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8544A - 산업 현장에서 위치 기반의 산업 안전 정보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산업 현장에서 위치 기반의 산업 안전 정보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8544A
KR20160078544A KR1020140187795A KR20140187795A KR20160078544A KR 20160078544 A KR20160078544 A KR 20160078544A KR 1020140187795 A KR1020140187795 A KR 1020140187795A KR 20140187795 A KR20140187795 A KR 20140187795A KR 20160078544 A KR20160078544 A KR 20160078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strial
information
safety information
safety
industrial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우
정하중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87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8544A/ko
Publication of KR20160078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산업 현장에서 위치 기반의 산업 안전 정보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에서의 안전 정보를 중앙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산업 현장에서의 위험 정보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어,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한 근무환경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위치를 실내/외에서 실시간으로 수집 가능하므로, 산업 현장에서의 위험 상황 발생시 초동 대응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산업 현장에서 위치 기반의 산업 안전 정보 서비스 방법{Method for Industrial Safety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Location in Industrial Site}
본 발명은 산업 안전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 현장에서 필요한 산업 안전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산업용 단말에 관한 것이다.
플랜트 및 화학 물품 등을 취급하는 산업 현장에서는 다수의 환경 정보 수집 센서들을 이용하여 수집된 정보를 작업 작업자에게 제공함에 있어서는 확성기 및 점멸기와 같은 일차원적인 도구들만이 이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즉, 산업 현장에는 작업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수집 센서와 감시 시스템을 설치하고, 중앙에 있는 관리자가 이런 정보를 수집 받아 알람을 울리거나 사용자를 대피시키는 등의 작업을 수행하는 구조이다.
최근 안전에 대한 높은 관심에 따라 사용자 또는 작업자에게 해당 지역의 위험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보안 및 안전 시설물을 다수 취급하는 장소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러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적극적으로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에 대한 산업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용 단말를 통해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에 대한 안전 정보를 산업용 단말를 통해 제공하는 산업 현장에서의 위치 기반 산업 안전 정보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외부 기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중앙 서버와 통신 연결하는 통신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에서의 안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획득된 안전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위치 정보는, 산업 현장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산업 현장에서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기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전 정보는, 위험 정보 및 위험 대처 방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은, 상기 위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산업 현장의 관리에 이용되는 단말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업 안전 서비스 방법은, 외부 기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서의 안전 정보를 중앙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안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산업용 단말를 통해 작업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산업 현장에서의 위치 기반 산업 안전 정보 서비스를 통해, 파악된 위치에 대한 안전 정보를 산업용 단말를 통해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작업자가 산업 현장에서의 위험 정보를 사전에 인지할 수 있어,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의 안전한 근무환경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위치를 실내/외에서 실시간으로 수집 가능하므로, 산업 현장에서의 위험 상황 발생시 초동 대응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산업 안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위치정보 제공장치의 실물과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다양한 산업용 단말을 예시한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단말의 상세 블럭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업 현장 안전 정보 서비스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산업 안전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산업 안전 시스템은, 위치정보 제공장치들(10), 산업용 단말(100) 및 중앙 서버(50)를 포함하여 구축된다.
위치정보 제공장치들(10)은 산업 현장의 곳곳에 설치되어, 주기적으로 비콘(Beacon)을 브로드캐스트한다. 위치정보 제공장치(10)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되는 비콘에는 위치정보 제공장치(10)의 위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도 2에는 위치정보 제공장치(10)의 실물과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에 제시된 형태와 설치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 도시된 바와 다르게 형태와 설치 방식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산업용 단말(100)은 산업 현장에서 근무하는 근무자 또는 산업 현장의 관리자가 휴대하는 단말이다. 산업용 단말(100)은 재고 관리, 시설물 관리, 제조 관리 등을 위한 프로그램과 기능을 제공하며, Handheld Device, Rugged Devic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산업용 단말(100)은, 도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산업용 단말(100)은 위치정보 제공장치들(10)이 브로드캐스트하는 비콘들을 수신하여, 비콘들에 포함된 위치정보들로부터 자신의 위치를 파악한다. 그리고, 산업용 단말(100)은 파악된 자신의 위치를 중앙 서버(50)에 전송하여, 자신의 위치를 알린다.
중앙 서버(50)는 산업 현장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들(미도시)로부터 센서 데이터를 수집하여, 산업 현장에 대한 안전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중앙 서버(50)는 세부 구역 별로 안전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안전 정보에는 해당 구역에서의 위험 정보는 물론, 위험 대처 방안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위험 정보'가 "화학 물질 유출"인 경우, '위험 대처 방안'은 "안전 마스크 착용"일 수 있다.
한편, 산업용 단말(100)로부터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중앙 서버(50)는 산업용 단말(100)이 위치하고 있는 구역의 위험 정보와 위험 대처 방안을 검색하여, 산업용 단말(100)에 제공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작업자나 관리자)가 산업 현장의 특정 구역에 진입하거나 다른 구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경로에 따라 중앙 서버(50)가 산업용 단말(100)을 통해 해당 구역의 위험 정보와 위험 대처 방안 등을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 도 1에 도시된 산업용 단말(100)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단말의 상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단말(1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부(110), 디스플레이(120), 제어부(130), 조작부(140) 및 스피커(15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위치정보 제공장치(10) 및 중앙 서버(5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에, 통신부(110)는 위치정보 제공장치(10)가 브로드캐스트하는 비콘을 수신하며, 중앙 서버(50)에 위치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안전정보를 수신한다.
디스플레이(120)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수단이고, 스피커(150)는 정보를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수단이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안전정보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한다. 경우에 따라, 안전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위험정보가 매우 중대한 것인 경우, 제어부(130)는 위험정보를 스피커(150)를 통해 출력한다.
조작부(14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 제어부(130)는 조작부(14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도 4에 도시된 산업용 단말(100)을 통해 산업 현장의 안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산업 현장 안전 정보 서비스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산업용 단말(100)의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위치정보 제공장치(10)로부터 위치정보가 포함된 비콘을 수신하면(S210), 수신한 위치정보 또는 그로부터 계산한 위치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중앙 서버(50)에 전송한다(S220).
이에, 중앙 서버(50)는 S220단계에서 수신한 위치정보에서의 안전정보를 위치정보 제공장치(10)에 제공한다(S230).
그러면, 산업용 단말(100)의 제어부(130)는 S230단계를 통해 수신된 안전 정보를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표시하여(S240),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지금까지, 산업 현장 안전 정보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수행할 수 있는 산업용 단말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위 실시예에서는, 산업용 단말(100)을 통해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상정하였는데, 산업용 단말(10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든 일 예에 불과하다. 다른 종류의 모바일 단말로 대체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산업 현장 안전 시스템에서 위치정보 제공장치들(10)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산업용 단말(100)은 GPS, 이동통신망, AP 등을 통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산업 현장이 실외인 경우는 물론 실내인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위치정보 제공장치
50 : 중앙 서버
100 : 산업용 단말

Claims (6)

  1. 외부 기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중앙 서버와 통신 연결하는 통신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에서의 안전 정보를 상기 중앙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획득된 안전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는, 산업 현장에서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고,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산업 현장에서 주기적으로 위치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 정보는,
    위험 정보 및 위험 대처 방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위험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은,
    산업 현장의 관리에 이용되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
  6. 외부 기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위치 정보에서의 안전 정보를 중앙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단계에서 획득된 안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산업 안전 서비스 방법.
KR1020140187795A 2014-12-24 2014-12-24 산업 현장에서 위치 기반의 산업 안전 정보 서비스 방법 KR20160078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795A KR20160078544A (ko) 2014-12-24 2014-12-24 산업 현장에서 위치 기반의 산업 안전 정보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795A KR20160078544A (ko) 2014-12-24 2014-12-24 산업 현장에서 위치 기반의 산업 안전 정보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544A true KR20160078544A (ko) 2016-07-05

Family

ID=56501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795A KR20160078544A (ko) 2014-12-24 2014-12-24 산업 현장에서 위치 기반의 산업 안전 정보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85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158B1 (ko) * 2017-12-01 2018-08-07 김동관 IoT기반의 현장안전관리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621A (ko) * 2010-03-31 2011-10-06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5950B1 (ko) * 2011-06-13 2013-05-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기반 건설 현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62584A (ko) * 2011-12-05 2013-06-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및 해양 설비 내의 위험지역 경고시스템
KR20140135914A (ko) * 2013-05-16 2014-11-27 앤하이브 주식회사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621A (ko) * 2010-03-31 2011-10-06 (주)티엘씨테크놀로지 안전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55950B1 (ko) * 2011-06-13 2013-05-02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기반 건설 현장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30062584A (ko) * 2011-12-05 2013-06-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및 해양 설비 내의 위험지역 경고시스템
KR20140135914A (ko) * 2013-05-16 2014-11-27 앤하이브 주식회사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6158B1 (ko) * 2017-12-01 2018-08-07 김동관 IoT기반의 현장안전관리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228B1 (ko) Iot기반 건설현장 실시간 위치추적 및 영상 안전관제 시스템
KR101570640B1 (ko)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한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의 원격 감시 시스템
WO2018208046A3 (ko) Ble 비콘 기반 항만 출입 차량 관리와 위치 추적 스마트 포트 시스템
US9460625B2 (en) Proxy DSRC basic safety message for unequipped vehicles
KR102072380B1 (ko) Uwb 초광대역통신기반의 접근경보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중장비 안전 원격관제시스템
KR102238775B1 (ko) 전자 장치에서 증강 현실을 이용한 장비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70006095A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3925B1 (ko) 스마트 안전 관리 서비스 시스템
KR101965158B1 (ko) 실시간 작업자 위치 및 신체 상태 추적 기반의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645139B1 (ko) 작업현장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628265B1 (ko)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콜 서비스 시스템
KR20190013237A (ko) 도로공사 현장의 안전관리정보제공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643263B1 (ko) 휴대용 비컨을 이용한 안전관리 시스템
KR20140144082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12048A (ko) 비콘을 이용한 건설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CN105184522A (zh) 一种变电站巡检越位告警系统及告警方法
KR20180031908A (ko) Rfid 기반의 통합 안전관리 시스템
KR20160059105A (ko) 산업현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1490373B1 (ko) 건설현장 및 산업현장의 작업인력 재해 인식 안전 단말기 및 안전 관리 시스템
KR200434811Y1 (ko) 유비쿼터스 통신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산업재해 예측솔루션
CN103781019B (zh) 提供区域保护的方法和装置
KR101608202B1 (ko) 카메라를 이용한 현장 감시 방법 및 장치
KR20160096962A (ko) 산업현장 작업자 위치 추적 기반 재난안전 통합 시스템
KR20160078544A (ko) 산업 현장에서 위치 기반의 산업 안전 정보 서비스 방법
KR20230033764A (ko) 건축물에 사용되는 비계장치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