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477A - 고정너트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고정너트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477A
KR20160080477A KR1020140192339A KR20140192339A KR20160080477A KR 20160080477 A KR20160080477 A KR 20160080477A KR 1020140192339 A KR1020140192339 A KR 1020140192339A KR 20140192339 A KR20140192339 A KR 20140192339A KR 20160080477 A KR20160080477 A KR 20160080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nut
space
fastening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식
황명규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40192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80477A/ko
Publication of KR2016008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4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ring jaw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02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 B25B13/06Spanners; Wrenches with rigid jaws of sock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02Arrangements for handling screw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33/00Hand tools not covered by any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90Wrench or screwdriver constructed from specif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너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너트의 축 방향과 손잡이의 축 방향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종래의 너트체결 장치 사용이 어려운 협소한 공간 또는 주변에 복잡한 구조물이 있는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고정너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정너트 체결장치{Apparatus for Fix stop nut}
본 발명은, 손잡이와 너트를 고정시키는 헤드의 중심축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협소한 공간 또는 주변에 복잡한 구조물이 형성된 장소에서 손쉽게 너트를 체결할 수 있는 고정너트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정너트 체결장치는 너트 체결을 쉽게 하기 위하여 손잡이가 너트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었다.
도 1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정너트 체결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고정너트 체결장치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진 조작 핸들과, 조작 핸들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본체 홀더와, 본체 홀더의 상단에 위치한 소켓 홀더, 및 소켓 홀더에 결합되어 있는 결합 소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 기재된 종래의 고정너트 체결장치는 너트가 끼워지는 결합 소켓과 사용자의 힘을 소켓에 전달하는 조작 핸들이 수직으로 이루어져, 너트의 축방향 중심선과 힘이 가해지는 조작 핸들의 거리를 길어지게 함으로써 너트에 가해지는 토크를 상승시켰다.
그러나, 상기에 기재된 종래의 고정너트 체결장치는 적은 힘으로 강한 토크를 발생 시킬 수 있지만, 조작 핸들이 너트의 원주 방향으로 회전하기 위하여 넓은 공간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정너트 체결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좁은 공간과 주위에 복잡한 구조물이 있는 제한적인 공간조건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고정너트 체결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고정너트 체결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4-00805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좁은 공간에서도 너트를 회전시키기 용이한 구조를 가지되 주변 환경에 대응하여 토크를 향상 시키는 구조로 변형 가능한 고정너트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고정너트 체결장치는, 일측면에 너트의 머리 형상에 대응하는 너트 고정홈(110)이 형성되는 헤드(100); 상기 헤드(100)의 타측 면에서 상기 너트 고정홈(110)의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200);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200)는 원주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개통된 결합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10)에 끼워져 상기 고정너트 체결장치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200)는 축 방향 타측이 개방 향성되어 일측 방향으로 공간부(220)가 형성 되고, 상기 회전부재(300)는 상기 공간부(220)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200)는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220)를 개폐하는 결합부재(2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200)는 축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손잡이(200A)와 축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손잡이(200B)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손잡이(200A)의 단면보다 상기 제2 손잡이(200B)의 단면이 넓은 다단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손잡이(200A)의 외주면에 원통 형상의 보조부재(200A-1)가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공(210)은 상기 손잡이(200)의 길이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인 고정너트 체결장치는, 헤드의 중심축과 손잡이의 중심축이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좁은 공간에서 너트를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손잡이에 공회전 하는 보조부재가 구비되어 손잡이 각 부위에서 너트를 체결 하는데 필요한 압축력과 토크를 별개로 가할 수 있게 하여 너트에 토크를 가할 시 너트가 고정홈에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손잡이 내부에 결합공에 끼워져 너트에 가해지는 토크를 상승 시키는 회전부재가 구비되어 주변 환경에 대응하여 너트 체결에 효율적인 구조로 변형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고정너트 체결장치 사시도.
도 2는 고정너트 체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고정너트 체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결합공에 회전부재 결합 시)
도 4는 고정너트 체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회전부재 결합 시)
도 5는 고정너트 체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회전부재 분리 시)
도 6은 고정너트 체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회전부재 결합 시)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고정너트 체결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고정너트 체결장치는 일측면에 너트의 머리 형상에 대응하는 너트 고정홈(110)이 형성되는 헤드(100)와, 상기 헤드(100)의 타측 면에서 상기 너트 고정홈(110)의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손잡이(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너트 고정홈(110)은 너트의 헤드가 끼워져 고정되는 부분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200)를 통해 회전력을 가하면 상기 너트에 회전 토크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고정홈(1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4각, 6각, 8각등 다양한 너트의 머리부 형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12각 형상을 가지는 것을 권장한다.뿐만 아니라, 세면대 고정에 사용되는 혼합수전 고정너트의 경우 너트의 외주면에 한 쌍의 돌기가 서로 대칭 형성되므로 상기 혼합수전 고정너트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홈(110)과 외부를 연결하는 보조홈(111)이 더 형성되어 다양한 형상을 가지는 너트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도면상에는 상기 손잡이(200)의 외주면 형상이 원형인 것을 도시하였지만 상기와 같은 구조 외에도, 손잡이(200)의 외주면이 다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손잡이(200)가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너트에 효율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도 3에서는 상기 손잡이(200)에 결합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10)에 회전부재(300)가 끼워진 것을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고정너트 체결장치는 상기 손잡이(200)의 원주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개통된 결합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210)에 끼워져 상기 고정너트 체결장치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부재(300)가 구비되어 상기 너트 고정홈(110)에 고정되는 너트에 가해지는 토크를 향상 시켰다.
상세히 설명하면, 물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힘인 토크는 물체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가하는 힘과 물체가 회전하는 축방향 중심선으로부터 물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지점까지의 거리 곱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결합공(210)에 끼워진 상기 회전부재(300)를 통하여 상기 너트 고정홈(110)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에 토크를 가함으로써, 상기 손잡이(200)를 통하여 너트에 토크를 가할 때보다 강한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와 도 5에서는 상기 회전부재(300)가 상기 손잡이(200)의 내부에 구비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전부재(300)는 상기 결합공(210)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200)를 통해 상기 너트 고정홈(110)에 고정되는 너트에 힘을 가하기 때문에 외주면이 상기 결합공(210)에 밀착 결합되는 단면 구조를 가져야 너트에 효율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공(210)의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는 상기 회전부재(300)가 따로 구비될 경우 회전부재(300)에 의해 부피가 커지게 되면서 휴대가 불편하다는 단점과 개체수가 증가되면서 분실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생긴다.
따라서, 본 발명인 고정너트 체결장치는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200)의 내부에 공간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300)가 상기 공간부(220)에 보관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200)는 길이방향 타측 단에서 일측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재(300)가 보관되는 공간부(22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간부(220)에 보관된 상기 회전부재(300)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200)의 타측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부재(230)가 더 구비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2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공간부(220)에 상기 회전부재(300)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재(230)가 손잡이(200)의 타측 단부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공간부(220)에 보관된 회전부재(300)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때, 도면상에는 상기 결합부재(230)의 일측면에서 타측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이 상기 손잡이(200)의 타측 외주면과 대응하는 내주면 형상을 가져 서로 끼움 결합되는 것을 도시 하였지만, 상기 결합부재(230)는 상기 손잡이(20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220)에 보관된 상기 회전부재(300)가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면 충분하므로 그 형상 및 결합 구조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상에는 상기 결합공(210)이 상기 몸체(200)에 단수개 형성된 것을 도시 하였지만 결합공(210)은 몸체(20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고정너트 체결장치는 종래의 고정너트 체결장치가 협소한 장소 또는 주변 구조물이 많은 장소에서 사용하기 어렵다는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따라서, 복수개의 상기 결합공(210)을 상기 손잡이(2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상기 회전부재(300)가 삽입되는 위치를 상황에 맞게 선택적으로 결정하는 것이다.
도 6에서는 상기 손잡이(200)의 외주면에 손잡이(200)의 원주 방향으로 공회전 하는 보조부재(200A-1)가 결합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인 고정너트 체결장치는 너트 체결을 위하여 너트에 회전토크를 가해야 한다. 이때, 너트에 가해지는 토크에 의해 상기 고정홈(110)에 끼워져 있는 너트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너트 빠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200)를 상기 헤드(100)가 위치하는 일측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너트가 고정홈(110)에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작업자가 상기 고정홈(110)에서 너트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쪽 손으로 상기 몸체(200)를 움켜쥐면 상기 회전부재(300)를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200)를 회전시킬 시 손잡이(200)를 움켜쥐는 손과 몸체(200)의 접촉 면에서 마찰력이 발생하여 작업자의 손에 화상 또는 찰과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손잡이(200)에 공회전 하는 보조부재(200A-1)가 더 구비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200)는 축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손잡이(200A)와 축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손잡이(200B)로 구분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200)는 제1 손잡이(200A)의 단면보다 제2 손잡이(200B)의 단면이 넓은 다단 구조로 이루어져, 제1 손잡이(200A)의 외주면에 원통 형성의 보조 부재(200A-1)가 결합된다.
즉, 상기 보조부재(200A-1)는 상기 헤드(100)와 상기 제2 손잡이(200B)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1 손잡이(200A)의 외주면에서 제2 손잡이(200B)의 원주 방향으로 공회전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고정너트 체결장치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상기 보조부재(200A-1)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홈(110)에 끼워진 너트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결합공(210)에 끼워진 상기 회전부재(300)를 이용하여 너트에 토크를 가함으로써 너트를 체결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자에게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 헤드
110 : 고정홈
200 : 손잡이
200A : 제1 손잡이
200A-1 : 보조부재
200B : 제2 손잡이
210 : 결합공
220 : 공간부
230 : 결합부재
300 : 회전부재


Claims (5)

  1. 일측면에 너트의 머리 형상에 대응하는 너트 고정홈(110)이 형성되는 헤드(100);
    상기 헤드(100)의 타측 면에서 상기 너트 고정홈(110)의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주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개통된 결합공(210)이 형성되는 손잡이(200); 및
    상기 결합공(210)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200)를 원주 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회전부재(300);를 포함하는, 고정너트 체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0)는 축 방향 타측이 개방 향성되어 일측 방향으로 공간부(220)가 형성 되고,
    상기 회전부재(300)는 상기 공간부(220)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너트 체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0)는,
    타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부(220)를 개폐하는 결합부재(2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너트 체결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00)는,
    축방향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손잡이(200A)와 축방향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손잡이(200B)로 구분되고,
    상기 제1 손잡이(200A)의 단면보다 상기 제2 손잡이(200B)의 단면이 넓은 다단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손잡이(200A)의 외주면에 원통 형상의 보조부재(200A-1)가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너트 체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210)은,
    상기 손잡이(200)의 길이 방향과 원주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너트 체결장치.
KR1020140192339A 2014-12-29 2014-12-29 고정너트 체결장치 KR20160080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339A KR20160080477A (ko) 2014-12-29 2014-12-29 고정너트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339A KR20160080477A (ko) 2014-12-29 2014-12-29 고정너트 체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477A true KR20160080477A (ko) 2016-07-08

Family

ID=5650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339A KR20160080477A (ko) 2014-12-29 2014-12-29 고정너트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804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65U (ko) * 2021-10-12 2023-04-19 한국철도공사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571A (ko) 2012-12-12 2014-07-01 염준현 다용도 소켓 렌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0571A (ko) 2012-12-12 2014-07-01 염준현 다용도 소켓 렌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765U (ko) * 2021-10-12 2023-04-19 한국철도공사 옥외 소화전 밸브 스패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1484B2 (en) Ratcheting screwdriver
US8771091B1 (en) Two-torque-producing connecting rod assembly
US20150209220A1 (en) Massage roller device
US20130228053A1 (en) Torque wrench with functional lock
US20120266410A1 (en) Universal faucet handle structure
TWI581913B (zh) Lightweight hand tools
AU2019213406B2 (en) Ratcheting wrench
US2704005A (en) Torque-transmitting tool having rotat-able housing and bendable but stationary core
US9114511B1 (en) Ratchet connector
US20160059394A1 (en) Combination Including a Ratchet Wrench and a Driving Member
JP2013094932A (ja) ソケットスパナ
US20160040704A1 (en) Fastening device
US9409287B2 (en) Hex wrench tool handle
US8272301B2 (en) Extensive apparatus for a wrench
US20140026720A1 (en) Ratchet wrench
US20130098212A1 (en) Telescopic extension device for a handle of a wrench
KR20160080477A (ko) 고정너트 체결장치
US1209658A (en) Tool.
KR20170089540A (ko) 래칫 렌치
US9381628B1 (en) Wrench with adjustable length handle
TWI699262B (zh) 可延長之扳手
KR200471125Y1 (ko) 결합이 용이한 문 손잡이용 연결 장치
US20050247155A1 (en) Bending structure of bendable opener
TW201420278A (zh) 萬向接頭結構
TWM506679U (zh) 扳手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