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805A - Interactive E-book Managing System - Google Patents

Interactive E-book Manag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805A
KR20160080805A KR1020140194060A KR20140194060A KR20160080805A KR 20160080805 A KR20160080805 A KR 20160080805A KR 1020140194060 A KR1020140194060 A KR 1020140194060A KR 20140194060 A KR20140194060 A KR 20140194060A KR 20160080805 A KR20160080805 A KR 201600808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ent
terminal
information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0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40794B1 (en
Inventor
김선호
임지우
홍원기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94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794B1/en
Publication of KR201600808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8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7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active E-book providing system which is to provide an E-book which an infant can easily use and enable parents to efficiently provide education and the like for the infa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active E-book providing system includes: a terminal including a voice collection unit, a photographing unit, a touch input unit, an output unit, a display unit, a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s unit; and a server communicating with the terminal and comprising a content providing unit providing basic content to the terminal, and a content processing unit generating processed content by processing the basic content based on inpu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and providing the processed content to the terminal. The input information includes: user voic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voice collection unit of the terminal; image information or video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and user ac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touch input unit. So, the interactive E-book providing system can provide educational effect and arouse interest by having an interactive function of enabling the infant to usefully use the interactive E-book providing system. The interactive E-book providing system can manufacture and possess an unique E-book by enabling the user to simply generate the content and manufacture the user′s own E-book.

Description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Interactive E-book Managing System}[0001] Interactive E-book Managing System [

본 발명은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전자책을 구성함은 물론이고 특히 부모들이 영유아에게 효과적으로 교육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된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ponsive electronic book provid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responsive electronic book providing system in which parents can easily provide education to infants, .

인터넷의 발달 및 사용자의 급증으로, 인터넷은 산업의 전부분에 걸쳐 효율성과 생산성 제고를 위한 전략적인도구로서 중요성이 급속히 증대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지속적으로 창출됨은 물론, 그 영역도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the surge of users, the Internet is rapidly gaining importance as a strategic tool for improving efficiency and productivity throughout the entire industry. In addition, new business opportunities through the Internet are continuously being created, and the area is also expanding.

인터넷을 통한 비지니스의 예로는, 인터넷 광고, 인터넷 방송, 온라인 게임, 검색 서비스, 포탈 서비스, 전자상거래 등의 서비스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Examples of businesses through the Internet are Internet advertising, Internet broadcasting, online games, search services, portal services, and e-commerce services.

한편, 컴퓨터의 발달로 인하여 신문, 잡지, 책 등의 종이를 이용한 인쇄물이 점차 퇴보함에 따라 이들 인쇄물을 디지털화한 전자북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전자북을 이용하는 사용자들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s prints using newspapers, magazines, books, and the like gradually deteriorate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sites providing electronic book services digitizing these prints are increasing, and users using electronic books are gradually increasing have.

이러한 전자북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뷰어(viewer) 프로그램이 필요하여 이용이 불편하다. In order to use such an electronic book service, a separate viewer program is required, which is inconvenient to use.

또한 전자북의 생성은 일반인이 하기에는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드는 작업이다. 즉, 기존의 방법으로는, 전자북은 제작하기가 매우 까다롭고 이용에 있어서 불편하며, 용량이 방대하고 특정 프로그램을 사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어 보급이 미진한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creation of electronic books is a difficult and costly task for the general public. That is, in the conventional method, the electronic book is very difficult to manufacture, inconvenient to use, large in capacity, and inconvenient to use a specific program.

또한, 현재 컴퓨터를 사용하는 일반인, 기업, 단체들을 대상으로 소정의 비용을 지불받아 전자북을 용이하게 작성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들이 활발하게 전자북을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lso, since there is no site that provides a service for easily creating an electronic book by paying a predetermined fee to a general person, an enterprise, or an organization using a computer, the general user can not actively use the electronic book .

일반적으로 전자책(e-book)은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디지털 파일의 형태로 편집한 것으로서 저장매체에 저장된 채로 유통되거나 유, 무선인터넷을 통해 파일의 형태로 유통된다.In general, an e-book is a text file, an image file, and a moving picture file, which are edited in the form of a digital file, which is stored in a storage medium or distributed as a file through a wired or wireless Internet.

그런데 전자책 파일의 표준으로 채택된 이펍(e-pub)은 기본적으로 텍스트기반이어서 이미지나 동영상을 사용하여 멀티미디어 효과를 표현하기 어렵고, 전용 뷰어(또는 리더기)나 전용단말기가 없으면 실행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This e-pub, which is adopted as a standard for e-book files, is basically text-based and it is difficult to express multimedia effects by using images or moving pictures, and it can not be executed without a dedicated viewer (or reader) .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최근 전자책을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멀티 인터랙티브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앱북(App-book)이 등장하였다. 앱북은 전자책을 리더기로 읽어내는 하위 파일이 아닌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제작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앱북은 최근 널리 보급된 스마트폰 등의 휴대용 단말에서 매우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그 시장규모가 크게 증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As an alternative to this, an app book has recently emerged that enables various multi-interactive functions to be realized by creating an electronic book in the form of an application. An appbook can be thought of as a program that is not a sub-file that reads an e-book as a reader. Such an appbook is expected to greatly increase in size in the future because it can be conveniently used i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which has been popularized recently.

그런데 앱북에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인터랙티브 요소가 포함되는데다 뷰어기능까지 포함되므로 전문가들도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만 제작할 수 있고,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이 스스로 제작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앱북의 경우 안드로이드, IOS등 해당 운영체제에서만 동작하기 때문에 Web상이나 일반 PC에서는 이용하기 힘들다. 그러므로 다양한 단말기에서 이용할 수 있는 멀티 인터랙티브 전자북을 만들기 위해서는 모바일용, PC용등 각각의 버전을 따로 만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appbook includes a variety of multimedia contents and interactive elements as well as a viewer function, it is difficult for the general person who does not have expert knowledge to produce it by himself, because the specialists have to spend a lot of time and effort. In addition, since the appbook operates only with the corresponding operating system such as Android and IOS, it is difficult to use it on the Web or on a general PC.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a multi-interactive electronic book that can be used in various terminals, it is inconvenient to separately prepare versions for mobile and PC.

종래 전자책의 경우에는 웹을 통해 컨텐츠 편집툴을 제공하는 시스템(공개특허공보 제2011-0001053호, 제2011-0094874호 등)이 소개된 바 있다.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electronic book, a system for providing a content editing tool through the web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2011-0001053 and 2011-0094874) has been introduced.

그러나, 상기 시스템으로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에서 효과적으로 전자책 형태의 소스 및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고, 이에 대한 효율적인 방안은 제공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는 실정이다.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bove system can not effectively provide an electronic book-like source and method in a smartphone or a tablet PC, and an efficient scheme is not provided.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1053호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01053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94874호2.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9487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영유아가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전자책을 구성함은 물론이고 부모들이 영유아에게 효과적으로 교육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현된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sponsive electronic book providing system that enables parents to provide education and the like effectively to infants and young children, It is aimed to provide.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by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은, 음성 수집부, 촬영부, 터치 입력부, 출력부, 디스플레이부, 제어부와 통신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며, 기본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본 컨텐츠를 가공하여 가공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컨텐츠 가공부로 이루어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음성 수집부를 통해 수집하는 사용자 음성 정보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수집하는 이미지 정보 또는 영상 정보와,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해 수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response type electronic boo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including a voice collecting unit, a photographing unit, a touch input unit, an output unit, a display unit, a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ent processor for generating the processed content by processing the basic content based on inpu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and providing the processed content to the terminal, Wherein the input information includes user voic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a voice collecting unit of the terminal, image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and user behavior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

또한, 상기 단말기는 기울기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GPS, NFC, 비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GPS, NFC, 비콘으로부터 입력된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기본 컨텐츠 또는 가공 컨텐츠를 변경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변경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tilt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a GPS, an NFC, and a beacon, and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tilt sensor or the acceleration sensor, GPS, NFC,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changed content.

또한, 상기 컨텐츠 가공부는, 상기 음성 수집부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 음성 정보를 자막 또는 더빙 정보로 가공하고, 상기 촬영부를 통해 수집한 이미지 정보 또는 영상 정보를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로 가공하고,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해 수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문자 정보로 가공하여, 하나의 스토리로 이루어진 가공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 processing unit may process the user voic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voice collecting unit into subtitle or dubbing information, process image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into image or moving image information, And processing the user action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user information processing unit into character information to generate processed contents composed of one story.

또한,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보호자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보호자 모드의 선택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 정보를 차단하고 상기 통신부의 통신 기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may provide a parent mod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may block the input information and block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parent mode is selected.

또한, 상기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컨텐츠 가공부를 통해 가공된 가공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database unit, and the database unit may store the processed content processed through the content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obtain the following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stitution described below, the combination, and the use relationship.

본 발명은 영유아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반응형 기능을 구비하여 흥미를 유발하는 동시에 교육적 효과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oviding interesting and educational effects while having a responsive function that allows infants and children to use them effectively.

또한, 간편하게 사용자가 컨텐츠를 생성하여 자신만의 E-Book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유니크한 전자책을 제작 및 보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that a unique e-book can be produced and retained by allowing a user to easily create content and create his / her own e-boo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sponse-type electronic boo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sponsive electronic boo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reaction type electronic boo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the specification, " comprising "or" comprising " means that,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other elements may be included, Quot ;, "module, " and " module"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의 발명 배경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First,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of the responsive electronic boo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1. 개요1. Overview

영/유아용 반응형 전자책 제작/배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움직이는 동화, 영/유아 교육 교재 제작에 특화된 전자책 제작/배포 서비스 제공할 수 있다. You can provide a reactive / e-book interactive ebook creation / distribution service. Also, it is possible to provide e-book production / distribution services specialized in animated fairy tales and young / early childhood teaching materials.

또한, 눈으로만 보는 전자책에서 듣고, 눌러보고, 가지고 놀 수 있는 전자책 제작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전자책에 추가할 수 있는 제작 Tool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provide a production tool that can add various functions to an e-book for e-book production that can be heard, pressed, and played in an e-book only by eye.

또한, 구매한 전자책을 사용자가 직접 꾸민 후 소장하는 Private Book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lso, it is possible to perform a private book function in which the user purchases the electronic book and stores it.

또한, 내 아이와 교감할 수 있는, 추억이 들어간 책 만들기가 기능하도로 한다.In addition, book making with memory that can communicate with my child will function.

또한, 대사 더빙기능, 사진/동영상 첨부등 아이에게 전해주고 싶은 내용 삽입 후 개인 소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you can provide a private collection function after inserting contents that you want to convey to your child such as ambassador dubbing function, photo / video attachment.

또한, 부모님의 정성과 마음을 아이들이 보고 들으며 느낄 수 있는 책, 내 아이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를 책으로 전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I can carry out the function of conveying the book which the children can see and hear and the story which I want to convey to my child in the book with the heart and heart of the parents.

2. 특징 2. Features

먼저, 누구나 손쉽게 만들고 배포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전자책을 제공할 수 있다.First, we can provide a multimedia ebook that anyone can easily create and distribute.

또한, 동적/반응형 멀티미디어 전자책을 누구나 손쉽게 제작/배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nyone can easily create / distribute dynamic / responsive multimedia ebooks.

또한, 스토리, 컨텐츠만 있으면 간단한 인터페이스 조작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if you have a story or a content, you can make it with a simple interface operation.

또한, 인터넷만 되면 PC, TabletPC, 스마트폰 어디서든 전자책을 만들고 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HTML5기반 모바일 웹 서비스 제공으로 Cross Platform 지원 가능).In addition, you can create e-books anywhere on the PC, Tablet PC, or smartphone if you have Internet access (cross platform support for HTML5 based mobile web service).

또한, 영/유아용 전자책 제작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provide various functions for making ebooks for young children.

또한, 눈으로만 보는 전자책에서 듣고, 눌러보고, 가지고 놀 수 있는 전자책을 제공할 수 있다.You can also provide e-books that you can hear, press, and play with in your e-book.

또한, 애니메이션형 동화제작에 필요한 배경 애니메이션, 캐릭터 애니메이션 지원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background animations and character animations required for animated animations can be supported.

또한, 터치 이벤트, 가속도센서, 평형센서, GPS, NFC, 비콘 등 다양한 Device 센서 기능을 전자책 컨텐츠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various device sensor functions such as touch event, acceleration sensor, balance sensor, GPS, NFC, and beacon can be applied to e-book contents.

또한, 구매한 전자책을 사용자가 직접 꾸민 후 소장하는 Private Book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lso, it is possible to perform a private book function in which the user purchases the electronic book and stores it.

또한, 내 아이와 교감할 수 있는, 추억이 들어간 책 만들기를 간편하게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it makes it possible to easily make a book with memories that can communicate with my child.

또한, 대사 더빙기능, 사진/동영상 첨부 등 아이에게 전해주고 싶은 내용 삽입 후 개인 소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you can provide a private collection function after inserting contents that you want to convey to your child such as ambassador dubbing function, photo / video attachment.

부모님의 정성과 마음을 아이들이 보고 들으며 느낄 수 있는 책, 내 아이에게 전하고 싶은 이야기를 책으로 전할 수 있다. I can tell a book that my children can see and hear, and a story I want to convey to my child.

또한, 기존 제품과의 차별성으로, Javascript를 이용한 웹 환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e-pub 파일 형식을 사용하지 않아도 전자책 제작 가능으로 범용적 사용이 가능하고, 자신만의 다양한 컨텐츠 보유가 가능하고, 웹 서버에 완성된 파일 저장 가능 : 컴퓨터에 파일을 저장하지 않아도 어디서든 컨텐츠 이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기기를 통한 컨텐츠 이용이 가능하고, 모바일, PC, 태블릿 등 웹 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환경에서 컨텐츠 이용이 가능하고, e-pub 환경 추가 지원이 가능하고, PastelBook에서 만든 전자책 컨텐츠가 아니더라도, PastelBook의 뷰어를 통해 컨텐츠를 볼 수 있도록 e-pub 환경의 파일 형식을 뷰어에서 지원이 가능하고, 프로그래밍 없이 컨텐츠 제작이 가능하고, 기존 Sigil, ViewPorter 제품에서는 애니메이션 등을 추가할 때 프로그래밍 지식이 필요했지만, 제작 솔루션 및 툴 지원을 통해 프로그래밍 지식이 없어도 전자책 컨텐츠 제작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it can provide web environment service using Javascript by differentiating it from existing products, and it is possible to make e-book without using e-pub file format, and it can be used universally and can own various contents And save the finished file to a web server. It is possible to use the contents anywhere without storing the file on the computer, to use the contents through various devices, and to use various browsers such as mobile, PC, tablet etc. E-pub environment can be added, and the viewer can support the file format of the e-pub environment so that contents can be viewed through PastelBook's viewer even if it is not eBook content created by PastelBook. , It is possible to create content without programming, and in existing Sigil and ViewPorter products, While knowledge was needed, the benefits of creating e-book content without programming knowledge through production solutions and tool support are available.

3. 기술적용 시장3. Technology application market

PC와 스마트기기등 개인 소유 기기를 이용한 전자책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전자책의 매체 형태별 매출 비중을 살펴보면, 컴퓨터/웹(39%), 스마트폰(37%), 태블릿PC(18%), 전용단말기(6%)순으로, PC와 스마트폰의 비중이 높고 전용단말기 비중은 낮은 편인데, 일반 단행본과 아동서는 스마트폰, 전문서와 학술서는 PC와 태블릿PC 중심의 유통경로를 보여준다.It is possible to use e-books with personal-owned devices such as PCs and smart devices. In terms of sales volume by type of e-book, sales of computers and smartphones (39%), smartphones (37%), tablet PCs (18% The proportion of high and dedicated handsets is low, and general books and children's books show the distribution channels of PCs and tablet PCs.

또한, 30대의 비중이 가장 높으나 최근 20~30대보다는 10대와 40~50대의 전자책 구매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30s is the highest, but the number of e-book purchases in teens and 40s and 50s has increased rapidly since 20 ~ 30s.

또한, 종이책 구매자 층에서 태블릿PC와 전자책 전용단말기를 통한 전자책독서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addition, the volume of e-book readings on tablet PCs and electronic book-only terminals is increasing in the paper book buyers.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에 대해 도 1 내지 도 2를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responsive electronic boo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sponse-type electronic boo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responsive electronic boo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responsive electronic boo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100)와 서버(200)를 포함하여 실시된다.As shown in FIG. 1, a response type electronic boo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including a terminal 100 and a server 200.

단말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 형태가 될 수 있고, 기타 다른 형태의 PC, 태불릿 등 유형을 불문하고 통신망을 통해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출력을 제공하는 형태이면 모두 해당될 수 있다.The terminal 100 may be a smart phone type as shown in FIG. 1,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server 2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of any type, such as a PC or a tablet, It can be any form that provides output.

또한,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등을 제공하는 부분으로서, 온라인 서버 또는 기타 다른 형태의 서버를 모두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The server 200 is a part for providing contents or the like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be implemented by including an on-line server or any other type of server.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기 위해 도 2를 기초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Next, 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of a responsive electronic boo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의 단말기(100)는 음성 수집부(10), 촬영부(20), 터치 입력부(30), 출력부(40), 디스플레이부(50), 제어부(60), 통신부(70), 센서부(80)를 포함하여 실시될 수 있다.2, a terminal 100 of a reaction type electronic book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oice collecting unit 10, a photographing unit 20, a touch input unit 30, an output unit 40 A display unit 50, a controller 60, a communication unit 70, and a sensor unit 80.

상기 음성 수집부(10), 촬영부(20), 터치 입력부(30)와 센서부(80)는 단말기 사용자의 입력을 수집하기 위한 부분이다.The voice collecting unit 10, the photographing unit 20, the touch input unit 30, and the sensor unit 80 are parts for collecting input of terminal users.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입력되는 입력 정보는 다음과 같다.Specifically, the input information input to the user is as follows.

첫째, 음성 수집부(1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집한다.First, voice information of the user is collected through the voice collecting unit 10.

둘째, 촬영부(20)를 통해 사용자 등의 이미지 정보 또는 영상 정보를 수집한다.Second, image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of a user or the like is collect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20.

셋째, 터치 입력부(30)를 통해 사용자의 의사 또는 행동 정보를 수집한다.Third, the user inputs his or her intention or behavior information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30.

또한, 상기 서버(200)의 컨텐츠 제공부(210)는 단말기 사용자에게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기본 컨텐츠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viding unit 210 of the server 200 provides basic content provided to the terminal user.

또한, 상기 서버(200)의 컨텐츠 가공부(230)는 상기 컨텐츠 제공부(210)가 제공한 기본 컨텐츠에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를 부가하여 가공한 가공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100)에 다시 제공하는 부분이다.The content processing unit 230 of the server 200 may further include a part for providing the processed content to the terminal 100 by adding the user input information to the basic content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ing unit 210, to be.

또한, 상기 단말기(100)에 포함되는 센서(80)는 기울기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 GPS, NFC, 비콘을 포함하며 실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nsor 80 included in the terminal 100 may include a tilt sensor or an acceleration sensor, a GPS, an NFC, and a beacon.

기울기 센서는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기울일 경우에 그 기울기 정도를 감지한다.The tilt sensor senses the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terminal 100 when the user using the terminal 100 tilts the terminal 100.

또한, 가속도 센서는 단말기(100)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이동시킬 경우에 그 이동 속도의 변화 정도를 감지한다.In addition, the acceleration sensor senses the degree of change in the moving speed of the terminal 100 when the user using the terminal 100 moves the terminal 100.

또한, GPS는 단말기(100)의 위치를 감지한다.In addition, the GPS senses the position of the terminal 100.

또한, NFC와 비콘은 다른 디바이스와의 근접 통신을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NFC and beacon enable close communication with other devices.

또한, 제어부(60)는 상기 센서(80)에 포함되는 기울기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입력된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기본 컨텐츠 또는 가공 컨텐츠를 변경한 후 디스플레이부(50)가 상기 변경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0 may change the basic content or the processed content so as to correspond to the mo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tilt sensor or the acceleration sensor included in the sensor 80, and then cause the display unit 50 to display the changed content Can be controlled.

즉, 제어부(60)는 서버(200)가 제공하는 기본 컨텐츠 또는 가공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50)가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데, 디스플레이하는 내용이 사용자의 행동 패턴에 따라 변형되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50)의 크기에 따라 제작된 컨텐츠를 최적화된 크기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제어부(60)에서 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를 기울이면 기울기 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감지된 기울기 정도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내용이 기울기에 따라 시각적으로 변형되도록 제어부(60)가 제어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rol unit 60 controls the display unit 50 to display the basic content or the processed content provided by the server 200, and controls the displayed content to be displayed in accordance with the behavior pattern of the user. The control unit 6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50 to display the produced content in an optimized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50. For example, when the user tilts the terminal, the tilt sensor senses the tilt of the terminal, and the controller 60 can control the displayed contents to be visually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tilt.

또한, 서버(200)의 컨텐츠 가공부(230)는 음성 수집부(10)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 음성 정보를 자막 또는 더빙 정보로 가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unit 230 of the server 200 may process the user audio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voice collecting unit 10 into subtitle or dubbing information.

즉, 컨텐츠 가공부(230)는 음성 수집부(10)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 음성 정보(이야기 내용, 대사 내용)를 처리하여 해당 기본 컨텐츠 내용에 매칭되는 자막 또는 더빙 내용 정보로 가공하여, 사용자가 해당 기본 컨텐츠에 바로 추가 또는 변형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부가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processing unit 230 processes the user's voice information (story contents, dialogue contents) collected through the voice collecting unit 10 and processes the user's voice information into subtitle or dubbing contents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contents of the corresponding basic contents, It is possible to add the content to be directly added or modified to the corresponding basic content.

또한, 서버(200)의 컨텐츠 가공부(230)는 촬영부(20)를 통해 수집한 이미지 정보 또는 영상 정보를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로 가공할 수 있다.The content processing unit 230 of the server 200 may process image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20 into image or moving image information.

즉, 컨텐츠 가공부(230)는 촬영부(20)를 통해 수집한 이미지 정보 또는 영상 정보(사진 또는 동영상 등)를 처리하여 해당 기본 컨텐츠 내용에 삽입 또는 추가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 processing unit 230 may process image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such as a photograph or a moving image) collect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20, and may insert or add to the basic content.

또한, 서버(200)의 컨텐츠 가공부(230)는 터치 입력부(30)를 통해 수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문자 정보로 가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 processing unit 230 of the server 200 may process user behavior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30 into character information.

즉, 컨텐츠 가공부(230)는 터치 입력부(30)를 통해 수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누름 액션, 드래그 액션 등)을 처리하여 해당 액션에 해당하는 출력 내용을 문자 정보화 하여 컨텐츠에 부가 또는 추가할 수 있따.That is, the content processing unit 230 processes user action information (push action, drag action, and the like) collect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30, converts the output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action into text information, There.

또한, 서버(200)의 컨텐츠 가공부(230)는 상기의 입력 정보 내용을 기초로 기본 컨텐츠 내용을 가공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는 하나의 스토리로 이루어진 가공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ents processing unit 230 of the server 200 can process the contents of the basic content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input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contents processing unit 230 can generate processed contents composed of one story.

즉, 서버(200)의 컨텐츠 가공부(230)는 사용자가 전자책 형태로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시간의 흐름이나 장소적 흐름에 따라 하나의 스토리로 이루어진 가공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ents processing unit 230 of the server 200 can generate processed contents composed of one story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or place, so that the user can produce contents in the form of an e-book.

또한, 제어부(6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보호자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자 모드는 보호자가 보호자 모드를 선택하면, 영유아가 사용할 때 상기 입력 정보가 단말기(100)에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또한, 통신부(70)의 통신 기능 또한,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60 may provide the user with a parental mode selected according to user input. When the caregiver selects the parental mode, the parental mode can block the input information from entering the terminal 100 when the infant and child use it, and can selectively block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70 as well.

이러한 보호자 모드를 통해 영유아가 사용하는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Such a parental mode can prevent an accident that may occur in the environment used by infants and young children.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Should be interpret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10 : 음성 수집부 20 : 촬영부
30 : 터치 입력부 40 : 출력부
50 : 디스플레이부 60 : 제어부
70 : 통신부 80 : 센서부
100 : 단말기 200 : 서버
210 : 컨텐츠 제공부 230 : 컨텐츠 가공부
10: voice collecting unit 20: photographing unit
30: touch input unit 40: output unit
50: display unit 60:
70: communication unit 80:
100: terminal 200: server
210: Content providing unit 230: Content processing unit

Claims (5)

음성 수집부, 촬영부, 터치 입력부, 출력부, 디스플레이부, 제어부와 통신부를 포함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며, 기본 컨텐츠를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부와,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입력 정보를 기초로 상기 기본 컨텐츠를 가공하여 가공 컨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컨텐츠 가공부로 이루어진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음성 수집부를 통해 수집하는 사용자 음성 정보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수집하는 이미지 정보 또는 영상 정보와,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해 수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
A voice collecting unit, a photographing unit, a touch input unit, an output unit, a display unit, a control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And a content processor for generating the processed content by processing the basic content based on inpu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and providing the processed content to the terminal, Lt; / RTI >
Wherein the input information includes user voice information to be collected through the voice collecting unit of the terminal, image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to be collect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and user behavior information to be collect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Type electronic book providing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기울기 센서, 가속도 센서, GPS, NFC 또는 비콘(beacon)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울기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로부터 입력된 움직임 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기본 컨텐츠 또는 가공 컨텐츠를 변경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변경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tilt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PS, an NFC or a beacon,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changed content after changing the basic content or the processed content to correspond to the moti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tilt sensor or the acceleration sens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가공부는,
상기 음성 수집부를 통해 수집한 사용자 음성 정보를 자막 또는 더빙 정보로 가공하고, 상기 촬영부를 통해 수집한 이미지 정보 또는 영상 정보를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로 가공하고,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해 수집하는 사용자 행동 정보를 문자 정보로 가공하여, 하나의 스토리로 이루어진 가공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ent processing unit,
Processing the user voic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voice collecting unit into caption or dubbing information,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or imag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photographing unit into image or moving image information, and collecting user behavior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touch input unit Character information, and character information to generate processed contents composed of a single stor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제어부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되는 보호자 모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보호자 모드의 선택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 정보를 차단하고 상기 통신부의 통신 기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unit of the terminal,
Wherein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provide a parent mode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and to block the input information and to block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parent mode is select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데이터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컨텐츠 가공부를 통해 가공된 가공 컨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전자책 제공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erver further includes a database unit,
Wherein the database unit stores the processed content processed through the content processing unit.
KR1020140194060A 2014-12-30 2014-12-30 Interactive E-book Managing System KR1016407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060A KR101640794B1 (en) 2014-12-30 2014-12-30 Interactive E-book Manag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060A KR101640794B1 (en) 2014-12-30 2014-12-30 Interactive E-book Manag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805A true KR20160080805A (en) 2016-07-08
KR101640794B1 KR101640794B1 (en) 2016-07-19

Family

ID=5650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060A KR101640794B1 (en) 2014-12-30 2014-12-30 Interactive E-book Manag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79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686A (en) * 2008-07-31 2010-02-10 (주) 비앤디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iptv program log
KR20110001053A (en) 2009-06-29 2011-01-06 성동찬 System for producting a e-book contents of exclusive use and method of the same
KR20110094874A (en) 2010-02-18 2011-08-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book
KR20120084467A (en) * 2011-01-20 2012-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hanging page in e-book reader and device thereof
KR20130009127A (en) * 2011-07-14 2013-01-23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E-book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3686A (en) * 2008-07-31 2010-02-10 (주) 비앤디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iptv program log
KR20110001053A (en) 2009-06-29 2011-01-06 성동찬 System for producting a e-book contents of exclusive use and method of the same
KR20110094874A (en) 2010-02-18 2011-08-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book
KR20120084467A (en) * 2011-01-20 2012-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hanging page in e-book reader and device thereof
KR20130009127A (en) * 2011-07-14 2013-01-23 에스케이마케팅앤컴퍼니 주식회사 E-book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794B1 (en) 2016-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derson Getting acquainted with social networks and apps: Instagram’s instant appeal
US11853730B2 (en) Mini program data bind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Higginbotham et al. The future of the android operating system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CN104040597A (en) Displaying content items related to a social network group on a map
CN113419800A (en) Interaction method, devic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US10042530B1 (en) Object oriented interactions
KR20200006672A (en) System for providing personalized story regarding fairy tale book
Huebner TikTok and museum education: A visual content analysis
JP2017033103A (en) Digital signage control system, digital signag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product advertisement or service advertisement providing method using digital signage control systems
Clayton The context of vertical filmmaking literature
US201202909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synchronized media by creating a datapod
KR20150129926A (en) Online study contents system and the supply method for Infant and Children
Hennig Selecting and evaluating the best mobile apps for library services
KR101640794B1 (en) Interactive E-book Managing System
KR101408722B1 (en) smart device with Play App for play of Textbook Information using Code recognition pen possible Bluetooth communication.
KR101582294B1 (en) E-book renal service system based on user narration
Fagerjord Toward app studies
KR102349629B1 (en)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sharing service using intuitive user interface and user experience design
KR20140047243A (en) System for publicating online album by oneself
KR101912554B1 (en) Fairy tale creation and sharing system
Sturken Advertising and the Rise of Amateur Photography: From Kodak and Polaroid to the Digital Image
CN111625740A (en) Image display method, image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avanaugh eBooks for elementary school
Koerber et al. Emerging technologies: A primer for librarians
Hennig App literacy for librari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