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29340A -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29340A
KR20150129340A KR1020140055851A KR20140055851A KR20150129340A KR 20150129340 A KR20150129340 A KR 20150129340A KR 1020140055851 A KR1020140055851 A KR 1020140055851A KR 20140055851 A KR20140055851 A KR 20140055851A KR 20150129340 A KR20150129340 A KR 20150129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nfc
transac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8468B1 (ko
Inventor
김재형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140055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846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9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9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8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8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은, NFC모듈을 구비한 둘 이상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NFC모듈에 NFC매체를 근접시키는 태깅(Tagging)을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와 연동하여 상기 NFC매체가 제1 태깅된 NFC모듈을 구비한 제1 단말기를 식별하고,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가 제2 태깅된 NFC모듈을 구비한 제2 단말기를 식별하는 제1 단계와, NFC매체 태깅을 이용하여 식별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중 일 측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Transaction Between Device by using NFC Tagging}
본 발명은 NFC모듈을 구비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각 NFC모듈에 동일한 NFC매체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태깅된 경우, 상기 NFC매체 태깅을 인증하는 절차와 연동하여 상기 NFC매체가 태깅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를 식별하고, 상기 NFC매체 태깅을 이용하여 식별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중 일 측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로 전달하여 상기 NFC매체가 태깅 인증된 단말기 간 거래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NFC매체를 거래 당사자의 각 단말기에 구비된 정전식 NFC모듈에 태깅하여 단말기 간 결제 처리를 위한 식별수단 및/또는 인증수단으로 이용하는 서비스가 개시된다.
한편 오프라인 상점에서의 전자 결제의 경우, 사용자가 카드를 제시하면 이를 이용하여 결제 처리하는 방식이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최근 사용자의 휴대폰을 결제수단처럼 이용하여 결제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휴대폰을 결제수단처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휴대폰 전화번호를 상점의 단말장치에 입력하여 상호 연동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휴대폰과 상점의 단말장치가 근거리(또는 근접 거리)에서 상호 인식하고 결제자를 특정하여 통신 연결해야 하는 복잡한 절차를 지니고 있어 활성화되기에 난해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NFC모듈을 구비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의 각 NFC모듈에 동일한 NFC매체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태깅된 경우, 상기 NFC매체 태깅을 인증하는 절차와 연동하여 상기 NFC매체가 태깅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를 식별하고, 상기 NFC매체 태깅을 이용하여 식별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중 일 측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로 전달하여 상기 NFC매체가 태깅 인증된 단말기 간 거래가 제공되도록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은, NFC모듈을 구비한 둘 이상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NFC모듈에 NFC매체를 근접시키는 태깅(Tagging)을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와 연동하여 상기 NFC매체가 제1 태깅된 NFC모듈을 구비한 제1 단말기를 식별하고,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가 제2 태깅된 NFC모듈을 구비한 제2 단말기를 식별하는 제1 단계와, NFC매체 태깅을 이용하여 식별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중 일 측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거래정보는 결제정보, 금융거래정보, 가치정보, 전자자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은,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중 상기 NFC매체가 먼저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NFC매체가 먼저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NFC매체가 먼저 태깅된 제1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제1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NFC매체가 먼저 태깅된 제2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제2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은,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중 상기 NFC매체가 나중에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NFC매체가 나중에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NFC매체가 나중에 태깅된 제1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제1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NFC매체가 나중에 태깅된 제2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제2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은,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중 상기 거래정보가 로드된 일 측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거래정보가 로드된 일 측의 단말기에서 다른 일 측 단말기로 상기 로드된 거래정보가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거래정보가 로드된 제1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제1 단말기에서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로 상기 로드된 거래정보가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거래정보가 로드된 제2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제2 단말기에서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로 상기 로드된 거래정보가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은,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중 상기 태깅된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태깅된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의 제1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보유자의 제1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태깅된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의 제2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된 보유자의 제2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은,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중 상기 태깅된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 외에 다른 일 측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보유자의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태깅된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의 제1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보유자의 제1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태깅된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의 제2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보유자의 제2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은, NFC매체를 보유하고 있는 보유자를 식별하는 보유자 정보와 상기 보유자의 NFC매체를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은, 상기 NFC매체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단말기의 NFC모듈에 상기 NFC매체를 태깅하는 시점에 동적 생성되는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드 값은 상기 NFC매체를 식별하는 식별코드, 또는 상기 NFC매체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단말기의 NFC모듈에 상기 NFC매체를 태깅하는 시점에 동적 생성되는 인증코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코드 값이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NFC매체로부터 인식되는 코드 값에 포함되어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NFC매체로부터 상기 코드 값을 인식한 단말기의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증 절차는 상기 NFC매체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증 절차는 상기 NFC매체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와 상기 단말기의 NFC모듈에 상기 NFC매체를 태깅하는 시점에 동적 생성되는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은, NFC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NFC모듈에 태깅된 NFC매체를 인식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기의 고유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은, 상기 NFC매체가 태깅된 NFC모듈을 구비한 단말기와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은,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인증받은 NFC매체가 태깅된 NFC모듈을 구비한 단말기 간 거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토큰을 교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토큰은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가 태깅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에 동일한 토큰이 할당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은,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인증받은 NFC매체가 태깅된 NFC모듈을 구비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래정보를 이용한 거래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은,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인증받은 NFC매체가 태깅된 NFC모듈을 구비한 단말기를 로부터 수신된 거래정보에 대한 거래처리 결과를 확인하는 제3 단계와, 상기 거래정보를 전송한 단말기로 상기 확인된 거래처리 결과를 제공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래 당사자(예컨대, 고객과 상점)가 NFC모듈을 구비한 단말기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거래 당사자 중 일 측(예컨대, 상점)이 보유하고 있는 NFC매체를 일정 시간 내에 거래 당사자의 단말기(예컨대, 상점의 단말기와 고객의 단말기)에 구비된 NFC모듈에 태깅하는 직관적 행위를 통해 거래 당사자를 자동으로 식별하고 상점의 단말기로부터 고객의 단말기로 거래정보를 제공하여 거래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래 당사자(예컨대, 개인과 개인 또는 개인과 기업)가 NFC모듈을 구비한 단말기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 상기 거래 당사자 중 일 측(또는 제3자 포함)이 보유한 NFC매체를 일정 시간 내에 각 단말기의 NFC모듈에 태깅하는 직관적 행위를 통해 거래 당사자를 자동으로 식별하고 거래정보를 교환하여 식별된 거래 당사자 간 거래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거래 당사자의 단말기에 구비된 NFC모듈에 순차적으로 NFC매체를 태깅하는 행위를 통해 거래정보 교환 및 이를 이용한 거래 흐름을 직관적으로 제어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NFC 태깅을 이용하여 단말기 간 거래를 처리하는 시스템 구성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NFC매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단말기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NFC매체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NFC모듈을 구비한 단말기(또는 사용자)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NFC모듈을 구비한 단말기의 프로그램에서 NFC매체를 이용한 NFC 태깅을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NFC모듈에 태깅된 NFC매체를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른 NFC 태깅 인증 기반 거래정보 교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와 도 1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른 NFC 태깅 인증 기반 거래정보 교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와 도 1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른 NFC 태깅 인증 기반 거래정보 교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NFC 태깅 인증을 통해 교환된 거래정보를 이용한 거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수 많은 실시예 중에 바람직한 합집합 형태의 실시예 예에 해당하며, 하기의 실시예에서 특정 구성(또는 단계)를 생략하는 실시예, 또는 특정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특정 구성(또는 단계)로 분할하는 실시예, 또는 둘 이상의 구성(또는 단계)에 구현된 기능을 어느 하나의 구성(또는 단계)에 통합하는 실시예, 특정 구성(또는 단계)의 동작 순서를 교체하는 실시예 등은, 하기의 실시예에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또한 하기의 실시예에서 서버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단말 측에 구현하고 서버 측에서 이를 참조하는 실시예, 또는 반대로 하기의 실시예에서 단말 측에 구현되는 특정 구성부를 서버 측에 구현하고 단말에서 이를 이용하는 실시예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따라서 하기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부분집합 또는 여집합에 해당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출원일을 소급받아 분할될 수 있음을 분명하게 명기하는 바이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면1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NFC 태깅을 이용하여 단말기(300) 간 거래를 처리하는 시스템 구성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NFC모듈(310)을 구비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의 각 NFC모듈(310)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태깅된 경우, 상기 NFC매체(200) 태깅을 인증하는 절차와 연동하여 상기 NFC매체(200)가 태깅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를 식별하고, 상기 NFC매체(200) 태깅을 이용하여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일 측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300)로 전달하여 상기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단말기(300) 간 거래가 제공되도록 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단말기(300)의 NFC모듈(310)에 근접시켜 기 설계된 바에 따라 코드 인식을 제공하게 제작된 NFC매체(200)와, 상기 NFC매체(200)를 태깅 가능한 NFC모듈(310)을 구비한 사용자의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편의상 단말기(300)의 NFC모듈(310)에 NFC매체(200)를 근접시켜 인식시키는 것을 ‘NFC 태깅’이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상기 단말기(300)는 NFC모듈(310)을 구비한 장치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무선단말(예컨대, NFC모듈(310)을 구비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지시하는 단말기(300)가 상기 무선단말로만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NFC모듈(310)을 구비한 어떠한 장치(예컨대, 노트북, 스마트TV, 네비게이션장치 등)라도 포함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NFC매체(200)는 상기 단말기(300)에 구비된 NFC모듈(310)에 근접시켜 태깅 가능한 안테나와 칩을 구비한 매체의 총칭으로서, 사람의 손에 쥐고 NFC모듈(310)에 태깅 가능한 물건에 탑재되거나 또는 그와 같은 물건의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NFC매체(200)를 보유하고 있는 사람, 오프라인 상점, 가맹점, 기관, 기업 등을 통칭하여 ‘보유자’라고 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보유자의 NFC매체(200)는 상기 보유자를 식별 및/또는 인증하는 수단, 상기 NFC 태깅을 이용하여 제공할 단말기(300) 간 거래 서비스를 식별 및/또는 인증하는 수단, 상기 단말기(300) 간 거래 서비스(예컨대, 카드결제, 전자결제, 금융거래, 전자자금거래 등)를 위해 교환되는 거래정보를 식별 및/또는 인증하는 수단, 상기 교환된 거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300) 간 거래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 상기 거래 서비스를 식별 및/또는 인증하는 수단, 상기 단말기(300) 간 거래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대상(예컨대, 거래수단(예: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선불카드, 상품권, 계좌 등), 각종 카드(예: 거래수단을 구비한 카드, 멤버쉽 카드 등), 할인쿠폰, 가치적립수단(예: 포인트 적립계정, 포인트 카드 등) 등)을 식별 및/또는 인증하는 수단 중,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NFC 태깅 인식/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NFC 태깅을 이용한 NFC 태깅 인식 절차는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를 통해 수행되고, NFC 태깅 인증 절차는 상기 단말기(300)와 연계된 네트워크 상의 서버를 통해 구현된 인증 시스템(40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300)는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을 인식하고, 상기 코드 값을 포함하는 태깅 특성 정보를 구성한 후,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태깅 특성 정보는 지정된 경로를 통해 인증 시스템(400)이 구현된 네트워크 상의 서버로 수신된다. 이하, 편의상 상기 인증 시스템(400)을 구현한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조합)을 ‘운영서버(100)’라고 한다. 상기 태깅 특성 정보는 상기 단말기(300)와 운영서버(100) 간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100)로 수신되거나, 또는 지정된 서비스제공서버(105)를 경유하는 중계경로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100)로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운영서버(100)는 네트워크 상에서 인증 시스템(400)을 구현하는 서버(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조합)의 총칭으로서,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인식되는 코드 값을 인증하기 위한 식별코드 및/또는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매체(410)를 포함(또는 연동)한다.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저장매체(410)에 연동하는 구성,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300)와 연동하는 구성, NFC 태깅을 인증하는 NFC 태깅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구성, NFC 태깅과 연동하는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구성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구성은 하나의 서버를 통해 구현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서버에 분산 구형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NFC매체(200)를 이용한 태깅 특성이 기 등록된 NFC매체(200)의 태깅 특성과 매칭된다면,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기 등록된 복수의 NFC매체(200) 중에서 상기 매칭된 보유자의 NFC매체(200)가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된 것으로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식별된 보유자의 NFC매체(200)가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에 태깅된 것으로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태깅 특성 정보를 전송하기 전 또는 중에,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되는 NFC매체(200)의 보유자를 선택(예컨대, NFC 태깅을 위해 특정 보유자의 앱을 구동하거나, 또는 NFC 태깅 앱을 구동한 후 복수의 보유자 중 특정 보유자를 선택)하거나, 및/또는 NFC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300) 간 거래 서비스를 선택한 후,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상기 보유자 또는 서비스(예컨대, 단말기(300) 간 거래 서비스)를 식별하는 대상 식별 값을 포함하여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저장매체(410)에 등록된 복수의 식별코드 및/또는 인증정보 중 상기 대상 식별 값에 대응하는 NFC매체(200)의 식별코드 및/또는 인증정보를 확인한 후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포함된 코드 값을 인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대상 식별 값에 대응하는 NFC매체(200)가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된 것으로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태깅 특성 정보를 이용하여 NFC 태깅을 인증한 하나 이상의 인증 값을 포함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는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단말기(300)로 수신된다.
본 발명의 제2 NFC 태깅 인식/인증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NFC 태깅을 이용한 NFC 태깅 인식 절차와 NFC 태깅 인증 절차는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NFC 태깅 인식/인증 실시예에서 운영서버(100)에 구비된 인증 시스템(400)의 일부(또는 전체) 구성부가 상기 단말기(300) 내에 프로그램화 되어 구현됨으로써, 상기 단말기(300) 내에서 NFC 태깅 인식 절차와 NFC 태깅 인증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는 상기 보유자의 NFC매체(200)가 태깅된 각 단말기(300)에 사이의 거래정보를 교환하거나, 및/또는 상기 교환된 거래정보를 이용한 단말기(300) 간 거래 서비스를 처리하는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전달된다. 상기 제1 NFC 태깅 인식/인증 실시예의 경우,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는 지정된 경로 상에 구현된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2 NFC 태깅 인식/인증 실시예의 경우,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는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을 구현한 네트워크 상의 서버(또는 하나 이상의 서버 조합)을 ‘서비스제공서버(105)’라고 한다. 그러나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이 상기 서비스제공서버(105)에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운영서버(100)에 구현되는 것이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상기 인증 시스템(400)과 서비스 시스템(500)은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되어 NFC 태깅 기반 거래정보 운영 시스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특정 보유자의 NFC 태깅을 이용한 NFC 태깅이 인증 성공한 경우에 NFC모듈(310)을 구비한 복수의 단말기(300) 중에서 상기 특정 보유자의 NFC매체(200)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태깅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를 식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어느 한 단말기(300)는 상기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300)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단말기(300) 또는 제2 단말기(300)가 보유자의 단말기(300)가 아니어도 무방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정 보유자의 NFC 태깅을 이용한 NFC 태깅의 인증 성공 결과를 근거로 상기 NFC매체(200)가 일정 시간 간격으로 태깅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가 식별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NFC 태깅 인증을 이용하여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일 측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하거나, 또는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거래정보 교환 방식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상기 NFC매체(200)가 먼저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NFC매체(200)가 먼저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먼저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나중에 태깅된 다른 일 측의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느낌을 받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NFC매체(200)가 먼저 태깅된 제1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NFC매체(200)가 먼저 태깅된 제2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2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거래정보 교환 방식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상기 NFC매체(200)가 나중에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NFC매체(200)가 나중에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나중에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먼지 태깅된 다른 일 측의 단말기(300)로 수신하거나 수집하는 느낌을 받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NFC매체(200)가 나중에 태깅된 제1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NFC매체(200)가 나중에 태깅된 제2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2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거래정보 교환 방식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상기 거래정보가 로드된 일 측의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거래정보가 로드된 일 측의 단말기(300)에서 다른 일 측 단말기(300)로 상기 로드된 거래정보가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거래정보가 로드된 제1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1 단말기(300)에서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300)로 상기 로드된 거래정보가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거래정보가 로드된 제2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2 단말기(300)에서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300)로 상기 로드된 거래정보가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거래정보 교환 방식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상기 태깅된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태깅된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제1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보유자의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태깅된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제2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보유자의 제2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거래정보 교환 방식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상기 태깅된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300) 외에 다른 일 측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보유자의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태깅된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제1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보유자의 제1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태깅된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제2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보유자의 제2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거래정보 교환 방식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제1 내지 제5 거래정보 교환 방식의 일부를 변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5 거래정보 교환 방식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거래정보 교환 방식(또는 그 일부)를 조합하는 형태로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일 측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간 거래정보 교환은,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일 측의 단말기(300)에서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다른 일 측의 단말기(300)로 일방향 거래정보 전달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일 측의 단말기(300)에서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다른 일 측의 단말기(300)로 일방향 거래정보 교환은 물론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다른 일 측의 단말기(300)에서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일 측의 단말기(300)로의 양방향 거래정보 교환까지도 모두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각 단말기(300) 사이에 교환되는 거래정보는 거래 서비스 종류에 부합하는 거래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상기 거래정보는 결제금액과 판매자정보(또는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포함하거나, 송금인계좌, 이체금액, 수취인계좌 등의 금융거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거래정보는 상기 결제정보와 연계된 가치정보(예컨대, 포인트, 할인쿠폰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래정보는 문자, 이미지, 사운드, 멀티미디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각 단말기(300) 사이에 교환되는 거래정보가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각 단말기(300) 중 상기 제1 내지 제6 거래정보 교환 방식을 통해 거래정보(=결제정보)를 전송하는 측의 단말기(300)는 판매자 또는 가맹점이 보유한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거래정보(=결제정보)를 수신하는 측의 단말기(300)는 구매자의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NFC매체(200)의 보유자는 상기 판매자 또는 가맹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즉, NFC매체(200)의 보유자가 상기 판매자 또는 가맹점인 실시예는 상기 NFC매체(200)의 보유자를 판매자 또는 가맹점으로 자동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만약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각 단말기(300)를 식별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식별된 각 단말기(300) 중 판매자(또는 가맹점)과 구매자를 지정할 수 있다면, 상기 NFC매체(200)는 구매자의 NFC매체(200)거나, 또는 제3자의 NFC매체(200)이더라도 무방하다.
또는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각 단말기(300) 사이에 교환되는 거래정보가 금융거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각 단말기(300) 중 상기 제1 내지 제6 거래정보 교환 방식을 통해 거래정보(=금융거래정보)를 전송하는 측의 단말기(300)는 송금인이 보유한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거래정보(=금융거래정보)를 수신하는 측의 단말기(300)는 수취인의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NFC매체(200)의 보유자는 상기 송금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즉, NFC매체(200)의 보유자가 상기 송금인인 실시예는 상기 NFC매체(200)의 보유자를 송금인으로 자동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만약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각 단말기(300)를 식별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식별된 각 단말기(300) 중 송금인과 수취인을 지정할 수 있다면, 상기 NFC매체(200)는 수취인의 NFC매체(200)거나, 또는 제3자의 NFC매체(200)이더라도 무방하다.
또는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각 단말기(300) 사이에 교환되는 거래정보가 가치 제공/적립을 위한 가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각 단말기(300) 중 상기 제1 내지 제6 거래정보 교환 방식을 통해 거래정보(=가치정보)를 전송하는 측의 단말기(300)는 가치발행처가 보유한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거래정보(=가치정보)를 수신하는 측의 단말기(300)는 고객의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NFC매체(200)의 보유자는 상기 가치발행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즉, NFC매체(200)의 보유자가 상기 가치발행처인 실시예는 상기 NFC매체(200)의 보유자를 가치발행처로 자동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만약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각 단말기(300)를 식별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식별된 각 단말기(300) 중 가치발행처와 고객을 지정할 수 있다면, 상기 NFC매체(200)는 고객의 NFC매체(200)거나, 또는 제3자의 NFC매체(200)이더라도 무방하다.
또는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각 단말기(300) 사이에 교환되는 거래정보가 가치 사용을 위한 가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각 단말기(300) 중 상기 제1 내지 제6 거래정보 교환 방식을 통해 거래정보(=가치정보)를 전송하는 측의 단말기(300)는 고객이 보유한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거래정보(=가치정보)를 수신하는 측의 단말기(300)는 가치사용처의 단말기(30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NFC매체(200)의 보유자는 상기 가치사용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즉, NFC매체(200)의 보유자가 상기 가치사용처인 실시예는 상기 NFC매체(200)의 보유자를 가치사용처로 자동 지정하기 위한 것이며, 만약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각 단말기(300)를 식별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어느 시점에 상기 식별된 각 단말기(300) 중 고객과 가치사용처를 지정할 수 있다면, 상기 NFC매체(200)는 고객의 NFC매체(200)거나, 또는 제3자의 NFC매체(200)이더라도 무방하다.
또는 상기 각 단말기(300) 사이에 교환되는 거래정보가 전자자금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각 단말기(300) 중 상기 제1 내지 제6 거래정보 교환 방식을 통해 거래정보(=전자자금)를 전송하는 측과 수신하는 측의 단말기(300)는 상기 전자자금이 이용되는 용도에 따라 상기 거래정보가 결제정보인 실시예 또는 금융거래정보인 실시예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한 번의 NFC 태깅 인증을 통해 한 번의 일방향(또는 양방향) 거래정보 교환이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포함하여 한 번의 NFC 태깅 인증을 통해 복수의 일방향(또는 양방향) 거래정보 교환이 연계되어 연쇄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들어, 한 번의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단말기(300)들은 결제를 위한 결제정보 교환, 결제정보에 가치 적용을 위한 기 적립된 가치정보 교환, 결제 후에 신규 가치 적립을 위한 가치정보 교환 등이 연계되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한 번의 NFC 태깅 인증을 통해 복수의 일방향(또는 양방향) 거래정보 교환이 연계되어 연쇄적으로 발생하는 실시예도 권리범위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NFC매체(200)가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며,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받은 NFC매체(200)가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와 상기 단말기(300) 간 거래를 위한 식별토큰을 교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에 동일한 토큰을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간 거래는, 상기 제1 또는 제2 단말기(300) 외에 서로 다른 단말기(300) 간 거래, 또는 제1 단말기(300)와 다른 단말기(300) 간 거래, 또는 상기 제2 단말기(300)와 다른 단말기(300) 간 거래 등과 구별될 수 있다.
도면2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NFC매체(2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NFC 기능을 구비하고 단말기(300)의 NFC모듈(310)을 통해 인식 가능한 매체의 기능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2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NFC매체(2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2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NFC매체(200)는 NFC 기능을 구비하고 단말기(300)의 NFC모듈(310)을 통해 인식 가능한 매체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상기 NFC을 위한 칩(205)과 안테나(260)를 구비하며, 카드 형태로 제작되거나 또는 상기 칩(205)과 안테나(260)를 내장한 물건의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NFC매체(200)는, NFC 기능을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245)와, 상기 NFC을 통해 근접거리의 단말기(300)에 구비된 NFC모듈(310)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절차를 제어하는 제어부(210) 및 상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 또는 데이터셋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50)에 대응하는 구성을 집적한 칩(205)을 탑재한다. 한편 상기 NFC매체(200)가 카드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상기 칩(205)은 단말기(300)와의 접촉식 인터페이스를 형성하는 인터페이스부(255)를 더 구비하며, 상기 NFC매체(200)의 겉 면의 지정된 위치에는 상기 인터페이스부(25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촉점(265)(예컨대, COB(Chip On Board))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부(245)는 지정된 주파수 대역(예컨대, 13.56MHz)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이용하여 근접 거리(예컨대, 10cm 내외)의 단말기(300)에 구비된 NFC모듈(310)과 NFC 기반 무선 통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부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NFC 규격에 따른 NFC 통신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메모리부(250)는 상기 칩(205)의 저장 자원에 대응되는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ROM(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M(Flash Memory) 등의 메모리 소자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메모리부(250)는 NAND 계열 메모리 또는 NOR 계열 메모리를 모두 포함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칩(205)에 구비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로 상기 메모리부(250)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50)는 COS(Chip Operating System)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가 기록되고, 상기 NFC매체(200)를 통해 제공될 서비스에 대응하는 애플릿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가 기록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50)는 상기 NFC매체(200)를 고유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칩(205) 내부에서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250)는 상기 일회용의 인증코드 생성에 필요한 씨드 값(예컨대, 고정 씨드)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NFC매체(200)가 단말기(300)와 NFC모듈(310)과 인터페이스하기 위해 PIN 인증이 필요한 경우, 상기 메모리부(250)는 상기 PIN 인증을 위한 PIN 인증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칩(205)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CPU(Central Process Unit), MPU(Micro Process Unit), 코프로세서(Coprocessor) 중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연산 처리를 위한 실행메모리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부(250)에 기록된 COS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가 상기 실행메모리로 로딩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연산되는 상태를 제어부(210)로 정의할 수 있으며, 편의상 상기 COS 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릿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코드 중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코드를 통해 구현되는 기능에 대한 구성을 본 도면2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NFC매체(200)는 상기 NFC매체(200)를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되는 시점에 상기 저장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식별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식별코드를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NFC매체(200)는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되는 시점에 상기 코드 생성 기능을 이용하여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NFC매체(200)의 코드 생성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NFC매체(200)의 인증코드 생성에 필요한 입력 값(예컨대, 시간 값, 프로그램(315)(또는 인증 시스템(400))에서 결정된 난수 값, 단말기(300) 내부(또는 프로그램(315) 내)에 할당/저장된 저장 값, 인증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된 수신 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확인하고,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확인된 입력 값을 상기 NFC매체(200)로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응답으로서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코드 생성 기능이 상기 NFC매체(200) 내부에서 폐쇄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300)는 별도의 입력 값을 상기 NFC매체(200)로 전달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제2 코드 인식 방식에서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기능(예컨대, 프로그램(315)이 특정 판매자의 앱으로서 프로그램(315) 내부에 할당된 특정 판매자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기능, 및/또는 복수의 판매자 목록을 표시하고 중 특정 판매자를 선택받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확인된 식별코드와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NFC매체(200)는 외부(예컨대, 단말기(300) 또는 인증 시스템(400) 등)에서 동적 생성되어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복호화하여 인증코드를 결정하는 코드 결정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되는 시점에 단말기(300)로부터 외부에서 동적 생성된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 결정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복호화하여 인증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의 외부(예컨대, 단말기(300) 또는 인증 시스템(400) 등)에서 난수코드 또는 동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해 정의된 절차(예컨대, NFC매체(200)를 외부에 인식/인증시키는 절차),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의 외부에서 동적 생성되어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상기 NFC매체(200)로 주입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절차의 결과로서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제3 코드 인식 방식에서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확인된 식별코드와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NFC매체(200)는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NFC매체(200)를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되는 시점에 상기 저장된 식별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 기능을 통해 동적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식별코드와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NFC매체(200)의 코드 생성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NFC매체(200)의 인증코드 생성에 필요한 입력 값을 확인하여 상기 NFC매체(200)로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응답으로서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코드 생성 기능이 상기 NFC매체(200) 내부에서 폐쇄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300)는 별도의 입력 값을 상기 NFC매체(200)로 전달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제4 코드 인식 방식에서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식별코드와 인증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NFC매체(200)는 외부에서 동적 생성되어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복호화하여 인증코드를 결정하는 코드 결정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NFC매체(200)를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되는 시점에 상기 저장된 식별코드와 상기 코드 결정 기능을 통해 결정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의 외부에서 난수코드 또는 동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해 정의된 절차 내지 상기 NFC매체(200)의 외부에서 동적 생성되어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상기 NFC매체(200)로 주입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절차의 결과로서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제5 코드 인식 방식에서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식별코드와 인증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NFC매체(200)는 상기 제1 내지 제5 코드 인식 방식 중 둘 이상의 조합에 대응하는 동작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NFC매체(200)에 구비된 동작 기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내지 제5 코드 인식 방식 중 둘 이상을 조합한 방식으로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을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NFC매체(200)의 칩(205)은, NFC을 통해 단말기(300)의 NFC모듈(310)과 인터페이스됨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추출하는 추출부(215)와, 상기 추출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245)를 통해 상기 단말기(300)의 NFC모듈(310)로 전송하는 전송부(235)를 구비하며, 지정된 PIN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는 NFC을 통해 단말기(300)의 NFC모듈(310)과 인터페이스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추출부(215)는 NFC을 통해 단말기(300)의 NFC모듈(310)과 인터페이스됨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추출한다.
상기 식별코드가 추출된 경우, 상기 전송부(235)는 상기 추출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245)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된 단말기(300)의 NFC모듈(3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NFC을 통해 단말기(300)의 NFC모듈(310)과 인터페이스하는 절차 내지 상기 단말기(300)의 NFC모듈(310)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인증부(240)는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PIN 인증 값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300)의 NFC모듈(310)로부터 수신되는 PIN 인증 요청에 따른 PIN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NFC매체(200)의 칩(205)은, NFC을 통해 단말기(300)의 NFC모듈(310)과 인터페이스됨에 의해 난수코드 또는 동적코드에 대응하는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생성부(225)와, 상기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245)를 통해 상기 단말기(300)의 NFC모듈(310)로 전송하는 전송부(235)를 구비하며, NFC을 통해 인터페이스된 단말기(300)로부터 인증코드 생성을 위해 지정된 입력 값을 수신하는 수신부(220)와, 지정된 PIN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는 NFC을 통해 단말기(300)의 NFC모듈(310)과 인터페이스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생성부(225)는 NFC을 통해 단말기(300)의 NFC모듈(310)과 인터페이스됨에 의해 임의의 난수코드를 생성하는 절차 또는 지정된 씨드(예컨대, 고정 씨드 및 동적 씨드)를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동적코드를 생성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절차의 결과로서 지정된 코드체계로 이루어진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한다. 한편 상기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생성하기 위해 단말기(300)로부터 소정의 입력 값(예컨대, 동적 씨드로 사용될 값)을 수신해야 하는 경우, 상기 수신부(220)는 상기 NFC을 통해 인터페이스된 단말기(300)로부터 인증코드 생성을 위해 지정된 입력 값을 수신하고, 상기 생성부(225)는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씨드 값과 상기 수신된 입력 값을 씨드로 이용하여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증코드가 생성된 경우, 상기 전송부(235)는 상기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245)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된 단말기(300)의 NFC모듈(3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NFC을 통해 단말기(300)의 NFC모듈(310)과 인터페이스하는 절차 내지 상기 단말기(300)의 NFC모듈(310)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인증부(240)는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PIN 인증 값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300)의 NFC모듈(310)로부터 수신되는 PIN 인증 요청에 따른 PIN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NFC매체(200)의 칩(205)은, NFC을 통해 단말기(300)의 NFC모듈(310)과 인터페이스됨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된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NFC매체(200)의 외부에서 생성된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수신하는 수신부(220)와, 상기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복호화하여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결정하는 암복호부(230)와, 상기 결정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245)를 통해 상기 단말기(300)의 NFC모듈(310)로 전송하는 전송부(235)를 구비하며, 지정된 PIN 인증 절차 및/또는 상기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수신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는 NFC을 통해 단말기(300)의 NFC모듈(310)과 인터페이스하는 절차를 수행하며, 상기 수신부(220)는 NFC을 통해 단말기(300)의 NFC모듈(310)과 인터페이스됨에 의해 상기 인터페이스된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NFC매체(200)의 외부에서 생성된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인증부(240)는 상기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수신하기 지정된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인증부(240)는 상기 단말기(300)로부터 소정의 입력 값을 수신하고, 상기 암복호부(230)를 통해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식별코드와 상기 수신된 입력 값을 지정된 암호 방식에 따라 암호화하여 암호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암호데이터는 인증 시스템(400)으로 전송되어 복호화된 후 인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는 상기 인증 시스템(400) 상에서 동적 생성된 후 암호화되고, 상기 단말기(300)를 경유하여 상기 수신부(220)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NFC매체(200)의 외부에서 생성된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가 수신되면, 상기 암복호부(230)는 상기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복호화하여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인증코드가 결정된 경우, 상기 전송부(235)는 상기 결정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구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245)를 통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인터페이스된 단말기(300)의 NFC모듈(31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NFC을 통해 단말기(300)의 NFC모듈(310)과 인터페이스하는 절차 내지 상기 단말기(300)의 NFC모듈(310)로 상기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상기 인증부(240)는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PIN 인증 값을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300)의 NFC모듈(310)로부터 수신되는 PIN 인증 요청에 따른 PIN 인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NFC매체(200)의 칩(205)은, NFC을 통해 단말기(300)의 NFC모듈(310)과 인터페이스됨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추출하는 추출부(215)와, 난수코드 또는 동적코드에 대응하는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생성부(225)와, 상기 추출된 식별코드와 상기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245)를 통해 상기 단말기(300)의 NFC모듈(310)로 전송하는 전송부(235)를 구비하며, NFC을 통해 인터페이스된 단말기(300)로부터 인증코드 생성을 위해 지정된 입력 값을 수신하는 수신부(220)와, 지정된 PIN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른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NFC매체(200)의 칩(205)은, NFC을 통해 단말기(300)의 NFC모듈(310)과 인터페이스됨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식별코드를 추출하는 추출부(215)와, NFC을 통해 인터페이스된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NFC매체(200)의 외부에서 생성된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수신하는 수신부(220)와, 상기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복호화하는 암복호부(230)와, 상기 복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복호화된 동적코드에 대응하는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생성부(225)와, 상기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구성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245)를 통해 상기 단말기(300)의 NFC모듈(310)로 전송하는 전송부(235)를 구비하며, 지정된 PIN 인증 절차 및/또는 상기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수신하기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인증부(2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면3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단말기(300)의 기능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NFC모듈(310)에 NFC매체(200)가 태깅되면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태깅 특성 정보를 지정된 인증 시스템(400)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NFC매체(200)에 대한 태깅 특성이 기 설계된 바에 따라 제작된 NFC매체(200)(또는 NFC매체(200)를 장착한 물건)의 태깅 특성과 매칭되는지 인증되게 처리한 후 그 결과를 근거로 상기 NFC매체(200)가 태깅된 다른 단말기(300)와 거래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거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300) 간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315)의 기능 구성과 상기 프로그램(315)이 동작하는 단말기(3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3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단말기(300)의 기능적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3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하 편의상 본 도면3은 상기 단말기(300)의 일 실시예로서 NFC모듈(310)을 구비한 각종 스마트폰, 각종 태블릿PC, 각종 PDA 및 각종 휴대폰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단말인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단말기(300)가 본 도면3의 실시예인 무선단말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NFC모듈(310)을 구비한 어떠한 장치라도 가능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도면3의 실시예에서 단말기(300)는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를 인식하고,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코드 값을 포함(실시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특성 정보를 더 포함 가능)하는 태깅 특성 정보를 지정된 인증 시스템(400)으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인증 시스템(400)을 통해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의 태깅 특성이 기 설계된 바에 따라 제작된 NFC매체(200)(또는 NFC매체(200)를 장착한 물건)의 태깅 특성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도록 요청한 후, 상기 인증 시스템(400)에서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전송하면 이를 기반으로 상기 NFC매체(200)가 태깅된 다른 단말기(300)와 거래정보를 교환하고, 상기 거래정보를 이용하는 단말기(300) 간 거래 서비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방법이 본 도면3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인증 시스템(400)의 구성 중 일부(또는 전체)가 상기 단말기(300)의 제어부(301) 또는 단말기(300)에 탑재되는 프로그램(315)을 통해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도 그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300)는, 제어부(301)와 메모리부(313)와 화면 출력부(303)와 터치 입력부(304)와 적어도 하나의 통신모듈을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키 입력부(302)와 사운드 출력부(306)와 사운드 입력부(307)와 NFC모듈(310)과 위치 측위모듈(311)과 USIM 리더부(312)를 구비하고,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314)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모듈은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308)과 무선망 통신모듈(30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1)는 상기 단말기(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의 총칭이다. 상기 제어부(301)는 하드웨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와 실행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버스(BUS)를 통해 단말기(300)의 각 구성부와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301)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상기 단말기(300)의 메모리부(313)에 구비된 프로그램코드를 실행 메모리에 로딩하여 연산하고, 그 결과를 버스를 통해 각 구성부로 전달하여 상기 단말기(300)의 동작을 제어하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부로부터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313)는 상기 단말기(300)에 구비된 비휘발성 메모리의 총칭으로서, 상기 제어부(301)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코드와, 상기 프로그램코드가 이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셋트를 저장하여 유지한다. 상기 메모리부(313)는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된 프로그램(315)을 저장한다. 상기 프로그램(315)은 구동 또는 활성화됨에 따라 상기 제어부(301)로 로딩되어 연산된다. 이하, 편의상 상기 제어부(301)로 로딩된 프로그램(315)의 기능 구성을 제어부(301) 내에 도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키 입력부(302)는 상기 단말기(300)에 구비된 키버튼, 키패드, 키보드 중 하나 이상의 구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키 입력부(302)는 상기 프로그램(315)을 구동 또는 활성화시키는 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키 입력부(302)는 NFC 태깅이 가능하게 NFC모듈(310)을 활성화시키는 키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화면 출력부(303)는 상기 단말기(3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예컨대,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상기 단말기(300)의 내부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화면 출력부(303)는 상기 프로그램(315)의 실행 화면 또는 인증 결과를 출력한다.
상기 터치 입력부(304)는 상기 화면 출력부(303)와 좌표 평면을 공유하는 투명 재질의 정전식 터치패널과 상기 단말기(300)의 내부에서 상기 정전식 터치패널을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정전식 터치스크린(305)은 상기 투명 재질의 정전식 터치패널과 상기 화면 출력부(303)의 디스플레이가 조합되어 구현된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306)는 상기 단말기(300)에 구비된 스피커와 상기 단말기(300)의 내부에서 상기 스피커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사운드 입력부(307)는 상기 단말기(300)에 구비된 마이크와 상기 단말기(300)의 내부에서 상기 마이크를 구동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309)과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308)은 상기 단말기(300)에 구비되는 통신자원으로서, 상기 무선망 통신모듈(309)은 기지국을 통해 무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308)은 근거리에 위치한 근거리통신장치 또는 무선AP(Access Point)를 통해 통신망에 접속한다.
상기 NFC모듈(310)은 ISO 18000 시리즈 규격의 무선통신 규격 중 13.56Mz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NFC 규격에 따라 10cm 내외의 근접 거리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NFC매체(200)에 NFC칩이 구비된 경우, 상기 NFC모듈(310)은 상기 NFC매체(200)의 NFC칩을 통해 송출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NFC 기반 무선 주파수 신호에 부호화된 데이터를 상기 프로그램(315)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측위모듈(311)은 상기 단말기(300)의 이동 위치를 측위하는 GPS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 측위모듈(311)은 상기 NFC모듈(310)에 NFC매체(200)가 태깅되는 시점에 상기 단말기(300)의 위치를 측위한 위치정보를 상기 프로그램(315)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정된 프로그램제공서버(예컨대, 애플사의 앱스토어 등)를 통해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단말기(300)로 다운로드되어 단말기(3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단, 단말기(300)의 제조사에서 상기 프로그램(315)을 기본 탑재한 경우에는 생략). 상기 프로그램(315)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구동 또는 활성화되거나, 또는 푸시 통지를 수심함에 의해 구동 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이하 편의상 상기 프로그램(315) 상에 프로그램코드 형태로 구현되고 상기 제어부(301)로 로딩되어 연산됨으로써 기능화되는 상기 프로그램(315)의 기능 구성부를 상기 제어부(301) 내에 도시하여 본 발명의 특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프로그램(315)을 구동 중인 단말기(3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회원으로 가입시키나 또는 사용자를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가입/인증 처리부(320)와, 통신 자원을 통해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상기 프로그램(315)을 구동 중인 단말기(300)에 대응하는 매체를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매체인증 처리부(325)를 구비한다.
상기 프로그램(315)은 상기 통신 자원을 통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을 경유하여 상기 지정된 서버(예컨대, 운영서버(100) 또는 서비스제공서버(105) 등, 프로그램(315)에 구비된 통신 연결 매크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에 접속하는 통신 연결 매크로 정보를 구비하며, 상기 가입/인증 처리부(320)는 상기 화면 출력부(303)를 통해 상기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의 사용자임과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315)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예컨대, 성명, 전화번호, 생년월일, 회원계정, 비밀번호 등)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지정된 서버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전송하여 회원으로 가입시킨다.
상기 사용자를 인증하는 경우, 상기 가입/인증 처리부(320)는 기 가입된 회원 계정 및/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회원 계정 및/또는 비밀번호를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지정된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315)을 구동 중인 단말기(300)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인증시킬 수 있다.
상기 매체인증 처리부(325)는 상기 통신 자원이 접속 가능한 데이터망과 통화망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망을 개입시켜 상기 지정된 서버로 상기 프로그램(3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프로그램(315)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과정은 상기 프로그램(315)과 지정된 서버 사이에 미리 합의된 암/복호화 통신 과정을 수행되며, 편의상 상기 암/복호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매체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315)은 상기 지정된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315)임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 키 값이 설정된 상태로 상기 프로그램(315)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되며, 이 경우에 상기 매체인증 처리부(325)는 상기 고유 키 값을 상기 지정된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지정된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315)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매체인증 처리부(325)는 상기 지정된 서버로 상기 고유 키 값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300)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상기 고유 키 값과 함께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지정된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315)임과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단말기(300)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매체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315)은 상기 프로그램(315)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된 후에 기 지정된 절차에 따라 데이터망 상에서 상기 프로그램(315)을 고유하게 식별하는 앱 식별 값(예컨대, 애플사의 APNS에 의해 할당되는 디바이스 토큰 등)이 할당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매체인증 처리부(325)는 상기 앱 식별 값을 상기 지정된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지정된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315)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매체인증 처리부(325)는 상기 지정된 서버로 상기 앱 식별 값을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300)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상기 앱 식별 값과 함께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지정된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315)임과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단말기(300)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매체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프로그램(315)은 적어도 하나의 키 값과 키 교환 프로토콜 및 암/복호화 규칙이 설정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315)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가 정의된 인증서가 탑재된 상태로 상기 프로그램(315)제공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매체인증 처리부(325)는 상기 인증서에 정의된 인증 절차에 따라 상기 인증서에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키 값과 키 교환 프로토콜 및 암/복호화 규칙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지정된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315)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매체인증 처리부(325)는 상기 인증서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300)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상기 인증 절차에 더 이용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지정된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315)임과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단말기(300)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매체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통화망의 메시지 교환 프로토콜을 통해 상기 지정된 서버로부터 발송된 인증번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인증번호를 상기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지정된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지정된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315)임을 인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매체인증 처리부(325)는 상기 지정된 서버로 상기 인증번호를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말기(300)에 저장되거나 통신망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상기 인증번호와 함께 전송함으로써,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지정된 서버에 의해 운영되는 프로그램(315)임과 동시에 상기 프로그램(315)이 상기 단말기(300)에서 구동 중임을 동시에 인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매체 인증 방식에 의하면, 상기 매체인증 처리부(325)는 상기 제1 내지 제4 매체 인증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조합한 인증 방식을 통해 상기 지정된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그램(315)의 유효성을 인증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단말기(300)의 메모리부(313)에 저장되어 상기 단말기(300)(또는 프로그램(315)이 구동 중인 단말기(300))를 고유 식별하는 정보, 상기 단말기(300)에 탑재 또는 이탈착되는 USIM에 기록되어 상기 단말기(300)를 고유 식별하는 정보, 상기 단말기(300)의 통신모듈(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308) 또는 무선망 통신모듈(309) 등)에 할당되어 상기 단말기(300)를 고유 식별하는 정보(예컨대, MAC 주소 등), 상기 단말기(300)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물리적 구성부에 할당되어 상기 단말기(300)를 고유 식별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유정보는 상기 단말기(300)가 접속하는 통신사에서 상기 단말기(300)에 할당한 정보, 상기 프로그램(315)제공서버에서 상기 단말기(300)(또는 프로그램(315))에 할당한 정보, 상기 프로그램(315)을 관리(또는 운영)하는 서버(예컨대, 서비스제공서버(105) 또는 운영서버(100) 등)에서 상기 단말기(300)(또는 프로그램(315))에 할당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고유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NFC매체(200)를 보유하고 있는 보유자인 경우, 상기 보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NFC매체(200)를 등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NFC매체 등록부(330)를 구비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NFC매체 등록부(330)는 상기 보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NFC매체(200)를 인증하기 위한 식별코드 및/또는 인증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상기 NFC매체 등록부(330)는 보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NFC매체(200)에 인자(또는 인쇄)된 식별코드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및/또는 상기 NFC매체(200)를 보유하고 있는 보유자를 식별하는 보유자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식별코드와 보유자 정보를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하여 인증 시스템(400) 상에 등록시킨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NFC매체 등록부(330)는 상기 가입/인증 처리부(320)와 연동하여 식별코드와 보유자 정보를 등록시킬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NFC매체(200)를 인식하는 NFC 인식부(335)와,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을 확인하는 코드 인식부(340)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코드 값을 포함하는 태깅 특성 정보를 지정된 인증 시스템(400)까지 전달되게 처리하여 인증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하는 인증 절차 수행부(350)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인증 시스템(400)으로부터 전송된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인증 결과 수신부(355)를 기능적으로 구비하며, 상기 단말기(3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하는 위치 확인부(345)를 기능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NFC 인식부(335)는 상기 NFC모듈(310)의 동작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단말기(300)의 운영체제를 통해 발생한 NFC 관련 이벤트 정보를 1회 이상 판독하여 NFC매체(200)가 NFC모듈(310)에 근접하여 태깅되는지 인식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300)의 운영체제는 본 발명에 따른 NFC매체(200)를 이용한 NFC 통신과 다른 NFC 통신을 구별하지 않으며, 상기 NFC 인식부(335)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발생한 이벤트 정보를 판독하거나, 및/또는 상기 NFC모듈(310)과 NFC매체(200) 사이에 수행되는 통신 절차를 판독하거나, 및/또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판독하여, 본 발명에 따른 NFC매체(200)가 NFC모듈(310)에 근접하여 태깅되는지 인식할 수 있다. 예를들어, NFC매체(200)가 근접하는 경우에 상기 NFC모듈(310)은 상기 근접한 NFC매체(200)로 RST(ReSeT)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ATR(Answer To Reset)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NFC 인식부(335)는 상기 ATR을 판독하여 상기 NFC모듈(310)에 본 발명에 따른 NFC매체(200)가 근접하여 태깅되는지 인식할 수 있다. 또는 NFC매체(200)가 근접하는 경우에 상기 NFC모듈(310)은 지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NFC매체(200)로 소정의 입력 값을 입력받거나 또는 내부적으로 처리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데, 상기 NFC 인식부(335)는 상기 NFC모듈(310)의 동작에 대응하는 프로토콜을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구조를 판독하여 상기 NFC모듈(310)에 본 발명에 따른 NFC매체(200)가 근접하여 태깅되는지 인식할 수 있다.
상기 NFC 인식부(335)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NFC매체(200)가 NFC모듈(310)에 태깅되는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코드 인식부(340)는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값은 상기 NFC매체(200)를 식별하는 식별코드, 또는 상기 NFC매체(200)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단말기(300)의 NFC모듈(310)에 상기 NFC매체(200)를 태깅하는 시점에 동적 생성되는 인증코드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NFC매체(200)를 고유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를 식별하는 코드의 총칭으로서, 바람직하게 고정된 코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증코드는 상기 NFC매체(200)가 태깅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어느 지정된 시점에 동적 생성된 일회용코드로서, 실시 방법에 따라 임의로 생성된 난수코드, 및/또는 지정된 코드 생성 알고리즘(예컨대, MD4, MD5, SHA 계열 등의 해시 알고리즘)에 지정된 씨드(예컨대, 고정 씨드와 시간/난수 등의 동적 씨드 등)을 적용하여 동적 생성된 동적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NFC매체(200)는 상기 NFC매체(200)를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되는 시점에 상기 저장된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인식부(340)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식별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식별코드를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NFC매체(200)는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되는 시점에 상기 코드 생성 기능을 이용하여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인식부(340)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NFC매체(200)의 코드 생성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NFC매체(200)의 인증코드 생성에 필요한 입력 값(예컨대, 시간 값, 프로그램(315)(또는 인증 시스템(400))에서 결정된 난수 값, 단말기(300) 내부(또는 프로그램(315) 내)에 할당/저장된 저장 값, 인증 시스템(400)으로부터 수신된 수신 값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을 확인하고,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확인된 입력 값을 상기 NFC매체(200)로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응답으로서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코드 생성 기능이 상기 NFC매체(200) 내부에서 폐쇄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코드 인식부(340)는 별도의 입력 값을 상기 NFC매체(200)로 전달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제2 코드 인식 방식에서 상기 코드 인식부(340)는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기능(예컨대, 프로그램(315)이 특정 보유자의 앱으로서 프로그램(315) 내부에 할당된 특정 보유자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기능, 및/또는 복수의 보유자 목록을 표시하고 중 특정 보유자를 선택받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확인된 식별코드와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NFC매체(200)는 외부(예컨대, 단말기(300) 또는 인증 시스템(400) 등)에서 동적 생성되어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복호화하여 인증코드를 결정하는 코드 결정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되는 시점에 단말기(300)로부터 외부에서 동적 생성된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 결정 기능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복호화하여 인증코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인식부(340)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의 외부(예컨대, 단말기(300) 또는 인증 시스템(400) 등)에서 난수코드 또는 동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해 정의된 절차(예컨대, NFC매체(200)를 외부에 인식/인증시키는 절차),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의 외부에서 동적 생성되어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상기 NFC매체(200)로 주입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절차의 결과로서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제3 코드 인식 방식에서 상기 코드 인식부(340)는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확인된 식별코드와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NFC매체(200)는 일회용의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코드 생성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NFC매체(200)를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되는 시점에 상기 저장된 식별코드와 상기 코드 생성 기능을 통해 동적 생성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인식부(340)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식별코드와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NFC매체(200)의 코드 생성 기능과 연동하여 상기 NFC매체(200)의 인증코드 생성에 필요한 입력 값을 확인하여 상기 NFC매체(200)로 전달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그 응답으로서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코드 생성 기능이 상기 NFC매체(200) 내부에서 폐쇄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상기 코드 인식부(340)는 별도의 입력 값을 상기 NFC매체(200)로 전달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본 제4 코드 인식 방식에서 상기 코드 인식부(340)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식별코드와 인증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NFC매체(200)는 외부에서 동적 생성되어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복호화하여 인증코드를 결정하는 코드 결정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NFC매체(200)를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되는 시점에 상기 저장된 식별코드와 상기 코드 결정 기능을 통해 결정된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드 인식부(340)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의 외부에서 난수코드 또는 동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해 정의된 절차 내지 상기 NFC매체(200)의 외부에서 동적 생성되어 암호화된 난수코드 또는 암호화된 동적코드를 상기 NFC매체(200)로 주입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절차의 결과로서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인증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제5 코드 인식 방식에서 상기 코드 인식부(340)는 상기 NFC모듈(310)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된 식별코드와 인증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으로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코드 인식 방식에 따르면, 상기 NFC매체(200)는 상기 제1 내지 제5 코드 인식 방식 중 둘 이상의 조합에 대응하는 동작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코드 인식부(340)는 상기 NFC매체(200)에 구비된 동작 기능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내지 제5 코드 인식 방식 중 둘 이상을 조합한 방식으로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인식부(340)를 통해 상기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이 확인되면, 상기 인증 절차 수행부(350)는 NFC매체(200)를 이용한 NFC 태깅의 태깅 특성을 인증하기 위한 특성 정보로서 상기 코드 값을 포함하는 태깅 특성 정보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NFC 태깅의 태깅 특성을 인증하는 특성 정보로서 상기 코드 값만 이용되는 경우, 상기 인증 절차 수행부(350)는 상기 프로그램(315)이 탑재된 단말기(300)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정보(예컨대, 상기 매체인증 처리부(325)를 통해 등록된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산출된 코드 값과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태깅 특성 정보를 구성하여 인증 시스템(400)으로 전달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FC 태깅의 태깅 특성 인증을 위한 특성 정보 중의 하나로서 상기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가 이용되는 경우, 상기 위치 확인부(345)는 상기 NFC모듈(310)에 NFC매체(200)가 태깅되기 전, 중, 후의 어느 지정된 시점에 상기 위치 측위모듈(311)을 통해 측위된 단말기(300)의 위치정보를 확인한다. 이 경우 상기 인증 절차 수행부(350)는 상기 산출된 코드 값과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태깅 특성 정보를 인증 시스템(400)으로 전달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태깅 특성 정보를 전송하기 전 또는 중에,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되는 NFC매체(200)의 보유자를 선택하거나, 및/또는 NFC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300) 간 거래 서비스를 선택하는 절차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증 절차 수행부(350)는 상기 보유자 또는 단말기(300) 간 거래 서비스를 식별하는 대상 식별 값을 확인한 후,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상기 대상 식별 값을 더 포함하여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포함된 코드 값을 통해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를 인증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태깅 특성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상기 코드 값의 인증 결과를 식별하는 인증 값을 포함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인증 값이 NFC 태깅 인증 성공에 대응하는 인증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NFC 태깅 인증 성공에 대응하는 인증 값과 상기 인증 성공한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 정보를 포함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인증 값과 보유자 정보를 더 포함하며 상기 NFC매체(200)가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의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수신부(355)는 상기 통신자원을 통해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300)에 태깅된 NFC매체(200)에 대한 NFC 태깅이 인증 성공하고, 상기 단말기(300)의 NFC 태깅 인증 성공 확인 시점 기준 일정 시간 전 또는 상기 단말기(300)의 NFC 태깅 인증 성공 확인 후 일정 시간 내에 다른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NFC매체(200)에 대한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기(300)는 상기 확인된 다른 단말기(300)와 거래정보를 교환하는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교환된 거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300) 간 거래 서비스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 태깅을 이용한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다른 단말기(300)와 거래정보를 교환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거래정보 교환부(360)를 구비한다.
상기 단말기(300)에 태깅된 NFC매체(200)에 대한 NFC 태깅이 인증 성공하고, 상기 단말기(300)의 NFC 태깅 인증 성공 확인 시점 기준 일정 시간 전 또는 상기 단말기(300)의 NFC 태깅 인증 성공 확인 후 일정 시간 내에, 다른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NFC매체(200)와 동일한 NFC 태깅을 이용한 NFC 태깅이 인증 성공한 경우, 상기 거래정보 교환부(360)는 상기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다른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상기 프로그램(315)을 통해 로드된 전송 대상 거래정보를 상기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다른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각 단말기(300) 사이에 교환되는 거래정보는 거래 서비스 종류에 부합하는 거래 관련 정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들어, 상기 거래정보는 결제금액과 판매자정보(또는 가맹점정보)를 포함하는 결제정보를 포함하거나, 송금인계좌, 이체금액, 수취인계좌 등의 금융거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거래정보는 상기 결제정보와 연계된 가치정보(예컨대, 포인트, 할인쿠폰 등)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래정보는 문자, 이미지, 사운드, 멀티미디어 중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제1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300)가 단말기(300) 간 거래를 위해 소정의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기(300)인 경우, 상기 거래정보 교환부(360)는 상기 NFC모듈(310)에 상기 NFC매체(200)가 태깅되기 전 또는 중에, 상기 NFC모듈(310)에 일정 시간 이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된 다른 단말기(300)로 전송할 전송 대상 거래정보를 선택받거나 또는 표시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NFC모듈(310)에 상기 전송 대상 거래정보가 표시된 상태(또는 전송 대상 거래정보가 선택된 상태)에서 상기 NFC모듈(310)에 상기 NFC매체(200)가 태깅된 경우, 상기 거래정보 교환부(360)는 상기 인증 절차 수행부(350)를 통해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상기 선택(또는 표시)된 전송 대상 거래정보를 포함(또는 연계)시켜 전송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송 대상 거래정보는 상기 태깅 특성 정보를 이용한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함과 동시에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로드된 것으로 간주되어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다른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300)가 단말기(300) 간 거래를 위해 소정의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기(300)인 경우, 상기 거래정보 교환부(360)는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에 대한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사용자 조작을 통해 일정 시간 이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된 다른 단말기(300)로 전송할 전송 대상 거래정보를 선택받거나 또는 표시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NFC 태깅 인증 성공을 기반으로 식별된 거래정보를 전송 대상 거래정보로 자동 결정할 수 있다. 상기 NFC 태깅 인증 성공을 기반으로 전송 대상 거래정보가 결정되면, 상기 거래정보 교환부(360)는 지정된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상기 결정된 전송 대상 거래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전송 대상 거래정보는 일정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다른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300)가 단말기(300) 간 거래를 위해 소정의 거래정보를 수신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기(300)인 경우, 상기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기(300)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라 전송 대상 거래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거래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300)에 NFC매체(200)가 태깅되기 전에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 상에 전송 대상 거래정보가 로드된 상태이고, NFC 태깅 인증 성공과 동시에 거래정보 교환 절차가 수행되어 다른 단말기(300)의 거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일정 시간 전에 동일한 NFC매체(200)에 대한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다른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포함(또는 연계)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결과 수신부(355)는 상기 통신자원을 통해 상기 거래정보를 포함(또는 연계)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만약 NFC 태깅 인증 성공과 동시에 거래정보를 수신하는데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가 서비스제공서버(105)를 경유하여 수신되는 경우, 상기 거래정보는 상기 서비스제공서버(105)에 구현된 서비스 시스템(500)을 통해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포함(또는 연계)될 수 있으며, 상기 인증 결과 수신부(355)는 상기 통신자원을 통해 상기 거래정보를 포함(또는 연계)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거래정보 교환부(360)는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포함(또는 연계)된 거래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거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300)가 단말기(300) 간 거래를 위해 소정의 거래정보를 수신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말기(300)인 경우, 상기 거래정보 교환부(360)는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에 대한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사용자 조작을 통해 일정 시간 이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된 다른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요청하는 거래정보 요청 정보를 구성하거나 및/또는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를 근거로 식별된 거래정보를 요청하는 거래정보 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거래정보 요청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제1 또는 제2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라 로드된 전송 대상 거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거래정보 교환부(360)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으로부터 상기 거래정보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거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거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거래정보 요청 정보는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된 다른 단말기(300)를 식별하기 위해 상기 NFC 태깅 인증 성공을 기반으로 확인된 NFC매체(200)의 보유자를 식별하는 보유자 정보와 상기 프로그램(315)이 탑재된 단말기(300)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 조작을 통해 수신 대상 거래정보가 선택되거나 또는 NFC 태깅 인증 성공을 기반으로 수신 대상 거래정보가 식별된 경우에 상기 수신 대상 거래정보를 선택/식별하는 수신 대상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약 거래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300)에서 수신 대상 거래정보를 선택/식별하지 아니하고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수신 대상 값은 생략 가능하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거래정보 요청 정보는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포함되거나 또는 상기 프로그램(315)을 통해 확인된 단말기(300)(또는 프로그램(315))의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단말기(300)는 거래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수신하는 것이 모두 가능하며, 상기 거래정보 교환부(360)는 거래정보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역할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4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실시할 수 있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동일한 NFC 태깅을 이용한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다른 단말기(300)와 교환된 거래정보를 이용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거래 절차 수행부(365)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교환된 거래정보가 결제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결제정보를 이용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결제 절차 수행부(도시생략), 상기 교환된 거래정보가 금융거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금융거래정보를 이용한 금융거래 절차를 수행하는 금융거래 절차 수행부(365)(도시생략), 상기 교환된 거래정보가 가치정보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가치정보를 이용한 가치 제공/적립 절차 또는 가치 사용 절차를 수행하는 가치 절차 수행부(도시생략), 상기 교환된 거래정보가 전자자금을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전자자금을 이용한 결제 절차 또는 금융거래 절차를 수행하는 전자자금 절차 수행부(도시생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거래정보 이용 절차가 상기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말기(300) 사이에 교환된 거래정보 종류에 따라 어떠한 절차 수행부라도 구현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단말기(300)에 태깅된 NFC매체(200)에 대한 NFC 태깅이 인증 성공하고, 상기 단말기(300)의 NFC 태깅 인증 성공 확인 시점 기준 일정 시간 전 또는 상기 단말기(300)의 NFC 태깅 인증 성공 확인 후 일정 시간 내에, 다른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NFC매체(200)와 동일한 NFC 태깅을 이용한 NFC 태깅이 인증 성공하여 상기 거래정보 교환부(360)를 통해 거래정보 교환 결과,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 태깅을 이용한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다른 단말기(300)로부터 거래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거래 절차 수행부(365)는 동일한 NFC 태깅을 이용한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다른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거래정보를 이용하여 단말기(300) 간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거래정보 교환부(360)를 통해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 태깅을 이용한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다른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가 수신 또는 확인되면, 거래 절차 수행부(365)는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거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래 절차 수행부(365)는 상기 프로그램(315)에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프로그램(315)과 연동하는 프로그램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모두 가능하다.
상기 거래 절차 수행부(365)는 상기 거래정보를 수신한 단말기(300)에서 이용 가능한 사용자의 거래수단과 거래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거래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거래 절차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과 연동하여 수행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과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거래 절차에 따르면, 상기 거래 절차 수행부(365)는 상기 사용자의 거래수단 정보와 소정의 식별자(예컨대, 상기 프로그램(315)이 탑재된 단말기(300)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고유정보, 사용자 식별정보 등)를 매핑하여 네트워크 상의 안전매체(예컨대, 네트워크 상의 IC칩, 보안기능을 구비한 저장용 매체, 거래수단을 발급한 금융기관의 DB 등)에 매핑 등록한 후, 터치스크린(305)을 통해 상기 거래정보를 표시한 후에 상기 터치스크린(305) 상의 지정된 특정 영역이 터치되거나 및/또는 지정된 인증비밀번호(예컨대, PIN 또는 OTP 등)가 입력되는 경우에 지정된 결제 경로를 통해 상기 식별자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식별자와 매핑된 사용자의 거래수단을 통해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거래승인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결제 경로가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을 경유하지 않는다면, 상기 거래 절차 수행부(365)는 상기 결제 경로를 통해 상기 식별자와 거래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거래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시스템 상에서 상기 식별자와 매핑된 사용자의 거래수단을 통해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거래승인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거래 절차에 따르면, 상기 거래 절차 수행부(365)는 상기 사용자의 거래수단 정보와 소정의 칩매체(예컨대, USIM 또는 NFC모듈(310)을 통해 인식되는 칩 등)로부터 추출되는 식별자를 매핑하여 네트워크 상의 안전매체(예컨대, 네트워크 상의 IC칩, 보안기능을 구비한 저장용 매체, 거래수단을 발급한 금융기관의 DB 등)에 매핑 등록한 후, 터치스크린(305)을 통해 상기 거래정보를 표시한 후에 상기 지정된 칩매체로부터 상기 식별자를 추출하여 지정된 결제 경로를 통해 상기 식별자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식별자와 매핑된 사용자의 거래수단을 통해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거래승인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결제 경로가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을 경유하지 않는다면, 상기 거래 절차 수행부(365)는 상기 결제 경로를 통해 상기 식별자와 거래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거래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시스템 상에서 상기 식별자와 매핑된 사용자의 거래수단을 통해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거래승인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거래 절차에 따르면, 상기 거래 절차 수행부(365)는 상기 사용자의 거래수단 정보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지정된 결제 경로를 통해 상기 입력된 거래수단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거래승인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결제 경로가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을 경유하지 않는다면, 상기 거래 절차 수행부(365)는 상기 결제 경로를 통해 상기 거래수단 정보와 거래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거래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시스템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거래수단을 통해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거래승인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거래 절차에 따르면, 상기 거래 절차 수행부(365)는 사용자의 거래수단 정보를 기록한 칩매체(예컨대, USIM 또는 NFC모듈(310)을 통해 인식되는 칩 등)로부터 사용자의 거래수단 정보를 추출하고, 지정된 결제 경로를 통해 상기 추출된 거래수단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거래승인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할 수 있다. 만약 상기 결제 경로가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을 경유하지 않는다면, 상기 거래 절차 수행부(365)는 상기 결제 경로를 통해 상기 거래수단 정보와 거래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거래수단에 대응하는 결제시스템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거래수단을 통해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거래승인 절차가 수행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거래 절차가 상기 제1 내지 제4 거래 절차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300)에서 이용 가능한 거래수단과 거래방식을 이용하는 거래 절차라면 어떠한 거래 절차라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거래 절차가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과 연동하여 수행되는 경우 상기 거래 절차의 거래처리 결과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을 통해 자동 확인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을 토해 상기 거래처리 결과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거래 절차 수행부(365)는 상기 거래 절차를 수행한 결과에 대응하는 거래처리 결과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거래처리 결과를 상기 다른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한편 실시 방법에 따라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단말기(300)와 다른 단말기(300)가 근거리(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308)의 가용 범위, 또는 NFC모듈(310)의 가용 범위)에서 통신 가능한 경우, 상기 거래 절차 수행부(365)는 상기 거래처리 결과를 상기 다른 단말기(300)로 직접 전달할 수 있다.
도면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인증 시스템(4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단말기(300)의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 태깅 특성이 기 설계된 바에 따라 제작된 NFC매체(200)(또는 NFC매체(200)를 장착한 물건)의 태깅 특성과 매칭되는지 인증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인증 시스템(4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인증 시스템(400)은, 도면3에 도시된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으로부터 전송된 태깅 특성 정보를 지정된 경로를 통해 수신하여 인증하는 운영서버(100) 상에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에 구비(또는 연계)되는 프로그램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지정된 규칙으로 설계 제작된 NFC매체(200)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단말기(300)의 NFC모듈(310)에 상기 NFC매체(200)를 태깅하는 시점에 동적 생성되는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NFC매체 등록부(405)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NFC매체(200)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코드 인식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코드 인식 방식에 따라 식별코드 및/또는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설계 제작되며, 상기 NFC매체 등록부(405)는 상기 설계 제작된 NFC매체(200)를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저장매체(410)에 저장하고, 상기 단말기(300)의 NFC모듈(310)에 상기 NFC매체(200)를 태깅하는 시점에 동적 생성되는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설정하여 저장매체(410)에 저장한다.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NFC매체(200)가 생성/결정하는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는데 필요한 코드 생성 알고리즘을 식별하는 정보, 상기 코드 생성 알고리즘에 적용될 고정 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3 또는 제5 코드 인식 방식 중 일 실시예에 다라 상기 인증 시스템(400)에서 난수코드 또는 동적코드를 생성한 후 암호화하여 상기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 제공하는 경우, 상기 인증정보는 상기 난수코드 또는 동적코드의 생성을 위한 인증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 상기 난수코드 또는 동적코드를 동적 생성하기 위한 정보, 상기 생성된 난수코드 또는 동적코드를 암호화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NFC매체 등록부(405)는 상기 NFC매체(200)로 제공하기 위해 동적 생성된 난수코드 또는 동적코드를 NFC매체(200)의 태깅 특성이 인증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작된 NFC매체(200)가 특정 위치(또는 지역)의 보유자에 공급된 경우, NFC매체 등록부(405)는 상기 보유자의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NFC매체(200)의 식별코드와 상기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 정보(예컨대, 보유자 식별정보, 보유자 명칭, 연락처 등) 및 상기 보유자의 위치 영역 정보(예컨대, 주소지 정보, 지역 정보 등)를 수신하고, 상기 NFC매체(200)를 고유 식별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보유자 정보 및 상기 보유자의 위치 영역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410)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인증 시스템(400)과 서비스 시스템(500)이 분리 구현된 경우, 상기 식별코드와 보유자 정보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제공되어 지정된 저장매체(515)에 저장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식별코드와 보유자 정보는 상기 보유자의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의 저장매체(515)에 등록되거나, 또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이 상기 저장매체(410)를 참조하도록 연동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단말기(300)의 NFC모듈(310)을 통해 태깅된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을 포함하는 태깅 특성 정보를 수신하는 태깅 특성 수신부(415)를 구비한다.
상기 태깅 특성 수신부(415)는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으로부터 전송된 태깅 특성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태깅 특성 정보는 단말기(300)의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 인식에 대응하는 코드 값을 포함하고, 실시 방법에 따라 태깅 시점에 발현된 태깅 특성을 판별하기 위한 특성 정보(예컨대, 단말기(300)의 고유정보 및/또는 위치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4를 참조하면,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포함된 코드 값을 확인하는 태깅 특성 확인부(420)와,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태깅 특성 인증부(425)를 구비하며, 상기 코드 값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인증 값을 포함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인증 결과 제공부(430)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태깅 특성 확인부(420)와 태깅 특성 인증부(425)는 사용자의 단말기(300)에 프로그램화되어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태깅 특성 확인부(420)는 태깅 특성 정보에 포함된 코드 값을 확인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코드 값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확인한다. 상기 태깅 특성 인증부(425)는 상기 확인된 식별코드를 통해 저장매체(410)를 조회하여 매칭되는 식별코드를 확인한다.
본 발명의 제1 코드 인식 방식에 따라 상기 코드 값에 식별코드만 포함되고, 상기 저장매체(410)로부터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포함된 식별코드와 매칭되는 식별코드가 확인된 경우, 상기 태깅 특성 인증부(425)는 상기 태깅 특성 정보를 전송한 단말기(300)의 NFC모듈(310)에 기 설계된 바에 따라 제작된 NFC모듈(310)이 태깅된 것으로 인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내지 제6 코드 인식 방식에 따라 상기 코드 값에 NFC 태깅 시점에 동적 결정된 인증코드가 포함된 경우, 상기 태깅 특성 확인부(420)는 상기 코드 값에 포함된 인증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태깅 특성 인증부(425)는 상기 확인된 식별코드와 매핑된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한다. 본 발명의 제2 또는 제4 코드 인식 방식에 따라 NFC매체(200)에서 인증코드가 동적 생성된 경우, 상기 태깅 특성 인증부(425)는 상기 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NFC매체(200)에서 인증코드를 동적 생성하는 규칙과 동일한 규칙으로 검증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코드와 검증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제2 또는 제4 코드 인식 방식 중 일 실시예에 따라 인증 시스템(400)에서 난수코드 또는 동적코드를 생성 및 암호화하여 단말기(300)를 통해 상기 NFC매체(200)로 제공한 경우, 상기 태깅 특성 인증부(425)는 상기 NFC매체(200)로 제공한 난수코드 또는 동적코드에 대응하는 인증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코드 값으로부터 확인된 인증코드와 비교하여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위치 정보가 포함된 경우,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보조 인증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태깅 특성 확인부(420)는 태깅 특성 정보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태깅 특성 인증부(425)는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저장매체(410)를 조회하여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위치 영역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위치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보유자 정보에 대응하는 보유자의 NFC매체(200)에 대한 식별코드 및/또는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보유자의 NFC매체(200)에 대한 식별코드 및/또는 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포함된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태깅 특성 인증부(425)는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한 후,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 값에 대응하는 NFC매체(200)가 보유자의 위치 영역에서 사용되었는지 인증할 수 있다.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430)는 상기 태깅 특성 인증부(425)를 통해 확인된 상기 코드 값의 인증 결과에 대한 인증 값을 포함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430)는 상기 태깅 특성 정보를 수신한 경로의 역방향으로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코드 값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인증 값이 NFC 태깅 인증 성공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430)는 상기 인증 성공한 NFC 태깅에 대응하는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인증 값과 보유자 정보를 포함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지정된 경로가 서비스 시스템(500)을 경유하는 중계 경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에서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상기 보유자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430)는 상기 인증 값을 포함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보유자를 식별하는 대상 식별 값이 포함되어 있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 또는 단말기(300)에 구비된 프로그램(315)이 보유자를 식별할 수 있는 경우,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상기 보유자 정보가 미포함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코드 값의 인증 결과에 대응하는 인증 값이 NFC 태깅 인증 성공에 대응하는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430)는 상기 인증 성공한 NFC 태깅에 대응하는 NFC매체(200)가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를 근거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상기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여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지정된 경로가 서비스 시스템(500)을 경유하는 중계 경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에서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상기 사용자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430)는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상기 사용자 정보를 미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제공하더라도 무방하다.
만약 상기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단말기(300)가 거래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300)이고 상기 인증 시스템(400)이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라 로드된 거래정보를 확인 가능한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430)는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상기 거래정보를 포함(또는 연계)하여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상기 지정된 경로가 서비스 시스템(500)을 경유하는 중계 경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에서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상기 제1 또는 제2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라 로드된 거래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인증 결과 제공부(430)는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상기 거래정보를 미포함하여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제공하더라도 무방하다.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라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단말기(3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면5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른 서비스 시스템(5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일정 시간 내에 2개의 단말기(300)에 구비된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 태깅 특성이 지정된 보유자의 NFC매체(200)가 지닌 설계 상의 태깅 특성과 매칭되는 경우에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를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일 측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5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의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구성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세분화되거나, 또는 합쳐진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5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는 본 도면5의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도면4에 도시된 인증 시스템(400)과 통합되어 NFC 태깅 기반 거래정보 운영 시스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NFC매체(200)를 보유하고 있는 보유자를 식별하는 보유자 정보와, 상기 NFC매체(200)를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515)에 저장하는 보유자 등록부(505)를 구비한다.
상기 보유자 등록부(505)는 NFC매체(200)를 공급받거나 또는 구매하여 보유하고 있는 보유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보유자가 보유하고 있는 NFC매체(200)를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515)에 저장한다. 상기 저장매체(515)는 상기 인증 시스템(400)의 저장매체(410)와 동일한 저장용 매체이거나 또는 별도의 매체일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만약 상기 저장매체(515)가 상기 인증 시스템(400)의 저장매체(410)와 동일한 저장용 매체라면 상기 보유자 등록부(505)는 생략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보유자 등록부(505)는 상기 보유자의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보유자 정보와 식별코드를 등록받아 저장하거나, 또는 상기 인증 시스템(400)으로부터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서비스 시스템(500)이 상기 보유자의 단말기(300)와 인증 시스템(400)의 중계 경로 상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보유자의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인증 시스템(400)으로 상기 보유자 정보와 식별코드가 중계되는 과정에서 이를 확인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보유자의 단말기(300)는 상기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어느 한 단말기(300)인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이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며, 상기 NFC매체(200)가 상기 제1 단말기(300) 또는 제2 단말기(300)의 사용자 이외에 제3자가 보유한 NFC매체(200)이더라도 무방하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NFC매체(200)를 태깅 인식 가능한 NFC모듈(310)을 구비하고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모듈(310)을 인식하는 프로그램(315)이 탑재된 단말기(300)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와, 상기 단말기(300)와 프로그램(315)을 이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지정된 저장매체(515)에 저장하는 사용자 등록부(510)를 구비한다.
상기 사용자 등록부(510)는 사용자의 단말기(300)에 구비된 프로그램(315)의 가입/인증 처리부(320)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기(300)와 프로그램(315)을 이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저장매체(515)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등록부(510)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300)에 구비된 프로그램(315)의 매체인증 처리부(325)와 연동하여 NFC매체(200)를 태깅 인식 가능한 NFC모듈(310)을 구비하고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모듈(310)을 인식하는 프로그램(315)이 탑재된 단말기(300)를 고유 식별하는 고유정보를 확인하여 저장매체(515)에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사용자 등록부(510)는 상기 매체인증 처리부(325)와 연동하여 상기 프로그램(315)을 구동 중인 단말기(300)에 대응하는 매체를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 결과로서 상기 고유정보를 확인하여 저장매체(515)에 저장할 수 있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NFC매체(200)가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하고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모듈(310)을 인식하는 프로그램(315)이 탑재된 단말기(30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통신하는 통신 절차 수행부(520)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 절차 수행부(520)는 단말기(300)에 구비된 NFC모듈(310)에 NFC매체(200)가 태깅되기 전 또는 중 또는 후의 지정된 시점에 상기 NFC모듈(310)을 구비하고 상기 도면3의 프로그램(315)을 구비한 단말기(300)와 통신채널을 연결한다.
본 발명의 제1 통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이 상기 단말기(300)와 인증 시스템(400) 사이의 중계 경로 상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 절차 수행부(520)는 상기 단말기(300)에 구비된 NFC모듈(310)에 NFC매체(200)가 태깅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30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태깅 특성 정보를 상기 인증 시스템(400)으로 중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 절차 수행부(520)는 상기 인증 시스템(400)으로부터 상기 태깅 특성 정보를 이용한 NFC 태깅의 NFC 태깅 인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이 상기 단말기(300)와 인증 시스템(400) 사이의 중계 경로 상에 존재하더라도 상기 통신 절차 수행부(520)는 실시 방법에 따라 거래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300)로부터 거래정보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 통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300)가 인증 시스템(400)과 직접 통신하여 NFC 태깅 인증 절차를 수행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300) 내부에서 NFC 태깅 인증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통신 절차 수행부(520)는 상기 단말기(300)에서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수신(또는 확인)한 후 상기 단말기(300)에서 본 발명의 제2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라 거래정보를 전송하거나, 및/또는 본 발명의 제4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라 거래정보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시점에, 상기 단말기(30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거래정보를 수신하거나 및/또는 거래정보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NFC매체(200)를 NFC모듈(310)에 태깅하여 인식된 코드 값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와 연동하여, NFC매체(200)가 태깅되는 단말기(300) 중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거래정보를 확인 또는 수신하는 거래정보 확인부(525)를 구비한다.
NFC매체(200)가 태깅되는 단말기(300) 중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300)가 본 발명의 제1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라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거래정보 확인부(525)는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거래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 상에 로드한다.
또는 NFC매체(200)가 태깅되는 단말기(300) 중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300)가 본 발명의 제2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라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거래정보 확인부(525)는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거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 상에 로드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NFC매체(200)를 NFC모듈(310)에 태깅하여 인식된 코드 값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와 연동하여,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 중에서 지정된 보유자의 NFC매체(200)가 제1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제1 단말기(300)(또는 제1 단말기(300)의 사용자)를 식별하고,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제2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제2 단말기(300)(또는 제2 단말기(300)의 사용자)를 식별하는 당사자 식별부(530)와,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일 측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거래정보 제공부(540)를 구비하며,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300) 및/또는 제2 단말기(300)와 단말기(300) 간 거래를 위한 식별토큰을 교환하는 당사자 연동부(5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당사자 식별부(530)는 NFC매체(200)를 NFC모듈(310)에 태깅하여 인식된 코드 값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와 연동하여, 지정된 보유자의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단말기(300)의 사용자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확인된 단말기(300)의 NFC모듈(310)에 태깅 인증된 NFC매체(200)의 보유자 정보(또는 식별코드)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사용자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당사자 식별부(530)는 단말기(300)에 구비된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를 인증하는 절차 중 또는 후에 상기 단말기(300)와 통신채널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통신채널을 통해 상기 NFC매체(200)가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또는 단말기(300)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당사자 식별부(530)는 상기 단말기(300)와 연결된 통신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저장매체(515)를 통해 상기 NFC매체(200)가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또는 단말기(300)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사용자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당사자 식별부(530)는 단말기(300)에 구비된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를 인증하는 절차 중 또는 후에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가 수신(또는 확인)되거나, 또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대상 거래정보 또는 거래정보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상기 NFC매체(200)가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또는 단말기(300)의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보유자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당사자 식별부(530)는 단말기(300)에 구비된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를 인증하는 절차 중 또는 후에 보유자 정보를 포함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가 수신(또는 확인)되거나, 또는 보유자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대상 거래정보 또는 거래정보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300)에 구비된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또는 보유자의 NFC매체(200))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보유자 식별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당사자 식별부(530)는 단말기(300)에 구비된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를 인증하는 절차 중에 상기 단말기(300)를 통해 선택된 대상 식별 값을 포함하는 태깅 특성 정보를 인증 시스템(400)으로 중계하는 경우, 상기 대상 식별 값을 판독하여 상기 단말기(300)에 구비된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또는 보유자의 NFC매체(200))를 식별할 수 있다.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단말기(300)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NFC매체(200)의 보유자 정보(또는 식별코드)가 확인되면, 상기 당사자 식별부(530)는 상기 NFC매체(200)의 보유자 정보(또는 식별코드)를 근거로 일정 시간 전에 상기 보유자 정보(또는 식별코드)대응하는 NFC매체(200)와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단말기(300)의 사용자 정보)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만약 일정 시간 전에 상기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단말기(300)의 사용자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당사자 식별부(530)는 상기 확인된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단말기(300)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NFC매체(200)가 제1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제1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제1 단말기(300)의 사용자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제1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제1 단말기(300)의 사용자 정보와 상기 태깅 인증된 NFC매체(200)에 대한 보유자 정보(또는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또는 유지)한다.
만약 상기 제1 단말기(300)가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300)이고 본 발명의 제1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라 전송 대상 거래정보를 전송한 경우, 상기 거래정보 확인부(525)는 상기 제1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거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단말기(300)가 본 발명의 제2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라 전송 대상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거래정보 확인부(525)는 상기 제1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거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일정 시간 전에 상기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단말기(300)의 사용자 정보)가 존재한다면, 상기 당사자 식별부(530)는 상기 확인된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단말기(300)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NFC매체(200)가 제2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제2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제2 단말기(300)의 사용자 정보)를 식별한다.
만약 상기 제2 단말기(300)가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단말기(300)이고 본 발명의 제1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라 전송 대상 거래정보를 전송한 경우, 상기 거래정보 확인부(525)는 상기 제2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거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단말기(300)가 본 발명의 제2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따라 전송 대상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상기 거래정보 확인부(525)는 상기 제2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거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당사자 식별부(530)를 통해 단말기(300)에 구비된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 NFC 태깅이 인증 성공함에 따라 상기 NFC모듈(310)을 구비한 제1 또는 제2 단말기(300)(또는 제1 또는 제2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식별되고, 상기 식별된 사용자의 단말기(300)에 구비된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 NFC 태깅 인증 성공이 확인되면, 상기 당사자 연동부(535)는 상기 코드 값의 유효성을 인증받은 NFC매체(200)가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제1 단말기(300) 및/또는 제2 단말기(300)와 단말기(300) 간 거래를 위한 식별토큰을 교환한다. 여기서, 상기 식별토큰은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간 거래를 제3의 단말기(300)와의(또는 제3의 단말기(300) 간) 거래와 식별하기 위한 식별 값으로서, 상기 당사자 연동부(535)는 중복되지 않게 선별된 순차 값, 중복되지 않게 생성된 임의 값, 상기 사용자 정보와 보유자 정보와 거래정보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정보를 해시한 해시 값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결정된 식별토큰을 단말기(300)로 제공(또는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식별토큰이 상기 거래정보를 포함하여 해시한 해시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거래정보 확인부(525)를 통해 거래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상기 당사자 연동부(535)를 통해 상기 식별토큰이 교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단말기(300) 및/또는 제2 단말기(300)와 식별토큰이 교환되면, 이후의 거래정보 교환 절차 내지 단말기(300) 간 거래 서비스 제공 절차는 별도의 언급이 없더라도 상기 식별토큰을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NFC매체(200)가 제1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제1 단말기(300)가 식별되고,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제2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제2 단말기(300)가 식별되면,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일 측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제1 거래정보 교환 방식에 따르면,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상기 NFC매체(200)가 먼저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NFC매체(200)가 먼저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먼저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나중에 태깅된 다른 일 측의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느낌을 받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NFC매체(200)가 먼저 태깅된 제1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NFC매체(200)가 먼저 태깅된 제2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2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거래정보 교환 방식에 따르면,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상기 NFC매체(200)가 나중에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NFC매체(200)가 나중에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나중에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먼지 태깅된 다른 일 측의 단말기(300)로 수신하거나 수집하는 느낌을 받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NFC매체(200)가 나중에 태깅된 제1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NFC매체(200)가 나중에 태깅된 제2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2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거래정보 교환 방식에 따르면,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상기 거래정보가 로드된 일 측의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거래정보가 로드된 일 측의 단말기(300)에서 다른 일 측 단말기(300)로 상기 로드된 거래정보가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거래정보가 로드된 제1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1 단말기(300)에서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300)로 상기 로드된 거래정보가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거래정보가 로드된 제2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제2 단말기(300)에서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300)로 상기 로드된 거래정보가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거래정보 교환 방식에 따르면,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상기 태깅된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태깅된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제1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보유자의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태깅된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제2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보유자의 제2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거래정보 교환 방식에 따르면,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상기 태깅된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300) 외에 다른 일 측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보유자의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태깅된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제1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보유자의 제1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태깅된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의 제2 단말기(300)를 확인하고,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보유자의 제2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거래정보 교환 방식에 따르면,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는 상기 제1 내지 제5 거래정보 교환 방식의 일부를 변형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내지 제5 거래정보 교환 방식 중 적어도 둘 이상의 거래정보 교환 방식(또는 그 일부)를 조합하는 형태로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중 일 측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300)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제1 단말기(300)와 제2 단말기(300) 간 거래정보 교환은,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일 측의 단말기(300)에서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다른 일 측의 단말기(300)로 일방향 거래정보 전달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일 측의 단말기(300)에서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다른 일 측의 단말기(300)로 일방향 거래정보 교환은 물론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다른 일 측의 단말기(300)에서 상기 NFC 태깅 인증을 통해 식별된 일 측의 단말기(300)로의 양방향 거래정보 교환까지도 모두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5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거래정보를 수신한 단말기(300)를 통해 수행된 거래정보 이용 절차의 거래정보 이용 결과를 확인하는 거래 결과 확인부(550)와, 상기 거래정보를 전송한 단말기(300)로 상기 거래정보 이용 결과를 제공하는 거래 결과 제공부(555)를 구비하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거래정보를 수신한 단말기(300)와 연동하여 상기 단말기(300)에서 수행되는 거래정보 이용 절차의 서버 측 절차를 수행하는 거래 절차 처리부(54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를 통해 제공된 거래정보를 수신한 단말기(300)는 상기 단말기(300)에서 이용 가능한 거래수단과 거래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한다.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거래 절차 처리부(545)는 상기 단말기(300)와 연동하여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단말기(300)에서 이용 가능한 거래수단 및/또는 거래방식에 따라 어떠한 방식이 적용되더라도 무방하며, 본 발명은 당업자가 도출 가능한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상기 거래 결과 확인부(550)는 상기 거래정보 제공부(540)를 통해 제공된 거래정보에 대하여 상기 단말기(300)에서 이용 가능한 거래수단과 거래방식을 통해 수행된 결제 절차의 결과에 대응하는 거래처리 결과(즉, 거래정보 이용 결과)를 확인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래 결과 확인부(550)는 상기 거래 절차 처리부(545)와 연동하여 상기 거래처리 결과를 확인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거래처리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거래 결과 제공부(555)는 상기 거래정보 이용 절차를 수행한 단말기(300)로 제공된 거래정보를 전송한 단말기(300)로 상기 거래 결과 확인부(550)를 통해 확인된 거래처리 결과를 제공하며, 상기 거래정보를 전송한 단말기(300)는 상기 거래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도면6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NFC매체(200)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인증 시스템(400)에서 NFC매체(200)를 고유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등록,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6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NFC매체(200)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6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6을 참조하면, 인증 시스템(400)은 NFC매체(200)를 설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NFC매체(200)를 고유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확인하고(600), 상기 NFC매체(200)의 식별코드를 저장매체(410)에 저장한다(605). 한편 상기 NFC매체(200)의 태깅 시점에 동적으로 생성된 인증코드가 이용되는 경우,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NFC매체(200)의 태깅 시점에 동적 생성되어 NFC매체(200)로부터 수신될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확인한다(610). 만약 상기 인증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식별코드와 인증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410)에 저장한다(615).
도면7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인증 시스템(400)에서 NFC매체(200)를 제공받은 보유자의 단말기(300)로부터 보유자 정보와 보유자의 위치 영역 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7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보유자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7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7을 참조하면, 인증 시스템(400)은 NFC매체(200)를 제공받은 보유자의 단말기(300)로부터 상기 보유자가 보유한 NFC매체(200)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보유자에 대한 보유자 정보 및 상기 보유자의 위치 영역 정보를 수신한다(700).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NFC매체(200)의 설계 제작 과정에서 등록된 식별코드와 상기 보유자의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식별코드가 매칭되는지 확인한다(705).
만약 상기 식별코드가 매칭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보유자의 단말기(300)로 상기 NFC매체(200)에 대한 미등록 오류 정보를 구성하여 전송한다(710). 반면 상기 식별코드가 매칭되면,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식별코드와 상기 수신된 보유자 정보 및 상기 보유자의 위치 영역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매체(410)에 저장한다(715).
도면8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또는 사용자)를 등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결제운영 시스템에서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를 사용하면서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를 인식하는 프로그램(315)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등록받아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8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사용자 등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8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8을 참조하면, 결제운영 시스템은 NFC모듈(310)을 구비하고 상기 도면3에 도시된 프로그램(315)을 탑재하여 구동 중인 단말기(300)와 통신채널을 연결하고(800), 상기 NFC모듈(310)을 구비하고 상기 프로그램(315)이 구동 중인 단말기(300)에 대응하는 매체를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한다(805). 바람직하게, 상기 결제운영 시스템은 상기 도면3에 기재한 제1 내지 제5 매체 인증 방식에 따라 상기 프로그램(315)을 구동 중인 단말기(300)에 대응하는 매체를 인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프로그램(315)을 구동 중인 단말기(300)에 대응하는 매체가 인증되지 않으면, 상기 결제운영 시스템은 상기 단말기(300)로 매체인증 오류를 전송한다(810). 한편 프로그램(315)을 구동 중인 단말기(300)에 대응하는 매체가 인증되면, 상기 결제운영 시스템은 상기 매체인증이 확인된 단말기(300)를 통해 확인된 고유정보와 상기 구동 중인 프로그램(315)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고(815), 상기 프로그램(315)이 구동 중인 단말기(300)의 고유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를 매핑하여 지정된 저장매체(515)에 저장한다(820).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고유정보 및/또는 사용자 정보는 인증 시스템(400)으로 공유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에서 NFC매체(200)를 이용한 NFC 태깅을 인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단말기(300)의 NFC모듈(310)에 NFC매체(200)가 태깅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이 상기 NFC매체(200)를 이용한 NFC 태깅을 인식하고 상기 NFC 태깅을 인증하기 위한 태깅 특성 정보를 구성하여 인증 시스템(400)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9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NFC 태깅 인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9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9를 참조하면, 단말기(300)는 NFC모듈(310)의 기능이 활성화됨에 따라(900), NFC모듈(310)에 대한 NFC 관련 이벤트를 확인하고(905), 상기 NFC 관련 이벤트를 판독하여 NFC매체(200)를 이용한 NFC 태깅이 인식되는지 확인한다(910).
만약 NFC매체(200)를 이용한 NFC 태깅이 인식되면,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의 코드 값을 인식한다(915).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코드 인식 방식에 따라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의 코드 값을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NFC매체(200)의 코드 값과 상기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를 포함하는 태깅 특성 정보를 구성하여(92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930). 한편 상기 NFC 태깅 인증에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가 이용되는 경우,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920), 상기 NFC매체(200)의 코드 값과 상기 단말기(300)의 고유정보 및 상기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태깅 특성 정보를 구성하여(92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930).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태깅 특성 정보를 전송하기 전에 보유자 또는 서비스(예컨대, 거래정보 교환 서비스 및/또는 교환된 거래정보를 이용한 거래 서비스)를 식별하는 대상 식별 값을 입력받고,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상기 대상 식별 값을 더 포함시켜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도면10은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를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인증 시스템(400)에서 NFC매체(200)를 단말기(300)의 NFC모듈(310)에 태깅하여 인식된 코드 값을 인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0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NFC매체(200) 인증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0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10의 NFC 태깅 인증 과정(또는 일부 과정)은 단말기(300)를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0을 참조하면, 인증 시스템(400)은 지정된 경로를 통해 상기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으로부터 전송된 태깅 특성 정보를 수신하고(1000),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포함된 NFC매체(200)의 코드 값을 확인하며(1005),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포함된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를 더 확인할 수 있다(1005).
만약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저장매체(410)로부터 상기 코드 값에 포함된 식별코드와 매칭되는 식별코드를 확인한다(1010). 만약 상기 포함하는 식별코드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NFC 태깅 인증 오류에 대응하는 인증 값을 포함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02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1040). 반면 상기 매칭되는 식별코드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식별코드를 상기 NFC 태깅 인증의 결과로 이용하거나, 또는 상기 코드 값에 포함된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단말기(30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저장매체(410)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와 매칭된 위치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보유자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보유자 정보와 매칭된 하나 이상의 비교 대상 식별코드를 확인하며(1015),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포함된 NFC매체(200)의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더 확인할 수 있다(1015).
만약 상기 위치 정보를 근거로 하나 이상의 비교 대상 식별코드가 확인되면,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위치 정보를 통해 상기 확인된 비교 대상 식별코드와 상기 코드 값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비교하여 상기 식별코드가 매칭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1025).
만약 상기 비교 대상 식별코드와 코드 값의 식별코드가 매칭되지 않는다면,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NFC 태깅 인증 오류에 대응하는 인증 값을 포함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02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1040).
한편 상기 비교 대상 식별코드와 코드 값의 식별코드가 매칭되는데, 상기 코드 값에 인증코드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식별코드와 매핑된 인증정보를 통해 상기 코드 값에 포함된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1030). 만약 상기 코드 값에 인증코드가 포함되어 있으나 상기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되지 않는다면,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NFC 태깅 인증 오류에 대응하는 인증 값을 포함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020),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1040).
반면 상기 코드 값에 인증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고, 상기 비교 대상 식별코드와 코드 값의 식별코드가 매칭되거나, 또는 상기 코드 값에 포함된 인증코드의 유효성이 인증된 경우,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NFC 태기 인증 성공에 대응하는 인증 값을 포함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생성하여(1035), 지정된 경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1040).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코드 값은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상기 보유자의 NFC매체(200)가 거래 당사자의 단말기(300)에 구비된 NFC모듈(310)에 태깅됨을 인증하는 인증수단으로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상기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의 보유자 또는 상기 NFC매체(200)를 이용하여 제공될 서비스(예컨대, 거래정보 교환 서비스 및/또는 교환된 거래정보를 이용한 거래 서비스)를 식별하는 대상 식별 값이 포함된 경우,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저장매체(410)에 저장된 인증정보 중 상기 대상 식별 값에 대응하는 식별코드(및/또는 인증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태깅 특성 정보에 포함된 코드 값을 인증할 수 있다.
만약 상기 NFC 태깅이 인증 성공한 경우,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상기 인증 성공한 NFC매체(200)에 대응하는 보유자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인증 성공한 NFC매체(200)가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사용자 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방법에 따라 인증 시스템(400)이 상기 NFC 태깅의 인증 시점을 기준으로 일정 시간 전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된 다른 단말기(300)를 로드된 거래정보를 확인 가능한 경우, 상기 인증 시스템(400)은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상기 거래정보를 포함(또는 연계)하여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방법에 따른 NFC 태깅 인증 기반 거래정보 교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1은 상기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NFC 태깅의 NFC 태깅 인증 결과가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수신된 경우에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에서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를 근거로 NFC매체(200)가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를 식별하되, 상기 식별된 단말기(300)가 소정의 제1 단말기(300)에 지정된 NFC매체(200)가 제1 태깅 인증된 후 일정 시간 내에 제2 태깅된 제2 단말기(300)인 경우에 상기 제2 단말기(300)로 전달하는 NFC 태깅 인증 결과에 상기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포함(또는 연계)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1을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거래정보 교환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1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11은 본 발명을 통해 실시 가능한 NFC 태깅 인증 기반 거래정보 교환 과정의 바람직한 합집합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면12 내지 도면14의 실시예를 근거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거래정보 교환 방식과 제1 내지 제4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대응하는 각종 실시예를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1을 참조하면, 서비스 시스템(500)은 지정된 경로를 통해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수신하고(1100),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포함된 인증 값을 판독하여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하였는지 확인한다(1105). 만약 상기 NFC 태깅 인증이 실패하였다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를 NFC매체(200)가 태깅된 단말기(300)로 전달한다(1110).
한편 상기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하였다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를 판독하여 상기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NFC매체(200)가 태깅된 NFC모듈(310)을 구비한 단말기(300)(또는 사용자)를 식별함과 동시에, 상기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NFC매체(200)를 보유한 보유자(또는 인증 성공한 NFC매체(200))을 식별한다(1115).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식별된 NFC매체(200)의 보유자에 대응하는 보유자 정보(또는 식별코드)를 통해 상기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전에 동일한 NFC 태깅을 이용한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단말기(300)(또는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1120).
만약 상기 일정 시간 전에 동일한 NFC매체(200)의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단말기(300)(또는 사용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단말기(300)를 소정의 NFC매체(200)가 제1 태깅된 제1 단말기(300)로 식별하고(1125), 상기 제1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인증 성공한 NFC매체(200)의 보유자 정보(또는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또는 유지)한 후(1130),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300)로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전달한다(1135).
한편 상기 일정 시간 전에 동일한 NFC매체(200)의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단말기(300)(또는 사용자)가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단말기(300)를 동일한 NFC매체(200)가 일정 시간 내에 제2 태깅된 제2 단말기(300)로 식별한다(1140).
만약 상기 제2 단말기(300)가 거래정보를 수신하는 측의 단말기(300)라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일정 시간 전에 동일한 NFC매체(200)의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확인한다(1145). 여기서 상기 확인되는 거래정보는 본 도면11의 (1160)과정을 통해 NFC 태깅 인증 과정에서 확인되어 제1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사용자 정보)와 매핑된 거래정보거나, 또는 도면12a의 과정을 통해 제1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어 도면12b의 과정을 통해 제1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사용자 정보)와 매핑된 거래정보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제2 단말기(300)로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전달한다(1170).
반면 상기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NFC 태깅 인증 결과에 상기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포함(또는 연계)하여 제2 단말기(300)로 전송한다(1150).
한편 상기 제2 단말기(300)가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측의 단말기(300)라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제2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거래정보를 확인한다(1155). 상기 거래정보는 상기 도면9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태깅 특성 정보에 포함(또는 연계)되어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도면12a의 과정을 통해 제2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거래정보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거래정보가 확인되면,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NFC매체(200)의 보유자 정보(또는 식별코드)와 상기 제2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제2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 후(1160), 제2 단말기(300)로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전달한다(1170).
한편 상기 제2 단말기(300)가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측의 단말기(300)이지만 상기 제2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거래정보가 확인되지 않으면,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제2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사용자 정보)와 상기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NFC매체(200)의 보유자 정보(또는 식별코드)를 매핑하여 저장한 후(1165), 제2 단말기(300)로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전달한다(1170).
도면12a와 도면12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방법에 따른 NFC 태깅 인증 기반 거래정보 교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2a와 도면12b는 상기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NFC 태깅의 NFC 태깅 인증 결과가 지정된 경로를 통해 NFC매체(200)가 태깅된 단말기(300)로 수신된 경우에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이 NFC 태깅 인증 성공을 확인하여 전송 대상 거래정보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도면11의 과정을 통해 NFC 태깅 인증 결과에 포함(또는 연계)된 거래정보를 확인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2a와 도면12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거래정보 교환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2a와 도면12b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12a와 도면12b는 본 발명을 통해 실시 가능한 NFC 태깅 인증 기반 거래정보 교환 과정의 바람직한 합집합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면11 내지 도면13의 실시예를 근거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거래정보 교환 방식과 제1 내지 제4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대응하는 각종 실시예를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2a를 참조하면,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지정된 경로를 통해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수신한다(1200).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인증 시스템(400)으로부터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수신하거나, 또는 상기 도면11의 실시예와 같이 서비스 시스템(500)을 중계 경로로 이용하여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포함된 인증 값을 판독하여 NFC모듈(310)에 태깅된 NFC매체(200)에 대한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하였는지 확인한다(1205). 만약 상기 NFC 태깅 인증이 실패하였다면,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NFC 태깅 오류 메시지를 출력한다(1210).
한편 상기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하였다면,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NFC 태깅 인증 결과에 포함된 NFC매체(200)의 보유자 정보(또는 식별코드)를 확인한다(1215).
만약 상기 단말기(300)가 거래정보를 수신하는 측의 단말기(300)라면,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도면11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포함(또는 연계)된 거래정보를 확인한다(1220).
만약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거래정보가 포함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도면13a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거래정보 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지정된 거래정보 제공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에 거래정보가 포함되어 있다면,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NFC 태깅 인증을 기반으로 수신된 거래정보를 표시한다(1225).
한편 상기 단말기(300)가 거래정보를 전송하는 측의 단말기(300)이고, 상기 NFC 태깅 인증 성공을 기반으로 지정된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전송 대상 거래정보를 전송해야 한다면,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사용자 조작을 통해 전송 대상 거래정보를 선택받거나 또는 상기 NFC 태깅 인증 성공을 기반으로 전송 대상 거래정보를 확인하고(1230),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상기 전송 대상 거래정보와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인증 성공한 NFC매체(200)의 보유자 정보(또는 식별코드)를 전송한다(1235).
도면12b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단말기(300)로부터 전송 대상 거래정보와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인증 성공한 NFC매체(200)의 보유자 정보(또는 식별코드)를 수신하고(1240), 상기 NFC매체(200)의 보유자 정보(또는 식별코드)와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사용자 정보) 및 상기 전송 대상 거래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1245). 상기 매핑된 거래정보는 도면11 또는 도면13b의 과정을 통해 거래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300)로 전송된다.
도면13a와 도면13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방법에 따른 NFC 태깅 인증 기반 거래정보 교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3a와 도면13b는 상기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NFC 태깅의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수신(또는 확인)한 단말기(300)가 거래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300)인 경우에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이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일정 시간 내에 동일 NFC매체(200)의 NFC 태깅 인증이 성공한 다른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된 거래정보를 요청 및 수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3a와 도면13b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상기 거래정보 교환 과정에 대한 다양한 실시 방법(예컨대,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또는 순서가 변경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3a와 도면13b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컨대, 본 도면13a와 도면13b는 본 발명을 통해 실시 가능한 NFC 태깅 인증 기반 거래정보 교환 과정의 바람직한 합집합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면11 내지 도면13의 실시예를 근거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거래정보 교환 방식과 제1 내지 제4 거래정보 송수신 실시예에 대응하는 각종 실시예를 유추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예를 권리범위로 포함함을 명백하게 밝혀두는 바이다.
도면13a를 참조하면, 도면10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수행된 NFC 태깅 인증 결과를 수신(또는 단말기(300) 내부에서 수행된 NFC 태깅 인증 결과를 확인)한 단말기(300)가 거래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300)이고, 상기 NFC 태깅 인증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거래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서비스 시스템(500)으로 거래정보를 수신할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사용자 정보) 및 인증 성공한 NFC매체(200)의 보유자 정보를 포함하는 거래정보 요청 정보를 구성하여 전송하고(1300),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으로부터 상기 거래정보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거래정보가 수신되는지 확인한다(1305).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거래정보 요청 정보는 수신 대상 거래정보를 선택/식별하는 수신 대상 값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13b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사용자 정보)와 NFC매체(200)의 보유자 정보(또는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거래정보 요청 정보를 수신하고(1310), 상기 보유자 정보(또는 식별코드)를 통해 상기 거래정보 요청 시점(=NFC 태깅 인증 성공 시점)을 기준으로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단말기(300)(또는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확인한다(1315).
만약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단말기(300)(또는 사용자)가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거래정보를 요청한 단말기(300)를 동일한 NFC매체(200)가 일정 시간 내에 제2 태깅된 제2 단말기(300)로 식별하고(1320),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 즉 상기 도면11 또는 도면12의 과정을 통해 제1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사용자 정보)와 매핑된 거래정보를 확인한다(1325).
만약 상기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거래정보를 요청한 제2 단말기(300)로 상기 제1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전송한다(1330).
한편 과거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단말기(300)(또는 사용자)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거래정보를 요청한 단말기(300)를 소정의 NFC매체(200)가 제1 태깅된 제1 단말기(300)로 식별하고(1335), 상기 거래정보 요청 시점(=NFC 태깅 인증 성공 시점)을 기준으로 미래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제2 단말기(300)(또는 사용자)가 상기 도면11 또는 도면12의 과정을 통해 식별되는지 대기한다(1340).
만약 미래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제2 단말기(300)(또는 사용자)가 확인되지 않으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제1 단말기(300)로 거래정보 교환 오류를 전송한다(1345).
한편 미래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제2 단말기(300)(또는 사용자)가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미래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제2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 즉 상기 도면11 또는 도면12의 과정을 통해 제2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거나 또는 상기 제2 단말기(300)의 고유정보(또는 사용자 정보)와 매핑된 거래정보를 확인한다(1350).
만약 상기 제2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가 확인되면,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거래정보를 요청한 제1 단말기(300)로 상기 제2 단말기(300)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전송한다(1355).
도면13a를 참조하면,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으로부터 전송된 거래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NFC 태깅 인증 성공을 기반으로 서비스 시스템(500)으로부터 수신된 거래정보를 표시한다(1360).
도면14는 본 발명의 실시 방법에 따라 NFC 태깅 인증을 통해 교환된 거래정보를 이용한 거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4는 상기 도면11 내지 도면1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거래정보 교환 방식에 따라 교환된 거래정보를 수신한 단말기(300)에서 상기 거래정보를 이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도면14를 참조 및/또는 변형하여 다양한 거래정보에 대한 거래 절차를 제공하는 다양한 실시 방법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은 상기 유추되는 모든 실시 방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본 도면14에 도시된 실시 방법만으로 그 기술적 특징이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면14를 참조하면, 상기 도면11 내지 도면13에 도시된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거래정보 교환 방식에 따라 교환된 거래정보를 수신한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은 NFC 태깅 인증을 기반으로 동일한 NFC매체(200)가 태깅 인증된 다른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거래정보를 확인하고(1400), 상기 단말기(300)에서 이용 가능한 거래수단과 거래방식을 기반으로 상기 거래정보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며(1405), 실시 방법에 따라 상기 결제 절차는 상기 서비스 시스템(500)과 연동하여 수행될 수 있다(1405).
만약 상기 결제 절차에 대한 거래처리 결과(=거래정보 이용 결과)가 확인되면, 상기 단말기(300)의 프로그램(315)(또는 서비스 시스템(500))은 상기 거래정보를 전송한 다른 단말기(300)로 상기 거래처리 결과를 제공하는 절차를 수행하며(1410), 상기 다른 단말기(300)는 상기 거래처리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100 : 운영서버 105 : 서비스제공서버
200 : NFC매체 300 : 단말기
310 : NFC모듈 320 : 가입/인증 처리부
325 : 매체인증 처리부 330, 405 : NFC매체 등록부
335 : NFC 인식부 340 : 코드 인식부
345 : 위치 확인부 350 : 인증 절차 수행부
355 : 인증 결과 수신부 360 : 거래정보 교환부
365 : 거래 절차 수행부 400 : 인증 시스템
410, 515 : 저장매체 415 : 태깅 특성 수신부
420 : 태깅 특성 확인부 425 : 태깅 특성 인증부
430 : 인증 결과 제공부 500 : 서비스 시스템
505 : 보유자 등록부 510 : 사용자 등록부
420 : 통신 절차 수행부 525 : 거래정보 확인부
530 : 당사자 식별부 535 : 당사자 연동부
540 : 거래정보 제공부 545 : 거래 절차 처리부
550 : 거래 결과 확인부 555 : 거래 결과 제공부

Claims (31)

  1. NFC모듈을 구비한 둘 이상의 단말기와 통신하는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의 NFC모듈에 NFC매체를 근접시키는 태깅(Tagging)을 통해 인식된 코드 값을 인증하는 인증 절차와 연동하여 상기 NFC매체가 제1 태깅된 NFC모듈을 구비한 제1 단말기를 식별하고,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가 제2 태깅된 NFC모듈을 구비한 제2 단말기를 식별하는 제1 단계; 및
    NFC매체 태깅을 이용하여 식별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중 일 측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래정보는,
    결제정보, 금융거래정보, 가치정보, 전자자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중 상기 NFC매체가 먼저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NFC매체가 먼저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NFC매체가 먼저 태깅된 제1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1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NFC매체가 먼저 태깅된 제2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2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중 상기 NFC매체가 나중에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NFC매체가 나중에 태깅된 일 측의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NFC매체가 나중에 태깅된 제1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1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NFC매체가 나중에 태깅된 제2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2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중 상기 거래정보가 로드된 일 측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거래정보가 로드된 일 측의 단말기에서 다른 일 측 단말기로 상기 로드된 거래정보가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거래정보가 로드된 제1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1 단말기에서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로 상기 로드된 거래정보가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거래정보가 로드된 제2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제2 단말기에서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로 상기 로드된 거래정보가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중 상기 태깅된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다른 일 측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태깅된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의 제1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보유자의 제1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태깅된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의 제2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보유자의 제2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 중 상기 태깅된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의 단말기 외에 다른 일 측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보유자의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태깅된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의 제1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제2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보유자의 제1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태깅된 NFC매체를 보유한 보유자의 제2 단말기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제1 단말기를 통해 로드된 거래정보를 상기 보유자의 제2 단말기로 전달되도록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20. 제 1항에 있어서,
    NFC매체를 보유하고 있는 보유자를 식별하는 보유자 정보와 상기 보유자의 NFC매체를 식별하는 식별코드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FC매체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단말기의 NFC모듈에 상기 NFC매체를 태깅하는 시점에 동적 생성되는 인증코드를 인증하기 위한 인증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값은,
    상기 NFC매체를 식별하는 식별코드, 또는
    상기 NFC매체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와 상기 단말기의 NFC모듈에 상기 NFC매체를 태깅하는 시점에 동적 생성되는 인증코드의 조합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2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는,
    상기 코드 값이 인증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NFC매체로부터 인식되는 코드 값에 포함되어 인식되거나, 또는
    상기 NFC매체로부터 상기 코드 값을 인식한 단말기의 프로그램을 통해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절차는,
    상기 NFC매체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2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절차는,
    상기 NFC매체를 식별하는 식별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와 상기 단말기의 NFC모듈에 상기 NFC매체를 태깅하는 시점에 동적 생성되는 인증코드의 유효성을 인증하는 절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26. 제 1항에 있어서,
    NFC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NFC모듈에 태깅된 NFC매체를 인식하는 프로그램을 구비한 단말기의 고유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2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FC매체가 태깅된 NFC모듈을 구비한 단말기와 통신채널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2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인증받은 NFC매체가 태깅된 NFC모듈을 구비한 단말기 간 거래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토큰을 교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토큰은,
    일정 시간 내에 동일한 NFC매체가 태깅된 제1 단말기와 제2 단말기에 동일한 토큰이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3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인증받은 NFC매체가 태깅된 NFC모듈을 구비한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거래정보를 이용한 거래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3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특성 관계를 인증받은 NFC매체가 태깅된 NFC모듈을 구비한 단말기를 로부터 수신된 거래정보에 대한 거래처리 결과를 확인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거래정보를 전송한 단말기로 상기 확인된 거래처리 결과를 제공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KR1020140055851A 2014-05-09 2014-05-09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KR102268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851A KR102268468B1 (ko) 2014-05-09 2014-05-09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851A KR102268468B1 (ko) 2014-05-09 2014-05-09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9340A true KR20150129340A (ko) 2015-11-20
KR102268468B1 KR102268468B1 (ko) 2021-06-25

Family

ID=54844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851A KR102268468B1 (ko) 2014-05-09 2014-05-09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8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70780A1 (en) * 2018-05-30 2019-12-05 Ncr Corporation Dynamic tag based identification for self and assisted transaction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7506A (ja) * 2004-04-05 2007-12-20 ペイ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ビー.ヴイ. 価値保存機器として機能する1つの共通の携帯機器を使用して、異なる複数の決済システムにまたがる非接触式決済取引を容易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30076691A (ko) * 2011-12-28 2013-07-08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하나 이상의 nfc-지원 장치들에 의해 중재되는 정적 및/또는 동적 규칙 관리를 사용한 다자간 거래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37506A (ja) * 2004-04-05 2007-12-20 ペイジー コーポレーション ビー.ヴイ. 価値保存機器として機能する1つの共通の携帯機器を使用して、異なる複数の決済システムにまたがる非接触式決済取引を容易に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30076691A (ko) * 2011-12-28 2013-07-08 브로드콤 코포레이션 하나 이상의 nfc-지원 장치들에 의해 중재되는 정적 및/또는 동적 규칙 관리를 사용한 다자간 거래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370780A1 (en) * 2018-05-30 2019-12-05 Ncr Corporation Dynamic tag based identification for self and assisted transactions
US11605067B2 (en) * 2018-05-30 2023-03-14 Ncr Corporation Dynamic tag based identification for self and assisted transa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8468B1 (ko)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2447B2 (en) Enhanced data interface for contactless communications
US20200286088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curing payment data for transmission over open communication networks
AU2018282344B2 (en) Secure electronic entity for authorizing a transaction
US10803448B2 (en) Multi card generation method, multi card use method and multi card system
JP2018520401A (ja) 自動販売機トランザクション
TW201349143A (zh) 交易處理系統及方法
KR20110084865A (ko) 모바일 아이디와 접촉/비접촉식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신용카드 결제방법 및 장치
KR20130008125A (ko) 사용자의 결제수단과 동적 매핑된 결제식별번호를 이용한 결제
KR20030083999A (ko) 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아이씨 카드 발급 및 관리 방법
KR101772358B1 (ko) 결제수단 등록을 위한 타사 앱 자동 식별 방법
KR20160077464A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KR101695097B1 (ko) 오티피카드를 이용한 계좌이체 기반 간편결제 방법
KR102268468B1 (ko)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단말기 간 거래 제공 방법
KR20090021887A (ko) 아이디카드와 스마트 칩 내장 휴대 전화를 같이 사용하는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2276916B1 (ko) 엔에프씨오티피카드를 이용한 비대면 거래 인증 방법
KR20160077467A (ko) 사운드를 이용한 현장 결제 방법
KR20180026432A (ko) 결제수단과 동적 매핑된 결제식별번호를 이용한 결제
KR20130008124A (ko) 금융기관 별로 동적 매핑된 결제식별번호를 이용한 결제
KR102268471B1 (ko) 거래정보와 엔에프씨오티피카드를 이용한 거래 인증 방법
KR20150129271A (ko) 엔에프씨 태깅 결제 제공 방법
KR20150129341A (ko) 엔에프씨 태깅을 이용한 구매 상품 제공 방법
KR20160139073A (ko) 일회용코드를 이용한 거래 연동 인증 방법
KR101674812B1 (ko) 오티피카드를 이용한 계좌이체 결제 방법
WO2022008231A1 (en) Secure end-to-end pairing of secure element to mobile device
KR20140089733A (ko) 결제 처리를 위한 제휴사 앱 인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