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2337A - 액체저장용기 - Google Patents

액체저장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2337A
KR20160082337A KR1020140191593A KR20140191593A KR20160082337A KR 20160082337 A KR20160082337 A KR 20160082337A KR 1020140191593 A KR1020140191593 A KR 1020140191593A KR 20140191593 A KR20140191593 A KR 20140191593A KR 20160082337 A KR20160082337 A KR 20160082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termediate plate
liquid
inle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흥식
Original Assignee
박흥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흥식 filed Critical 박흥식
Priority to KR1020140191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2337A/ko
Publication of KR2016008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3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을 갖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측으로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주둥이부를 포함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주둥이부 내부에 구비되며, 구멍이 구비된 중간판; 상기 중간판의 구멍에 연통되도록 상기 중간판부에 관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유출입부; 및 상기 중간판을 관통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용기 내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연통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따를 때 액체가 원활하게 분출된다.

Description

액체저장용기{CONTAINER FOR RESERVING LIQUIDE}
본 발명은 액체저장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 음료수, 술, 등의 액체는 소비자에게 전달되기 위하여 용기에 담아 운반 및 진열하게 된다. 용기의 재질은 용기에 담겨질 액체의 특성에 맞게 유리, 플라스틱, 알루미늄, 종이 등이 사용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체저장용기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액체저장용기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구비되며 상측에 주둥이가 구비된 용기(10)와, 용기(10)의 주둥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뚜껑(20)을 포함한다. 용기(10)는 원통 형태의 몸통부(11)와, 몸통부(11)의 상측으로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주둥이(12)와, 주둥이(12)의 외주면에 나사산들이 구비되어 뚜껑이 체결되는 체결부(1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액체저장용기는 용기(10)의 내부 저장공간에 액체를 주입한 다음 뚜껑(20)을 용기(10)의 체결부(13)에 결합하여 용기(10) 내부를 밀봉하게 된다. 한편, 사용시 소비자가 뚜껑(20)을 열고 용기(10)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컵이나 그릇 등에 부어서 마시거나 용도로 맞게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인 액체저장용기는 뚜껑(20)을 열고 용기(10)를 기울여 용기(10)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체를 컵이나 그릇 등에 따를 때 용기(10)의 주둥이(12)를 통해 분출되는 액체가 주둥이(12)를 막아 용기 몸통부(11)의 내부의 압력이 낮아져 액체의 분출을 방해하게 되므로 액체가 정지와 분출을 반복하면서 용기의 주둥이(12)를 통해 분출되어 액체의 분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용기(10)로부터 컵이나 그릇 등의 내부로 분출되는 액체가 외부로 튀게 될 뿐만 아니라 컵이나 그릇 내부에 정확한 양을 따르기가 쉽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따를 때 액체가 원활하게 분출되는 액체저장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입구와 상기 입구와 연통되는 내부 저장공간을 구비한 용기; 상기 용기의 내부 저장공간과 입구 측을 연결하는 연통관;을 포함하는 액체저장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연통관은 용기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관은 상기 용기의 내벽에 접촉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통관은 직선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을 갖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측으로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주둥이부를 포함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주둥이부 내부에 구비되며, 구멍이 구비된 중간판; 상기 중간판의 구멍에 연통되도록 상기 중간판부에 관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유출입부; 상기 중간판을 관통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용기 내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연통관;을 포함하는 액체저장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연통관은 복수 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출입부는 중간판의 구멍에 연통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상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부의 내경은 가운데 부분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갈수록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판은 상기 주둥이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위치하며, 주둥이부와 일체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을 갖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측으로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주둥이부를 포함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주둥이부 내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출입구가 구비되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용기의 몸통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용기 몸통부 내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연통관;을 포함하는 액체저장용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음료수, 물, 술 등의 액체를 내부에 저장하여 운반, 보관, 진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사용시 뚜껑을 분리한 다음 기울여 액체를 컵이나 그릇 등에 따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기울여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컵이나 그릇 등에 따를 때 연통관에 의해 외부와 용기 내부의 바닥면 측이 연통되어 용기의 외부와 용기 내부의 압력이 균일하게 되므로 액체가 원활하게 외부로 분출된다. 이로 인하여, 액체저장용기로부터 컵이나 그릇 내부로 분출되는 액체가 외부로 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컵이나 그릇 내부에 정확한 양을 따르기가 쉽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액체저장용기의 일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1 실시예의 작용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2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통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3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통관이 복수 개인 것을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3 실시예에 뚜껑이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1 실시예는 입구(111)와, 입구(111)와 연통되는 내부 저장공간을 구비한 용기(110)와; 용기(110)의 내부 저장공간과 입구 측을 연결하는 연통관(120);을 포함하되, 연통관(120)은 용기(110)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구비된다. 연통관(120)은 용기(110)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용기(110)는 내부 공간을 갖는 몸통부(112)와, 몸통부(112)의 상측으로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주둥이부(113)를 포함하며, 주둥이부(113)의 상단에 입구(111)가 구비된다. 연통관(120)의 상측 끝은 용기(110)의 상단면, 즉 입구 테두리면에 위치하고 연통관(120)의 하측 끝은 용기(110)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용기(110)의 내측면에 위치한다. 연통관(120)에 의해 용기(110)의 위쪽 끝면과 용기(110)의 내부 저장공간의 하측과 연통되어 공기가 통한다. 연통관(1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용기(110)의 주둥이부(113)의 상측 외주면에 체결부(114)가 구비되며, 주둥이부(113)의 체결부(114)에 뚜껑(C)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용기(110)의 입구(111)를 막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1 실시예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110)의 입구(111)를 통해 액체를 주입하여 용기(110)의 저장공간에 설정된 양의 액체를 채운다. 그리고 용기(110)의 주둥이부(113)의 상단 체결부(114)에 뚜껑(C)을 체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반, 진열, 보관한다. 한편, 용기(110)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체를 사용할 경우 뚜껑(C)을 용기(110)로부터 분리한 다음 용기(110)를 기울여 컵이나 그릇 등에 따르게 액체를 따르게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110)의 입구(111)와 바닥에 인접한 부분이 연통관(120)에 의해 연통되므로 용기(110)의 입구(111) 측과 용기(120) 내부의 바닥 측에 공기가 통하게 되어 용기(110)의 내부 저장공간과 용기(110)의 입구 측의 압력이 같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용기(110)의 내부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체가 자중에 의해 균일하게 분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2 실시예는 입구(131)와, 입구(131)와 연통되는 내부 저장공간을 구비한 용기(130)와; 용기(130)의 내부 저장공간과 입구 측을 연결하는 연통관(140);을 포함하되, 연통관(140)은 용기(130)의 내벽에 접촉되게 구비된다.
용기(130)는 내부 공간을 갖는 몸통부(132)와, 몸통부(132)의 상측으로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주둥이부(133)를 포함하며, 주둥이부(133)의 상단에 입구가 구비된다. 연통관(140)은 용기(130)의 내벽에 접촉되도록 돌출되게 구비되되, 연통관(140)의 상측 끝은 용기(130)의 입구(131)에 위치하고 연통관(140)의 하측 끝은 용기(130)의 바닥면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연통관(140)에 의해 용기(130)의 위쪽 끝면과 용기(130)의 내부 저장공간의 하측과 연통되어 공기가 통한다. 연통관(140)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연통관(14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으로 이루어지며, 연통관(140)의 상부만이 주둥이부(133)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도 있다.
용기(130)의 주둥이부(133)의 상측 외주면에 체결부(134)가 구비되며, 주둥이부(133)의 체결부(134)에 뚜껑(C)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용기(130)의 입구(131)를 막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2 실시예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130)의 입구(131)를 통해 액체를 주입하여 용기(130)의 저장공간에 설정된 양의 액체를 채운다. 그리고 용기(130)의 주둥이부(133)의 상단 체결부(134)에 뚜껑(C)을 체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반, 진열, 보관한다. 한편, 용기(130)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체를 사용할 경우 뚜껑(C)을 용기(130)로부터 분리한 다음 용기(130)를 기울여 컵이나 그릇에 따르게 액체를 따르게 된다. 이때, 용기(130)의 입구(131)와 바닥에 인접한 부분이 연통관(140)에 의해 연통되므로 용기(130)의 입구 측과 용기(130) 내부의 바닥 측에 공기가 통하게 되어 용기(130)의 내부 저장공간과 용기(130)의 입구(131) 측의 압력이 같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용기(130)의 내부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체가 자중에 의해 균일하게 분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3 실시예는 용기(150), 중간판(160), 유출입부(170), 연통관(180)을 포함한다.
용기(150)는 내부 공간을 갖는 몸통부(151)와, 몸통부(151)의 상측으로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주둥이부(152)를 포함하며, 주둥이부(152)의 상단은 개구된다. 몸통부(151)는 원통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판(160)은 용기(150)의 주둥이부(152)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구멍(161)이 구비된다. 중간판(160)은 주둥이부(152)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횡 방향으로 위치한다. 중간판(160)은 주둥이부(152)와 일체로 이루어지며, 구멍(161)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판(160)은 주둥이부(152)의 끝에 위치할 수도 있다.
유출입부(170)는 중간판(160)의 구멍(161)에 연통되도록 중간판(160)에 관 형태로 연장 형성된다. 유출입부(170)는 중간판(160)의 구멍(161)에 연통되는 관부(171)와, 관부(171)의 상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172)를 포함한다. 관부(171)의 내경은 가운데 부분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테두리부(172)는 환형 링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연통관(180)은 중간판(160)을 관통하여 용기(150)의 내부에 위치하며, 용기(15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용기(150) 내부에 공기가 통하게 한다. 연통관(180)은 직선 형태이며 용기(150)의 내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통관(180)의 위쪽 끝은 중간판(160)에 연결되고 아래쪽 끝은 용기(150)의 내측 하면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연통관(180)의 위쪽 끝은 주둥이부(152)의 내주면과 유출입부(170)의 외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판(160)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통관(180)에 의해 용기(150)의 내부와 중간판(160) 외측이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용기(150)의 내측 바닥면 쪽으로 통하게 된다. 연통관(18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연통관(180)이 복수 개일 경우 연통관(180)들의 간격은 균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연통관(180)이 두 개일 경우 두 개의 연통관(180)들의 간격은 중심을 기준으로 180도이고, 연통관이 세 개일 경우 세 개의 연통관(180)들의 간격은 중심을 기준으로 120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둥이부(152)의 상측 외주면에 체결부(153)가 구비되며, 주둥이부(152)의 체결부(153)에 뚜껑(C)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유출입부(170)의 입구를 막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3 실시예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유출입부(170)를 통해 액체를 주입하여 용기(150) 내부에 설정된 양의 액체를 채운다. 용기(150)의 주둥이부(152)의 상단 체결부(153)에 뚜껑(C)을 체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반, 진열, 보관한다. 한편, 용기(150)의 내부 공간(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체를 사용할 경우 뚜껑을 용기(150)로부터 분리한 다음 용기(150)를 기울여 컵이나 그릇에 따르게 액체를 따르게 된다. 이때, 연통관(180)에 의해 용기(150)의 외부와 용기(150)의 내부 바닥면 측이 연통되므로 용기(150)의 외부와 용기(150) 내부의 바닥며 측에 공기가 통하게 되어 용기(150)의 내부 공간과 용기(150)의 입구 측의 압력이 같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용기(150)의 내부 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체가 자중에 의해 유출입부(170)를 통해 균일하게 분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4 실시예를 분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4 실시예는 용기(200), 고정몸체(310), 연통관(320)을 포함한다.
용기(200)는 내부 공간을 갖는 몸통부(210)와, 몸통부(210)의 상측으로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 주둥이부(220)를 포함하며, 주둥이부(220)의 상단은 개구된다. 몸통부(210)는 원통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몸체(310)는 용기(200)의 주둥이부(220) 내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출입구(311)가 구비된다. 고정몸체(310)는 반경 방향 단면이 균일한 링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고정몸체(310)가 링 형상으로 형성될 경우 내부 구멍이 유출입구(311)가 된다. 고정몸체(310)는 용기(200)의 주둥이부(220)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고정몸체(310)의 외주면은 위쪽 외경이 아래쪽 외경보다 작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고정몸체(310)의 내주면은 곡면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연통관(320)은 고정몸체(310)에 고정되며 용기(200)의 몸통부(210) 내부에 위치하여 용기(20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용기 몸통부(210) 내부에 공기가 통하게 한다. 즉, 연통관(320)의 한쪽 단부가 고정몸체(310)에 고정되고 다른 쪽은 용기(200)의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여 용기(200)의 내부에 위치한다. 고정몸체(31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구멍이 구비되고 연통관(320)의 한쪽 단부가 고정몸체(310)의 관통구멍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연통관(320)은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다.
고정몸체(310)와 연통관(320)은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몸체(310)의 상부에 유출입구(311)와 연통되는 확관부(31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용기(200)의 주둥이부(220)의 상측 외주면에 체결부(221)가 구비되며, 주둥이부(220)의 체결부(221)에 뚜껑(미도시)이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고정몸체(310)의 유출입구(311)와 연통관(320)을 막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제4 실시예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몸체(310)의 유출입구(311)를 통해 액체를 주입하여 용기(200)의 내부에 설정된 양의 액체를 채운다. 용기(200)의 주둥이부(220)의 상단 체결부(221)에 뚜껑을 체결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운반, 진열, 보관한다. 한편, 용기(200)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사용할 경우 뚜껑을 용기(200)로부터 분리한 다음 용기(200)를 기울여 컵이나 그릇에 따르게 액체를 따르게 된다. 이때, 연통관(320)에 의해 용기(200)의 외부와 용기(200)의 내부 바닥면 측이 연통되므로 용기(200)의 외부와 용기(200) 내부의 바닥며 측에 공기가 통하게 되어 용기(200)의 내부와 용기(200)의 입구 측의 압력이 같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용기(200)의 내부에 저장된 액체가 자중에 의해 고정몸체(310)의 유출입구(311)를 통해 균일하게 분출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는 음료수, 물, 술 등의 액체를 내부에 저장하여 운반, 보관, 진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는 내부에 저장된(채워진) 액체를 사용시 뚜껑(C)을 분리한 다음 기울여 액체를 컵이나 그릇 등에 따르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저장용기는 기울여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컵이나 그릇 등에 따를 때 연통관(120)(140)(180)에 의해 외부와 용기(110)(130)(150) 내부의 바닥면 측이 연통되어 용기(110)(130)(150)의 외부와 용기(110)(130)(150) 내부의 압력이 균일하게 되어 액체가 원활하게 외부로 분출된다. 이로 인하여, 액체저장용기로부터 컵이나 그릇 내부로 분출되는 액체가 외부로 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컵이나 그릇 내부에 정확한 양을 따르기가 쉽게 된다.
110,130,150; 용기 120,140,180; 연통관
160; 중간판 170; 유출입부

Claims (7)

  1. 입구와, 상기 입구와 연통되는 내부 저장공간을 구비한 용기; 및
    상기 용기의 내부 저장공간과 입구 측을 연결하는 연통관;을 포함하는 액체저장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은 용기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용기.
  3.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연통관은 상기 용기의 내벽에 접촉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제저장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관은 직선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용기.
  5. 내부 공간을 갖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측으로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주둥이부를 포함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주둥이부 내부에 구비되며, 구멍이 구비된 중간판;
    상기 중간판의 구멍에 연통되도록 상기 중간판부에 관 형태로 연장 형성되는 유출입부; 및
    상기 중간판을 관통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용기 내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연통관;을 포함하는 액체저장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입부는 중간판의 구멍에 연통되는 관부와, 상기 관부의 상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테두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부의 내경은 가운데 부분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갈수록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저장용기.
  7. 내부 공간을 갖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측으로 내경이 점점 작아지는주둥이부를 포함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주둥이부 내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출입구가 구비되는 고정몸체;
    상기 고정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용기의 몸통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켜 용기 몸통부 내부에 공기가 통하도록 하는 연통관;을 포함하는 액체저장용기.
KR1020140191593A 2014-12-29 2014-12-29 액체저장용기 KR201600823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593A KR20160082337A (ko) 2014-12-29 2014-12-29 액체저장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593A KR20160082337A (ko) 2014-12-29 2014-12-29 액체저장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337A true KR20160082337A (ko) 2016-07-08

Family

ID=56504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593A KR20160082337A (ko) 2014-12-29 2014-12-29 액체저장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23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5597B2 (en) Beverage container and lid assembly
US7934624B2 (en) Container closure for simultaneously pouring out two separate liquids with a specified quantitative ratio
RU270157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лива напитков для нескольких контейнеров
EP1803657A1 (en) Liquid delivery device, particularly beverage delivery device
JP2011506209A (ja) 複合コンテナから液体を分配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そのようなコンテナを液体で満たす方法
MX2007011781A (es) Aparato y dispositivo surtidor de liquido.
US9382106B2 (en) Liquid handling system with reduced exposure to air
JP2017100748A (ja) 注出容器
JP6775873B2 (ja) 注出容器
KR20160082337A (ko) 액체저장용기
US20180086622A1 (en) Counter Water Bottle Dispenser
RU2354606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озлива бутилированной воды
CN104510381B (zh) 一种计量油壶以及一种油桶用计量加油器
US20160340081A1 (en) Container with laminar flow
US8596500B2 (en) Anti-bubbling and anti-contamination water dispenser
JP2010083530A (ja) 脈動防止具付きペットボトル
US2619263A (en) Liquid measuring and pouring attachment
US11548773B1 (en) Multipurpose vented funnel
RU192239U1 (ru) Насадка на кран для розлива газированной и/или пенящейся жидкости
US10858156B1 (en) Container/bottle and cap with two spouts
US20230009089A1 (en) Shot straw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P7203549B2 (ja) 吐出キャップ
JP2007055659A (ja) 注出容器
KR20230111058A (ko) 음압을 이용한 음용 용기
RU11267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розлива жидких продук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