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880A -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및 바이탈 입력 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및 바이탈 입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880A
KR20160080880A KR1020140192592A KR20140192592A KR20160080880A KR 20160080880 A KR20160080880 A KR 20160080880A KR 1020140192592 A KR1020140192592 A KR 1020140192592A KR 20140192592 A KR20140192592 A KR 20140192592A KR 20160080880 A KR20160080880 A KR 20160080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l
input
value
mobile terminal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1815B1 (ko
Inventor
김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비케어
Priority to KR1020140192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815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및 바이탈 입력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은, 환자에 관한 바이탈 입력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환자에게 할당되는 바이탈 항목을 확인하는 단계와,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를 적어도 이용하여, 상기 바이탈 항목 별로 입력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의 화면 상으로 제공되는 상기 입력 범위에서,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및 바이탈 입력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NPUTTING VITAL SIGN USING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에 관해 측정되는 혈압, 맥박, 체온, 호흡수, 혈당 등에 관한 바이탈 수치를 간호사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을 통해 보다 쉽고 빠르게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에 입력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제공 방안에 관한 것이다.
간호사의 병동 업무 중 하나는 환자의 혈압, 맥박, 체온, 호흡수, 혈당 등에 관한 바이탈 수치를 측정하여 기록하는 것으로, EMR 시스템이 도입되기 전에는 간호사가 직접 종이로 된 차트에 측정한 바이탈 수치를 기입해야 했다.
EMR 시스템이 도입된 이후, 모바일 환경이 갖추어지기 전에는, 간호사는 문서로 기록한 바이탈 수치를 다시 EMR 시스템에 입력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모바일 환경이 갖추어지면서 간호사는 태블릿 피시, 스마트 폰 등과 같은 모바일 단말을 통해 EMR 시스템에 바이탈 수치를 직접 입력할 수 있게 되었으나, 모바일 단말의 수치 입력에 불편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인해 바이탈 수치 입력 시 많은 시간과 리소스가 사용되어 활용도가 떨어지고 있다.
종래에 모바일 단말에서 실행되는 바이탈 입력 화면에서 간호사는 텍스트 박스를 클릭(터치)하여 키패드를 열고 바이탈 수치를 입력하거나, 또는 티커를 통해 드래그 하여 바이탈 수치를 입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혈압 120/80, 맥박 70을 입력하려는 경우, 간호사는 병동, 병실, 환자를 클릭한 뒤, 텍스트 박스를 클릭하고, 키패드에서 숫자를 클릭하고, 완료 버튼을 클릭하는 과정을 각 바이탈 항목 별로 반복하게 되므로, 바이탈 항목의 개수에 비례하여 클릭 횟수가 증가하게 되며, 바이탈 수치를 입력할 때마다 키패드를 열고 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바이탈 수치 입력 시, 간호사(이하, 사용자)가 환자의 기존에 입력된 바이탈 수치를 확인할 수 없어, 현재 측정된 바이탈 수치와의 비교를 통한 환자의 건강 상태 파악이 용이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을 통해 환자의 바이탈 수치 입력 시 불필요한 클릭(터치)을 줄이고, 환자의 이전 측정값을 함께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측정되는 바이탈 수치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는 점에 근거하여,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를 적어도 이용하여 바이탈 항목 별로 입력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입력 범위를 화면 상에 제공하여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받음으로써,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쉽고 빠른 최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입력 범위 내 후보 바이탈 수치에 대한 클릭(터치) 만으로 제2 바이탈 수치를 간단히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불편한 입력 UI에 따른 리소스 낭비를 줄여 사용자의 병동 업무에 대한 편의를 도모하며, 지속적으로 모바일 단말을 통해 환자의 바이탈 수치를 용이하게 기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입력 범위 내 후보 바이탈 수치 중에서,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와 일치하는 후보 바이탈 수치를 폰트 변경 함으로써, 사용자가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시 환자의 이전 측정값을 알기 쉽게 하고, 사용자의 제1 바이탈 수치와 제2 바이탈 수치와의 즉각적인 비교를 통한 환자의 건강 상태 파악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은, 환자에 관한 바이탈 입력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환자에게 할당되는 바이탈 항목을 확인하는 단계와,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를 적어도 이용하여, 상기 바이탈 항목 별로 입력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의 화면 상으로 제공되는 상기 입력 범위에서,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환자에 관한 바이탈 입력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환자에게 할당되는 바이탈 항목을 확인하는 확인부와,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를 적어도 이용하여, 상기 바이탈 항목 별로 입력 범위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모바일 단말의 화면 상으로 제공되는 상기 입력 범위에서,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받는 처리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측정되는 바이탈 수치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는 점에 근거하여,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를 적어도 이용하여 바이탈 항목 별로 입력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입력 범위를 화면 상에 제공하여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받음으로써,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쉽고 빠른 최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범위 내 후보 바이탈 수치에 대한 클릭(터치) 만으로 제2 바이탈 수치를 간단히 입력할 수 있게 함으로써, 불편한 입력 UI에 따른 리소스 낭비를 줄여 사용자의 병동 업무에 대한 편의를 도모하며, 지속적으로 모바일 단말을 통해 환자의 바이탈 수치를 용이하게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입력 범위 내 후보 바이탈 수치 중에서,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와 일치하는 후보 바이탈 수치를 폰트 변경 함으로써, 사용자가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시 환자의 이전 측정값을 알기 쉽게 하고, 사용자의 제1 바이탈 수치와 제2 바이탈 수치와의 즉각적인 비교를 통한 환자의 건강 상태 파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에서, 입력 화면을 통해 환자를 지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에서, 바이탈 항목 별로 입력 범위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에서, 환자에 관해 입력된 바이탈 수치의 이력에 대한 그래프를 시각화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응용프로그램 업데이트 장치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모바일 단말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모바일 단말과 네트워크 통신으로 연결되는 서버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다. 단,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바이탈 입력 시스템이,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모바일 단말의 내부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것을 한정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100)은 확인부(110), 결정부(120) 및 처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바이탈 입력 시스템(100)은 메모리부(140), 식별부(150) 및 제공부(160)를 각각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확인부(110)는 환자에 관한 바이탈 입력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환자에게 할당되는 바이탈 항목을 확인한다.
일례로, 모바일 단말에는 본 발명의 바이탈 입력 시스템(100)이 전용 어플리케이션으로서 포함되어 구현될 수 있다. 확인부(110)는 상기 전용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됨에 따라 환자에 대한 바이탈 입력 요청의 발생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바이탈 입력 시스템(100)은 메모리부(140) 및 제공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140)는 환자에 대해 측정이 요구되는 바이탈 항목을, 환자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환자에게 할당하여 보관할 수 있다. 여기서, 바이탈 항목은 혈압, 맥박, 체온, 호흡수, 공복 혈당, 엑스레이, 혈액 검사, 소변 검사 등 환자의 건강 이상 유무를 나타내는 지표일 수 있다. 또한, 환자 정보는 환자의 질병, 나이, 성별, 질병/수술 이력, 담당의사, 진료과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부(140)는 50대 여성 고혈압 환자에 대해서는 '혈압(수축기)', '혈압(이완기)', '맥박'과 같은 바이탈 항목을 할당하고, 40대 남성 당뇨 환자에 대해서는 '공복 혈당', '혈액 검사', '소변 검사'와 같은 바이탈 항목을 할당할 수 있다.
제공부(160)는 입원 병동, 입원 병실 및 환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확인부(110)는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지정된 상기 환자에게 할당되는 바이탈 항목을 메모리부(140)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제공부(160)는 모바일 단말에서 바이탈 입력 요청의 발생에 따라, 입원 병동과 입원 병실 및 환자명을 순차적으로 선택 가능한 입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공부(160)는 입력 화면 내에서 입원 병동 리스트를 제공하고, 입원 병동 '1병동'(201)이 선택되면 해당 입원 병동 내 입원 병실 리스트를 제공하고, 입원 병실 '105호'(202)가 선택되면 해당 입원 병실 내 환자명 리스트를 제공하여 환자명 '김상순'(203)을 선택 받을 수 있다. 확인부(110)는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지정되는 환자에게 할당되는 바이탈 항목 '혈압(수축기)', '혈압(이완기)', '맥박'을, 메모리부(140)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결정부(120)는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를 적어도 이용하여, 상기 바이탈 항목 별로 입력 범위를 결정한다.
즉, 결정부(120)는 일반적으로 측정되는 바이탈 수치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는 점에 근거하여,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를 이용하여, 입력하려는 제2 바이탈 수치에 대한 복수의 후보 바이탈 수치를 나열한 입력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정부(120)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입력 범위 내 후보 바이탈 수치에 대한 클릭(터치) 만으로 제2 바이탈 수치를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게 하고, 불필요한 클릭(터치) 횟수를 감소시킨 모바일 단말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이탈 수치는 상기 바이탈 입력 요청의 발생 이전에 입력된 바이탈 수치일 수 있다. 메모리부(140)는 상기 환자에 관해 이전에 측정된 제1 바이탈 수치를, 각 제1 바이탈 수치의 입력 시점에 연관시켜 바이탈 항목 별로 보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바이탈 입력 시스템(100)은 식별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별부(150)는 입력 시점을 기준으로, 선정된 개수의 상기 제1 바이탈 수치를 메모리부(140)로부터 식별한다. 결정부(120)는 상기 선정된 개수의 제1 바이탈 수치에 대한 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복수의 후보 바이탈 수치를 포함하여 상기 입력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부(150)는 바이탈 항목 '혈압(수축기)'에 대해, 상기 바이탈 입력 요청의 발생 시점(입력 시점) 이전에 입력된 5개의 제1 바이탈 수치 '115,124,134,134,138'을, 메모리부(140)로부터 식별할 수 있다. 결정부(120)는 5개의 제1 바이탈 수치에 대한 평균값 '129'를 연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1'씩 감소시킨 9개의 바이탈 수치(즉, 120 내지 128)와,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1'씩 증가시킨 9개의 바이탈 수치(즉, 130 내지 138) 및 상기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를 후보 바이탈 수치로서 포함하여, 상기 바이탈 항목 '혈압(수축기)'에 대한 입력 범위(예, 120 내지 138)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식별부(150)는 선정된 기간(예를 들어, '한 달') 내에 가장 높게 입력되거나, 가장 낮게 입력되는 바이탈 수치를, 상기 제1 바이탈 수치로서 메모리부(140)로부터 식별하고, 결정부(120)는 식별된 상기 제1 바이탈 수치를 경계로 갖는 상기 입력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부(150)는 바이탈 항목 '혈압(수축기)'에 대해, 한 달 이내에 메모리부(140)에 입력된 바이탈 수치 중, 가장 높은 제1 바이탈 수치 '138'과 가장 낮은 제1 바이탈 수치 '120' 및 그 사이의 바이탈 수치를 후보 바이탈 수치로서 포함하는 입력 범위(예, 120 내지 138)를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식별부(150)는 입력 횟수를 기준으로, 선정된 개수의 상기 제1 바이탈 수치를 메모리부(140)로부터 식별하고, 결정부(120)는 상기 입력 횟수를 고려하여, 식별된 상기 제1 바이탈 수치를 내림차순으로 나열하는 상기 입력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부(150)는 바이탈 항목 '혈압(수축기)'에 대해, 입력 횟수가 높은 순서로 5개의 제1 바이탈 수치 '115,124,134,134,138'을 메모리부(140)로부터 식별하고, 결정부(120)는 식별한 제1 바이탈 수치를 내림차순으로 나열하는 상기 입력 범위(예, 138→134→124→115)를 결정할 수 있다.
제공부(160)는 바이탈 항목 별로 결정되는 상기 입력 범위를 모바일 단말의 화면 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공부(160)는 바이탈 항목 '혈압(수축기)', '혈압(이완기)', '맥박'(301) 각각에 대한 입력 범위(302,303,304)를 같은 화면(300)에서 제공할 수 있어, 입력하려는 바이탈 항목의 개수가 늘어나더라도, 사용자는 비교적 적은 클릭(터치) 횟수로 간단하게 제2 바이탈 수치(314,315,316)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공부(160)는 상기 제1 바이탈 수치와 일치하는 후보 바이탈 수치에 대한 폰트를 변경한 상기 입력 범위를,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제공부(160)는 상기 환자에 대해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를, 사용자가 상기 입력 범위 내에서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바이탈 수치에 대한 색, 음영, 테두리 등의 폰트를 변경하여 상기 입력 범위 내 다른 후보 바이탈 수치와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2 바이탈 수치의 입력 시, 제1 바이탈 수치와의 즉각적인 비교를 통해 환자의 건강 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공부(160)는 상기 입력 범위를 상향 조정 또는 하향 조정하기 위한 버튼을, 상기 입력 범위와 연관되어,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공부(160)는 바이탈 항목 '혈압(수축기)'에 대해 결정한 입력 범위 '120 내지 138'(302)와 함께, 상기 입력 범위(302)를 '1'씩 하향 조정하기 위한 하향 조정 버튼(305)과, 상기 입력 범위(302)를 '1'씩 상향 조정하기 위한 상향 조정 버튼(308)을, 화면(30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입력 범위(302) 내에, 입력하려는 제2 바이탈 수치와 일치하는 후보 바이탈 수치가 없을 경우, 하향 조정 버튼(305) 또는 상향 조정 버튼(308)을 클릭하여 해당 제2 바이탈 수치를 찾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150)는 입력 횟수가 가장 높은 제1 바이탈 수치를, 메모리부(140)로부터 식별하고, 제공부(160)는 상기 식별된 제1 바이탈 수치를 표시하는 윈도우를, 상기 입력 범위와 연관되어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식별부(150)는 바이탈 항목 '혈압(수축기)'에 대해 메모리부(140)에 입력된 바이탈 수치 중, 입력 횟수가 가장 높은 제1 바이탈 수치 '134'를 식별할 수 있다. 제공부(160)는 상기 제1 바이탈 수치 '134'를 표시하는 윈도우(311)를, 바이탈 항목 '혈압(수축기)'에 대한 입력 범위(302)의 상단에 배치하여 화면(300) 상에 제공하고, 상기 윈도우(311)에 대한 클릭(터치)에 따라 상기 제1 바이탈 수치 '134'를 제2 바이탈 수치로서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입력 범위(302)와 함께, 환자에 관해 가장 빈번하게 입력된 측정값(제1 바이탈 수치)을, 별도의 윈도우(31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알기 쉽게 화면(300) 상에 시각화 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보다 신속한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처리부(130)는 모바일 단말의 화면 상으로 제공되는 상기 입력 범위에서,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받는다.
또한, 처리부(130)는 상기 입력된 제2 바이탈 수치가, 상기 입력 범위 내 다른 후보 바이탈 수치와 구분되도록 폰트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처리부(130)는 바이탈 항목 '혈압(수축기)'에 대해 화면(300) 상에 제공한 입력 범위(302)에서, 제2 바이탈 수치 '130'(314)가 클릭되어 입력되면, 상기 입력 범위(302) 내 다른 후보 바이탈 수치와 구분되도록, 상기 제2 바이탈 수치(314)의 색, 음영, 테두리, 굵은 글씨 등의 폰트를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처리부(130)는 상기 입력 범위(302) 내의 다른 제1 바이탈 수치 '124,134,138' 또는 제1 바이탈 수치에 대한 평균값 '129'와 구분되도록, 상기 제2 바이탈 수치(314)의 폰트를 변경할 수 있다.
즉, 처리부(130)는 상기 입력 범위 내 복수의 후보 바이탈 수치 중에서 제2 바이탈 수치와 일치하는 후보 바이탈 수치에 대한 클릭(터치) 만으로, 사용자로부터 제2 바이탈 수치를 간단히 입력 받을 수 있다. 또한, 처리부(130)는 입력하려는 바이탈 항목의 개수가 늘어나더라도, 동일 화면으로 제공되는 바이탈 항목 각각에 대한 입력 범위 내에서, 비교적 적은 클릭(터치) 횟수로 제2 바이탈 수치를 간단히 입력 받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처리부(130)는 모바일 단말에서의 불편한 입력 UI에 따른 리소스 낭비를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병동 업무에 대한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환자의 바이탈 수치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용이하게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처리부(130)는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시점과 연관시켜 메모리부(140)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제공부(160)는 상기 제1 바이탈 수치 및 상기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순서에 따라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하여,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처리부(130)는 바이탈 항목 '혈압(수축기)'에 대한 제2 바이탈 수치 '130'(314)이 입력 범위(302)에서 입력되어 화면(300) 상의 저장 버튼(317)이 클릭(터치)되면, 제2 바이탈 수치 '130'(314)을 입력 시점과 연관시켜 메모리부(140)에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제공부(160)는 입력된 제2 바이탈 수치 '130'(314)과,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 '115,124,134,134,138'을, 각 바이탈 수치의 입력 시점에 따른 입력 순서에 따라, 예컨대 꺽은선 그래프, 막대 그래프 등의 그래프(410) 형태로 시각화하여, 화면(400) 상에 제공 함으로써, 최근에 입력되는 환자의 바이탈 수치의 변화를 그래프를 통해 사용자가 한눈에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측정되는 바이탈 수치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는 점에 근거하여,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를 적어도 이용하여 바이탈 항목 별로 입력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입력 범위를 화면 상에 제공하여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받음으로써,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쉽고 빠른 최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에서, 입력 화면을 통해 환자를 지정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에서 바이탈 입력 요청의 발생에 따라, 입원 병동과 입원 병실 및 환자명을 순차적으로 선택 가능한 입력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도 2의 (ⅰ)과 같이, 입력 화면 내에 입원 병동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원 병동 리스트에서 입원 병동 '1병동'(201)이 선택되면,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도 2의 (ⅱ)와 같이, 입력 화면 내에 입원 병실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원 병실 리스트에서 입원 병실 '105호'(202)가 선택되면,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도 2의 (ⅲ)와 같이, 입력 화면 내에 환자명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환자명 리스트에서 환자명 '김상순'(203)이 선택되어 환자가 지정되면,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상기 환자에게 할당되는 바이탈 항목 '혈압(수축기)', '혈압(이완기)', '맥박'을, 메모리부로부터 확인하고, 각 바이탈 항목 별로,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를 적어도 이용하여 입력 범위를 결정하여, 도 3과 같이 모바일 단말의 화면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에서, 바이탈 항목 별로 입력 범위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환자 '김상순'에게 할당된 바이탈 항목이 '혈압(수축기)', '혈압(이완기)', '맥박'(301)으로 확인되는 경우, 각 바이탈 항목 별로 입력 범위(302,303,304)를 결정하여 모바일 단말의 화면(30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각 바이탈 항목에 대해, 이전에 입력된 5개의 제1 바이탈 수치를 메모리부로부터 식별하여 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1'씩 감소시킨 9개의 바이탈 수치와,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1'씩 증가시킨 9개의 바이탈 수치 및 상기 평균값을 후보 바이탈 수치로서 포함하는 입력 범위(302,303,304)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상기 평균값을 중앙에 배치하고 굵은 글씨 등으로 폰트를 변경하여, 상기 평균값을, 입력 범위(302,303,304) 내의 다른 후보 바이탈 수치와 구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해당 바이탈 항목에 대한 바이탈 수치의 평균값을 알려 줄 수 있다.
또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바이탈 항목 각각으로, 입력 범위(302,303,304) 내의 후보 바이탈 수치 중, 상기 이전에 입력된 5개의 제1 바이탈 수치와 일치하는 후보 바이탈 수치를, 색이나 음영 등으로 폰트를 변경하여, 입력 범위(302,303,304) 내의 다른 후보 바이탈 수치와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 범위(302,303,304)에서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시, 상기 환자에 대해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 또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입력 범위(302,303,304)를 '1'씩 하향 조정하기 위한 하향 조정 버튼(305,306,307)과 '1'씩 상향 조정하기 위한 상향 조정 버튼(308,309,310)을, 각 입력 범위(302,303,304)와 연관시켜 바이탈 항목 별로 화면(30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입력 범위(302,303,304) 내에, 입력하려는 제2 바이탈 수치와 일치하는 후보 바이탈 수치가 없을 경우, 하향 조정 버튼(305,306,307) 또는 상향 조정 버튼(308,309,310)을 클릭하여 해당 제2 바이탈 수치를 찾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바이탈 항목 각각으로 가장 많이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 '혈압(수축기): 134', '혈압(이완기): 95', '맥박: 73'를 메모리부로부터 식별하고, 상기 각 제1 바이탈 수치를 표시하는 윈도우(311,312,313)를, 각 입력 범위(302,303,304)의 상단에 배치하여 화면(30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윈도우(311 또는 312 또는 313)에 대한 클릭을 통해, 환자에 관해 가장 빈번하게 입력된 측정값(제1 바이탈 수치)을, 제2 바이탈 수치로서 간단히 입력할 수 있다.
또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바이탈 항목 각각으로, 입력 범위(302,303,304)에서 클릭(터치) 만으로 입력되는 제2 바이탈 수치 '130'(314), '87'(315), '72'(316)에 대한 색, 음영, 테두리 등의 폰트를 변경하여, 입력 범위(302,303,304) 내의 다른 후보 바이탈 수치(또는 제1 바이탈 수치와 평균값)와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에서의 불편한 입력 UI에 따른 리소스 낭비를 줄임으로써, 사용자의 병동 업무에 대한 편의를 도모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 하여금 환자의 바이탈 수치를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지속적으로 용이하게 기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바이탈 항목 각각으로 입력 범위(302,303,304)에서 제2 바이탈 수치(134,135,136)가 입력되어 화면(300) 상의 저장 버튼(317)이 클릭되면, 상기 입력된 제2 바이탈 수치(134,135,136)와,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들을, 각 바이탈 수치의 입력 시점에 따른 입력 순서에 따라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하여 화면(30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에서, 환자에 관해 입력된 바이탈 수치의 이력에 대한 그래프를 시각화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은, 입력 범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제2 바이탈 수치 및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를, 각 바이탈 수치의 입력 시점에 따른 입력 순서에 따라 꺽은선 그래프와 같은 그래프(410) 형태로 시각화하여 화면(400) 상에 제공 함으로써, 사용자가 최근에 입력되는 환자의 바이탈 수치의 변화를 그래프(410)를 통해 한눈에 알기 쉽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바이탈 입력 시스템(100)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탈 입력 방법은 상술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510)에서, 바이탈 입력 시스템(100)은 환자에 관한 바이탈 입력 요청이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단계(510)에서의 판단 결과, 환자에 관한 바이탈 입력 요청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단계(520)에서, 바이탈 입력 시스템(100)은 상기 환자에게 할당되는 바이탈 항목을 확인한다.
일례로, 바이탈 입력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에서 바이탈 입력 요청의 발생에 따라, 입원 병동과 입원 병실 및 환자명을 순차적으로 선택 가능한 입력 화면을 제공하고,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지정되는 환자에게 할당되는 바이탈 항목 '혈압(수축기)', '혈압(이완기)', '맥박'을, 메모리부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바이탈 입력 시스템(100)은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를 적어도 이용하여, 상기 바이탈 항목 별로 입력 범위를 결정한다.
즉, 바이탈 입력 시스템(100)은 일반적으로 측정되는 바이탈 수치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는 점에 근거하여,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를 이용하여, 입력하려는 제2 바이탈 수치에 대한 복수의 후보 바이탈 수치를 나열한 입력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이탈 입력 시스템(100)은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입력 범위 내 후보 바이탈 수치에 대한 클릭(터치) 만으로 제2 바이탈 수치를 쉽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게 하고, 불필요한 클릭(터치) 횟수를 감소시킨 모바일 단말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탈 입력 시스템(100)은 바이탈 항목 '혈압(수축기)'에 대해, 상기 바이탈 입력 요청의 발생 시점(입력 시점) 이전에 입력된 5개의 제1 바이탈 수치 '115,124,134,134,138'을, 메모리부로부터 식별하고, 5개의 제1 바이탈 수치에 대한 평균값 '129'를 연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1'씩 감소시킨 9개의 바이탈 수치(즉, 120 내지 128)와,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1'씩 증가시킨 9개의 바이탈 수치(즉, 130 내지 138) 및 상기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를 후보 바이탈 수치로서 포함하여, 상기 바이탈 항목 '혈압(수축기)'에 대한 입력 범위(예, 120 내지 138)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 바이탈 입력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의 화면 상으로 제공되는 상기 입력 범위에서,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받는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바이탈 입력 시스템(100)은 바이탈 항목 '혈압(수축기)', '혈압(이완기)', '맥박'(301) 각각에 대한 입력 범위(302,303,304)를 같은 화면(300)에서 제공할 수 있어, 입력하려는 바이탈 항목의 개수가 늘어나더라도, 사용자는 비교적 적은 클릭(터치) 횟수로 간단하게 제2 바이탈 수치(314,315,316)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측정되는 바이탈 수치의 변동폭이 크지 않다는 점에 근거하여,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를 적어도 이용하여 바이탈 항목 별로 입력 범위를 결정하고, 상기 입력 범위를 화면 상에 제공하여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받음으로써,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쉽고 빠른 최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바이탈 입력 시스템
110: 확인부 120: 결정부
130: 처리부 140: 메모리부
150: 식별부 160: 제공부

Claims (17)

  1. 환자에 관한 바이탈 입력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환자에게 할당되는 바이탈 항목을 확인하는 단계;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를 적어도 이용하여, 상기 바이탈 항목 별로 입력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의 화면 상으로 제공되는 상기 입력 범위에서,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입력 시점을 기준으로, 선정된 개수의 상기 제1 바이탈 수치를 메모리부로부터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개수의 제1 바이탈 수치에 대한 평균값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복수의 후보 바이탈 수치를 포함하여 상기 입력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선정된 기간 내에 가장 높게 입력되거나, 가장 낮게 입력되는 바이탈 수치를, 상기 제1 바이탈 수치로서 메모리부로부터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식별된 상기 제1 바이탈 수치를 경계로 갖는 상기 입력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입력 횟수를 기준으로, 선정된 개수의 상기 제1 바이탈 수치를 메모리부로부터 식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 횟수를 고려하여, 식별된 상기 제1 바이탈 수치를 내림차순으로 나열하는 상기 입력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범위를 상향 조정 또는 하향 조정하기 위한 버튼을, 상기 입력 범위와 연관되어,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입력 횟수가 가장 높은 제1 바이탈 수치를, 메모리부로부터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제1 바이탈 수치를 표시하는 윈도우를, 상기 입력 범위와 연관되어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탈 수치와 일치하는 후보 바이탈 수치에 대한 폰트를 변경한 상기 입력 범위를,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제2 바이탈 수치가, 상기 입력 범위 내 다른 후보 바이탈 수치와 구분되도록 폰트를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탈 수치 및 상기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순서에 따라 그래프 형태로 시각화하여,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에게 할당되는 바이탈 항목을 확인하는 단계는,
    입원 병동, 입원 병실 및 환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지정된 상기 환자에게 할당되는 바이탈 항목을 메모리부에서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11. 환자에 관한 바이탈 입력 요청에 연동하여,
    상기 환자에게 할당되는 바이탈 항목을 확인하는 확인부;
    이전에 입력된 제1 바이탈 수치를 적어도 이용하여, 상기 바이탈 항목 별로 입력 범위를 결정하는 결정부; 및
    모바일 단말의 화면 상으로 제공되는 상기 입력 범위에서, 제2 바이탈 수치를 입력 받는 처리부
    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입력 시점을 기준으로, 선정된 개수의 상기 제1 바이탈 수치를 메모리부로부터 식별하는 식별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선정된 개수의 제1 바이탈 수치에 대한 평균값을 연산하고, 상기 평균값을 기준으로 복수의 후보 바이탈 수치를 포함하여 상기 입력 범위를 결정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범위를 상향 조정 또는 하향 조정하기 위한 버튼을, 상기 입력 범위와 연관되어,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하는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
  14. 제11항에 있어서,
    입력 횟수가 가장 높은 제1 바이탈 수치를, 메모리부로부터 식별하는 식별부; 및
    상기 식별된 제1 바이탈 수치를 표시하는 윈도우를, 상기 입력 범위와 연관되어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하는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이탈 수치와 일치하는 후보 바이탈 수치에 대한 폰트를 변경한 상기 입력 범위를, 상기 화면 상에 제공하는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입력된 제2 바이탈 수치가, 상기 입력 범위 내 다른 후보 바이탈 수치와 구분되도록 폰트를 변경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
  17. 제11항에 있어서,
    입원 병동, 입원 병실 및 환자 식별자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 화면을 제공하는 제공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인부는,
    상기 입력 화면을 통해 지정된 상기 환자에게 할당되는 바이탈 항목을 메모리부에서 확인하는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시스템.
KR1020140192592A 2014-12-29 2014-12-29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및 바이탈 입력 시스템 KR101681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592A KR101681815B1 (ko) 2014-12-29 2014-12-29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및 바이탈 입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592A KR101681815B1 (ko) 2014-12-29 2014-12-29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및 바이탈 입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880A true KR20160080880A (ko) 2016-07-08
KR101681815B1 KR101681815B1 (ko) 2016-12-01

Family

ID=56503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592A KR101681815B1 (ko) 2014-12-29 2014-12-29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및 바이탈 입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81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5682A (ja) * 2012-10-19 2014-05-12 Hitachi Systems Ltd バイタル情報入力受付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5682A (ja) * 2012-10-19 2014-05-12 Hitachi Systems Ltd バイタル情報入力受付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815B1 (ko)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95216A1 (en) Patient-device association system
KR101495193B1 (ko) 진단 지원 장치, 진단 지원 시스템, 진단 지원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US11650711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cumulative reporting of medical information
US10726344B2 (en) Diagnosis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8607153B2 (en) Graphic for displaying multiple assessments of critical care performance
US20120296671A1 (en) Guideline-based patient discharge planning
KR20160088631A (ko) 화면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WO2014175161A1 (ja) 月経開始予定日算出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生体分析装置
US20220215961A1 (en) Clinical decision support
CN104850729A (zh) 在脓毒症监控中电子监控传感器信号的监控器单元及方法
KR20160080958A (ko) 사용자 단말장치, 사용자 단말장치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1702205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ierarchical data analysis based on mutual correlations
US20200219599A1 (en) Systems and Methods of Generating Patient Notes with Inherited Preferences
KR101681815B1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바이탈 입력 방법 및 바이탈 입력 시스템
KR20140141534A (ko) 패혈증 고위험군 예측 방법 및 시스템
US20150106122A1 (en) Method, server and recording medium for providing electronic patient information
JP2021532520A (ja) 医療情報照会及び入力システム、医療情報照会及び入力方法、並びにこれを実行するプログラム
US20190189288A1 (en) Providing subject-specific information
US11450427B1 (en) Computing system for displaying locations of clinical events undergone by patients
CA3072883A1 (en) Blood pressure and blood glucose measurement and tracking system and method
JP2017199281A (ja) 見積装置、見積方法、及び見積プログラム
US20190198164A1 (en) Patient-centric timeline for medical studies
JP2016177418A (ja) 読影結果評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80308189A1 (en) Physician performance and recommendation interface
JP2014197312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