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926A - 통신 시스템에서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926A
KR20160082926A KR1020150185734A KR20150185734A KR20160082926A KR 20160082926 A KR20160082926 A KR 20160082926A KR 1020150185734 A KR1020150185734 A KR 1020150185734A KR 20150185734 A KR20150185734 A KR 20150185734A KR 20160082926 A KR20160082926 A KR 20160082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qi
beams
fed back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5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호
송영석
이준환
최은영
고영조
방승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982,43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191201A1/en
Publication of KR20160082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복수의 빔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CQI 전송 모드에 따라서 피드백할 빔의 CQI를 측정하고, CQI 전송 모드에 따라서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한 후에, 측정한 빔의 CQI 정보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INFORMATION OF BEAMS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빔을 운영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빔별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정보를 기지국에 피드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 등 대부분의 이동통신 시스템은 30GHz 이하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지국과 단말 사이에 각종 건물 등 클러스터가 다수 존재하는 리치 스캐터링(rich scattering) 환경을 가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리치 스캐터링 환경에서는 기지국에 다수의 안테나를 설치하여 프리코딩을 통해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를 이용하여 하나의 단말에 다수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다수의 사용자를 동시에 지원하기에 용이하다.
반면 밀리미터파 대역에서는 신호의 감쇠가 심하고, 건물 벽면 등에서의 전파 반사 특성도 좋지 않아 옥외의 경우 리치 스캐터링 환경이 만들어지기 쉽지 않다. 따라서 가시선(Line-of-Sight, LoS) 영역에 있는 단말에 지향성 빔을 사용하는 방법이 밀리미터파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빔 이득이 있는 지향성 빔을 생성하면 빔 폭이 좁아지게 되므로, 하나의 기지국이 셀을 완전히 커버하고, 여러 위치에 있는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에서 여러 개의 빔을 동시에 생성하고 이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하나의 단말에도 여러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에서 여러 개의 빔을 동시에 운영하는 것이 필수이다.
한편, 기지국이 단말에 데이터를 전송할 때 최적의 성능을 얻기 위해서는 단말이 서빙 기지국의 서빙 빔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신호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을 바탕으로 CQI를 생성해서 기지국에 알려주고, 기지국은 CQI를 기반으로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의 부호화율(code rate) 및 데이터의 크기 등을 결정하게 된다.
이때 기지국이 복수의 빔을 운영하는 경우, 단말은 여러 빔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게 되고, 각 빔에 포함되어 있는 파일럿 신호 등 미리 알려진 신호를 이용하여 빔 별로 SNR 및 CQI를 생성한다. 기지국에서 최적의 단말 스케줄링을 위해서 각 단말은 여러 빔에 대해서 측정한 CQI를 기지국으로 피드백한다. 각 단말이 여러 빔에 대한 CQI를 피드백 해주어야만 기지국은 단말이 어떤 빔에서 현재 간섭을 받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고 간섭을 고려하여 최적의 성능을 내는 단말 스케줄링 및 전송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기지국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빔의 수가 많아지면, 단말이 기지국으로 피드백해야 할 CQI 정보도 많아져서, 피드백 오버헤드가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다중 빔을 운영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빔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은 기지국으로부터 CQI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CQI 전송 모드에 따라서 피드백할 빔의 CQI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CQI 전송 모드에 따라서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측정한 상기 CQI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비트맵에서 피드백 할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제1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트맵에서 피드백하지 않을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상기 제1 값과 다른 제2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의 각 비트는 상기 복수의 빔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비트맵에서 상기 단말의 서빙빔을 제외한 나머지 빔 중에서 피드백 할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제1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트맵에서 피드백하지 않을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상기 제1 값과 다른 제2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의 각 비트는 상기 복수의 빔 중에서 상기 서빙빔을 제외한 나머지 빔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빔에 대하여 모든 가능한 빔들의 조합에 각각 대응하는 숫자가 저장된 테이블을 상기 기지국과 공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테이블로부터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에 해당하는 숫자를 선택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필드, 제2 필드 및 제3 필드로 구성되는 비트 스트림을 이용하여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드는 상기 제3 필드에서 추출되는 빔의 개수를 나타내고, 상기 제3 필드는 상기 빔의 개수에 해당하는 빔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3 필드에 포함되는 빔이 CQI 정보를 피드백 할 빔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빔의 개수에 해당하는 빔의 정보는 CQI 정보를 피드백 할 빔의 조합에 해당하는 숫자를 나타내는 비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빔 각각이 서빙 빔으로 설정될 때 모드별 CQI 정보를 피드백 받을 빔들의 조합이 저장된 테이블을 상기 기지국과 공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빔 중 어느 하나의 빔이 서빙 빔으로 결정될 때 상기 테이블로부터 상기 서빙 빔에 해당하는 복수의 모드 중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에 해당하는 모드의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시그널링을 통해서 추가 또는 제거할 빔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드백할 빔의 CQI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빔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그리고 피드백할 그룹의 대표 CQI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백할 그룹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빔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가 제공된다.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장치는 프로세서, 그리고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CQI 전송 모드에 따라서 피드백할 빔의 CQI를 측정하고, 상기 CQI 전송 모드에 따라서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기는 기지국으로부터 CQI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뒤 상기 피드백할 빔의 CQI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빔 중에서 피드백 할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제1 값으로 설정하고 피드백하지 않을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상기 제1 값과 다른 제2 값으로 설정한 비트맵을 생성하며, 상기 비트맵의 각 비트는 상기 복수의 빔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서빙빔을 제외한 나머지 빔 중에서 피드백 할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제1 값으로 설정하고 피드백하지 않을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상기 제1 값과 다른 제2 값으로 설정한 비트맵을 생성하며, 상기 비트맵의 각 비트는 상기 복수의 빔 중에서 상기 서빙빔을 제외한 나머지 빔 각각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빔에 대하여 모든 가능한 빔들의 조합에 각각 대응하는 숫자가 저장된 테이블로부터,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에 해당하는 숫자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제1 필드, 제2 필드 및 제3 필드로 구성되는 비트스트림으로 생성하며, 상기 제2 필드는 상기 제3 필드에 포함된 빔의 개수를 나타내고, 상기 제3 필드는 상기 빔의 개수에 해당하는 빔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3 필드에 포함되는 빔이 CQI 정보를 피드백 할 빔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빔의 개수에 해당하는 빔의 정보는 CQI 정보를 피드백 할 빔의 조합에 해당하는 숫자를 나타내는 비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빔 각각이 서빙 빔으로 설정될 때 모드별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들의 조합이 저장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빔 중 어느 하나의 빔이 서빙 빔으로 결정될 때 상기 서빙 빔에 해당하는 복수의 모드 중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에 해당하는 모드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빔이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된 경우에 피드백할 그룹의 대표 CQI를 측정하고,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는 상기 피드백할 그룹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다중 빔을 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빔별 CQI를 피드백하기 위한 피드백 오버헤드를 최소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빔을 운영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7은 각각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실시 예에 따른 CQI 전송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빔별 CQI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빔별 CQI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단말(terminal)은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이동국(mobile station, MS), 진보된 이동국(advanced mobile station, AMS), 고신뢰성 이동국(high reliability mobile station, HR-MS),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SS), 휴대 가입자국(portable subscriber station, PSS), 접근 단말(access terminal, AT),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MT, MS, AMS, HR-MS, SS, PSS, AT, UE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지국(base station, BS)은 진보된 기지국(advanced base station, ABS), 고신뢰성 기지국(high reliability base station, HR-BS), 노드B(node B), 고도화 노드B(evolved node B, eNodeB), 접근점(access point, AP), 무선 접근국(radio access station, RAS), 송수신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MMR(mobile multihop relay)-B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기(relay station, 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중계 노드(relay node, RN),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진보된 중계기(advanced relay station, ARS), 기지국 역할을 수행하는 고신뢰성 중계기(high reliability relay station, HR-RS), 소형 기지국[펨토 기지국(femto BS), 홈 노드B(home node B, HNB), 홈 eNodeB(HeNB), 피코 기지국(pico BS), 메트로 기지국(metro BS), 마이크로 기지국(micro BS) 등] 등을 지칭할 수도 있고, ABS, 노드B, eNodeB, AP, RAS, BTS, MMR-BS, RS, RN, ARS, HR-RS, 소형 기지국 등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중 빔을 운영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기지국(100) 및 적어도 하나의 단말(210, 220, 230, 240, 250)을 포함한다.
기지국(100)과 단말(210, 220, 230, 240, 250)은 30GHz~300GHz의 밀리미터파 대역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밀리미터파 대역은 기존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던 30GHz 이하 대역에 비해 넓고 연속적인 무선자원을 할당하기에 용이하여 통신 시스템의 용량 증대를 이끌 수 있다. 그러나 밀리미터파 대역은 직진성과 전파손실이 강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기지국(100)과 단말(210, 220, 230, 240, 250)은 빔형성 기술(beamforming)을 사용한다.
기지국(100)은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빔 형성 기술을 이용하여 다중 빔(B1~Bj)을 생성하고, 다중 빔(B1~Bj)을 통해 다수의 단말(210, 220, 230, 240, 250)에게 데이터 및 신호를 동시에 전송한다. 각 빔(B1~Bj)은 빔 인덱스로 식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빔(Ba, Bc, Bf, Bh, Bj)를 통해서 단말(210, 220, 230, 240, 250)에게 데이터 및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빔형성 기술은 고정형과 적응형 빔형성 기술로 분류될 수 있다. 고정형 빔형성 기술에 의해 생성되는 고정형 빔은 각각 정해진 빔 방향과 빔 크기를 가진다. 기지국(100)은 고정형 빔을 운영하는 경우 셀 전체를 커버할 수 있도록 다중 빔(B1~Bj)을 생성할 수 있다. 기지국(100)은 커버리지 홀을 방지하기 위해 인접 빔과 중첩되도록 다중 빔(B1~Bj)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적응형 빔형성 기술에 의해 생성되는 적응형 빔은 채널의 변화 및 기지국(100) 또는 단말(210, 220, 230, 240, 250)의 위치에 따라서 빔 방향과 빔 크기가 적응적으로 변한다.
단말(210, 220, 230, 240, 250)은 지향성 빔 또는 무지향성 빔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단말(210, 220, 230, 240, 250)은 사용할 수 있는 여러 지향성 빔 가운데 기지국(100)이 전송한 신호가 도달하는 방향과 가장 일치하는 지향성 빔을 선택하고, 선택된 지향성 빔을 이용하여 기지국(100)과 통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빔형성 기술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100)은 다수의 단말로부터 각각 빔별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정보를 주기적으로 수신하고, 각 단말의 빔별 CQI 정보를 토대로 전송할 단말 예를 들면, 단말(210, 220, 230, 240, 250)을 선택하고, 선택한 각 단말(210, 220, 230, 240, 250)과 통신을 위한 하나 이상의 최적 빔을 선택한다. 또한 기지국(100)은 선택한 각 단말(210, 220, 230, 240, 250)의 빔별 CQI 정보를 토대로 각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의 부호화율(code rate) 및 데이터의 크기 등을 결정한다.
단말(210, 220, 230, 240, 25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빔별로 송출되는 기준 신호를 이용하여 채널 품질 예를 들면, 신호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SNR)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측정한 채널 품질 정보를 바탕으로 빔별 CQI를 생성해서 기지국(100)에 피드백한다. 빔별로 송출되는 기준 신호는 빔별 고유의 파일럿 신호일 수 있다.
단말(210, 220, 230, 240, 250)은 기지국(100)이 운영하고 있는 모든 빔(B1~Bj)에 대한 CQI를 기지국(100)에 피드백할 수도 있고, 일부 빔에 대한 CQI만을 기지국(100)에 피드백할 수 있다. 단말(210, 220, 230, 240, 250)이 일부 빔에 대한 CQI만을 기지국(100)에 피드백할 때에는 CQI 정보를 피드백 할 일부 빔이 어떤 빔인지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100)에 알려주어야 이후에 전송될 CQI 정보가 어떤 빔에 해당하는지 기지국(100)이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210, 220, 230, 240, 250)이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100)에게 알려주기 위한 CQI 전송 모드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단말(21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CQI 전송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CQI 전송 모드는 비트맵을 이용하는 것이다. 비트맵은 기지국(100)이 운영하는 빔의 개수와 동일한 비트 길이를 가진다. 비트맵의 각 비트는 기지국(100)이 운영하는 각 빔에 대응된다.
단말(210)은 CQI 정보를 피드백 할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1로 설정하고, CQI 정보를 피드백 하지 않을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0으로 설정한 비트맵을 기지국(100)에 전송함으로써, CQI 정보를 피드백 할 일부 빔의 정보를 기지국에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이 운영하는 빔의 개수가 10개이고, 비트맵의 최상위비트부터 최하위 비트가 각각 빔 인덱스 #0부터 빔 인덱스 #9에 해당하는 10개의 빔에 대응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이 빔 인덱스 #2, #4, #7 및 #8에 해당하는 4개의 빔인 경우, 단말(21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맵에서 #2, #4, #7 및 #8에 대응되는 비트를 1로 설정하여, 기지국(100)에 전송한다.
기지국(100)은 단말(210)로부터 수신한 비트맵을 토대로, 이후에 단말(210)로부터 수신되는 CQI 정보가 #2, #4, #7 및 #8에 해당하는 CQI 정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CQI 전송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CQI 전송 모드는 도 2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지는 비트맵을 이용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CQI 전송 모드는 단말(210)이 특정 빔의 CQI 정보를 항상 전송하는 것을 기지국(100)과 미리 약속을 하고 나머지 빔 중에서 CQI 정보를 전송할 빔이 있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비트맵은 기지국(100)이 운영하는 전체 빔 중에서 기지국(100)과 미리 약속된 특정 빔을 제외한 나머지 빔의 개수와 동일한 비트 길이를 가지며, 비트맵의 각 비트는 기지국(100)이 운영하는 전체 빔 중에서 기지국(100)과 미리 약속된 특정 빔을 제외한 나머지 빔에 대응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이 빔 인덱스 #0부터 #9에 해당하는 10개의 빔을 운영하고, 단말(210)이 서빙 빔의 CQI 정보를 항상 전송하는 것으로 기지국(100)과 미리 약속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10개의 빔 중에서 서빙 빔을 제외한 9개의 빔이 비트맵의 각 비트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서빙 빔을 제외한 9개의 빔의 빔 인덱스를 올림차순으로 정렬하여 비트맵의 최상위비트부터 최하위 비트에 각각 대응시킬 수 있다.
서빙 빔이 #1에 해당하는 빔이고,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이 #3, #5, #6 및 #8에 해당하는 4개의 빔인 경우, 단말(210)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트맵에서 #3, #5, #6 및 #8에 대응되는 비트를 1로 설정하여, 기지국(100)에 전송한다.
기지국(100)은 단말(210)로부터 수신한 비트맵을 토대로 이후에 단말(210)로부터 수신되는 CQI 정보가 서빙 빔에 해당하는 #1과 #3, #5, #6 및 #8에 해당하는 CQI 정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비트맵을 사용하는 방법 외에 어떤 숫자 하나를 알려주는 방식으로 기지국(100)에 CQI 정보를 전송할 빔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CQI 전송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CQI 전송 모드는 어떤 숫자 하나를 이용하여 기지국(100)에 CQI 정보를 전송할 빔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다.
기지국(100)은 기지국(100)이 운영하는 전체 빔에 대해 가능한 모든 빔의 조합에 대해서 특정 숫자를 정해 놓고, 빔의 조합에 대응하는 숫자를 테이블(400)에 저장한다. 그리고 테이블(400)의 정보를 단말(210)과 공유한다.
단말(210)이 CQI 정보를 전송할 빔에 해당하는 숫자를 테이블(400)로부터 선택하여 전송함으로써, 기지국(100)에 CQI 정보를 전송할 빔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이 운영하는 전체 빔에 대해 빔의 모든 조합에 대해서 도 4와 같이 숫자를 대응시킬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0은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이 #0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1은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이 #1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231은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이 #1, #2 및 #4이라는 것을 나타내고, 232는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이 #1, #4, #6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단말(210)은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에 따라서 도 4에 나타낸 숫자 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기지국(100)에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100)은 단말(210)로부터 전송된 숫자를 토대로 단말(210)로부터 어떤 빔들의 CQI 정보가 전송될지 알 수 있다.
다만, 기지국(100)에서 운영하는 빔의 수가 많아지면, 기지국(100)과 단말(210)이 빔 정보 교환을 위해 필요로 하는 테이블(400)의 크기가 매우 커질 수 있고, 단말(210)이 기지국(100)에 빔 정보를 피드백 해줄 때 자원의 낭비가 심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방식으로 CQI 정보를 전송할 빔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며, 아래에서 기술하는 방식으로 CQI 정보를 전송할 빔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면, 적은 수의 비트를 가지고 단말(210)이 기지국(100)에 빔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CQI 전송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한 CQI 전송 모드는 비트 스트림을 이용하여 기지국(100)에 CQI 정보를 전송할 빔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CQI 전송 모드에 따른 비트 스트림은 3개의 필드로 구성된다.
첫 번째 필드는 두 번째 필드와 세 번째 필드를 통해 추출되는 빔들이 CQI 정보를 피드백 할 빔인지, CQI 정보를 피드백 하지 않을 빔인지 알려준다. 첫 번째 필드는 1비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비트 스트림의 최상위 비트(MSB)로 구성될 수 있다. 만약 첫 번째 필드가 CQI 정보를 피드백 할 빔을 나타내면 두 번째 및 세 번째 필드를 통해 추출되는 빔 인덱스가 CQI 정보를 피드백 할 빔을 나타낸다. 또한 첫 번째 필드가 CQI 정보를 피드백 하지 않을 빔을 나타내면, 두 번째 및 세 번째 필드를 통해 추출되는 빔 인덱스가 CQI 정보를 피드백 하지 않을 빔을 나타낸다. 이 경우 두 번째 및 세 번째 필드를 통해 추출되는 빔 인덱스를 제외한 나머지 빔 인덱스에 해당하는 빔에 대한 CQI 정보가 단말(210)로부터 기지국(100)에 전송될 수 있다.
두 번째 필드는 세 번째 필드에서 추출되는 빔의 개수를 나타낸다.
세 번째 필드는 두 번째 필드의 값에 따라 결정되는 빔의 개수에 해당하는 빔을 알려준다. 이때 CQI 정보를 피드백 할 빔의 조합에 해당하는 숫자가 세 번째 필드에서 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CQI 정보를 피드백 할 빔의 개수가 M개라면 M개의 빔 조합에 해당하는 숫자 r은 수학식 1과 같이 생성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은 CQI를 전송할 빔의 인덱스이며, 1≤Si≤N이고, Si< Si+1이며, N은 전체 빔의 개수이다. 또한
Figure pat00003
는 확장된 이항계수(extended binomial coefficient)이다.
수학식 1을 통해서 유일한 값 r이 생성되며,
Figure pat00004
이다.
이때
Figure pat00005
이므로, 두 번째 필드의 값에 따라서 세 번째 필드의 길이가 달라질 수 있고, 세 번째 필드의 최대 길이는
Figure pat00006
이 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CQI 전송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CQI 전송 모드는 단말(210)이 CQI 정보를 피드백 할 빔을 미리 정해 놓고, 이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100)에 CQI 정보를 전송할 빔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는 것이다.
기지국(100)은 어떤 빔이 단말(210)에 서빙 빔으로 설정될 때 CQI 정보를 피드백 받을 빔들의 조합을 모드별로 미리 정해 놓고, 각 서빙빔에 대한 모드별 빔의 조합을 테이블(600)에 저장한다. 그리고 테이블(600)의 정보를 단말(210)과의 랜덤 접속 과정 등을 통해서 단말(210)과 공유한다. 따라서 단말(210)에서 특정 빔이 서빙 빔으로 결정되면 서빙 빔에 따른 복수의 모드 중에서 CQI 정보를 피드백 할 빔의 조합에 해당하는 모드의 정보를 기지국(100)에 전송함으로써, 기지국(100)에 CQI 정보를 전송할 빔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빔 인덱스가 각각 #0부터 #N-1인 빔에 대하여, 각 빔이 서빙 빔으로 설정될 때 CQI 정보를 피드백 받을 빔들의 조합을 모드(Mode 0, Mode 1, …, Mode n)별로 정해 놓고, 각 서빙 빔에 대한 모드(Mode 0, Mode 1, …, Mode n)별 CQI 정보를 피드백 받을 빔들의 조합이 테이블(600)에 저장될 수 있다. 단말(210)은 빔 인덱스 #1인 빔이 서빙 빔으로 결정될 때,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이 #1의 서빙빔을 포함하여 #0, #3 및 #4에 해당하는 4개의 빔인 경우, 모드(Mode 1)의 정보를 기지국(100)에 전송하여 CQI 정보가 피드백될 빔을 기지국(100)에 알려줄 수 있다.
기지국(100)은 단말(210)로부터 전송된 모드(Mode 1)의 정보를 토대로 단말(210)로부터 #1, #0, #3 및 #4에 해당하는 4개 빔의 CQI 정보가 전송될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피드백 받을 빔의 개수도 조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빔 인덱스 #1인 빔이 단말(210)의 서빙 빔으로 결정될 때, 단말(210)로부터 #1,#0, #3 및 #4에 해당하는 4개 빔의 CQI 정보를 피드백 받고 있다고 가정한다. 기지국(100)은 시그널링을 통해서 CQI 정보를 피드백 받을 빔의 추가를 요청할 수 있고, 또 CQI 정보를 피드백 받고 있는 빔의 수를 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100)은 시그널링을 통해서 단말(210)의 서빙 빔 #1에 해당하는 다른 빔의 CQI 피드백을 추가적으로 요청한 경우, 단말(210)은 모드(Mode 2)로 변경하여 #0, #1, #3, #4, #5에 대한 CQI 정보를 피드백할 수 있다. 반대로 기지국(100)이 시그널링을 통해서 CQI 정보를 피드백 받고 있는 빔의 수를 줄일 것을 요청하면, 단말(210)은 모드(Mode 1)에서 모드(Mode 0)으로 변경하여 빔 #0, #1, #2에 해당하는 CQI를 기지국(100)에 피드백할 수 있다. 이때 단말(210)은 변경된 모드의 정보를 기지국(100)에 전송하여 CQI 정보가 피드백될 빔을 기지국(100)에 알려줄 수 있다.
이 방식은 특히 기지국(100)이 고정형 빔을 사용할 때 유용하다. 기지국(100)에서 송출되는 빔은 고정적으로 생성되므로, 특정 빔에 대해서는 주변에 있는 빔의 신호가 강할 것을 미리 알 수 있으므로, 기지국(100)은 이 정보를 이용하여 어떤 빔이 단말(210)에 서빙 빔으로 결정될 때 CQI 정보를 피드백 받을 빔들의 조합을 모드별로 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CQI 전송 모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CQI 전송 모드는 빔의 그룹핑을 이용하는 것이다. 기지국(100)이 운영하는 전체 빔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뉘어지고, 각 그룹은 그룹 인덱스를 가진다. 이때 각 그룹에 어떤 빔이 속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기지국(100)과 단말(210)이 미리 정하여 알고 있거나, 단말(210)이 그룹핑을 수행하여 전체 빔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에 어떤 빔이 속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기지국(100)에 알려줄 수 있다.
단말(210)은 각 그룹의 대표 CQI를 결정하고, 각 그룹의 대표 CQI 정보를 기지국(100)에 피드백한다. 각 그룹의 대표 CQI는 각 그룹 내 빔들의 CQI를 대표하는 값일 수 있다. 대표 CQI로는 그룹 내 빔들의 CQI의 평균값이 사용될 수도 있고 그룹 내 빔들의 CQI 중 최고값 또는 최저값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단말(210)은 CQI 정보를 피드백할 그룹의 정보를 기지국(100)에 전송함으로써, 기지국(100)에 CQI 정보를 전송할 빔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빔 인덱스가 각각 #0부터 #9인 10개의 빔에 대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룹핑하여 4개의 그룹(G0, G1, G2, G3)이 생성될 수 있다. 단말(210)은 각 그룹(G0, G1, G2, G3)의 CQI(CQI_0, CQI_1, CQI_2, CQI_3)를 측정한다. 단말(210)은 CQI 정보를 전송할 그룹(G0, G1, G2, G3)의 정보를 기지국(100)에 전송함으로써, 기지국(100)에 CQI 정보를 전송할 빔에 대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그룹의 대표 CQI 정보를 전송하면, 단말(210)이 기지국(100)으로 피드백할 CQI 정보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에서 빔별 CQI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단말(210)은 기지국(100)으로부터 CQI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810). CQI 전송 모드는 도 2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CQI 전송 모드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CQI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는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도 있고, CQI 전송 모드를 변경하고자 할 때 전송될 수 있다.
단말(210)은 CQI 전송 모드에 따라서 빔별 CQI를 측정한다(S820).
단말(210)은 CQI 전송 모드에 따라서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생성하여 기지국(100)에 전송한다(S830). 예를 들어, CQI 전송 모드가 도 2에 도시된 CQI 전송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단말(210)은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에 대응하여 비트맵을 생성하고, 비트맵을 기지국(100)에 전송한다.
다음, 단말(210)은 측정된 빔별 CQI 정보를 기지국(100)에 전송한다(S840).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에서 빔별 CQI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기지국(100)은 단말(210)의 CQI 전송 모드를 결정한다(S910). 기지국(100)은 기존에 사용하던 CQI 전송 모드를 변경할 필요가 있는지 확인하고, 변경이 필요하다면 변경할 CQI 전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기지국(100)은 결정한 CQI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를 단말(210)로 전송한다(S920).
기지국(100)은 단말(210)로부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수신한다(S930).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는 단말(210)에 의해 CQI 전송 모드에 따라서 생성된다. 예를 들어, CQI 전송 모드가 도 6에 도시한 CQI 전송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단말(210)은 서빙빔에 따라서 복수의 모드 중에서 피드백할 빔에 해당하는 모드를 선택하고, 선택한 모드의 정보를 기지국(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 기지국(100)은 단말(210)로부터 빔별 CQI 정보를 수신한다(S940). 빔별 CQI 정보 또한 단말(210)에 의해 CQI 전송 모드에 따라서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QI 전송 모드가 도 7에 도시한 CQI 전송 모드를 나타내는 경우, 단말(210)은 빔 그룹의 CQI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장치(1000)는 프로세서(1010), 송수신기(1020) 및 메모리(1030)를 포함한다.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장치(1000)는 단말(210~250)에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010)는 기지국(100)으로부터 수신된 CQI 전송 모드에 따라서 빔별 CQI 정보를 측정하고, CQI 정보를 전송할 빔의 정보를 생성한다. 프로세서(1010)는 CQI 전송 모드에 따라서 도 2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방법과 같이 CQI 정보를 전송할 빔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송수신기(1020)는 기지국(100)과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한다. 특히, 송수신기(1020)는 기지국(100)으로부터 CQI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 및 빔별 CQI 정보를 기지국(100)에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프로세서(1010)에서 빔별 채널 품질 지자사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명령어(instructions)을 저장하고 있거나 저장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명령어를 로드하여 일시 저장하며, 프로세서(1010)는 메모리(1030)에 저장되어 있거나 로드된 명령어를 실행한다.
프로세서(1010)와 메모리(1030)는 버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버스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도시하지 않음)도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입출력 인터페이스에 송수신기(1020)가 연결되며,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스피커, 저장 장치 등의 주변 장치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7)

  1. 복수의 빔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정보를 송신하는 방법으로서,
    기지국으로부터 CQI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CQI 전송 모드에 따라서 피드백할 빔의 CQI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CQI 전송 모드에 따라서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그리고
    측정한 상기 CQI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피드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비트맵에서 피드백 할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제1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트맵에서 피드백하지 않을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상기 제1 값과 다른 제2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의 각 비트는 상기 복수의 빔 각각에 대응되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비트맵에서 상기 단말의 서빙빔을 제외한 나머지 빔 중에서 피드백 할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제1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비트맵에서 피드백하지 않을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상기 제1 값과 다른 제2 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맵의 각 비트는 상기 복수의 빔 중에서 상기 서빙빔을 제외한 나머지 빔 각각에 대응되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빔에 대하여 모든 가능한 빔들의 조합에 각각 대응하는 숫자가 저장된 테이블을 상기 기지국과 공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테이블로부터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에 해당하는 숫자를 선택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5. 제1항에서,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제1 필드, 제2 필드 및 제3 필드로 구성되는 비트 스트림을 이용하여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필드는 상기 제3 필드에서 추출되는 빔의 개수를 나타내고,
    상기 제3 필드는 상기 빔의 개수에 해당하는 빔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3 필드에 포함되는 빔이 CQI 정보를 피드백 할 빔인지를 나타내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6. 제5항에서,
    상기 빔의 개수에 해당하는 빔의 정보는 CQI 정보를 피드백 할 빔의 조합에 해당하는 숫자를 나타내는 비트 정보를 포함하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빔 각각이 서빙 빔으로 설정될 때 모드별 CQI 정보를 피드백 받을 빔들의 조합이 저장된 테이블을 상기 기지국과 공유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빔 중 어느 하나의 빔이 서빙 빔으로 결정될 때 상기 테이블로부터 상기 서빙 빔에 해당하는 복수의 모드 중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에 해당하는 모드의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기지국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8. 제7항에서,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시그널링을 통해서 추가 또는 제거할 빔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9. 제1항에서,
    상기 피드백할 빔의 CQI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빔을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하는 단계, 그리고
    피드백할 그룹의 대표 CQI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피드백할 그룹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10. 복수의 빔을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로서,
    CQI 전송 모드에 따라서 피드백할 빔의 CQI를 측정하고, 상기 CQI 전송 모드에 따라서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그리고
    기지국으로부터 CQI 전송 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 뒤 상기 피드백할 빔의 CQI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송수신기
    를 포함하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빔 중에서 피드백 할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제1 값으로 설정하고 피드백하지 않을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상기 제1 값과 다른 제2 값으로 설정한 비트맵을 생성하며,
    상기 비트맵의 각 비트는 상기 복수의 빔 각각에 대응되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장치.
  12. 제10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의 서빙빔을 제외한 나머지 빔 중에서 피드백 할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제1 값으로 설정하고 피드백하지 않을 빔에 대응되는 비트 값을 상기 제1 값과 다른 제2 값으로 설정한 비트맵을 생성하며,
    상기 비트맵의 각 비트는 상기 복수의 빔 중에서 상기 서빙빔을 제외한 나머지 빔 각각에 대응되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장치.
  13. 제10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빔에 대하여 모든 가능한 빔들의 조합에 각각 대응하는 숫자가 저장된 테이블로부터,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에 해당하는 숫자를 선택하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장치.
  14. 제10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를 제1 필드, 제2 필드 및 제3 필드로 구성되는 비트스트림으로 생성하며,
    상기 제2 필드는 상기 제3 필드에 포함된 빔의 개수를 나타내고,
    상기 제3 필드는 상기 빔의 개수에 해당하는 빔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드는 상기 제3 필드에 포함되는 빔이 CQI 정보를 피드백 할 빔인지를 나타내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장치.
  15. 제14항에서,
    상기 빔의 개수에 해당하는 빔의 정보는 CQI 정보를 피드백 할 빔의 조합에 해당하는 숫자를 나타내는 비트 정보를 포함하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장치.
  16. 제10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빔 각각이 서빙 빔으로 설정될 때 모드별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들의 조합이 저장된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빔 중 어느 하나의 빔이 서빙 빔으로 결정될 때 상기 서빙 빔에 해당하는 복수의 모드 중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에 해당하는 모드의 정보를 선택하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장치.
  17. 제10항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빔이 복수의 그룹으로 그룹핑된 경우에 피드백할 그룹의 대표 CQI를 측정하고,
    상기 CQI 정보를 피드백할 빔의 정보는 상기 피드백할 그룹의 정보를 포함하는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장치.
KR1020150185734A 2014-12-29 2015-12-24 통신 시스템에서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KR20160082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982,430 US20160191201A1 (en) 2014-12-29 2015-12-29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information of beams in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92655 2014-12-29
KR1020140192655 2014-12-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926A true KR20160082926A (ko) 2016-07-11

Family

ID=5649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734A KR20160082926A (ko) 2014-12-29 2015-12-24 통신 시스템에서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29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241A (ko) * 2016-08-11 2019-04-17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빔 관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0241A (ko) * 2016-08-11 2019-04-17 콘비다 와이어리스, 엘엘씨 빔 관리
US10932150B2 (en) 2016-08-11 2021-02-23 Convida Wireless, Llc Beam manag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388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bea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433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beamformed reference signals in three dimensional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communications systems
EP3569027B1 (en) Ue-assisted srs resource allocation
US2016019120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hannel quality indicator information of beams in communication system
JP2021503824A (ja) 情報送信、受信方法及び装置
WO2017086011A1 (ja) 端末装置、無線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WO2016041358A1 (zh) 一种上行同步方法、装置和系统
KR102048760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조정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201252781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及び装置
WO2012102483A1 (ko)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채널 상태 정보 피드백 방법 및 장치
WO2018202137A1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US201601832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physical channel
EP3685516A1 (en) Beam assignment in a communications network
KR20160082926A (ko) 통신 시스템에서 빔의 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 송신 방법 및 장치
US20220407584A1 (en) Method and network node for uplink beam management
US20170111090A1 (en) Terminal and base station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973776B1 (ko) 상향링크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009645A (ko) 이중 편파 안테나를 이용한 송신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무선 프레임 할당 방법
KR20210011277A (ko) 채널 피드백에 기초한 멀티캐스트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70074183A (ko) 다중 안테나 통신 시스템의 mimo 전송 방법, 그리고 빔 식별자를 피드백하는 방법 및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