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7357A - Pile Type Debris Barri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ile Type Debris Barri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7357A
KR20160077357A KR1020140186350A KR20140186350A KR20160077357A KR 20160077357 A KR20160077357 A KR 20160077357A KR 1020140186350 A KR1020140186350 A KR 1020140186350A KR 20140186350 A KR20140186350 A KR 20140186350A KR 20160077357 A KR20160077357 A KR 20160077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concrete
dam
slope
anch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3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25463B1 (en
Inventor
김성태
이동균
여운식
김민식
김종선
김석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이동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이동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Priority to KR1020140186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463B1/en
Publication of KR20160077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73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4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6Earth-fill dams; Rock-fill da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02B7/04Dams across valleys
    • E02B7/08Wall d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9/00Classifying, separating, and assorting solids
    • Y10S209/91Feed hop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pile type debris barrier building method capable of building a debris barrier between a first inclined surface, of which ground line is sharp,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of which ground line is more gradual than the first inclined surface. The method includes: a step of making an anchor hole o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nserting a base pile into the anchor hole, and then stiffening a filler in the anchor hole to form a base part in which the base pile is fixed to the anchor hole; a step of placing an assembly groove at an end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base pile, preparing a concrete PC wall, of which rebar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an e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n fixing the PC wall to the upper part of the base pile to form a wall part; and a step of embedding a shoulder part 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forming a body barrier integrated with the wall part by being placed in the site in order to connect an end with the rebar of the PC wall.

Description

파일형 사방댐 및 그 시공방법{Pile Type Debris Barri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 type dam,

본 발명은 파일형 사방댐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지반선의 경사도가 낮아 토사근입이 되지 않거나 토사근입이 부족한 어깨부에 대한 지반고정력을 확보하여 외부하중에 대한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파일형 사방댐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e-shaped dam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pile da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le dam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pile dam, and more particularly,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사방댐은 하상구배가 큰 계곡에서 급류가 강바닥을 파고 양쪽 산기슭을 깎아서 산사태를 유발하므로 이를 방지하고 급류를 따라 토사와 암석이 하류로 흘러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토목 구조물이다. In general, Sambang Dam is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installed to prevent earthquakes and rocks from flowing downstream along the rapids because the rapids dig the riverbed in the valley where the riverbed is large and cause both sides of the river to slash.

이러한 산간계곡 등의 수해방지용으로 설치하는 사방댐은 콘크리트 사방댐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는 저수,저류가 목적인 사방댐으로서 강의 하류 쪽에 큰 규모로 설치되는 것이다. The concrete sidewall dam is the most commonly used sideway dam installed for the prevention of floods such as mountain valleys, but it is a sideway dam for the purpose of water storage and storage, and is installed on a large scal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river.

(특허문헌 1) KR10-0994578 B1 (Patent Document 1) KR10-0994578 B1

특허문헌 1에는 계곡의 경사면에 매입되는 좌우한쌍의 어깨부와, 중앙부에 함몰형성된 노치부에 유목이나 토석류를 차단할 수 있도록 스크린을 구비하는 사방댐을 개시하고 있다.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four-way dam having a pair of left and right shoulder portions embedded in an inclined surface of a valley and a screen so as to block driftwood or debris from the notch portion formed at the center.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사방댐의 좌우한쌍의 어깨부가 매입되어 고정되는 계곡의 좌우양측 경사면 중 어느 하나가 완만하거나 사방댐의 전체 폭의 축소로 인해 일측 어깨부의 토사 근입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사방댐에 작용하는 하중에 의한 안정성 확보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f any one of the right and left side inclined surfaces of the valley in which the pair of left and right shoulder portions of the conventional four-way dam are embedded and fixed is gentle or the entire width of the four-way dam is reduc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stability by the load.

또한, 상기 계곡의 완면한 경사면에 시공되는 어깨부의 전체길이가 연장되는 경우, 일측 어깨부와 대응하는 지반에 암벽이 존재하여 기초콘크리트를 시공하기 위한 절토가 곤란해지고, 무리한 절토작업시 암벽과 더불어 그 주변 경사면에 대한 자연훼손이 커지는 한편, 연장되는 어깨부의 시공을 위해서 사유지를 추가로 매입해야만 하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when the entire length of the shoulder portion of the valley is extended, there is a rock wall o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shoulder portion of one side, so that it is difficult to cut the foundation concrete to construct the concret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natural damage to the peripheral inclined surface is increased and that private land is additionally purchased for construction of the extended shoulder por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지반선의 경사도가 낮아 토사근입이 되지 않거나 토사근입이 부족한 어깨부에 대한 지반고정력을 확보하여 외부하중에 대한 충분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경사도가 낮은 완만한 지반선에 존재하는 암석의 절토작업이나 제거작업의 필요없이 댐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한편 사유지 매입이 곤란한 지역에서도 시공이 가능한 파일형 사방댐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securing a ground fixing force for a shoulder portion that is low in inclination of a ground line, And can provide the dam type structure without the cutting operation or removal operation of the rocks present on the gentle slope where the slope is low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ile type dam capable of being constructed in the area where it is difficult to purchase the private land is provided I want to.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지반선의 경사가 급격한 제1사면과 지반선의 경사도가 제1경사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완만한 제2사면사이에 시공되는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제2사면과 대응하는 지반에 천공된 앵커홀과, 상기 앵커홀에 채워진 채움재의 경화에 의해서 하부단이 고정되는 기초파일을 구비하는 기초부 ; 상기 기초파일의 상부에 삽입연결되는 조립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하는 일측단에 철근이 외부노출된 콘크리트 PC벽체를 기초파일의 상부에 고정연결한 벽체부 ; 및 상기 제1경사면에 어깨부가 매입되고, 상기 콘크리트 PC벽체의 철근에 단부가 연결되도록 현장타설되어 상기 벽체부와 일체화되는 본체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형 사방댐을 제공한다.As a specific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ur-way dam wherein a first slope in which the slope of the ground line is abrupt and a slope of the ground line are constructed between the second slope relatively gentler than the first slope, An anchor hole drilled i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slope, and a foundation pile on which the lower end is fixed by hardening of the filler filled in the anchor hole; A wall portion having an assembly groove inserted an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pile, and a concrete PC wall having a reinforcing bar exposed to the outside at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face, And a main dam install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shoulder portion is embedded and th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s of the concrete PC wall and integrated with the wall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PC벽체는 현장타설되는 본체댐의 일측단으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댐에 근입되도록 연장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철근을 구비한다. Preferably, the concrete PC wall has at least one auxiliary reinforcing bar extending so as to extend into an extended dam extending outwardly from one side of the body dam to be laid down.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PC벽체는 현장타설되는 본체댐의 일측단에 매입되어 고정되도록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쐐기고정부를 구비한다. Preferably, the concrete PC wall includes at least one wedge fix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dam so as to be embedded in one side of the body dam.

바람직하게, 상기 콘크리트 PC벽체는 현장타설되는 본체댐에 매입되어 연결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철근의 단부에 직각으로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철근을 구비한다. Preferably, the concrete PC wall has at least one stationary reinforcing bar that is embedded in the body dam to be installed in the field, and crosses at right angles to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that generates the connecting fixing force.

바람직하게, 상기 벽체부는 상류 또는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보조벽체부를 포함하고, Preferably, the wall portion includes an auxiliary wall portion extending upstream or downstream,

상기 보조벽체부는 상기 콘크리트 PC벽체의 일측과 커플러를 매개로 상류 또는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크리트 PC벽체와, 상기 다른 콘크리트 PC벽체가 상단에 연결되는 다른 기초파일이 고정되는 다른 앵커홀을 포함한다. The auxiliary wall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ther concrete PC wall extending from the one side of the concrete PC wall and the coupler to the upstream or downstream side and another anchor hole to which another foundation fil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ther concrete PC wall is fixed .

또한, 본 발명은 지반선의 경사가 급격한 제1사면과 지반선의 경사도가 제1경사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완만한 제2사면사이에 사방댐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사면과 대응하는 지반에 앵커홀을 천공하고, 상기 앵커홀에 기초파일을 삽입배치한 다음, 상기 앵커홀에 충진된 채움재를 경화하여 상기 앵커홀에 기초파일이 고정된 기초부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기초파일의 상부단과 대응하는 단부에 조립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하는 일측단에 철근이 외부노출된 콘크리트 PC벽체를 준비한 다음, 상기 기초파일의 상부에 콘크리트 PC벽체를 고정하여 벽체부를 형성하는 단계 ; 및 상기 제1경사면에 어깨부가 매입되고, 상기 콘크리트 PC벽체의 철근에 단부가 연결되도록 현장타설되어 상기 벽체부와 일체화된 본체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형 사방댐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structing a four-way dam between a first slope having a steep slope of a ground line and a second slope having a slope of a ground line relatively slower than a first slope, A step of drilling a hole, inserting a foundation pile into the anchor hole, and curing the filler filled in the anchor hole to form a foundation having the foundation pile fixed to the anchor hole; A concrete PC wall having an assembly groove at an end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foundation file and having a reinforcing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at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face is prepared and then a concrete PC wall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file Forming a wall portion; And forming a main body dam integrated with the wall portion so that the shoulder portion is embedded 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s of the concrete PC wall. to provide.

바람직하게, 상기 벽체부와 일체화된 본체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PC벽체의 상단부에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촐근을 현장타설되는 본체댐의 일측단으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댐에 근입된다. Preferably, the step of forming the body dam integrated with the wall part is inserted into an extended dam extending outwardly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dam, which is placed in the field, with at least one auxiliary hoop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PC wall.

바람직하게, 상기 벽체부와 일체화된 본체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PC벽체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쐐기고정부가 현장타설되는 본체댐의 일측단에 매입되어 고정된다. Preferably, the step of forming the body dam integrated with the wall part is embedded in one side of the body dam where at least one wedge fixing part protruded on one side of the concrete PC wall is installed in the field.

바람직하게, 상기 벽체부와 일체화된 본체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PC벽체의 철근단에 직각으로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철근이 현장타설되는 본체댐에 매입되어 고정된다. Preferably, the step of forming the body dam integrated with the wall part is embedded in and fixed to the body dam in which at least one fixed reinforcing bar intersecting at right angles to the reinforcing end of the concrete PC wall is placed.

바람직하게, 상기 벽체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PC벽체의 일측과 커플러를 매개로 상류 또는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크리트 PC벽체를 포함하는 보조벽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한다.
Preferably, the step of forming the wall portion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an auxiliary wall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other concrete PC wall extending from the one side of the concrete PC wall and the coupler to the upstream or downstream sid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지반선의 경사도가 낮아 제2경사면에 기초부를 시공하고,기초부의 기초파일에 콘크리트 PC벽체를 연결하여 벽체부를 시공한 다음, 지반선의 경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제1경사면에 어깨부가 매입되도록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 ㄷ댐과 벽체부의 콘크리트 PC벽체를 일체화함으로써, 토사근입이 되지 않거나 토사근입이 부족한 사방댐의 일측 어깨부를 지반고정력을 갖는 기초부와 연결된 벽체부로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도가 큰 경사면 까지 어깨부를 연장할 필요가 없어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한편, 어깨부의 연장시 자연을 훼손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 Since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line is low, the base part is constructed o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he concrete PC wall is connected to the base file of the foundation part to construct the wall part, and then the shoulder part is installed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Concrete to be laid d By integrating the concrete PC wall of the wall with the dam,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shoulder part of the four-way dam which does not reach the toe root or lack of the toe slope by the wall part connected to the foundation having the ground fixing force. It is not necessary to extend the shoulder portion, so that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 natur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when the shoulder portion is extended.

(2) 지반선의 경사도가 낮은 경사면에 어깨부의 매입이 가능할 정도로 성토할 필요가 없고, 어깨부가 연장되어 침범하게 되는 사유지를 추가로 매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2) It is not necessary to fill the shoulder part with the inclination of the slope of the ground line so that it is possible to fill the shoulder part, and it is not necessary to purchase additional private land to which the shoulder part is extended so that the construction time is shortened and the overall construction cost is reduced can do.

(3) 일측 어깨부와 대응하는 지반선에 존재하는 암석을 제거하거나 절토작업의 필요없이 기초파일로 고정되는 벽체부와 콘크리트의 현장타설에 의해서 시공되는 본체댐으로 이루어지는 파일형 사방댐을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방댐 시공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3)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pile-shaped dam composed of a wall part fixed to the foundation pile and a main dam constructed by putting the concrete into place without removing the rock on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shoulder part and the corresponding ground lin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constructing the dam, and to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도 1a 내지 도 1d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형 사방댐 시공방법을 도시한 공정 순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형 사방댐 시공방법에서 기초부와 벽체부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형 사방댐 시공방법에서 벽체부에 보조 벽체부를 연장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파일형 사방댐 시공방법에서 벽체부에 보조 벽체부를 연장 형성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FIGS. 1A to 1D are process flow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 piled roof d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A to 2C are views illustrating a coupling state between a foundation part and a wall part in a pile type dam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all portion is extended from a wall portion in a pile type dam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wall portion is extended from a wall portion in a pile-shaped dam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also include other elem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일형 사방댐 시공방법은 도 1a 내지 도 1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반선의 경사가 급격한 제1사면(S1)과 지반선의 경사도가 제1경사면(S1)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완만한 제2사면(S2)사이에 사방댐(300)을 시공하도록 앵커홀에 기초파일을 고정하는 단계, 벽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본체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A to 1D,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piled roof d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slope S1 having a steep slope of a ground line and a slope of a ground line are relatively Fixing the foundation pile to the anchor hole so as to construct the four-sided dam 300 between the gently sloping second slopes S2, forming the wall portion, and forming the main dam.

상기 기초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도 1a 와 도 1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앵커홀(111)에 기초파일(113)을 고정하여 지반선의 경사도가 완면한 제2경사면(S2)에 상기 벽체부(200)를 시공하기 위한 고정기초부(100)를 시공하는 것이다. 1A and 1B, the base part 113 is fixed to the anchor hole 111,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S2 having the inclination of the ground line is completed, the step of forming the base part 200 The fixed base portion 100 is constructed.

즉, 상기 기초부(100)는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미도시된 오거설비를 이용하여 상기 제2사면(S2)과 대응하는 지반에 일정깊이의 앵커홀(110)을 천공한다. That is, in order to construct the foundation 100, anchor holes 110 having a certain depth are formed i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lope S2 by using an auger facility (not shown).

이러한 앵커홀(110)에는 H 단면상의 형강재인 일정길이의 기초파일(115)의 하부단을 삽입배치한 다음, 상기 앵커홀(110)에 몰타르와 같은 채움재(120)를 채움으로써, 상기 앵커홀에 채워진 채움재(120)의 경화에 의해서 상기 앵커홀에 하부단 일부가 삽입된 기초파일을 위치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The anchor hole 110 is formed by inserting a lower end of a base filament 115 of a predetermined length which is a section steel material having an H section and then filling the anchor hole 110 with a filler material 120 such as mortar, It is possible to position and fix the foundation pile in which a part of the lower end is inserted into the anchor hole by hardening the filler material 120 filled in the anchor holes.

이에 따라, 상기 앵커홀(110)에 기초파일(130)의 하부단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나머지 상부단 일부가 외부노출되는 기초파일을 갖는 기초부(100)를 제2경사면(S2)에 1차로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A base part 100 having a base file in which a lower end part of the foundation pile 130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anchor hole 110 and the remaining upper end part is exposed to the outside is provided on the second slope S2, It can be constructed by car.

상기 벽체부(200)를 형성하는 단계는 도 1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부(100)의 기초파일(110)에 대략 직육면체상의 콘크리트 PC벽체(210)를 고정하여 제2경사면에 위치하는 벽체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1C, the concrete PC wall body 210 o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is fixed to the foundation pile 110 of the foundation part 100 to form the wall part 200 located on the second slope face, To form a part.

즉, 상기 콘크리트 PC벽체(210)는 공장에서 시공하고자 하는 사방댐의 규격에 맞추어 사전에 제작되는 콘크리트소재의 프리캐스팅 벽체로 이루어지는바, 이러한 콘크리트 PC벽체(210)는 상기 기초파일(130)의 상부단과 대응하는 단부에 조립홈(220)을 구비하고, 상기 제1경사면(S1)과 대응하는 일측단에 철근(230)이 외부노출되도록 제작도는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이다. That is, the concrete PC wall 210 is made of a pre-casting wall made of concrete, which is manufactured in advance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ations of the four-way dam to be installed at the factory. And the reinforcing bars 230 are exposed to the outside at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S1, as shown in FIG.

이러한 콘크리트 PC벽체는 미도시된 기중기에 의해서 이용하여 들어올린 다음, 상기 제2경사면(S2)에 1차로 시공된 기초부(100)의 기초파일(130)의 상부단과 상기 콘크리트 PC벽체(210)의 조립홈(220)에 삽입되어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경사면에 위치고정된 기초파일(130)의 상부단에 콘크리트 PC벽체(210)의 하부단이 삽입고정된 벽체부(200)를 2차로 시공하는 것이다.
This concrete PC wall is lifted by a crane not shown and then lifted up to the upper end of the foundation pile 130 of the base part 100 firstly installed on the second slope S2 and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PC wall 210, The wall portion 200 to which the lower end of the concrete PC wall 210 is inserted and fixed is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foundation pile 130 fixed to the second sloping surface It is construction by car.

상기 본체댐(300)을 형성하는 단계는 도 1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벽체부(200)의 콘크리트 PC벽체(210)와 연결되어 일체화된 본체댐(300)을 3차 형성하여 파일형 사방댐(400)을 시공완성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1D, the main dam 300 is connected to the concrete PC wall 210 of the wall part 200 to form a body dam 300 integrated with the main body dam 300, (400).

즉, 상기 본체댐(300)은 상기 제2경사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사도가 큰 제1경사면(S1)에 어깨부(310)가 매입되어 지반에 대한 고정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벽체부(200)의 콘크리트 PC벽체(210)로부터 연장된 철근(230)에 단부가 연결되도록 현장타설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다. That is, the main body dam 300 is embedded 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S1 having a relatively large inclination relative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to generate a fixing force for the ground, The concrete structure is placed so that the ends ar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s 230 extending from the concrete PC wall 210.

이러한 본체댐(300)은 상기 벽체부를 형성한 다음 계곡의 바닥면에 현장타설되는 기초바닥 콘크리트를 시공하고, 상기 기초바닥 콘크리트의 상부면에 시공되고, 상기 제1경사면과 벽체부사이에 형성되는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해서 상기 제1경사면(S1)에 매입되어 고정되는 어깨부(310)와, 월류용 노치부(320)를 갖도록 3차로 시공되는 것이다. The main dam 300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ully after forming the wall part,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bottom concrete, and the dice formed between the first slope surface and the wall part The shoulder portion 310 is embedded in and fixed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S1 by the concrete placed 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S1, and the notch portion 320 for the overflow.

또한, 상기 벽체부(200)와 본체댐(300)간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콘크리트 PC벽체(210)는 도 2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단에 보조철근(230a)을 연장형성하고, 상기 보조철근(230a)은 상기 본체댐(300)으로부터 상기 벽체부(200)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댐(330)에 근입되어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2A, the concrete PC wall 210 may be formed by extending an auxiliary reinforcing bar 230a at an upper end of the concrete PC wall 210 so as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wall part 200 and the body dam 300, The auxiliary reinforcing bar 230a is connected to the extended dam 330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dam 300 to the wall part 200 side.

상기 콘크리트 PC벽체(210)는 도 2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타설되는 본체댐(300)의 일측단에 매입되어 고정되도록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쐐기고정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B, the concrete PC wall 210 may have a wedge fixing part 240 protruding from one side thereof so as to be embedded in one end of the main body dam 300 to be installed in the field.

상기 콘크리트 PC벽체(210)는 도 2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장타설되는 본체댐(300)에 매입되어 연결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철근(230)의 단부에 대략 직각으로 교차되는 고정철근(231)을 구비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C, the concrete PC wall 210 includes a fixed reinforcing bar 231 that is embedded in the body dam 300 to be placed in the field and crosses at an approximately right angle to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230 generating the connection fixing force .

한편, 상기 벽체부(200)는 지반경사도가 낮은 제2경사면에서 벽체부에 대한 고정력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도록 보조벽체부(200a)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wall part 200 further includes a supplementary wall part 200a to secure a fixing force to the wall part in the second inclined surface having a low ground inclination.

이러한 보조벽체부(200a)는 상기 벽체부의 콘크리트 PC벽체(210)의 일측과 커플러(205)를 매개로 상류 또는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다른 콘크리트 PC벽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른 콘크리트 PC벽체는 다른 앵커홀에 하부단이 삽입되어 채움재에 의해서 고정되는 다른 기초파일의 상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벽체구조물이다. The auxiliary wall portion 200a is formed of one concrete PC wall 210 of the wall portion and another concrete PC wall extending upward or downstream via the coupler 205. The other concrete PC wall is formed of another anchor hole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upper end of another foundation pile fixed by the filler.

여기서, 상기 보조벽체부(200a)는 앵커홀, 채움재 및 기초파일로 이루어지는 벽체부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2경사면에 시공되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 the auxiliary wall part 200a is applied to the second inclined surface in the same manner as the wall part made of the anchor hole, the filling material and the foundation pil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상류 또는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보조벽체부(200a)는 상기 본체댐의 시공라인에 대하여 일정각도을 형성하도록 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uxiliary wall portion 200a extending toward the upstream or downstream side is preferably inclined relative to the construction line of the main dam so as to form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construction line.

이에 따라, 상기 벽체부로부터 상류 또는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보조벽체부(200a)를 구비함으로써, 이러한 보조벽체부에 의해서 상기 벽체부와 제2경사면이 서로 만나는 영역을 상류에서 하류측으로 흐르는 물흐름에 기인하는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벽체부 근방에 성토되는 토양이 유실되는 것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사방댐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by providing the auxiliary wall portion 200a extending from the wall portion to the upstream or downstream side, the region where the wall portion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meet by the auxiliary wall portion is caused by the water flow flowing from the upstream side to the downstream sid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loss of soil to be filled in the vicinity of the wall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of the dam.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 기초부
110 : 앵커홀
120 : 채움재
130 : 기초파일
200 : 벽체부
210 : 콘크리트 PC벽체
220 : 조립홈
230 : 철근
230a : 보조철근
300 : 본체댐
310 : 어깨부
320 : 노치부
330 : 연장댐
100:
110: anchor hole
120: Filler
130: Foundation Files
200: wall part
210: Concrete PC wall
220: Assembly groove
230: Rebar
230a: auxiliary reinforcing bar
300: Body dam
310: Shoulder portion
320:
330: Extended Dam

Claims (10)

지반선의 경사가 급격한 제1사면과 지반선의 경사도가 제1경사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완만한 제2사면사이에 시공되는 사방댐에 있어서,
상기 제2사면과 대응하는 지반에 천공된 앵커홀과, 상기 앵커홀에 채워진 채움재의 경화에 의해서 하부단이 고정되는 기초파일을 구비하는 기초부 ;
상기 기초파일의 상부에 삽입연결되는 조립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하는 일측단에 철근이 외부노출된 콘크리트 PC벽체를 기초파일의 상부에 고정연결한 벽체부 ; 및
상기 제1경사면에 어깨부가 매입되고, 상기 콘크리트 PC벽체의 철근에 단부가 연결되도록 현장타설되어 상기 벽체부와 일체화되는 본체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형 사방댐.
Wherein the first slope where the slope of the ground line is abrupt and the slope of the ground line are constructed between the second slope relatively gentler than the first slope face,
An anchor hole perforated i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lope; and a foundation file having a lower end fixed by curing the filler filled in the anchor hole;
A wall portion having an assembly groove inserted and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pile, and a concrete PC wall having a reinforcing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at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face, And
And a body dam which is embedded in the shoulder portion o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integrated with the wall portion so that th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s of the concrete PC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PC벽체는 현장타설되는 본체댐의 일측단으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댐에 근입되도록 연장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조철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형 사방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crete PC wall has at least one auxiliary reinforcing bar extending to extend from an end of the main body dam to extend outwardly from one end of the main da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PC벽체는 현장타설되는 본체댐의 일측단에 매입되어 고정되도록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쐐기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형 사방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crete PC wall has at least one wedge fix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so as to be embedded in one side end of a main body dam installed in the fie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PC벽체는 현장타설되는 본체댐에 매입되어 연결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철근의 단부에 직각으로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철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형 사방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crete PC wall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fixed reinforcing bar which is embedded in the body dam placed in the field and crosses at right angles to the end of the reinforcing bar which generates the connecting fixing forc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는 상류 또는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보조벽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벽체부는 상기 콘크리트 PC벽체의 일측과 커플러를 매개로 상류 또는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크리트 PC벽체와, 상기 다른 콘크리트 PC벽체가 상단에 연결되는 다른 기초파일이 고정되는 다른 앵커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형 사방댐.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wall portion includes an auxiliary wall portion extending to the upstream or downstream side,
The auxiliary wall portion includes at least one other concrete PC wall extending from the one side of the concrete PC wall and the coupler to the upstream or downstream side and another anchor hole to which another foundation file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ther concrete PC wall is fixed Wherein the damper comprises a damper.
지반선의 경사가 급격한 제1사면과 지반선의 경사도가 제1경사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완만한 제2사면사이에 사방댐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2사면과 대응하는 지반에 앵커홀을 천공하고, 상기 앵커홀에 기초파일을 삽입배치한 다음, 상기 앵커홀에 충진된 채움재를 경화하여 상기 앵커홀에 기초파일이 고정된 기초부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기초파일의 상부단과 대응하는 단부에 조립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경사면과 대응하는 일측단에 철근이 외부노출된 콘크리트 PC벽체를 준비한 다음, 상기 기초파일의 상부에 콘크리트 PC벽체를 고정하여 벽체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경사면에 어깨부가 매입되고, 상기 콘크리트 PC벽체의 철근에 단부가 연결되도록 현장타설되어 상기 벽체부와 일체화된 본체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형 사방댐 시공방법.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four-way dam between a first slope where a slope of a ground line is abrupt and a slope of a ground line is relatively gentle relative to a first slope,
An anchor hole is drilled in the grou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slope, a base file is inserted into the anchor hole, and then the filler filled in the anchor hole is cured to form a base portion fixed to the base hole in the anchor hole step ;
A concrete PC wall having an assembly groove at an end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foundation file and having a reinforcing member exposed to the outside at one e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face is prepared and then a concrete PC wall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oundation file Forming a wall portion;
And forming a main dam integrated with the wall portion so that the shoulder portion is embedded i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end portion is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bars of the concrete PC wal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와 일체화된 본체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PC벽체의 상단부에 연장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보조촐근을 현장타설되는 본체댐의 일측단으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댐에 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형 사방댐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body dam integrally formed with the wall part is inserted into an extended dam extending outwardly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dam to be laid on at least one auxiliary hoistway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concrete PC wall Construction method of pile type da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와 일체화된 본체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PC벽체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쐐기고정부가 현장타설되는 본체댐의 일측단에 매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형 사방댐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main body dam integrated with the wall part comprises embedding and fixing at least one wedge fixing par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concrete PC wall to one side of the main dam, Wa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와 일체화된 본체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PC벽체의 철근단에 직각으로 교차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철근이 현장타설되는 본체댐에 매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형 사방댐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body dam integrated with the wall part is embedded in and fixed to a body dam in which at least one fixed reinforcing bar intersecting at right angles to the reinforcing end of the concrete PC wall is put in the field. .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콘크리트 PC벽체의 일측과 커플러를 매개로 상류 또는 하류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콘크리트 PC벽체를 포함하는 보조벽체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형 사방댐 시공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6 to 9,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wall portion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forming an auxiliary wall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other concrete PC wall extending from the one side of the concrete PC wall and the coupler to the upstream or downstream side. Construction method of dam.
KR1020140186350A 2014-12-22 2014-12-22 Pile Type Debris Barri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1017254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350A KR101725463B1 (en) 2014-12-22 2014-12-22 Pile Type Debris Barri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6350A KR101725463B1 (en) 2014-12-22 2014-12-22 Pile Type Debris Barri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7357A true KR20160077357A (en) 2016-07-04
KR101725463B1 KR101725463B1 (en) 2017-04-14

Family

ID=56500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350A KR101725463B1 (en) 2014-12-22 2014-12-22 Pile Type Debris Barri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46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3871A (en) * 2019-04-18 2019-08-06 中铁四院集团西南勘察设计有限公司 The culvert closing-i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steep slope region are filled out suitable for heigh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0500B1 (en) 2017-07-28 2019-07-15 가톨릭관동대학교 산학협력단 A assembly type eco pillar debris barri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630A (en) * 1995-12-29 1997-07-26 김용언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devic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20020035215A (en) * 2000-11-04 2002-05-11 최한순 Constructing method of cast-in-place bar for prevention of earth and sand from being collapsed and the bar structure thereof
JP2006183418A (en) * 2004-12-28 2006-07-13 Giken Seisakusho Co Ltd Erosion-control da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90006442U (en)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The masanry check clam having the suspended material filtering fnuctional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43630A (en) * 1995-12-29 1997-07-26 김용언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device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20020035215A (en) * 2000-11-04 2002-05-11 최한순 Constructing method of cast-in-place bar for prevention of earth and sand from being collapsed and the bar structure thereof
JP2006183418A (en) * 2004-12-28 2006-07-13 Giken Seisakusho Co Ltd Erosion-control da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20090006442U (en) * 2007-12-24 2009-06-29 주식회사 서영엔지니어링 The masanry check clam having the suspended material filtering fnuctional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3871A (en) * 2019-04-18 2019-08-06 中铁四院集团西南勘察设计有限公司 The culvert closing-in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steep slope region are filled out suitable for heig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463B1 (en) 2017-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37379B2 (en)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
KR100910576B1 (en) Embed anch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basement wall using the same
KR101103142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1394235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mplex pile for great soft ground
KR100862977B1 (en) Precast concrete fil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KR20140013497A (en) Method for constructing block type reinforced retaining wall in cut site
KR101725463B1 (en) Pile Type Debris Barri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JP5229913B2 (en) Slope reinforcement method
KR20110070188A (en)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watertight wall
KR100846094B1 (en) Abutment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is for mountains area installation with slope
KR100874422B1 (en) Spin-pile with socket connector
KR100842372B1 (en) Pretension soil nail method of top-down
KR100862387B1 (en) Tensional kit for top-down constructing of acupressure lasting anchor and top-down constructing method of acupressure lasting anchor using this
KR101544756B1 (en)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method using stone
KR101169437B1 (en) The installat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a trough
US20190003142A1 (en) Block Retaining Wall with Micro-Pile Soldier Piles
KR101789450B1 (en) Underground structures using overlapped pile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2018059362A (en) Catch basin, u-shaped side gutter, and construction method
KR20110037320A (en)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110037317A (en) Device for connecting block in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US961161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slab foundation
KR20190142492A (en) PHC pile to facilitate soil guard and construction method of soil guard structure using the same
US94939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a slab foundation
KR101349730B1 (en) Reinforcement device of dip slope and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 same
JP2022091053A (en) Reinforcement body of earth retaining wall, and installation method of reinforcement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