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790A -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790A
KR20160076790A KR1020140187301A KR20140187301A KR20160076790A KR 20160076790 A KR20160076790 A KR 20160076790A KR 1020140187301 A KR1020140187301 A KR 1020140187301A KR 20140187301 A KR20140187301 A KR 20140187301A KR 20160076790 A KR20160076790 A KR 201600767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medium
treatment facility
water
wa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4129B1 (ko
Inventor
김훈
이민희
한을
Original Assignee
김훈
한을
이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훈, 한을, 이민희 filed Critical 김훈
Priority to KR1020140187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129B1/ko
Publication of KR20160076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류수가 관통되면서 직접적으로 여과되는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에 결합되어 여과재의 운반 및 수처리시설에 여과재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여과재 그립장치로 구성됨으로써, 소규모 수처리시설의 후단부에 여과재의 설치 및 교체, 이동이 편리하고, 수처리시설의 후단처리에 사용되어 여과기능의 향상 및 방류수의 수질이 향상되며, 상기 여과재가 점토광물과 탄소성분을 함유한 유기물을 페놀수지에 의해 혼합하여 제조됨으로써, 여러 가지 여과기능을 발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친환경적으로 여과능력이 우수하며, 내열성 및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용도의 제한이 거의 없고,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Bio-ceramic filtration equipment for discharge water post-cleaning of water treatment facility}
본 발명은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류수가 관통되면서 직접적으로 여과되는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에 결합되어 여과재의 운반 및 수처리시설에 여과재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여과재 그립장치로 구성됨으로써, 소규모 수처리시설의 후단부에 여과재의 설치 및 교체, 이동이 편리하고, 수처리시설의 후단처리에 사용되어 여과기능의 향상 및 방류수의 수질이 향상되는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농촌지역 하천의 수질오염 부하량은 소득증대에 따른 생활수준 향상과 더불어 축산시설증가, 각종 위락시설의 입지 및 농공지구의 난개발에 따라 오염 요인이 계속 증가하여 농촌지역 하천의 환경용량을 이미 초과하였다. 이로써 농촌지역의 배수로 및 소하천 수질이 악화되어 농업용수는 물론 양질의 수자원 확보에도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을방류수도시설을 설치함으로써 공공 수역의 수질을 보전하고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여 농어촌 마을의 건전한 발전과 공중위생의 향상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소규모 처리시설들은 대부분 하천의 상류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보다 효율적인 처리가 중요하다. 소규모 처리시설이 위치한 지역은 대부분 농촌 부락단위로서 1일 중 발생부하의 변화가 심할 뿐만 아니라 계절적 변화가 도시수처리시설에 비해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규모 처리시설과 같이 원수성상의 변화가 심하고 운전요원이 상주하지 않는 곳에서는 유입부하 변화에 연동하면서 동시에 유지관리가 간편한 운전 방법이 필요하다. 특히 오수시설 방류수역의 수자원보전 측면에서 유기물의 제거뿐만 아니라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소 제거도 가능한 수준의 처리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농어촌지역의 수질오염을 초기단계에 예방하기 위하여 마을단위로 설치하는 소규모 공공수처리시설은 2001년 이후 50%이상의 시설이 증가되는 추세를 보였으며, 2005년 말 기준으로 대상 시설이 1,200여개에 달하고 있으나 시설증가에 따른 운영 및 관리기술이 뒷받침 되지 못하여 각지에서 처리시설 정상운영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소규모 공공수처리시설에 적용된 공법은 크게 처리원리에 따라 5개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미생물을 여재에 부착시키고 포기교반하여 여재 표면에 형성된 생물막이 유기물을 산화 분해하는 부착생물법이 있고, 활성슬러지를 포기조 내에 유지시키면서 산소를 공급하여 유기물을 산화 분해하는 부유생물법이 있다.
또한, 하나의 반응조에서 활성슬러지에 의한 처리조작(유입, 반응, 침전, 방류)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반복 작업을 통해 유기물과 질소인을 처리하는 SBR법과 토양미생물을 이용하여 호기성 상태에서 처리하는 토양처리법, 토양표면에서 1m이내의 토양미생물이 생존 가능한 토양에 방류수를 불포화 상태로 침윤시켜 정화하는 모관침윤트렌치법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중에서 여러 형태의 담체를 이용하는 부착생물법(접촉산화법 등)이 몇몇 사용되고 있으며, 모관침윤트렌치법은 운전 및 보수의 난이, 토양공극의 막힘 등으로 인하여 현재 새로이 설치되는 시설에서는 거의 채택이 되지 않고 있다. 부착생물법은 발생오니가 적고 유출수의 수질이 안정적이지만, 장시간 운전시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SBR법은 사상균에 의한 벌킹이 적은 반면, 처리방식이 기계식으로 되어 있어 고장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95437호 등록특허공보 제10-042555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류수가 관통되면서 직접적으로 여과되는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에 결합되어 여과재의 운반 및 수처리시설에 여과재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여과재 그립장치로 구성됨으로써, 소규모 수처리시설의 후단부에 여과재의 설치 및 교체, 이동이 편리하고, 수처리시설의 후단처리에 사용되어 여과기능의 향상 및 방류수의 수질이 향상되는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재가 점토광물과 탄소성분을 함유한 유기물을 페놀수지에 의해 혼합하여 제조됨으로써, 여러 가지 여과기능을 발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친환경적으로 여과능력이 우수하며, 내열성 및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용도의 제한이 거의 없고,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수처리시설의 후반부에 설치되어 방류수를 여과하는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에 있어서,
방류수가 관통되면서 직접적으로 여과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여과재와;
상기 다수개의 관통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어 여과재의 운반 및 수처리시설에 여과재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여과재 그립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여과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다수개의 관통구가 여과재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관통되어 방류수가 관통구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여과재는 점토광물과 탄소성분을 함유한 유기물에 바인더를 혼합하여 성형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여과재 그립장치는, 상기 여과재의 일측면이 지지되고, 상기 여과재의 관통구를 통해 관통된 방류수가 이송되도록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면에 다수개가 고정되되, 상기 다수개가 상호 격자 형태로 교차되어 지지부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가 상호 교차되는 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여과재와 결합되고, 상기 여과재의 관통구에 결합되어 여과재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는 방류수가 관통되면서 직접적으로 여과되는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에 결합되어 여과재의 운반 및 수처리시설에 여과재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여과재 그립장치로 구성됨으로써, 소규모 수처리시설의 후단부에 여과재의 설치 및 교체, 이동이 편리하고, 수처리시설의 후단처리에 사용되어 여과기능의 향상 및 방류수의 수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여과재가 점토광물과 탄소성분을 함유한 유기물을 페놀수지에 의해 혼합하여 제조됨으로써, 여러 가지 여과기능을 발휘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친환경적으로 여과능력이 우수하며, 내열성 및 내약품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용도의 제한이 거의 없고,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여과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여과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재 그립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재 그립장치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의 후단부에 설치되는 여과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여과재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재 그립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과재 그립장치를 나타낸 전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는 수처리시설(1)의 후반부에 설치되어 마직막으로 방류수(2)를 한번 더 여과하는 것으로 여과재(10)와, 여과재 그립장치(20)로 구성된다.
상기 여과재(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재 그립장치(20)에 결합되어 수처리시설(1)의 후반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처리시설(1)의 방류수(2)가 관통되면서 직접적으로 여과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구(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여과재(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수처리시설(1)의 후반부 형태에 따라 사각통, 삼각통 등 다양한 형태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11)는 도 3에서처럼, 여과재(10)의 일측면(상부면)에서 타측면(하부면)까지 관통되어 방류수(2)가 관통구(11)를 통과하면서 여과되고, 상기 관통구(11)는 원형,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여과재(10)는 점토광물과 탄소성분을 함유한 유기물에 바인더를 혼합하여 성형 제작되는 무기물 소결 여과재이다.
여기서, 상기 무기물 소결 여과재(10)는 점토광물 85 ~ 90 중량%와, 탄소성분을 함유한 유기물 5~ 10 중량%와, 바인더 5 ~ 10 중량%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바인더는 페놀수지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페놀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함으로써, 성형된 여과재에 여과시 부서짐과 마모 등의 현상이 줄어들고 여과재의 강도와 여과능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탄소성분을 함유한 유기물은 여과재 내 혼합하는 유기성물질이 고온 소성시 가열에 의하여 기공발달됨에 따라 공극률 확대로 인한 여과능 증대와 유기성 물질 중 탄소성분 활성 확대에 따른 흡착 능을 높이기 위하여 유기성 물질의 재료를 혼합하며, 이런 유기성물질의 재료로는 목재, 톱밥, 파쇄된 폐목재, 왕겨, 수피(bark), 볏집, 활성슬러지, 건조된 음식물 폐기물 및 퇴비, 기타 유기성 물질의 재료 및 독성이 없는 유기성 물질의 폐기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이렇듯, 상기 점토광물은 적당한 온도로 소성을 하면 소결(sintering)하여 점토광물의 결정구조, 화학조성, 수용액중의 이온종류, 수용액의 농도, pH 및 온도 등에 의하여 흡착반응이 일어나 여과재로서 활용 가능하며, 탄소성분을 함유한 유기물은 주성분인 섬유질(셀룰로오스)는 온도와 시간에 따른 고려에 의해 목탄(활성탄)에 버금가는 재료로서 이용 가능할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강도 개선을 위해 사용된 페놀수지는 촉매, 열 또는 압력을 가하면 비가역적 화학반응에 의하여 경화되어 성형에 열, 압력과 적당한 경화시간을 주면 불용, 불융의 성형물을 얻을 수 있다. 경화시 수지가 가교화되면서 강성률이 높아지고 열 및 화학물질에 대한 저항성이 증가하지만 파괴점에서의 신축성과 충격강도는 감소한다.
그리고, 상기 페놀수지는 열 및 화학물질에 대한 안정성이 에폭시 수지에 비하여 우수하며 탄소수율이 55 ~ 65%로 높고, 열변형 온도가 높으며, 고온에서 강도를 그대로 유지하는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용발재 및 마찰재용 탄소복합재료의 결합재로 사용 가능하다.
상기 여과재 그립장치(2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재(10)의 다수개 관통구(11)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삽입되어 여과재(10)가 그립장치(20)에 결합되고, 상기 그립장치(20)에 의해 여과재(10)의 운반 및 수처리시설(1)에 여과재(10)의 설치/교체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여과재 그립장치(20)는 도 4 내지 도 5에서처럼, 여과재(10)를 용이하게 운반 및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부(21)와, 지지대(22)와, 지지봉(23)과, 손잡이부(24)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1)는 도 4에서처럼, 여과재(10)의 일측면이 지지되도록 여과재(10)와 유사한 원형의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1)의 중앙부에는 여과재(10)의 관통구(11)를 통해 관통된 방류수(2)가 도 1에서처럼, 일측으로 이송되도록 하나의 큰 관통홀(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1)는 원형 이외에 사각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즉, 상기 지지부(21)는 중앙부에 관통홀(25)이 형성됨으로써, 전체적인 형상이 링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1)는 도 1에서처럼, 수처리시설(1)의 후단부에 여과재(10)의 관통구(11)가 방류수(2)의 이송방향과 동일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부(21)의 일단부에는 여과재(1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방류수(2)가 이송되도록 이송홀(2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이송홀(26)은 도 1 및 도 4에서처럼, 지지부(21)가 수처리시설(1)의 후단부에 수평으로 구비시, 수처리시설(1)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지지부(21)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방류수량이 소량시, 지지부(21)에 막혀 이송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이송홀(26)은 도 4에서처럼, 관통홀(25)과 연통되는 구조이다.
상기 지지대(22)는 도 4 내지 도 5에서처럼, 지지부(21)의 일측면에 다수개가 고정되되, 상기 지지대(22)는 막대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개가 상호 격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지지부(21)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즉, 상기 지지대(22)는 도 5에서처럼, 지지부(21)의 상부면에 "#"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21)의 크기에 따라 상호 교차되는 부위가 많아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22)는 지지부(21)의 상부면 이외에도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23)은 도 1 내지 도 2 및 도 4 내지 도 5에서처럼, 지지대(22)가 상호 교차되는 부위에 직각으로 고정되어 상기 여과재(10)의 관통구(11)에 삽입되고, 상기 지지봉(23)은 여과재(10)의 관통구(11)에 삽입되어 여과재(10)를 직접적으로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봉(23)은 상호 교차된 지지대(22)에 볼트 등의 연결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되거나, 교차된 지지대(22)를 관통하여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여과재(10)의 하중을 견디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23)은 도 4 내지 도 5에서처럼, 다수개가 지지대(22)가 상호 교차되는 부위에 각각 고정되어 여과재(10)의 관통구(11)에 결합되되, 상기 지지봉(23)의 끝단부에는 지지봉(23)이 여과재(10)의 관통구(11)를 관통한 상태에서 여과재(1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부재(27)가 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봉(23)의 끝단부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그 나사산에 너트 등의 고정부재(27)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27)가 여과재(10)의 하단부를 받쳐주어 여과재(10)가 그립장치(20)에 지지되는 것이다.
이렇듯, 상기 지지봉(23)은 도 2에서처럼, 여과재(10)의 관통구(11)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관통구(11)를 관통 삽입되면 끝단부가 여과재(10)의 외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지지봉(23)의 끝단부 나사산에 고정부재(27)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고정부재(27)가 나사산을 따라 결합되면서 여과재(10)의 하단부를 받쳐주는 것이다. 반대로 고정부재(27)가 풀리면 여과재(10)가 그립장치(20)에서 이탈됨으로써, 여과재(10) 교체 및 세척시에 분리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27)는 너트 이외에도 고정 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고정부재(27)의 형태에 따라 지지봉의 끝단부도 나사산 이외에 변경 가능하다.
상기 손잡이부(24)는 도 4 내지 도 5에서처럼, 지지대(22)의 일측면 즉 상측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그립장치(20)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여과재(10)의 운반 및 이동이 간편하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부(24)는 지지대(22)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데, 여과재(10)의 크기 및 하중에 따라 하나 이상 설치되어 보다 편리하게 여과재(10)의 운반 및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4)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기계장치가 손잡이부(24)에 연결되어 여과재(10)의 운반시, 손잡이부(24)의 파손 등이 방지된다.
10 : 여과재 11 : 관통구
20 : 여과재 그립장치 21 : 지지부
22 : 지지대 23 : 지지봉
24 : 손잡이부 25 : 관통홀
26 : 이송홀 27 : 고정부재

Claims (6)

  1. 수처리시설의 후반부에 설치되어 방류수를 여과하는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에 있어서,
    방류수가 관통되면서 직접적으로 여과되도록 다수개의 관통구가 형성되는 여과재와;
    상기 여과재의 다수개 관통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결합되어 여과재의 운반 및 수처리시설에 여과재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여과재 그립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다수개의 관통구가 여과재의 일측면에서 타측면까지 관통되어 방류수가 관통구를 통과하면서 여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는 점토광물과 탄소성분을 함유한 유기물에 바인더를 혼합하여 성형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 그립장치는,
    상기 여과재의 일측면이 지지되고, 상기 여과재의 관통구를 통해 관통된 방류수가 이송되도록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일측면에 다수개가 고정되되, 상기 다수개가 상호 격자 형태로 교차되어 지지부의 일측면에 고정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가 상호 교차되는 부위에 고정되어 상기 여과재와 결합되고, 상기 여과재의 관통구에 결합되어 여과재를 직접적으로 지지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은 다수개가 지지대가 상호 교차되는 부위에 각각 고정되어 여과재의 관통구에 결합되고, 상기 지지봉의 끝단부에는 지지봉이 여과재의 관통구를 관통한 상태에서 여과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수처리시설의 후단부에 여과재의 관통구가 방류수의 이송방향과 동일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일단부에는 여과재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방류수가 이송되도록 이송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
KR1020140187301A 2014-12-23 2014-12-23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 KR101664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301A KR101664129B1 (ko) 2014-12-23 2014-12-23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301A KR101664129B1 (ko) 2014-12-23 2014-12-23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790A true KR20160076790A (ko) 2016-07-01
KR101664129B1 KR101664129B1 (ko) 2016-10-10

Family

ID=56500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301A KR101664129B1 (ko) 2014-12-23 2014-12-23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1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6000A (zh) * 2016-08-29 2017-01-18 浙江恒生印染有限公司 一种无磷环保型污水处理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6725A (ja) * 2000-10-30 2002-05-08 Hatsumei Kobo:Kk 浄水器
KR200282749Y1 (ko) * 2002-02-08 2002-07-23 주식회사 엔테크 오수처리 후단시설용 여과기
JP2003012366A (ja) * 2000-08-22 2003-01-15 Toyo Denka Kogyo Co Ltd 炭化物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25551B1 (ko) 2001-11-16 2004-04-06 김학로 Sbr공법에 있어서 하수 또는 오·폐수 고도처리의 질소, 인 제거방법 및 이에 따르는 제트 에어레이션 시스템
KR101295437B1 (ko) 2012-07-20 2013-08-1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폐Alum 슬러지를 이용한 인 제거용 여과재 및 상기 여과재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2366A (ja) * 2000-08-22 2003-01-15 Toyo Denka Kogyo Co Ltd 炭化物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2126725A (ja) * 2000-10-30 2002-05-08 Hatsumei Kobo:Kk 浄水器
KR100425551B1 (ko) 2001-11-16 2004-04-06 김학로 Sbr공법에 있어서 하수 또는 오·폐수 고도처리의 질소, 인 제거방법 및 이에 따르는 제트 에어레이션 시스템
KR200282749Y1 (ko) * 2002-02-08 2002-07-23 주식회사 엔테크 오수처리 후단시설용 여과기
KR101295437B1 (ko) 2012-07-20 2013-08-16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폐Alum 슬러지를 이용한 인 제거용 여과재 및 상기 여과재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36000A (zh) * 2016-08-29 2017-01-18 浙江恒生印染有限公司 一种无磷环保型污水处理方法
CN106336000B (zh) * 2016-08-29 2019-02-01 浙江恒生印染有限公司 一种无磷污水处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129B1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halla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flow constructed wetlands as tertiary treatment option for secondary effluents
Vymazal The use of sub-surface constructed wetlands for wastewater treatment in the Czech Republic: 10 years experience
Jamshidi et al. Wastewater treatment using integrated anaerobic baffled reactor and Bio-rack wetland planted with Phragmites sp. and Typha sp.
Asri et al. Biofilm-based systems for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Samal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macrophytes influence on performance of hybrid vermifilter for dairy wastewater treatment
CN104250057A (zh) 一种光催化氧化与生态修复相结合的一体化水体修复装置
CN104528931A (zh) 一种以大麦秸秆为基质的曝气生物滤池及其应用
Casierra-Martínez et al.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removal in tropical constructed wetlands using Cyperus ligularis (Cyperaceae) and Echinocloa colona (Poaceae)
CN206232700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具有长效和缓释功能的微生物发生装置
Dar et al. Feasibility of microalgal technologies in pathogen removal from wastewater
CN101585607B (zh) 一种垂直流人工湿地基质的制备方法
Chowdhury et al.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vermifiltration technology for treating domestic sewage: A review
Zhao et al. Use of dewatered alum sludge as a substrate in reed bed treatment systems for wastewater treatment
CN204058195U (zh) 光催化氧化与生态修复相结合的一体化水体修复装置
Arteaga-Cortez et al. State of art: A current review of the mechanisms that make the artificial wetlands for the removal of nitrogen and phosphorus
CN111056700A (zh) 用于微污染水体修复的新型复合湿地系统
KR101664129B1 (ko) 수처리시설의 방류수 후단처리용 여과장치
CN105036819A (zh) 利用养殖废水生产蚯蚓养殖肥土的设施及方法
CN201065368Y (zh) 径流型仿生生态湿地
CN208829372U (zh) 用于水体黑臭治理及水质提升的生态水平方模块
Singh et al. Techno-Economic Assessment of Full Scale MBBRs Treating Municipal Wastewater Followed by Different Tertiary Treatment Strategies: A Case Study from India.
CN212954721U (zh) 一种畜禽养殖废水净化系统
CN109987712A (zh) 用于水体黑臭治理及水质提升的生态水平方模块
CN107827328B (zh) 一种用于修复养殖废水的工艺
Singh et al. Vermitechnology: a sustainable approach in the management of solid and liquid was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