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225A -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 Google Patents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225A
KR20160074225A KR1020140183285A KR20140183285A KR20160074225A KR 20160074225 A KR20160074225 A KR 20160074225A KR 1020140183285 A KR1020140183285 A KR 1020140183285A KR 20140183285 A KR20140183285 A KR 20140183285A KR 20160074225 A KR20160074225 A KR 20160074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river
guide frame
ticket
cr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0815B1 (ko
Inventor
김용민
Original Assignee
(주)에이텍티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텍티앤 filed Critical (주)에이텍티앤
Priority to KR1020140183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815B1/ko
Publication of KR20160074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2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taking into account a variable factor such as distance or time, e.g. for passenger transport, parking systems or car rent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교통카드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고속버스에서 발생한 정보를 원격의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마련되는 운전자 단말기, 상기 거치대와 운전자 단말기 사이에 상기 운전자 단말기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위치조정 로봇암을 마련하여 운전자 단말기를 상하, 좌우 및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기의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교통카드(신용카드 포함) 및 바코드 승차권, 현금 등 다양한 종류의 결제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Integrated Payment System for Traffic Terminal}
본 발명은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버스, 철도 등과 같은 차량 요금을 교통카드, 신용카드, 승차권 바코드 등에 관계없이 결제할 수 있는 교통단말기용 통합 결제창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에는 승객의 교통카드를 판독하고, 승차요금을 차감하여 기록하거나 노변 기지국 장치와 통신을 통해 버스 운행 정보를 제공받아 기록하기 위한 교통카드 단말기(교통요금징수 단말기)가 탑재된다.
이러한 교통카드 단말기 또는 버스단말기는 버스카드 혹은 교통카드의 금액정보를 판독하거나 승차요금이 차감된 금액정보를 기록하기 위한 카드판독기, 카드판독기와 통신하면서 카드 판독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운전자 조작장치 등이 포함된다.
승객의 교통카드로부터 요금을 징수할 때마다 그 거래 내역을 저장하며, 이를 무선랜 또는 램팩 등을 통해 정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정산 서버는 취합한 거래내역들을 각 버스별 및 운수회사별로 정산을 수행한다.
이러한 버스단말기는 카드판독기가 폴링 방식으로 사용자의 교통카드를 인식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이로 인해 카드판독기에는 항상 전력이 공급되고, 카드판독기 또한 주기적인 폴링 방식을 통해 지속적으로 카드판독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일반적인 교통카드 단말기는 RF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갑이나 가방에 교통카드를 넣고, 지갑이나 가방을 카드 판독 위치에 근접시켜도 지갑이나 가방에 삽입된 교통카드를 판독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교통카드가 접촉되는 교통카드 단말기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기둥 등에 장착된다.
도 1은 종래의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 단말기(10)는 하나 또는 2개의 기둥(20) 사이에 고정되는데, 통상 버스 단말기(10)와 기둥(20) 사이에 밴드(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결속하는 형태로 설치되거나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교통카드 단말기는 간선버스, 지선버스, 순환버스, 광역버스 등과 같은 노선에서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버스의 탑승 요금이 제한적으로 결제되고 있다.
이러한 교통카드 단말기는 통상의 교통카드로 사용되는 티머니(T-money) 카드 또는 교통카드 기능을 갖는 신용카드 등에 의해 요금의 징수 또는 결제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교통카드 단말기는 버스 등에 설치되어 있는 기둥(20)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운전자가 2인 또는 3인 등과 같이 다인승의 요금을 징수 또는 결제되도록 하기 위한 동작을 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의 교통카드 단말기는 기둥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운전자는 교통카드 단말기를 조작하기 위하여 운전 좌석으로부터 일어나는 등의 동작을 해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고속버스에는 교통카드 또는 신용카드 등으로 교통 요금을 징수 또는 결제할 수 없고, 탑승자가 승차권 등을 별도로 구매 또는 발권을 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버스 단말기용 파이프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버스 단말기용 파이프 커넥터에는 버스 단말기가 결합되는 파이프에 결합되는 커넥터로서, 버스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가 배치되는 커넥터 본체, 상기 커넥터 본체 일측과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와 체결되는 파이프체결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 본체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체결부에 결합된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된 케이블과 연결되는 인터페이스 케이블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회전 스탠드형 버스 정보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회전 스탠드형 버스 정보 단말기에는 디스플레이모듈이 탑재되어 있으며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상측의 회전부와, 버스정류장의 바닥에 고정되어 상기 회전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몸체부로 이루어진 하우징; 상기 회전부에 위치하여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함께 설치되어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입력받는 터치입력부;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설치공간의 온도나 습도 등을 감지하고 팬을 작동시켜 동작환경을 유지하는 환경처리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통신망을 통해 운영서버 등과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와 통신하여 각종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메인 화면을 표시한 후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이 입력되면 해당 기능을 처리하는 컨트롤러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097689호(2011년 12월 15일 등록)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3-0008837호(2013년 1월 23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는 고정된 위치에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되므로 운전자가 교통카드 단말기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없고, 교통카드 단말기가 고정된 위치에서 각도 조정 또는 길이 조정이 되지 않으므로 조작 시 운전자가 움직여야 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일반버스가 아닌 고속버스에서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속버스의 승차 시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버스의 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속버스뿐만 아니라 버스 등에 설치되어 운전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자 단말기를 위치 이동시킬 수 있는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교통카드, 신용카드, 승차권 바코드 등에 관계없이 다양한 결제수단으로 요금을 결제할 수 있는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는 차량에 교통카드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고속버스에서 발생한 정보를 원격의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마련되는 운전자 단말기, 상기 거치대와 운전자 단말기 사이에 상기 운전자 단말기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위치조정 로봇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조정 로봇암은 상기 거치대의 일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부, 일단이 상기 제1 회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운전자 단말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거치대에 장착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회전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운전자 단말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전자 단말기는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안내 프레임, 상기 제1 안내 프레임의 하측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2 안내 프레임, 상기 제2 안내 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안내 프레임 및 제2 안내 프레임에는 상기 위치조정 로봇암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안내 프레임 및 제2 안내 프레임은 상기 위치조정 로봇암을 따라 이동됨과 함께 소정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높낮이가 다른 물결 파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대에는 교통카드,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교통카드 단말기, 승차권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바코드 리더기, 승차권을 발급할 수 있는 승차권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교통카드 단말기, 승차권 단말기에서 발급된 승차권의 영수 금액을 출력할 수 있는 영수증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에 의하면, 운전자 단말기를 상하, 좌우 및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며, 안내구를 따라 운전자 단말기를 길이(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운전자 단말기의 위치를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기의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고, 교통카드(신용카드 포함) 및 바코드 승차권, 현금 등 다양한 종류의 결제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를 보인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를 보인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를 보인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를 보인 분해 입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는 차량에 교통카드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거치대(10), 상기 거치대(20)의 일측에 고속버스에서 발생한 정보를 원격의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마련되는 운전자 단말기(20), 상기 거치대(10)와 운전자 단말기(20) 사이에 상기 운전자 단말기(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위치조정 로봇암(3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는 광역버스, 고속버스 등과 같이 장거리를 이동하는 차량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탑승자는 별도로 승차권을 구입하지 않고서도 곧바로 차량에 탑승하여 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는 고속버스 등의 차량에 승차하면서 버스 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며, 그 결제수단으로는 티머니, 캐시비 등의 교통카드, 교통카드 기능이 내장된 신용카드, 바코드를 이용한 전자 승차권, 핸드폰을 이용한 모바일 티머니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거치대(10)는 고속버스 등의 차량 입구측에 설치되어 탑승자가 교통카드(이하 '신용카드', '티머니', '바코드 승차권' 등을 모두 포함한다.)를 접촉시킬 수 있도록 일정 높이로 이루어진다.
상기 거치대(10)에는 탑승자가 신용카드로 고속버스 요금을 결제하고자 할 때 신용카드를 인식할 수 있는 교통카드 단말기(11)가 설치될 수 있고,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승차권인 바코드 승차권을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 리더기(12), 운전자가 직접 승차권을 발급할 수 있는 승차권 단말기(1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함께 거치대(10)에는 탑승자가 지불 또는 결제한 금액에 대하여 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는 영수증 프린터(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통카드 단말기(11)는 탑승자가 고속버스 또는 광역버스 등의 요금을 교통카드, 신용카드 등으로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교통카드 단말기(11)는 교통카드뿐만 아니라 신용카드로 차량의 이용 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또 바코드 리더기(12)는 바코드 승차권 발매장치에서 발급된 바코드 승차권을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바코드 리더기(12)는 바코드 승차권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대(12a)와 받침대(12a)에 놓여진 바코드 승차권을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12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0)에는 승차권 단말기(1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차권 단말기(13)는 탑승자가 교통카드 등이 아닌 현금으로 결제하고자 할 때 운전자가 승차권을 발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승차권 단말기(13)는 탑승자가 승차권을 발급받지 못하거나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없는 경우 운전자가 직접 승차권을 발급하여 줌으로써 탑승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거치대(10)에는 교통카드 단말기(11)에서 결제된 금액에 대한 영수증, 승차권 단말기(13)에서 결제된 금액에 대한 영수증을 출력할 수 있는 영수증 프린터(14)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0)의 일측에는 운전자 단말기(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단말기(20)는 교통카드 단말기(11), 바코드 리더기(12) 및 승차권 단말기(13)에서 발생된 정보를 관리서버로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교통카드 단말기(20)는 고속버스에서 발생한 정보를 원격의 관리서버로 송수신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단말기(20)는 운전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는 경우 이를 사용하기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편리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 단말기(20)는 위치조정 로봇암(30)을 중심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단말기(20) 배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갖는 상부 프레임(21)이 고정될 수 있고, 상부 프레임(21)의 하측에는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1 안내 프레임(2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21)과 제1 안내 프레임(22) 사이에는 탄성체(23)가 결합될 수 있으며, 탄성체(23)는 제1 안내 프레임(22)에 탄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는 위치조정 로봇암(30)의 이동 시 제1 안내 프레임(2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제1 안내 프레임(22)의 일면은 길이 방향을 따라 높낮이가 다른 물결 파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 안내 프레임(22)은 후술하는 위치조정 로봇암(30)의 안내구(38)가 이탈되지 않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24)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제1 안내 프레임(22)의 하측에는 제1 안내 프레임(22)과 대칭되는 제2 안내 프레임(25)이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안내 프레임(25)에는 제1 안내 프레임(22)의 경사면(24)과 대칭되는 경사면(26)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안내 프레임(25)의 일면은 길이 방향을 따라 높낮이가 다른 물결 파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위치조정 로봇암(30)의 안내구(38)가 이탈되지 않도록 소정의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26)여 형성될 수 있다.
또 제2 안내 프레임(25)의 하측에는 상부 프레임(21)에 대응되는 하부 프레임(37)이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안내 프레임(25)과 하부 프레임(27)은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안내 프레임(25)과 하부 프레임(27) 사이에는 제2 안내 프레임(25)에 탄력을 부여하는 탄성체(28)가 설치될 수 있으며, 탄성체(28)는 제2 안내 프레임(25)에 탄력을 부여하게 된다. 이는 위치조정 로봇암(30)의 이동 시 제2 안내 프레임(35)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거치대(10)와 운전자 단말기(20) 사이에는 위치조정 로봇암(3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정 로봇암(30)은 3차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데, 거치대(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부(31)와 제1 회전부(31)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정 로봇암(30)은 운전자 단말기(20)의 위치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도록 3 지점에서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31)는 거치대(10)의 배면에 장착되는 고정 플레이트(32)와 고정 플레이트(32)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봉(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부(35)는 제1 회전봉(33)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36)와 일단이 운전자 단말기(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봉(37)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회전봉(33)의 일단은 거치대(10)에 고정된 고정 플레이트(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회전봉(37)은 제1 회전봉(33)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회전봉(37)의 타단에는 안내구(38)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회전봉(37)의 타단에는 안내구(37)가 결합되는데, 제2 회전봉(37)은 안내구(3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안내구(38)는 제1 안내 프레임(22)과 제2 안내 프레임(25)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안내구(38)는 제1 안내 프레임(22)의 물결 파형 및 제2 안내 프레임(25)의 물결 파형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안내구(38)는 제1 안내 프레임(22)의 경사면(24)과 제2 프레임(25)의 경사면(26)에 서로 접촉되도록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는 고속버스 등과 같이 장거리를 운항하는 차량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탑승과 함께 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고속버스의 입구에는 거치대(1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대(10)에는 교통카드를 이용하여 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카드 단말기(11)를 설치할 수 있고, 2차원 바코드로 인쇄된 바코드 승차권을 인식할 수 있는 바코드 리더기(12)를 설치할 수 있다.
또 운전자가 직접 승차권을 발급할 수 있는 승차권 단말기(13)를 설치할 수 있으며, 교통카드 단말기(11), 승차권 단말기(13)에서 결제된 요금에 대한 영수증을 발급할 수 있는 영수증 프린터(14)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바코드 리더기(12)는 바코드가 인쇄된 승차권을 올려 놓을 수 있는 받침대(12a)를 설치할 수 있고, 받침대(12a) 상측에는 바코드를 인식할 수 있는 리더기(12b)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단말기(20)는 운전자가 직접 승차권을 발급하거나 영수증 등을 출력하고자 할 때 조작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치대(10)에서 발생된 정보를 원격의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 운전자가 운전자 단말기(20)에는 배면에 일정 길이를 갖는 상부 프레임(21)을 고정할 수 있고, 상부 프레임(21) 하측에는 제1 안내 프레임(22)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21)과 제1 안내 프레임(22) 사이에는 탄성체(23)를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체(23)는 제1 안내 프레임(22)을 탄력적으로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즉, 탄성체(23)는 제1 안내 프레임(2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제1 안내 프레임(22)의 하측에는 소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 제2 안내 프레임(25)을 설치할 수 있으며, 제2 안내 프레임(25)의 하측에는 하부 프레임(27)을 고정할 수 있다. 이들 제2 안내 프레임(25)과 하부 프레임(27) 사이에는 탄성체(28)를 설치할 수 있다.
도 4에서와 같이, 제1 안내 프레임(22)과 제2 안내 프레임(25)은 서로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은 물론 위치조정 로봇암(30)의 안내구(38)가 이탈되지 않도록 경사면(24, 26)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1 안내 프레임(22) 및 제2 안내 프레임(25)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물결 파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들 제1 안내 프레임(22)과 제2 안내 프레임(25) 사이에는 위치조정 로봇암(30)의 안내구(38)를 이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운전자 단말기(20)는 운전자에 의해 그 위치가 변할 수 있도록 위치조정 로봇암(30)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정 로봇암(30)은 거치대(10)에 일면에 제1 회전부(31)의 고정 플레이트(32)를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플레이트(32)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회전봉(33)을 결합하며, 제1 회전봉(33)의 일단은 고정 플레이트(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봉(33)의 타단은 제2 회전봉(37)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제1 회전봉(33)과 제2 회전봉(37)은 힌지 결합할 수 있다. 즉, 제1 회전봉(33)의 타단에는 제2 회전봉(37)의 회전 플레이트(36)를 결합하며, 제1 회전봉(33)과 제2 회전봉(37)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는 운전자 단말기(20)를 거치대(10)로부터 자유로이 위치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하, 좌우로의 이동 및 운전자 단말기(20)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는 고속버스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탑승자의 탑승 시 요금을 결제할 수 있도록 한다.
고속버스 탑승자는 별도의 승차권 발매기 등에서 승차권을 구입하지 않았더라도 고속버스에 승차하면서 요금을 결제할 수 있다. 탑승자는 요금을 결제하기 위하여 교통카드를 교통카드 단말기(11)에 접촉시켜 교통카드로 요금을 결제하거나 운전자에게 목적지를 알리고서 현금으로 해당 요금을 결제할 수도 있다.
이에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기(20)를 조작하여 탑승자에게 승차권을 발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기(20)를 사용하고자 할 때 조작이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운전자 단말기(20)를 적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기(20)를 잡고서 상하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운전자 단말기(20)와 거치대(10)의 각도 또는 운전자 단말기(20)의 위치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운전자는 운전자 단말기(20)를 잡고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고자 힘을 가하게 되면, 위치조정 로봇암(30)의 제1 회전부(31)와 제2 회전부(35)가 각각 소정의 각도로 회전 된다.
이에 운전자 단말기(20)는 제1 회전부(31)의 고정 플레이트(32)를 중심으로 제1 회전봉(33)이 회전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회전봉(37)의 회전 플레이트(36)가 제1 회전봉(33)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거치대(10)와 운전자 단말기(20)의 각도 조정은 운전자가 운전자 단말기(20)를 잡고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제1 회전부(31) 또는 제2 회전부(35)가 회전되면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회전봉(33)은 운전자 단말기(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고, 제2 회전봉(37)은 운전자 단말기(20)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운전자 단말기(20)는 제2 회전봉(37)에 결합되어 있는 안내구(38)를 기준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제2 회전봉(37)을 회전되지 않도록 일시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운전자 단말기(20)를 이동시킴에 따라 운전자 단말기(20)가 이동될 수 있다.
즉, 운전자 단말기(20)를 이동시킴에 따라 제1 안내 프레임(22)과 제2 안내 프레임(25)은 안내구(38)를 따라 이동되는데, 이때 제1 안내 프레임(22)과 제2 안내 프레임(25)은 물결 파형으로 이루어진 돌출 부분이 미끄러지듯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내 프레임(22)과 제2 안내 프레임(25)은 각각 탄성체(23, 28)에 의해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제1 안내 프레임(22) 및 제2 안내 프레임(25)이 각각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에 운전자 단말기(20)는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안내구(38)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 단말기(20)는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 및 각도로 조정되어 운전자의 시야에 적절한 위치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운전자 단말기(20)는 운전자에 의해 상하, 좌우 및 거치대(10)와 각도 조정이 이루어져 운전자가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거치대 11: 교통카드 단말기
12: 바코드 리더기 12a: 받침대
12b: 리더기 13: 승차권 단말기
14: 영수증 프린터 20: 운전자 단말기
30: 위치조정 로봇암 31: 제1 회전부
32: 고정 플레이트 33: 제1 회전봉
35: 제2 회전부 36: 회전 플레이트
37: 제2 회전봉

Claims (9)

  1. 차량에 교통카드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의 일측에 고속버스에서 발생한 정보를 원격의 관리서버로 전송하도록 마련되는 운전자 단말기,
    상기 거치대와 운전자 단말기 사이에 상기 운전자 단말기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위치조정 로봇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 로봇암은 상기 거치대의 일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부,
    일단이 상기 제1 회전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운전자 단말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거치대에 장착되는 고정 플레이트,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회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회전부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회전 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운전자 단말기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 단말기는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안내 프레임,
    상기 제1 안내 프레임의 하측에 탄력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대칭되게 설치되는 제2 안내 프레임,
    상기 제2 안내 프레임의 하측에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 프레임 및 제2 안내 프레임에는 상기 위치조정 로봇암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경사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 프레임 및 제2 안내 프레임은 상기 위치조정 로봇암을 따라 이동됨과 함께 소정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높낮이가 다른 물결 파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쿄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는 교통카드,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교통카드 단말기,
    승차권 바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바코드 리더기,
    승차권을 발급할 수 있는 승차권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교통카드 단말기, 승차권 단말기에서 발급된 승차권의 영수 금액을 출력할 수 있는 영수증 프린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KR1020140183285A 2014-12-18 2014-12-18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KR101650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285A KR101650815B1 (ko) 2014-12-18 2014-12-18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285A KR101650815B1 (ko) 2014-12-18 2014-12-18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225A true KR20160074225A (ko) 2016-06-28
KR101650815B1 KR101650815B1 (ko) 2016-09-05

Family

ID=56366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285A KR101650815B1 (ko) 2014-12-18 2014-12-18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81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1168A (zh) * 2017-10-13 2019-04-23 浙江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自适应公路收费取卡装置
CN109785453A (zh) * 2019-03-06 2019-05-21 深圳市雷凌广通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用于城市公交的收费系统
KR101986540B1 (ko) * 2019-01-22 2019-06-07 (주)베스트케이에스 큐알 코드를 이용한 버스 요금 징수 시스템 및 요금 징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57571B2 (ja) * 2017-03-06 2019-01-23 株式会社東芝 交通システム、および交通利用管理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804A (ko) * 2003-05-16 2004-11-26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알에프 버스단말기 및 하차시각입력기
KR101097689B1 (ko) 2010-10-25 2011-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단말기용 파이프 커넥터
KR20120077195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에이텍 버스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08837A (ko) 2011-07-13 2013-01-23 (주)경봉 회전 스탠드형 버스 정보 단말기
KR20140081336A (ko) * 2012-12-21 2014-07-01 이건식 침대용 단말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8804A (ko) * 2003-05-16 2004-11-26 케이비 테크놀러지 (주) 알에프 버스단말기 및 하차시각입력기
KR101097689B1 (ko) 2010-10-25 2011-12-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 단말기용 파이프 커넥터
KR20120077195A (ko) * 2010-12-30 2012-07-10 주식회사 에이텍 버스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08837A (ko) 2011-07-13 2013-01-23 (주)경봉 회전 스탠드형 버스 정보 단말기
KR20140081336A (ko) * 2012-12-21 2014-07-01 이건식 침대용 단말기 거치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71168A (zh) * 2017-10-13 2019-04-23 浙江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多功能自适应公路收费取卡装置
KR101986540B1 (ko) * 2019-01-22 2019-06-07 (주)베스트케이에스 큐알 코드를 이용한 버스 요금 징수 시스템 및 요금 징수 방법
CN109785453A (zh) * 2019-03-06 2019-05-21 深圳市雷凌广通技术研发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技术的用于城市公交的收费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0815B1 (ko)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815B1 (ko) 교통카드 단말기용 통합 결제장치
CA2691118C (en) Onboard computer ticketing terminal
KR101986540B1 (ko) 큐알 코드를 이용한 버스 요금 징수 시스템 및 요금 징수 방법
KR101484960B1 (ko) 통행요금 자동정산기 및 이를 이용한 유료도로 통행요금 무인수납시스템
KR101820135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2464928B1 (ko) 통행료 무인정산 시스템
KR101850454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0996409B1 (ko) 하이패스 단말 기능을 구비한 크래들
KR20070037610A (ko) 유료 도로 요금 수수 방법, 입구 차선 기기, 요금소시스템, 및 비접촉 ic 카드 리더/라이터
JP6617954B2 (ja) 運賃箱
JP2000137840A (ja) 車内サービスロボット
KR101850450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0451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0449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0452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0448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0453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0456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0455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0447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KR101850457B1 (ko)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차량 내 결제 장치 및 그 방법
CN105956835A (zh) 基于支付平台的定额收费系统
CN109035624A (zh) 一种电子秤智能终端及应用其的智能系统装置
JP2004192389A (ja) 車載無線装置および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JP3092171U (ja) Etc電界強度測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