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467A -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 Google Patents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467A
KR20160077467A KR1020140187092A KR20140187092A KR20160077467A KR 20160077467 A KR20160077467 A KR 20160077467A KR 1020140187092 A KR1020140187092 A KR 1020140187092A KR 20140187092 A KR20140187092 A KR 20140187092A KR 20160077467 A KR20160077467 A KR 20160077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payment
module
code valu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40187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7467A/ko
Publication of KR20160077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4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1Price look-up processing, e.g. 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Abstract

본 발명은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를 구비를 구비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을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작된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금액을 입력받기 위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시 또는 후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인식된 코드 값이 특정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는 코드 값인지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특정한 사운드모듈의 코드 값으로 인증 시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코드 값을 인식한 단말기의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상기 결제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Method for Providing Site Payment by using Sound}
본 발명은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를 구비한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소정의 결제금액을 입력받고,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특정 가맹점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의 코드 값으로 매칭 인증되면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상기 결제금액을 이용하여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서비스를 구매하고 구매대금을 지불하는 방식은, 현금을 이용하여 지불하는 현금결제 방식과 사용자가 소지한 전자결제수단(예컨대,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등)을 매장의 단말장치(예컨대, POS단말 등)에 인식시켜 결제하는 전자결제 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한편 상기 현금결제를 위해서는 가맹점의 매장에 별도의 단말장치가 구축되지 않아도 무방하나, 상기 전자결제를 위해서는 가맹점의 매장에 전자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반드시 있어야만 결제가 가능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폰이 활성화되면서,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구매한 상품/서비스의 구매대금을 지불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구매대금을 지불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맹점 단말장치(또는 가맹점의 서버)로부터 결제금액과 가맹점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달해야만 결제가 가능했으며, 이와 같은 결제를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가맹점에 가맹점 단말장치(또는 가맹점의 서버)와 같은 가맹점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어야만 결제가 가능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한편 사용자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매장의 구매대금을 지불하는 다른 방식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바코드 등의 식별코드를 표시하고, 이를 가맹점 단말장치를 통해 인식하는 방식과, 사용자의 단말기와 가맹점의 단말장치가 근접 통신을 통해 상호 작용하는 방식 등이 제안되기도 했는데, 이와 같은 결제를 위해서도 반드시 해당 가맹점에 가맹점 단말장치와 같은 가맹점 시스템이 있어야만 결제가 가능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를 구비한 사용자의 단말기를 통해 소정의 결제금액을 입력받고, 상기 단말기의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인식된 코드 값이 특정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을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과 매칭되는지 인증 처리하여 인증된 경우에 상기 입력받은 결제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은,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를 구비를 구비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을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작된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금액을 입력받기 위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시 또는 후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인식된 코드 값이 특정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는 코드 값인지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특정한 사운드모듈의 코드 값으로 인증 시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코드 값을 인식한 단말기의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상기 결제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전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시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 하나 이상의 사운드모듈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식별정보 중 어느 한 사운드모듈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은, 상기 선택된 사운드모듈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시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 중 수신 신호 강도가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하나 이상의 사운드모듈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식별정보 중 어느 한 사운드모듈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은, 상기 선택된 사운드모듈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시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 중 수신 신호 강도가 가장 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결제금액을 지정된 계좌로 입금하기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계좌는,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위해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결제금액을 관리하는 사업자의 계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계좌는,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위해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결제금액을 관리하는 사업자의 계좌를 모계좌로 하는 가상계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지정된 계좌로 입금된 후에 상기 결제금액 중 상기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을 지정 입력받기 위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불금액 입력 시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 하여 인식된 코드 값이 특정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는 코드 값인지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수행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특정한 사운드모듈의 코드 값으로 인증 시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코드 값을 인식한 단말기의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상기 결제금액 중 상기 입력된 지불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후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을 특정한 가맹점의 사운드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는 코드 값으로 인증 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가맹점의 계좌로 상기 결제금액을 입금하기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금액은, 상기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금액은, 상기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 이상의 금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금액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임의의 금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금액은, 상기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 중 일부의 금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절차는, 결제 시스템 상의 지정된 저장수단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 정보를 추출하여 결제에 이용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단말기의 지정된 저장수단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 정보를 추출하여 결제에 이용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단말기와 인터페이스 가능한 사용자의 매체로부터 독출 가능한 사용자의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 가능한 사운드모듈에서 출력 가능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코드 값은, 상기 사운드모듈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 상기 사운드모듈에 통해 생성된 일회용코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절차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활성화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절차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 가능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절차는,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지정된 인증모듈로 제공하여 인증 요청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특정한 사운드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는 코드 값으로 인증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특정한 사운드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는 코드 값으로 인증하는 절차와 연계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특정한 사운드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는 코드 값으로 인증된 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는,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 절차와 분리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는,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 절차와 연계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은,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를 구비를 구비한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을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작된 사운드모듈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사운드 입력부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코드 값이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특정한 사운드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는 코드 값으로 인증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모듈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결제금액을 확인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특정한 사운드모듈의 코드 값으로 인증 시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을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결제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여 상품/서비스를 구매하고 구매대금을 지불결제 시 상기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와 상호 작용하기 위한 고가의 가맹점 단말장치나 서버 등과 같은 가맹점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지 않더라도, 단지 가맹점에서 사용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와 통신 가능한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것만으로 오프라인 매장의 지불결제를 처리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운드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모듈에 대한 인증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을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결제금액을 입력받아 결제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지불금액을 입력받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인식모듈을 통해 사운드모듈의 코드 값을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모듈의 코드 값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불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불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불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지불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지불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지불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해 소정의 결제금액을 입력받고,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수신된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을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인식된 코드 값이 특정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인지 인증 처리하여 인증된 경우에 상기 결제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시스템의 기능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물리적 시스템 구성은,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을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는 사운드모듈(300)과, 상기 사운드모듈(300)과 사운드 신호를 송수신하는 사운드 입력부(210)를 구비하고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을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한 사운드모듈(300)을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사운드모듈(300)의 유효성이 인증되게 처리한 후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인증 결과를 근거로 지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설치한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서버(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는 하나 이상의 사운드모듈(300)과 사운드 신호를 송수신하는 사운드 입력부(210)를 구비한 상기 프로그램을 설치 가능한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자가 이용 또는 소유한 무선단말(예컨대,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지시하는 단말기(200)가 상기 무선단말로만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어떠한 장치(예컨대, 노트북, 스마트TV, 네비게이션장치 등)라도 포함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사운드모듈(300)은 지정된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를 송출 가능한 모듈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운드 송출 기능을 구비한 각종 카드, 장치, 매체, 스티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외형이나 용도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모듈(300)은 서비스 제공자 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하고 있는 측을 가맹점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맹점은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사람, 상점, 기관, 기업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의 사운드모듈(300)은 상기 가맹점을 식별 및/또는 인증하는 수단,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이용한 서비스를 식별 및/또는 인증하는 수단,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이용한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대상을 식별 및/또는 인증하는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논리적 시스템 구성은,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결제금액을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를 위한 절차를 처리하는 결제모듈(100)과, 상기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인식하는 인식모듈(110)과, 상기 인식모듈(110)을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하여 상기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한 사운드모듈(300)이 특정한 가맹점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인지 인증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모듈(130)과,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인식된 코드 값이 특정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으로 인증되면,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은 사운드 입력부(210)가 구비된 단말기(200)의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상기 결제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지불모듈(160) 및/또는 운영모듈(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결제모듈(100)과 인식모듈(110) 및 지불모듈(160)은 상기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는 사운드 입력부(210)를 구비한 단말기(200)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되며,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단말기(200)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서버(125)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서버(125)를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 및/또는 상기 서버(125)와 연동하는 별도의 운영서버(155)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구비한 각종 단말기(200)(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PC, 휴대폰 등의 무선단말)에 프로그램코드화되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말기(200)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에 내장(또는 연동)하는 프로그램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에 로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단말기(200)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인식모듈(110)이 설치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포함되는 스크립트코드 및/또는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되거나 연계되는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상기 단말기(200)에 로딩될 수 있다.
상기 결제모듈(100)과 지불모듈(160)은 상기 인식모듈(110)을 구비한 단말기(200)에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인식모듈(110)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내장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에 내장(또는 연동)하는 프로그램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모듈(100)과 지불모듈(160)은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에 로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인식모듈(110)을 구비한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서버(125) 상에 구현되거나, 상기 단말기(200)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모듈(130)은 단말기(200)와 네트워크 상의 서버(125)에 분산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되는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에 로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단말기(200)에는 애플리케이션 형태의 인증모듈(130)이 설치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예를들어,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단말기(200)로 제공되는 웹페이지에 포함되는 스크립트코드 및/또는 상기 웹페이지에 포함되거나 연계되는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상기 단말기(200)에 로딩될 수 있다.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인식모듈(110)을 구비한 단말기(200)와 통신하는 서버(125) 상에 구현되거나, 상기 단말기(200) 및/또는 서버(125)와 연동하는 별도의 운영서버(155)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서버(125)와 운영서버(155)에 분할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결제모듈(10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서 결제할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금액을 입력받기 위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 표시부(102)와,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결제금액을 입력받는 금액 입력부(104)를 구비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모듈(300)에서 상기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로 사운드 신호가 송출되기 전에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를 처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 절차 수행부(106) 및 상기 결제 절차를 통한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 승인을 확인하는 결제 승인 확인부(108)를 구비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02)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또는 화면 출력부) 상에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서 결제할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금액을 입력받기 위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상기 금액 입력부(104)는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02)를 통해 표시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서 결제할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금액을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제1 결제금액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는 결제금액은,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서 방문하여 상기 가맹점에서 판매/제공하는 상품/서비스의 구매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에 실제 지불할 지불금액(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할인혜택을 제공받아 결정된 금액)이 결정된 경우,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결제금액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에 실제 지불할 지불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결제금액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결제금액을 입력하는 행위는 사용자가 본인의 지갑에서 지불금액을 세어 꺼내는 행위에 대응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이용하는 결제가 가맹점 측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결제금액을 전달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결제금액을 입력함으로써 가맹점 측 시스템이 없더라도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지불결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결제금액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는 결제금액은,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 이상의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절차는 지정된 계좌로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을 입력하기 위한 절차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절차가 수행된 후,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02)는 상기 결제된 결제금액 중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을 지정 입력받기 위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금액 입력부(104)는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을 지정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제금액 중 상기 가맹점에 지불하고 남은 금액은 이후의 지불결제를 위해 지정된 계좌에 예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3 결제금액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는 결제금액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임의의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절차는 지정된 계좌로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을 입력하기 위한 절차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절차가 수행된 후,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02)는 상기 결제된 결제금액 중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을 지정 입력받기 위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금액 입력부(104)는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을 지정 입력받을 수 있다. 만약 상기 결제금액 중 상기 가맹점에 지불하고 남은 금액이 존재한다면, 상기 남은 금액은 이후의 지불결제를 위해 지정된 계좌에 예치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또는 제3 결제금액 실시예에서 상기 지정된 계좌는,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위해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결제금액을 관리하는 사업자의 계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위해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결제금액을 관리하는 사업자의 계좌를 모계좌로 하는 가상계좌(예컨대, 사용자 명의의 가상계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2 또는 제3 결제금액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을 입력하는 행위는 사용자가 현금지급기에서 금액을 찾아 본인의 지갑에 넣는 행위에 대응할 수 있고,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지불금액을 입력하는 행위는 사용자가 본인의 지갑에서 지불할 금액을 세어 꺼내는 행위에 대응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이용하는 결제가 가맹점 측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지불금액을 전달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지불금액을 입력함으로써 가맹점 측 시스템이 없더라도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지불결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결제금액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는 결제금액은,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 중 일부의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 방문하여 상기 가맹점에서 판매/제공하는 상품/서비스의 구매를 결정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에 실제 지불할 지불금액(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할인혜택을 제공받아 결정된 금액)이 결정된 후, 상기 지불금액 중 일부의 금액은 상기 결제금액을 이용하여 지불하고 나머지 금액은 다른 결제수단을 통해 지불하거나 또는 타인이 지불하는 경우,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결제금액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 중 일부의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4 결제금액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결제금액을 입력하는 행위는 사용자가 본인의 지갑에서 지불금액의 일부 금액을 세어 꺼내는 행위에 대응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이용하는 결제가 가맹점 측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결제금액을 전달하는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직접 결제금액을 입력함으로써 가맹점 측 시스템이 없더라도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지불결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액 입력부(104)를 통해 상기 결제금액 입력 시 상기 단말기(200)의 인식모듈(110)을 통해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에서 상기 사운드모듈(300)에서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 및/또는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이 입력되면, 상기 금액 입력부(104)는 인식모듈(110)로 사운드모듈(300)의 인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절차는 상기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인증하는 절차와 연계되어 수행(=제4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룰 입력받아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인증된 후에 수행(=제5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의 경우,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이 입력되면, 상기 금액 입력부는 상기 인식모듈(110)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 입력 및/또는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의 인증을 요청 또는 허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액 입력부(104)를 통해 상기 결제금액을 입력받은 후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여 결제 승인된 경우에 상기 단말기(200)의 인식모듈(110)을 통해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에서 상기 사운드모듈(300)에서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 및/또는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인증하는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기 전에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06)는 상기 단말기(2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를 처리하는 단말 측의 결제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단말 측의 결제 절차는 운영서버(155)를 통해 결제 시스템(180) 상의 결제 절차와 연동되거나 또는 상기 결제 시스템(180) 상의 결제 절차와 직접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06)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제1 결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절차는 결제 시스템(180) 상의 지정된 저장수단(예컨대, 사용자에게 결제수단을 발급한 금융사/발급사의 DB, 또는 사용자에게 발급된 결제수단을 이용한 결제 절차를 중계하는 중계사의 DB 등)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 정보를 추출하여 결제에 이용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결제 시스템(180) 상의 지정된 저장수단에 사용자 본인의 결제수단 정보를 등록하는 결제수단 등록 절차를 수행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결제수단 등록 절차를 통해 결제 시스템(180) 상의 지정된 저장수단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결제 인증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인증 절차는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의 PIN정보를 입력받아 인증하거나 또는 결제 시스템(180) 상의 지정된 서버(예컨대, 발급사서버, 금융사서버, 중계사서버, 결제서버 등)로 전달하는 절차, 상기 단말기(200)의 메모리부 및/또는 USIM 및/또는 단말기(200)에 탑재/이탈착되는 IC칩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과 매핑된 매핑 값을 추출하여 지정된 결제 시스템 상의 지정된 서버로 전달하는 절차, 상기 단말기(200)에 접촉식/비접촉식으로 인터페이스되는 사용자의 매체(예컨대, 비접촉식 IC카드, NFC카드 등)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과 매핑된 매핑 값을 추출하여 지정된 결제 시스템(180) 상의 지정된 서버로 전달하는 절차, 결제 인증을 위한 일회용코드를 생성하여 지정된 결제 시스템(180) 상의 지정된 서버로 전달하는 절차, 지정된 결제 시스템(180) 상의 지정된 일 측 서버를 통해 결제 인증을 위해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수신하여 결제 시스템(180) 상의 지정된 다른 일 측 서버로 전달하는 절차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결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단말기(200)의 지정된 저장수단(예컨대, 메모리부 및/또는 USIM 및/또는 단말기(200)에 탑재/이탈착되는 IC칩 등)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 정보를 추출하여 결제에 이용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결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단말기(200)와 인터페이스 가능한 사용자의 매체(예컨대, 결제수단을 구비한 비접촉식 IC카드, 결제수단을 구비한 NFC카드 등)로부터 독출 가능한 사용자의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결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사용자의 결제수단 정보를 입력받아 결제에 이용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은 신용카드 결제수단, 체크카드 결제수단, 직불카드 결제수단, 현금카드 결제수단, 선불카드 결제수단, 계좌이체 결제수단, 전자화폐 결제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시스템은 상기 사용자에 결제수단을 이용한 결제를 처리 및 승인하는 시스템의 총칭이다.
상기 제2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기 전에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06)는 전에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을 확인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결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실시예를 이용하여 상기 결제금액을 지정된 계좌로 입금하기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정된 계좌는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위해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결제금액을 관리하는 사업자의 계좌를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위해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결제금액을 관리하는 사업자의 계좌를 모계좌로 하는 가상계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06)는 운영모듈(170)과 연동하여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결제 시스템(180) 상의 지정된 서버와 직접 연동하여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06)가 결제 시스템(180) 상의 지정된 서버와 직접 연동하는 경우에 상기 운영모듈(170)의 서버 측 결제 절차는 상기 결제 시스템(180) 상의 지정된 서버에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운영모듈(170)과 연동하는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단말기(200)의 결제모듈(100)과 연동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결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실시예에 대응하는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 처리 절차부(17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06)는 상기 운영모듈(170)의 결제 처리 절차부(172)와 연동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결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실시예에 대응하는 단말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결제 처리 절차부(172)는 상기 단말기(200)의 결제 절차 수행부(106)와 연동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결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실시예에 대응하는 서버 측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 예를들어,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06)는 결제 인증을 위한 PIN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결제 처리 절차부(172)로 전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결제 처리 절차부(172)는 상기 PIN정보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결제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06)는 매핑 값을 추출하여 상기 결제 처리 절차부(172)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처리 절차부(172)는 상기 매핑 값의 유효성을 확인하거나 및/또는 결제수단 정보를 저장하는 결제 시스템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는 제2 내지 제4 결제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06)는 상기 결제 처리 절차부(172)로 사용자의 결제수단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처리 절차부(172)는 상기 결제 시스템(180)으로 결제수단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시스템(180)은 상기 결제 처리 절차부(172)와 연동하여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를 처리하고, 상기 결제 처리에 대응하는 결제 처리 결과를 응답한다. 한편 상기 결제 처리에 이용된 결제수단이 신용카드 결제수단이라면,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 시스템(180)은 상기 신용카드에 대한 가승인 절차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결제 시스템(180)을 통해 상기 결제가 처리되면, 상기 결제 처리 절차부(172)는 상기 결제 처리의 결제 처리 결과를 확인하여 상기 결제모듈(100)로 제공하며,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06)는 상기 결제 처리 결과를 확인한다.
상기 결제 승인 확인부(108)는 상기 결제 처리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가 승인되었는지 확인한다. 만약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가 승인되었다면, 상기 결제 승인 확인부(108)는 상기 인식모듈(110)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의 입력을 요청 또는 허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06)를 통해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가 승인된 후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결제금액 중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 입력 시 상기 단말기(200)의 인식모듈(110)을 통해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가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인식하는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06)를 통해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가 승인되어 지정된 계좌로 상기 결제금액이 입금(또는 예치)된 후, 상기 인터페이스 표시부(102)는 상기 결제금액 중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을 지정 입력받기 위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상기 금액 입력부(104)는 상기 결제금액 중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을 입력받는다.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지불금액 입력 시 상기 금액 입력부(104)는 상기 인식모듈(110)로 사운드모듈(300)부터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의 입력을 요청 또는 허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1 내지 제3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 중 어느 한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의해 사운드모듈(300)부터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의 입력을 요청 또는 허락되면, 상기 인식모듈(110)은 사운드모듈(300)을 인증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식모듈(110)은, 단말기(200)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부(210)의 상태가 사운드 신호를 입력 불가능한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인식 가능하게 활성화 처리하는 사운드 인식 활성화부(112)와,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인식하는 코드 값 인식부(114)와,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이 가맹점의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인지 판독하는 코드 값 판독부(116)와, 상기 코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사운드 신호를 송출한 사운드모듈(300)이 특정한 가맹점의 사운드모듈(300)인지 인증하는 인증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하는 인증 절차부(118)를 구비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코드 값 판독부(116)는 상기 인증모듈(130)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말기(200)가 전화 통화를 제공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는 전화 통화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디지털화되고 전화 통화를 위한 코덱으로 압축된다. 상기 사운드 인식 활성화부(112)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모듈의 사운드 엔코드 방식과 매칭(또는 호환)되는 디코드 방식으로 디지털화될 수 있게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2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가 전화 통화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디지털화되거나 또는 전화 통화의 코덱으로 압축된 경우에 상기 디지털화/압축된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사운드 엔코드 방식과 매칭(또는 호환)되게 변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 인식 활성화부(112)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가 상기 인식모듈(110)로 전달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가 상기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사운드 엔코드 방식과 매칭(또는 호환)되는 디코드 방식으로 디지털화하거나 또는 상기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상기 인식모듈(110)로 전달하게 동작 설정된 경우, 상기 사운드 인식 활성화부(112)는 생략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모듈(300)은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 가능한 하나 이상의 터치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사운 인식 활성화부(112)는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터치부가 터치되는지 인식 및/또는 인증(예컨대, 사운드모듈(300)에 복수의 터치부가 구비된 경우에 터치부의 배치 패턴을 인식 및 인증)하여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을 인식하도록 활성화(예컨대, 사운드 입력부(210)의 기능적 활성화는 물론 프로그램코드 상의 인식 기능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코드 값 인식부(114)는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의 결과로서 추출된 데이터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값 인식부(114)는 인식 가능한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에 대한 코드체계를 인지하고 있으며, 상기 코드체계를 기반으로 상기 신호 처리의 결과로서 추출된 데이터를 판독하여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을 인식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는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입력된 사운드 신호의 신호 강도를 확인(또는 측정)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코드 값 인식부(114)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의 입력 신호 강도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신호의 입력 신호 강도를 확인 가능한 경우, 상기 인식모듈(110)에 상기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는 사운드모듈(300)(예컨대, 가맹점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의 송출 신호 강도가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코드 값 인식부(114)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송출 신호 강도와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확인된 입력 신호 강도 사이의 상관 관계(예컨대, 사운드 신호의 신호 강도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관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드모듈(300)과 단말기(200)(예컨대, 단말기의 사운드 입력부) 사이의 대략적인 거리(또는 적어도 기 설정된 거리 이내 또는 초과 여부 등)를 산출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운드모듈(300)과 단말기(200)의 거리(예컨대, 대략적인 거리 또는 적어도 특정 거리 이내 또는 거리 초과 등)가 산출된 경우 상기 코드 값 인식부(114)는 상기 산출된 거리를 기반으로 사운드 입력부(210)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코드 값 인식부(114)는 상기 단말기(200)와 상기 사운드모듈(300) 사이의 거리가 1m 이내 또는 50cm 이내인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운드모듈(300)로부터 방송되는 사운드 신호라도 단말기(200) 측에서 선택적으로 코드 값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기 사운드 신호의 입력 신호 강도를 확인 가능한 경우, 상기 인식모듈(110)에 상기 입력 신호 강도에 대한 신호 강도 기준 값이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코드 값 인식부(114)는 상기 설정된 신호 강도 기준 값과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의 입력 신호 강도를 비교하여 사운드 입력부(210)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코드 값 인식부(114)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의 입력 신호 강도가 상기 설정된 신호 강도 기준 값 이상(또는 초과)인 경우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사운드모듈(300)로부터 방송되는 사운드 신호라도 단말기(200) 측에서 선택적으로 코드 값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상기의 선택적 코드 값 인식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다양한 실시예 중에 하나일 뿐 상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선택적 코드 값 인식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예컨대, 코드 값 인식부(114)는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 상의 특정 영역이 터치된 상태에서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선택적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단말기(200)의 터치스크린 상에 지정 개수(또는 지정된 기하학적 관계를 형성하는) 터치 점이 터치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선택적으로 인식 가능)할 수 있으며, 또는 단말기(200)에서 선택적으로 코드 값을 인식할 필요 없이 인증모듈에서 코드 값의 인증 요청을 선택적으로 제어(예컨대, 단말기(200)의 고유정보를 기반으로 코드 값의 인증 요청을 허락 또는 거부 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적 코드 값 인식이 제공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모듈(300)은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거나, 또는 지정된 코드생성규칙(예컨대, 난수생성알고리즘, 또는 일회성의 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생성알고리즘과 씨드 값(예: 고정된 씨드 값과 동적으로 결정되는 씨드 값(예: 시간 등)) 등)을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고유코드 또는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하여 송출하는 칩 구성과 스피커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값은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거나,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거나,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생성된 일회용코드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모듈(300)은 상기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를 지속적(또는 주기적)으로 송출하거나, 또는 특정 시점에 선택적으로 송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모듈(300)은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한 사운드 신호의 입력 성공률 및/또는 상기 코드 값 인식부(114)를 통한 코드 값 인식 성공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동일한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를 지정된 횟수 이상 송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드 값 인식부(114)를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은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의 코드체계에 대응할 뿐, 상기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인터페이스 가능한 대상을 가맹점의 사운드모듈(300)로 통제하여 인터페이스시키지 않는 이상(즉, 불특정 다수의 사운드장치들과 자동으로 인터페이스하는 사운드모듈(300)의 특성 상 이와 같은 상황 통제는 매우 난해함), 상기 코드 값 인식부(114)를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이 가맹점에서 보유 가능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라고 확정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코드 값 인식부(114)를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이 실제로 가맹점에서 보유 가능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인지 판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드 값 판독부(116)는 가맹점에서 보유 가능한 사운드모듈(300)이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어 송출하는 코드 값에 대한 코드구조를 인지하고 있으며, 상기 코드구조를 기반으로 상기 코드 값 인식부(114)를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을 판독하여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이 가맹점에서 보유 가능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인지 판별한다. 예를들어, 가맹점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은 지정된 길이의 비트 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트 열 중 특정 비트 값은 지정된 계산식에 따라 계산된 비트 값을 포함하는 코드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코드 값 판독부(116)는 상기와 같은 코드구조를 근거로 상기 코드 값 인식부(114)를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을 판독하여 지정된 길이의 비트 열 중 특정 비트 값이 유효하게 계산된 비트 값을 포함하는지 판독함으로써,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이 가맹점에서 보유 가능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전송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인지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드 값 판독부(116)를 통해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이 가맹점에서 보유 가능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으로 판별되더라도 상기 사운드모듈(300)이 어떠한 특정한 가맹점에서 실제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인지 확정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코드 값 인식부(114)를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이 실제로 어떤 특정한 가맹점에서 보유하고 있는 사운드모듈(300)인지 인증하는 인증 절차가 진행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인증모듈(130)을 통해 상기 인증 절차가 진행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즉, 본 발명의 코드 값은 서비스를 제공 여부를 인증하는 인증수단의 기능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가맹점 및/또는 서비스 대상을 식별하는 식별수단의 기능으로 이용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코드 값 만으로 식별수단의 기능이 난해한 경우(예컨대, 코드 값이 일회용의 코드 값만 포함하는 경우 등), 본 발명은 상기 코드 값과 단말기(200)를 통해 획득되는 정보(예컨대, 위치 정보 등) 내지 프로그램에 부여된 정보(예컨대, 특정한 가맹점의 애플리케이션 등)를 조합함으로써 상기 코드 값을 식별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식별수단으로서의 기능은 사용자로 하여금 서비스에 접근하는 과정을 극도로 단순화 또는 자동화하게 한다. 예를들어, 사용자는 단말기(200)에 설치된 본 발명의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앱을 구동(미리 구동된 경우 이마저도 생략)하고 사운드모듈(300)을 단말기(200)에 인터페이스시키는 것만으로 복잡한 서비스 식별이나 접근 절차 없이도 자동으로 서비스에 접근 또는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모듈(130)은 서버(125) 상에 구현되거나, 단말기(200)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되거나, 단말기(200)와 서버(125)에 분산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인증 절차부(118)는 상기 코드 값 인식부(114)를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인식모듈(110)을 구비한 단말기(200)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정보(예컨대, 단말기(200)의 메모리부 또는 USIM에 고유 저장되어 있는 고유정보, 단말기(200)에 탑재된 프로그램을 통해 단말기(200)의 메모리부 또는 USIM에 저장된 고유정보, 단말기(200)에 탑재된 프로그램에 할당된 고유정보 등)를 포함(단, 인증모듈(130)이 단말기(200) 내에 프로그램화된 경우 생략 가능)하는 인증 요청 정보를 지정된 인증모듈(130)로 제공한다. 상기 인증모듈(130)이 서버 상에 구현된 경우, 상기 인증 절차부(118)는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서버(125)로 상기 인증 요청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인증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값이 사운드모듈(30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인증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200)의 고유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하고 있는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인증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값이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인증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하고 있는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 식별정보와 상기 단말기(200)의 고유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인증 요청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값이 사운드모듈(30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인증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200)의 고유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 요청 정보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하고 있는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200)는 위치 측위모듈(예컨대, GPS모듈, 실내 지상파 기반 측위모듈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절차부(118)는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 측위모듈을 통해 상기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여 위치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시켜 인증모듈(130)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모듈(130)은, 하나 이상의 지정된 가맹점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지정된 저장매체(134)에 저장하는 인증정보 저장부(132)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2)는 상기 인증모듈(130)에 포함되지 않고(단, 저장매체(134)는 인증모듈(130)에 구비) 별도의 서버(125)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2)가 네트워크 상의 서버(125)에 구현된 인증모듈(130)에 포함되거나 또는 별도의 서버(125)에 구현된 실시예를 위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2)는 가맹점으로 제공될 사운드모듈(300)의 제조 또는 가맹점 공급 과정에서 지정된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코드 인증 값을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코드 값이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드 인증 값은 상기 고유코드와 비교(또는 검증연산)될 코드 인증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될 코드 값이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드 인증 값은 상기 일회용코드와 비교될 검증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 인증 조건(예컨대, 난수생성알고리즘, 또는 일회성의 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생성알고리즘과 씨드 값(예: 고정된 씨드 값과 동적으로 결정되는 씨드 값(예: 시간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2)는 지정된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정보와 고유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외 측에 인쇄(또는 표시)된 고유한 정보의 총칭으로서, 예를들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일련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제공받은 가맹점은, 지정된 단말장치(예컨대, 가맹점에 구비된 단말장치)를 통해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상기 가맹점의 사운드모듈(300)로 등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맹점의 단말장치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등록하는 과정의 전, 중, 후의 일 시점에,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표시된 고유식별정보를 입력받거나,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할 가맹점 정보(예컨대, 가맹점의 명칭, 상호, 대표자 성명, 사업자등록번호, 가맹점에 할당된 가맹점 식별정보 등)를 입력받거나, 상기 가맹점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주소 정보 등을 입력받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2)는 가맹점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고유식별정보, 가맹점 정보, 가맹점의 주소 정보 중 지정된 하나 이상의 등록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2)는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통해 식별/인증된 등록 대상 사운드모듈(300)의 인증정보와 상기 등록 대상 사운드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를 매핑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의 단말장치로부터 가맹점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2)는 상기 등록 대상 사운드모듈(300)의 인증정보 또는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수신된 가맹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가맹점의 단말장치로부터 가맹점의 주소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 저장부(132)는 상기 주소 정보를 근거로 단말기(200)를 통해 측위된 위치 정보와 비교 가능한 가맹점의 위치 영역 정보를 산출하고, 상기 등록 대상 사운드모듈(300)의 인증정보 또는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산출된 가맹점의 위치 영역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모듈(130)은, 단말기(200)의 인식모듈(110)로부터 상기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을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인증 요청 수신부(136)를 구비한다.
상기 인증 요청 수신부(136)는 상기 인식모듈(110)로부터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인증 요청 정보는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와 인터페이스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통해 인식한 코드 값을 포함하고, 상기 인식모듈(110)을 구비한 단말기(200)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정보 확인부(138)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단,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상기 위치 정보가 미포함된 경우에 상기 위치 정보 확인부(138)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위치 정보 확인부(138)는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만약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 위치 정보 확인부(138)는 상기 단말기(200)와 무선 구간이 형성된 기지국 또는 무선AP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위치에 대응하는 셀(Cell) 기반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위치 정보 확인부(138)는 상기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하는 실내 근거리통신기를 이용하여 산출된 실내 지상파 기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코드 값 인증부(142)와,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에 대한 코드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인증 결과 제공부(144)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1 코드 값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코드 값이 사운드모듈(30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드 값 인증부(142)는 상기 저장매체(134)에 저장된 인증정보의 코드 인증 값 중 상기 코드 값과 매칭되는 코드 인증 값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가맹점 식별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코드 값 인증부(142)는 상기 가맹점 식별정보와 매핑된 인증정보의 코드 인증 값을 통해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코드 값 인증부(142)는 상기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위치 영역 정보와 매핑된 인증정보의 코드 인증 값을 통해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위치 정보와 매칭되는 위치 영역 정보와 매핑된 인증정보가 복수인 경우, 상기 코드 값 인증부(142)는 위치 영역 정보와 매핑된 인증정보의 코드 인증 값 중 상기 코드 값과 매칭되는 코드 인증 값을 확인함으로써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코드 값 인증 방식에 따르면,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코드 값이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드 값 인증부(142)는 상기 저장매체에 저장된 인증정보 중 상기 코드 값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선별하며, 상기 코드 값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는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코드 값의 고유코드, 가맹점 식별정보,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선별될 수 있다. 상기 코드 값을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가 선별되면, 상기 코드 값 인증부(142)는 상기 선별된 인증정보의 코드 인증 조건을 이용하여 검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검증코드를 통해 상기 코드 값에 포함된 일회용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144)는 상기 코드 값 인증부(142)를 통해 수행된 인증 절차를 기반으로 상기 코드 값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코드 인증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인증 결과는 상기 인증 결과 값에 인증 성공에 대응하는 값이 포함되는 경우에 인증 성공한 사운드모듈(300)을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인증 성공한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드 인증 결과를 서비스제공모듈로 제공하는 경우, 상기 코드 인증 결과는 상기 인증 성공한 사운드모듈(300)과 인터페이스된 단말기(200)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144)는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생성된 코드 인증 결과를 상기 인식모듈(110)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코드 인증 결과는 상기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한 역방향 경로를 통해 상기 인식모듈(110)로 제공되거나, 또는 상기 인식모듈(110)과 인증모듈(130) 사이에 형성되는 별도의 경로를 통해 상기 인식모듈(110)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코드 인증 결과에 포함된 인증 결과 값을 판독하여 코드 값의 유효성이 인증되었는지 판단하며,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코드 값의 인증 성공에 따른 후속 절차가 수행되게 제어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144)는 상기 생성된 코드 인증 결과를 지정된 서비스제공서버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서비스제공서버는 상기 코드 인증 결과에 포함된 인증 결과 값을 판독하여 코드 값의 유효성이 인증되었는지 판단하며, 코드 값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 인증 성공한 인증 결과 값을 트리거로 이용하여 상기 코드 값의 인증 성공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인증모듈(130)로부터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에 대한 코드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이 인증되었는지 판단하며,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에 상기 코드 값의 인증 성공에 따른 서비스 제공을 위한 후속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하는 인증 결과 처리부(120)를 구비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120)는 상기 인증모듈(130)과 연계된 서비스제공서버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120)는 상기 인증 요청 정보를 제공받은 인증모듈(130)로부터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코드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코드 인증 결과의 인증 결과 값을 판독하여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이 인증되었는지 판단한다. 만약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이 인증되었다면,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120)는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을 이용하여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는 절차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식모듈(110)을 통해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가 입력되어 인식되기 전에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가 처리되지 않은 경우,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 처리는 상기 수신된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인식된 코드 값이 특정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포함되는 코드 값인지 인증된 후에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 처리가 상기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인식된 코드 값이 특정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포함되는 코드 값인지 인증된 후에 처리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120)는 상기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의 인증이 성공함을 확인함에 따라 상기 결제모듈(100)의 결제 절차 수행부(106)로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 절차를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으며, 상기 결제 절차 수행부(106)는 상기 운영모듈(170)의 결제 처리 절차부(172)와 연동하여 상기 제1 내지 제4 결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이 특정한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으로 인증되고, 상기 제1 내지 제5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통해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가 승인된 경우, 상기 결제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는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지불결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어 결제 승인된 결제금액을 이용한 가맹점의 지불결제는 상기 단말기(200)의 지불모듈(160)을 통해 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불결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120)는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 승인과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 인증 성공 확인을 근거로 상기 지불모듈(160)로 상기 결제된 결제금액 정보와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결제된 결제금액이 상기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 이상이거나 또는 임의의 금액인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처리부(120)는 상기 결제금액 중 상기 가맹점에 지불하기 위해 입력된 지불금액 정보와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지불모듈(160)은,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어 결제된 결제금액(또는 결제금액 중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을 확인하는 금액 확인부(162)와, 상기 인식모듈(110)을 통해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인식되어 상기 인증모듈(130)을 통해 인증된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확인하는 가맹점 확인부(164)와, 지정된 지불결제 절차를 수행하여 상기 확인된 가맹점의 계좌로 상기 결제금액(또는 지불금액)이 입력되도록 요청하는 지불결제 요청부(166)를 구비하며, 상기 지불결제 절차의 지불결제 결과를 확인하는 지불결과 확인부(168)를 구비한다.
상기 금액 확인부(162)는 상기 결제모듈(100) 및/또는 인식모듈(110)과 연동하여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어 결제된 결제금액을 확인한다. 만약 상기 결제된 결제금액이 가맹점에 지불할 금액 이상이거나 또는 임의의 금액인 경우, 상기 금액 확인부(162)는 상기 결제된 결제금액 중 상기 가맹점에 지불하기 위해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정 입력된 지불금액을 확인한다.
상기 가맹점 확인부(164)는 상기 인식모듈(110)과 연동하여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식모듈(110)을 통해 인식된 사운드 신호의 코드 값이 특정한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으로 매칭 인증된 경우에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가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지불결제 요청부(166)는 운영모듈(170)과 연동하여 상기 확인된 가맹점의 계좌로 상기 결제금액(또는 지불금액)이 입금되도록 요청하기 위한 단말 측 지불결제 절차를 수행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지불결제 요청부(166)는 운영모듈(170)(또는 결제 시스템)과 지불결제를 식별하기 위한 토큰을 교환하고, 상기 결제금액(또는 지불금액)과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지불요청 정보를 상기 운영모듈(170)(또는 결제 시스템)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결제금액(또는 지불금액)과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지불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지불요청 확인부(174)와, 지정된 결제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결제금액(또는 지불금액)을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의 계좌로 입금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지불결제 절차부(176)를 구비한다.
상기 지불요청 확인부(174)는 상기 단말기(200)의 지불모듈(160)과 상기 지불결제를 식별하기 위한 토큰을 교환하고, 상기 결제금액(또는 지불금액)과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지불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지불결제 절차부(176)는 소정의 금액을 가맹점의 계좌로 입금하는 절차를 수행 가능한 결제 시스템(예컨대, 은행 등)과 연동하여 상기 지불요청 정보에 포함된 결제금액(또는 지불금액)을 상기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의 계좌로 입금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지불결제 절차부는 상기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와 상기 가맹점의 계좌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결제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가맹점의 계좌로 상기 결제금액(또는 지불금액)을 입금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제 시스템 상에 상기 가맹점의 계좌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지불결제 절차부는 상기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금액(또는 지불금액)을 상기 결제 시스템으로 제공하여 상기 가맹점의 계좌로 상기 결제금액(또는 지불금액)을 입금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불결제 절차부(176)는 상기 결제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계좌로 상기 결제금액(또는 지불금액)을 입금한 지불결제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지불결제 결과를 상기 단말기(200)의 지불모듈(16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불모듈(160)의 지불결과 확인부(168)는 상기 지불결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불결과 확인부(168)는 가맹점 측 단말(예컨대, 가맹점 주의 무선단말, 가맹점에 구비된 POS 등의 가맹점단말 등)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불결제 절차부(176)는 상기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지불결제 결과를 제공받을 가맹점 측 단말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가맹점 측 단말로 상기 지불결제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 측 단말은 상기 지불결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가맹점은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해 수행된 지불결제의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표시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또는 지불금액)이 가맹점의 계좌로 입금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지불결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어 결제 승인된 결제금액을 이용한 가맹점의 지불결제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인증 절차와 연계되어 자동으로 처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4 또는 제5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의 경우 상기 결제금액을 가맹점의 계좌로 입금하는 절차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인증 절차와 연계되어 자동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입력된 사운드 신호의 코드 값을 인식한 단말기(200)에 표시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을 확인하는 금액 확인부(162)와,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확인하는 가맹점 확인부(164)와, 지정된 결제 시스템과 연동하여 상기 결제금액(또는 지불금액)을 확인된 가맹점의 계좌로 입금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지불결제 절차부(17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200)의 인식모듈(110)을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인식된 코드 값이 특정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으로 인증되고, 상기 제4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증모듈(130)을 통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인증 절차와 연계된 결제금액의 결제가 요청 또는 승인되거나 또는 상기 제5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인증 성공을 근거로 단말기(200)의 결제모듈(100)(또는 인식모듈(110))을 통해 결제금액의 결제가 요청 또는 승인된 경우, 상기 금액 확인부(162)는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된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코드 값을 인식한 단말기(200)에 표시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을 확인한다. 상기 결제금액은 상기 제4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인증모듈(130)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5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의 경우 상기 단말기(200)의 결제모듈(100)(또는 인식모듈(11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맹점 확인부(164)는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확인한다.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는 상기 제4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인증모듈(130)로부터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5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의 경우 상기 단말기(200)의 결제모듈(100)(또는 인식모듈(110))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금액 확인부(162)를 통해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된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코드 값을 인식한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이 확인되고, 상기 가맹점 확인부(162)를 통해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이 확인되면, 상기 지불결제 절차부(176)는 소정의 금액을 가맹점의 계좌로 입금하는 절차를 수행 가능한 결제 시스템(예컨대, 은행 등)과 연동하여 상기 확인된 결제금액을 상기 확인된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가맹점의 계좌로 입금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지불결제 절차부(176)는 상기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와 상기 가맹점의 계좌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결제 시스템(180)과 연동하여 상기 가맹점의 계좌로 상기 결제금액을 입금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결제 시스템 상에 상기 가맹점의 계좌정보가 등록된 경우, 상기 지불결제 절차부(176)는 상기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와 상기 결제금액을 상기 결제 시스템(180)으로 제공하여 상기 가맹점의 계좌로 상기 결제금액을 입금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지불결제 절차부(176)는 상기 결제 시스템(180)과 연동하여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계좌로 상기 결제금액을 입금한 지불결제 결과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지불결제 결과를 상기 단말기(200)의 지불모듈(16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지불모듈(160)의 지불결과 확인부(168)는 상기 지불결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불결과 확인부(168)는 가맹점 측 단말(예컨대, 가맹점 주의 무선단말, 가맹점에 구비된 POS 등의 가맹점단말 등)에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불결제 절차부(176)는 상기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근거로 상기 지불결제 결과를 제공받을 가맹점 측 단말(185)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가맹점 측 단말(185)로 상기 지불결제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가맹점 측 단말(185)은 상기 지불결제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가맹점은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해 수행된 지불결제의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에 표시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이 가맹점의 계좌로 입금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인식하여 인증되게 처리한 후, 인증 결과 상기 사운드 신호를 송출한 사운드모듈(300)이 특정한 가맹점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로 인증된 경우에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인증과 연계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구성을 구비한 단말기(200)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기능적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편의상 본 도면2는 상기 단말기(200)의 일 실시예로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인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단말기(200)가 본 도면2의 실시예인 무선단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운드 입력부(210)를 구비한 어떠한 장치라도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200)는, 제어부(201)와 메모리부(214)와 화면 출력부(203)와 터치 입력부(204)와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키 입력부(202)와 사운드 출력부(206)와 사운드 입력부(210)와 블루투스부(211)와 NFC부(207)와 위치 측위모듈(212)과 USIM 리더부(213)를 구비하고,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215)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모듈(208)과 무선망 통신모듈(20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1)는 상기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이다. 상기 제어부(201)는 하드웨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버스(BUS)를 통해 단말기(200)의 각 구성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201)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4)에 구비된 프로그램코드를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버스를 통해 각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부로부터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214)는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2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부(214)는 적어도 상기 도면1의 인식모듈(110)을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한 프로그램(220)을 저장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220)은 상기 도면1의 인증모듈(130)을 비롯한 각종 모듈을 더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220)은 구동 또는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201)로 로딩되어 연산된다. 이하, 편의상 상기 제어부(201)로 로딩된 프로그램(220)의 기능 구성을 제어부(2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키 입력부(202)는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키버튼, 키패드, 키보드 중 하나 이상의 구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키 입력부(202)는 상기 프로그램(220)을 구동 또는 활성화시키는 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키 입력부(202)는 사운드 입력부(210)를 활성화시키는 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는 키 이벤트 없이도 인식모듈을 통해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화면 출력부(203)는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상기 단말기(200)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화면 출력부(203)는 상기 프로그램(220)의 실행 화면 또는 인증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터치 입력부(204)는 상기 화면 출력부(203)와 좌표 평면을 공유하는 투명 재질의 정전식 터치패널과 상기 단말기(200)의 내부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전식 터치스크린은 상기 투명 재질의 정전식 터치패널과 상기 화면 출력부(203)의 디스플레이가 조합되어 구현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206)는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스피커와 상기 단말기(200)의 내부에서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는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마이크와 상기 단말기(200)의 내부에서 상기 마이크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사운드 칩이 구비된 경우,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사운드 칩을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고, 지정된 사운드 엔코드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운드 신호를 신호 처리하여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프로그램(2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과 근거리 통신모듈(208)은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되는 통신자원으로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209)은 상기 단말기(200)가 가입된 통신사의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208)은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장치(예컨대, 무선AP(Access Point), 무선중계기 등)를 통해 통신망에 접속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208)은 와이파이를 이용한 IEEE 802.11 관련 규격을 기반으로 근거리에 설치된 근거리장치를 통해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208)은 블루투스 관련 규격을 기반으로 근거리에 설치된 근거리장치를 통해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블루투스부(211)는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208)에 포함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상기 블루투스부(211)는 블루투스 통신 규격에 따라 10m 내외(최대 100m 내외)의 근거리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블루투스 통신 규격은 블루투스 4.0(BLE) 이후의 규격을 기반으로 페어링 없이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출(또는 방송)하거나, 또는 페어링 없이 방송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블루투스 4.0 이전의 규격에 따라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NFC부(207)는 13.56Mz 주파수 대역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규격에 따라 10cm 내외의 근접 거리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위치 측위모듈(212)은 상기 단말기(200)의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GPS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치 측위모듈(212)은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을 인식하는 시점에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를 측위한 위치 정보를 상기 프로그램(2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정된 프로그램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220)이 상기 단말기(200)로 다운로드되어 단말기(2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단, 단말기(200)의 제조사에서 상기 프로그램(220)을 기본 탑재한 경우에는 생략). 상기 프로그램(220)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 또는 활성화되거나, 또는 푸시 통지를 수심함에 의해 구동 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프로그램(220) 상에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제어부(201)로 로딩되어 연산됨으로써 기능화되는 상기 프로그램(220)의 기능 구성부를 상기 제어부(201) 내에 도시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인식모듈(110)을 내장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된 인식모듈(110)과 연동하여 동작하며,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을 인식한다.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지정된 인증모듈(130)로 제공하여 인증 요청하고, 상기 인증모듈(130)로부터 상기 코드 값에 대한 코드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면1에 도시된 인증모듈(130)은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과 통신 가능한 서버 도는 별도의 서버를 통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기(200)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200)와 서버에 분산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사운드모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가맹점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운드모듈(300) 기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운드모듈(300)은, 제어부(305)와 메모리부(315)를 구비하고,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는 사운드 송출부(310)와,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330)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화면 출력을 위한 화면 출력부(320)와 사용자 조작을 위한 사용자 조작부(3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운드모듈(300)은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터치 가능한 터치부(도시생략)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터치부를 단말기(200)의 정전식 터치스크린에 정전식 터치함에 의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사운드 송출(예컨대, 제어부(305)가 터치부의 정전식 터치를 센싱하여 사운드 송출)이 개시/처리되거나 또는 단말기(200) 측에서 정전식 터치 인식을 기반으로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의 인식 및 인증 절차가 개시/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5)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논리 회로를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제어부(305)가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를 상기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지정된 출력부 또는 통신부를 통해 출력한다. 이하, 편의상 가맹점의 사운드모듈(300)을 식별 또는 인증받기 위한 코드 값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코드에 대응하는 프로그램(340)을 본 제어부(305)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실시 방법이 본 도면3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도면3에서 프로그램(340)의 구성으로 예시한 구성은 논리 회로의 형태로도 구현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메모리부(315)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구비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05)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프로그램코드는 본 발명의 동작을 위해 구현되는 프로그램(340)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를 비롯하여,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운영체제에 대응하는 시스템프로그램코드와 시스템데이터셋트,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각종 통신을 처리하는 통신프로그램코드와 통신데이터셋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315)는 가맹점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임을 식별 또는 인증받기 위한 고유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305)는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이용하여 가맹점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임을 식별 또는 인증받기 위한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데, 상기 메모리부(315)는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정적 씨드 값을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적 씨드 값은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고유하게 부여된 고유식별정보,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가맹점식별코드, 상기 사운드모듈(300)이 이용되는 용도를 식별하는 용도식별코드 등을 포함하여 각종 식별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가청 주파수 영역 및/또는 비가청 주파수 영역의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사운드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는 기 설정된 송출 신호 강도의 사운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한편 사운드 신호의 신호 강도는 장애물이 없는 경우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쇠한다. 만약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가 사운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또는 산출)할 수 있고,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에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송출 신호 강도가 설정되어 있다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예컨대, 인식모듈)은 상기 송출 신호 강도와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의 수신 신호 강도 사이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사운드모듈(300)과 단말기(200)(예컨대, 단말기의 사운드 입력부) 사이의 대략적인 거리(또는 적어도 기 설정된 거리 이내 또는 초과 여부 등)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이와 같은 거리 산출을 기반으로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로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을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단말기(200)와 상기 사운드모듈(300) 사이의 거리가 30cm 이내 또는 10cm 이내인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로 수신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인식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가 사운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를 측정(또는 산출)할 수 있고,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에 선택적으로 코드 값을 인식하기 위한 신호 강도 기준 값이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예컨대, 인식모듈)은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의 수신 신호 강도와 상기 설정된 신호 강도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선택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단말기(200)의 프로그램(220)은 상기 사운드 신호의 수신 신호 강도가 상기 설정된 신호 강도 기준 값 이상(또는 초과)인 경우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인식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페어링 없이 방송되는 사운드 신호라도 단말기(200) 측에서 선택적으로 코드 값을 인식 및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와 같은 선택적 코드 값 인식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방법 중 하나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화면 출력부(203)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구비되는 화면출력기(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 전자종이 등)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5)의 각종 연산 결과 중 화면 출력에 대응하는 연산 결과를 상기 화면출력기로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조작부(325)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구비되는 사용자 입력기와 이를 구동하는 구동 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305)의 각종 연산을 명령하는 명령을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제어부(305)의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 조작부(325)는 코드 값을 송출하기 위한 트리거 신호를 입력받거나, 또는 코드 값 송출을 위한 사용자 인증 값(예컨대, 비밀번호 등)을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305)를 통해 인증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모듈(300)은,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메모리부(315)와,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는 사운드 송출부(310)와, 상기 메모리부(315)에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사운드 신호에 포함시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5)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운드모듈(300)은, 상기 메모리부(31)에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345)와,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메모리부(315)에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355)와,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상기 코드 값을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를 송출시켜 상기 단말기(200)로 상기 코드 값을 전송하는 전송부(360)를 기능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45)는 상기 사용자 조작부(325)를 통해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315)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지정된 관리프로그램으로부터 지정된 코드체계의 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315)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315)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제작 시점에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내장된 소정의 통신기능을 통해 상기 고유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315)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부(355)는 지정된 사운드 부호화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부호화시킨다.
본 발명의 제1 사운드 부호화 방식에 따르면, 상기 부호화부(355)는 상기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부호화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DTMF 신호에 부호화할 수 있다. 상기 DTMF 부호화 규칙은 저주파 영역(예컨대, 697Hz, 770Hz, 852Hz, 941Hz)의 사운드 주파수와 고주파 영역(예컨대, 1209Hz, 1336Hz, 1477Hz, 1633Hz)의 사운드 주파수를 조합하여 ‘1’~’9’, ‘0’, ‘#’, ‘*’ 등을 부호화하는 규칙의 총칭으로서, 상기 부호화부(355)는 ‘1’~’9’, ‘0’, ‘#’, ‘*’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진 코드 값을 상기 DTMF 신호에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사운드 부호화 방식에 따르면, 상기 부호화부(355)는 사운드코드 부호화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송출된 사운드 신호에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부호화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코드 부호화 규칙은 지정된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엔코딩된 사운드 데이터의 비트 열에 지정된 부호화 데이터의 비트 열을 삽입하여 부호화하는 규칙의 총칭으로서, 상기 부호화부(355)는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송출될 사운드 신호의 엔코딩 규칙에 부합하는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운드 확산 코드에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의 비트 열을 삽입하여 상기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코드는 상기 사운드 확산 코드의 의사 잡음(Pseudo Noise) 영역에 상기 비트 열을 삽입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사운드코드는 인간의 인지 능력으로 인지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360)는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상기 제1 사운드 부호화 방식에 따라 상기 코드 값을 부호화한 DTMF 신호 형태의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게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사운드 부호화 방식에 따라 상기 코드 값을 부호화한 사운드코드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고유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상기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송부(360)는 상기 코드 값을 주기적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360)가 코드 값을 주기적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전송하는 것은, 상기 코드 값을 인식하는 단말기(200)로 하여금 상기 코드 값에 포함된 고유코드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모듈(300)은,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는 사운드 송출부(310)와,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예컨대, 해시알고리즘, 난수알고리즘 등)에 이용하여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사운드 신호에 포함시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적 씨드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3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운드모듈(300)은,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생성부(350)와,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355)와,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상기 코드 값을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를 송출시켜 상기 단말기(200)로 상기 코드 값을 전송하는 전송부(360)를 구비하고,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메모리부(315)에 저장하는 저장부(3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345)는 상기 사용자 조작부(325)를 통해 정적 씨드 값을 입력받아 상기 메모리부(315)에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이 제작되는 시점에 지정된 관리프로그램으로부터 정적 씨드 값을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315)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345)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제작 시점에 상기 정적 씨드 값을 수신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내장된 소정의 통신기능을 통해 상기 정적 씨드 값을 수신하여 상기 메모리부(315)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350)는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코드생성알고리즘(예컨대, 해시알고리즘, 난수알고리즘 등)을 구비하며, 주기적 또는 지정된 이벤트에 의해 상기 저장된 정적 씨드 값을 확인하고 동적으로 결정되는 동적 씨드 값(예컨대, 시간 값 등)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제1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350)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내장된 타이머(도시생략)를 통해 시간 값을 확인하고, 상기 시간 값(또는 시간 값을 씨드 값 형태로 가공한 값)을 상기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동적 씨드 결정 방식에 따르면, 상기 생성부(350)는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사운드모듈(300) 주변의 지정된 장치(예컨대, POS단말, 컴퓨터, 단말기 등)로부터 소정의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동적 값(예컨대, 시간 값 또는 난수 값 등)을 수신하여 동적 씨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생성부(350)는 상기 확인된 정적 씨드 값과 동적 씨드 값 중 하나 이상의 씨드 값을 상기 코드생성알고리즘(예컨대, MD4, MD4, SHA 등의 해시알고리즘)에 대입하여 지정된 코드체계(예컨대, 코드 길이, 자릿수, 코드 구조 등)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생성부(350)는 지정된 난수알고리즘을 통해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부(355)는 지정된 사운드 부호화 방식에 따라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생성부(350)를 통해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부호화시킨다.
본 발명의 제1 사운드 부호화 방식에 따르면, 상기 부호화부(355)는 상기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부호화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DTMF 신호에 부호화할 수 있다. 상기 DTMF 부호화 규칙은 저주파 영역(예컨대, 697Hz, 770Hz, 852Hz, 941Hz)의 사운드 주파수와 고주파 영역(예컨대, 1209Hz, 1336Hz, 1477Hz, 1633Hz)의 사운드 주파수를 조합하여 ‘1’~’9’, ‘0’, ‘#’, ‘*’ 등을 부호화하는 규칙의 총칭으로서, 상기 부호화부(355)는 ‘1’~’9’, ‘0’, ‘#’, ‘*’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이루어진 코드 값을 상기 DTMF 신호에 부호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사운드 부호화 방식에 따르면, 상기 부호화부(355)는 사운드코드 부호화 규칙을 이용하여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송출된 사운드 신호에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부호화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코드 부호화 규칙은 지정된 사운드 엔코딩 규칙에 따라 엔코딩된 사운드 데이터의 비트 열에 지정된 부호화 데이터의 비트 열을 삽입하여 부호화하는 규칙의 총칭으로서, 상기 부호화부(355)는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송출될 사운드 신호의 엔코딩 규칙에 부합하는 사운드 확산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사운드 확산 코드에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의 비트 열을 삽입하여 상기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운드코드는 상기 사운드 확산 코드의 의사 잡음(Pseudo Noise) 영역에 상기 비트 열을 삽입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사운드코드는 인간의 인지 능력으로 인지할 수 없게 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360)는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상기 제1 사운드 부호화 방식에 따라 상기 코드 값을 부호화한 DTMF 신호 형태의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게 제어하거나, 또는 상기 제2 사운드 부호화 방식에 따라 상기 코드 값을 부호화한 사운드코드에 대응하는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게 제어함으로써,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상기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송부(360)는 상기 코드 값을 주기적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360)가 코드 값을 주기적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지정된 횟수만큼 반복 전송하는 것은, 상기 코드 값을 인식하는 단말기(200)로 하여금 상기 코드 값에 포함된 일회용코드를 인식할 확률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모듈(300)은,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는 사운드 송출부(310)와, 상기 메모리부(315)에 저장된 고유코드와 지정된 코드생성알고리즘에 이용하여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사운드 신호에 포함시켜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일회용코드를 생성하기 위한 정적 씨드 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3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 방법에 따른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사운드모듈(300)은, 상기 메모리부(315)에 지정된 고유코드를 저장하는 저장부(345)와, 지정된 코드체계의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생성부(350)와,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송출될 사운드 신호에 상기 메모리부(315)에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값을 부호화하는 부호화부(355)와, 상기 사운드 송출부(310)를 통해 상기 코드 값을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를 송출시켜 상기 단말기(200)로 상기 코드 값을 전송하는 전송부(360)를 구비하고, 상기 저장부(345)는 상기 일회용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정적 씨드 값을 메모리부(315)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모듈에 대한 인증정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인증모듈에서 사운드모듈(300)의 인증정보를 등록,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인증정보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4를 참조하면, 인증모듈(130)은 가맹점으로 제공될 사운드모듈(300)을 고유 식별하는 고유식별정보를 확인하고(400),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송출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어 포함될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하기 위한 코드 인증 값 및/또는 코드 인증 조건을 포함하는 인증정보를 생성한다(405).
만약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인증정보가 생성되면,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대한 인증정보와 고유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134)에 저장한다(410). 만약 상기 인증모듈(130)이 프로그램화되어 단말기(200)에 구현되는 경우, 상기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34)는 상기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4)일 수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을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사운드모듈(300)을 제공받아 보유한 가맹점을 등록받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가맹점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인증모듈(130)은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의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가맹점이 보유하고 있는 사운드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와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 정보 및 상기 가맹점의 주소 정보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등록정보를 수신한다(500).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가맹점으로 제공 시,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제공받은 가맹점을 검증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데, 상기 가맹점의 단말장치로부터 가맹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가맹점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제공받은 유효한 가맹점인지 검증한다(505).
만약 상기 가맹점이 검증되지 않는다면,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단말장치로 가맹점 미등록 오류를 전송하고(510), 가맹점 등록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도면4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상기 설계 제작된 사운드모듈(300)의 인증정보와 고유식별정보가 매핑 저장되는데,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고유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의 인증정보가 매핑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한다(515).
만약 상기 가맹점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의 인증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단말장치로 사운드모듈(300) 미등록 오류를 전송하고(520), 가맹점 등록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맹점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의 인증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가맹점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이용한 코드 값 인증을 위한 위치 영역 정보를 생성하고(525), 상기 가맹점에서 보유하고 있는 사운드모듈(300)의 인증정보(또는 가맹점에서 보유하고 있는 사운드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와 상기 가맹점 정보 및 위치 영역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134)에 저장한다(530). 만약 상기 인증모듈(130)이 프로그램화되어 단말기(200)에 구현된 경우, 상기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134)는 상기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14)일 수 있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결제금액을 입력받아 결제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본 발명의 제1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라 결제금액에 입력 시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작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코드 값을 인식하는 절차가 수행되게 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제2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라 결제금액을 입력받아 결제를 처리한 후에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작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코드 값을 인식하는 절차가 수행되게 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결제금액 입력 및 결제 처리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결제모듈(100)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정전식 터치스크린 상에 결제금액을 입력받기 위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600). 만약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금액이 입력되면, 상기 결제모듈(100)은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을 입력 처리한다(605). 본 발명의 제1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시 도면8에 도시된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작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코드 값을 인식하는 과정이 개시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시, 상기 결제모듈(100)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결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결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결제금액이 입력된 단말기(200)의 사용자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610). 만약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가 처리되면, 상기 결제모듈(100)은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확인하는데(615), 상기 제2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제 승인 시 도면8에 도시된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작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코드 값을 인식하는 과정이 개시될 수 있다. 만약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가 승인되지 않으면, 상기 결제모듈(100)은 결제 오류를 출력한다(620).
한편,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전에 상기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무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한 하나 이상의 사운드모듈(300)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된 식별정보 중 어느 한 사운드모듈(300)을 선택받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은 상기 선택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 중 수신 신호 강도가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하나 이상의 사운드모듈(300)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표시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된 식별정보 중 어느 한 사운드모듈(300)을 선택받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은 상기 선택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송출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 중 수신 신호 강도가 가장 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지불금액을 입력받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본 발명의 제3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라 결제된 결제금액 중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을 입력받아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작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코드 값을 인식하는 절차가 수행되게 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지불금액 입력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7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결제금액이 입력되고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가 승인된 경우, 결제모듈(100)은 상기 결제금액이 승인된 후 즉시(또는 일정 기간 경과 후 가맹점의 지불결제 시) 상기 정전식 터치스크린 상에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을 입력받기 위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700). 만약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금액이 입력되면, 상기 결제모듈(100)은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불금액을 입력 처리한다(705). 본 발명의 제3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불금액 입력 시 도면9에 도시된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작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코드 값을 인식하는 과정이 개시될 수 있다.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인식모듈을 통해 사운드모듈의 코드 값을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인식모듈(110)이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어 포함된 코드 값을 인식하여 상기 사운드 신호를 송출한 사운드모듈(300)이 특정한 가맹점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인지 인증 요청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코드 값 인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인식모듈(110)은 단말기(200)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활성화 시키다(800). 상기 사운드 신호의 부호화 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이 이미 활성화된 경우 상기 과정은 생략 가능하다.
상기 단말기(200)에 구비된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부호 정보를 인식하고(805), 상기 사운드 신호로부터 인식된 부호 정보를 판독하여 기 설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을 인식한다(810).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값은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를 포함하거나,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생성된 일회용코드를 포함하거나,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저장된 고유코드와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통해 생성된 일회용코드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어 포함된 코드 값이 인식되면, 상기 인식모듈(110)은 지정된 코드구조를 통해 상기 사운드 신호를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을 판독하여 가맹점에서 보유 가능한 사운드모듈(300)에서 송출 가능한 코드구조를 포함하는지 확인한다(815). 만약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이 가맹점의 사운드모듈(300)에서 송출 가능한 코드구조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폐기하고(820),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기 설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을 인식하는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이 가맹점의 사운드모듈(300)에서 송출 가능한 코드구조를 포함한다면,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포함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단말기(200)의 고유정보,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더 포함하는 인증 요청 정보를 구성하고(825), 상기 구성된 인증 요청 정보를 지정된 인증모듈(130)로 제공한다(830).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사운드모듈의 코드 값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상기 도면8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이 특정한 가맹점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인지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코드 값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9의 인증 과정(또는 일부 과정)은 단말기(2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인증모듈(130)은 상기 도면8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인식모듈(110)로부터 제공된 인증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900),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코드 값을 확인하며(905),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상기 단말기(200)의 고유정보, 상기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 상기 사운드모듈(300)을 보유한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더 확인할 수 있다(905).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도면4 또는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사운드모듈(300)의 인증정보 중 상기 코드 값과 매칭되는 유일한 인증정보를 확인함으로써(910a),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값 중에 사운드모듈(300)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고유코드를 식별수단으로 사용하여 상기 코드 값과 매칭되는 유일한 인증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인증 요청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 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도면4 또는 도면5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등록된 사운드모듈(300)의 인증정보 중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할 인증정보(또는 인증정보의 그룹)를 선별하고 상기 선별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910b).
만약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사운드모듈(300)에 대한 인증 실패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코드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91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930).
만약 상기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이 인증되면,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코드 값의 인증 성공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을 포함하는 코드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92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930). 또는, 상기 인증모듈(130)은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 성공한 인증정보와 매칭된 사운드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확인하고(920), 상기 코드 값의 인증 성공에 대응하는 인증 결과 값과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 및/또는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92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930).
도면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불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본 발명의 제1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와 사용자의 단말기(200)에서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작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입력되는 코드 값 인증 확인 시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개시하는 제1 지불결제 실시예를 조합한 지불결제 과정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지불결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본 도면10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각 모듈 중 주체가 되는 어느 한 모듈의 동작 과정을 도시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도면1의 설명을 근거로 상기 주체에 대응하는 모듈의 동작을 근거로 이와 연동하는 모듈의 동작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모든 동작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예 외에 다른 실시예의 일부와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인식모듈(110)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1000),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 인증 결과에 포함된 인증 결과 값을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었는지 확인한다(1005). 만약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지 않았다면,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코드 값 인증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1010).
한편 상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특정한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면, 상기 인식모듈(110)은 제1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운영모듈(170)과 연동하여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제1 내지 제2 결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실시예를 근거로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1015).
상기 운영모듈(170)을 통해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가 처리되면, 상기 결제모듈(100)은 상기 운영모듈(170)을 통해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승인을 확인한다(1020). 만약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가 승인되지 않으면, 상기 결제모듈(100)은 결제 오류를 출력한다(1025).
한편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가 승인되면, 상기 지불모듈(160)은 운영모듈(170)과 연동하여 상기 결제된 결제금액을 통해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1030). 만약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가 처리되면, 상기 지불모듈(160)은 상기 운영모듈(170)로부터 지불결제 결과를 확인하여 출력한다(1035). 한편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지불결제 결과를 가맹점 측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가맹점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해 수행된 지불결제의 결과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불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본 발명의 제2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와 사용자의 단말기(200)에서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작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입력되는 코드 값 인증 확인 시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개시하는 제1 지불결제 실시예를 조합한 지불결제 과정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지불결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본 도면11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각 모듈 중 주체가 되는 어느 한 모듈의 동작 과정을 도시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도면1의 설명을 근거로 상기 주체에 대응하는 모듈의 동작을 근거로 이와 연동하는 모듈의 동작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모든 동작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예 외에 다른 실시예의 일부와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인식모듈(110)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코드 값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1100), 상기 코드 값 인증 결과에 포함된 인증 결과 값을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었는지 확인한다(1105). 만약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지 않았다면,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코드 값 인증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1110).
한편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면, 상기 지불모듈(160)은 제2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운영모듈(170)과 연동하여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결제된 결제금액을 통해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1115). 만약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가 처리되면, 상기 지불모듈(160)은 상기 운영모듈(170)로부터 지불결제 결과를 확인하여 출력한다(1120). 한편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지불결제 결과를 가맹점 측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가맹점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해 수행된 지불결제의 결과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불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2는 본 발명의 제3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와 사용자의 단말기(200)에서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작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입력되는 코드 값 인증 확인 시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개시하는 제1 지불결제 실시예를 조합한 지불결제 과정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지불결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본 도면12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각 모듈 중 주체가 되는 어느 한 모듈의 동작 과정을 도시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도면1의 설명을 근거로 상기 주체에 대응하는 모듈의 동작을 근거로 이와 연동하는 모듈의 동작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모든 동작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도면12에 도시된 실시예 외에 다른 실시예의 일부와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2를 참조하면, 인식모듈(110)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코드 값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1200), 상기 코드 값 인증 결과에 포함된 인증 결과 값을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었는지 확인한다(1205). 만약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지 않았다면,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코드 값 인증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1210).
한편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면, 상기 지불모듈(160)은 제3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운영모듈(170)과 연동하여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결제된 결제금액 중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지불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1215). 만약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가 처리되면, 상기 지불모듈(160)은 상기 운영모듈(170)로부터 지불결제 결과를 확인하여 출력한다(1220). 한편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지불결제 결과를 가맹점 측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가맹점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해 수행된 지불결제의 결과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지불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3은 본 발명의 제4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와 사용자의 단말기(200)에서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이 부호화된 사운드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작된 사운드모듈(300)로부터 입력되는 코드 값 인증 확인 시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개시하는 제1 지불결제 실시예를 조합한 지불결제 과정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지불결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본 도면13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각 모듈 중 주체가 되는 어느 한 모듈의 동작 과정을 도시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도면1의 설명을 근거로 상기 주체에 대응하는 모듈의 동작을 근거로 이와 연동하는 모듈의 동작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모든 동작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도면13에 도시된 실시예 외에 다른 실시예의 일부와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3을 참조하면, 상기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상기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면, 상기 인증모듈(130)은 제1 내지 제4 결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운영모듈(170)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를 요청하고(1300),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결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x05).
만약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가 처리되면,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인증모듈(130)로 상기 결제 절차에 대한 결제처리 결과를 제공하고(1310), 상기 인증모듈(130)은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을 인증한 인증 결과를 포함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인증된 사운드모듈(300)의 고유식별정보와 가맹점 정보(또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코드 값 특성 인증 결과에 상기 결제처리 결과를 더 포함하는 코드 값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31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1320).
상기 단말기(200)의 인식모듈(110)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코드 값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1325), 상기 코드 값 인증 결과에 포함된 인증 결과 값을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었는지 확인한다(1330). 만약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지 않았다면,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코드 값 인증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1335).
한편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면,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코드 값 인증 결과의 결제처리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가 승인되었는지 확인한다(1340). 만약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가 승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오류를 출력한다(1345).
한편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고,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가 승인된 경우, 상기 지불모듈(160)은 지정된 운영모듈(170)과 연동하여 상기 결제된 결제금액을 통해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1350). 만약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가 처리되면, 상기 지불모듈(160)은 상기 운영모듈(170)로부터 지불결제 결과를 확인하여 출력한다(1355). 한편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지불결제 결과를 가맹점 측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가맹점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해 수행된 지불결제의 결과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1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지불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4는 본 발명의 제4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와 운영모듈(170)에서 결제금액의 결제와 연동하여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제2 지불결제 실시예를 조합한 지불결제 과정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지불결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본 도면14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각 모듈 중 주체가 되는 어느 한 모듈의 동작 과정을 도시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도면1의 설명을 근거로 상기 주체에 대응하는 모듈의 동작을 근거로 이와 연동하는 모듈의 동작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모든 동작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도면14에 도시된 실시예 외에 다른 실시예의 일부와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상기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면, 상기 인증모듈(130)은 제1 내지 제4 결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실시예에 따라 지정된 운영모듈(170)로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를 요청하고(1400),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결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1405).
만약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가 처리되면,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가 승인되었는지 확인한다(1410). 만약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가 승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운영모듈(170)은 지정된 경로를 통해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오류를 제공하고(1415), 상기 결제 오류는 지정된 경로를 통해 단말기로 수신 및 출력된다.
한편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가 승인되면,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결제 승인된 결제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1420). 만약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가 처리되면, 상기 운영모듈(170)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지불결제 처리의 지불결제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제공함(1425)과 동시에, 상기 지불결제 결과를 가맹점 측 단말로 제공(1425)함으로써, 가맹점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해 수행된 지불결제의 결과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면15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지불결제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5는 본 발명의 제5 결제-사운드 연동 실시예와 운영모듈(170)에서 결제금액의 결제와 연동하여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제2 지불결제 실시예를 조합한 지불결제 과정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지불결제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본 도면15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각 모듈 중 주체가 되는 어느 한 모듈의 동작 과정을 도시하여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도면1의 설명을 근거로 상기 주체에 대응하는 모듈의 동작을 근거로 이와 연동하는 모듈의 동작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모든 동작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도면15에 도시된 실시예 외에 다른 실시예의 일부와 부분적으로 조합하는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5를 참조하면, 인식모듈(110)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코드 값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1500), 상기 코드 값 인증 결과에 포함된 인증 결과 값을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200)의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었는지 확인한다(1505). 만약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지 않았다면, 상기 인식모듈(110)은 상기 코드 값 인증에 대한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1510).
한편 상기 사운드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이 상기 사운드모듈(300)의 코드 값과 매칭 인증되면, 상기 결제모듈(100)(또는 인식모듈(110))은 지정된 운영모듈(170)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결제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결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도면6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를 요청하고(1515),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결제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단말기(200)를 통해 입력된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1520).
만약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가 처리되면,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가 승인되었는지 확인한다(1525). 만약 상기 결제금액의 결제가 승인되지 않은 경우, 상기 운영모듈(170)은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결제 오류를 제공한다(1525).
한편 상기 결제금액에 대한 결제가 승인되면, 상기 운영모듈(170)은 상기 결제 승인된 결제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1535). 만약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가 처리되면, 상기 운영모듈(170)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지불결제 처리의 지불결제 결과를 사용자의 단말기(200)로 제공함(1540)과 동시에, 상기 지불결제 결과를 가맹점 측 단말로 제공(1540)함으로써, 가맹점으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200)를 통해 수행된 지불결제의 결과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100 : 결제모듈 102 : 인터페이스 표시부
104 : 금액 입력부 106 : 결제 절차 수행부
108 : 결제 승인 확인부 110 : 인식모듈
112 : 사운드 인식 활성화부 114 : 코드 값 인식부
116 : 코드 값 판독부 118 : 인증 절차부
120 : 인증결과 처리부 125 : 서버
130 : 인증모듈 132 : 인증정보 저장부
134 : 저장매체 136 : 인증 요청 수신부
138 : 위치 정보 확인부 142 : 코드 값 인증부
144 : 인증 결과 제공부 155 : 운영서버
160 : 지불모듈 162 : 금액 확인부
164 : 가맹점 확인부 166 : 지불결제 요청부
168 : 지불결과 확인부 170 : 운영모듈
172 : 결제 처리 절차부 174 : 지불요청 확인부
176 : 지불결제 절차부 180 : 결제 시스템
185 : 가맹점 측 단말
200 : 단말기

Claims (29)

  1.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를 구비를 구비한 사용자의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을 부호화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작된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금액을 포함하는 결제금액을 입력받기 위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제1 단계;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시 또는 후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인식된 코드 값이 특정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는 코드 값인지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특정한 사운드모듈의 코드 값으로 인증 시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코드 값을 인식한 단말기의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상기 결제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전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시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 하나 이상의 사운드모듈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식별정보 중 어느 한 사운드모듈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은, 상기 선택된 사운드모듈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을 식별하는 가맹점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시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 중 수신 신호 강도가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인 하나 이상의 사운드모듈을 식별하는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된 식별정보 중 어느 한 사운드모듈을 선택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은, 상기 선택된 사운드모듈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시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 중 수신 신호 강도가 가장 큰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코드 값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결제금액을 지정된 계좌로 입금하기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계좌는,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위해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결제금액을 관리하는 사업자의 계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계좌는,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위해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결제금액을 관리하는 사업자의 계좌를 모계좌로 하는 가상계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금액이 상기 지정된 계좌로 입금된 후에 상기 결제금액 중 상기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을 지정 입력받기 위한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지불금액 입력 시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 하여 인식된 코드 값이 특정한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한 사운드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는 코드 값인지 인증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수행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특정한 사운드모듈의 코드 값으로 인증 시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코드 값을 인식한 단말기의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상기 결제금액 중 상기 입력된 지불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액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결제금액 입력 후에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포함된 코드 값을 특정한 가맹점의 사운드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는 코드 값으로 인증 시 상기 단말기의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상기 가맹점의 계좌로 상기 결제금액을 입금하기 위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12. 제 1항 또는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금액은,
    상기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13.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금액은,
    상기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 이상의 금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14. 제 1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금액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임의의 금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15.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금액은,
    상기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에 지불할 지불금액 중 일부의 금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16.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절차는,
    결제 시스템 상의 지정된 저장수단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 정보를 추출하여 결제에 이용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17.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단말기의 지정된 저장수단에 등록된 사용자의 결제수단 정보를 추출하여 결제에 이용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18.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단말기와 인터페이스 가능한 사용자의 매체로부터 독출 가능한 사용자의 결제수단 정보를 이용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판독하여 가맹점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 가능한 사운드모듈에서 출력 가능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을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값은,
    상기 사운드모듈에 고유 저장된 고유코드,
    상기 사운드모듈에 통해 생성된 일회용코드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절차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된 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활성화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절차는,
    상기 사운드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운드 신호에 오프라인 매장에서 보유 가능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절차는,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지정된 인증모듈로 제공하여 인증 요청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24.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특정한 사운드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는 코드 값으로 인증하기 전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25.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특정한 사운드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는 코드 값으로 인증하는 절차와 연계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26.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특정한 사운드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는 코드 값으로 인증된 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27.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는,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 절차와 분리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28.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의 지불결제는,
    상기 입력된 결제금액의 결제 절차와 연계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29.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는 사운드 입력부를 구비를 구비한 사용자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를 통해 실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지정된 코드체계의 코드 값을 포함하는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작된 사운드모듈로부터 상기 단말기의 사운드 입력부로 입력된 사운드 신호를 선택적으로 판독하여 코드 값이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특정한 사운드모듈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신호에 부호화되는 코드 값으로 인증되는 경우, 상기 사운드모듈로부터 출력된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은 단말기를 통해 입력되어 상기 사용자의 결제수단을 통해 결제된 결제금액을 확인하는 제1 단계;
    상기 인식된 코드 값을 특정한 사운드모듈의 코드 값으로 인증 시 상기 인증된 사운드모듈을 보유한 가맹점을 확인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결제금액을 이용하여 상기 확인된 가맹점의 지불결제를 처리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KR1020140187092A 2014-12-23 2014-12-23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KR201600774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092A KR20160077467A (ko) 2014-12-23 2014-12-23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092A KR20160077467A (ko) 2014-12-23 2014-12-23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302A Division KR20170042534A (ko) 2017-04-10 2017-04-10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KR1020170046301A Division KR20170042533A (ko) 2017-04-10 2017-04-10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467A true KR20160077467A (ko) 2016-07-04

Family

ID=5650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092A KR20160077467A (ko) 2014-12-23 2014-12-23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74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7530A1 (ko) * 2017-02-13 2018-08-16 모비두 주식회사 음파를 이용한 식별정보와 구매자의 동적코드를 맵핑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KR20190075649A (ko) * 2017-12-21 2019-07-01 박행운 단말 장치를 이용한 자판기의 물품 결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7530A1 (ko) * 2017-02-13 2018-08-16 모비두 주식회사 음파를 이용한 식별정보와 구매자의 동적코드를 맵핑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JP2020507877A (ja) * 2017-02-13 2020-03-12 モビドゥ シーオー.,エルティーディー 音波を用いた識別情報と購入者の動的コードをマッピングするモバイル決済システム
US11037130B2 (en) 2017-02-13 2021-06-15 Mobidoo Co., Ltd. Mobile payment system for mapp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dynamic code of buyer using sound wave
KR20190075649A (ko) * 2017-12-21 2019-07-01 박행운 단말 장치를 이용한 자판기의 물품 결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8789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접촉식 모바일 결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데이터 처리방법
KR2016007746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KR20160077467A (ko)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KR20170032272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접촉식 모바일 결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데이터 처리방법
KR20160059588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KR20170033832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접촉식 모바일 결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데이터 처리방법
KR20170042533A (ko)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KR20170042534A (ko)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KR20180088782A (ko) 자율적 현장 결제 방법
KR20160077461A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KR20160059589A (ko) 사운드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KR20150129340A (ko)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KR20160059587A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오프라인 매장의 선결제 쿠폰 운영 방법
KR20180006590A (ko)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86361A (ko) 역방향 독립형 결제 방법
KR20180017263A (ko) 음파장치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86363A (ko) 역방향 독립형 결제 방법
KR20180004351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04356A (ko) 무선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17287A (ko) 음파장치를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86359A (ko) 역방향 독립형 결제 방법
KR20180017313A (ko) 음파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을 이용한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KR20180086360A (ko) 역방향 독립형 결제 방법
KR20180086357A (ko) 역방향 독립형 결제 방법
KR20180086366A (ko) 역방향 독립형 결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