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8711A - 웨어러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8711A
KR20160078711A KR1020140188714A KR20140188714A KR20160078711A KR 20160078711 A KR20160078711 A KR 20160078711A KR 1020140188714 A KR1020140188714 A KR 1020140188714A KR 20140188714 A KR20140188714 A KR 20140188714A KR 20160078711 A KR20160078711 A KR 20160078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electronic
battery
electronic device
master dev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4618B1 (ko
Inventor
김건년
곽연화
김원효
박광범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88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61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8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5Input arrangements based on nervous system activity detection, e.g. brain waves [EEG] detection, electromyograms [EMG] detection, electrodermal response de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5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ion of battery packs and other power supplies such as fuel cells or integrated AC adap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는 마스터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수용부 - 이때,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제1 배터리를 구비하고 - ; 상기 수용부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밴드영역; 상기 수용부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밴드영역; 생체신호 센싱부; 제2 배터리; 및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 및 상기 제1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2 배터리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신호센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신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웨어러블 전자기기{WEAR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속적으로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구현하기 위한 요소기술들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활용하고자 하는 산업분야는 다양한데,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용도로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활용하고자 하는 분야도 이에 속한다.
지금까지 개발되고 있는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웨어러블 전자기기는 밴드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형태로 구현되고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웨어러블 전자기기는 센싱된 생체신호의 측정값을 외부 서버 혹은 외부 모니터링 디바이스로 전송하여야 한다는 요구에 직면하고 있다. 이에, 외부 서버 혹은 외부 모니터링 디바이스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 기능을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탑재하려는 시도가 이루어 지고 있는데, 실제로 이와 같은 통신 기능이 탑재되게 되는 경우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전체 질량과 부피가 증가되어, 사용자가 스포츠와 같은 운동량이 많은 활동을 하고 있는 중이거나 혹은 수면을 하는 때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여, 실제로 스포츠를 하거나 혹은 수면을 취하려고 할 때,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착용하지 않고 스포츠를 즐기거나 수면을 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가 하루 24시간 늘 착용하고 있도록 하여 생체신호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센싱된 값들을 외부로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마스터 디바이스와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구비하여 보다 더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마스터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수용부 - 이때,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제1 배터리를 구비하고 - ; 상기 수용부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밴드영역; 상기 수용부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밴드영역; 생체신호 센싱부; 제2 배터리; 및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 및 상기 제1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2 배터리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신호센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신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마스터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수용부 - 이때,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제1 배터리를 구비하고 - ; 상기 수용부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밴드영역; 상기 수용부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밴드영역; 생체신호 센싱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제2 배터리; 및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 및 상기 제1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로부터 발생되는 센싱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로부터 발생되는 센싱값을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마스터 디바이스를 연결하거나 연결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생체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한 경우에는 생체신호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착용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의 전원과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마스터 디바이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힘의 세기를 이용하여 힘의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마스터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수용부 - 이때,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제1 배터리를 구비하고 - ; 상기 수용부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밴드영역; 상기 수용부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밴드영역; 생체신호 센싱부; 제2 배터리; 및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 및 상기 제1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2 배터리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신호센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신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상기 제2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원공급인터페이스는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원공급인터페이스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와 연결될 때,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에 구비된 상기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외부의 오브젝트에 의해 한 지점에 가해지는 접촉(contact)의 쉬어포스(shear force)를 검출하는 힘방향 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힘방향 센서부로부터 센싱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벤딩 상태인지 플랫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벤딩 상태인지 플랫 상태인지 여부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어있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배터리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에 더 이상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배터리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에 더 이상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마스터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수용부 - 이때,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제1 배터리를 구비하고 - ; 상기 수용부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밴드영역; 상기 수용부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밴드영역; 생체신호 센싱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제2 배터리; 및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 및 상기 제1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로부터 발생되는 센싱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로부터 발생되는 센싱값을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될 때,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연결되기 전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센싱값들을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메모리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어있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배터리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에 더 이상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배터리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에 더 이상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과 관련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구성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을 먼저하고, 이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구성>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는 마스터 디바이스(100) 및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에 필요한 외부 전자기기와의 통신 기능 및 웨어러블 전자기기(10)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등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등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들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의 생체신호 측정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생체신호 센서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동작에 필요한 메모리, 전원, 제어부 등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100) 및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서로 탈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본체(BD), 터치디스플레이 영역(TD), 림 영역(R),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100), 상기 수용부(1100)의 일측에 제공되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고정되는 매커니즘을 제공하는 고정부(1200), 상기 수용부(1100)의 타측에 제공되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고정되는 매커니즘을 제공하는 돌출부(1300) 및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연결될 수 있는 인터페이싱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170)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본체(BD)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할 제어부(180), 메모리(160), 전원 공급부(190) 등의 구성요소들을 내부에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터치디스플레이 영역(TD)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할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00)는, 상기 수용부(110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연결 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제공되어 있는 소정의 리세스(RC)에 상기 고정부(1200)가 끼워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00)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연결 시, 상기 고정부(120)와 함께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가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일측에 제공되는 홈부(H)에 걸릴 수 있다.
도 1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마스터 디바이스가 수용되는 수용부(2100), 상기 수용부(2100)의 제1 측에 연결되는 제1 밴드영역(BP1), 수용부(210)의 제2 측에 연결되는 제2 밴드영역(BP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2100)에는 상기 슬레일브 디바이스(200)가 동작하는 데 필요한 구성요소들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부(2100)에는, 나중에 후술할, 메모리(210), 전원 공급부(230), 제어부(240), 전원공급인터페이스(240), 생체신호 센싱부(220) 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수용부(2100)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매커니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상기 매커니즘의 제공을 위하여, 상기 수용부(2100)의 일면의 일측에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고정부(1200)를 수용할 수 있는 리세스(RC)가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수용부(2100)의 일면의 타측에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돌출부(1300)가 걸릴 수 있는 홈부(H)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 상기 제2 밴드영역(BP2)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가 사용자 신체의 일부(예를 들어, 손목, 팔뚝, 발목, 허벅지 등)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써 기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밴드영역(BP1)의 타단(즉, 상기 수용부(210)와 연결되어 있는 일단이 아닌 다른 일단)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의 타단(즉, 상기 수용부(210)와 연결되어 있는 일단이 아닌 다른 일단)이 서로 연결되어, 사용자 신체의 일부에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제1 밴드영역(BP1)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이 서로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지 않고, 서로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 밴드영역(BP1)과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밴드영역(BP1,BP2)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용자 입력부(130), 특히 터치 패드 혹은 힘방향 센서부(250)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생체신호 센싱부(220)는,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측정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생체신호 센싱부(220)는,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220)는, 상기 수용부(210)를 관통하는 홀(220)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220)의 일단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으며,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220)의 타단은,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가 서로 연결될 때,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220)의 타단은,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인터페이스부(17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220)는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220)는 제1 생체신호를 센싱하기 위한 제1 생체신호 센싱부 제2 생체신호를 센싱하기 위한 제2 생체신호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홀(2200)에 제1 생체신호 센싱부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제2 생체신호 센싱부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10)를 구성하는 마스터 디바이스(100) 및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마스터 디바이스>
먼저, 마스터 디바이스(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마스터 디바이스(10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마스터 디바이스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마스터 디바이스(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WiHD, WiGig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개체)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웨어러블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10), 마스터 디바이스(100) 및/또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는, 터치(touch) 및/또는 접촉(contact)의 힘방향(force direction)을 감지할 수 있는 힘방향 센서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는 일반적인 터치 스크린 및/또는 터치 패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터치 및/또는 접촉의 위치를 감지하는 기능에 더하여, 특히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force direction)을 더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언급하는 힘방향이라 함은, 종래의 터치 센서에 의해서는 검출될 수 없었던, 터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shear force)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힘방향 센서부(131)는, 단순히 터치면에 대한 수직방향의 힘 방향 뿐만이 아니라, 터치면에 대해 평행하게 작용하고 있는 전단력의 방향까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는 종래의 터치 스크린에 대하여 일체형 형태로 제작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본 발명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151)를 감싸는 외곽의 림(rim)의 전체 또는 일부에 별도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림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힘방향 센서부(131)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나중에 후술하기로 한다.
센싱부(140)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방위,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자세감지센서(141) 및/또는 근접센서(142)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대한 센싱값 혹은,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기초한 특정 이벤트의 알람, 사용자의 생체신호에 대한 분석 결과 등에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디바이스(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부(151)는 논리적으로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전자기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센서(14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센서(142)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센서(142)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센서(142)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센서, 정전용량형 근접센서, 자기형 근접센서, 적외선 근접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그러나, 터치를 근접 터치와 접촉 터치로 구별하여 설명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터치’ 또는 ‘터치 입력’이라 함은, 근접 터치에 의한 입력 및 접촉 터치에 의한 입력 모두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근접센서(142)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마스터 디바이스(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사용자 생체신호에 대한 경고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생체신호 센싱값에 기초하여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였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도 있을 것이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환, 메모리부(16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생체신호 센싱값들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마스터 디바이스(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마스터 디바이스(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연결될 수도 있다. 즉,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는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와 연결될 때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로 전원을 공급하는 통로가 되거나,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로부터 생체신호 센싱값들을 수신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전자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송신하거나 수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스터 디바이스(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가 연결되었을 때,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제어부를 대신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동작까지 총괄/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전원 공급부(19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연결된 경우, 전원 공급부(19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전원 공급부를 충전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생체신호 센싱부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에 따라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100)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 공급부(190)를 제1 배터리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련된 슬레이브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메모리(210), 생체신호 센싱부(220), 힘방향 센서부(250), 연결감지센서(260), 인터페이스부(240), 전원공급부(230) 및 제어부(2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슬레이브 디바이스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메모리(21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0)는, 이하에서 설명할 생체신호 센싱부(220)를 통해 센싱된 생체신호의 센싱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2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21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생체신호 센싱부(220)는, 사용자의 다양한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생체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생체신호 센싱부(22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홀(220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으며, 측정하고자 하는 생체신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생체신호 센싱부를 복수개 구비하고 있을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측정하길 원하는 생체신호의 종류에 따라 그에 적합한 생체신호 센싱부를 그때마다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힘방향 센서부(25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밴드영역들(BP1,BP2)에 제공될 수 있다. 힘방향센서부(250)는 특히,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와 같이, 터치면에 접촉되는 터치입력의 터치면에 대한 전단력(shear force)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써, 힘방향 센서부(250)를 통하여, 일반적인 터치입력 뿐만 아니라, 터치입력의 전단력의 방향/세기 등까지 모두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의하면, 힘방향 센서부(250)가 밴드영역들(BP1,BP2)에 제공됨으로써, 다양한 터치입력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조작이 가능해질 수 있다.
한편, 힘방향 센서부(250)는, 벤딩 센서로써 기능할 수 있다.
벤딩센서는 상기 제1 밴드영역(BP1) 및/또는 상기 제2 밴드영역(BP2)이 '벤딩 상태(bending state)'인지 '플랫 상태(flat state)'인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벤딩 상태'라 함은, 밴드영역(BP1,BP2)이 사용자에게 완전히 착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을 만큼 밴드영역(BP1,BP2)이 구부러져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플랫 상태'라 함은, 밴드영역(BP1,BP2)이 완전히 펴져있는 상태를 포함하여, 상기 밴드영역들(BP1,BP2)이, 사용자에게 완전히 착용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을 정도로, 약간 구부러져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벤딩센서는 밴드영역들이 구부러져 있는 정도를 센싱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져 있는 기준에 기초하여, 상기 밴드영역들이 '벤딩 상태'인지 '플랫 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힘방향 센서(250)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표면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는데, 힘방향 센서(250)를 밴드영역(BP1,BP2)에 배치하게 되면, 밴드영역(BP1,BP2)이 벤드되는 정도에 따라, 밴드영역(BP1,BP2)의 표면에 가해지는 스트레인을, 힘방향 센서(250)를 통해 감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힘방향 센서(250)를 활용하여, 밴드영역(BP1,BP2)이 '벤딩 상태'인지 '플랫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연결감지센서(260)는, 밴드영역들(BP1,BP2)의 일단에 제공되어 제1 밴드영역(BP1)과 제2 밴드영역(BP2)이 서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인터페이스부(24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가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연결되어 정보 및/또는 전원을 서로 주고받을 수 있는 구성이다. 특히, 인터페이스부(240)는 전원공급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전원공급인터페이스는 유선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무선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전원공급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연결될 때, 상기 제1 배터리(1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240)는, 전술한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인터페이스부(170)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23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원공급부(230)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연결 여부에 따라,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구성요소들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3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230)를 마스터 디바이스(100)에 구비되는 전원공급부(190)와 구별하기 위하여, 제2 배터리(230)라고 할 수 있다.
제어부(27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한편, 제어부(27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하나, 만약 마스터 디바이스(100)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가 서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27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총괄하는 제어권을 잃어버릴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총괄하는 제어권은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180)가 획득하여,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제어부가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동작을 총괄할 수 있게 된다.
<힘방향 센서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관련된 힘방향 센서부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미 설명한 바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언급하는 힘방향이라 함은, 종래의 터치 센서에 의해서는 검출될 수 없었던, 터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전단력(shear force)을 포함한다. 즉, 상기 힘방향 센서부는, 외부 오브젝트의 터치 및/또는 접촉 시, 상기 터치 및/또는 접촉에 의해 터치면에 발생하는 전단력까지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힘방향 센서부는 힘방향을 센싱하기 위한 단위 센서(Unit Sensor)로 구성된 센서 어레이(sensor array, S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방향 센서부는, 힘방향을 센싱하고자 하는 영역에 센서 어레이(SA)들을 배치함으로써, 센서 어레이(SA)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이 발생한 경우, 상기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즉, 전단력의 방향)을 감지해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센서 어레이(SA)는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을 센싱하고자 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종래의 터치 입력과 해당 터치의 힘방향을 결합하여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사용하고자 할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센서 어레이(SA)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디스플레이(151) 영역(즉, 터치 스크린 영역)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마스터 디바이스(100)는 터치 스크린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터치 입력에 대한 정보와 상기 센서 어레이(SA)의 집합체인 상기 힘방향 센서부로부터 도출되는 힘방향 정보를 함께 결합하여 마스터 디바이스(100)에 동작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다른 예를 들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상기 밴드 영역(BP1,BP2)에 상기 센서 어레이(SA)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밴드 영역(BP1,BP2)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에 대해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는 마스터 디바이스(100) 및/또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동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또 다른 예를 들어,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상기 림 영역(R)에 센서 어레이(SA)를 배치시킴으로써, 상기 림 영역(R)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에 대해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는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동작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힘방향 센서부는, 상기 센서 어레이(SA)가 제공된 영역에 의하여 결정되는 힘방향 센싱영역(force direction detecting area, FDDA)에 대한 터치 및/또는 접촉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힘방향 센서부는, 상기 힘방향 센싱영역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접촉 여부, 접촉 위치, 접촉 시의 힘의 세기(즉,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세기(force intensity) 및 힘의 방향(즉, 터치 및/또는 접촉의 힘방향) 중에서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힘방향 센서부에 포함된 상기 센서 어레이(SA)의 센서 각각은, 해당 센서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의 접촉 여부, 접촉 위치, 접촉 시의 힘의 세기 및 힘의 방향 중에서 하나 이상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힘방향 센서부에 의해 검출된 터치 영역의 일 지점에 대한 접촉 여부, 접촉 위치, 접촉 시의 힘의 세기 및 힘의 방향 중 하나 이상에 대응하는 정보는 제어부(180) 및/또는 별도로 제공되는 터치 이벤트 처리 모듈(도면 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 및/또는 상기 터치 이벤트 처리 모듈은, 상기 힘방향 센싱 영역 내의 터치 및/또는 접촉을 감지한 지점에 대하여 일정 면적을 갖는 접촉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접촉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다수 감지점(예를 들어, 상기 센서 어레이(SA)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센서가 배치된 지점)의 힘의 세기를 비교하여, 상기 지점에 대하여 가해지는 힘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이벤트 처리 모듈에 의한 힘의 방향 결정은, 도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서, 힘의 세기를 이용하여 힘의 방향을 검출하는 과정의 일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 및/또는 상기 터치 이벤트 처리 모듈은 상기 접촉 영역(TA)에 포함된 다수의 감지점에서 검출된 힘의 세기 분포에 따라서 힘의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데, 특히, 상기 접촉 영역(Touch Area, TA)의 중앙(O)을 기준으로 가장 큰 힘의 세기가 검출된 감지점의 방향을 상기 힘의 방향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힘방향 센싱 영역(FDDA)의 일 지점에 대한 외부 오브젝트(OB)의 터치 및/또는 접촉이 이루어지면, 상기 힘방향 센싱 영역(FDDA)의 표면과 외부 오브젝트(OB)가 접촉한 지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는 접촉 영역(TA)이 설정되거나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영역(TA)은 상기 일 지점의 특정 좌표(예를 들어, 중심 좌표)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면적의 범위로 설정되거나, 상기 힘방향 센싱 영역(FDDA)에 포함된 다수의 감지점 중에서 사용자 접촉을 감지한 다수의 인접한 감지점을 연결하여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 또는 추출된 접촉 영역(TA)의 다수 감지점에서 검출된 힘의 세기(F1~F5)를 검출한다. 사용자가 접촉 영역(TA) 중 힘을 가하는 방향의 감지점에서 더 힘의 세기가 크게 검출될 수 있다.
상기 접촉 영역(TA)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다수의 감지점 중에서 가장 힘의 세기가 큰 감지점의 방향이 상기 접촉 영역(TA)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FD)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단력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접촉 영역(TA)의 중심점으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다수의 감지점 중에서 가장 힘의 세기가 큰 감지점에서의 힘의 크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힘의 세기가 가장 큰 감지점에서의 힘의 크기를 전단력의 세기로 간주할 수 있으며, 다른 예를 들어, 힘의 세기가 가장 큰 감지점에서의 힘의 크기와 힘의 세기가 가장 작은 감지점에서의 힘의 크기의 차이를 해당 포인트에서의 전단력의 세기로 간주할 수 있다.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 -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즉,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수용부(210)에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장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100).
만약, 단계 S100의 판단 결과,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수용부(210)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구비되어 있는 제2 배터리(230)로부터 생체신호 센싱부(22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2 배터리(230)를 제어할 수 있다(S110).
반면, 단계 S100의 판단 결과,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구비되어 있는 제2 배터리(230)로부터 생체신호 센싱부(220)로 전원을 공급하는 대신 마스터 디바이스(100)에 구비되어 있는 제1 배터리(1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220)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제2 배터리 및 제1 배터리(1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인터페이스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S120). 아울러,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제1 배터리(1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2 배터리(230)를 충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배터리(230)를 제어할 수 있다(S130).
제1 배터리(1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2 배터리(230)를 충전하는 방식은 무선충전 방식이 채택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인터페이스부(240)는 무선충전을 위한 모듈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제1 배터리(19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제2 배터리(230)를 충전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유선충전방식이 채택될 수도 있다.
한편,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제1 밴드영역(BP1) 및 제2 밴드영역(BP2)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제1 밴드영역(BP1) 및 제2 밴드영역(BP2)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지 않는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예를 들어, 밴드영역(BP1,BP2)에 구비되어 있는 힘방향 센서(250)를 통하여, 상기 밴드영역들(BP1,BP2)가 벤딩 상태인지 플랫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밴드영역들(BP1,BP2)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다른 예를 들어, 밴드영역(BP1,BP2)들의 일단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는 연결감지센서(260)를 통하여 상기 밴드영역들(BP1,BP2)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상기 밴드영역들(BP1,BP2)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220)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수용부(210)에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100)의 제1 배터리(190)로부터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220)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수용부(210)에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제2 배터리(230)로부터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220)로 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생체신호 센싱부(220)는 웨어러블 전자기기(1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있는 경우에만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센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사용자에게 웨어러블 전자기기(10)가 착용되지 않은 경우에도 생체신호 센싱부(22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크기의 제한 때문에 상대적으로 용량이 크지 않는 제1 배터리(190) 혹은 제2 배터리(230)의 전원을 무의미하게 소비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더 효율적인 전원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만,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필요에 따라,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구비되어 있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최소한의 전원을 공급하여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싱값들을 생선하는 센서들(예를 들어, 힘방향 센싱부(250) 혹은 연결감지센서(260) 등)에는 최소한의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따라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제1 배터리(190) 혹은 제2 배터리(2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최소한의 전원을 필요한 구성요소들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수용부(210)에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장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200).
만약, 단계 S200의 판단 결과,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수용부(210)에 연결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생체신호 센싱부(220)를 통해 측정된 생체신호 센싱값을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S210).
반면, 단계 S200의 판단 결과,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생체신호 센싱부()를 통해 측정된 생체신호 센싱값을 마스터 디바이스(100)로 바로 전송할 수 있다(S220). 이때,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생체신호 센싱값을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구비되어 있는 메모리(210)에 저장하지 않고 바로 마스터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메모리(210)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배터리(230)로부터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나, 만약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상기 수용부(21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다.
그러나, 만약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메모리(210)에 생체신호 센싱값 이외의 다른 정보들이 저장되도록 슬레이브 디바이스(200)가 설계된 경우라면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수용부(21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도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메모리(210)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즉,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메모리(210)에는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다른 동작에 필요한 다른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에 구비된 메모리(210)에는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이때, 만약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수용부(2100)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라면, 제1 배터리(190)로부터 메모리(21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으며,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수용부(2100)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라면, 제2 배터리(230)로부터 메모리(210)이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연결되어 있지 않는 동안 메모리(210)에 저장되어 있던 생체신호 센싱값을,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연결되면, 마스터 디바이스(100)로 즉시 저장되어 있던 생체신호 센싱값을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바와 같이, 슬레이브 디바이스(200)는, 마스터 디바이스(100)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값을 슬레이브 디바이스(200)의 메모리(210)에 저장하는 대신 바로 마스터 디바이스(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웨어러블 전자기기
100: 마스터 디바이스
200: 슬레이브 디바이스
TD: 터치디스플레이
R: 림(rim)
BD: 본체
BP1: 제1 밴드영역
BP2: 제2 밴드영역
220: 생체신호 센서

Claims (17)

  1.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있어서,
    마스터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수용부 - 이때,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제1 배터리를 구비하고 - ;
    상기 수용부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밴드영역;
    상기 수용부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밴드영역;
    생체신호 센싱부;
    제2 배터리; 및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 및 상기 제1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제2 배터리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신호센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대신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터리로부터 상기 제2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인터페이스는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인터페이스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와 연결될 때,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에 구비된 상기 인터페이스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 중 적어도 하나에 외부의 오브젝트에 의해 한 지점에 가해지는 접촉(contact)의 쉬어포스(shear force)를 검출하는 힘방향 센서부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힘방향 센서부로부터 센싱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벤딩 상태인지 플랫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벤딩 상태인지 플랫 상태인지 여부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어있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배터리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에 더 이상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배터리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에 더 이상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11.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있어서,
    마스터 디바이스와 연결되는 수용부 - 이때,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인터페이스부 및 제1 배터리를 구비하고 - ;
    상기 수용부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밴드영역;
    상기 수용부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밴드영역;
    생체신호 센싱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제2 배터리; 및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 및 상기 제1 배터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로부터 발생되는 센싱값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로부터 발생되는 센싱값을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될 때,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연결되기 전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센싱값들을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마스터 디바이스가 상기 수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어있는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배터리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에 더 이상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영역 및 상기 제2 밴드영역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배터리는,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에 더 이상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신호 센싱부는,
    상기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착탈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KR1020140188714A 2014-12-24 2014-12-24 웨어러블 전자기기 KR102064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714A KR102064618B1 (ko) 2014-12-24 2014-12-24 웨어러블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714A KR102064618B1 (ko) 2014-12-24 2014-12-24 웨어러블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711A true KR20160078711A (ko) 2016-07-05
KR102064618B1 KR102064618B1 (ko) 2020-01-10

Family

ID=56501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714A KR102064618B1 (ko) 2014-12-24 2014-12-24 웨어러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6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103B1 (ko) * 2018-01-19 2019-04-16 주식회사 리베스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결합이 가능한 충전 보조 기구
US10971938B2 (en) 2017-01-26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osens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21164248A (ja) * 2020-03-31 2021-10-11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CN114730203A (zh) * 2021-07-21 2022-07-08 香港应用科技研究院有限公司 可穿戴电子设备
KR20230023862A (ko) * 2021-08-10 2023-02-20 박종국 손목 밴드형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 추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734A (ko) 2021-02-10 2022-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생체정보 측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37621A1 (en) 2013-05-07 2014-11-13 Serguei Nakhimov Wearable communication device, security complex and user interface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71938B2 (en) 2017-01-26 2021-04-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biosens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969103B1 (ko) * 2018-01-19 2019-04-16 주식회사 리베스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결합이 가능한 충전 보조 기구
WO2019143106A1 (ko) * 2018-01-19 2019-07-25 주식회사 리베스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결합이 가능한 충전 보조 기구
CN111630747A (zh) * 2018-01-19 2020-09-04 理百思特有限公司 能够与可穿戴设备耦合的充电辅助设备
JP2021511772A (ja) * 2018-01-19 2021-05-06 リベス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Libest Inc.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と結合可能な充電補助機器
JP2021164248A (ja) * 2020-03-31 2021-10-11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充電装置及び充電方法
CN114730203A (zh) * 2021-07-21 2022-07-08 香港应用科技研究院有限公司 可穿戴电子设备
CN114730203B (zh) * 2021-07-21 2024-02-20 香港应用科技研究院有限公司 可穿戴电子设备
KR20230023862A (ko) * 2021-08-10 2023-02-20 박종국 손목 밴드형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 추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618B1 (ko)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4618B1 (ko) 웨어러블 전자기기
KR102295668B1 (ko) 도전성 경로를 가지는 지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3472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9787818B2 (en) 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and server
KR102507744B1 (ko) 웨어러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P3078137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of data transfer in local area network
KR20150140021A (ko)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0327715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of peripheral device
US1118915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disabling sleep alarm based on automated wake detection
KR20160035394A (ko) 센서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105323337A (zh) 手表式移动终端
US20180220923A1 (en) Watch-type terminal
KR20150009013A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CN113892920B (zh) 可穿戴设备的佩戴检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170033025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제어 방법
KR20180059191A (ko) 전자 장치, 외부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와 외부 전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방법
KR20150120101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 전원 공급 방법
KR2015001602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EP3504584B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KR101988310B1 (ko) 정전식 스타일러스 펜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582266B1 (ko)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모바일 기기에서의 정보 표시 제어 방법
KR101671064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50110092A (ko)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알람 및 모닝콜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582426B1 (ko) 와치 타입의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7437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