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913A -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913A
KR20160076913A KR1020140187533A KR20140187533A KR20160076913A KR 20160076913 A KR20160076913 A KR 20160076913A KR 1020140187533 A KR1020140187533 A KR 1020140187533A KR 20140187533 A KR20140187533 A KR 20140187533A KR 20160076913 A KR20160076913 A KR 20160076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acquaintance
server
user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592B1 (ko
Inventor
원세연
이철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87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592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사용자 단말이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 정보를 AD(Address Directory)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사이트를 구축하고, 사용자 단말이 웹 사이트에 대한 웹 서버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단계,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구축된 웹 사이트의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지인 단말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PERSONAL WEB SERVICE, DEVICE AND SYSTEM}
본 발명은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s/Sites, SNS)는 온라인 공간에서 공통의 관심이나 활동을 지향하는 사람들과 관계를 형성하도록 돕는 기능(예를 들어, 트위터에서는 "팔로잉(following)", 페이스북에서는 "친구맺기(friending)" 등), 메시지나, 채팅과 같은 커뮤니케이션 기능 및 미디어 객체(사진, 음악, 뮤직 비디오 등) 공유 기능 등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SNS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회원 가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각각의 SNS 서비스 별 서버에 개인의 컨텐츠를 업로드하기 때문에, 가입자가 많아질수록 서버의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 또한, SNS 서비스 별로 특정형식에 맞춰 컨텐츠를 업로드를 해야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자유도가 떨어질 수 있다.
이렇듯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의 SNS 서비스들은 가입과 탈퇴 등의 절차가 번거롭고, 사용자가 스스로 SNS 서비스를 제어(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시간 조정 등)할 수 있는 맞춤형 관리를 제공하기 어렵다. 또한, 서버에 개인의 정보가 올라가기 때문에, 정보 유출의 위험도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09-0098586호에는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업로드된 복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이어리 컨텐츠로서 변환하여 저장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복수의 다이어리 컨텐츠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이어리 컨텐츠를 오픈 다이어리 컨텐츠로 변환하고, 휴대용 단말기의 주소록 상의 연락처들 중 미리 설정된 연락처에 대해서만 오픈 다이어리 컨텐츠의 공개를 허용하도록 설정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사용자 단말이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체적으로 웹 사이트를 구축하고, 사용자 단말 자체가 웹 사이트에 대한 웹 서버로서 동작하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별도의 컨텐츠 업로드 없이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 내에 저장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를 구성하고자 한다. 또한,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지인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웹 페이지에 방문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사용자 단말이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 정보를 AD(Address Directory)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사이트를 구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웹 서버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구축된 웹 사이트의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지인 단말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 정보를 AD 서버에 등록하는 단말 정보 등록부,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사이트를 구축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웹 서버로서 동작하는 웹 서버 동작부,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구축된 웹 사이트의 링크를 설정하는 링크 설정부 및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지인 단말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 정보를 AD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사이트를 구축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웹 서버로서 동작하고,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구축된 웹 사이트의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지인 단말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AD 서버 및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 서비스를 제공받는 지인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 단말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사이트를 자체적으로 구축하고, 사용자 단말 자체가 웹 사이트에 대한 웹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별도의 컨텐츠 업로드 없이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 내에 저장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지인 단말의 웹 페이지를 방문하거나, 복수의 지인 단말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의 추가 구성도이다.
도 4a 및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웹 사이트의 구동 시간 설정 화면의 예시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개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AD(Address Directory) 서버(110), CMS 서버(120), 및 복수의 지인 단말(1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개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사이트를 자체적으로 구축하고, 사용자 단말(100) 자체가 구축된 웹 사이트에 대한 웹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는 개인화된 웹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100)이 컨텐츠를 관리하고, 웹 서버로 동작할 수 있도록 설치형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지인 단말(130)의 웹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웹 페이지 뷰어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지인 단말(131)의 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AD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 및 복수의 지인 단말(130)로부터 단말 정보(예를 들어, 단말의 전화번호, IP 정보, 웹 서비스의 상태 정보, 웹 서비스의 구동 여부 등)를 수신하여,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40)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주소록 데이터베이스는 단말의 전화번호, Private IP 정보, Public IP 정보, 단말의 상태 정보, 웹 서비스 접근 권한 설정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40)에는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AD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이 개인 웹 사이트를 구축하게 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전화번호(010-2921-0425), Private IP 정보(192.168.43.1), Public IP 정보(182.46.45.34:5000), 상태 정보(Busy)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지인 단말(131)이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웹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AD 서버(110)에게 요청하는 경우, AD 서버(110)는 지인 단말(131)로부터 전화번호(010-4837-1255), Private IP 정보(192.168.43.2), Public IP 정보(182.35.45.34:6000), 상태 정보(Stut down)를 수신할 수 있다.
AD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 및 복수의 지인 단말(130)의 IP 정보가 유동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IP 정보의 변경에 대한 이벤트를 사용자 단말(100) 및 복수의 지인 단말(13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40)에 반영할 수 있다.
AD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지인의 웹 서비스 접근에 대한 인증을 요청받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AD 서버(110)는 지인 단말(131)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웹 서비스 접근에 대한 인증을 요청받을 수도 있다. 이 때, AD 서버(110)는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40)를 이용하여, 각 단말에 대한 웹 서비스의 접근 권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D 서버(110)는 웹 서비스로의 접근을 요청한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웹 서비스의 접근 권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AD 서버(110)는 웹 서비스 접근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단말(즉, 해당 웹 서비스 접근 권한이 있는 단말)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단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D 서버(110)는 인증이 완료된 단말의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40)에서,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단말 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인증이 완료된 단말에게 전송할 수 있다.
CMS 서버(120)는 웹 사이트를 다양한 형태로 구축할 수 있도록, 다양한 웹 템플릿(예를 들어, 일정관리, 다이어리, 명함, 사진첩, 게시판 등)을 저장 및 관리하고, 특정 웹 템플릿을 요청하는 단말에게 해당 특정 웹 템플릿을 제공할 수 있다.
복수의 지인 단말(130)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지인 단말(130)은 자신의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특정 기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서비스 가입절차 없이, 단말 내의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유롭게 개인 웹 페이지를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 내에 개인 웹 서비스를 구축하기 때문에, 컨텐츠를 외부 서버로 업로드할 필요가 없고, 모든 컨텐츠 및 구축한 웹 페이지를 단말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웹 서비스의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맞춤형 웹 페이지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 서버에 컨텐츠를 업로드하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비용이 발생하지 않고, 개인 정보 및 컨텐츠가 유출될 가능성이 적다. 또한, 본 발명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지인만이 구축된 웹 페이지를 방문할 수 있고,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페이지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웹 페이지 연결에 대한 정책을 사용자가 쉽게 변경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외부 서버 없이, AD 서버(110)만으로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사업자 입장에서 운영 비용 절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 및 복수의 지인 단말(130)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이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단말의 웹 서비스(해당 단말 자체 내에서 구축된 복수의 웹 사이트로의 접속)를 제공받거나, 사용자 단말(100) 및 복수의 지인 단말(130)에서 구축된 웹 사이트를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 및 복수의 지인 단말(13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100) 및 복수의 지인 단말(130)은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 및 복수의 지인 단말(13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100) 및 복수의 지인 단말(130)은 도 1에 도시된 형태 또는 앞서 예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개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150)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례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3G, 4G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의 개인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단말 정보 등록부(200), 웹 서버 동작부(210), 링크 설정부(220), 웹 서비스 제공부(230), 구동 시간 설정부(240), 다운로드부(250), 접근 권한 설정부(260) 및 DB(2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은 사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버튼, 접촉 센서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단말 정보 등록부(200)는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 정보를 AD 서버(110)에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연락처를 표시하고, 복수의 지인 단말(130)의 웹 서비스로 접속하게 하는 관문 역할을 담당하는 웹 아이콘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은 웹 사이트를 구축하는데 이용되는 개별 관리 페이지, 웹 템플릿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정보는 사용자 단말(100) 또는 복수의 지인 단말(130)이 서로의 단말 내에 구축된 웹 사이트를 접근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웹 사이트에 대한 접근 권한을 인증할 때 사용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정보는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사전에 AD 서버(110)에 등록되어야 하는 정보이며, 단말 정보에는 단말의 전화번호, IP 정보, 상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 정보 변경시, 단말 정보 등록부(200)는 변경된 단말 정보를 AD 서버(110)에 재등록할 수 있다.
웹 서버 동작부(210)는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사이트를 구축하고, 웹 사이트에 대한 웹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웹 서버 동작부(210)는 사용자 단말(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를 이용하여 웹 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다.
이하, 도 4a를 참조하여,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예시 도면이다.
도 4a는 사용자 단말(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예를 들어, 사진, 동영상, 음악, 글 등)를, 기존의 외부 서버에 업로드하거나, 메신저 애플리케이션으로 지인 단말(131)에게 전송하는 방식이 아닌, 사용자 단말(100)에 저장된 상태로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인 단말(131)과 공유하는 방식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 내에 저장된 복수의 사진 컨텐츠 중에서, 웹 페이지에 삽입할 사진 컨텐츠(400)를 선택하고, CMS 서버(120)로부터 다운받은 사진첩 템플릿에 선택한 사진 컨텐츠를 삽입하여, 웹 페이지(401)를 구성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100)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웹 사이트에 대한 웹 서버(402)로 동작하게 된다.
지인 단말(131)이 사용자 단말(100)의 웹 서비스에 접근하기 위해,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웹 아이콘(403)을 선택한 경우, 지인 단말(131)은 사용자 단말(100)이 구축한 웹 페이지(401)에 대한 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웹 서버 동작부(210)는 CMS 서버(120)로부터 다운받은 웹 템플릿(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테마 또는 스킨, 예를 들어, 갤러리, 초대장, 사진첩 등)을 이용하여, 웹 사이트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도 4b를 참조하여, 웹 사이트 구축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b는 사용자 단말(100)의 개인 웹 페이지의 관리 화면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개인의 취향에 맞게 웹 사이트를 구성할 수 있다.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는 예를 들어, 복수의 지인 단말(130)의 연락처, 웹 아이콘(403), 페이지 관리 아이콘(40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웹 페이지의 페이지 관리 아이콘(404)을 터치하게 되면, 페이지 관리 화면(405)으로 전환하게 된다. 페이지 관리 화면(405)에는 사용자 단말(100)에 의해 구축된 웹 페이지 관리하기 위한, 관리 설정 목록(예를 들어, "Front 페이지", "새글 쓰기", "컨텐츠 관리", "테마 변경", "홈 화면 편집", "템플릿 다운로드")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설정 목록 중, "탬플릿 다운로드"(407)를 선택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CMS 서버(120)로부터 웹 템플릿(예를 들어, 일정관리, 다이어리, 명함, 사진첩, 게시판 등)을 다운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다운받은 웹 템플릿(406)을 이용하여, 웹 사이트를 자신만의 스타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첩 템플릿"을 다운받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단말(100) 내에 저장된 사진 컨텐츠로 "사진첩"을 꾸밀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링크 설정부(220)는 구축된 웹 사이트의 링크를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링크 설정부(220)는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웹 아이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웹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웹 사이트의 링크를 웹 아이콘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링크 설정부(220)는 외부 웹 사이트(외부 서버를 통해 운영되는 사이트)의 링크를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도 4c를 참조하여, 외부 웹 사이트와 링크시키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c는 기존의 외부 서버(예를 들어, 포털, 호스팅 업체에서 운영 중인 웹 서버)에서 운영 중인 웹 사이트(예를 들어, 쇼핑몰, 파워블로그 등)를, 사용자 단말(100)에 구축된 웹 사이트에 링크시키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은 구축된 웹 사이트를 통해 기존의 외부 서버를 통해 운영하고 있는 쇼핑몰 사이트(409)를 제공하기 위해, 쇼핑몰 사이트(409)로 리다이렉트(Redirection)하는 링크(408)를 웹 사이트에 설정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00)은 웹 사이트를 통해 쇼핑몰 사이트(409)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지인 단말(131)은 사용자 단말(100)이 구축한 웹 페이지(401)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쇼핑몰 사이트(409)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웹 서비스 제공부(230)는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지인 단말(130)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비스 제공부(230)는 일부의 복수의 지인 단말(130)에게, 웹 서비스의 제공에 대한 접근 제한을 설정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구동 시간 설정부(240)는 구축된 웹 사이트의 구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웹 사이트의 구동 시간 설정 화면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사이트의 상태 정보(500)를 변경할 수 있다. 상태 정보(500)는 웹 사이트의 공개(ON) 또는 비공개(OFF) 여부를 설정하는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기존의 외부 서버를 통해, 운영되고 있는 웹 사이트(예를 들어, 네이버 블로그, 다음 tistory, 쇼핑몰 등)의 URL 주소(501)를 사용자 단말(100)이 구축한 웹 사이트와 연결되도록 링크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100)은 특정 시간을 설정하여, 웹 서비스의 구동시간을 사용자의 편의대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에서 구축된 웹 페이지를 통해 쇼핑몰을 운영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은 영업시간 동안(예를 들어, 오전 9시~오후 6시)만 자신의 웹 페이지를 공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웹 사이트의 상태 정보(500)를 특정 시간 동안 비공개(OFF)로 설정한 경우, 해당 웹 사이트의 비공개 이유를 밝히는 OFF 상태 표시 문구(502)를 작성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100)의 웹 페이지에 접속하는 지인에게 OFF 상태 표시 문구(502)(예를 들어, "해외 출장 중입니다.")로 이뤄진 대체 웹 페이지를 제공함으로써, 지인에게 양해를 구하기 위함일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오면, 다운로드부(250)는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서버로부터 웹 템플릿을 다운받을 수 있다.
접근 권한 설정부(260)는 웹 서비스에 대한 복수의 지인 단말(130)의 접근 권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근 권한 설정부(260)는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모든 복수의 지인 단말(130)에게 웹 서비스의 접근을 수락할 수 있으나, 그 중 일부의 지인 단말(130)에 대해서는 웹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DB(270)는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100)과 사용자 단말(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DB(270)는 CMS 서버(120)로부터 다운받은 웹 템플릿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270)는 구축한 웹 페이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270)의 일 예에는 사용자 단말(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한편, 당업자라면, 단말 정보 등록부(200), 웹 서버 동작부(210), 링크 설정부(220), 웹 서비스 제공부(230), 구동 시간 설정부(240), 다운로드부(250), 접근 권한 설정부(260) 및 DB(27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추가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웹 아이콘 선택 수신부(300), 인증 요청부(310), 단말 정보 수신부(320), 웹 서비스 접속부(330) 및 디스플레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100)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웹 아이콘 선택 수신부(300)는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지인의 웹 아이콘을 선택받을 수 있다. 여기서, 웹 아이콘에는 해당 지인이 구축한 웹 사이트로의 링크가 설정되어있다.
인증 요청부(310)는 지인의 웹 서비스 접근에 대한 인증을 AD 서버(11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이 때, AD 서버(110)는 해당 지인이 사용자 단말(100)에게 자신의 웹 서비스를 공개하기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40)를 통해, 확인을 한 후에, 지인의 웹 서비스의 상태를 필터링할 수 있다.
단말 정보 수신부(320)는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인증이 완료(지인의 웹 서비스의 접근 권한이 있음)된 경우, AD 서버(110)로부터 지인의 단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AD 서버(110)에서는 지인의 웹 서비스의 상태가 "ON 상태"인 경우, 해당 지인의 전화번호에 매핑되는 단말 정보(예를 들어, 접속 가능한 IP 정보)를 주소록 데이터베이스(140)에서 검색하여, 단말 정보 수신부(32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만일, 단말 정보 수신부(320)는 지인의 웹 서비스의 상태가 "OFF 상태"인 경우, AD 서버(110)로부터 지인의 현재 웹 서비스 상태 정보(OFF 상태) 및 기설정된 안내 메시지(예를 들어, "해외 출장 중입니다")를 수신할 수 있다.
웹 서비스 접속부(330)는 수신한 지인의 단말 정보(예를 들어, 지인의 IP 정보)를 통해, 지인의 웹 서비스(지인이 구축한 웹 사이트 또는 기설정된 안내 메시지로 연결된 웹 사이트)로 접속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지인의 웹 페이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340)는 지인의 웹 서비스의 상태가 "OFF 상태"인 경우, 지인의 현재 웹 서비스 상태 정보(OFF 상태) 및 기설정된 안내 메시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웹 아이콘 선택 수신부(300), 인증 요청부(310), 단말 정보 수신부(320), 웹 서비스 접속부(330) 및 디스플레이부(34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 방법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은 사용자 단말(100)을 분실했거나, 사용자 단말(100)이 놓인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지인 단말(131)의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인 단말(131)의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연락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웹 아이콘(60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웹 사이트(601)에 접속할 수 있다. 접속된 사용자 단말(100)의 웹 사이트에는 사용자 단말(100)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아이콘(602)이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웹 사이트에 표시된 제어 아이콘(602)을 터치하게 되면, 지인 단말(131)에는 사용자 단말(100)의 제어를 위한 인증화면(603)이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100)(또는 지인 단말(131))은 사용자 단말(100)(또는 지인 단말(131))이, 사전에 AD 서버(110)에 등록했던 전화번호(또는 비밀번호 등)를 인증화면(603)에 입력함으로써, AD 서버(110)에게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인증이 완료되면, 지인 단말(131)은 사용자 단말(100)에 설치된 위치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지인 단말(131)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확인 방법 리스트(604)(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의 알람 울리기, 위치 전송, 메시지 팝업 등)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위치 확인 방법 리스트(604) 중, "알람 울리기"가 선택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이 현재 무음 상태로 설정되어 있더라도,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에서 벨소리가 울리도록 할 수 있다.
위치 확인 방법 리스트(604) 중, "위치 전송"이 선택된 경우, 지인 단말(131)은 사용자 단말(100)에게 현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위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은 카메라 애플리케이션(605)을 실행시켜, 전면 및 후면 방향에서 자동으로 사진을 촬영하고, 촬영된 사진과 함께,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정보(GPS 정보)를 지인 단말(13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01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 정보를 AD 서버(110)에 등록할 수 있다.
단계 S702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구축된 웹 사이트에 대한 웹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단계 S704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구축된 웹 사이트의 링크를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웹 서비스(적어도 하나 이상 구축된 웹 사이트)에 대한 복수의 지인 단말(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개의 전화번호 각각에 대응되는 단말)의 접근 권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접근 권한을 부여한 지인 단말만이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웹 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다.
단계 S706에서 지인 단말(131)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지인 단말(131)의 단말 정보를 AD 서버(110)에 등록할 수 있다.
단계 S707에서 지인 단말(131)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사용자 단말(100)의 웹 아이콘을 선택 입력받은 후, AD 서버(110)에게 사용자 단말(100)의 웹 서비스 접근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단계 S708에서 AD 서버(110)는 지인 단말(131)이 사용자 단말(100)의 웹 서비스에 접근할 권한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709에서 지인 단말(131)은 사용자 단말(100)의 웹 서비스에 대한 접근 권한이 없는 경우, AD 서버(110)로부터 접근 불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10에서 지인 단말(131)은 사용자 단말(100)의 웹 서비스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 경우, AD 서버(11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11에서 지인 단말(131)은 AD 서버(110)로부터 수신한 단말 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웹 서비스를 접속할 수 있다.
단계 S712에서 지인 단말(131)은 사용자 단말(100)의 웹 페이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7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 AD 서버(110), CMS 서버(120), 및 복수의 지인 단말(13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7b의 사용자 단말(100), AD 서버(110), CMS 서버(120), 및 복수의 지인 단말(13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801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단말 정보를 AD 서버(110)에 등록할 수 있다.
단계 S803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사이트를 구축하고, 구축된 웹 사이트에 대한 웹 서버로서 동작할 수 있다.
단계 S805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단계 S803에서 구축된 웹 사이트의 링크를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설정할 수 있다.
단계 S807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지인 단말(130)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807) 이후에, 사용자 단말(100)이 단계 S803에서 구축된 웹 사이트의 구동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807) 이후에, 사용자 단말(100)의 웹 서비스에 대한 복수의 지인 단말(130)의 접근 권한 여부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설정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807) 이후에, 사용자 단말(100)에서 CMS 서버(120)로부터 웹 템플릿을 다운받고, 다운받은 웹 템플릿을 이용하여,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807) 이후에, 사용자 단말(100)의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지인의 웹 아이콘을 선택받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807) 이후에, 사용자 단말(100)이 지인의 웹 서비스 접근에 대한 인증을 AD 서버(110)에게 요청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807) 이후에, 지인의 웹 서비스 접근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AD 서버(110)로부터 지인의 단말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807) 이후에, 지인의 웹 서비스 접근에 대한 인증이 완료된 경우, AD 서버(110)로부터 지인의 전화번호와 매핑되는 지인의 단말 정보를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신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807) 이후에, 사용자 단말(100)이 지인의 단말 정보를 통해, 지인의 웹 서비스로 접속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계(S807) 이후에, 지인의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100)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801 내지 S80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
110: AD 서버
120: CMS 서버
130: 복수의 지인 단말

Claims (20)

  1. 사용자 단말이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 정보를 AD(Address Directory)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사이트를 구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웹 서버로서 동작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구축된 웹 사이트의 링크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지인 단말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된 웹 사이트의 구동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CMS(Content Management System) 서버로부터 웹 템플릿을 다운받는 단계; 및
    상기 다운받은 웹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비스에 대한 상기 복수의 지인 단말의 접근 권한 여부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지인의 웹 아이콘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지인의 웹 서비스 접근에 대한 인증을 상기 AD 서버에게 요청하는 단계;
    상기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AD 서버로부터 상기 지인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지인의 단말 정보를 통해, 상기 지인의 웹 서비스로 접속하는 단계; 및
    상기 지인의 웹 페이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인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인의 전화번호와 매핑되는 지인의 단말 정보를 상기 AD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개인 웹 서비스 제공 방법.
  7.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에 있어서,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 정보를 AD 서버에 등록하는 단말 정보 등록부;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사이트를 구축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웹 서버로서 동작하는 웹 서버 동작부;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구축된 웹 사이트의 링크를 설정하는 링크 설정부; 및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지인 단말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축된 웹 사이트의 구동 시간을 설정하는 구동 시간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9. 제 7 항에 있어서,
    CMS 서버로부터 웹 템플릿을 다운받는 다운로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웹 서버 동작부는 상기 다운받은 웹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비스에 대한 상기 복수의 지인 단말의 접근 권한 여부를 설정하는 접근 권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지인의 웹 아이콘을 선택받는 웹 아이콘 선택 수신부;
    상기 지인의 웹 서비스 접근에 대한 인증을 상기 AD 서버에게 요청하는 인증 요청부;
    상기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AD 서버로부터 상기 지인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정보 수신부;
    상기 수신한 지인의 단말 정보를 통해, 상기 지인의 웹 서비스로 접속하는 웹 서비스 접속부; 및
    상기 지인의 웹 페이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정보 수신부는 상기 지인의 전화번호와 매핑되는 지인의 단말 정보를 상기 AD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인, 사용자 단말.
  13.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단말 정보를 AD 서버에 등록하고,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웹 사이트를 구축하고, 상기 웹 사이트에 대한 웹 서버로서 동작하고,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구축된 웹 사이트의 링크를 설정하고,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지인 단말에게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상기 사용자 단말의 단말 정보를 저장하는 AD 서버; 및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웹 서비스를 제공받는 지인 단말
    을 포함하는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구축된 웹 사이트의 구동 시간을 설정하는 것인,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웹 서비스에 대한 상기 복수의 지인 단말의 접근 권한 여부를 설정하는 것인,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지인의 웹 아이콘을 선택받은 경우, 상기 지인의 웹 페이지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인,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지인의 웹 서비스 접근에 대한 인증을 상기 AD 서버에게 요청하고, 상기 인증이 완료된 경우, 상기 AD 서버로부터 상기 지인의 단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지인의 단말 정보를 통해, 상기 지인의 웹 서비스로 접속하는 것인,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인의 단말 정보는 상기 지인의 전화번호와 매핑되는 정보인 것인,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CMS 서버로부터 웹 템플릿을 다운받고, 상기 다운받은 웹 템플릿을 이용하여, 상기 웹 사이트를 구성하는 것인,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20.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인 단말은 상기 지인 단말의 연락처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연락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것인,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20140187533A 2014-12-23 2014-12-23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시스템 KR102299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533A KR102299592B1 (ko) 2014-12-23 2014-12-23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533A KR102299592B1 (ko) 2014-12-23 2014-12-23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913A true KR20160076913A (ko) 2016-07-01
KR102299592B1 KR102299592B1 (ko) 2021-09-08

Family

ID=5650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533A KR102299592B1 (ko) 2014-12-23 2014-12-23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5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031A (ko) * 2005-11-01 2007-05-0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모바일 스토리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관리 서버 및방법
KR20090098586A (ko) * 2008-03-14 2009-09-17 엔에이치엔(주) 휴대용 단말기의 주소록을 이용한 오픈 다이어리 서비스를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73118A (ko) *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소록 시스템, 주소록 등록 방법 및 주소록 검색 방법
KR20130029904A (ko) * 2011-09-16 2013-03-26 김준평 웹사이트 구축 지원을 통한 마케팅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7031A (ko) * 2005-11-01 2007-05-0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모바일 스토리지를 이용한 모바일 컨텐츠 관리 서버 및방법
KR20090098586A (ko) * 2008-03-14 2009-09-17 엔에이치엔(주) 휴대용 단말기의 주소록을 이용한 오픈 다이어리 서비스를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073118A (ko) * 2008-12-22 2010-07-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소록 시스템, 주소록 등록 방법 및 주소록 검색 방법
KR20130029904A (ko) * 2011-09-16 2013-03-26 김준평 웹사이트 구축 지원을 통한 마케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592B1 (ko) 2021-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651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enly sharing and synchronizing information across a plurality of mobile client application computers
US10375060B1 (en) System for mobile content and metadata management
US2017011816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ed sharing and synchronizing information across a plurality of mobile client application computers
US10148762B2 (en) Platform-specific notification delivery channel
JP5224813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端末
US20150341369A1 (en) Location Aware Shared Spaces
KR102334506B1 (ko) 프레즌스-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5262675A (zh) 基于电子书进行的聊天控制方法和装置
US201403725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BRPI0614202A2 (pt) método para atualizar conteúdo de informação da uma página da web; método para fornecer um servidor de rede com informação sobre atualização da página da web proveniente do terminal; servidor da rede que mantém uma página da rede; terminal para manter uma conexão com o servidor da rede que mantém a página da rede;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armazenado em um meio fìsico legìvel pelo computador e executável em um dispositivo de processamento de dados para manter a página da rede; e produto de programa de computador, armazenado em um meio fìsico legìvel pelo computador e executável em um dispositivo de processamento de dados, para fornecer um servidor de rede com informação sobre atualizações feitas na página da rede
KR20170075294A (ko) 일정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 간 일정 공유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518216A (zh) 私有用户群组内的内容共享
KR101120737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소셜 동영상 서비스 방법
US20100049788A1 (en) Media sharing using local application
MX2013007034A (es) Metodo y sistema para facilitar la interaccion con multiples sitios web de proveedor de contenido.
KR20150020440A (ko) 사용자 그룹에 음원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디바이스
Belimpasakis et al. Sharing with people: a system for user-centric content sharing
US20200153884A1 (en) Multimedia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remotely hosted content
Fressancourt et al. NFCSocial: Social networking in mobility through IMS and NFC
CN104301364A (zh) 用于移动社交网络中实时推荐好友的方法和设备
KR20130012199A (ko) 메시징 서비스와 타 서비스 간의 상호 연동을 통한 연락처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99592B1 (ko) 개인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시스템
US10863014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on contact management
CA3001062A1 (en) Beacon-implemented system for mobile content management
US201501936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er content view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