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1142A - Automotive transmission - Google Patents

Automotive transmis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1142A
KR20160081142A KR1020140194459A KR20140194459A KR20160081142A KR 20160081142 A KR20160081142 A KR 20160081142A KR 1020140194459 A KR1020140194459 A KR 1020140194459A KR 20140194459 A KR20140194459 A KR 20140194459A KR 20160081142 A KR20160081142 A KR 20160081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hift lever
pattern portion
pattern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4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38729B1 (en
Inventor
박정호
김모세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4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8729B1/en
Publication of KR20160081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1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8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87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mission for a vehicle, capable of increasing driver convenience, comprising: a first pattern part which can be in an N mode or an R mode as a transmission lever moves to be positioned; a second pattern part which can be in the N mode or a D mode as the transmission lever moves to be positioned; an R gate tilting part in which the transmission lever is tilted from the first pattern part; and a D gate tilting part in which the transmission lever is tilted from the second pattern part, wherein a variation of thrust is small in a section in which the transmission lever moves between the first pattern part and the second pattern part and a variation of thrust in a section in which the transmission lever is tilted from the first pattern part to the R gate tilting part or from the second pattern part to the D gate tilting part is greater than the variation of thrust in the section in which the transmission lever moves between the first pattern part and the second pattern part.

Description

차량용 변속 장치{Automotive transmission}[0001] Automotive transmission [0002]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전진) 단 및 R(후진) 단으로의 변속 시에는 추력 향상에 따른 조작감을 부여하고, D 단 또는 R 단에서 N(중립) 단으로의 변속 시에는 부드럽게 변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ular transmiss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ift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which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feeling in accordance with an improvement in thrust during a shift to a D (forward) The speed change can be smoothly performed.

일반적으로, 차량의 변속 장치(Transmission)는 차량의 속도에 따라 엔진의 회전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기어비를 달리하도록 한 것으로서, 운전자는 변속 장치의 기어비를 바꾸기 위하여 변속 장치에 있는 변속 레버(Shift lever)를 조작하게 된다.Generally, a transmission of a vehicle has a gear ratio different in order to keep the rotation of the engine constant in accordance with the speed of the vehicle. In order to change the gear ratio of the transmission, the shift lever .

이때, 운전자는 운전석 옆에 위치하는 변속 레버를 조작하여 변속단을 선택함으로써 기어비를 변화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river can change the gear ratio by selecting the speed change stage by operating the shift lever positioned next to the driver's seat.

변속 장치는 수동 변속 장치와 자동 변속 장치로 구분된다.The transmission is divided into a manual transmission and an automatic transmission.

수동 변속 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 속도에 맞추어 1단, 2단, 3단, 4단 등의 변속단을 직접 선택하는 변속 장치이고, 자동 변속 장치는 차량의 주행 속도, 엔진 부하, 스로틀 밸브의 개방량 등에 따라 차량의 ECU가 변속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변속 장치이다.The manual transmission is a shift device that directly selects the gear positions of the first, second, third, and fourth stages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The automatic transmission includes a traveling speed of the vehicle, an engine load, The ECU of the vehicle automatically adjusts the speed change stage according to the opening amount and the like.

자동 변속 장치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주정차 시에 사용되는 P단, 차량의 전진에 사용되는 D단, 차량의 후진에 사용되는 R단 및 엔진의 출력이 구동륜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N단을 포함하는 변속단으로 구성된다.The automatic transmission generally includes a P stage used for driving a vehicle at an emergency, an D stage used for advancing the vehicle, an R stage used for backing the vehicle, and an N stage for blocking the output of the engin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drive wheel And a speed change stage.

운전자는 변속 레버를 이용하여 각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는데, 변속 레버의 대표적인 종류로는 레버 타입과 다이얼 타입이 있다. 그 외에 각 변속단이 버튼 형식으로 구성된 차종도 있다.The driver can select each gear range using the shift lever. There are two types of shift lever, lever type and dial type. In addition, there are some vehicles with each speed range button type.

일반적인 레버 타입은 P-R-N-D의 순서로 변속단이 일렬 배치되고 레버를 직선 방향으로 이동시켜 각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에는 레버 타입으로서, P-R-N-D의 변속단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레버는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제자리에서 틸팅 후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레버의 틸팅 방향에 따라 P-R-N-D가 차례대로 변하는 방식으로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는 변속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A common lever typ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peed change stages are arranged in the order of P-R-N-D, and the lever is moved in a linear direction to select each gear change stage. In recent years, as the lever type, the position of the gear position of the PRND is not fixed, and the lever is configured to return after being tilted in plac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driver, so that the gear position can be selec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RND changes sequentially in accordance with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lever A speed change device is provided.

한편, 다이얼 타입은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다이얼의 주변으로 P-R-N-D의 변속단이 위치하고 다이얼의 특정 포인트를 P-R-N-D의 각 변속단에 위치시킴으로써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dial typ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peed change stage of the P-R-N-D is positioned in the vicinity of the dial rotating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and the shift stage is selected by positioning a specific point of the dial at each speed change stage of the P-R-N-D.

레버 타입 또는 다이얼 타입의 변속 레버가 장착된 변속 장치는, 운전자가 P-R-N-D의 변속단을 선택하는 때에 변속단의 변화 및 변속 레버가 각 변속단에 위치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절도감을 촉각적으로 전달한다. 이와 같은 절도감을 구현하기 위해 변속 장치 내에는 디던트(Detent) 장치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디턴트 장치는 기구적 구성을 이용해 절도감을 구현하므로 복잡한 구조가 요구되었다. The transmission equipped with the lever type or dial type shift lever tactilely transmits the throttle opening so that when the driver selects the transmission side of the PRND, the change of the speed change stage and the shift lever are located at the respective speed change stages do. In order to realize such a thief feeling, a detent device is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However, a conventional design has required a complicated structure because it realizes a thief feeling using a mechanical structure.

또한,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을 위해, D단에서 P단 또는 R단으로 변속단을 변경하는 경우 또는 반대로 P단 또는 R단에서 D단으로 변경하는 것은 차량이 거의 정지된 상태에서만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의 변속 장치는 일정한 조건이 갖추어졌을 때만 위와 같은 변속단 변경을 허용하고 그 외에는 위와 같은 변속이 불가능하도록 변속 레버의 움직임을 막는 별도의 블로킹 장치가 구비된다.Further, in order to stably drive the vehicle, when changing the speed change stage from the D-stage to the P-stage or R-stage, or vice versa, the change from the P-stage or R-stage to the D-stage should be made only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is almost stationary. To this end, the conventional transmission is provided with a separate blocking device that allows the change of the speed change stage only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and prevents the shift lever from being shifted as described above.

한국공개특허 제2014-0108555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4-0108555

본 발명의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D(전진) 단 및 R(후진) 단으로의 변속 시에는 추력 향상에 따른 조작감을 부여하고, D 단 또는 R 단에서 N(중립) 단으로의 변속 시에는 부드럽게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차량용 변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ving force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shifting is performed,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driver.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변속 레버가 이동하여 위치됨에 따라 N 모드 또는 R 모드일 수 있는 제1패턴 부; 상기 변속 레버가 이동하여 위치됨에 따라 N 모드 또는 D 모드일 수 있는 제2패턴 부;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제1패턴 부에서 틸팅되는 R 단 틸팅 부 및;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제2패턴 부에서 틸팅되는 D 단 틸팅 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제1패턴 부와 상기 제2패턴 부를 이동하는 구간에서는 추력의 변화 폭이 작고,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제1패턴 부에서 상기 R 단 틸팅 부로 틸팅되거나 또는 상기 제2패턴 부에서 상기 D 단 틸팅 부로 틸팅되는 구간에서의 추력 변화 폭은, 상기 제1패턴 부와 상기 제2패턴 부를 이동하는 구간에서의 추력 변화 폭 보다는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ehicular transmission including a first pattern unit that may be an N mode or an R mode as the shift lever is moved and positioned; A second pattern portion that can be an N mode or a D mode as the shift lever is moved and positioned; An R-tilting portion in which the shift lever is tilted in the first pattern portion; Wherein the shift lever includes a D-tilting portion in which the shift lever is tilted in the second pattern portion, wherein a change width of a thrust force is small in a section in which the shift lever moves between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 The thrust change width in a section where the first pattern portion is tilted by the R-tilting portion or the second pattern portion is tilted by the D-tilting portion is a width The thrust variation width can be relatively large.

이 경우, 상기 제1패턴 부와 상기 제2패턴 부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변속 레버가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위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hift lever may be selectively moved.

여기서, 상기 R 단 틸팅 부는 상기 제1패턴 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패턴 부와는 대향되는 반대 쪽에 배치되고, 상기 D 단 틸팅 부는 상기 제2패턴 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턴 부와는 대향되는 반대 쪽에 배치될 수 있다.The R-tilt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second pattern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D-tilt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from the first pattern portion .

또한, 상기 R 단 틸팅 부, 상기 제1패턴 부, 상기 제2패턴 부 및 상기 D 단 틸팅 부는 일렬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R-tilting portion, the first pattern portion, the second pattern portion, and the D-tilting portion may be arranged in a row direction.

또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P 모드로 변환시키는 P 단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Further, it may further include a P-stage switch for switching to P mode by a switch opera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는, 상기 변속 레버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운전자가 상기 변속 레버를 조작하는 힘에 반력을 제공하는 리니어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는, 고정 유닛; 상기 고정 유닛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과 상기 가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마련되는 코일과, 다른 하나의 유닛에 마련되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near drive motor for moving the shift lever or providing a reaction force to a force that the driver operates the shift lever, A fixed unit; A variable unit mov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ixed unit; A coil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xed unit and the variable unit, and a magnet provided in the other unit.

여기서,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제1패턴 부에서 상기 제2패턴 부 또는 상기 제2패턴 부에서 상기 제1패턴 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마그넷과 상기 코일의 자속 밀도가 높은 구간에서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추력의 변화 폭이 작게 될 수 있다.Here, when the shift lever is moved from the second pattern portion or the second pattern portion to the first pattern portion in the first pattern portion, as the movement of the magnet and the coil occurs in a section where the magnetic flux density is high The variation width of the thrust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제1패턴 부에서 상기 R 단 틸팅 부로 틸팅되거나 또는 상기 제2패턴 부에서 상기 D 단 틸팅 부로 틸팅되는 경우, 상기 마그넷과 상기 코일의 자속 밀도가 높은 구간에서 낮은 구간으로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1패턴 부와 상기 제2패턴 부를 이동하는 구간에서의 추력 변화 폭 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추력의 변화 폭을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hift lever is tilted from the first pattern portion to the R-tilting portion or tilted from the second pattern portion to the D-tilting portion,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magnet and the coil is lower As the movement is made, the change width of the thrust force may be larger than the change width of the thrust force in the section where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move.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 의하면, D(전진) 단 및 R(후진) 단으로의 변속 시에는 추력 향상에 따른 조작감이 부여되고, D 단 또는 R 단에서 N(중립) 단으로의 변속 시에는 부드럽게 변속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운전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shifting to the D (forward) stage and the R (reverse) So that smooth shifting is performed at the time of shifting to the neutral (neutral) end,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improving the driver's convenience.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by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various effects are included in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2에서 리니어 구동 모터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에 마련되는 리니어 구동 모터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의 변속에 따라 리니어 구동 모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 의해 변속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 의해 변속이 이루어지는 각 구간에서의 추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Fig.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near drive motor shown in Fig. 2;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linear drive motor provided in a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
6A to 6C are sectional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near drive motor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hift of the transmission for a vehicle which can be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to FIG. 16 are diagrams sequentially showing a shift process performed by the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rust force in each section where a shift is made by the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Further,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and / or schematic drawings that are ideal illust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us, the shape of the illustrations may be modified by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In additio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mponent may be somewhat enlarged or reduced in view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ontrol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of a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리니어 구동 모터가 드러나도록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mission for a vehicle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near drive motor shown in Fig.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1)는, 변속 레버(10), 변속 레버(10)의 하부에 위치하여 변속 레버(10)를 둘러싸는 상부 하우징(21), 상부 하우징(21)의 일측 하부 및 타측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1측부 하우징(22) 및 제2측부 하우징(23)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s, a vehicular transmission 1 that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hift lever 10, an upper housing 21 located below the shift lever 10 and surrounding the shift lever 10, A first side housing 22 and a second side housing 23 which are respectively coupled to lower and lower sides of the upper housing 21, respectively.

변속 레버(10) 및 하우징(21,22,23)은 차량 실내의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와 센터콘솔박스 (Center console box)사이에서 실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제1측부 하우징(22) 및 제2측부 하우징(23)은 차량의 실내에 노출되지 않고 센터페시아로부터 센터콘솔박스로 이어지는 공간 내에 위치될 수 있다.The shift lever 10 and the housings 21, 22 and 23 are installed so as to be exposed to the room between a center fascia and a center console box in a vehicle interior. The first side housing 22, The second side housing 23 can be located in the space leading from the center fascia to the center console box without being exposed 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변속 레버(10)는 운전자에 의해 조작되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P-R-N-D의 순서로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수동 변속 모드를 지원하는 변속 장치(1)의 경우에는 변속 레버(1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거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1단, 2단, 3단 4단 등의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다.The shift lever 10 is operated by the driver, and can be selected in the order of P-R-N-D while moving forward or backwar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transmission device 1 that supports the manual shift mode, the shift lever 10 is shifted leftward or rightward or forward or backward, thereby shifting the shift lever 10 in the first, second, third, Can be selected.

상부 하우징(21)에는 파킹 버튼(P)이 형성될 수 있다. 파킹 버튼은 EPB(Electric Parking Brake)의 작동 버튼일 수 있고, 또는 P단 변속단을 설정하는 버튼일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변속 레버(10)에 의해 선택되는 변속단이 R-N-D의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A parking button P may be formed on the upper housing 21. The parking button may be an operation button of an EPB (Electric Parking Brake) or a button for setting a P-speed range. In this case, the speed range selected by the shift lever 10 may be in the order of RND have.

제1측부 하우징(22)과 제2측부 하우징(23) 사이에는 변속 장치(1)의 후방을 형성하는 내부 하우징(24)이 위치될 수 있다. 내부 하우징(24)은 그 내부에 위치하는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보빈(85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내부 하우징(24)은 스크류(S5, S6)에 의해 보빈(850)과 결합될 수 있다.Between the first side housing 22 and the second side housing 23, an inner housing 24 forming the rear of the transmission 1 may be located. The inner housing 24 can be coupled to the bobbin 850 of the linear drive motor 80 located therein and the inner housing 24 is coupled to the bobbin 850 by screws S5 and S6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1)의 내부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하우징의 내부에는 변속 레버(10)를 지지하는 변속 레버 샤프트(40), 변속 레버 샤프트(4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샤프트 홀더(30), 변속 레버 샤프트(4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 부재(70), 링크 부재(70) 및 내부 하우징(24)에 각각 결합되는 리니어 구동 모터(80)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applicable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Inside the housing, there are provided a shift lever shaft 40 for supporting the shift lever 10, a shaft holder 30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hift lever shaft 40, A link member 70, and a linear drive motor 80 coupled to the inner housing 24, respectively.

여기서, 샤프트 홀더(30)는 하우징(21,22,23) 중, 어느 하나의 하우징에 고정 설치되어, 변속 레버 샤프트(40)가 샤프트 회동축(421)을 중심으로 회동 동작만 가능하도록 규제한다.Here, the shaft holder 30 is fixed to any one of the housings 21, 22, and 23 so that the shift lever shaft 40 can rotate only about the shaft pivot axis 421 .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1)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 샤프트(40)와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 부재(70)와, 링크 부재(70)에 일부가 결합되고 내부 하우징(24)에 다른 일부가 결합되는 리니어 구동 모터(80)를 포함한다.3,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which can be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nk member 70 which is relatively rotatably engaged with the shift lever shaft 40, And a linear drive motor 80, which is partly coupled to the link member 70 and another part of which is coupled to the inner housing 24.

여기서, 리니어 구동 모터(80) 중, 링크 부재(70)와 결합되는 부분을 가변 유닛이라 하고, 내부 하우징(24)에 결합되는 부분을 고정 유닛이라 하기로 한다.Here, a portion of the linear drive motor 80 that is coupled to the link member 70 is referred to as a variable unit, and a portion coupled to the inner housing 24 is referred to as a fixed unit.

링크 부재(70)는 플랜지(71)와 플랜지(71)의 일면으로부터 변속 레버 샤프트(40)의 관통홀을 향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조(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nk member 70 may include a pair of engaging jaws 72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flange 71 and the flange 71 toward the through hole of the shift lever shaft 40.

플랜지(71)의 이면에는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가변 유닛이 설치되고, 가변 유닛과 플랜지(71)는 스크류(S3, S4)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A variable unit of the linear drive motor 80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flange 71 and the variable unit and the flange 71 can be coupled by the screws S3 and S4.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고정 유닛은 고정 설치되는 내부 하우징(24)에 결합되고, 가변 유닛은 내부 하우징(24)과 함께 고정되는 고정 유닛으로부터 직선 방향(도 3을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일정 간격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The fixed unit of the linear drive motor 80 is coupled to the fixed inner housing 24, and the variable unit is fixed in a linear direction (left-right direction in FIG. 3) from the fixed unit fixed together with the inner housing 24 And can be movably installed within the interval range.

따라서, 운전자가 변속 레버(10)를 조작하면, 변속 레버 샤프트(40)는 회동부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링크 부재(70) 및 가변 유닛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대로, 가변 유닛이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링크 부재(70)는 가변 유닛과 함께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변속 레버 샤프트(40) 및 변속 레버(10)가 회동하게 된다.Therefore,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shift lever 10, the shift lever shaft 40 is rotated around the turning portion, whereby the link member 70 and the variable unit move in the linear direction. Conversely, when the variable unit is moved in the linear direction, the link member 70 moves in a linear direction together with the variable unit, thereby causing the shift lever shaft 40 and the shift lever 10 to rotat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1)에 마련되는 리니어 구동 모터(80)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linear drive motor 80 provided in the vehicular transmission 1 applicable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에 마련되는 리니어 구동 모터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의 변속에 따라 리니어 구동 모터가 작동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near drive motor structure provided in a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4, Figs. 6a to 6c are cross- And Fig. 5 is a sectional view sequenti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inear drive motor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hift of the applicable vehicular transmission.

먼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니어 구동 모터(80)는, 가변 하우징(810), 마그넷(820), 요크(830)를 포함하는 가변 유닛과, 모터 샤프트(840), 보빈(850), 코일(860)을 포함하는 고정 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4 and 5, the linear drive motor 80 includes a variable unit including a variable housing 810, a magnet 820, and a yoke 830, and a motor shaft 840, (850), and a coil (86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적용되는 리니어 구동 모터(80)는 기본적으로 코일(860)에 인가되는 전류의 변화에 의해 형성되는 자기장에 영향을 받아 마그넷(820)이 이동하며 이에 따라 가변 유닛이 고정 유닛에 대하여 직선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동 원리를 갖는다.The linear drive motor 80 appli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influenced by the magnetic field formed by the change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coil 860 so that the magnet 820 moves, As shown in Fig.

모터 샤프트(840)는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중심축을 형성하며, 일단은 가변 유닛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타단은 보빈(850)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모터 샤프트 수용단에 고정될 수 있다.The motor shaft 840 forms a central axis of the linear drive motor 80. The other end of the motor shaft 840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variable unit and the other end of the motor shaft 840 can be fixed to a motor shaft receiving end formed on the base plate of the bobbin 850.

이때, 가변 유닛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모터 샤프트(840)의 일단은 링크 부재(70)의 플랜지(71)를 관통할 수 있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motor shaft 840 exposed frontward of the variable unit may pass through the flange 71 of the link member 70. [

모터 샤프트(840)는 고정 유닛에 대하여 상대 이동하는 가변 유닛 및 링크 부재(70)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 할 수 있다.The motor shaft 840 can guide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ink unit 70 and the variable unit that moves relative to the fixed unit.

참고로, 도면 중 미 설명 부호인 (812,813)은 가변 하우징(810)의 일측 커버를 나타낸 것이다.For reference, the reference numerals 812 and 813 in the figure denote one cover of the variable housing 810.

따라서, 운전자가 변속단을 바꾸고자 변속 레버(10)를 조작하는 경우,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가변 유닛은 도 6a 내지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유닛에 대하여 왕복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변속단이 바뀌게 된다.Therefore, when the driver operates the shift lever 10 to change the speed change stage, the variable unit of the linear drive motor 80 is moved reciprocally with respect to the fixed unit, as shown in Figs. 6A to 6C The speed change stage is change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00)는, 변속 장치의 변속 레버(10)가 이동하여 위치됨에 따라 N 모드 또는 R 모드를 유지할 수 있는 제1패턴 부(110)와, 변속 장치의 변속 레버(10)가 이동하여 위치됨에 따라 N 모드 또는 D 모드를 유지할 수 있는 제2패턴 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vehicular transmission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ttern unit (110) capable of maintaining the N mode or the R mode as the shift lever (10) And a second pattern unit 130 capable of maintaining an N mode or a D mode as the shift lever 10 of the transmission is moved and positioned.

여기서, 제1패턴 부(110)와, 제2패턴 부(130)는 상하 또는 좌우로 인접하게 위치되며, 변속 레버(10)가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위치될 수 있다.Here, the first pattern unit 110 and the second pattern unit 130 are position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hift lever 10 can be selectively moved and positio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00)는, 제1패턴 부(110)와 인접하게 위치되며, 변속 레버(10)가 제1패턴 부(110)로부터 틸팅(Tilting)된 후, 다시 제1패턴 부(110)로 복귀되는 R 단 틸팅 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for a vehic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pattern unit 110 and is configured such that after the shift lever 10 is tilted from the first pattern unit 110 And an R-stage tilting unit 120 that is returned to the first pattern unit 110.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00)는, 제2패턴 부(130)와 인접하게 위치되며, 변속 레버(10)가 제2패턴 부(130)로부터 틸팅 된 후, 다시 제2패턴 부(130)로 복귀되는 D 단 틸팅 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for a vehicl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econd pattern unit 130 and after the shift lever 10 is tilted from the second pattern unit 130, 2 pattern unit 130. The D-tilting unit 140 may include a D-tilting unit 140 and a D-

R 단 틸팅 부(120)는 제1패턴 부(110)를 중심으로 제2패턴 부(130)와는 대향되는 반대 쪽에 배치되고, D 단 틸팅 부(140)는 제2패턴 부(130)를 중심으로 제1패턴 부(110)와는 대향되는 반대 쪽에 배치될 수 있다.The R-tilting portion 12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110 from the second pattern portion 130, and the D-tilting portion 140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pattern portion 130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pattern portion 130 May be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pattern unit 110.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뒷받침 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R 단 틸팅 부(120), 제1패턴 부(110), 제2패턴 부(130), D 단 틸팅 부(140)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역순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order to suppor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tilting unit 120, the first pattern unit 110, the second pattern unit 130, and the D-tilting unit 140 are sequentially arranged Are shown as an example, they can be arranged in the reverse ord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뒷받침 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도면에서는 R 단 틸팅 부(120), 제1패턴 부(110), 제2패턴 부(130), D 단 틸팅 부(140)가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In order to support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tilting unit 120, the first pattern unit 110, the second pattern unit 130, and the D-tilting unit 140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it may be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00)는, 스위치 조작에 의해 N 모드에서 P 모드로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P 단 스위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vehicular transmission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stage switch (200) for switching from N mode to P mode by switch operation.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차량용 변속 장치(100)에 의하여 변속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process of shifting by the vehicle transmission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8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에 의해 변속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FIGS. 8 to 16 are diagram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shift process performed by the vehicular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은 변속 레버가 제1패턴 부에 위치하고, P 단 스위치가 작동되어 P 모드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hift lever is located in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P-stage switch is operated to be in the P-mode.

이와 같은 상태는 차량이 주차 또는 정차된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주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P 단 스위치(200)를 해제하여 N 모드가 되도록 하면 된다.Such a state is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is parked or stopped. In this state, when the driver wishes to drive the vehicle, the P-stage switch 200 may be released to become the N-mode as shown in FIG.

즉, P 모드에서 P 단 스위치(200)를 해제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N 모드로 변환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운전자는 차량이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변속 레버(10)를 조작하여 R 모드 또는 D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stage switch 200 is released in the P mode, the shift to the N mode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9. In this state, the driver moves the shift lever 10, The R mode or the D mode can be selected.

도 10은 N 모드에서 운전자가 변속 레버의 조작으로 R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driver selects the R mode by operating the shift lever in the N mode.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을 후진시키고자 R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운전자는 변속 레버(10)를 R 단 틸팅 부(120)로 틸팅하면 되며, 이에 따라 변속 레버(10)는 제1패턴 부(110)에서 R 단 틸팅 부(120)로 틸팅 된 후, 다시 제1패턴 부(110)로 복귀하여 R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R mode is selected to move the vehicle backward, the driver tilts the shift lever 10 to the R-tilting portion 120, 110 to the R-tilting portion 120, and then returns to the first pattern portion 110 to be shifted to the R-mode.

따라서, 운전자는 R 모드에서 차량을 주행하여 후진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driver can drive the vehicle in the R mode and can move it backward.

한편, R 모드에서 후진을 하고 난 이후에, 차량을 전방으로 주행시키고자 D 모드로 변속하는 경우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를 조작하여 제2패턴 부(130)로 이동시킨 후, 연속해서 D 단 틸팅 부(140)로 틸팅하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is shifted to the D mode for running the vehicle forward after advancing backward in the R mode, the shift lever 10 is operated to shift to the second pattern portion 130 And then tilted to the D-tilting unit 140 continuously.

이때, 변속 레버(10)는 제1패턴 부(110)에서 제2패턴 부(130)로 이동함에 따라 차량의 변속단은 R 모드에서 N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고, 연속해서 D 단 틸팅 부(140)로 틸팅된 후, 다시 제2패턴 부(130)로 복귀하여 D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shift lever 10 moves from the first pattern unit 110 to the second pattern unit 130, the speed change stage of the vehicle is shifted from the R mode to the N mode, and the D-tilting unit 140, then returns to the second pattern unit 130 and shifts to the D mode.

따라서, R 모드에서 D 모드로의 변속은 N 모드를 거친 후에 이루어지게 된다.Therefore, the shift from the R mode to the D mode is performed after passing through the N mode.

또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가 제1패턴 부(110)에 위치하여 N 모드인 상태에서 D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도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를 조작하여 제2패턴 부(130)로 이동시킨 후, D 단 틸팅 부(140)로 틸팅하면 된다.9, the shift lever 10 may be positioned in the first pattern unit 110 to shift from the N mode to the D mod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1, The shift lever 10 may be operated to move to the second pattern unit 130 and then tilted to the D-tilting unit 140.

이때, 변속 레버(10)는 제1패턴 부(110)에서 제2패턴 부(130)로 이동할 때, N 모드를 계속해서 유지하게 되고, 연속해서 D 단 틸팅 부(140)로 틸팅된 후, 다시 제2패턴 부(130)로 복귀하게 되면 D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shift lever 10 moves from the first pattern unit 110 to the second pattern unit 130, the shift lever 10 continues to maintain the N mode, and is continuously tilted to the D-tilting unit 140, And then returns to the second pattern unit 130, the shift to the D mode is performed.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가 제2패턴 부(130)에 위치하여 D 모드를 이루는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을 멈추고 주정차 시키기 위하여 P 모드로 변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를 제1패턴 부(110)로 이동시켜서 N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 단 스위치(200)를 작동시키면 된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shift lever 10 is located in the second pattern unit 130 and is in the D mode, when it is desired to stop the running of the vehicle and convert to the P mode in order to drive the vehicle, As shown in the figure, the shift lever 10 is moved to the first pattern unit 110 to shift to the N mode, and then the P-stage switch 200 is operated as shown in FIG.

이와 같이, 변속 레버(10)가 제1패턴 부(110)에 위치한 상태에서 P 단 스위치(200)가 작동되어 차량이 주정차된 후, 다시 차량을 주행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대로 변속 레버(10)를 조작하여 R 모드, N 모드 및 D 모드를 선택하면 된다.When the P-step switch 200 is operated in a state where the shift lever 10 is positioned on the first pattern unit 110 and the vehicle is to be driven again after the vehicle is parked, the shift lever 10) to select R mode, N mode and D mode.

한편, 도 13 및 도 14는 변속 레버(10)가 제2패턴 부(130)에 위치한 상태에서 P 모드 및 N 모드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13 and 14 illustrate the P mode and the N mode in a state where the shift lever 10 is positioned on the second pattern unit 130. As shown in FIG.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패턴 부(110)는 변속 레버(10)가 위치함에 따라 N-R 모드를 유지할 수 있고, 제2패턴 부(130)는 변속 레버(10)가 위치함에 따라 N-D 모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변속 레버(10)가 제2패턴 부(130)에 위치한 상태에서 P 모드 및 N 모드인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The first pattern unit 110 can maintain the NR mode as the shift lever 10 is positioned and the second pattern unit 130 can maintain the ND mode as the shift lever 10 is positioned The shift lever 10 may be maintained in the P mode and the N mode in a state where the shift lever 10 is positioned on the second pattern unit 130. [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가 제1패턴 부(110)에 위치하여 R 모드인 상태에서, 차량의 주행을 멈추고 주정차 시키기 위하여 P 모드로 변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를 제1패턴 부(110)에서 제2패턴 부(130)로 이동시켜서 N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 단 스위치(200)를 작동시켜서 P 모드가 되도록 하면 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shift lever 10 is located in the first pattern unit 110 and is in the R mode, when it is desired to stop the running of the vehicle and convert it to the P mode , The shift lever 10 is shifted from the first pattern unit 110 to the second pattern unit 130 so as to shift to the N mode, as shown in FIG. 14, The switch 200 is operated to set the P mod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00)는, 제2패턴 부(130)에 변속 레버(10)가 위치한 상태에서도 N 모드 및 P 모드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vehicle transmission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N mode and the P mode even in a state where the shift lever 10 is positioned on the second pattern unit 130.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가 제2패턴 부(130)에 위치한 상태에서 차량이 P 모드를 이루는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시키고자 변속 장치를 변속하는 과정은 도 14 내지 도 16과 같다.As shown in Fig. 13, the process of shifting the transmission for driving the vehicle while the vehicle is in the P mode with the shift lever 10 positioned on the second pattern portion 130 is shown in Figs. 14 16.

먼저, 차량을 주행시키고자 P 단 스위치(200)를 해제하게 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가 제2패턴 부(130)에 위치한 상태에서 N 모드를 유지하게 된다.First, when the P-step switch 200 is released to travel the vehicle, the shift lever 10 is maintained in the N mode with the shift lever 10 positioned on the second pattern unit 130 as shown in FIG.

즉, P 모드에서 P 단 스위치(200)를 해제하게 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N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상태에서 운전자는 차량이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변속 레버(10)를 조작하여 R 모드 또는 D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P-step switch 200 is released in the P mode, the shift is made to the N mode as shown in FIG. 14. In this state, the driver moves the shift lever 10, The R mode or the D mode can be selected.

도 15는 N 모드에서 운전자가 변속 레버(10)의 조작으로 R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the driver selects the R mode by the operation of the shift lever 10 in the N mode.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을 후방으로 주행시키고자 R 모드로 변속하는 경우에는, 변속 레버(10)를 조작하여 제1패턴 부(110)로 이동시킨 후, 연속해서 R 단 틸팅 부(120)로 틸팅하면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when the vehicle is shifted to the R mode to travel backward, the shift lever 10 is operated to move to the first pattern unit 110, and then, the R-tilting unit 120 Tilting.

이때, 변속 레버(10)는 제2패턴 부(130)에서 제1패턴 부(110)로 이동함에 따라 차량의 변속단은 계속해서 N 모드를 유지하게 되고, 연속해서 R 단 틸팅 부(120)로 틸팅된 후 다시 제1패턴 부(110)로 복귀하게 되면 R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as the shift lever 10 moves from the second pattern portion 130 to the first pattern portion 110, the gear position of the vehicle continues to maintain the N-mode, and the R-tilting portion 120 continuously moves, And then returns to the first pattern unit 110, the shift to the R mode is performed.

따라서, 운전자는 R 모드에서 차량을 주행하여 후진시킬 수 있게 되며, 이후에 차량을 전방으로 주행시키고자 D 모드로 변속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를 조작하여 제2패턴 부(130)로 이동시킨 후, 연속해서 D 단 틸팅 부(140)로 틸팅하면 된다.Therefore, when the driver is able to drive the vehicle in the R mode and move backward, and thereafter shifts to the D mode to drive the vehicle forward, the shift lever 10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n tilted to the D-tilting portion 140 successively.

이때, 변속 레버(10)는 제1패턴 부(110)에서 제2패턴 부(130)로 이동함에 따라 차량의 변속단은 R 모드에서 N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고, 연속해서 D 단 틸팅 부(140)로 틸팅된 후, 다시 제2패턴 부(130)로 복귀하여 D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짐으로써, R 모드에서 D 모드로의 변속은 N 모드를 거친 후에 이루어지게 된다.(도 11 참조)At this time, as the shift lever 10 moves from the first pattern unit 110 to the second pattern unit 130, the speed change stage of the vehicle is shifted from the R mode to the N mode, and the D-tilting unit 140, then returns to the second pattern unit 130 and shifts to the D mode, so that the shift from the R mode to the D mode is performed after passing through the N mode (see FIG. 11).

한편, 도 16은 N 모드에서 운전자가 변속 레버(10)의 조작으로 D 모드를 선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FIG. 16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the driver selecting the D mode by the operation of the shift lever 10 in the N mode.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가 제2패턴 부(130)에 위치하여 N 모드인 상태에서 D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운전자가 변속 레버(10)를 D 단 틸팅 부(140)로 틸팅하면 되며, 이에 따라 변속 레버(10)는 제2패턴 부(130)에서 D 단 틸팅 부(140)로 틸팅된 후, 다시 복귀하여 D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hift lever 10 may be positioned in the second pattern unit 130 to be shifted from the N mode to the D mode. In this case, the driver may shift the shift lever 10 to the D- The shift lever 10 is tilted from the second pattern unit 130 to the D-tilting unit 140, and then the shift lever 10 is returned to the D-tilting unit 140 and shifted to the D mode.

따라서, 운전자는 D 모드에서 차량을 주행하여 전진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driver can drive the vehicle in the D mode and advance it.

마지막으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가 제1패턴 부(110)에 위치하여 R 모드인 상태에서 차량을 주정차시키고자 P 모드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를 제1패턴 부(110)에서 제2패턴 부(130)로 이동시켜서 N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 단 스위치(200)를 작동시키면 된다.15, when the shift lever 10 is located in the first pattern unit 110 and is in the R mode, the vehicle is shifted to the P-mode in order to shift the vehicle to the P-mode, as shown in FIG. 14 The shift lever 10 is shifted from the first pattern unit 110 to the second pattern unit 130 so as to shift to the N mode. Then, as shown in FIG. 13, the P-stage switch 200 is operated You.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가 제2패턴 부(130)에 위치하여 D 모드인 상태에서 차량을 주정차시키고자 P 모드로 변환하는 경우에는, 도 9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를 제1패턴 부(110)로 이동시켜서 N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 단 스위치(200)를 작동시키면 된다.In the case where the shift lever 10 is located in the second pattern unit 130 as shown in Fig. 16 and the vehicle is shifted to the P mode in the state of being in the D mode, The shift lever 10 is moved to the first pattern unit 110 so that the shift is made to the N mode, and then the P-stage switch 200 is operated as shown in FI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변속 레버(10)가 제1패턴 부(110)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은 N 모드 또는 R 모드인 상태일 수 있고, 변속 레버(10)가 제2패턴 부(130)에 위치하는 경우 차량은 N 모드 또는 D 모드인 상태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hift lever 10 is positioned on the first pattern unit 110, the vehicle may be in the N mode or the R mode. When the shift lever 10 is in the second pattern unit 130 The vehicle may be in the N mode or the D mode.

이때, 변속 레버(10)가 제1패턴 부(110)에 위치하여 N 모드 또는 R 모드인 상태에서 제2패턴 부(130)로 이동하게 되면, N 모드를 유지하거나 또는 N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며, 반대로 변속 레버(10)가 제2패턴 부(130)에 위치하여 N 모드 또는 D 모드인 상태에서 제1패턴 부(110)로 이동하게 되면, N 모드를 유지하거나 또는 N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shift lever 10 is positioned in the first pattern unit 110 and moves to the second pattern unit 130 in the N mode or the R mode, the N mode is maintained or the shift to the N mode is performed When the shift lever 10 is positioned in the second pattern unit 130 and moves to the first pattern unit 110 in the N mode or the D mode, the N mode is maintained or the shift mode is changed to the N mode .

따라서, 변속 레버(10)가 제1패턴 부(110)에서 제2패턴 부(130)로, 또는 제2패턴 부(130)에서 제1패턴 부(110)로 이동하는 구간은, R 모드에서 D 모드로 변속되거나 D 모드에서 R 모드로 변속되지 않고, N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구간이 된다.Therefore, the section in which the shift lever 10 moves from the first pattern unit 110 to the second pattern unit 130 or from the second pattern unit 130 to the first pattern unit 110 is the R mode D mode, or shifted from the D mode to the R mode, and shifting to the N mode.

또는, N 모드에서 N 모드를 유지하는 구간이 되기도 한다.Alternatively, it may be a period for maintaining the N mode in the N mode.

이와 같이, 변속 레버(10)가 제1패턴 부(110)에서 제2패턴 부(130)로, 또는 제2패턴 부(130)에서 제1패턴 부(110)로 이동하는 구간은, R 모드에서 N 모드, D 모드에서 N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N 모드에서 N 모드를 유지하는 구간이므로, 이 구간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변속 시 부드러운 조작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The section in which the shift lever 10 moves from the first pattern unit 110 to the second pattern unit 130 or from the second pattern unit 130 to the first pattern unit 110 is a mode in which the R mode And the N th mode is maintained in the N mode. Thus, the thrust is maintained constant as shown in Fig. 17, so that the driver can feel the smooth operation feeling .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변속 장치(100)에 의해 변속이 이루어지는 각 구간에서의 추력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17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thrust force in each section in which shifting is performed by the vehicular transmission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R 모드에서 N 모드, D 모드에서 N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N 모드에서 N 모드를 유지하는 구간은, 차량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변속하는 구간이 아니므로 추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변속 시 부드러운 조작감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eriod in which the shift from the R mode to the N mode or the D mode to the N mode or the N mode is maintained in the N mode is not a period in which the vehicle is shifted forward or backward, So that the driver can feel a smooth operation feeling in shifting.

즉, R 모드에서 N 모드, D 모드에서 N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거나 N 모드에서 N 모드를 유지하는 구간은, 변속 레버(10)가 제1패턴 부(110)에서 제2패턴 부(130) 또는 제2패턴 부(130)에서 제1패턴 부(110)로 이동하는 구간이 되는데, 이의 경우,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마그넷(820)과 코일(860)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가 중첩된 위치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마그넷(820)과 코일(860)의 자속 밀도가 높은 구간에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That is, the period in which the shift from the R mode to the N mode, the D mode to the N mode, or the N mode is maintained is achieved when the shift lever 10 moves from the first pattern portion 110 to the second pattern portion 130, The magnet 820 and the coil 860 of the linear driving motor 80 move from the second pattern unit 130 to the first pattern unit 110. In this case,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magnet 820 and the coil 860 is moved in a section where the magnetic flux density is high.

따라서, 변속 레버(10)가 제1패턴 부(110)에서 제2패턴 부(130) 또는 제2패턴 부(130)에서 제1패턴 부(110)로 이동하는 구간에서의 추력 변화 폭은 작게 되어 거의 추력이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운전자는 부드러운 조작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The width of the thrust change in the section in which the shift lever 10 moves from the first pattern unit 110 to the second pattern unit 130 or the second pattern unit 130 to the first pattern unit 110 is small So that the driver can feel a smooth operation feeling.

한편, 변속 레버(10)가 제1패턴 부(110)에서 R 단 틸팅 부(120)로, 또는 제2패턴 부(130)에서 D 단 틸팅 부(140)로 이동하는 구간은, N 모드에서 R 모드로 변속되거나 N 모드에서 D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구간이 된다.The section in which the shift lever 10 moves from the first pattern unit 110 to the R-tilting unit 120 or from the second pattern unit 130 to the D-tilting unit 140 is the R mode, or a shift from N mode to D mode.

변속 레버(10)가 제1패턴 부(110)에서 R 단 틸팅 부(120)로 이동하게 되면, 리니어 구동 모터(80)가 구동하여 도 6b 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유닛이 고정 유닛에 대하여 빠져 나오거나 들어간 상태가 되는데, 이의 경우 마그넷(820)과 코일(860)은 중첩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완전히 중첩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마그넷(820)과 코일(860)의 자속 밀도는 낮아지게 된다.When the shift lever 10 is moved from the first pattern unit 110 to the R-tilting unit 120, the linear drive motor 80 is driven to move the variable unit to the fixed unit 110, as shown in FIG. 6B or 6C. The magnet 820 and the coil 860 are not overlapped or complete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magnet 820 and the coil 860 is low .

따라서, N 모드에서 R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마그넷(820)과 코일(860)의 자속 밀도가 높다가 낮아지게 됨으로써, 추력이 작아져서 결국 추력의 변화 폭이 커지게 되어 운전자는 변속 시 절도감을 느끼게 되며, 이에 변속이 이루어짐을 인지할 수 있는 조작감을 제공받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hift from the N mode to the R mode is performed,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magnet 820 and the coil 860 of the linear drive motor 80 becomes high and low, whereby the thrust becomes small, So that the driver feels a sense of throttling during shifting and is provided with a sense of operation that allows the shift to be recognized.

또한, 변속 레버(10)가 제2패턴 부(130)에서 D 단 틸팅 부(140)로 이동하게 되면, 리니어 구동 모터(80)가 구동하여 도 6b 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 유닛이 고정 유닛에 대하여 빠져 나오거나 들어간 상태가 되는데, 이의 경우에도 마그넷(820)과 코일(860)은 중첩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또는 완전히 중첩된 상태를 이루게 됨으로써, 마그넷(820)과 코일(860)의 자속 밀도는 낮아지게 된다.When the shift lever 10 is moved from the second pattern unit 130 to the D-tilting unit 140, the linear drive motor 80 is driven to rotate the variable unit as shown in FIG. 6B or 6C. The magnet 820 and the coil 860 are not overlapped or completely overlapp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agnetic flux of the magnet 820 and the coil 860 The density is lowered.

따라서, N 모드에서 D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경우, 리니어 구동 모터(80)의 마그넷(820)과 코일(860)의 자속 밀도가 높다가 낮아지게 됨으로써, 추력이 작아져서 결국 추력의 변화 폭이 커지게 되어 운전자는 변속 시 절도감을 느끼게 되며, 이에 변속이 이루어짐을 인지할 수 있는 조작감을 제공받게 된다Therefore, when the shift from the N mode to the D mode is performed, the magnetic flux density between the magnet 820 and the coil 860 of the linear drive motor 80 becomes high and low, whereby the thrust becomes small, So that the driver feels a sense of throttling during shifting and is provided with a sense of operation that allows the shift to be recognized

이와 같이, N 단에서 R 단 또는 N 단에서 D 단으로의 변속 구간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력의 변화 폭이 크게 되어 운전자에게 변속 시 절도감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짐을 인지할 수 있도록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us, as shown in Fig. 17, the shift range from the N-th stage to the R-stage or from the N-th stage to the D-th stage increases the variation range of the thrust force and provides the driver with a sense of throttling during shifting,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nse of operation.

다시 말해서, N 모드에서 R 모드, N 모드에서 D 모드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구간은, 차량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도록 변속하는 구간이므로, 추력의 변화 폭이 크게 이루어지게 되어 운전자가 변속 시 절도감을 느낄 수 있게 됨으로써, 변속이 이루어짐을 인지할 수 있는 조작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section in which the shift from the N mode to the R mode and the shift from the N mode to the D mode is performed is for shifting the vehicle forward or backward, the change width of the thrust is larg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nse of operation that can recognize that the shift is performed.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 변속 레버 80 : 리니어 구동 모터
100 : 변속 패턴 110 : 제1패턴 부
120 : R 단 틸팅 부 130 : 제2패턴 부
140 : D 단 틸팅 부 200 : P 단 스위치
820 : 마그넷 860 : 코일
10: shift lever 80: linear drive motor
100: shift pattern 110: first pattern portion
120: R-tilting part 130: second pattern part
140: D-tilting unit 200: P-stage switch
820: Magnet 860: Coil

Claims (8)

변속 레버가 이동하여 위치됨에 따라 N 모드 또는 R 모드일 수 있는 제1패턴 부;
상기 변속 레버가 이동하여 위치됨에 따라 N 모드 또는 D 모드일 수 있는 제2패턴 부;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제1패턴 부에서 틸팅되는 R 단 틸팅 부 및;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제2패턴 부에서 틸팅되는 D 단 틸팅 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제1패턴 부와 상기 제2패턴 부를 이동하는 구간에서는 추력의 변화 폭이 작고,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제1패턴 부에서 상기 R 단 틸팅 부로 틸팅되거나 또는 상기 제2패턴 부에서 상기 D 단 틸팅 부로 틸팅되는 구간에서의 추력 변화 폭은, 상기 제1패턴 부와 상기 제2패턴 부를 이동하는 구간에서의 추력 변화 폭 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차량용 변속 장치.
A first pattern portion which may be an N mode or an R mode as the shift lever is moved and positioned;
A second pattern portion that can be an N mode or a D mode as the shift lever is moved and positioned;
An R-tilting portion in which the shift lever is tilted in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a D-tilting portion in which the shift lever is tilted in the second pattern portion,
Wherein the shift lever has a small change width of thrust in a section in which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move,
Wherein a thrust change width in a section in which the shift lever is tilted from the first pattern portion to the R-tilting portion or tilted from the second pattern portion to the D-tilting portion is determined by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pattern Wherein the throttle opening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thrust change width in the section in which the portion is moved.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 부와 상기 제2패턴 부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상기 변속 레버가 선택적으로 이동하여 위치될 수 있는 차량용 변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are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shift lever can be selectively moved and positioned.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 단 틸팅 부는 상기 제1패턴 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2패턴 부와는 대향되는 반대 쪽에 배치되고,
상기 D 단 틸팅 부는 상기 제2패턴 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패턴 부와는 대향되는 반대 쪽에 배치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tilting portion is disposed on a side opposite to the second pattern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attern portion,
Wherein the D-tilting portion is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pattern por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pattern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 단 틸팅 부, 상기 제1패턴 부, 상기 제2패턴 부 및 상기 D 단 틸팅 부는 일렬 방향으로 배치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tilting portion, the first pattern portion, the second pattern portion, and the D-tilting portion are arranged in a row direction.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스위치 조작에 의해 P 모드로 변환시키는 P 단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nd a P-step switch for switching to a P mode by a switch opera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운전자가 상기 변속 레버를 조작하는 힘에 반력을 제공하는 리니어 구동 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리니어 구동 모터는,
고정 유닛;
상기 고정 유닛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변 유닛 및;
상기 고정 유닛과 상기 가변 유닛 중, 어느 하나의 유닛에 마련되는 코일과, 다른 하나의 유닛에 마련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는 차량용 변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near drive motor that moves the shift lever or provides a reaction force to a force by which the driver operates the shift lever,
The linear drive motor includes:
A fixed unit;
A variable unit mov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fixed unit;
A coil provided in any one of the fixed unit and the variable unit, and a magnet provided in the other unit.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제1패턴 부에서 상기 제2패턴 부 또는 상기 제2패턴 부에서 상기 제1패턴 부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마그넷과 상기 코일의 자속 밀도가 높은 구간에서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추력의 변화 폭이 작게 되는 차량용 변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shift lever is moved from the second pattern portion or the second pattern portion to the first pattern portion in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variation width of the thrust is reduced as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magnet and the coil moves.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제1패턴 부에서 상기 R 단 틸팅 부로 틸팅되거나 또는 상기 제2패턴 부에서 상기 D 단 틸팅 부로 틸팅되는 경우,
상기 마그넷과 상기 코일의 자속 밀도가 높은 구간에서 낮은 구간으로 이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1패턴 부와 상기 제2패턴 부를 이동하는 구간에서의 추력 변화 폭 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추력의 변화 폭을 나타내는 차량용 변속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n the shift lever is tilted from the first pattern portion to the R-tilting portion or tilted from the second pattern portion to the D-tilting portion,
Wherein the magnetic flux density of the magnet and the coil is shifted to a low region in a high magnetic flux density region, and the first pattern portion and the second pattern portion are shifted from each other, gearbox.
KR1020140194459A 2014-12-30 2014-12-30 Automotive transmission KR1022387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459A KR102238729B1 (en) 2014-12-30 2014-12-30 Automotive transmis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459A KR102238729B1 (en) 2014-12-30 2014-12-30 Automotive transmiss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142A true KR20160081142A (en) 2016-07-08
KR102238729B1 KR102238729B1 (en) 2021-04-12

Family

ID=5650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459A KR102238729B1 (en) 2014-12-30 2014-12-30 Automotive transmis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8729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9184A1 (en) * 1999-11-24 2001-05-31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Long-stroke voice coil linear actuator
US20020020236A1 (en) * 2000-08-18 2002-02-21 Alps Electric Co., Ltd. By-wire shift lever device for vehicle
US7279814B2 (en) * 2005-11-01 2007-10-09 Bio-Rad Laboratories, Inc. Moving coil actuator for reciprocating motion with controlled force distribution
KR20110062888A (en) * 2009-12-04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ransmission shift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339174B1 (en) * 2012-08-21 2013-12-09 에스엘 주식회사 Automotive transmission
KR20140108555A (en) 2011-12-19 2014-09-11 알리손 트랜스미션, 인크. Automatic transmission with improved gear arrangem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39184A1 (en) * 1999-11-24 2001-05-31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Long-stroke voice coil linear actuator
US20020020236A1 (en) * 2000-08-18 2002-02-21 Alps Electric Co., Ltd. By-wire shift lever device for vehicle
US7279814B2 (en) * 2005-11-01 2007-10-09 Bio-Rad Laboratories, Inc. Moving coil actuator for reciprocating motion with controlled force distribution
KR20110062888A (en) * 2009-12-04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Transmission shifting apparatus for vehicle
KR20140108555A (en) 2011-12-19 2014-09-11 알리손 트랜스미션, 인크. Automatic transmission with improved gear arrangement
KR101339174B1 (en) * 2012-08-21 2013-12-09 에스엘 주식회사 Automotive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8729B1 (en)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8165B2 (en) Shift device
US8955405B2 (en) Automotive transmission
EP2963314B1 (en) Shift range switching device for vehicle
KR101755854B1 (en) Electronic shift system
US10920879B2 (en) Vehicular transmission
KR102402603B1 (en) Actuator and Transmission for Vehicle including the Actuator
KR101691843B1 (en) Transmission for vehicle
KR101951462B1 (en) Transmission for vehicle
US10253869B2 (en) Lever apparatus for electronic shift system
US10619732B2 (en) Automotive transmission
JP6003785B2 (en) Vehicle shift device
KR101846714B1 (en) Shift lever apparatus for electronic shift system
KR20160081142A (en) Automotive transmission
KR101928754B1 (en) Transmission for vehicle
KR20170047917A (en) Hybrid shift lever
CN110886837B (en) Speed change device for vehicle
JP2012131305A (en) Shift operating device of vehicular transmission
KR102238730B1 (en) Automotive transmission
KR102289737B1 (en) Automotive transmission
KR101653636B1 (en) Automotive transmission
KR20210030083A (en) Transmission for vehicle
KR20190064871A (en) Automotive transmission
KR101928755B1 (en) Automotive transmission
KR2016008206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automotive transmission
KR101745013B1 (en) Tiltable shift le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