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964A - 온라인 발전기 고장 파급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발전기 고장 파급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964A
KR20160079964A KR1020140190478A KR20140190478A KR20160079964A KR 20160079964 A KR20160079964 A KR 20160079964A KR 1020140190478 A KR1020140190478 A KR 1020140190478A KR 20140190478 A KR20140190478 A KR 20140190478A KR 20160079964 A KR20160079964 A KR 20160079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ty
power
generator
transient stability
trans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8138B1 (ko
Inventor
서상수
김석주
김동준
김태현
이종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90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13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9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ducing oscillations of power in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2203/20Simulating, e g planning, reliability check, modelling or computer assisted design [C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온라인 발전기 고장 파급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는 전력계통 전체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계통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획득된 계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관심 지역 발전기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에 기 적용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하는 안정도 해석부; 상기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발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발전력 처리부; 및 탈락된 발전기의 증가된 발전력을 제외한 연계된 발전기의 발전력을 상기 해당 관심 지역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으로 산정하는 안정도 산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온라인 발전기 고장 파급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FOR DETERMINING STABILITY MARGIN OF ONLINE GENERATOR SPECIAL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온라인 발전기 고장 파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라인 발전기 고장 파급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대표적인 기술은 에너지 함수를 이용하거나 등면적법(equal area criterion) 혹은 확장 등면적법(extended equal area criterion) 혹은 1기 등가 모델(SIME; Single Machine Equivalent)을 이용한 발전기 가속력과 감속력의 차이를 기초로 하는 과도안정도 마진을 평가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상기 종래 방법은 잘 알려진 이론적 배경을 가지고 있지만 실제적인 적용에 있어서 모델 오차 등을 고려하기가 어렵고 마진에 대한 물리적 해석이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계통 매개변수 오차가 등가 모델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알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 계통에 송전선로의 고장 탈락과 같은 중대한 외란이 발생하는 경우 온라인 데이터를 이용한 시간영역 해석을 기반으로 발전기의 과도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도록 하는 온라인 발전기 고장 파급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관점에 따른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는 전력계통 전체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계통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획득된 계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관심 지역 발전기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에 기 적용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하는 안정도 해석부; 상기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발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발전력 처리부; 및 탈락된 발전기의 증가된 발전력을 제외한 연계된 발전기의 발전력을 상기 해당 관심 지역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으로 산정하는 안정도 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정도 해석부는 상기 획득된 계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하고, 상기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지 않으면 발전기 차단량을 증가시켜 증가시킨 발전기 차단량을 기반으로 과도 안정도 해석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정도 해석부는 상기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면, 발전기 차단량을 임계 발전량 차단량으로 산정한 후 해당 관심 지역 발전 단지의 단위기 최대 발전력을 최대값으로 하여 해당 관심 지역의 발전력과 부하량을 기 설정된 크기만큼 증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정도 해석부는 상기 증가된 발전력을 기반으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제 2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지 않으면 발전력과 부하량을 기 설정된 크기만큼 감소 시킨 후 감소시킨 발전기 차단량을 기반으로 과도 안정도 해석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정도 해석부는 상기 제2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면, 탈락된 발전기의 증가된 발전력을 제외한 연계된 발전기의 발전력을 해당 관심 지역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으로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정도 해석부에 의해 산정된 안정도 마진을 출력하는 안정도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관점에 따른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은 전력계통 전체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계통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단계; 상기 획득된 계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관심 지역 발전기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에 기 적용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하는 안정도 해석단계; 상기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발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발전력 처리단계; 및 탈락된 발전기의 증가된 발전력을 제외한 연계된 발전기의 발전력을 상기 해당 관심 지역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으로 산정하는 안정도 산정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정도 해석단계는 상기 획득된 계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하고, 상기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지 않으면 발전기 차단량을 증가 시켜 증가시킨 발전기 차단량을 기반으로 과도 안정도 해석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정도 해석단계는 상기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면, 발전기 차단량을 임계 발전량 차단량으로 산정한 후 해당 관심 지역 발전 단지의 단위기 최대 발전력을 최대값으로 하여 해당 관심 지역의 발전력과 부하량을 기 설정된 크기만큼 증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정도 해석단계는 상기 증가된 발전력을 기반으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제 2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지 않으면 발전력과 부하량을 기 설정된 크기만큼 감소 시킨 후 감소시킨 발전기 차단량을 기반으로 과도 안정도 해석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정도 해석 단계는 상기 제 2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면, 탈락된 발전기의 증가된 발전력을 제외한 연계된 발전기의 발전력을 해당 관심 지역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으로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전력 계통에 송전선로의 고장 탈락과 같은 중대한 외란이 발생하는 경우 온라인 데이터를 이용한 시간영역 해석을 기반으로 발전기의 과도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과도 안정도 마진을 정량적으로 계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데이터를 이용한 시간영역 해석을 기반으로 보다 정확한 과도 안정도 마진을 정량적으로 계산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스템의 신뢰성 및 건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도 마진 산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발전기 고장 파급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동일한 명칭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도면에 따라 다른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서로 다른 도면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라 하더라도 해당 구성 요소가 실시예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거나, 서로 다른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구성 요소의 기능은 해당 실시예에서의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에 기초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력 계통에 송전선로의 고장 탈락과 같은 중대한 외란이 발생하는 경우 온라인 데이터를 이용한 시간영역 해석을 기반으로 발전기 또는 발전 단지의 과도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도록 하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한다.
즉, 온라인 전력계통 데이터를 이용하여 발전기 고장파급방지 시스템을 설정하는 경우 오프라인 해석 기반 방법과 달리 계통 운영자가 개입하는 것이 제한 적이며,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현재 설정된 발전기 탈락량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것이 무엇 보다 중요하다. 그러므로 이와 관련하여 주기적으로 설정되는 발전기 탈락량과 그와 관계된 안정도 마진을 같이 제시함으로써 계통운영자에게 온라인 고장파급방지 시스템의 신뢰성과 건정성을 확인시켜 주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온라인 계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해당 고장파급방지 시스템에서 고려하고 있는 상정고장 시나리오대로 전력계통 과도안정도 시모의 해석을 수행하여 해당 상정고장 발생시 과도안정도 유지를 위한 발전기 혹은 발전단지의 차단 발전량을 산정하고 선정된 발전기 탈락량을 기본으로 검토하고자 하는 발전단지에 발전력과 부하를 동시에 증가시키는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해당 상정고장에 대한 안정도 여유도가 증가되는 발전력을 계산하며 이렇게 계산된 발전력은 해당 발전단지의 현재 고장파급방지 시스템에 의한 발전기 탈락량과 함께 여유도로서 제시됨에 따라, 계통운영자는 현재 설정된 발전기 고장파급방지 시스템의 발전기 탈락량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도 마진 산정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심지역 발전 그룹의 발전단지가 2회선의 송전선을 통하여 비 관심지역 계통(나머지 전력 계통)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가정하였지만 일반적인 대규모 계통에도 같은 원리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1회선에 고장이 발생하고 보호계전기가 작동하여 선로를 개방한다고 가정하면(2번째 라인 흰색 네모 박스가 송전선이 열리는 것을 의미함) 발전기의 입장에서는 송전선 임피던스가 증가하였기 때문에 최대로 송전할 수 있는 전력이 감소하게 된다.
이때 발전기가 선로 사고 후 과도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전력을 계산하는 것은 발전기가 과도 불안정 영역에 얼마만큼 가까이 운전되고 있는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관심지역 발전기의 출력을 일정부분만큼 증가시키고 같은 양으로 부하증가 그룹에서 부하를 증가시키면 관심지역에서 비 관심지역으로 전달되는 전력조류에는 변화가 없게 된다. 즉, 관심지역을 제외한 비관심 지역과 두 지역 사이의 조류계산이나 상태추정 결과가 바뀌지 않고 관심지역 발전기의 발전력만 증가된 상태가 된다. 이런 상태에서 고장이 발생하고 고장을 제거하면서(1회선 개방) 동시에 증가된 부하에 연결된 스위치도 개방하면 과도적으로 차단되지 않은 나머지 발전기의 증가된 발전력이 송전선을 통해서 전송될 수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알 수 있다.
만약에 해당 조건에서 과도 안정성이 유지 되면 발전력과 부하를 좀 더 증가시켜서 계산하고, 해당 조건에서 불안정으로 판단되면 발전력과 부하를 줄여서 계산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발전기 과도 안정도를 위한 발전기 탈락량을 알 수 있다. 즉, 현재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안정이라고 판정된 증가된 발전력만큼이 과도안정도 여유도가 되는 것이다.
이 방법의 최대 장점은 첫째 시간영역 해석으로 온라인 고장파급방지 시스템의 과도안정도 여유량을 알 수 있다는 것이고 둘째는 관심지역 발전그룹에 발전력과 부하를 같은 양으로 조정함으로써 관심지역을 제외한 비 관심 지역 계통의 조류상태와 전압, 전류 등 전혀 변화가 없다는 것이다. 즉, 송전선로의 상태추정 결과나 조류계산 결과를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실계통 적용시 에너지관리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EMS)의 상태추정 데이터를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처럼 발전기 고장파급방지 장치가 설치된 발전단을 관심지역 발전단지로 설정하여 해당 지역에 발전력과 부하를 동일한 양으로 증가시킨 후 고장 제거와 동시에 증가된 부하의 스위치를 개방하여 부하를 제거하면 증가된 발전력이 계통으로 전송되는지 여부를 시간영역 해석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이렇게 증가되는 발전력을 변화시키면서 반복 수행하면 비교적 정확한 고장파급방지 장치의 여유량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200)는 데이터 획득부(210), 안정도 해석부(220), 발전력 처리부(230), 안정도 산정부(240), 안정도 출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획득부(210)는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등으로부터 다수의 계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계통 데이터는 전력계통 전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정도 해석부(220)는 획득된 계통 데이터를 이용하여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안정도 해석부(220)는 획득된 계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발전기 즉, 관심 지역 발전기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에 기 적용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하게 된다.
발전력 처리부(230)는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발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그 일예로, 발전력 처리부(230)는 획득된 계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관심 지역 발전기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에 기 적용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하고 그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면 해당 관심 지역 발전 단지의 단위기 최대 발전력을 최대값으로 증가 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발전력 처리부(230)는 증가된 발전력을 기반으로 해당 관심 지역 발전기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에 기 적용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하고, 그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지 않으면 발전력을 감소 시킬 수 있다.
안정도 산정부(240)는 탈락된 발전기의 증가된 발전력을 제외한 연계된 발전기의 발전력을 해당 관심 지역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으로 산정할 수 있다.
안정도 출력부(250)는 관심지역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의 산정된 안정도 마진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이하, 안정도 산정장치라고 한다)는 EMS 등으로부터 전력계통 전체 정보를 포함하는 계통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S11).
다음으로, 안정도 산정장치는 계통 데이터를 획득하면, 획득된 계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발전기 즉, 관심 지역 발전기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에 기 적용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S12).
다음으로, 안정도 산정장치는 그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S13).
다음으로, 안정도 산정장치는 확인한 결과로 안정하지 않으면 발전기 차단량을 증가 시켜 증가시킨 발전기 차단량을 기반으로 과도 안정도 해석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S14).
반면, 안정도 산정장치는 확인한 결과로 안정하면, 발전기 차단량을 임계 발전량 차단량으로 선정한 후(S15) 해당 관심 지역 발전 단지의 단위기 최대 발전력을 최대값으로 하여 해당 관심 지역의 발전력과 부하량을 기 설정된 크기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S16).
다음으로, 안정도 산정장치는 증가된 발전력을 기반으로 해당 관심 지역 발전기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에 기 적용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S17).
다음으로, 안정도 산정장치는 그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S18).
다음으로, 안정도 산정장치는 확인한 결과로 안정하지 않으면 발전력과 부하량을 기 설정된 크기만큼 감소 시킨 후 감소시킨 발전기 차단량을 기반으로 과도 안정도 해석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S19).
반면, 안정도 산정장치는 확인한 결과로 안정하면, 탈락된 발전기의 증가된 발전력을 제외한 연계된 발전기의 발전력을 해당 관심 지역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으로 산정하고 그 산정된 안정도 마진을 출력할 수 있다(S20).
이처럼 전력계통 운영자 입장에서는 항상 송전선 고장에 대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각종 모의 도구를 이용하여 송전선 고장을 모의하고 고장 제거 후에도 발전기가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온라인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장파급방지 장치의 발전기 탈락량을 설정할 때 모의를 통하여 현재의 운전상태에 대한 보다 정확한 발전기 탈락량을 계산하여 여유량을 알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의 계산 도구는 이러한 간단한 물리량(과도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최대전력량)보다는 의미 파악이 어려운 수학적 마진(가속력과 감속력의 차이 등)을 사용함으로써 실사용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한 것과 같은 계산이 가능하면 다음과 같은 고장파급방지 장치의 설정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송전선을 A, 발전단지는 B로 표현하고 발전기 1대 정격은 500MW 라고 가정한다.
1. 현재 상태에서 B 발전단지의 고장파급방지장치는 발전기 1대 즉 500MW의 발전기 탈락을 설정치로 도출한 경우에 여유도 분석 결과 400MW 정도의 여유가 나타나면, 현재 발전기 탈락 설정만으로 충분한 여유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한다.
2. 반면에, 어떤 상태에서 1의 경우와 같이 동일한 500MW의 탈랑량이 고장파급방지장치 설정 값으로 도출된다 하더라도, 여유도 계산결과 A 송전선로에 고장이 발생하면 B 발전단지의 고장파급방지 장치는 발전기 0.1 대분 50MW 정도의 여유밖에 없다고 계산되면, 데이터 및 각종 모델 파라미터의 불확정성을 고려하였을 때, 안정도를 유지하기 위하 지금 출력을 50% 정도 감발하여 250MW 이상(발전기 0.5대분)의 과도안정도 마진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1, 2와 같이 정량적으로 운전원이 이해하기 쉽게 운전/설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페이저 측정장치(Phasor Measurement Unit; PMU)를 이용한 계통 보호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10: 데이터 획득부
220: 안정도 해석부
230: 발전력 처리부
240: 안정도 산정부
250: 안정도 출력부

Claims (11)

  1. 전력계통 전체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계통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부;
    상기 획득된 계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관심 지역 발전기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에 기 적용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하는 안정도 해석부;
    상기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발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발전력 처리부; 및
    탈락된 발전기의 증가된 발전력을 제외한 연계된 발전기의 발전력을 상기 해당 관심 지역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으로 산정하는 안정도 산정부;
    를 포함하는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도 해석부는,
    상기 획득된 계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하고,
    상기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지 않으면 발전기 차단량을 증가시켜 증가시킨 발전기 차단량을 기반으로 과도 안정도 해석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도 해석부는,
    상기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면, 발전기 차단량을 임계 발전량 차단량으로 산정한 후 해당 관심 지역 발전 단지의 단위기 최대 발전력을 최대값으로 하여 해당 관심 지역의 발전력과 부하량을 기 설정된 크기만큼 증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도 해석부는,
    상기 증가된 발전력을 기반으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제 2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지 않으면 발전력과 부하량을 기 설정된 크기만큼 감소 시킨 후 감소시킨 발전기 차단량을 기반으로 과도 안정도 해석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도 해석부는,
    상기 제 2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면, 탈락된 발전기의 증가된 발전력을 제외한 연계된 발전기의 발전력을 해당 관심 지역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으로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도 해석부에 의해 산정된 안정도 마진을 출력하는 안정도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7. 전력계통 전체 정보를 포함하는 다수의 계통 데이터를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단계;
    상기 획득된 계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관심 지역 발전기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에 기 적용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하는 안정도 해석단계;
    상기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에 따라 발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발전력 처리단계; 및
    탈락된 발전기의 증가된 발전력을 제외한 연계된 발전기의 발전력을 상기 해당 관심 지역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으로 산정하는 안정도 산정단계;
    를 포함하는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도 해석단계는,
    상기 획득된 계통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하고,
    상기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지 않으면 발전기 차단량을 증가 시켜 증가시킨 발전기 차단량을 기반으로 과도 안정도 해석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도 해석단계는,
    상기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면, 발전기 차단량을 임계 발전량 차단량으로 산정한 후 해당 관심 지역 발전 단지의 단위기 최대 발전력을 최대값으로 하여 해당 관심 지역의 발전력과 부하량을 기 설정된 크기만큼 증가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도 해석 단계는,
    상기 증가된 발전력을 기반으로 상정고장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제 2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하고,
    상기 제 2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지 않으면 발전력과 부하량을 기 설정된 크기만큼 감소 시킨 후 감소시킨 발전기 차단량을 기반으로 과도 안정도 해석을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도 해석 단계는,
    상기 제 2 과도 안정도 해석을 수행한 결과로 과도 안정도가 안정하면, 탈락된 발전기의 증가된 발전력을 제외한 연계된 발전기의 발전력을 해당 관심 지역의 고장 파급방지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으로 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방법.
KR1020140190478A 2014-12-26 2014-12-26 온라인 발전기 고장 파급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KR102348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478A KR102348138B1 (ko) 2014-12-26 2014-12-26 온라인 발전기 고장 파급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478A KR102348138B1 (ko) 2014-12-26 2014-12-26 온라인 발전기 고장 파급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964A true KR20160079964A (ko) 2016-07-07
KR102348138B1 KR102348138B1 (ko) 2022-01-10

Family

ID=56499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478A KR102348138B1 (ko) 2014-12-26 2014-12-26 온라인 발전기 고장 파급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1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3876A (zh) * 2018-07-27 2018-12-28 昆明理工大学 一种基于等值阻抗的暂态稳定分析方法
KR20200061201A (ko) * 2018-11-23 2020-06-02 한국전력공사 과도안정도 확보를 위한 전력저장시스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3235A (ja) * 1996-11-06 1998-05-29 Toshiba Corp 電力系統監視制御装置
KR20030035275A (ko) * 2001-10-30 2003-05-09 한국전력공사 전력계통 온라인 과도안정도 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086794A (ko) * 2007-03-23 2008-09-26 박은희 전력시스템에서 시각동기 된 측정신호를 이용한 실시간과도안정도 판별과 고장파급방지법
KR101420224B1 (ko) * 2012-11-09 2014-07-17 한국전기연구원 온라인 하이브리드 고장파급 방지 시스템 및 그 방지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3235A (ja) * 1996-11-06 1998-05-29 Toshiba Corp 電力系統監視制御装置
KR20030035275A (ko) * 2001-10-30 2003-05-09 한국전력공사 전력계통 온라인 과도안정도 평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80086794A (ko) * 2007-03-23 2008-09-26 박은희 전력시스템에서 시각동기 된 측정신호를 이용한 실시간과도안정도 판별과 고장파급방지법
KR101420224B1 (ko) * 2012-11-09 2014-07-17 한국전기연구원 온라인 하이브리드 고장파급 방지 시스템 및 그 방지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03876A (zh) * 2018-07-27 2018-12-28 昆明理工大学 一种基于等值阻抗的暂态稳定分析方法
KR20200061201A (ko) * 2018-11-23 2020-06-02 한국전력공사 과도안정도 확보를 위한 전력저장시스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8138B1 (ko) 2022-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amei et al. Anomaly Detection Using Optimally Placed $\mu\text {PMU} $ Sensors in Distribution Grids
Arghandeh et al. Topology detection in microgrids with micro-synchrophasors
Dasgupta et al. PMU-based model-free approach for real-time rotor angle monitoring
CN107203816B (zh) 一种电力系统二次设备的故障检修方法及系统
Sun et al. Power system observability and dynamic state estimation for stability monitoring using synchrophasor measurements
Decker et al. Experience and applications of phasor measurements to the Brazilian interconnected power system
CN115684822A (zh) 用于ai辅助的电网故障分析的系统和方法
Papadopoulos et al. A three-level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the real-time monitoring of modern power systems
Amarsagar et al. Identifying long term voltage stability caused by distribution systems vs transmission systems
Paramo et al. High-impedance non-linear fault detection via eigenvalue analysis with low pmu sampling rates
KR20160079964A (ko) 온라인 발전기 고장 파급 시스템의 안정도 마진을 산정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Ju et al. Real-time area angle monitoring using synchrophasors: A practical framework and utility deployment
Malik et al. Implementation of ROSE for real-time voltage stability analysis at WECC RC
Saunders et al. Transient stability analysis using potential energy indices for determining critical generator sets
Böhme et al. Cable fault location in high voltage cables–a new solution
Bhargava et al. Reliability evaluation of radial distribution system using analytical and time sequential techniques
Chandra et al. PMU based real time power system state estimation using ePHASORsim
Saadeh et al. Estimation of the bus admittance matrix for transmission systems from synchrophasor data
CA3105623A1 (en) Enhanced dynamic contingency analysis for power systems
Azmi et al. Implementation of advanced real-time simulation platform for testing and validation of pmu-based applications in large-scale power system
Zambrano et al. Sensitivity of voltage sags estimation to uncertainties
Ramanathan et al. Idaho power experience of implementing cascade analysis study using the Node/Breaker Model
Christman et al. A statistical approach for line outage detection in power systems with transient dynamics
Beiza et al. Multiphase transmission line modeling for voltage sag estimation
Sabot et al. Mcdet as a tool for probabilistic dynamic security assessment of transmiss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