부터 시간, 공간, 또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요청에 해당하는 상황별 제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의 일 예는, 복수의 제보자 단말로부터 영상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제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시간, 공간, 또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검색된 제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수신부; 제보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정보, 공간정보 또는 센싱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제보 데이터를 시공간 단위로 분류하고, 시공간 단위로 분류된 제보 데이터들이 나타내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공부; 및 상기 구매자 단말의 구매 요청에 해당하는 제보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부;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의 다른 일 예는, 제보자 단말에서의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보자 단말은, 영상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제보 데이터의 생성시 상기 제보 데이터를 지정된 장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보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보 데이터의 전송과 삭제 사이에 사용자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상기 제보 데이터의 접근을 차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의 다른 일 예는, 구매자 단말에서의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단말은, 시간, 공간, 또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에 해당하는 복수의 제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보 데이터의 진실성과 신속 전달성을 보장하고, 제보 데이터의 전달 과정과 보관 과정을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할 수 있으며, 제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보도 또는 진실 규명 등에 가치가 높은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구매자가 제보 데이터를 구매하는데 편리함을 제공하고, 제보자에게 보상하는 일련의 과정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 거래를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를 가공하고 해석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의 또 다른 가공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의 일 실시 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의 구매 방법의 일 실시 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자 단말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자 단말에서 제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법의 일 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 거래를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110)는 복수의 제보자 단말(100,102), 복수의 구매자 단말(120,122), 그리고 관리자 단말(130)과 유무선 통신망(140)을 통해 연결된다.
제보자 단말(100,102)은 상황에 대한 영상(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이나 소리 등을 포함하는 제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는 각종 단말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황은 교통사고나 화재 등과 같은 사건이나 사고 현장뿐만 아니라 일상 풍경이나 사료적 가치가 높은 영상이나 소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보 데이터는 '제보'의 용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영상이나 소리, 전자문서 등 각종 형태의 미디어 데이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 다만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에서 '제보 데이터'로 기재한다. 제보자 단말(100,102)의 일 예로, 카메라 또는 스피커 등을 외장 또는 내장하고 통신 가능한 스마트폰, 테블릿PC 등이 있다.
제보자는 사건이나 사고 발생시 제보자 단말(100,102)을 이용하여 제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미리 지정된 장소(예를 들어,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110) 또는 제3의 저장 서버 등)로 전송한다. 제보자는 제보에 따른 합리적인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110)는 복수의 제보자 단말(100,102)로부터 수신한 제보 데이터를 저장, 가공하고, 재해석하여 구매자가 구매하기 편리하도록 제공할 뿐만 아니라 제보 데이터의 가치에 따라 제보자에게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110)는 제보 데이터를 단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시공간 단위를 기초로 제보 데이터들을 상황별(즉, 교통사고 사건이나 화재 사건 등)로 분류하고, 각 상황의 핵심적 사실을 추출하여 구매자의 구매 활동에 편리함을 제공한다. 제보 데이터의 가공 및 재해석 과정의 일 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구매자 단말(120,122)은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110)에 접속하여 제보 데이터를 검색하고 수신할 수 있는 각종 단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구매자 단말(120,122)은 일반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120,122)을 통해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110)에 접속하여 분류, 가공 또는 재해석된 제보 데이터들을 자신의 목적에 맞게 구매할 수 있다. 구매자는 언론사 뿐만 아니라, 수사기관이나 일반인 등 다양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130)은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110)에 접속하여 필요한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각종 단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130)은 일반 컴퓨터,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자 단말(130)을 통해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로부터 제보 데이터의 송수신 등을 비롯한 각종 이벤트 발생시 알람 정보를 수신하거나, 각종 관리 업무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110)는 송수신부(200), 데이터베이스(210), 키관리부(220), 가공부(230), 검증부(240), 검색부(250), 보상부(260), 과금부(270) 및 메시지 처리부(28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200)는 제보자 단말로부터 제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구매자 단말에게 제보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제보 데이터는 정지영상이나 동영상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데이터로서 종류, 크기, 형태, 관련 상황 등이 다양하다. 실시 예에 따라 송수신부(200)는 제보자 단말로부터 센싱 정보(위치정보 등)를 포함하는 제보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제보 데이터와 센싱 정보를 각각 별도로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200)는 복수의 파일로 분할된 제보 데이터를 다중 전송 경로를 통해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110)는 복수의 프록시 서버(proxy server)를 통해 제보 데이터를 구성하는 복수의 파일을 다양한 경로로 수신한 후 이를 결합하여 제보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제보 데이터에는 제보자 등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식별정보가 부여된다. 식별정보는 제보 데이터의 파일 이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식별정보는 제보자 식별값과 제보 데이터의 생성시각을 조합한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보 데이터와 센싱 정보가 각각 수신되는 경우에는 두 데이터 사이의 맵핑을 위하여 제보 데이터와 센싱 정보에 동일한 식별정보가 부여된다. 또한 제보 데이터가 복수의 파일로 분할되는 경우에 복수의 파일에 제보 데이터의 식별정보가 동일하게 부여된다.
데이터베이스(210)는 복수의 제보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보 데이터들을 종류, 크기, 형태, 관련 상황 등에 따라 분류하고 저장한다. 데이터베이스(210)는 제보 데이터를 다양한 크기로 만들어 저장한 후 구매자가 원하는 크기의 제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10)는 도 3에서 살피는 원천 데이터(즉, 제보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그대로의 데이터)뿐만 시공간 단위를 기준으로 사건별로 분류된 제보 데이터들을 저장하고, 구매자의 요청에 해당하는 사건별 제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베이스(210)는 저장 공간의 효율성을 위하여 제보 데이터별로 유효기간을 설정한 후 해당 유효기간이 경과한 제보 데이터를 폐기할 수 있다. 제보 데이터별 유효기간은 상황의 종류나 가치 등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키 관리부(220)는 제보자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을 위한 암호화키(예를 들어, 공개키-비밀키)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예를 들어, 키 관리부(220)는 제보자 단말에게 공개키를 제공하고, 제보자 단말로부터 공개키로 암호화된 제보 데이터를 수신하면 이를 비밀키로 복호화한다. 또한 키 관리부(220)는 구매자 단말로 전송할 제보 데이터를 공개키로 암호화한다.
가공부(230)는 복수의 제보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제보 데이터를 시공간 단위를 기준으로 취합, 분석하여 사건별 제보 데이터로 가공하고 재해석한다. 예를 들어, 가공부(230)는 제보 데이터에 대한 공간 정보(즉, 제보 데이터 생성 위치)와 시간 정보(즉, 제보 데이터 생성 시간)를 이용하여 제보 데이터를 상황별 시공간 단위로 분류하고, 상황별 분류된 제보 데이터를 입체적 분석이 가능하도록 재해석한다. 가공부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도 3에서 다시 살펴본다.
검증부(240)는 수신한 제보 데이터가 위조 또는 변조되었는지를 검증한다. 검증부(240)는 제보 데이터에 포함된 워터마크 또는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을 이용하여 제보 데이터의 진실성을 검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보자 단말은 제보 데이터 생성시 워터마크를 포함시키고, 검증부(240)는 제보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보 데이터에 정당한 워터마크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기초로 진실성을 검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검증부(240)는 제보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정보, 공간정보 또는 센싱 정보를 이용하여 제보 데이터의 진실성을 검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검증부(240)는 제보 데이터에 포함된 환경정보(일 예로, 기상 정보 등)가 실제 제보 데이터 생성공간의 환경정보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진실성을 검증할 수 있다.
제보 데이터의 영상을 통해 기상(예를 들어, 구름, 비, 눈 등)에 관한 환경 정보 파악할 수 있고, 녹음 데이터를 통해 주변 잡음소리(예를 들어, 자동차 소리, 종소리, 빗소리, 강물 소리 등) 등의 환경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보자 단말에서 측정된 온도나 습도, 조도, 방향 정보 등과 각종 환경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제보 데이터의 영상이나 소리 등을 분석하여 환경 정보를 파악하는 방법은 종래의 다양한 이미지 처리 분석 방법 또는 소리 분석 방법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보 데이터를 생성할 때의 실제 환경정보는 제보 데이터에 대한 공간정보와 시간정보를 이용하여 기상청 시스템이나 지리 정보 시스템 등을 검색하여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보 데이터의 영상에는 구름 한점 없는 맑은 날씨이나, 기상청 등으로부터 파악한 제보 데이터의 생성 시공간에 대한 날씨는 구름이 많은 경우라면, 해당 제보 데이터를 진실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한다.
또 다른 예로, 제보 데이터의 소리에는 복잡한 도시공간에서 나타나는 자동차 잡음이 있으나, 외부 지리 정보 데이터베이스 등을 통해 파악된 제보 데이터의 생성 공간이 한적한 시골이라면, 해당 제보 데이터를 진실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한다.
검색부(250)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제보 데이터의 구매 또는 검색 요청이 있으면 해당하는 제보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한다. 구매자 단말이 공간 정보, 시간 정보 또는 사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또는 검색 요청을 전송하면, 검색부는 해당하는 제보 데이터를 검색한다.
검색부(250)는 가공부(240)에 의해 가공되지 아니한 제보 데이터(즉, 원천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많은 수의 잡음 제보 데이터가 무작위로 검색되어 제공되므로 구매자가 일일이 원하는 영상을 검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검색부(250)는 가공부(240)에 의해 가공된 제보 데이터(즉, 가공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검색부(250)는 검색된 제보 데이터들을 단순히 나열하여 구매자에게 제시할 수 있으나, 구매자가 보다 편리하게 원하는 제보 데이터를 찾을 수 있도록 제보 데이터를 상황의 중심 객체를 중심으로 입체적으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특정 교통사고 현장에 대한 제보 데이터를 원하는 경우에, 검색부(250)는 교통사고의 발생 장소와 시간 등을 기초로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해당 사건으로 분류 가공된 제보 데이터를 검색한 후 교통사고 현장을 중심으로 여러 시점으로 볼 수 있도록 제보 데이터를 구매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검색부(250)는 제보 데이터들을 그 가치에 따라 등급별로 구분하여 구매자가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상부(260)는 제보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보 데이터에 대해 일종의 경제적 보상을 평가한다. 예를 들어, 제보 데이터에 상황의 핵심적 사실이 포함되어 있어 진실 보도나 사건 진실 등에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는 다른 경우보다 더 높은 경제 가치를 부여하고, 소정의 공식에 의해 제보자에게 보상할 경제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보상부(260)는 제보자별 보상금액의 순위 또는 제보자별 제보 데이터의 판매 순위 등을 파악하여 복수의 제보자 단말에게 제공하여 제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유발할 수 있다.
과금부(270)는 구매자가 제보 데이터를 구매할 경우에 해당 제보 데이터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다. 과금부(270)는 종래의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메시지 처리부(280)는 제보 데이터의 수신 또는 제보 데이터의 구매요청이 있는 경우에 이를 관리자 단말로 알려주거나, 제보자 단말 또는 구매자 단말과 소정의 메시지를 주고 받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를 가공하고 해석하는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복수의 제보자 단말(100,102)로부터 제보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보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보 데이터 그 자체를 원천 데이터(300)라고 한다.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원천 데이터를 가공하여 가공 데이터(310)를 생성한다. 여기서 가공 데이터라고 함은 원천 데이터를 취합, 분석 등의 과정을 통해 시공간적으로 재구성하거나 핵심적 사실 추출의 과정을 거친 결과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시공간 단위를 기초로 사건별로 분류된 제보 데이터들이 가공 데이터에 해당한다.
가공 방법의 일 예로, 복수의 제보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원천 데이터(300)에 상황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제보자가 텍스트로 입력하거나 음성으로 입력한 사건이나 사고의 종류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상황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제보자들의 원천 데이터(300)를 상황별로 분류한 가공 데이터(310)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한다.
가공 방법의 다른 예로, 복수의 제보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보 데이터에 상황에 관한 직접적인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제보 데이터에 대한 공간정보, 시간정보 또는 센싱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제보자들의 제보 데이터들을 시공간단위를 기초로 동일 사건별로 분류한 가공 데이터(310)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단순히 시간과 공간의 단위로만 제보 데이터들을 분류하면, 시공간단위의 경계에서 발생한 상황이 제대로 분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시공간 단위를 정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제보 데이터를 통해 파악되는 상황의 종류나 제보 데이터의 시간 밀도나 공간 밀도 등을 기초로 사건별 분류를 위한 시공간 단위의 범위를 동적으로 설정하여 정확하게 상황별 제보 데이터를 분류할 수 있다. 즉 제보 데이터의 수신 밀도가 일정 값 이상인 시간과 공간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를 제보 데이터의 분류를 위한 시공간 단위로 설정하고, 해당 시공간 단위에 속한 제보 데이터들을 동일 상황의 제보 데이터로 분류한다.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상황의 입체적 분석을 위한 재해석 과정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제보자들에 의해 다양한 관점으로 촬영 또는 녹음된 상황별 복수의 제보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황의 입체적 분석이 가능하도록 제보 데이터들의 시점들을 분류 정리하여 제공한다. 이를 통해, 어느 한 제보자의 제보 데이터만으로 판별하기 어려운 핵심적 사실의 추출이 가능해 진다.
예를 들어,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사건별 제보 데이터들(즉, 가공 데이터)(330)을 사건의 중심 객체(340)를 중심으로 입체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제보 데이터에 방향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이를 이용하여 중심 객체(340)를 중심으로 각 제보 데이터(330)의 상대적 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 제보자 단말이 교통사고 현장의 영상을 포함하는 제보 데이터와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파악한 방향 정보를 함께 전송한 경우에,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방향정보를 기초로 해당 제보 데이터(330)를 해당 방향에 배치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의 제보 데이터를 배치할 경우 관리자나 구매자는 도 3과 같이 교통사건 현장과 같은 중심 객체를 여러 시점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2차원 이미지를 3차원 이미지로 변환하는 종래의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복수의 제보자들에 의해 촬영된 정지 영상을 포함하는 제보 데이터로부터 상황의 중심 객체(예를 들어, 교통사고인 경우에는 교통사고 차량 등)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보 데이터가 동영상을 포함하는 경우에,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종래의 다양한 동영상 시점 전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입체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의 또 다른 가공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보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제보 데이터는 포함하고 있는 정보의 가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 현장을 정확하게 촬영한 제보 데이터(400), 그 일부를 촬영한 제보 데이터(410) 또는 교통사고의 주변만이 촬영된 제보 데이터(420) 등이 있을 수 있다.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이러한 제보 데이터들이 포함하고 있는 정보의 가치를 기초로 제보 데이터의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관리자로부터 각 제보 데이터의 등급을 입력받거나, 제보 데이터의 영상을 분석하여 각 상황에 맞는 중심 객체가 중심에 위치하는지, 중심 객체의 크기가 얼마의 크기로 촬영되어 있는지 여부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그 가치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에 대한 제보 데이터인 경우에,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제보 데이터에 포함된 영상에 중심 객체, 즉 사고 차량의 위치(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정도)나 사고 차량이 차지하는 이미지 크기의 비율(즉, 상황의 중심 객체의 영상 크기 비율)등을 종래의 다양한 영상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파악한 후 등급을 부여할 수 있다. 관리자는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가 자동으로 부여한 등급을 관리자 단말을 통해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의 일 실시 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복수의 제보자 단말로부터 제보 데이터를 수신한다(S500).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다양한 장소와 다양한 시간, 다양한 제보자들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제보 데이터들을 시공간 단위를 이용하여 상황별로 분류하고 가공한다(S510). 이때 시공간 단위는 미리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동적으로 그 구간이 설정될 수 있다. 제보 데이터를 가공하고 입체적 해석하는 방법의 일 예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상황별로 분류하고 가공한 제보 데이터를 관리자나 구매자가 입체적으로 해석가능하도록 재해석의 과정을 수행한다(S520). 즉,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제보 데이터들을 사건의 중심 객체를 기준으로 그 생성 위치나 방향에 따라 상대적으로 배치하여 구매자 등이 원하는 방향에서 사건을 바라볼 수 있도록 하거나, 3차원 이미지로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제보 데이터들이 포함하고 있는 정보의 가치에 따라 그 등급을 부여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구매자 단말로부터 구매 요청을 수신하면(S530), 구매 요청에 해당하는 제보 데이터들을 검색하여 구매자 단말에게 제공한다(S540,S550).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도 3에서 살핀 원천 데이터들 중 구매 요청에 해당하는 것들을 검색하여 제공할 수도 있으나, 구매자의 구매가 보다 용이할 수 있도록 시공간 단위로 분류하고 가공한 가공 데이터를 검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매자의 구체적인 구매 과정에 대해서는 도 6에서 다시 살펴본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 데이터의 구매 방법의 일 실시 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구매자 단말은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에 접속한다(S600). 구매자 단말은 구매자가 입력한 조건을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에 전송하고(S610),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조건에 해당하는 제보 데이터를 검색하여 표시한다(S620). 이때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도 3에서 살핀 원천 데이터들을 검색하기보다는 가공 데이터를 기초로 사건별 제보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검색된 제보 데이터의 입체적 해석이 가능하도록 제보 데이터를 상황의 중심 객체를 중심으로 입체적으로 표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표시되는 제보 데이터들 중 구매를 원하는 제보 데이터를 선택하고(S630), 결제한다(S640).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결제 완료된 제보 데이터를 구매자 단말에게 전송한다(S650).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제보 데이터를 전송할 때 구매자가 등록한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자 단말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보자 단말(700)은 카메라(710), 마이크(720), 센싱부(730), 데이터 생성부(740), 분할부(750), 암호화부(760), 전송부(770) 및 삭제부(78)를 포함한다. 제보자 단말에는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카메라(710), 마이크(720), 센싱부(730) 등은 영상, 소리, 각종 센싱값들을 생성한다. 센싱부(730)는 GPS 센서, 모션 센서, 지자기 센서, 조도 센서, 기압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RGB 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740)는 카메라(710), 마이크(720) 또는 센싱부(730)를 통해 생성된 정보를 포함하는 제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보자가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 후 카메라(710)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면, 데이터 생성부(740)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제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데이터 생성부(740)는 센싱부를 통해 파악된 각종 센싱 정보(예를 들어, GPS 정보, 시간 정보)를 제보 데이터에 포함시키거나 별도의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생성부(740)는 제보 데이터에 부여할 식별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식별정보는 제보 데이터의 파일이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식별정보는 제보자 단말이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로부터 부여받은 제보자 식별자와 제보 데이터의 생성시각을 조합하여 생성될 수 있다. 센싱 정보가 제보 데이터와 별개로 전송되는 경우에, 센싱 정보에는 제보 데이터에 부여된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가 부여된다.
분할부(750)는 제보 데이터를 복수의 파일로 분할한다. 분할부(750)는 제보 데이터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인 경우에만 기 설정된 크기의 파일로 분할할 수 있다. 분할부(750)는 각 분할된 파일에 모두 식별정보를 부여하여,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에서 분할된 파일의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실시 예에 따라 분할부(750)는 생략될 수 있다.
암호화부(760)는 제보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예를 들어, 암호화부(760)는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공개키를 이용하여 제보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이 외에, 암호화부(760)는 제보 데이터에 워터마크 등을 추가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암호화부(760)는 생략될 수 있다.
제보 데이터는 암호화부(760)에 의해 암호화된 후 분할부(750)에 의해 복수의 파일로 분할되거나, 반대로 복수의 파일로 분할된 후 각 파일이 암호화될 수 있다.
전송부(770)는 제보 데이터를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로 전송한다.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은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의 주소정보(예를 들어, 인터넷 주소 정보)를 미리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보자는 제보 데이터의 수신주소를 일일이 입력할 필요가 없다. 제보 데이터의 제보자의 조작 없이 미리 지정된 장소로 전송되므로, 제보 데이터가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위변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보 데이터 전달의 신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제보 데이터를 복수의 파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전송부(770)는 각 파일의 전송 경로를 파악한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프록시 서버가 존재하는 경우에, 전송부(770)는 복수의 프록시 서버를 통해 다중 경로로 전송할 수 있다.
삭제부(780)는 제보자 단말의 로컬에 존재하는 제보 데이터를 삭제한다. 삭제부(780)는 제보 데이터의 생성시점부터 제보 데이터의 전송 사이에, 제보자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제보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고, 제보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전송되었다면 로컬에 존재하는 제보 데이터를 삭제한다.
제보 데이터의 삭제 시점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경우에, 삭제부(780)는 제보 데이터를 암호화한 파일이 생성되는 시점에 바로 원본 제보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보자 단말에서 제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방법의 일 예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보자 단말은 제보자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S800). 제보자 단말은 제보자의 조작 등에 따라 카메라, 마이크 등을 통해 영상이나 소리 등을 포함하는 제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제보 데이터에 식별정보를 설정한다(S810). 또한 제보자 단말은 각종 센싱 정보를 파악하여 제보 데이터에 부여한 식별정보와 동일한 식별정보를 센싱 정보에 부여한 할 수 있다.
제보자 단말은 실시 예에 따라 제보 데이터를 암호화하거나 분할할 수 있다(S820).
제보자 단말은 제보 데이터를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로 전송하고(S830), 제보자 단말에 저장된 제보 데이터를 삭제한다(S840). 또한 제보자 단말은 제보 데이터의 생성과 전송 사이에 사용자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이 제보 데이터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보 데이터의 위변조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보 데이터의 삭제 시점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에서 제보 데이터를 거래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보 데이터 거래 장치는,
    복수의 제보자 단말로부터 영상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제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보 데이터에 대한 시간정보, 공간정보 또는 센싱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제보 데이터를 시공간 단위를 기초로 상황별로 분류하는 단계;
    구매자 단말로부터 시간, 공간, 또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 요청에 해당하는 상황별 제보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황의 입체적 해석이 가능하도록 제보 데이터의 생성 방향을 기초로 제보 데이터들을 중심 객체에 대한 상대적 위치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보 데이터들 중 각 제보 데이터에 포함된 상황의 중심 객체에 대한 정보의 질을 기초로 파악되는 제보 데이터의 등급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보자 단말 또는 상기 구매자 단말을 위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보자 단말로부터 암호화되어 수신된 제보 데이터를 복호화하거나, 제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제보 데이터가 복수 개의 파일을 분할되어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복수 개의 파일에 부여된 식별정보를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파일을 순서대로 합쳐 상기 제보 데이터를 복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
  6. 제 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제보 데이터에 부여된 식별정보는 제보자 식별값과 상기 제보 데이터의 생성 시간 정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보자 단말은, 영상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제보 데이터의 생성시 지정된 장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보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보자 단말은, 상기 제보 데이터의 생성과 전송 사이에 사용자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상기 제보 데이터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
  8. 복수의 제보자 단말로부터 영상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제보 데이터를 수신하고, 구매자 단말로부터 시간, 공간, 또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을 수신하고 검색된 제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수신부;
    제보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정보, 공간정보 또는 센싱정보를 기초로 복수의 제보 데이터를 시공간 단위로 분류하고, 시공간 단위로 분류된 제보 데이터들이 나타내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가공부; 및
    상기 구매자 단말의 구매 요청에 해당하는 제보 데이터를 검색하는 검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
  9. 제보자 단말에서의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보자 단말은,
    영상 또는 소리를 포함하는 제보 데이터의 생성시 상기 제보 데이터를 지정된 장소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보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보 데이터의 전송과 삭제 사이에 사용자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상기 제보 데이터의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주소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보 데이터를 복수 개의 파일로 분할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파일에 제보자 식별값과 상기 제보 데이터의 생성시간을 조합하여 생성한 식별정보를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파일을 상기 지정된 주소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장소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보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
  12. 구매자 단말에서의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단말은,
    시간, 공간, 또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구매 요청에 해당하는 복수의 제보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받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보 데이터를 사건 중심 객체를 중심으로 입체적으로 배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보 데이터를 선택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보 데이터 거래 방법.
  14. 제 1항, 제 9항 또는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50188901A 2014-12-29 2015-12-29 미디어 데이터의 제공, 관리, 거래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0829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564 2014-12-29
KR20140192564 2014-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935A true KR20160082935A (ko) 2016-07-11

Family

ID=5649954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870A KR101646733B1 (ko) 2014-12-29 2015-08-24 미디어 데이터 분류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50124948A KR20160082917A (ko) 2014-12-29 2015-09-03 미디어 데이터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50188901A KR20160082935A (ko) 2014-12-29 2015-12-29 미디어 데이터의 제공, 관리, 거래 방법 및 그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870A KR101646733B1 (ko) 2014-12-29 2015-08-24 미디어 데이터 분류 방법 및 그 장치
KR1020150124948A KR20160082917A (ko) 2014-12-29 2015-09-03 미디어 데이터 검증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101646733B1 (ko)
WO (1) WO20170343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8589B (zh) 2016-12-14 2019-02-22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实体信息验证方法及装置
US11893647B2 (en) 2017-04-27 2024-02-06 Snap Inc. Location-based virtual avatars
US20220237224A1 (en) * 2021-01-25 2022-07-28 EmergeX, LLC Methods and system for coordinating uncoordinated content based on multi-modal metadata through data filtration and synchronization in order to generate composite media asse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103A (ko) 2008-07-15 2010-01-25 박용석 중개사이트를 이용한 기사제보 활성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450A (ko) 2003-10-28 2005-05-03 이원형 디지털사진의 저작권 보호 및 위변조 검출을 위한 하이브리드 디지털 워터마킹
KR101345284B1 (ko) * 2005-07-20 2013-12-27 한국과학기술원 멀티미디어 컨텐츠 부호화/재생 방법 및 장치
US8094948B2 (en) * 2007-04-27 2012-01-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hoto classification using optical parameters of camera from EXIF metadata
KR101362764B1 (ko) 2007-07-02 201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진 파일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982192B1 (ko) * 2008-12-09 2010-09-1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사진의 촬영 위치 및 방향 정보 태깅 방법과 그 장치
KR101086243B1 (ko) 2009-06-24 2011-12-01 대한민국 디지털사진 위조 검출 방법
KR101618277B1 (ko) * 2010-06-10 2016-05-09 (주)에스모바일 영상통화를 이용한 위치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964348B1 (ko) * 2012-05-18 2019-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디어 기기에서의 콘텐츠 정렬 방법 및 장치와 그 방법에 대한 프로그램 소스를 저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8103A (ko) 2008-07-15 2010-01-25 박용석 중개사이트를 이용한 기사제보 활성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917A (ko) 2016-07-11
KR101646733B1 (ko) 2016-08-09
KR20160082915A (ko) 2016-07-11
WO2017034309A1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628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for security surveillance systems with mobile input capture devices
US951437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and 3-dimensional (3D) display for surveillance systems
US951628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and 3-dimensional (3D) display for surveillance systems in retail stores
US974750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for surveillance systems with unmanned aerial devices
US9516279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3-dimensional (3D) analytics for surveillance systems
US951627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and 3-dimensional (3D) playback for surveillance systems
US11423126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a media file by automatically applying security features to select portions of media file content
US951437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3-dimensional (3D) cloud-based analytics for security surveillance in operation areas
US102170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analytics for security surveillance in operation areas
US96865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utomated cloud-based video surveillance system
CN108512653A (zh) 一种基于区块链的电子证据采集和服务方法
US8266712B2 (en) Privacy through artificial contextual data generation
KR101599628B1 (ko) 교통사고영상 제보시스템
US1112027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analytics for security surveillance in operation areas
US201600631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utomated Cloud-Based Video Surveillance System
KR20160082935A (ko) 미디어 데이터의 제공, 관리, 거래 방법 및 그 장치
KR102137912B1 (ko) 경도선 및 위도선의 3d 격자망 좌표를 이용한 개방형 정보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US20220335469A1 (en) Method of creating and using id code number based on grid coordinates of longitude line and latitude line and method of providing open-type information sharing service using same
JP5327926B2 (ja) 画像記録装置
Oh et al. CMS (Content Management System) Model studies for Security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