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705A -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호흡기 - Google Patents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호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705A
KR20160080705A KR1020140193451A KR20140193451A KR20160080705A KR 20160080705 A KR20160080705 A KR 20160080705A KR 1020140193451 A KR1020140193451 A KR 1020140193451A KR 20140193451 A KR20140193451 A KR 20140193451A KR 20160080705 A KR20160080705 A KR 201600807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driving signal
valve
control module
venti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Priority to KR102014019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0705A/ko
Publication of KR20160080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7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7Pumps therefor
    • A61M16/0066Blowers or centrifugal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7Pumps therefor
    • A61M16/0066Blowers or centrifugal pumps
    • A61M16/0069Blowers or centrifugal pumps the speed thereof being controlled by respiratory parameters, e.g. by inha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A61M16/201Controlled valv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25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40/00Specially adapted for neonatal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기술은,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환자의 폐포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배기 및 흡기를 최적화하여 적은 호흡량으로 많은 혼합 가스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호흡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모듈을 통해 제공받은 폐포에 대한 구조적 특성에 대한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일반인의 호흡량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호흡량과 호흡 주기를 가지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구동 신호를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흡기 조절 밸브 및 호기말양압 밸브에 공급함에 따라, 폐포의 환기 효율을 실시간으로 환자의 폐포 상태에 따라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고주파수의 호흡이 환자에게 제공되므로 제품의 대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공정 및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에 대한 내구성 및 제품의 대한 신뢰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호흡기{MEDICAL VENTILATOR HAVING IMPELLER OF 2 STEP RADIAL BLOWER}
본 발명은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호흡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환자의 폐포의 구조적 특성에 따라 배기 및 흡기를 최적화하여 적은 호흡량으로 많은 혼합 가스를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교통사고 및 각종 재난·사고가 늘어나고, 폐암 등의 발병율이 증가함에 따라 병원에서 인공호흡장치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고령의 임산부로 인해 미숙아의 탄생율이 증가함에 따라 특별한 사고를 당하지 않고도 인공호흡장치의 도움을 받아 생명을 유지하고 있는 미숙아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미숙아의 경우 기존의 인공 호흡기를 통해 급격히 등락하는 계단함수 압력 파형의 공기를 주입하면, 흡기 및 배기 공기의 흐름(압력 또는 유속)이 급격히 변화함으로써 후술할 에어 트래핑(Air Trapping) 현상 및 환기(또는 호흡)를 저해하는 다양한 동적 특성(Dynamic Characteristic)이 발생하여, 폐간질 기종이 나타날 수 있으며 그로 인한 사망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신생아 또는 미숙아에는 고주파 인공호흡기(high Frequency Ventilator)가 적용되고 있고, 이러한 고주파 인공 호흡기는 실제 사람의 호흡보다 짧은 주파수의 공기를 다수 회 주입함으로써 폐포의 확대 수축 없이 폐의 환기를 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즉, 신생아 또는 미숙아에 적용되는 고주파 인공 호흡기의 경우 인공 폐 표면 활성제를 투여한 후 환기는 이루어지나 혈액은 흐르지 않는 폐포 발생하는 폐의 사강(Dead Space) 보다 작은 환기량으로 과 호흡함으로써, 호흡 전 주기 동안 폐 용적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폐의 손상이 최소화된다.
그러나, 고주파 호흡장치의 경우에도 호흡기 및 폐포의 구조적 특성을 간과하여 설계됨으로써, 정상적일 때와 비교하여 폐의 환기 효율이 30 내지 40 % 정도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미숙아 또는 신생아에게 적용되는 고주파 인공 호흡기는 통상 피스톤 방식의 오실레이터를 통해 과호흡을 유도하는 튜브 피스톤 방식에 의한 고 빈도 환기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있다.
즉, 흡기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실린더를 통해 혼합 가스를 폐로 주입하는 흡기 밸브와 폐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호기말양압(peep) 밸브를 포함하며, 피스톤을 추가 설치하여 폐에 혼합 가스의 유속을 빠르게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그러나 이러한 인공 호흡기는 기 정해진 유속에 따라 혼합 가스가 환자에게 일률적으로 제공되므로, 환자의 폐포 상태에 따른 맞춤형 유속 단속이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하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환자의 폐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피스톤을 단속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원격지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로직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장비를 이용하여 폐포에 대한 구조적 특성에 대한 생체 정보를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모니터링 결과를 토대로 피스톤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생성 및 전달함에 따라 폐포의 환기 효율을 환자의 폐포 상태에 따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고주파수의 호흡이 환자에게 제공되므로 제품의 대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공정 및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에 대한 내구성 및 제품의 대한 신뢰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 호흡기 및 그에 따른 서버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인공 호흡기는,
환자에게 제공될 혼합 가스의 유속 및 유압을 조절하여 환자의 폐로 공급하는 흡기 조절 밸브와, 환자의 폐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의 유속 및 유압을 조절하여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호기말양압 밸브를 포함하는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 호흡기에 있어서,
환자의 폐포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생체 정보를 실시간을 감시하여 전달하고, 수신된 고빈도 호흡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신호를 상기 흡기 조절 밸브 및 호기말양압 밸브로 제공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공 호흡기는,
상기 제어 모듈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전달하고, 수신된 고빈도 호흡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인공 호흡기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공된 제어 모듈의 환자의 폐포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생체 정보를 토대로 기 저장된 다수의 빈도 호흡 모드 중 해당 빈도 호흡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 모듈로 전달하여 상기 흡기 조절 밸브 및 호기말양압 밸브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인공 호흡기의 서버는,
환자에게 제공될 혼합 가스의 유속 및 유압을 조절하여 환자의 폐로 공급하는 흡기 조절 밸브와, 환자의 폐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의 유속 및 유압을 조절하여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호기말양압 밸브를 포함하는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 호흡기에 있어서,
제어 모듈로부터 제공된 환자의 폐포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생체 정보를 토대로 기 저장된 다수의 빈도 호흡 모드 중 해당 빈도 호흡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 모듈로 전달하여 상기 흡기 조절 밸브 및 호기말양압 밸브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 신호는
기 설정된 일반인의 호흡량을 기준으로 호흡량의 진폭 및 호흡 주기를 다르게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 호흡기 및 그에 따른 서버는, 통신 모듈을 통해 제공받은 폐포에 대한 구조적 특성에 대한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일반인의 호흡량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호흡량과 호흡 주기를 가지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구동 신호를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흡기 조절 밸브 및 호기말양압 밸브에 공급함에 따라, 폐포의 환기 효율을 실시간으로 환자의 폐포 상태에 따라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고주파수의 호흡이 환자에게 제공되므로 제품의 대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공정 및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에 대한 내구성 및 제품의 대한 신뢰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 호흡기의 구성을 보인 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신호를 보인 파형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잇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 호흡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 모듈의 구동 신호를 보인 파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 호흡기는, 환자의 폐포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생체 정보를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로 전달하고, 서버에서 수신된 생체 정보를 통해 생성된 구동 신호를 원격지에 위치한 흡기 조절 밸브 및 호기말 양압 밸브로 제공하도록 구비되고, 이러한 장치는, 흡기관(11), 흡기 조절 밸브(13), 흡기 조절 밸브 구동부(15), 배기관(31), 호기말양압 밸브(33), 호기말양압 밸브 구동부(35), 제어 모듈(50), 통신 모듈(60), 및 서버(70)를 포함한다.
상기 흡기관(11)은 가스제공 비례밸브의 구동에 따라 제공된 혼합 가스를 환자의 폐로 제공하는 관으로서, 흡기관(11)의 내부에 혼합 가스의 유속 및 유압을 검출하여 제어 모듈(50)로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흡기 조절 밸브(13)는 상기 흡기관(11)의 혼합 가스의 유속 및 유압을 제공받은 제어 모듈(5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혼합 가스의 유속을 단속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31)은, 폐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외부로 도출하는 관으로서, 배기관(31)의 내부 소정 영역에 배기 가스의 유속 및 유압을 검출하여 제어 모듈(50)로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호기말양압 밸브(33)는 상기 배기관(31)으로부터 공급되는 배기 가스의 유속 및 유압을 제공받은 제어 모듈(50)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배기 가스의 유속을 단속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 모듈(50)은 환자의 폐의 구조적 특성에 따른 생체 정보를 토대로 수신하여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70)로 전달하고, 서버(70)로부터 공급된 상기 흡기 조절 밸브(13) 및 호기말양압 밸브(33)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흡기 조절 밸브 구동부(15) 및 호기말양압 밸브 구동부(35)에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통신 모듈(60)은 상기 제어 모듈(50)의 생체 정보를 상기 서버(70)로 전달하고 서버(70)의 구동 신호를 제어 모듈(50)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통신 모듈(60)은, 서버(70)와 제어 모듈(50)간의 연결하기 위한 통신 망으로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통신망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IP 기반 통신망을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통신망을 가능하게 하는 유무선 통신망이라면 특정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통신 모듈(60)은 2.45GHz 대역의 지그비(zigbee)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지그비 프로, IEEE802.15.4 c/d, 또는 IEEE 802.15. NAN 기반의 지그비 통신망과, IEEE 802. 15. 4, 지그비, Z-wave, INSTEON, 또는 Wavents 기반의 저전력 저속의 WPAN과, 자체 솔루션에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RFID/USN 통합 플랫폼 기반의 통신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의해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버(70)는 상기 통신 모듈(60)를 통헤 제공받은 제어 모듈(50)의 폐포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생체 정보를 토대로 폐의 기능을 일반인을 기준으로 고빈도 호흡 모드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고빈도 호흡 모드는 폐포의 확대 축소없이 혼합 가스 내의 산소를 이산화 탄소로 교환하는 폐의 환기를 발생하는 호흡 방식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일반인의 호흡보다 작은 크기의 진폭의 호흡량과 기 설정된 일반인의 호흡 주기 보다 짧은 고주파 호흡 주기의 구동 신호가 생성되고, 생성된 구동 신호는 통신 모듈(60)를 통해 제어 모듈(50)로 공급되고, 상기 제어 모듈(50)은 구동 신호를 흡기 조절 밸브 구동부(15) 및 호기말양압 밸브 구동부(35)를 통해 흡기 조절 밸브(15) 및 호기말양압 밸브(33)에 제공한다.
한편, 상기 흡기 조절 밸브 구동부(15) 및 호기말양압 밸브 구동부(35)를 통해 제공받은 흡기 조절 밸브(13) 및 호기말양압 밸브(33)는 상기 구동 신호에 따라 동작된다.
즉, 상기 구동 신호는 수신된 생체 정보를 토대로 일반인의 호흡량을 기준으로 진폭 및 호흡 주기를 다르게 설정한다. 예를 들어, 폐포의 확대 축소없이 혼합 가스 내의 산소를 이산화 탄소로 교환하는 폐의 환기를 일반인의 호흠 주기 보다 작은 소정 시간 동안 발생하고 소정 시간 경과 후 폐의 축소를 통해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호흡 방식이다.
이러한 호흡량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구동 신호는 기 설정된 일반인의 호흡량 보다 작은 진폭의 호흡량과 기 설정된 일반인의 호흡 주기 보다 짧은 고주파 호흡 주기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흡기 조절 밸브 및 호기말양압 밸브를 제어하고,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 기 설정된 임계치로 상기 호기말양압 밸브를 제어하여 환자의 폐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며, 상기 구동 신호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제어 모듈(50)은 구동 신호가 상기 호기말양압 밸브에 제공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측정하고 측정된 이산화탄소 측정치를 상기 생체 정보에 업데이트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통신 모듈(60)은 제어 모듈(50)과 연동하여 동작되며, 설명의 편의상 제어 모듈(50)과 독립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제어 모듈(50)과 각 기능별로 독립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서버에 상기 기능들이 통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에 따라 본 발명과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필요에 따라 도시된 서버들 외 사용자의 인증 관련, 과급 관련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어 모듈(50)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생체 정보를 통신 모듈(60)를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서버(70)로 전달하고, 상기 서버(70)는 상기 생체 정보를 토대로 기 정해진 다수의 빈도 호흡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70)에서 다수의 빈도 호흡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해당 빈도 호흡 모드에 대응되는 일반인의 호흡량을 기준으로 설정된 호흡량 진폭 및 호흡 주기의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신호는 통신 모듈(60)를 통해 제어 모듈(50)로 공급되고, 상기 제어 모듈(50)은 구동 신호를 상기 흡기 조절 밸브(13) 및 호기말양압 밸브(15)로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포함하는 본 발명 따른 인공 호흡기에서 통상적인 동작은 범용 인공 호흡기와 동일 내지 유사하게 실행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을 통해 제공받은 폐포에 대한 구조적 특성에 대한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일반인의 호흡량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호흡량과 호흡 주기를 가지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구동 신호를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흡기 조절 밸브 및 호기말양압 밸브에 공급함에 따라, 폐포의 환기 효율을 실시간으로 환자의 폐포 상태에 따라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고주파수의 호흡이 환자에게 제공되므로 제품의 대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공정 및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에 대한 내구성 및 제품의 대한 신뢰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통신 모듈을 통해 제공받은 폐포에 대한 구조적 특성에 대한 생체 정보를 기반으로 일반인의 호흡량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호흡량과 호흡 주기를 가지는 구동 신호를 생성한 후 생성된 구동 신호를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지에 위치한 흡기 조절 밸브 및 호기말양압 밸브에 공급함에 따라, 폐포의 환기 효율을 실시간으로 환자의 폐포 상태에 따라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고주파수의 호흡이 환자에게 제공되므로 제품의 대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공정 및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제품에 대한 내구성 및 제품의 대한 신뢰성을 더욱 향상할 수 있는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호흡기에 대한 운용의 정확성 및 신뢰도 측면, 더 나아가 성능 효율 면에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인공 호흡기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Claims (5)

  1. 환자에게 제공될 혼합 가스의 유속 및 유압을 조절하여 환자의 폐로 공급하는 흡기 조절 밸브와, 환자의 폐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의 유속 및 유압을 조절하여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호기말양압 밸브를 포함하는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 호흡기에 있어서,
    환자의 폐포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생체 정보를 실시간을 감시하여 전달하고, 수신된 고빈도 호흡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신호를 상기 흡기 조절 밸브 및 호기말양압 밸브로 제공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 호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호흡기는,
    상기 제어 모듈의 생체 정보를 수신하여 전달하고, 수신된 고빈도 호흡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상기 제어 모듈로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 호흡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공 호흡기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제공된 제어 모듈의 환자의 폐포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생체 정보를 토대로 기 저장된 다수의 빈도 호흡 모드 중 해당 빈도 호흡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 모듈로 전달하여 상기 흡기 조절 밸브 및 호기말양압 밸브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 호흡기.
  4. 환자에게 제공될 혼합 가스의 유속 및 유압을 조절하여 환자의 폐로 공급하는 흡기 조절 밸브와, 환자의 폐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의 유속 및 유압을 조절하여 배기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호기말양압 밸브를 포함하는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 호흡기의 서버에 있어서,
    제어 모듈로부터 제공된 환자의 폐포의 구조적 특성에 대한 생체 정보를 토대로 기 저장된 다수의 빈도 호흡 모드 중 해당 빈도 호흡 모드에 대응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신호를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 모듈로 전달하여 상기 흡기 조절 밸브 및 호기말양압 밸브로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 호흡기의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신호는
    기 설정된 일반인의 호흡량을 기준으로 호흡량의 진폭 및 호흡 주기를 다르게 생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하는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 호흡기의 서버.
KR1020140193451A 2014-12-30 2014-12-30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호흡기 KR201600807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451A KR20160080705A (ko) 2014-12-30 2014-12-30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호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3451A KR20160080705A (ko) 2014-12-30 2014-12-30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호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705A true KR20160080705A (ko) 2016-07-08

Family

ID=5650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3451A KR20160080705A (ko) 2014-12-30 2014-12-30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호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070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732A (ko) *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인공 호흡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1005B1 (ko) 2021-07-23 2021-11-24 명보람 소형 인공호흡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3732A (ko) *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멕 아이씨에스 인공 호흡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31005B1 (ko) 2021-07-23 2021-11-24 명보람 소형 인공호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26292A1 (en) Flow therapy
US20200215293A1 (en) Ventilation system
CN105980014B (zh) 双压力传感器患者通气设备
JP6223340B2 (ja) 人工呼吸療法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機器
US10821244B2 (en) Medical measuring device, ventilator and method for operating a medical measuring device or for operating a ventilator
US20220105288A1 (en) Respiratory distress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11214736A (zh) 一种智能微网雾化器及雾化系统
CN104936644B (zh) 用于在高频正压通气期间控制气道气体参数的系统和方法
JP6133842B2 (ja) 睡眠時無呼吸を処置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5664313B (zh) 一种呼吸机及其通气控制装置和方法
US20150314092A1 (en) Tracheal tube with controlled-pressure cuff
KR20160080705A (ko) 2단 원심 블로워를 가지는 인공호흡기
US10881854B2 (en) Respiratory muscle strengthening device
CN107567342B (zh) 用于改进的咳嗽分割的系统和方法
US20210386961A1 (en) Inspiratory resistor valve system with expiratory port
JP6384965B2 (ja) 呼気流を増加させ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432098B1 (ko) 인공호흡기 및 그 제어 방법
CN206880920U (zh) 一种呼吸机
Kunugiyama et al. High-frequency percussive ventilation using the VDR-4 ventilator: an effective strategy for patients with refractory hypoxemia
CN206837207U (zh) 一种呼吸机
WO2018065448A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vesting energy during bag valve mask ventilation
CN107362427A (zh) 一种心肺复苏期间的通气方法及呼吸机
KR20160098918A (ko) 인공호흡기의 블로워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2217675A1 (zh) 一种具有排痰功能的新型呼吸机
US11260188B2 (en) Ultrasound scanning apparatus, breathing machine, medical system and relate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