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763A - Suspension with stabilizer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and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contain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uspension with stabilizer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and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contain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763A
KR20160076763A KR1020140187222A KR20140187222A KR20160076763A KR 20160076763 A KR20160076763 A KR 20160076763A KR 1020140187222 A KR1020140187222 A KR 1020140187222A KR 20140187222 A KR20140187222 A KR 20140187222A KR 20160076763 A KR20160076763 A KR 20160076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stabilizer bar
bar
hinge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2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성도
Original Assignee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7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6763A/en
Publication of KR20160076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76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0/00Land vehicles
    • Y10S280/01Load responsive, leveling of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A suspension with a stabilizer for a multi-purpose transport vehicl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spension comprises: left and right suspensions connecting a vehicle body and a vehicle shaft; and a stabilizer mutually connecting lower arms of the left and right suspensions. The stabilizer comprises: a stabilizer bar; and a link bar connecting both end portions of the stabilizer bar and the lower arms. Moreover, a hinge unit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tabilizer bar, and a first stabilizer bar and a second stabilizer bar are connected to be relatively moved about the hinge unit.

Description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목적 운반차량{Suspension with stabilizer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and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containing the same}[0001] Suspension with a stabilizer [0002] Suspension with a stabilizer for a multi-purpose vehicle [0002]

본 발명은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우 롤링(rolling)을 억제하여 코너링과 주행 안정감을 높여주는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랑용 현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다목적 운반 차량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pension for a multipurpose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suspension system including a stabilizer for suppressing rolling to increase cornering and running stability, and a multipurpose vehicle including the suspension.

자동차의 구조장치로서 노면의 충격이 차체나 탑승자에게 전달되지 않게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를 서스펜션(현가장치)이라 일컫는다. 서스펜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중 더블 위시본 타입 서스펜션(Double wishbone type suspension)은 독립식 현가장치의 하나로서, 두 개의 위시본(wish bone, 조류의 Y자형 가슴뼈) 형상의 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a structure of an automobile, a device that absorbs impact such that the impact of the road surface is not transmitted to a vehicle body or a passenger is referred to as a suspension. There are several types of suspension, of which the double wishbone type suspension is one of the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s and includes two wishbone (Y-shaped chest bone) arms .

구체적으로, 노면에 대해서 거의 수평으로 장착된 상하(어퍼 암, 로워 암) 두 개의 암이 업 라이트(차축 또는 허브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를 사이에 두고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구조적으로 강성 확보에 용이하며, 서스펜션이 범프할 때 캠버의 변화를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여, 타이어와 노면 사이의 마찰력의 변화가 적다는 이점이 있다.Specifically, two upper and lower arms (an upper arm and a lower arm) mount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road surface are structured to support the upright (an assembly including an axle or a hub) therebetween. This is advantageous in that the rigidity can be structurally facilitated and the change of the camber can be minimized when the suspension is bumped, and the variation of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tire and the road surface is small.

또한, 더블 위시본 타입 서스펜션은 로드 길이나 암의 설치 각도 등을 바꾸는 것을 통해 비교적 자유롭고 용이하게 기하학적인 변경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종 특성 등을 임의로 바꿀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험로 주행이 많은 차량에는 더블 위시본 타입 서스펜션이 일반적으로 채택된다.In addition, the double wishbone type suspension can relatively easily and geometrically change through the change of the road length and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arm, and it has an advantage that the steering characteristics can be changed arbitrarily. Therefore, a double wishbone type suspension is generally adopted for vehicles having a lot of rough roads.

건설현장 또는 농업현장에서 단거리 운반수단으로 주로 이용되는 소형 다목적 운반차량(Utility vehicle) 역시 작업 특성상 주로 험로를 주행하는 관계로, 더블 위시본 타입 서스펜션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무거운 화물을 싣고 험로를 주행해야 하는 차량의 특성상 더블 위시본 타입의 서스펜션을 적용하더라도 롤링(Rolling)은 불가피하게 발생한다.The utility vehicle, which is mainly used as a short distance transportation means at the construction site or agriculture field, also adopts the double wishbone type suspension because it mainly runs on the rough road due to the work characteristics.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vehicle that must travel on the rough road with heavy cargo, Rolling inevitably occurs even if a double wishbone type suspension is applied.

따라서 코너링 또는 불규칙한 노면 주행 시 발생하는 롤링의 억제를 위해 스테빌라이져(Stabilizer)를 사용하고 있다. 스테빌라이져는 현가장치의 롤링(Rolling)을 억제함에 있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며, 더블 위시본 타입 서스펜션의 경우 일반적으로 좌측 바퀴를 지지하는 서스펜션 아암과 우측 바퀴를 지지하는 서스펜션 아암에 마운팅되는 구조로 되어있다.Therefore, a stabilizer is used to suppress rolling caused by cornering or irregular road surface running. The stabiliz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suppressing the rolling of the suspension, and in the case of a double wishbone type suspension, it is generally mounted on a suspension arm that supports the left wheel and a suspension arm that supports the right wheel .

스테빌라이져의 롤링 강성은 스테빌라이져 바의 직경, 레버 비(lever ratio), 스테빌라이져 바의 길이 등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적인 스테빌라이져는 차량의 좌우 바퀴가 같은 방향으로 승강 운동하면 기능이 발휘되지 않으며, 좌우의 바퀴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승강 운동하는 경우, 예컨대 범프나 리바운드가 발생했을 때 개입하여 롤링을 억제한다.The rolling stiffness of the stabilizer is determined by the diameter of the stabilizer bar, the lever ratio, the length of the stabilizer bar, and the like. In general, the stabilizer does not function when the left and right wheels of the vehicle move up and down in the same direction. When the right and left wheels move up and down in different directions, for example, when the bump or rebound occurs, rolling intervention is suppressed.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스테빌라이져는, 좌우 바퀴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반대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한 쪽 바퀴만 움직일 경우 오히려 좌우 바퀴의 독립된 운동을 구속하여 승차감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즉 한쪽 바퀴만 요철를 통과하는데도 반대쪽 바퀴에도 영향을 미쳐 차량의 전체적인 거동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such conventional conventional stabilizers have the problem that when the left and right wheels move in the same direction or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but only one wheel, independent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is restrained and the ride feeling is worsened. That is, even though only one wheel passes through the unevenness, it also affects the opposite wheel, which adversely affects the overall behavior of the vehicle.

한국공개특허 제2011-0009840호(공개일 2011. 01. 31)Korean Published Patent No. 2011-0009840 (Published on January 31, 201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테빌라이져의 고유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좌우 바퀴의 독립된 움직임을 구속하여 승차감을 악화시키는 현상을 해소할 수 있는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spension for a multipurpose vehicle having a stabilizer capable of relieving the phenomenon of deteriorating ride quality by restraining independent motion of left and right wheels while maintaining the inherent function of the stabiliz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종래의 토션바(Torsion Bar) 보다 탄성 변위가 큰 판스프링(Leaf Spring) 형태로 스테빌라이져 바를 구성하여, 오프로드(Off-Road) 환경에서 빈번하게 작동하는 스테빌라이져 바의 거동으로 인한 절손을 방지하면서 스테빌라이져 바의 고유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Another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bilizer bar in the form of a leaf spring having a greater elastic displacement than a conventional torsion bar and to provide a stabilizer bar that is frequently operated in an off- And to provide a suspension for a multipurpose vehicle capable of exerting a unique function of the stabilizer bar while preventing a break due to the behavior of the bar.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와 차축 사이를 연결하는 좌, 우측 서스펜션과, 좌, 우측 서스펜션의 로워 아암을 상호 연결하는 스테빌라이져를 포함하며, 스테빌라이져는 스테빌라이져 바와, 스테빌라이져 바의 양단부와 상기 로워 아암을 연결하는 링크 바로 구성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 중앙에 힌지부가 구성되고, 힌지부를 중심으로 제1 스테빌라이져 바와 제2 스테빌라이져 바가 상대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stabilizer comprising a left and right suspension connecting between a vehicle body and an axle, and a stabilizer connecting the lower arms of the left and right suspensions, wherein the stabilizer includes a stabilizer bar, And a first stabilizer bar and a second stabilizer bar are relatively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round the hinge portion, wherein the stabilizer bar is constituted by a link connecting the lower arm, and a hinge port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tabilizer bar. Lt; / RTI >

본 발명에서 상기 좌, 우측 서스펜션은, 허브 어셈블리와 차체를 연결하는 어퍼 아암과 로워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어퍼 아암에 쇽업소버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충격감쇄유닛이 결합된 구성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suspensions may include an upper arm and a lower arm connecting the hub assembly and the vehicle body, and an impact damper unit including a shock absorber and a coil spring may be coupled to the upper arm.

그리고, 상기 로워 아암의 측면에 마운팅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링크 바의 하단이 연결될 수 있다.A mounting bracket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wer arm, and a lower end of the link bar may be connected to the mounting bracket.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과 링크 바가 연결되는 부분에 탄성체가 개재될 수 있다.Preferably, an elastic body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link bar.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는 소정의 탄성을 갖춘 판상체로 구성될 수 있다.Further, the stabilizer bar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stituted by a plat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이때,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져 바와 제2 스테빌라이져 바의 중앙에 고정힌지가 각각 부착되고, 상기 고정힌지를 통해 제1 스테빌라이져 바와 제2 스테빌라이져 바의 중앙부가 차체에 피봇 연결됨으로써, 각각의 스테빌라이져 바는 해당 피봇 포인트를 기준으로 시소(seesaw)운동을 하도록 된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fixed hinges are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stabilizer bar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respectively, and the central portions of the first stabilizer bar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are pivotally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fixed hinge, And a seesaw motion based on the point.

또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져 바와 제2 스테빌라이져 바의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두 개의 단위힌지를 소정 유격을 가지도록 상호 연결시킨 구성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hinge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wo unit hinges,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opposite ends of the first stabilizer bar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are mutu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clearance.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부는, 장공을 형성한 제1 단위힌지와, 상기 장공의 일부와 일치하는 체결구멍을 형성한 제2 단위힌지로 구성되며, 서로 일치된 상기 체결구멍과 장공에 연결핀을 끼워 제1 단위힌지와 제2 단위힌지를 굴절 및 신축 가능하게 연결시킨 구성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hinge portion is composed of a first unit hinge having a long hole and a second unit hinge having a fastening hole coinciding with a portion of the long hole, And the first unit hinge and the second unit hinge can be bent and retrac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스테빌라이져와 링크 바가 연결되는 부분에 탄성체가 개재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elastic body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tabilizer and the link ba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에 의하면, 스테빌라이져를 구성하는 가로 바(스테빌라이져 바)가 굴절되고 소정길이 유격됨으로써, 스테빌라이져의 고유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제한된 범위에서 좌우 바퀴의 독립된 움직임을 보장하며, 이에 따라 코너링 또는 험로 주행 시 차량의 전체적인 거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suspension for a multipurpose carrier vehicle having the stabiliz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bar (stabilizer bar) constituting the stabilizer is refracted and the predetermined length is spaced apart, so that the inherent function of the stabilizer is maintained, Thereby ensuring movement, thereby improving the overal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when cornering or running on rough roads.

또한, 스테빌라이져 바가 판스프링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반복된 범프(Bump)에도 적절한 탄성이 발휘되어 스테빌라이져 바가 뒤틀리거나 휘는 것과 같은 소성변형이나 피로누적에 따른 파괴(피로 파괴, fatigue failure)가 방지될 수 있으며, 스테빌라이져가 제공하는 복원력이 더해져 노면충격을 보다 확실하게 흡수/감쇄시킬 수 있어 승차감을 일층 개선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tabilizer bar is formed in a leaf spring shape, it is possible to prevent plastic deformation such as warping or bending of the stabilizer bar or fatigue failure due to accumulation of fatigue by exhibiting appropriate elasticity against repeated bumps , The restoring force provided by the stabilizer is added, so that the road surface impact can be reliably absorbed / attenuated, thereby improving ride comfo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현가장치의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현가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현가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가장치가 적용된 다목적 운반차량의 차제 프레임을 예시한 사시도.
1 is a conceptual view of a suspension for a multipurpose vehicle with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spension for a multipurpose vehicle with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suspension for a multipurpose vehicle with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suspension shown in Fig. 3; Fig.
5 is a plan view of the suspension shown in Fig.
Figure 6 is a side view of the suspension shown in Figure 3;
FIG.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ar frame of a multipurpose carrying vehicle to which a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configurations will be omitt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의 개념도이며,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의 분해 사시도와 결합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현가장치의 정면도, 평면도, 측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FIG.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uspension for a multipurpose vehicle with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suspension for a multipurpose vehicle with a stabiliz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d Figs. 4 to 6 show a front view, a plan view, and a side view, respectively, of the suspension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가장치는, 차체와 차축 사이를 연결하는 좌, 우측 서스펜션(10L)(10R)과, 좌, 우측 서스펜션(10L)(10R)의 로워 아암(16)을 연결하는 스테빌라이져(20)를 포함한다. 좌, 우측 서스펜션(10L)(10R)은 더블 위시 본 타입 서스펜션일 수 있으며, 스테빌라이져(20)는 스테빌라이져 바(22)와 링크 바(26L)(26R)로 구성된다.1 to 6, a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left and right suspensions 10L and 10R connecting between a vehicle body and an axle, and left and right suspensions 10L and 10R. And a stabilizer (20) connecting the lower arm (16). The left and right suspensions 10L and 10R may be double wishbone type suspensions and the stabilizer 20 is constituted by a stabilizer bar 22 and link bars 26L and 26R.

좌, 우측 서스펜션(10L)(10R)은 구체적으로, 차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허브 어셈블리(12)와, 상기 허브 어셈블리(12)의 상부와 하부를 차체와 연결하는 어퍼 아암(14)과 상기 로워 아암(1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어퍼 아암(14)의 연결구(15)에 일단이 피봇 연결되고 다른 일단은 차체에 피봇 연결되는 쇽업소버와 이를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충격감쇄유닛(18)을 구비한다.More specifically, the left and right suspensions 10L and 10R include a hub assembly 12 for rotatably supporting an axle, an upper arm 14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hub assembly 12 to the vehicle body, And a lower arm 16. And an impact damper unit 18 composed of a shock absorber whose one en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hole 15 of the upper arm 14 and the other end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and a coil spring surrounding the shock absorber.

어퍼 아암(14)과 로워 아암(16)은 차량 주행 시 노면충격에 대응하여 상기 허브 어셈블리(12)가 상하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일단과 타단이 상기 허브 어셈블리(12)와 차체에 각각 피봇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로워 아암(16)의 측면에는 마운팅 브라켓(17)이 형성되며, 마운팅 브라켓(17)에 스테빌라이져(20)를 구성하는 상기 링크 바(26L)(26R)의 하단부가 결합된다.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arm 14 and the lower arm 16 are pivotally connected to the hub assembly 12 and the vehicle body, respectively, so that the hub assembly 12 can perform up- do. A mounting bracket 17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lower arm 16 and the lower ends of the link bars 26L and 26R constituting the stabilizer 20 are coupled to the mounting bracket 17.

스테빌라이져 바(22)의 중앙에는 힌지부(28)가 구성된다. 힌지부(28)를 중심으로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22)는 제1 스테빌라이져 바(22L)와 제2 스테빌라이져 바(22R)로 구분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의 힌지부(28)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한 것을 제1 스테빌라이져 바(22L)라 하고, 힌지부(28) 우측에 위치한 것을 제2 스테빌라이져 바(22R)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 hinge portion (28)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tabilizer bar (22). The stabilizer bar 22 is divided into a first stabilizer bar 22L and a second stabilizer bar 22R with the hinge part 28 as a center. The first stabilizer bar 22L is positioned on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28 of the drawing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22R is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hinge portion 28 do.

힌지부(28)는 제1 스테빌라이져 바(22L)와 제2 스테빌라이져 바(22R)의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이웃하는 두 개의 단위힌지(28a)(28b)를 소정 유격을 가지도록 상호 연결시킨 구성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힌지부(28)에 의해 제1 스테빌라이져 바(22L)와 제2 스테빌라이져 바(22R)는 상대 굴절 및 제한된 구간에서 둘 사이의 간격이 가변될 수 있다. The hinge portion 28 is provided with two adjacent unit hinges 28a and 28b which are provided at the opposite ends of the first stabilizer bar 22L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22R, The first stabilizer bar 22L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22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elative bending and limited section by the hinge part 28. [

힌지부(28)는 바람직하게, 장공(280)이 형성된 제1 단위힌지(28a)와, 상기 장공(280)의 일부와 일치하는 체결구멍(282)을 형성한 제2 단위힌지(28b)로 구성되고, 서로 일치된 상기 체결구멍(282)과 장공(280)에 연결핀(29)을 끼워 제1 단위힌지(28a)와 제2 단위힌지(28b)를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상대 굴절 및 장공(280)의 범위 내에서 유격이 발생하는 구성일 수 있다.The hinge portion 28 preferably includes a first unit hinge 28a having a long hole 280 formed therein and a second unit hinge 28b having a fastening hole 282 formed to coincide with a portion of the long hole 280 And the first unit hinge 28a and the second unit hinge 28b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the connecting pin 29 to the fastening hole 282 and the long hole 280 which are made to coincide with each other, 280) in the range of the clearance.

이때 제1, 제2 스테빌라이져 바(22L)(22R)의 연결부분의 유격(장공(280)의 길이)을 상기 한쪽 바퀴만 범프하는 거동(one wheel jounce) 시의 스테빌라이져 바(22)의 변위를 보상할 수 있을 정도로 설정하면, 좌우 바퀴의 연성을 제거하여 승차감 악화를 막을 수 있고, 두 바퀴 모두 범프하는 거동(two wheel jounce) 시 또는 롤링 거동 시 정상적인 롤링 제어가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displacement of the stabilizer bar 22 at the time of one wheel jounce of the clearance (the length of the elongated hole 280)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tabilizer bars 22L, If you set it to compensate, you can eliminate the deterioration of the ride quality by removing ductility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and normal rolling control is possible at two wheel jounce or rolling behavior on both wheels.

제1 스테빌라이져 바(22L)와 제2 스테빌라이져 바(22R)의 최외곽 단부는 상기 링크 바(26L)(26R)를 통해 각각에 대응되는 로워 아암(16)에 고정된다. 즉 상기 링크 바(26L)(26R)는 스테빌라이져 바(22)와 서스펜션을 구성하는 상기 로워 아암(16)을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로써, 하단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17)에 결합되고 상단은 대응하는 스테빌라이져 바(22)의 단부에 결합된다.The outermost ends of the first stabilizer bar 22L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22R are fixed to the corresponding lower arm 16 through the link bars 26L and 26R. That is, the link bars 26L and 26R are connecting members for interconnecting the stabilizer bar 22 and the lower arm 16 constituting the suspension. The lower ends thereof are coupled to the mounting brackets 17,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tabilizer bar (22).

이때 로워 아암(16)의 상기 마운팅 브라켓(17)과 링크 바(26L)(26R)가 연결되는 부분과 제1, 제2 스테빌라이져(20) 단부와 상기 링크 바(26L)(26R)가 연결되는 부분에 러버 재질의 부시와 같은 탄성체(부호 생략)를 개재하면, 범프 거동이나 롤링 시 링크 바(26L)(26R)의 기울기가 적절히 가변되면서 마운팅 브라켓(17)과 각 스테빌라이져 바(22) 단부의 수평방향 위치 변화에 추종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ortion of the lower arm 16 to which the mounting bracket 17 and the link bars 26L and 26R are connected and th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tabilizers 20 and the link bars 26L and 26R are connected (Not shown) such as a bushing made of a rubber material is provided on the part of the stabilizing bar 22 and the mounting bracket 17 and the end of each stabilizer bar 22, when the bump behavior or the inclination of the link bars 26L It is possible to follow the horizontal position change.

제1, 제2 스테빌라이져 바(22L)(22R)는 소정의 탄성을 갖춘 판상체, 즉 판 스프링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제2 스테빌라이져 바(22L)(22R) 중앙에는 고정힌지(23)(24)가 각각 설치되며, 고정힌지(23)(24)를 통해 제1 스테빌라이져 바(22L)와 제2 스테빌라이져 바(22R)의 중앙부는 차체에 피봇 연결된다. The first and second stabilizer bars 22L and 22R may be plate-shaped members having predetermined elasticity, that is, plate spring structures. Fixing hinges 23 and 24 are provided at the centers of the first and second stabilizer bars 22L and 22R and are fixed to the first stabilizer bar 22L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22L through the fixed hinges 23 and 24. [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r 22R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제1, 제2 스테빌라이져 바(22L)(22R)를 판 스프링구조로 구성하면, 소성변형이나 피로파괴를 방지함에 있어 유리하며, 제1, 제2 스테빌라이져 바(22L)(22R)의 중앙이 차체에 피봇 연결되면, 해당 피봇 포인트(도 1의, P1, P2)를 기준으로 두 스테빌라이져 바(22L)(22R)가 시소(seesaw)운동을 함으로써, 롤링 제어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범프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When the first and second stabilizer bars 22L and 22R are formed of a leaf spring structure, it is advantageous in preventing plastic deformation and fatigue fracture, and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stabilizer bars 22L and 22R, The two stabilizer bars 22L and 22R perform a seesaw motion based on the pivot point (P1 and P2 in FIG. 1), thereby effectively coping with bumps while maintaining the rolling control function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현가장치가 적용된 다목적 운반차량의 차제 프레임을 예시한 사시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rame of a multi-purpose vehicle to which a suspen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다목적 운반차량의 차체 프레임은, 차체의 바닥부에 해당되는 베이스프레임(100)과, 베이스프레임(100)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차체 전방의 충격을 완화하는 선단현가프레임(200)을 포함하며, 선단현가프레임(200)의 후단부에는 대쉬보드 장착을 위한 대쉬보드프레임(300)이 연결된다.The vehicle body frame of the multipurpose vehicl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7 includes a base frame 100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vehicle body, And a dashboard frame 300 for attaching a dashboard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leading end suspension frame 200. [

베이스프레임(100)의 중앙부에는 엔진을 탑재를 엔진 룸을 형성하는 미드쉽프레임(500)이 구비되되, 상기 미드쉽프레임(500)은 시트 설치를 위한 시트 지지틀(510)과, 베이스프레임(100)과 시트 지지틀(510)을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대(520)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단부에는 차체 후방의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후단현가프레임(400)이 마련된다.The mid-frame 500 includes a seat support frame 510 for mounting the seat, a base frame 500 for supporting the engine room, 100 and a seat support frame 510. The rear end suspension frame 400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base frame 100 to mitigate the impact of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후단현가프레임(400)은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상기 어퍼 아암(14)과 로워 아암(16)의 내측 단이 피봇 연결되는 측부 마운팅바(410)(420)와, 상기 현가장치의 좌, 우측 충격감쇄유닛(18)의 상단부가 피봇 연결되는 상부 마운팅바(430)를 포함하며, 상부 마운팅바(430)의 전측에 스테빌라이져 마운팅바(440)가 구비된다.The rear end suspension frame 400 includes side mounting bars 410 and 420 on which the upper ends of the upper arm 14 and the lower arm 16 are pivot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 stabilizer mounting bar 44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mounting bar 430. The stabilizer mounting bar 440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upper mounting bar 430,

스테빌라이져 마운팅바(440)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세로바(442)에 제1, 제2 스테빌라이져 바(22L)(22R) 중앙부가 각각의 고정힌지(23)(24)를 통해 피봇 연결됨으로써, 제1 스테빌라이져 바(22L)와 제2 스테빌라이져 바(22R)가 해당 피봇 포인트(도 1의, P1, P2)를 기준으로 차량 주행 시 롤링 및 범프에 대응하여 시소(seesaw)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The central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tabilizer bars 22L and 22R are pivotally connected to the vertical bars 442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stabilizer mounting bar 440 through the respective fixed hinges 23 and 24, The stabilizer bar 22L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22R perform a seesaw motion corresponding to the rolling and the bump when the vehicle travels based on the pivot point (P1, P2 in FIG. 1).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스테빌라이져를 구성하는 가로 바(스테빌라이져 바)가 굴절되고 소정길이 유격됨으로써, 스테빌라이져의 고유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제한된 범위에서 좌우 바퀴의 독립된 움직임을 보장하며, 이에 따라 코너링 또는 험로 주행 시 차량의 전체적인 거동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rizontal bar (stabilizer bar) constituting the stabilizer is refracted and the predetermined length is spaced apart, the independent function of the stabilizer is maintained while ensuring independent movement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within a limited rang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overal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the vehicle when driving on rough roads.

또한, 스테빌라이져 바가 판스프링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반복된 범프(Bump)에도 적절한 탄성이 발휘되어 스테빌라이져가 뒤틀리거나 휘는 것과 같은 소성변형이나 피로누적에 따른 파괴(피로 파괴, fatigue failure)가 방지되며, 스테빌라이져가 제공하는 복원력이 더해져 노면충격을 보다 확실하게 흡수/감쇄시킬 수 있어 승차감을 일층 개선시킬 수 있다.Further, since the stabilizer bar is formed in a leaf spring shape, appropriate elasticity is exhibited even for repeated bumps, so that plastic deformation such as twisting or bending of the stabilizer, fatigue failure due to fatigue accumulation is prevented, So that it is possible to reliably absorb / attenuate the road surface impact, so that the riding comfort can be further improved.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thereof, which are to be considered as being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intention is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10L, 10R : 서스펜션 12 : 허브 어셈블리
14 : 어퍼 아암 16 : 로워 아암
17 : 마운팅 브라켓 18 : 충격감쇄유닛
20 : 스테빌라이져 22L, 22R : 스테빌라이져 바
23, 24 : 고정힌지 26L, 26R : 링크 바
28 : 힌지부 28a : 제1 단위힌지
28b : 제2 단위힌지 29 : 연결핀
280 : 장공 282 : 체결공
10L, 10R: Suspension 12: Hub assembly
14: Upper arm 16: Lower arm
17: Mounting bracket 18: Impact damping unit
20: Stabilizer 22L, 22R: Stabilizer bar
23, 24: fixed hinge 26L, 26R: link bar
28: hinge portion 28a: first unit hinge
28b: second unit hinge 29: connecting pin
280: elongated hole 282: fastening hole

Claims (10)

차체와 차축 사이를 연결하는 좌, 우측 서스펜션과, 좌, 우측 서스펜션의 로워 아암을 상호 연결하는 스테빌라이져를 포함하며, 스테빌라이져는 스테빌라이져 바와, 스테빌라이져 바의 양단부와 상기 로워 아암을 연결하는 링크 바로 구성되고,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 중앙에 힌지부가 마련되며, 힌지부를 중심으로 제1 스테빌라이져 바와 제2 스테빌라이져 바가 상대운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
The stabilizer includes a stabilizer bar, a link bar connecting the both ends of the stabilizer bar and the lower arm, and the stabilizer bar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suspensions to each other. Wherein a hinge portion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stabilizer bar, and a first stabilizer bar and a second stabilizer bar are relatively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around the hinge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서스펜션은, 허브 어셈블리와 차체를 연결하는 어퍼 아암과 로워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어퍼 아암에 쇽업소버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충격감쇄유닛이 결합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ft and right suspensions include an upper arm and a lower arm that connect the hub assembly and the vehicle body and an impact damper unit including a shock absorber and a coil spring is coupled to the upper arm. Suspension for transport vehicle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 아암의 측면에 마운팅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링크 바의 하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mounting bracket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wer arm, and a lower end of the link bar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bracke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브라켓과 링크 바가 연결되는 부분에 탄성체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resilient body is interposed in a portion where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link ba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져 바는 소정의 탄성을 갖춘 판상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abilizer bar is constituted by a plat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 RTI ID = 0.0 > 18. < / RTI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져 바와 제2 스테빌라이져 바의 중앙에 고정힌지가 각각 부착되고,
상기 고정힌지를 통해 제1 스테빌라이져 바와 제2 스테빌라이져 바의 중앙부가 차체에 피봇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xed hinge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first stabilizer bar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And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tabilizer bar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fixed hin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제1 스테빌라이져 바와 제2 스테빌라이져 바의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설치되는 이웃한 두 개의 단위힌지를 소정의 유격을 가지도록 상호 연결시킨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nge unit includes:
Wherein the first stabilizer bar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wo neighboring unit hinges provided at opposite ends of the first stabilizer bar and the second stabilizer bar have a predetermined cleara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장공을 형성한 제1 단위힌지와,
상기 장공의 일부와 일치하는 체결구멍을 형성한 제2 단위힌지로 구성되며,
서로 일치된 상기 체결구멍과 장공에 연결핀을 끼워 제1 단위힌지와 제2 단위힌지를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inge unit includes:
A first unit hinge which forms a long hole,
And a second unit hinge having a fastening hole coinciding with a part of the long hole,
And the first unit hinge and the second unit hing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connecting the connection pin to the fastening hole and the long hole which are aligned with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져와 링크 바가 연결되는 부분에 탄성체가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빌라이져를 갖춘 다목적 운반차량용 현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elastomer is interposed in a portion where the stabilizer and the link ba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현가장치를 포함하는 다목적 운반차량.A multipurpose carrying vehicle comprising the suspension according to any of the claims 1 to 9.
KR1020140187222A 2014-12-23 2014-12-23 Suspension with stabilizer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and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containing the same KR2016007676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222A KR20160076763A (en) 2014-12-23 2014-12-23 Suspension with stabilizer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and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contain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7222A KR20160076763A (en) 2014-12-23 2014-12-23 Suspension with stabilizer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and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contain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763A true KR20160076763A (en) 2016-07-01

Family

ID=5650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222A KR20160076763A (en) 2014-12-23 2014-12-23 Suspension with stabilizer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and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contain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6763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840A (en) 2009-07-23 2011-01-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Anti-static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840A (en) 2009-07-23 2011-01-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Anti-static adhesive composition and polarizing plat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2546B2 (en) Multilink rear axle for a motor vehicle
US8733771B2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JP6803234B2 (en) Vehicle suspension
US8474844B2 (en) Suspension structure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KR101461902B1 (en)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suspension system
WO2018092587A1 (en) Suspension device for vehicles
US6997468B2 (en) Control rod suspension with outboard shock
RU2713263C2 (en) Pneumatic axle suspension for rear axle of vehicle
US7077407B2 (en) Interconnected suspension
KR100726568B1 (en) Torsion bar typed rear suspension in vehicle
KR20220153971A (en) 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KR100882667B1 (en) Riding feeling and roll behaviour improving typed suspension in vehicle
JPH02197411A (en) Suspension device
JP20055069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a vehicle wheel assembly
JP200751861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ding a vehicle
KR20160076763A (en) Suspension with stabilizer for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and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containing the same
KR20100035876A (en) Bush for automobile
KR200491248Y1 (en) rolling preventing device of automobile axle
KR100936986B1 (en) Roll control unit for suspension system
KR20120008877A (en) Strut type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100957161B1 (en) Semi-trailing arm type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KR100962190B1 (en) A clamping device of a stabilizer bar
KR20110062642A (en) Rear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KR100831495B1 (en) Structure of stabilizer bar for automobile
KR20140077040A (en) Spring mounting unit for multi-link type suspen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