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960A - Constant voltage supply circuit with thyristor and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 Google Patents

Constant voltage supply circuit with thyristor and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960A
KR20160074960A KR1020140184276A KR20140184276A KR20160074960A KR 20160074960 A KR20160074960 A KR 20160074960A KR 1020140184276 A KR1020140184276 A KR 1020140184276A KR 20140184276 A KR20140184276 A KR 20140184276A KR 20160074960 A KR20160074960 A KR 20160074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oltage
transistor
thyristo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2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974910B1 (en
Inventor
고영산
Original Assignee
(주)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씨엔에스
Priority to KR1020140184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910B1/en
Publication of KR20160074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9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9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14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7/15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7/16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 H02M7/162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control circuit
    • H02M7/162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in a bridge configuration with control circuit with automatic control of the output voltage or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1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21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21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ant voltage circuit with a thyristor and an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suggest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rst switch element which comprises a triac or thyristor between a charging capacitor and a power source, and a second switch element formed between the first switch element and the charging capacitor. The second switch element is shorted when the charging capacitor is charged to a desired voltage. So, the charging voltage of the charging capacitor can be accurately controlled.

Description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정전압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기기{CONSTANT VOLTAGE SUPPLY CIRCUIT WITH THYRISTOR AND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ant voltage circuit using a thyristor,

본 발명은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정전압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설정 전압값으로 오차없이 충전캐패시터를 충전시키는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정전압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기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ant voltage circuit using a thyristor and an electric devic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stant voltage circuit using a thyristor for charging a charging capacitor with a set voltage value and an electric device having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정전압 회로는 상용전원을 입력받은 후 이를 정류하여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회로이다. 이러한 정전압 회로는 정전압을 필요로 하는 디지털 기기뿐만 아니라 상용전원에서 공급되는 에너지를 축적한 후 한꺼번에 많은 전기 에너지를 소모하는 전기기기에 사용된다.The constant voltage circuit is a circuit that receives a commercial power supply, rectifies it, converts it into a DC voltage, and supplies it. Such a constant voltage circuit is used not only for a digital device requiring a constant voltage but also for an electric device consuming a lot of electric energy at once after storing energy supplied from a commercial power source.

정전압 회로는 다양한 종류의 정류 회로로 구현되고 있다. 정류 회로는 출력전압레벨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것과 출력전압레벨을 조절할 수 없는 것으로 대별할 수 있다. 출력전압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대표적인 예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들 수 있다.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는 정확한 출력 전압 제어가 가능하나 가격이 고가인 편이다. 출력전압레벨을 조절할 수 없는 대표적인 회로 예는 입력전압에 따라 고정된 출력전압을 출력하는 반파 배전압 정류회로와 전파배전압 정류회로가 있다.The constant voltage circuit is implemented with various kinds of rectifier circuits. The rectifier circui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wo types, one being capable of arbitrarily adjusting the output voltage level and the other being unable to control the output voltage level. A typical example of controlling the output voltage level is the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witching mode power supplies allow accurate output voltage control, but are expensive. A typical circuit example that can not control the output voltage level is a half wave voltage rectifier circuit and a wave voltage rectifier circuit that output a fixed output voltage according to the input voltage.

한편, 사이리스터는 교류용 정류 소자로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위상제어 방식을 통해 램프의 밝기를 조절하는 소자를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원 발명자는 사이리스터를 위상제어용으로 사용하는 통상의 사용 방법과는 달리 특허문헌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사이리스터를 이용하여 정전압 회로를 구성하는 기술에 대해 제안한 바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제시된 회로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 전압값은 정확하게 출력하지 못하고 기준 전압값보다 높게 충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On the other hand, a thyristor is widely known as an alternating current rectifying device, and a device that adjusts the brightness of a lamp through a phase control method is mainly used. The present inventors have proposed a technique for constructing a constant voltage circuit using a thyristor a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unlike a usual method of using a thyristor for phase control. However, the circui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has a problem that the reference voltage value set by the user can not be accurately output and is charged higher than the reference voltage value.

도 1은 특허문헌 1의 회로도와 충전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 상태를 설명하는 전압 파형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에 제시된 정전압 회로(100)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시가변전압입력부(10)와 충전캐패시터(C0) 사이에 사이리스터(이하, "SCR"이라 부르기로 한다)를 구비한다. SCR의 게이트 단자(g)에는 충전캐패시터(C0)에 충전되는 전압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전압부(20)가 연결된다. 충전캐패시터(C0) 양단에는 부하단(30)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도 1(a)의 회로에서 충전캐패시터(C0)의 초기 전압은 0V이고, 기준전압부(20)에 설정된 기준 전압값은 130V로 가정하고,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는 220V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회로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크치가 310V인 교류전원이 인가되면, SCR은 아노드 단자(a) 전압(Va), 캐소드 단자(c) 전압(Vc) 및 게이트 단자(g) 전압(Vg)이 수학식 1 관계를 만족할 때 오프(off) 상태에서 온(on) 상태로 절환되며, 수학시 2 관계를 만족할 때 온(on) 상태에서 오프(off) 상태로 절환된다. 즉, SCR은 온 상태에서 게이트 단자 전압(Vg)이 캐소드 단자 전압(Vc)보다 작아지더라고 오프되지 않는 특성이 있다.1 is a voltage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a circuit diagram of Patent Document 1 and a voltage state charged in a charge capacitor. 1 (a),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100 shown in the patent document 1 has a thyris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CR") between a time-varying voltage input unit 10 and a charge capacitor C 0 , ). A reference voltage portion 20 for setting a voltage level charged in the charging capacitor C 0 is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g of the SCR. A negative terminal (3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harge capacitor (C 0 ) to supply power. 1 (a), the initial voltage of the charging capacitor C 0 is 0 V, the reference voltage value set in the reference voltage unit 20 is 130 V, and the 220 V AC power source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supplied. 1 (b), when the AC power source having a peak value of 310 V is applied, the SCR is applied to the anode terminal (a) voltage Va, the cathode terminal (c) voltage Vc and the gate terminal (g) Vg) is switched from an off state to an on state when the relation of Equation (1) is satisfied, and is switched from an on state to an off state when the relation of Equation (2) is satisfied. That is, the SCR has a characteristic in that the gate terminal voltage Vg becomes smaller than the cathode terminal voltage Vc in the ON state and is not turned off.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도 1(b)는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 공급되는 전압 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실선 구간 동안에는 SCR이 온 상태로 되어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 충전캐패시터(C0)로 전하가 축적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점선 구간 동안에는 SCR이 오프 상태로 되어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 충전캐패시터(C0)로 전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1(c)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충전캐패시터(C0)의 충전 전압을 나타낸다.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 전압이 인가되면 SCR이 온이 되면서 충전캐패시터(C0)에 전하가 축적되기 시작한다. 이후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 공급되는 전압이 상한 피크치에서 떨어지기 시작하면서 충전캐패시터(C0)의 충전 전압 이하로 되는 ta시각에 SCR이 오프되면서 충전이 멈추게 된다. ta시각에 충전캐패시터(C0)에 충전된 전압값은 80V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후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 인가되는 전압이 80V가 넘는 순간(tb 시각) SCR은 다시 온 상태로 절환되면서 충전을 시작하고, 상한 피크치에서 떨어지기 시작하면서 충전캐패시터(C0)의 충전 전압 이하로 되는 tc시각에 SCR이 오프되면서 충전이 멈추게 된다. tc 시각에 충전캐패시터(C0)에 충전되는 전압을 150V가 되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그런데 SCR 게이트 단자(g)에 인가되는 기준 전압값(Vref)은 130V인데 충전캐패시터(C0)에는 150V 충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충전캐패시터(C0)를 충전하고자 하는 전압치(기준 전압값)보다 높은 전압으로 충전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수학식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SCR의 오프 조건이 SCR 게이트 단자(Vg)에 의해 제어되지 못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Figure 1 (b) is a cigar sides will showing a voltage waveform supplied from the voltage input section 10, a solid line period during the charge to the charge capacitor (C 0) is in the SCR on state in the market side voltage input section 10 is stored During the dashed line period, the SCR turns off, indicating that no charge flows from the time-varying voltage input unit 10 to the charge capacitor C 0 . Figure 1 (c) shows the charging voltage of the charging capacitor (C 0) changes with time. When a voltage is applied at the time-varying voltage input unit 10, SCR is turned on and electric charge starts to accumulate in the charge capacitor C 0 . Then, when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time-variant voltage input unit 10 begins to fall from the upper peak value, the SCR is turned off at time ta when the voltage becomes lower than the charging voltage of the charging capacitor C 0 , and charging is stopped. It is assumed that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ing capacitor C 0 at time ta is 80V. Since cigars voltage is greater than 80V moment to be applied in variable voltage input (10) (tb visual) SCR while being switched back to the on-state voltage charged in the beginning of the charging, and begins to drop at the upper peak value charging capacitor (C 0) The SCR is turned off at time tc, and the charging is stopped. It is assumed that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ing capacitor C 0 becomes 150 V at time tc. However, it can be seen that the reference voltage Vref applied to the SCR gate terminal g is 130 V, and that 150 V is charged in the charge capacitor C 0 .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user is charged to a voltage higher than the voltage value (reference voltage value) for charging the charge capacitor C 0 . This phenomenon occurs because the OFF condition of the SCR is not controlled by the SCR gate terminal (Vg) as shown in Equation (2).

한편, 아이피엘 기기에서도 제논 램프를 밝게 빛내기 위해 정전압 회로를 사용한다. 아이피엘 기기는 여러 파장의 빛을 한꺼번에 조사하여 여러 가지 질환을 가진 피부를 간편하게 치료하는 기기로서, 미국의 비터(bitter) 박사에 의해 개발되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아이피엘 기기는 350nm ~ 1200nm의 파장 빛을 방사시키는 램프 플래쉬를 이용하고 필터를 사용해서 나오는 빛의 파장을 조절하게 되며, 조사 램프로는 통상 제논(zenon) 램프를 사용하여 3초 동안 2회 내지 3회 정도 피부에 조사하게 된다. 이때 조사되는 제논 램프 광량의 사용자의 피부 색상, 피부의 상태 등에 의해서 달리 조절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아이피엘 기기는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광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a constant voltage circuit is used to brighten the xenon lamp even in the IPEl device. The eyeliner is a device that treats light of various wavelengths at once and treats skin with various diseases easily. It is developed by Dr. Bitter in USA and is widely used now. The IPE device uses a lamp flash that emits a wavelength light of 350nm to 1200nm and controls the wavelength of light emitted by the filter. As the irradiation lamp, usually a zenon lamp is used for 2 to 3 seconds for 3 seconds The skin is irradiated about once. In this case, the amount of xenon lamp irradiated is differently adjusted depending on the skin color of the user and the condition of the skin. Since such an eyepiece device is used for therapeutic purposes, it is necessary to precisely control the amount of light.

그런데 특허문헌 1에 제시된 종래 기술에서는 충전캐패시터(C0) 전압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정확히 제어할 수 없어 정밀한 전압 제어가 필요한 전기기기에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the charging capacitor (C 0 ) voltage can not be accurately controlled as desired by the user, and thus it is difficult to use the charging capacitor (C 0 ) in an electric appliance requiring precise voltage control.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089106호 (2011.12.06. 공고)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089106 (issued on December 16, 201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비교적 간단하고 원가가 적게 소요되는 회로로 구성하면서도 정전압을 제공하고, 출력 전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충전캐패시터(C0)의 충전 전압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정전압 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controlling a charging voltage of a charging capacitor (C 0 ) capable of controlling a voltage level, And to provide a constant voltage circuit using the thyristor and an electric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출력 전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고 정전압 기능을 제공하는 정전압 회로로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압을 제공하는 시가변전압입력부와, 전하를 축적하는 충전캐패시터와, 시가변전압입력부와 상기 충전캐패시터 사이에 구비되는 사이리스터 및 스위치소자와, 사이리스터의 게이트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캐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설정하는 기준전압부를 포함하고, 스위치소자는 상기 사이리스터의 게이트 단자, 상기 사이리스터의 캐소드 단자 및 상기 충전캐패시터의 일 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회로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constant voltage circuit capable of regulating an output voltage level and providing a constant voltage function, comprising: a time varying voltage input unit for providing a time varying voltage; a charge capacitor for accumulating charge; A thyristor and a switch element provided between the charge capacitors and a reference voltage part connected to a gate terminal of the thyristor and setting a charge voltage of the charge capacitor, the switch element having a gate terminal of the thyristor, a cathode terminal of the thyristor,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harge capacitor.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출력 전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고 정전압 기능을 제공하는 정전압 회로로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압을 제공하는 시가변전압입력부와, 전하를 축적하는 충전캐패시터와, 시가변전압입력부와 상기 충전캐패시터 사이에 구비되는 트라이악 및 스위치소자와, 트라이악의 게이트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캐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설정하는 기준전압부를 포함하고, 스위치소자는 상기 트라이악의 게이트 단자, 상기 트라이악의 제2터미널 단자 및 상기 충전캐패시터의 일 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회로에 의해서도 달성 가능하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hieved by a constant voltage circuit capable of regulating an output voltage level and providing a constant voltage function, comprising: a time varying voltage input unit for providing a time varying voltage; a charge capacitor for accumulating charge; And a reference voltage portion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riac and setting a charging voltage of the charging capacitor, wherein the switching element is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riac, the second terminal of the triac, Terminal and the charging capacitor, and the constant-voltage circu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charging capacito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정전압 회로를 구비하는 전기기기에 의해서도 달성 가능하며, 가장 적합한 전기기기 중의 하나로는 아이피엘 기기를 들 수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ttained by an electric device having a constant voltage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ne of the most suitable electric devices is an IPE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정전압 회로는 및 이를 구비하는 전기기기는 SCR와, SCR의 게이트 단자와 캐소드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한 개의 스위칭 소자로 구성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정전압 회로는 원가가 적게 소요되는 회로소자로 구성하면서도 정전압을 제공하고, 출력 전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충전캐패시터(C0)의 충전 전압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었다.The constant voltage circuit using the thyris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lectric device having the same can be constituted by SCR and one switching element connected between the gate terminal and the cathode terminal of the SCR. Therefore,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using the thyris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stitute a circuit element requiring a low cost, and can accurately control the charging voltage of the charging capacitor C 0 that can provide the constant voltage and adjust the output voltage level .

도 1은 특허문헌 1의 회로도와 충전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 상태를 설명하는 전압 파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정전압 회로도와 충전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 상태를 설명하는 전압 파형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정전압 회로를 구성하는 시가변전압입력부의 일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정전압 회로를 이용하여 아이피엘 기기를 구성한 회로 블록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voltage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a circuit diagram of Patent Document 1 and a voltage state charged in a charging capacitor; FIG.
FIG. 2 is a voltage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a constant voltage circuit diagram using a thyris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oltage state charged in a charge capacitor. FIG.
Fig. 3 and Fig. 4 also show an embodiment of the open circuit voltage input unit constituting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n IPE device using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출력전압레벨을 조절할 수 있으면서 정전압 기능을 제공하는 정전압 회로를 대상으로 한다. 정전압 기능이란 입력되는 전압값이 변동이 되더라도 출력값은 사용자가 원하는 출력전압레벨로 변동없이 일정하게 출력하는 기능을 의미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constant voltage circuit capable of regulating an output voltage level while providing a constant voltage function. The constant voltage function means a function of constantly outputting the output value without changing the output voltage level desired by the user even if the inputted voltage value fluctuate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정전압 회로도와 충전캐패시터에 충전되는 전압 상태를 설명하는 전압 파형도이다. 정전압 회로(100)는 시가변전압입력부(10), SCR, 스위치소자(50), 기준전압부(20) 및 충전캐패시터(C0)로 구성된다. 전원으로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압을 출력하는 시가변전압입력부(10)를 사용하며, 충전캐패시터(C0) 사이에 SCR과 스위치소자(50)와 스위치소자(50)이 구비되며, SCR의 게이트 단자(g)에는 충전캐패시터(C0)에 충전되는 전압레벨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전압부(20)가 연결된다. 충전캐패시터(C0) 양단에는 부하단(30)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SCR 애노드 단자(a)는 시가변전압입력부(10)와 연결되며, SCR 캐소드 단자(c)는 스위치소자(50)의 콜렉터 단자와 연결되며, SCR 게이트 단자(g)는 스위치소자(50)의 베이스 단자(b)와 연결되며, 스위치소자(50)의 에미터 단자(e)와 충전캐패시터(C0)의 일 단이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FIG. 2 is a voltage waveform diagram for explaining a constant voltage circuit diagram using a thyris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voltage state charged in a charge capacitor. FIG.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100 is composed of a time varying voltage input section 10, an SCR, a switch element 50, a reference voltage section 20 and a charge capacitor C 0 . The power source uses a time varying voltage input unit 10 that outputs a voltage varying with time. The SCR, the switch device 50 and the switch device 50 are provided between the charge capacitors C 0 , The terminal g is connected to a reference voltage portion 20 for setting a voltage level charged in the charge capacitor C 0 . A negative terminal (30)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harge capacitor (C 0 ) to supply power. The SCR anode terminal a is connected to the time varying voltage input unit 10 and the SCR cathode terminal c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witch element 50. The SCR gate terminal g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switch element 50 Is connected to the base terminal b and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emitter terminal e of the switch element 50 and the charge capacitor C 0 .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전기기기란 정전압 회로(100)로부터 정전압을 공급받는 부하단(30)을 갖는 모든 기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정전압 회로(100)는 비교적 간단하고 저렴한 회로를 사용하여 비교적 짧은 시간 내 충전을 가능하게 하므로 급속 충전이 필요한 제세동기, 아이피엘 기기 등에 특히 적합하다.The electric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ll devices having a lower end 30 to which a constant voltage is supplied from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100. The constant-voltage circuit 100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a defibrillator, an IPE device, etc., which require rapid charging because a relatively simple and inexpensive circuit can be used for charging in a relatively short time.

도 2에 제시된 정전압 회로(100) SCR의 온 조건은 수학식 1과 유사하지만 오프 조건은 수학식 2와 달리 SCR의 게이트 단자(g)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제어되는 특징을 갖는다. 도 2의 회로에서는 SCR 캐소드 단자(c)와 SCR 애노드 단자(a)와 충전캐패시터(C0)의 일 단자 사이에 스위치소자(50)가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SCR의 게이트 단자(g)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SCR을 오프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The ON condition of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SCR shown in FIG. 2 is similar to Equation (1), but the OFF condition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voltage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 of the SCR unlike Equation (2). In the circuit of Fig. 2, the switching element 50 is connected between the SCR cathode terminal c, the SCR anode terminal a and one terminal of the charging capacitor C 0 , and is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g of the SCR So that the SCR can be turned off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도 2의 회로 구성에서는 스위치소자(50)로 npn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예를 도시하였다. 도 2의 정전압 회로에서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 공급되는 전하에 의해 충전캐패시터(C0)에 전하가 충전되도록 온 되는 조건은 수학식 3과 같다.2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npn transistor is used as the switching element 50.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shown in Fig. The condition that the charge in the charge capacitor C 0 is turned on by the charge supplied from the time-varying voltage input unit 10 in the constant-voltage circuit of FIG. 2 is expressed by Equation (3).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즉, 시가변전압입력부(10)와 충전캐패시터(C0) 사이에 구비되는 SCR과 스위치소자(50)가 모두가 온 조건을 만족하는 수학식 3의 조건에서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절환된다. 여기서 Va는 SCR 애노드 단자(a)에 인가되는 전압, Vc는 SCR 캐소드 단자(c)에 인가되는 전압, Vg는 SCR 게이트 단자(g)에 인가되는 전압, Ve는 스위치소자(50) 에미터 단자(e)에 인가되는 전압을 의미한다. 수학식 3과 수학식 1을 비교하면, 수학식 3에 'Vg > Ve'라는 조건이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스위치소자(50)를 온 시키는 조건임을 알 수 있다. 도 2의 정전압 회로(100)에서 오프상태에서 'Va > Vc'이고, 기준전압부(20)에서 설정된 기준 전압값(Vg)가 충전캐패시터(C0)의 충전 전압값보다 커지면 SCR과 스위치소자(50)가 거의 동시에 온이 되면서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 공급되는 전하가 충전캐패시터(C0)로 충전된다. 이때 스위치소자(50)는 도통 상태이므로 Vc와 Ve는 거의 동일한 전압레벨로 유지됨을 알 수 있으므로 'Vg > Vc'라는 조건도 만족되게 된다.That is, the SCR and the switch element 50 provided between the time-base voltage input unit 10 and the charge capacitor C 0 are switched from the off state to the on state under the condition of Equation (3) satisfying the ON condition. Here, Va is the voltage applied to the SCR anode terminal (a), Vc is the voltage applied to the SCR cathode terminal (c), Vg is the voltage applied to the SCR gate terminal (g), and Ve is the voltage applied to the emitter terminal (e). Comparing Equation (3) with Equation (1), it can be seen that the condition 'Vg>Ve' is added to Equation (3), which indicates that the condition for turning on the switch element (50) is ON. If the reference voltage value Vg set at the reference voltage section 20 is larger than the charging voltage value of the charging capacitor C 0 while the voltage is Va and Vc in the OFF state in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100 of FIG. 2, (50) are turned on almost at the same time, the charge supplied from the time-varying voltage input unit (10) is charged to the charge capacitor (C 0 ). At this time, since the switch element 50 is in a conduction state, it can be seen that Vc and Ve are maintained at almost the same voltage level, so that the condition of 'Vg>Vc' is satisfied.

도 2의 정전압 회로에서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 공급되는 전하에 의해 충전캐패시터(C0)에 전하가 충전되다가 충전이 멈추는 오프 상태로 절환되는 조건은 수학식 4와 같다.The condition that the charge is charged in the charge capacitor C 0 by the charge supplied from the time-varying voltage input unit 10 in the constant-voltage circuit of FIG. 2 and the state where the charge is stopped is switched to the OFF state is expressed by Equation (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즉, 수학식 4의 조건은 시가변전압입력부(10)와 충전캐패시터(C0) 사이에 구비되는 SCR 또는 스위치소자(50) 중의 어느 하나만 오프되면 충전이 종료됨을 의미한다. 도 2의 정전압 회로(100)에서 온 상태에서 충전캐패시터(C0)의 충전 전압값(Ve)이 기준전압(20)에서 설정된 기준 전압값(Vg)과 동일하게 되는 순간 충전이 종료되게 된다.That is, the condition of Equation (4) implies that the charging is terminated when either the SCR or the switching element 50 provided between the time-variant voltage input unit 10 and the charging capacitor C 0 is turned off. Fig this moment charging is done in the on state in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100 of the second equal to the charge voltage (Ve), a reference voltage 20, the reference voltage value (Vg) is set in the charged capacitor (C 0) is terminated.

엄밀하게 설명하면, 도 2의 정전압 회로(100)에서 스위치소자(50)로 npn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므로 베이스 단자와 에미터 단자 사이에 순방향 전압(대략 0.1V~0.7V)보다 작은 전압이 인가되면 스위치소자(50)가 오프 상태로 절환되므로 충전캐패시터(C0)에 충전되는 전압은 기준 전압값(Vg)에서 설정된 충전레벨에 비해 약간 작은 레벨까지 충전될 것이나 충전캐패시터(C0)에 충전되는 전압이 상당히 큰 값일 경우 실무상으로는 무시할 수 있는 차이이다. 정리하면, 도 2에 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정전압 회로(100)는 기준전압부(20)의 설정 전압레벨까지 충전캐패시터(C0)를 충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Strictly speaking, since the npn transistor is used for the switch element 50 in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100 of FIG. 2, when a voltage smaller than a forward voltage (approximately 0.1 V to 0.7 V) is applied between the base terminal and the emitter terminal, element voltage 50, the charge would therefore switched to the off-state voltage to be charged in the charging capacitor (C 0) was charged to a slightly smaller level than the charge level set by the reference voltage value (Vg) to the charging capacitor (C 0) If this is a fairly large value, it is a negligible difference in practice. In summary, it can be seen that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100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 can charge the charge capacitor C 0 to the set voltage level of the reference voltage section 20.

이하, 도 2(b)와 도 2(c)를 이용하여 도 2(a)의 충전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의 회로에서 충전캐패시터(C0)의 초기 전압은 0V이고, 기준전압부(20)에 설정된 기준 전압값은 130V로 가정하고,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는 220V 교류 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회로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charging operation of Fig. 2 (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b) and 2 (c). 2 (a), the initial voltage of the charging capacitor C 0 is 0 V, the reference voltage value set in the reference voltage unit 20 is 130 V, and the 220 V AC power source is used in the time-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will be described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supplied.

도 2(b)는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 공급되는 전압 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실선 구간 동안에는 SCR 및 스위치소자(50)가 모두 온 상태로 되어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 충전캐패시터(C0)로 전하가 축적되는 상태를 나타내며, 점선 구간 동안에는 SCR 또는 스위치소자(50)가 오프 상태로 되어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 충전캐패시터(C0)로 전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c)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충전캐패시터(C0)의 충전 전압을 나타낸다. 2 (b) shows a voltage waveform supplied from the time-variant voltage input unit 10. During the solid-line period, both the SCR and the switch element 50 are turned on, to C 0) represents a state in which charges are accumulated, while the dotted line section is in a state where SCR or switch element 50 off shows a state cigar the charge at the charging capacitor (C 0) does not flow in the variable voltage input section 10. FIG. 2 (c) shows the charging voltage of the charging capacitor C 0 , which changes with time.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 전압이 인가되면 SCR 및 스위치소자(50)가 온이 되면서 충전캐패시터(C0)에 전하가 축적되기 시작한다. 이후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 공급되는 전압이 상한 피크치에서 떨어지기 시작하면서 충전캐패시터(C0)의 충전 전압 이하로 되는 ta시각(Va < Vc 조건 충족)에 SCR이 오프되면서 충전이 멈추게 된다. ta시각에 충전캐패시터(C0)에 충전된 전압값은 80V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이후 시가변전압입력부(10)에서 인가되는 전압이 80V가 넘는 순간(tb 시각) SCR은 다시 온 상태로 절환되면서 충전을 시작하고, 상한 피크치에서 떨어지기 시작하면서 충전캐패시터(C0)의 충전 전압이 기준전압부(20)에서 설정된 전압레벨(130V)과 동일하게 되는 td시각에 스위치 소자가 오프되면서 충전이 멈추게 된다(Ve >= Vg 조건 충족).When a voltage is applied from the time-variant voltage input unit 10, the SCR and the switch element 50 are turned on, and electric charge starts to be accumulated in the charge capacitor C 0 . Then, when the voltage supplied from the time-variant voltage input unit 10 begins to fall from the upper peak value, the SCR is turned off at the time ta when the voltage becomes lower than the charging voltage of the charging capacitor C 0 (Va <Vc condition is satisfied) . It is assumed that the voltage charged in the charging capacitor C 0 at time ta is 80V. Since cigars voltage is greater than 80V moment to be applied in variable voltage input (10) (tb visual) SCR while being switched back to the on-state voltage charged in the beginning of the charging, and begins to drop at the upper peak value charging capacitor (C 0) At time td equal to the voltage level 130V set at the reference voltage section 20, the switching element is turned off and charging stops (Ve> = Vg condition is satisfied).

시가변전압입력부(10)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압값을 제공하는 회로부를 의미한다. 가장 단순한 시가변전압입력부(10)의 예로는 상용전원, 톱니파 발생회로, 펄스파 발생회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압 회로를 이용하여 전기기기로 아이피엘 기기를 구성할 경우 국가에 따라서는 낮은 상용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충전캐패시터를 충전시키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시가변전압입력부(10)를 제안하였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정전압 회로를 구성하는 시가변전압입력부의 일 실시예이다. 도 3의 시가변전압입력부(10)는 상용전원의 상단 피크치만큼 DC 바이어스되고, 상용전원의 진폭 및 피크치에 따른 정현파를 출력하는 회로이며, 도 4의 시가변전압입력부(10)는 상용전원의 상단 피크치의 두 배만큼 DC 바이어스되고, 상용전원의 진폭 및 피크치에 따른 정현파를 출력하는 회로이다.The time-variant voltage input unit 10 means a circuit unit that provides a voltage value varying with time. Examples of the simplest state-of-charge voltage input unit 10 include a commercial power supply, a sawtooth wave generating circuit, and a pulse wave generating circuit.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n IPE device using an electric device using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ow commercial power source is used depending on the country, so that it takes a long time to charge the charging capacitor.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state-of-charge voltage input unit 10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FIG. 3 and FIG. 4 show one embodiment of the open circuit voltage input unit constituting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that is DC-biased by the upper peak value of the commercial power supply and outputs a sinusoidal wave according to the amplitude and peak value of the commercial power supply. The market-state voltage input unit 10 of FIG. Which is DC-biased by twice the upper peak value, and outputs a sine wave according to the amplitude and peak value of the commercial power supply.

기준전압부(20)는 충전캐패시터(C0)의 충전 전압레벨을 설정하는 회로로서,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로 구현하거나, 제너 다이오드 등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reference voltage portion 20 may be implemented using a circuit to set the charge voltage level of the charging capacitor (C 0), implemented as a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or the zener diode or the like.

도 5는 본 발명에 정전압 회로를 이용하여 아이피엘 기기를 구성한 회로 블록도의 일 실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피엘 기기는 시가변전압입력부(10), SCR+스위치소자, 기준전압부(20), 충전캐패시터(C0), 제어부(60), 유저인터페이스부(70), 트리거부(80), 및 제논플래쉬부(9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유저 인터페이스부(70)는 조작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며, 사용자로부터 아이피엘 출력 파워 등을 입력받기 위해 사용된다. 제어부(60)는 유저 인터페이스(7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기준전압부(20)의 기준 전압을 조절하고, 적합한 타이밍에 트리거 신호를 생성한다. 트리거부(80)는 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는 트리거 신호에 따라 제논 램프 플래쉬부(90)를 트리거시키는 트리거 동작 신호를 출력하여 제논램프의 방사를 ON/OFF로 제어하고, 제논 램프 플래쉬부(90)는 트리거 동작 신호에 따라 사용자 피부에 제논 광을 조사하게 된다.
5 is a circuit block diagram of an IPE device using a constant voltage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P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put terminal 10, an SCR + switch element, a reference voltage unit 20, a charge capacitor C 0 , a controller 60, a user interface unit 70, , And a xenon flash unit (90). The user interface unit 70 is constituted by an operation switch or the like, and is used for inputting the output power of the user from the user. The control unit 60 adjusts the reference voltage of the reference voltage unit 20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terface 70, and generates a trigger signal at an appropriate timing. The tree rejection unit 80 outputs a trigger operation signal for triggering the xenon lamp flash unit 90 according to a trigger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60 to control the emission of the xenon lamp to be turned on and off, 90) irradiates the user's skin with xenon light according to the trigger operation signal.

지금까지 사이리스터와 npn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정전압 회로를 구성하는 기술에 대해 설명하였다. 사이리스터 대신에 트라이악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트라이악은 제1터미널 단자, 게이트 단자, 제2터미널 단자로 구성되며, 각각 사이리스터의 아노드 단자, 게이트 단자, 캐소드 단자와 대응되는 것으로 배선을 설치하면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위치소자로 npn 트랜지스터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나 FET와 같은 등가의 스위치소자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npn 트랜지스터는 바이폴라 정션(bipolar juntion) 트랜지스터(BJT)의 일종이다. 바이폴라 정션 트랜지스터는 FET와 구분하여 명명할 때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라고 명명되기도 한다. FET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로 호칭되며, 소스 단자, 게이트 단자 및 드레인 단자를 가지며, 각 단자는 npn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 베이스 단자 및 콜렉터 단자와 대응된다.
Up to now, a technique for constructing a constant voltage circuit using thyristors and npn transistors has been described. Instead of the thyristor, a triac may be used. The triac may consist of a first terminal, a gate, and a second terminal, and the wiring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anode terminal, the gate terminal and the cathode terminal of the thyristor, respectively . Also,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only the npn transistor is mentioned as a switching element, it is needless to say that an equivalent switching element such as an FET can be used. An npn transistor is a type of bipolar junction transistor (BJT). Bipolar junction transistors are sometimes referred to as bipolar transistors when they are named separately from FETs. The FET is called a field-effect transistor and has a source terminal, a gate terminal and a drain terminal, and each terminal corresponds to an emitter terminal, a base terminal and a collector terminal of the npn transistor.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disclosure rather unclear.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lt; / RTI &gt;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In additio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independently to represent different characteristic functions, which does not mean that each component is composed of separate hardware or software constituent units. That is, each constituent unit is included in each constituent uni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at least two constituent units of the constituent units may be combined to form one constituent unit, or one constituent uni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nstituent units to perform a function. The integrated embodiments and separate embodiments of the component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they depart from the ess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10: 시가변전압입력부 20: 기준전압부
30: 부하단 50: 스위치소자
60: 제어부
70: 유저인터페이스부 80: 트리거부
90: 제논플래쉬부(90) 100: 정전압 회로
C0: 충전캐패시터 a: SCR의 아노드 단자
c: SCR의 캐소드 단자 g: SCR의 게이트 단자
e: 스위치소자 에미터 단자
10: Poisson side voltage input unit 20: Reference voltage unit
30: Sub terminal 50: Switch element
60:
70: user interface unit 80: tree reject
90: Xenon flash unit (90) 100: Constant voltage circuit
C 0 : Charge capacitor a: SCR anode terminal
c: cathode terminal of SCR g: gate terminal of SCR
e: Switch element emitter terminal

Claims (9)

출력 전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고 정전압 기능을 제공하는 정전압 회로로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압을 제공하는 시가변전압입력부와,
전하를 축적하는 충전캐패시터와,
상기 시가변전압입력부와 상기 충전캐패시터 사이에 구비되는 사이리스터 및 스위치소자와,
상기 사이리스터의 게이트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캐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설정하는 기준전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소자는 상기 사이리스터의 게이트 단자, 상기 사이리스터의 캐소드 단자 및 상기 충전캐패시터의 일 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회로.
A constant voltage circuit capable of regulating the output voltage level and providing a constant voltage function,
A time varying voltage input unit for providing a voltage varying with time,
A charge capacitor for accumulating charge,
A thyristor and a switch element provided between the time-variable voltage input unit and the charge capacitor,
And a reference voltage unit connected to a gate terminal of the thyristor and setting a charging voltage of the charging capacitor,
Wherein the switch element is connected to a gate terminal of the thyristor, a cathode terminal of the thyristor, and one end of the charge capaci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소자는 npn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는 상기 사이리스터의 게이트 단자,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는 상기 사이리스터의 캐소드 단자,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는 상기 충전캐패시터의 상기 일 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회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witching element is an npn transistor,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hyristor,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cathode terminal of the thyristor, and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one end of the charging capacitor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소자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는 상기 사이리스터의 게이트 단자, 상기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는 상기 사이리스터의 캐소드 단자,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상기 충전캐패시터의 상기 일 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회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gate terminal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hyristor, the drain terminal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cathode terminal of the thyristor,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one end of the charging capacitor .
출력 전압 레벨을 조절할 수 있고 정전압 기능을 제공하는 정전압 회로로서,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압을 제공하는 시가변전압입력부와,
전하를 축적하는 충전캐패시터와,
상기 시가변전압입력부와 상기 충전캐패시터 사이에 구비되는 트라이악 및 스위치소자와,
상기 트라이악의 게이트 단자와 연결되며 상기 충전캐패시터의 충전 전압을 설정하는 기준전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소자는 상기 트라이악의 게이트 단자, 상기 트라이악의 제2터미널 단자 및 상기 충전캐패시터의 일 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회로.
A constant voltage circuit capable of regulating the output voltage level and providing a constant voltage function,
A time varying voltage input unit for providing a voltage varying with time,
A charge capacitor for accumulating charge,
A triac and a switch element provided between the time-varying voltage input unit and the charge capacitor,
And a reference voltage unit connected to a gate terminal of the triac to set a charging voltage of the charging capacitor,
Wherein the switching element is connected to a gate terminal of the triac, a second terminal terminal of the triac, and one terminal of the charging capacito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소자는 npn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는 상기 트라이악의 게이트 단자,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렉터 단자는 상기 트라이악의 제1터미널 단자,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는 상기 충전캐패시터의 상기 일 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회로.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witch element is an npn transistor, the base terminal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riac, the collector terminal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of the triac, and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one end of the charge capacitor And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소자는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는 상기 트라이악의 게이트 단자, 상기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자는 상기 트라이악의 제2터미널 단자,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 단자는 상기 충전캐패시터의 상기 일 단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압 회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ate terminal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of the triac, the drain terminal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terminal of the triac,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one end of the charging capacitor And the constant voltage circuit.
제1항 내지 제6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정전압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An electric device comprising a constant-voltage circu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는 사용자 피부에 제논 램프 광을 한 펄스 이상 주기적으로 조사하여 피부 질환을 치료하는 아이피엘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electric device is an IPE device for periodically irradiating a user's skin with at least one pulse of xenon lamp light to treat a skin disease.
제8항에 있어서,
제논 램프 플래쉬부와,
사용자로부터 아이피엘 출력 파워 등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기준전압부의 기준 전압을 조절하고,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트리거 신호에 따라 상기 제논 램프 플래쉬부를 트리거시키는 트리거 동작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논램프를 온/오프하는 트리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기기.
9. The method of claim 8,
A xenon lamp flash unit,
A user interface unit including an operation switch for receiving input of an output power of the user from the user,
A control unit for adjusting a reference voltage of the reference voltage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terface and generating a trigger signal,
Further comprising a tree rejection unit for outputting a trigger operation signal for triggering the xenon lamp flash unit according to the trigger signal to turn on / off the xenon lamp.
KR1020140184276A 2014-12-19 2014-12-19 Constant voltage supply circuit with thyristor and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KR1019749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276A KR101974910B1 (en) 2014-12-19 2014-12-19 Constant voltage supply circuit with thyristor and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276A KR101974910B1 (en) 2014-12-19 2014-12-19 Constant voltage supply circuit with thyristor and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833A Division KR20170072179A (en) 2017-06-16 2017-06-16 Constant voltage supply circuit with thyristor and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960A true KR20160074960A (en) 2016-06-29
KR101974910B1 KR101974910B1 (en) 2019-05-03

Family

ID=56365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276A KR101974910B1 (en) 2014-12-19 2014-12-19 Constant voltage supply circuit with thyristor and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91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818B1 (en) * 2015-09-14 2016-10-17 (주)씨엔에스 Ipl driving circuit and ipl device with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7813A (en) * 1985-03-25 1986-09-27 Stanley Electric Co Ltd Power supply circuit
JPS63113615A (en) * 1986-10-30 1988-05-18 Toshiba Corp Direct current power unit
KR900009201Y1 (en) * 1987-08-08 1990-10-06 주식회사 기린산업 Insulating shingle
KR101089106B1 (en) 2010-06-04 2011-12-06 고영산 Intense pulsed light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enegy level with sc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7813A (en) * 1985-03-25 1986-09-27 Stanley Electric Co Ltd Power supply circuit
JPS63113615A (en) * 1986-10-30 1988-05-18 Toshiba Corp Direct current power unit
KR900009201Y1 (en) * 1987-08-08 1990-10-06 주식회사 기린산업 Insulating shingle
KR101089106B1 (en) 2010-06-04 2011-12-06 고영산 Intense pulsed light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enegy level with sc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818B1 (en) * 2015-09-14 2016-10-17 (주)씨엔에스 Ipl driving circuit and ipl device with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910B1 (en)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37056B2 (en) Adaptive circuit
US9019001B2 (en) Gate driver for enhancement-mode and depletion-mode wide bandgap semiconductor JFETs
US10368410B2 (en) PWM control for LEDs with reduced flicker when using spread spectrum switching frequencies
JP2019515468A5 (en)
US9362816B2 (en) Start-up circuit
TW201410071A (en) Method for driving light-emitting diodes
KR101905343B1 (en) Floating output voltage boost-buck regulator using a buck controller with low input and low output ripple
EP3148295A1 (en) Led illumination device using ac power
KR20120080908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bleed switch, power supply, and method for driving power supply
KR20110043410A (en) Intense pulsed light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enegy level with scr
KR20130085904A (en) Dynamic damper and lighting driving circuit comprising the dynamic damper
CN111464034A (en) Power converter, synchronous rectifier controller for switch mode power supply and method thereof
JP6141211B2 (en) Light source driving device and lighting apparatus
KR101974910B1 (en) Constant voltage supply circuit with thyristor and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KR20170072179A (en) Constant voltage supply circuit with thyristor and electric device with the same
US9608527B1 (en) Overshoot prevention for deep dimming startup
KR101875418B1 (en) Ipl apparatus and driving circuit thereof
EP3370479A1 (en) Method and circuit for protecting leds from transient currents
JP6694408B2 (en) LED power supply device and LED lighting device
JP6257485B2 (en) LED lighting device
CN108882429B (en) Lighting device and illumination system
US20140225524A1 (en) High efficiency led driver circuit
CN112054701A (en) Power supply devic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ripple suppression method
JP2016126825A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KR101537990B1 (en) LED Ligh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92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16

Effective date: 2019022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