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9419A - Method for notifying communication condition of an area and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notifying communication condition of an area and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9419A
KR20160079419A KR1020140190744A KR20140190744A KR20160079419A KR 20160079419 A KR20160079419 A KR 20160079419A KR 1020140190744 A KR1020140190744 A KR 1020140190744A KR 20140190744 A KR20140190744 A KR 20140190744A KR 20160079419 A KR20160079419 A KR 201600794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easurement area
area
unmanned aerial
aeria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07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태헌
권우현
강수진
서영일
윤사무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9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9419A/en
Publication of KR20160079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941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04B17/0085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using test signal gener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dicating a coverage area and a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he same. The method for indicating a coverag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lying step of making a flight along a preset path, by an unmanned aerial vehicle; a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communication sensitivity by setting a measurement area in a flying radius zone set on the preset path,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by using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of the measurement area,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n indication step of indicating that the measurement area is a coverage area by making a circular flight over the measurement area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is determined as good, b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tuitively inform mobile communication users of the coverage area by us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escription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무인 비행체 {Method for notifying communication condition of an area and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he same}Field of the Invention < RTI ID = 0.0 > Field of the Invention < / RTI >

본 출원은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무인 비행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인 비행체를 이용하여 통신가능지역을 알릴 수 있는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무인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area indicating method and a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munication area indicating method capable of informing a communication possible area by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he same.

대규모의 공연장, 운동장, 문화행사장 등에서는 이동통신 사용자가 과도하게 몰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이 경우 이동통신의 통신환경은 열악해진다. 즉, 과도한 호 접속 요청 등에 의하여, 이동통신을 이용하는 통화서비스, 문자서비스, 데이터 서비스 등이 불가능해질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지점이 통신가능지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이동통신 사용자들이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으므로, 이동통신 사용자들은 직접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안테나 아이콘 등을 보면서 통신가능지역으로 찾아가야 했다. In a large-scale performance hall, a playground, a cultural event venue, etc., mobile communication users are often overcrowded.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of mobile communication becomes poor. That is, a call service, a text service, a data service, etc. using mobile communication may become impossible due to an excessive call connection request or the like. In this case, since there is no way for mobile communication users to intuitively know which point corresponds to the communicable area, mobile communication users have to search for a communicable area while watching an antenna ic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directly.

종래에는 무선 공유기 등을 공중에 부양하여, 공중에서 무선랜 접속을 제공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나, 제공하는 무선랜의 유효거리가 짧고, 수용가능 개수가 제한적이므로, 과도한 호 접속 요청 등에 대한 불통현상을 해소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공중에 부양된 무선 공유기의 경우에는 추락시 인명이나 재산상의 피해 발생이 우려되는 점에서도 문제가 있다.
Conventionally,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wireless LAN connection in the air by floating a wireless router or the like in the air has been proposed. However, since the effective distance of a wireless LAN to be provided is short and the number of available wireless LANs is limited, It is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wireless router that has been floated in the ai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may cause damage to persons or property at the time of a fall.

본 출원은, 무인 비행체를 이용하여 통신가능지역을 알릴 수 있는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무인 비행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application aims to provide a communication area indication method and an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his purpose, which can notify a communication available area by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은, 무인 비행체가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비행단계; 무인 비행체가, 상기 기 설정된 경로 내에 설정된 비행반경 구역 내에 측정지역을 설정하여 통신감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무인 비행체가,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감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를 판별하는 판별단계; 및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가 통신양호로 판별되면, 무인 비행체가 상기 측정지역의 상공을 선회비행하여, 상기 측정지역이 통신가능지역임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 communication area, the method comprising: a flight step of fly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long a predetermined route; A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a communication sensitivity by setting a measurement area within a flight radius area set within the predetermined path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 discriminating step of discriminating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by using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of the measurement area; And a display step of indicating that the unmanned airplane has turned over the measurement area and the measurement area is a communicable area if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is determined to be good.

여기서 상기 비행단계는, 복수개의 통신 중계기를 연결하는 경로를 상기 기 설정된 경로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경로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범위 이내를 상기 비행반경 구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Here, the flight step may set a rout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repeaters to the predetermined route, and may set the flight radius area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based on the set route.

여기서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측정지역을 상기 무인 비행체의 진행방향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Here, the measuring step may set the measurement area accor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여기서 상기 측정단계는, 무인 비행체가 상기 측정한 통신감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Herein, the measuring step may set the traveling direction in a direction in which the unmanned air vehicle increases the measured communication sensitivity.

여기서 상기 판별단계는, 무인 비행체가, 상기 통신감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역에서의 트래픽 강도(traffic intensity) 및 트래픽 밀도(traffic density)를 추출하고, 상기 트래픽 강도 및 트래픽 밀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comprises the steps of: extracting a traffic intensity and a traffic density in the measurement area using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using the traffic intensity and the traffic density, Can be determined.

여기서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트래픽 강도가 기 설정된 한계강도값 이하이거나, 상기 트래픽 밀도가 기 설정된 한계밀도값 이하이면,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를 통신양호로 판별할 수 있다. Here, the determining step may determine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is good if the traffic intensity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strength value, and the traffic density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density value.

여기서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추출한 트래픽 강도 및 트래픽 밀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역에서의 비트오류율(BER: Bit Error Rate)을 계산하고, 상기 비트오류율이 기 설정된 한계오류율 이하이면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를 통신양호로 판별할 수 있다. Wherein the determining step calculates a bit error rate (BER) in the measurement area using the extracted traffic intensity and the traffic density, and if the bit error rate is less than a preset threshold error rate, Can be determined as good communication.

여기서 상기 표시단계는, 무인 비행체가 상기 통신가능지역의 상공을 기 설정된 표시경로에 따라 반복하여 선회비행할 수 있다. Here, the display step may be such that the unmanned air vehicle repeats the above-mentioned communication area over the predetermined display path and turns around.

여기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통신가능지역을 선회비행할 때, 무인 비행체가 표시램프를 발광할 수 있다. Here, in the displaying step,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emit a display lamp when the vehicle is turning over the communicable area.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은, 상기 통신가능지역의 통신감도가 낮아지면, 무인 비행체가 상기 선회비행을 중단하고 상기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재탐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munication coverage area display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of the communicable area becomes lower, the unmanned air vehicle interrupts the circulating flight and performs a re-searching step of flying along the predetermined route .

여기서 상기 재탐색단계는, 상기 선회비행 중에 상기 통신가능지역에 대응하는 통신 중계기에 집중되는 시간당 트래픽량을 이용하여, 상기 선회비행의 중단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Here, the rediscover step may determine whether to stop the turning flight by using the amount of traffic per hour that is concentrated in the communication repeater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ble area during the turnaround flight.

여기서 상기 재탐색단계는, 상기 시간당 트래픽량이 기 설정된 한계비율 이상이면, 상기 선회비행을 중단하고 상기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할 수 있다. The rediscovering step may stop the turning flight and fly along the predetermined route if the amount of traffic per hou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ratio.

여기서 상기 재탐색단계는, 상기 선회비행 중에 상기 통신가능지역에 대응하는 통신 중계기에 집중되는 평균 통화호의 개수와 평균 트래픽 보류시간을 곱한 전체 보류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전체 보류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선회비행의 중단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Wherein the rediscovering step calculates a total retention time multiplied by the average traffic retention time multiplied by the number of average traffic calls centered on the communication repeater corresponding to the coverage area during the turnaround, You can decide whether to stop the flight.

여기서 상기 재탐색단계는, 상기 전체 보류시간이 기 설정된 한계시간 이상이면, 상기 선회비행을 중단하고 상기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할 수 있다. The rediscovering step may stop the turning flight and fly along the preset route if the total holding tim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time lim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은, 무인 비행체가 상기 통신가능지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지상의 서버에 전송하는 위치정보 전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of displaying a communica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step in which an unmanned aerial vehicle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communicable area to a server on the ground.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 전송단계는, 무인 비행체가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인 비행체의 수직하부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는 과정; 무인 비행체의 수직하부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사진 및 GPS 좌표정보를 상기 위치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includes the steps of photographing a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the unmannurized air vehicle receives a request signal; A process of extractin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coordinate information for a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ransmitting the photograph and GPS coordinat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비행체는, 기 설정된 경로 및 비행제어신호에 따라,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비행제어부; 상기 비행경로에 따라 측정지역을 설정하고, 측정지역 내의 통신감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감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가 통신양호로 판별되면, 상기 측정지역의 상공을 선회비행하도록 상기 비행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선회비행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ight control unit for setting a flight path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ath and a flight control signal; A measurement unit that sets a measurement area according to the flight path and measures communication sensitivity within the measurement area;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using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of the measurement area; And a turning flight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flight control signal to fly over the measurement area if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is determined to be good.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means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re not all enumerat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rious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dvantages and effects thereof will be more ful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following specific embodiment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무인 비행체에 의하면, 무인 비행체를 이용하여 통신가능지역을 이동통신 사용자들에게 직관적으로 알리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the method of displaying a communica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he same,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inform a mobile communication user of a communication area using an unmanned air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및 이를 위한 무인 비행체에 의하면, 이동통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통신가능지역에 대한 사진이나 GPS 좌표정보 등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사용자는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통신가능지역으로 용이하게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displaying the communication area and the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he same can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photographs and GPS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communication available area at the reque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ser. Therefore, the mobile communication user can easily move to the communicable area with referenc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비행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통신가능지역의 표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display of a communication enabled area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a communication coverage area display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orde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means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비행체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비행체는 비행제어부(110), 측정부(120), 판별부(130), 선회비행제어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light control unit 110, a measurement unit 120, a determination unit 130, a turning flight control unit 140, and a display unit 150 have.

이하,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비행체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비행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경로 및 비행제어신호에 따라 비행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경로는 복수개의 통신 중계기를 연결하는 경로일 수 있으며, 비행반경은 상기 설정된 경로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범위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비행제어부(110)는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중에 상기 비행반경 범위 내에서 자율적으로 비행경로를 설정할 수 있으며, 무인 비행체는 상기 비행제어부(110)가 설정한 비행경로를 따라 비행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경로 및 비행반경은 상기 무인 비행체의 비행 전에 상기 비행제어부(110) 내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비행제어신호는 측정부(110) 또는 선회비행제어부(140)로부터 입력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지상에 위치하는 제어장치 등으로부터 입력받을 수도 있다.
The flight control unit 110 can set the flight path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route and the flight control signal. Here, the predetermined path may be a path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repeaters, and the flying radius may be limi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based on the set path. Accordingly, the flight control unit 110 can autonomously set the flight path within the range of the flying radius while moving along the predetermined path, and the unmanned air vehicle can fly along the flight path set by the flight control unit 110 have. The predetermined path and radius may be input into the flight control unit 110 before the flight of the unmanned air vehicle. Meanwhile, the flight control signal may be input from the measurement unit 110 or the swing flight control unit 140, and may be input from a control device or the like located on the ground depending on circumstances.

측정부(120)는 상기 비행경로에 따라 측정지역을 설정하고, 측정지역 내의 통신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비행경로에 따라 전방 10m 반경을 상기 측정지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지역 내의 통신감도를 통신안테나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이동통신단말 등의 수신감도 표시와 동일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측정지역 내의 통신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부(120)는 상기 측정한 통신감도를 이용하여, 통신감도가 증가하는 방향을 찾을 수 있으며, 상기 통신감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비행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비행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The measurement unit 120 may set the measurement area according to the flight path and measure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within the measurement area. For example, the measurement area can be set to a radius of 10 m ahead according to the flight path, and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within the measurement area can be detected using a device such as a communication antenna.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within the measurement area by applying the same algorithm as the reception sensitivity displa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the like. Here, the measuring unit 120 can find a direction in which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increases using the measured communication sensitivity, and can generate a flight control signal for changing the flight path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

판별부(130)는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감도를 이용하여 측정지역의 통신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별부(130)는 상기 통신감도를 이용하여 측정지역에서의 호 밀도(traffic intensity)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호 밀도를 이용하여 측정지역의 통신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호 밀도는 측정지역에 대응하는 통신 중계기에 집중되는 트래픽량을 측정시간으로 나누어서 계산하거나, 상기 통신 중계기에 집중되는 평균 호의 개수에 평균 트래픽 보류시간을 곱하는 등의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호 밀도를 계산하기 위한 통신 중계기에 집중되는 트래픽량이나 평균 호의 개수, 평균 트래픽 보류시간 등은 판별부(130)가 통신감도 측정시 통신 중계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판별부(130)는 상기 계산한 호 밀도가 기 설정된 한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통신양호로 판별하고,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신불량으로 판별할 수 있다. The determination unit 130 may determine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using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of the measurement area.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unit 130 can extract the traffic intensity in the measurement area using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and can determine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using the ridge density. Here, the rerouting can be calculated by dividing the amount of traffic concentrated in the communication repeater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area by the measurement time, or by multiplying the average number of calls concentrated in the communication repeater by the average traffic retention time. The determination unit 130 can receive the amount of traffic, the number of average calls, the average traffic retention time, and the like, which are concentrated in the communication repeater for calculating the call density, from the communication repeater when measuring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Therefore, the determining unit 130 determines that communication is good when the calculated rho density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determines that communication is defective when the calculated rho density exceeds the threshold.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판별부(130)가 상기 추출한 호 밀도를 이용하여 측정지역에서의 비트오류율(BER: Bit Error Rate)를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비트오류율에 따라 상기 측정지역 내의 통신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즉, 비트오류율이 기 설정된 한계오류율 이하이면 통신양호로 판별하고 한계오류율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신불량으로 판별할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termination unit 130 may calculate a bit error rate (BER) in a measurement area using the extracted rerondensity, and may determine a bit error rate The communication state can be determined. That is, if the bit error rate is below the predetermined threshold error rate, it is determined that communication is good, and if the bit error rate exceeds the threshold error rat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is bad.

선회비행제어부(140)에서는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가 통신양호로 판별되면, 상기 측정지역의 상공을 선회비행하도록 비행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측정지역의 통신상태가 양호한 경우에는 상기 측정지역이 통신가능지역에 해당하므로, 이동통신 사용자 등에게 상기 측정지역이 통신가능지역에 해당함을 알릴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선회비행제어부(140)에서는 무인비행체가 상기 통신가능지역의 상공을 선회비행하도록 비행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통신 사용자들은 상기 무인비행체의 선회비행을 시각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무인비행체가 선회비행하는 지역이 통신가능지역에 해당함을 파악할 수 있다.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is determined to be good, the rotation control unit 140 may generate a flight control signal to fly over the measurement area. That is,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is good, the measurement area corresponds to the communication coverage area, so that it is necessary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user to inform that the measurement area corresponds to the communication coverage area. Accordingly, the turning flight control unit 140 can generate the flight control signal so that the unmanned airplane can fly over the communicable area. In this case, the mobile communication users visually detect the turning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o that the unmanned air vehicle can recognize that the area whe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turning is in the communication available area.

이때, 무인비행체에 포함된 표시부(150)에서는 빛을 발광하여 이동통신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무인비행체의 선회비행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발광하는 색상에 따라 통신가능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무인비행체가 선회비행하여 통신가능지역임을 알릴 때에는 녹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무인비행체가 통신불량 상태의 측정지역을 비행할 때에는 적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표시부(150)는 안내방송 등 청각적으로 통신가능지역임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50 included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emit light so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user can more easily detect the turning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whether or not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lor of light emitted It is possible. For example, a green light may be emitted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dicates tha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in a communicatable area, and may emit red light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flying in the measurement area of a poor communication state.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50 may indicate that the area is audibly communicable, such as announcement broadcasting.

한편, 선회비행 중에서도 측정부(120)는 통신감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판별부(130)가 상기 측정된 통신감도를 근거로 하여 통신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선회비행 중에 상기 통신가능지역 내에 이동통신 이용자의 수가 증가하여 통신상태가 통신불량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선회비행제어부(140)가 선회비행을 위한 비행제어신호 출력을 중단할 수 있으며, 비행제어부(110)에 따라 기 설정된 비행경로로 진행할 수 있다. 즉, 다음 통신 중계기로 비행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easuring unit 120 may measure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and the determining unit 130 may determine the communication state based on the measured communication sensitivity. Accordingly, when the number of mobile communication users increases in the coverage area during the turnover and the communication state is determined to be a communication failure, the turning flight control section 140 can stop outputting the flight control signal for turning flight, The control unit 110 may proceed to a predetermined flight path. That is, it can fly to the next communication repeater.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비행체는 복수개의 통신 중계기 b1, b2, b3, b4, b5를 경유하는 경로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무인 비행체는 통신불량에 해당하는 통신 중계기 b1 및 b2에서는 선회비행 등을 수행하지 않고 지나갈 수 있으며, 이후 중계기 b3의 통신상태는 통신양호에 해당하므로, 선회비행을 수행하여 통신가능지역임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중계기 b3에서의 통신감도가 낮아지게 되거나 기 설정된 시간이 도과하면, 무인비행체는 선회비행을 중단하고 다시 설정된 경로에 따라 중계기 b4로 비행할 수 있다. 한편, 중계기 b4는 통신불량에 해당하므로 중계기 b5로 이동할 수 있으며, 중계기 b5는 통신양호에 해당하므로 다시 선회비행을 수행하여 통신가능지역임을 나타낼 수 있다. 만약, 무인 비행체의 수차례 비행 이후에도 통신가능지역을 발견하지 못한 경우에는, 기 설정된 지점으로 착륙하도록 하여 이동통신 사용자 등에 대한 혼란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전이나 연료보충, 정비 등의 시간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a path via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repeaters b1, b2, b3, b4, and b5 may be preset 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pass without performing the turn-over flight in the communication repeaters b1 and b2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failure, and since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repeater b3 corresponds to the good communication, the turn- can do. Thereafter, when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of the repeater b3 is lowered or after a preset time passe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stop the turning flight and fly to the repeater b4 according to the set route. Since the repeater b4 corresponds to the communication failure, the repeater b5 can move to the repeater b5, and the repeater b5 corresponds to the good communication. I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not find a communication area even after several flight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fus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sers by making a landing at a preset point, and to have time for charging, refueling, maintenance, etc. can do.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인 비행체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사용자에게 통신가능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먼저, 이동통신 사용자의 이동통신단말(m)이 기 설정된 시간 이상 통신불량 상태의 음영 지역 내에 있었음을, 대응하는 통신 중계기(b1)에 알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m)은 자신의 위치에 대응하는 GPS 정보 등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음영 지역 내에 있었음을 알리는 것은, 이동통신 사용자가 일시 음영지역을 벗어났거나, 음영 지역 내에서 일시적으로 통신이 가능해진 경우일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3,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information on a communicable area to a mobile communication user. Firs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 of the mobile communication user can notify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repeater b1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 has been in the shadow area of the communication failure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t this tim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 may transmit GP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its own location together. Here, it is possible to inform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user is out of the temporary shadow area, or to be able to temporarily communicate within the shadow area.

이후, 통신 중계기는 서버(s)에게 통신가능지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서버(s)는 선회비행하는 무인 비행체(100)에 대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무인 비행체(100)는 상기 무인 비행체(100)의 수직하부(p)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수직하부(p)에 대한 GPS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무인 비행체(100)는 상기 위치정보를 서버(s)에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s)는 상기 위치정보를 이동통신단말(m)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m)을 이용하여 수신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사용자는 통신가능지역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상기 통신가능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After that, the communication repeater can request the server s for location information on the communicable area, and the server s can request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100 that is turning. Upon receiving the request, the unmanned air vehicle 100 photographs a photograph of the vertical lower portion p of the unmanned air vehicle 100 and extracts GPS information of the vertical portion p to generate the location information have. Thereafter, the unmanned air vehicle 100 can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er s, and the server s can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 Therefore, by using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ed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 the mobile communication user can grasp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ble area and can move to the communicable area.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4 is a flowchart showing a communication coverage area display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은, 비행단계(S100), 측정단계(S200), 판별단계(S300), 표시단계(S400), 재탐색단계(S500) 및 위치정보 전송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a method of displaying a communica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ight step S100, a measurement step S200, a determination step S300, a display step S400, And a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600.

이하,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mmunication coverage area display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비행단계(S100)에서는, 무인 비행체가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경로는 복수개의 통신 중계기를 연결하는 경로일 수 있으며, 상기 설정된 경로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범위 이내를 상기 무인 비행체의 비행반경 구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무인 비행체는 상기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상기 비행반경 구역 내에서 비행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경로와 비행반경 구역은 상기 무인 비행체의 비행 전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In the flight step S10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fly along a predetermined route. Here, the predetermined route may be a route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repeaters, and may be set to a flight radius area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based on the set route. Thu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fly within the radius of the flight along the predetermined path. The predetermined path and the flight radius zone may be preset before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측정단계(S200)에서는, 무인 비행체가 상기 기 설정된 경로 내에 설정된 비행반경 구역 내에 측정지역을 설정한 후, 측정지역 내의 통신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측정지역은 상기 무인 비행체의 진행방향에 따라 설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무인 비행체의 진행방향을 상기 측정한 통신감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비행체는 상기 통신감도가 증가하는 위치를 찾아 이동할 수 있으므로, 통신상태가 양호한 측정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비행경로 및 비행반경 구역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각의 통신 중계기 주변을 상기 측정지역으로 설정하여 통신감도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측정단계(S200)에서는 무인 비행체에 구비된 통신안테나 등의 장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의 수신감도 표시와 동일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상기 측정지역 내의 통신감도를 측정할 수 있다. In the measurement step S20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set the measurement area within the flight radius area set in the predetermined route, and then measure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within the measurement area. Here, the measurement area can be set according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air vehicle, and further,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air vehicle can be set to a direction in which the measured communication sensitivity increase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hat the air vehicle can move to the measurement area where the communication state is good because the air vehicle can move to find the position where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increases. However, it may be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flight path and flight radius are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t is also possible to measure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by setting each of the communication repeaters to the measurement area. Meanwhile, in the measurement step S200, equipment such as a communication antenna provided in an unmanned aerial vehicle can be used, and communication sensitivity within the measurement area can be measured by applying the same algorithm as the reception sensitivity indi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판별단계(S300)에서는, 무인 비행체가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감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신감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역에서의 호 밀도(traffic intensity)를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호 밀도를 이용하여 측정지역의 통신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호 밀도는 측정지역에 대응하는 통신 중계기에 집중되는 트래픽량을 측정시간으로 나누어서 계산하거나, 상기 통신 중계기에 집중되는 평균 호의 개수에 평균 트래픽 보류시간을 곱하는 등의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호 밀도를 계산하기 위한 통신 중계기에 집중되는 트래픽량이나 평균 호의 개수, 평균 트래픽 보류시간 등은 통신감도 측정시 통신 중계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판별단계(S300)에서는 상기 계산한 호 밀도가 기 설정된 한계값 이하인 경우에는 통신양호로 판별하고,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신불량으로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추출한 호 밀도를 이용하여 측정지역에서의 비트오류율(BER: Bit Error Rate)를 계산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비트오류율에 따라 상기 측정지역 내의 통신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즉, 비트오류율이 기 설정된 한계오류율 이하이면 통신양호로 판별하고 한계오류율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통신불량으로 판별할 수 있다. In the determining step S30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determine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using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of the measurement area. 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intensity can be used to extract the traffic intensity in the measurement area, and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can be determined using the ridge density. Here, the rerouting can be calculated by dividing the amount of traffic concentrated in the communication repeater corresponding to the measurement area by the measurement time, or by multiplying the average number of calls concentrated in the communication repeater by the average traffic retention time. The amount of traffic, average number of calls, average traffic retention time, etc., which are concentrated in the communication repeater for calculating the reronding can be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repeater when measuring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Therefore, in the discrimination step S300, it is determined that communication is good when the calculated rho density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and when it is higher than the threshold value, communication is judged as p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possible to calculate a bit error rate (BER) in a measurement area using the extracted rerondensity, and to determine a communication state in the measurement area according to the bit error rate have. That is, if the bit error rate is below the predetermined threshold error rate, it is determined that communication is good, and if the bit error rate exceeds the threshold error rat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mmunication is bad.

이후, 통신상태가 통신불량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무인 비행체가 기 설정된 경로에 따라 비행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S310). 반면에, 통신상태가 통신양호로 판별된 경우에는, 표시단계(S400)로 진행할 수 있다(S310).Thereafter, when the communication state is determined to be a communication failur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continuously perform the flight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route (S310). On the other hand, if the communication state is determined to be good, the process may proceed to the display step S400 (S310).

표시단계(S400)에서는,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가 통신양호로 판별되면, 무인 비행체가 상기 측정지역의 상공을 선회비행하여, 상기 측정지역이 통신가능지역임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무인 비행체는 상기 통신가능지역의 상공을 기 설정된 표시경로에 따라 반복하여 선회비행할 수 있으며, 이때 표시경로는 원형이거나 지그재그 등 다양한 형태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표시단계(S400)에서는 상기 무인 비행체의 선회비행의 시인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표시램프를 발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표시램프를 점멸하거나 색상을 변경하여 발광할 수 있으며, 선회비행시에만 기 설정된 색상의 표시램프를 발광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들어, 무인비행체가 통신불량 상태의 측정지역을 비행할 때에는 적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으며, 이후 선회비행을 통하여 통신가능지역임 알릴 때에는 녹색의 빛을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무인 비행체는 통신가능지역임을 알리기 위하여 안내방송 등 청각적으로 통신가능지역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In the display step S400, if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is determined to be good, the unmanned airplane can fly over the measurement area to indicate that the measurement area is a communication enabled area. Here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repeatedly fly over the communication area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display path, and the display path may be set in various forms such as a circle or a zigzag. Also, in the display step S400, the indicator lamp may emit light in order to improve visibility of the turning fligh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mit light by blinking or changing the color of the display lamp, or to emit a display lamp of a predetermined color only at the time of turning flight. For exampl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emit red light when flying in a measurement area of poor communication condition, and then can emit green light when it is notified tha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a communication area through a turnaround flight. 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may indicate tha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acoustically communicable, such as announcement broadcasting, in order to notify tha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a communicable area.

이후, 상기 통신가능지역에서 측정되는 통신감도가 낮아지는 경우에는, 재탐색단계(S500)를 수행하여, 상기 선회비행을 중단하고 기 설정된 경로를 따른 비행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표시단계(S400)에서 선회비행 등을 수행하는 중에도, 무인 비행체는 통신가능지역의 통신감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통신감도를 근거로 하여 통신상태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선회비행 중에 상기 통신가능지역 내에 이동통신 이용자의 수가 증가하여 통신상태가 통신불량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선회비행을 중단하고 기 설정된 비행경로에 따라 다음 통신 중계기로 이동할 수 있다. Thereafter, if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measured in the coverage area is lowered, the re-search step S500 may be performed to stop the swing flight and proceed with the flight along the predetermined route. That is, even during the turning flight in the display step S40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can measure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of the communicable area, and can determine the communication state based on the measured communication sensitivity. Therefore, when the number of mobile communication users increases in the coverage area during the turnover and the communication state is determined to be a communication failure, the turnover flight can be stopped and the next communication repeater can be moved according to the predetermined flight path.

한편, 표시단계(S400)에서 무인 비행체가 선회비행하는 중에, 위치정보의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S410). 즉, 통신불량 상태에 해당하는 음영지역에 위치하는 이동통신 단말에 의하여, 통신가능지역에 대한 위치정보의 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정보 전송단계(S600)로 진행하여 무인 비행체가 상기 통신가능지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지상의 서버에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정보 전송단계(S600)에서 무인 비행체가 상기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인 비행체는 수직하부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고, 상기 수직하부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진 및 GPS 좌표정보를 상기 위치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상기 위치정보를 요청한 이동통신단말에 대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통신 사용자는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한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하여 통신가능지역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Meanwhile, in the display step S400, whil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turning, a request for location information may be input (S410). That is,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ocated in the shadow area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defective state can input a request for the location information on the communication available area. In this case,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600 may be performed to allow the unmanned aerial vehicle to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mmunicable area to a server on the ground. Specifically,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receives the request signal in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S600, the unmanned aerial vehicle photographs a photograph of a vertical lower portion and extracts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vertical lower portion can do. Thereafter, the photograph and GPS coordinate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transmitted to the server. The server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provide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ing the loc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user can easily move to the communicable area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has received the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무인 비행체 110: 비행제어부
120: 측정부 130: 판별부
140: 선회비행제어부
S100: 비행단계 S200: 측정단계
S300: 판별단계 S400: 표시단계
S500: 재탐색단계 S600: 위치정보 전송단계
100: unmanned aerial vehicle 110: flight control unit
120: measuring unit 130:
140: turning flight control section
S100: flight step S200: measurement step
S300: discrimination step S400: display step
S500: Retrieval step S600: Posi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step

Claims (13)

무인 비행체가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비행단계;
무인 비행체가, 상기 기 설정된 경로 내에 설정된 비행반경 구역 내에 측정지역을 설정하여 통신감도를 측정하는 측정단계;
무인 비행체가,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감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를 판별하는 판별단계; 및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가 통신양호로 판별되면, 무인 비행체가 상기 측정지역의 상공을 선회비행하여, 상기 측정지역이 통신가능지역임을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A flight phase in which an unmanned aerial vehicle follows a predetermined path;
A measurement step of measuring a communication sensitivity by setting a measurement area within a flight radius area set within the predetermined path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 discriminating step of discriminating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by using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of the measurement area; And
And displaying the unmanned aerial vehicle flying over the measurement area so that the measurement area is a communicable area if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is determined to be go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행단계는
복수개의 통신 중계기를 연결하는 경로를 상기 기 설정된 경로로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경로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범위 이내를 상기 비행반경 구역으로 설정하는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Setting a rout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repeaters to the predetermined route and setting the range to be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range based on the set rou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는
상기 측정지역을 상기 무인 비행체의 진행방향에 따라 설정하는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And setting the measurement area according to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air vehic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단계는
무인 비행체가 상기 측정한 통신감도가 증가하는 방향으로 진행방향을 설정하는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measuring step
Where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unmanned air vehicle is se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measured communication sensitivity is increa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단계는
무인 비행체가, 상기 통신감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역에서의 호 밀도(traffic intensity)를 추출하고, 상기 호 밀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를 판별하는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extracts a traffic intensity in the measurement area using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and determines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using the ridge density.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호 밀도가 기 설정된 한계값 이하이면,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를 통신양호로 판별하는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determining that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is good if the rerouting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추출한 호 밀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역에서의 비트오류율(BER: Bit Error Rate)을 계산하고, 상기 비트오류율이 기 설정된 한계오류율 이하이면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를 통신양호로 판별하는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Calculating a bit error rate (BER) in the measurement area using the extracted rerouting, and determining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as a communication good if the bit error rat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error rate Display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무인 비행체가 상기 통신가능지역의 상공을 기 설정된 표시경로에 따라 반복하여 선회비행하는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repeatedly travels over the communication available area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display rout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계는
상기 통신가능지역을 선회비행할 때, 무인 비행체가 표시램프를 발광하는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emits a display lamp when the vehicle is turning over the communication available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가능지역의 통신감도가 낮아지면, 무인 비행체가 상기 선회비행을 중단하고 상기 기 설정된 경로를 따라 비행하는 재탐색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re-searching step of, when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of the communicable area becomes lower, the unmanned air vehicle stopping the turn-over flight and flying along the predetermined route.
제1항에 있어서,
무인 비행체가 상기 통신가능지역에 대한 위치정보를 지상의 서버에 전송하는 위치정보 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가능지역 표시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step in which the unmanned air vehicle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on the communicable area to a server on the groun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전송단계는
무인 비행체가 요청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무인 비행체의 수직하부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는 과정;
무인 비행체의 수직하부에 대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좌표정보를 추출하는 과정; 및
상기 사진 및 GPS 좌표정보를 상기 위치정보에 포함하여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신가능지역 표시 방법.
12.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1, wherein the step
A step of photographing a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whe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receives the request signal;
A process of extractin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coordinate information for a vertical lower portion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nd transmitting the photograph and GPS coordinate information to the server by including the photograph and GPS coordinate information in the position information.
기 설정된 경로 및 비행제어신호에 따라, 비행경로를 설정하는 비행제어부;
상기 비행경로에 따라 측정지역을 설정하고, 측정지역 내의 통신감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감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측정지역의 통신상태가 통신양호로 판별되면, 상기 측정지역의 상공을 선회비행하도록 상기 비행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선회비행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A flight control unit for setting a flight path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route and a flight control signal;
A measurement unit that sets a measurement area according to the flight path and measures communication sensitivity within the measurement area;
A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a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using the communication sensitivity of the measurement area; And
And a turning flight control unit for generating the flight control signal so as to fly over the measurement area if the communication state of the measurement area is determined to be good.
KR1020140190744A 2014-12-26 2014-12-26 Method for notifying communication condition of an area and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he same KR2016007941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744A KR20160079419A (en) 2014-12-26 2014-12-26 Method for notifying communication condition of an area and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0744A KR20160079419A (en) 2014-12-26 2014-12-26 Method for notifying communication condition of an area and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9419A true KR20160079419A (en) 2016-07-06

Family

ID=56502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0744A KR20160079419A (en) 2014-12-26 2014-12-26 Method for notifying communication condition of an area and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941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790A (en) * 2018-04-03 2019-10-1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light route determining aircraft and method thereof using communication stable inform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5790A (en) * 2018-04-03 2019-10-1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light route determining aircraft and method thereof using communication stable inform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61432B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rone user equipment indication
CN108028024B (en) Flying object control device, flight-allowable airspace setting system, flying object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1241969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drive testing and mapping of carrier signals
US1175643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unmanned aerial vehicles
US20230198617A1 (en) Lidar based communication
US8566011B2 (en) Data collection and traffic control using multiple wireless receivers
CN108513640B (en) Control method of movable platform and movable platform
WO2018110382A1 (en) Flying device, flying control device and flying control method
JP6439441B2 (en) Vehicle communication terminal
US1077199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quality of at least one mobile radio network
CN111800205B (en) Unmanned aerial vehicle-mounted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erence signal detection method
JP2018114807A (en) Unmanned flight vehicle and flight system
KR20170056098A (en) Method for calculating relative position of the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UAV and landing guide system for the UAV using the method
CN105807787A (en)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of unmanned aerial vehicle
JP6659055B2 (en) program
KR20180023258A (en) Method and system of autonomous flight for drone
JP6403306B2 (en) system
JP2017091072A (en) Unmanned flying body,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radio wave measurement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KR20160079419A (en) Method for notifying communication condition of an area and unmanned aerial vehicle for the same
JP2016038878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erminal device, and program
CN116612062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for specifying place difficult to distinguish, and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900812B1 (en) Method for controlling movement of drone using low energy bluetooth and appartus for supporting the same
JP6594197B2 (en) Measuring apparatus, measuring method, and program
JP2018037083A (en) Method for providing parameter for obtaining service at service station
JP2022060629A (en) Illegal radio wave transmission source identif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