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0313A - 착용감이 개선된 양면손목시계 - Google Patents

착용감이 개선된 양면손목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0313A
KR20160080313A KR1020140191158A KR20140191158A KR20160080313A KR 20160080313 A KR20160080313 A KR 20160080313A KR 1020140191158 A KR1020140191158 A KR 1020140191158A KR 20140191158 A KR20140191158 A KR 20140191158A KR 20160080313 A KR20160080313 A KR 201600803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watch
silicon
ban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0786B1 (ko
Inventor
황칠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강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강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강글로벌
Priority to KR102014019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07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80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0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0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14Suspending devices, supports or stands for time-pieces insofar as they form part of the case
    • G04B37/1486Arrangements for fixing to a bracele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0084Bracelets in the form of a ring, band or tube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4Hands; Discs with a single mark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9/00Watch crystals; Fastening or sealing of crystals; Clock glasses
    • G04B39/002Watch crystals; Fastening or sealing of crystals; Clock glasses made of glas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9/00Watch crystals; Fastening or sealing of crystals; Clock glasses
    • G04B39/004Watch crystals; Fastening or sealing of crystals; Clock glasses from a material other than g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감이 높은 양면손목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계와 유리커버로 구성되는 각각의 몸체부가 상호 대칭되어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밴드부가 각각 구성되어 상호 결착되는 양면손목시계에 있어서, 상기 유리커버(12, 12`)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탈, 부착되는 투명재질의 부착부(13, 13`)가 각각 구성되고, 상기 부착부(13, 13`)의 상부에 인체에 무해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되고 투명한 실리콘 재질의 실리콘부(14, 14`)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밴드부(20)의 양측에는 손목과 맞닿는 부분에 커버부(21, 21`)가 각각 구성되어, 착용 시 상기 실리콘부(14, 14`)가 착용자의 손목에 맞닿음과 동시에 휘어지게 변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착용 시에 상기 실리콘부(14, 14`)의 변형으로 착용감이 높을 뿐만 아니라, 낙하 등과 같은 충격발생 시에도 파손을 방지 할 수 있으며 상기 밴드부(20)가 천 또는 합성수지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땀이 잘 차지 않게 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착용감이 개선한 양면손목시계{Improved fit-sided wrist watch}
본 발명은 착용감이 개선한 양면손목시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계가 양면으로 사용할 수 있게 상호 대칭되게 구성되되, 상기 시계를 보호하는 각각의 유리커버 상측에 인체에 무해한 성분의 실리콘재질의 실리콘부를 각각 구성하여 착용 시 상기 실리콘부가 손목과 맞닿으며 휘어지게 변형되며 착용감을 높이며 낙하 등과 같은 충격에 의해 파손을 방지 할 수 있고, 밴드부의 양측에 커버부를 구성하여 땀이 많이 차지 않도록 하는 착용감이 개선한 양면손목시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손목시계를 착용할 때에는 밴드의 종류의 관계없이 어느 것이나 시계의 문자판이 보는 방향으로 착용하여 사용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계의 바깥 면은 문자판과 시분 및 초침을 볼 수 있고, 안쪽 면은 시계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캡이 결합되고 밴드의 양단은 각각 일방향으로만 걸리거나 풀리는 걸고리의 구조를 갖고 있어서 시계의 안쪽이 바깥쪽을 향한다던가 또는 이와 더불어 밴드도 뒤집어서 안쪽이 바깥쪽을 향한 상태로 시계의 착용작용이 이뤄 질수 있게는 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손목시계를 뒤집어서 착용할 필요성도 없었기 때문에 똑같은 시계를 오래 착용하는데서 오는 권태로움과 단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서로 디자인이나 시각적 효과를 달리하는 손목시계를 2 ~ 3개 정도를 구비한 상태에서 번갈아 가면서 착용하는 경우가 허다하여 경제적으로도 결코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들로 인하여 동일한 디자인의 시계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양측면이 대칭되도록 양면손목시계가 구성되어 시판되어 오고 있었지만 시계의 특성상 손목에 착용을 하되, 양측이 시침과 분침을 보호하는 유리커버로 감싸고 있으며 상기 유리커버는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양측으로 착용은 가능하지만 착용감에 있어서 유리커버가 돌출되다 보니 손목이 아프거나 착용감이 매우 떨어졌으며, 사용자의 주부의로 낙하 등과 같은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유리커버를 보호할 수 없어 파손이 되는 등 경제적 효율성 또한 매우 떨어졌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20-0260756(실) 시계의 이면으로 형성한 감합환턱에 환형홈이 감합되는 상태로 시계케이스를 서로 용두가 대칭방향으로 위치하도록 결합하고, 상기 케이스의 연결구로 연결된 연결핀으로 밴드을 연결하되 그 양단은 자형의 걸고리가 걸릴 수 있는 걸림홈을 양쪽으로 형성한 고리판을 가지는 개폐편이 힌지로 구성되어 고리판의 앞쪽 힌지에 교효로 걸림 및 풀림 될 수 있는 단턱과 복수개의 턱이 상기의 개폐편에 마련된 구조를 갖도록 구성된다.
등록번호 10-0444187 (특) 상부의 중앙부에 시계유리가 부착되는 동시에, 외주부에 밴드부착부가 설치되고, 이 밴드부착부에 수납오목부가 설치된 손목시계케이스와, 상기 수납오목부에 수납되는 안테나와, 상기 손목시계케이스에 고정되어 안테나를 수납하는 상기 수납오목부를 덮는 커버부재와, 링형상으로 상기 손목시계유리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서 누르는 누름부가 설치된 외장부재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양측으로 대칭되게 구성되어 있긴 하지만 사용자들이 사용을 함에 있어서 손목과 맞닿는 부분이 금속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착용감에 떨어질 뿐만 아니라, 금속 알레르기가 있는 사용자들일 경우 시계를 착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형태의 기술을 살펴보면 전자손목시계로서 일반적인 손목시계에 단순한 버튼이 눌름 되기 쉽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는바, 착용 시 사용자의 손목과 맞닿는 부분에는 착용감을 높여줄 수 있는 구성이 전혀 없으며 그에 따라 착용 시에 불편함을 줄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해낸 것으로, 몸체부의 양 측에 구성되는 유리커버의 상측으로 고형의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되 인체에 무해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되게 구성되는 실리콘부를 각각 구성하여 낙하 등과 같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충격 발생 시에도 파손을 방지하며 사용자가 시계를 어느 방향으로 착용 시에 손목에 불편함이 없어지도록 하여 편리성을 부여하고, 밴드부의 사용자의 손목과 맞닿는 양측에 커버부를 구성하여 착용 시 손목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시계와 유리커버로 구성되는 각각의 몸체부가 상호 대칭되어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밴드부가 각각 구성되어 상호 결착되는 양면손목시계에 있어서, 상기 유리커버(12, 12`)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탈, 부착되는 투명재질의 부착부(13, 13`)가 각각 구성되고, 상기 부착부(13, 13`)의 상부에 인체에 무해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되고 투명한 실리콘 재질의 실리콘부(14, 14`)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밴드부(20)의 양측에는 손목과 맞닿는 부분에 커버부(21, 21`)가 각각 구성되어, 착용 시 상기 실리콘부(14, 14`)가 착용자의 손목에 맞닿음과 동시에 휘어지게 변형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착용감이 개선한 양면손목시계에 의하면, 상호 대칭 되게 구성되어 어느 방향으로 착용 가능하되 유리커버의 상부에 투명한 실리콘재질로 인체에 무해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되게 실리콘부가 각각 구성되어 낙하 등과 같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충격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파손을 방지 할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으며, 무엇보다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게 되면 상기 실리콘부가 손목과 맞닿음과 동시에 휘어지게 변형되며 밀착되어 고정력과 착용감이 높을 뿐만 아니라 밴드부의 양측에 합성수지제 또는 천으로 구성되어 손목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 하여 상기 밴드부의 변색까지 방지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은 시계(10, 10`)가 양측으로 사용할 수 있게 상호 대칭되게 구성되되, 상기 시계(10, 10`)를 보호하는 각각의 유리커버(12, 12`) 상측에 인체에 무해한 성분의 실리콘재질의 실리콘부(14, 14`)를 각각 구성하여 착용 시 상기 실리콘부(14, 14`)가 손목과 맞닿으며 휘어지게 변형되며 착용감을 높이며 낙하 등과 같은 충격에 의해 파손을 방지 할 수 있고, 밴드부(20)의 양측에 커버부(21, 21`)를 구성하여 땀이 많이 차지 않도록 하는 착용감이 개선한 양면손목시계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살펴보면,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와 유리커버로 구성되는 각각의 몸체부가 상호 대칭되어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밴드부가 각각 구성되어 상호 결착되는 양면손목시계에 있어서, 상기 유리커버(12, 12`)의 상부에 선택적으로 탈, 부착되는 투명재질의 부착부(13, 13`)가 각각 구성되고, 상기 부착부(13, 13`)의 상부에 인체에 무해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되고 투명한 실리콘 재질의 실리콘부(14, 14`)가 각각 구성되며, 상기 밴드부(20)의 양측에는 손목과 맞닿는 부분에 커버부(21, 21`)가 각각 구성되어, 착용 시 상기 실리콘부(14, 14`)가 착용자의 손목에 맞닿음과 동시에 휘어지게 변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밴드부(20)는 땀이 잘 차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되, 상기 땀이 잘 차지 않는 재질은 천 또는 합성수지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0)는 도 2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구성으로 구성되는 시계(11)와 상기 시계(11)를 덮는 유리커버(11)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리커버(11)의 상부에는 투명한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실리콘부(13)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이렇게 구성된 상기 몸체부(10)가 상, 하로 상호 대칭되어 결합된다.
다시 말해, 상기 각각의 몸체부(10, 10`)가 상, 하부로 나눠지되, 대칭되어 결합되며 하부에도 동일한 구성인 시계(11`)와 유리커버(12`)와 상기 유리커버(12`)의 상부로 실리콘부(14`)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실리콘부(14, 14`)가 투명하게 형성되어 유리커버(12, 12`)를 보호하면서도 시계(11, 11`)를 뚜렷하게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리콘부(14, 14`)는 인체에 무해한 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시계는 통상 시간을 보는 목적으로 착용하게 되어 있는데 사람의 손목과 맞닿게 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한 성분을 포함한 것이다.
예를 들면,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시계의 경우 착용자의 특성상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기 때문에 손목과 맞닿는 부분에 실리콘부(14, 14`)가 구성됨에 따라 유리커버(12, 12`) 또는 금속재질이 손목과 맞닿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알레르기 반응과 같은 문제를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시계는 손목을 감싸며 결합과 풀림을 반복하여야 하는데 시계의 내부에 방수 또는 보호하는 목적으로 유리커버(12, 12`)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상기 유리커버(12, 12`)는 유리재질로 구성되어 낙하 등과 같은 충격이 발생하게 되면 파손이 되어 사용자가 시계를 주우려고 할 때 파손된 뾰족한 유리에 사용자가 자칫 찔릴 수 있는 등 안전사고가 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의 실리콘부(14, 14`)로 인하여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낙하 등과 같은 충격이 발생 시에 시계의 파손과 안전사고를 동시에 방지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리콘부(14, 14`)는 도 4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재질의 특성상 부드럽고 휘어지는 등 변형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가 시계를 착용할 시에 손목에 맞닿게 되면 휘어져 손목에 밀착되어 불편함이 없도록 하여 착용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종래에 있어 유리커버(12, 12`) 또는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손목에 실질적으로 맞닿게 되어 있었지만 이러한 경우 상기 유리커버(12, 12`)는 돌출되도록 하여 손목에 매우 불편함이 있었으나, 본 발명의 실리콘부(14, 14`)는 휘어지게 되어 불편함 없이 착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리콘부(14, 14`)의 하부에는 선택적으로 상기 유리커버(12, 12`)와 탈, 부착 가능한 부착부(13, 13`)가 구성되는데 이는, 상기 실리콘부(14, 14`)를 선택적으로 유리커버(12, 12`)에 탈, 부착 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 따라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예를 들면, 몸체부(10)의 실리콘부(14)가 있는 방향이 사용자의 손목에 차게 되면 타 측에 구성되는 몸체부(10`)의 실리콘부(14`)를 선택적으로 탈착 시켜 유리커버(12`)가 보이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본 발명의 양면손목시계를 사용함에 있어 손목에 착용되는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부착부(13`)와 실리콘부(14`)를 구성할 수도 있게 되어 편의성과 다양성을 부여할게 된다.
상기 밴드부(20)는 몸체부(10, 10`)의 양 측에 길이방향으로 연결 구성되는 끝부에 상호 결합 할 수 있도록 통상의 결합부재가 구성되고, 상기 밴드부(20)의 양 측 즉, 손목과 맞닿는 부분에는 땀이 잘 차지 않는 재질의 커버부(21, 21`)가 각각 구성되되, 상기 땀이 잘 차지 않는 재질로 천 또는 합성수지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시계의 밴드를 보면 가죽 또는 메탈로 구성되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되지만 이러한 밴드의 문제점은 상기 가죽의 경우 손목과 완전히 밀착 또는 재질의 특성상 땀이 잘 찰 수밖에 없는 재질이며, 메탈의 경우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착용 시 불편한 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밴드부(20)의 양 측으로 통상의 가죽과 같은 밴드부(20)가 구성된 상태에서 커버부(21, 21`)를 각각 구성하여 착용하게 되면 천 또는 합성수지제 재질의 특성 상 땀이 잘 차지 않게 되어 착용감도 우수하며 땀으로 인해 밴드부(20)의 변색 또한 방지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커버부(21, 21`)의 구성으로 인하여 통상의 밴드부의 훼손 또한 방지 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밴드부(20)의 끊김 현상으로 인하여 잦은 밴드부의 교체를 보완할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면손목시계는 부착부(13, 13`)와 실리콘부(14, 14`)를 동시에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몸체부(10, 10`)의 유리커버(12, 12`)에 탈, 부착 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유리커버(12, 12`)에 실리콘부(14, 14`)을 구성하여 사용 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착용감이 개선한 양면손목시계에 의하면, 상호 대칭 되게 구성되어 어느 방향으로 착용 가능하되 유리커버(12, 12`)의 상부에 투명한 실리콘재질로 인체에 무해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되게 실리콘부(14, 14`)가 각각 구성되어 낙하 등과 같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충격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파손을 방지 할 수 있어 경제적 효율성이 높으며, 무엇보다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게 되면 상기 실리콘부(14, 14`)가 손목과 맞닿음과 동시에 휘어지게 변형되며 밀착되어 고정력과 착용감이 높을 뿐만 아니라 밴드부(20)의 양측에 땀이 잘 차지 않는 재질의 커버부(21, 21`)가 합성수지제 또는 천으로 구성되어 손목에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밴드부(20)의 변색까지 방지 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10` : 몸체부 11, 11` : 시계 12, 12` : 유리커버
13, 13` : 부착부 14, 14` : 실리콘부
20, 20` : 밴드부 21, 21` : 커버부

Claims (1)

  1. 양측에 시계와 상기 시계에 각각 유리커버가 구성되는 각각의 몸체부가 상호 대칭되어 결합되고, 각각의 상기 몸체부의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손목과 맞닿는 부분에 땀이 잘 차지 않는 재질의 커버부(21, 21`)가 각각 구성되는 밴드부(20)가 각각 구성되어 상호 결착되는 양면손목시계에 있어서,
    상기 유리커버(12, 12`)의 상부에는 투명재질의 부착부(13, 13`)와 인체에 무해한 기능성 성분이 포함된 투명한 실리콘 재질의 실리콘부(14, 14`)가 각각 적층되게 구성되어,
    착용 시 상기 실리콘부(14, 14`)가 착용자의 손목에 맞닿음과 동시에 휘어지게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감이 높은 양면손목시계.








KR1020140191158A 2014-12-26 2014-12-26 착용감이 개선된 양면손목시계 KR101720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158A KR101720786B1 (ko) 2014-12-26 2014-12-26 착용감이 개선된 양면손목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1158A KR101720786B1 (ko) 2014-12-26 2014-12-26 착용감이 개선된 양면손목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0313A true KR20160080313A (ko) 2016-07-08
KR101720786B1 KR101720786B1 (ko) 2017-03-31

Family

ID=5650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1158A KR101720786B1 (ko) 2014-12-26 2014-12-26 착용감이 개선된 양면손목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0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5828A (zh) * 2021-07-06 2021-10-08 歌尔科技有限公司 腕带和腕戴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8951U (ko) * 1989-12-28 1991-09-11
KR19980026044U (ko) * 1996-11-07 1998-08-05 단홍덕 손목시계 및 밴드버클의 쿳션팻드
KR20120130859A (ko) * 2011-05-24 2012-12-04 김기훈 통풍용 시계줄
US20130221044A1 (en) * 2012-02-24 2013-08-29 Martin R. Cooper Accessory for wrist wat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8951U (ko) * 1989-12-28 1991-09-11
KR19980026044U (ko) * 1996-11-07 1998-08-05 단홍덕 손목시계 및 밴드버클의 쿳션팻드
KR20120130859A (ko) * 2011-05-24 2012-12-04 김기훈 통풍용 시계줄
US20130221044A1 (en) * 2012-02-24 2013-08-29 Martin R. Cooper Accessory for wrist wat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75828A (zh) * 2021-07-06 2021-10-08 歌尔科技有限公司 腕带和腕戴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0786B1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01263A1 (en) Wearable case for a mobile device
US7070322B1 (en) Safety wristwatch system
EP2749966B1 (en) Watch with interchangeable member
KR200394976Y1 (ko) 손목시계
US20120168471A1 (en) Electronic Device Holder
JP7275036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アクセサリ
US20150173633A1 (en) Biometric information measuring apparatus
US20130064049A1 (en) Watch with shapeable strap
US8534911B2 (en) Instrument case assemblies
KR101720786B1 (ko) 착용감이 개선된 양면손목시계
US20210386314A1 (en) Wearable measuring device that can be worn on a person's body
KR20130079088A (ko) 손목시계 케이스
CN112545122B (zh) 具有编织股线的表带
US9968487B2 (en) Glasses structure
CN210072336U (zh) 计时器
CN220477060U (zh) 一种新型可稳固固定手环主体装置
CN212433589U (zh) 一种手表保护壳
KR100803672B1 (ko) 소형생활용품이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혁대버클
CN204814313U (zh) 腕关节保护装置
US11927920B2 (en) Ergonomic multi-compartment case
KR102627329B1 (ko) 훈련용 스마트워치 손목보호대
CN216255788U (zh) 一种特需儿童的运动管理监测用智能穿戴手环
JP5681934B1 (ja) 無線通信装置
CN210804006U (zh) 一种碳钎维手表壳
KR200375849Y1 (ko) 펜던트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