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158A - Umbrella stor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Umbrella stor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158A
KR20160074158A KR1020140183079A KR20140183079A KR20160074158A KR 20160074158 A KR20160074158 A KR 20160074158A KR 1020140183079 A KR1020140183079 A KR 1020140183079A KR 20140183079 A KR20140183079 A KR 20140183079A KR 20160074158 A KR20160074158 A KR 20160074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umbrella
housing
unit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3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90693B1 (en
Inventor
오제도
유창모
진광호
Original Assignee
오제도
유창모
진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제도, 유창모, 진광호 filed Critical 오제도
Priority to KR1020140183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693B1/en
Publication of KR20160074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1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6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umbrella storage device capable of rapidly drying an umbrella. The umbrella storage device comprises: a housing having at least one space for receiving at least one umbrella; a cover installed in the housing to be rotated and opening and closing the space; and a drying unit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space to provide the space with air.

Description

우산 보관장치{Umbrella storing apparatus}Umbrella sto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산을 간편하게 보관하고, 건조할 수 있는 우산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mbrella storage apparatus in which an umbrella can be conveniently stored and dried.

비오는 날이나 눈이 오는 날과 같은 경우 사람들은 우산을 사용한다. 이때, 사람들이 건물이나 내부 공간에 들어가는 경우 우산을 접어 일회용 봉투 등에 우산을 삽입할 수 있다. 특히 건물 등의 입구에는 일회용 봉투를 복수개 구비할 수 있는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우산 꽂이를 구비함으로써 우산을 거치하도록 우산 꽂이를 건물 등의 입구에 배치할 수 있다. People use umbrellas in the case of rainy days or snowy days. At this time, when people enter a building or an inner space, an umbrella can be folded to insert an umbrella into a disposable bag or the lik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urality of disposable bags at the entrance of a building or the like. In addition, a separate umbrella holder is provided so that the umbrella holder can be placed at the entrance of a building or the like to receive the umbrella.

그러나 상기와 같은 경우 단순히 우산을 꽂거나 우산을 일회용 봉투에 보관할 수 있을 뿐 우산의 수분을 제거하지 못할 수 있다. 특히 일회용 봉투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 후에 일회용 봉투를 버림으로써 환경 문제나 자원의 낭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However, in such a case, the umbrella can be simply inserted or the umbrella can be stored in the disposable bag, and the umbrella can not be removed. Especially, when disposable bags are used, disposing of disposable bags after use can cause environmental problems and waste of resources.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우산을 보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storing the umbrella with a simple structure while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이러한 우산 보관 장치의 경우 한국공개특허 제2012-0103361호(발명의 명칭 : 우산 꽂이, 출원인 : 현남식)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Such an umbrella storage apparatus is disclosed in detail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2-0103361 (entitled " Umbrella stand, Applicant: Hyun Nam Nam).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우산을 보관 후 다시 찾을 때, 우산의 수분을 완벽하게 제거 가능한 우산 보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umbrella storage device capable of completely removing moisture of an umbrella when the umbrella is stored again after being sto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우산을 수납 가능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공간으로 건조풍을 제공하는 건조유닛을 포함하는 우산 보관장치를 개시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housing having at least one space formed therein so as to accommodate at least one umbrella; a cov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space; And a drying unit connected to the space to provide drying air to the spac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동전 투입 시 상기 커버의 개폐를 제어하는 자물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lock provided on the cover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when the coin is insert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간 내부의 우산을 인출하는 우산인출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it may further include an umbrella taking-out unit installed to be movable in the space and drawing an umbrella inside the spac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우산인출유닛은, 가력부와, 상기 가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간 내부에 삽입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운동에 따라서 상기 우산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mbrella draw-out unit includes a pressing portion,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press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space, and a moving portion installed on the connecting portion and moving the umbrella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portion can do.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형성하는 저면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bottom surface forming the space inside the housing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공간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배출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to discharge moisture inside the space to the outside.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공간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spaces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공간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하는 응축기유닛과, 상기 응축기유닛의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와, 상기 냉매를 증발시켜 건조풍을 상기 공간으로 공급하는 증발기유닛과, 상기 증발기유닛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rying unit includes a condenser unit in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space is heat-exchanged with a refrigerant, an expansion valve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of the condenser unit, And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of the evaporator unit.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한 개 이상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의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opposing corners of the partitions partitioning at least one space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우산을 간편하게 보관이 가능하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tore an umbrella.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우산을 신속하게 건조가 가능하다. 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 rapid drying of the umbrella.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우산을 보관할 때 별도의 부재가 사용되지 않음으로써 자연치화적인 기술 구현이 가능하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a naturalistic technique by not using a separate member when storing an umbrell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간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
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umbrella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pace shown in FIG. 1. 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space shown in FIG.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s provided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includes plural forms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noted that the terms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used in the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be inclusive in a manner similar to the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 / Or additions.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erms.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장치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간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을 보여주는 부분사시도이다.1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n umbrella storag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space shown in FIG. 1. FIG.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space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우산 보관장치(100)는 하우징(110), 커버(120), 건조유닛(130), 자물쇠(140), 우산인출유닛(150) 및 수분배출배관(160)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umbrella storage device 100 includes a housing 110, a cover 120, a drying unit 130, a lock 140, an umbrella take-out unit 150, and a water discharge pipe 160. [ . ≪ / RTI >

하우징(110) 내부에는 격벽(W)이 형성되어 내부를 복수개의 공간(S)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복수개의 공간(S) 중 하나의 공간을 제1 공간(S1), 제1 공간(S1)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제1 공간(S1)과 인접한 공간을 제2 공간(S2), 제1 공간(S1)과 상하로 배치되며, 제1 공간(S1)과 인접한 공간을 제3 공간(S3)으로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A partition wall (W) is formed in the housing (110) to divide the inside into a plurality of spaces (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ne of the plurality of spaces S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space S1 and the first space S1, and the space adjacent to the first space S1 is defined as the second space S1. The first space S1 and the third space S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상기와 같은 제1 공간(S1), 제2 공간(S2) 및 제3 공간(S3)은 각각 격벽(W)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은 서로 연통될 수 있으며, 제1 공간(S1)과 제3 공간(S3)도 연통될 수 있다. 특히 제1 공간(S1)과 제2 공간(S2)을 구획하는 격벽(W)에는 관통홀(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공간(S1)과 제3 공간(S3)을 구획하는 격벽(W)에는 관통홀(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H)은 격벽(W)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space S1, the second space S2, and the third space S3 may be partitioned into a partition wall W,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space S1 and the third space S3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a through hole H may be formed in the partition W separating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A through hole H may be formed in the partition W for partitioning the first space S1 and the third space S3.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H) may b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W).

상기와 같은 제1 공간(S1) 내지 제3 공간(S3)은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공간(S1) 내지 제3 공간(S3)은 개구부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저면이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제1 공간(S1) 내지 제3 공간(S3)은 개구부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갈수록 저면이 높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공간(S1) 내지 제3 공간(S3)은 우산을 수납하는 경우 우산의 수분이 경사를 따라 하우징(110)의 후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수분은 제1 공간(S1)과 제3 공간(S3) 사이를 연통하는 관통홀(H)을 통하여 하우징(110)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우 하우징(110) 하부에는 수분을 수납할 수 있는 저장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11)는 하우징(110)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The first space S1 to the third space S3 may be inclined. For example, the first space S1 to the third space S3 may be formed such that the bottom surface thereof becomes lower as it goes inward from the opening.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space S1 to the third space S3 may be formed such that the bottom surface thereof becomes higher as it goes inward from the opening. Accordingly, when the umbrella is housed in the first to third spaces S1 to S3, the moisture of the umbrella can move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110 along the slope. At this time, the moisture can move to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10 through the through hole H communicating between the first space S1 and the third space S3. Particularly, in the above case, a storage part 111 capable of storing moisture can b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10. At this time, the storage unit 111 may be a space formed under the housing 110.

상기와 같은 격벽(W)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 내지 네개가 하나의 공간(S)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각 격벽(W)의 모서리(또는 끝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우산의 길이 방향과 수직하게 배치되는 격벽(W)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우산의 길이 방향에 배치되는 격벽(W)과 우산의 저면에 배치되는 격벽(W)의 끝단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격벽(W)이 서로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우산에서 배출된 수분이 격벽(W)의 모서리 부분에서 아래로 낙하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격벽(W)이 서로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건조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우산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격벽(W)은 하우징(11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우산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격벽(W)과 유산의 저면에 배치되는 격벽(W)은 공간(S)를 구획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barrier ribs W may form three or four spaces S. At this time, the corners (or end portions) of the partition walls W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 Particularly, the partition W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mbrella may be integrally formed such that the partition W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mbrella and the end of the partition W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umbrella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refore, the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umbrella can fall down from the edge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W through the space where the partition walls W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dry air can be moved through the space where the partition walls W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artition wall W dispos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mbrella may form a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10 and may include a partition wall W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mbrella and a partition wall (W) can divide the space (S).

한편, 상기와 같은 제1 공간(S1) 내지 제3 공간(S3)은 일측이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구된 부분에는 커버(120)가 설치될 수 있다. 커버(120)는 제1 공간(S1) 내지 제3 공간(S3)에 각각 대응하도록 개별적으로 하우징(11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커버(120)는 제1 공간(S1), 제2 공간(S2) 또는 제3 공간(S3)을 개폐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rst space S1 to the third space S3 may be formed such that one side thereof is opened. At this time, the cover 120 may be installed at the opened portion. The cover 120 may be individually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to correspond to the first to third spaces S1 to S3, respectively. Specifically, one cover 120 may open or close the first space S1, the second space S2, or the third space S3.

상기와 같은 커버(120)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하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120)에는 커버(120)를 하우징(110)에 결속시키거나 해제하도록 자물쇠(140)가 설치될 수 있다. 자물쇠(140)는 동전 등을 투입하는 홀이 형성되어 동전 등의 투입시만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자물쇠(140)는 신용카드 또는 교통카드 등과 같은 결제수단을 접촉하면 작동할 수 있다. The cover 120 may be formed with a groove for the user to grasp. Also, the cover 120 may be provided with a lock 140 to bind or release the cover 120 to or from the housing 110. The lock 140 is formed with a hole for inputting a coin or the like, and can be operated only when a coin or the like is inserted. In addition, the lock 140 may operate upon contact with a payment means such as a credit card or a transportation card.

건조유닛(130)은 하우징(110)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건조유닛(130)은 건조풍을 하우징(110)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유닛(130)은 하우징(110) 내부로 열풍 또는 냉풍을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건조유닛(130)은 하우징(110) 내부로 냉풍을 공급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drying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At this time, the drying unit 130 can supply the drying air into the housing 110. Specifically, the drying unit 130 can supply hot air or cold air 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10. Hereinafter, the dry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case where cool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10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건조유닛(130)은 공간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하는 응축기유닛(131), 응축기유닛(131)의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132), 냉매를 증발시켜 건조풍을 하우징(110) 내부로 공급하는 증발기유닛(133), 증발기유닛(133)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34) 및 응축기유닛(131), 팽창밸브(132), 증발기유닛(133) 및 압축기(134)가 설치되며 냉매가 순환하는 순환배관(13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rying unit 130 includes a condenser unit 131 for exchang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pace with the refrigerant in the space, an expansion valve 132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of the condenser unit 131, A condenser unit 131, an expansion valve 132, an evaporator unit 133 and a compressor 134 are installed in the evaporator unit 133 for supplying the refrigerant to the evaporator unit 133, a compressor 134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in the evaporator unit 133, The circulation pipe 135 may be a circulation pipe.

응축기유닛(131)은 냉매와 공간(S)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열교환하는 응축기(131a)와 응축기(131a)로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응축기팬(131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응축기팬(131b)은 하우징(110)과 연결된 토출배관(113)의 공기를 응축기(131a)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The condenser unit 131 may include a condenser 131a for exchanging heat between refrigerant and air discharged from the space S and a condenser fan 131b for generating an air flow to the condenser 131a. At this time, the condenser fan 131b can move the air of the discharge pipe 113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to the condenser 131a side.

증발기유닛(133)은 냉매와 외부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하여 외부공기를 냉각시켜 건조풍을 생성하는 증발기(133a)와, 증발기(133a)로 외부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는 증발기팬(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증발기팬(133b)는 하우징(110)에 연결된 공급배관(112)으로 건조풍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133a)에서 냉매와 외부공기 사이의 열교환을 통하여 외부공기는 냉각됨과 동시에 습도가 낮아질 수 있다. The evaporator unit 133 includes an evaporator 133a that cools the outside air through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outside air to generate dry air and an evaporator fan 133b that generates a flow of outside air through the evaporator 133a can do. At this time, the evaporator fan 133b can supply the drying air to the supply pipe 112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 In addition, the outdoor air may be cooled through the heat exchange between the refrigerant and the outside air in the evaporator 133a, and the humidity may be lowered.

한편, 우산인출유닛(150)은 제1 공간(S1) 내지 제3 공간(S3)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우산인출유닛(150)은 각 공간(S) 내부에 수납된 우산을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mbrella take-out unit 15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space S1 to the third space S3,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umbrella take-out unit 150 can draw out the umbrella stored in each space S to the outside.

구체적으로 우산인출유닛(150)은 가력부(151), 가력부(151)와 연결되어 공간(S) 내부에 삽입되는 연결부(152) 및 연결부(152)에 설치되어 연결부(152)의 운동에 따라서 우산을 이동시키는 이동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mbrella taking-out unit 150 is installed on the connecting portion 152 and the connecting portion 152 which are connected to the pressing portion 151 and the pressing portion 151 and inserted into the space S, Therefore, it may include a moving unit 153 for moving the umbrella.

가력부(151)는 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커버(120) 외부로 노출된 상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써 가력부(151)는 실린더 형태로 연결부(152)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가력부(151)는 연결부(152)를 이동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이때, 가력부(151)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부(152)를 선형 운동시킬 수 있는 모든 장치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가력부(151)가 고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engaging portion 151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120. As another embodiment, the engaging portion 151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152 in the form of a cylinder. As another embodiment, the engaging portion 151 may be a motor that moves the connecting portion 152. At this time, the engaging portion 151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include any device and structure capable of linearly moving the connecting portion 152.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ase where the engaging portion 151 is formed in a ring shap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이동부(153)와 연결부(152)는 서로 일정 각도를 형성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이동부(153)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이동부(153)는 각 공간(S)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moving part 153 and the connecting part 152 may be connected to form an angle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moving part 153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in particular, the moving part 153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a cross s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space S.

수분배출배관(160)은 하우징(1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수분배출배관(160)은 저장부(1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수분배출배관(160)은 저장부(111)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The water discharge pipe 160 may be connected to the housing 110. At this time, the water discharge pipe 160 may be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111. At this time, the water discharge pipe 160 can guide the moisture inside the storage unit 111 to the outside.

한편, 상기와 같은 우산 보관장치(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하우징(110)은 지하철 역, 백화점 등과 같은 건물의 입구 등에 설치될 수 있다. In operation of the umbrella storage device 100, the housing 110 may be installed at an entrance of a building such as a subway station, a department store, or the like.

이때, 사용자가 동전을 통하여 자물쇠(140)를 작동시키고, 커버(120)를 개방한 후 우산을 제1 공간(S1)에 삽입할 수 있다. 이후 다른 사용자는 동전을 통하여 다른 자물쇠(140)를 작동시키고, 커버(120)를 개방한 후 우산을 제2 공간(S2) 등에 삽입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user can actuate the lock 140 through a coin, insert the umbrella into the first space S1 after opening the cover 120. Fig. Then, another user can operate the other lock 140 through a coin, insert the umbrella into the second space S2 or the like after opening the cover 120. [

상기와 같이 우산이 각 공간(S)에 삽입되는 경우 우산의 수분은 각 공간(S)의 저면의 경사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이동하는 수분은 제1 공간(S1)과 제3 공간(S3)과 같이 상하로 형성된 공간에서 관통홀(H)을 통하여 하측으로 지속적으로 이동하고, 저장부(111)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저장된 수분은 수분배출배관(16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When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each space S as described above, the moisture of the umbrella can move along the inclination of the bottom of each space S. Particularly, the moving water continuously moves downward through the through holes H in the upper and lower spaces, such as the first space S1 and the third space S3, and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1 . In addition, the moisture sto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ater discharge pipe 160.

한편, 상기와 같이 우산이 공간(S)에 삽입되는 경우 건조유닛(130)이 작동하여 우산을 건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축기팬(131b) 및 증발기팬(133b)이 작동하면,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는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mbrella is inserted into the space S as described above, the drying unit 130 may operate to dry the umbrella. Specifically, when the condenser fan 131b and the evaporator fan 133b operate, external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10, and air inside the housing 1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구체적으로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는 응축기팬(131b)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는 응축기(131a)에서 냉매를 응축시킨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ir inside the housing 1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the condenser fan 131b. At this time, the air inside the housing 11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condensing the refrigerant in the condenser 131a.

이후 응축기(131a)에서 토출된 냉매는 순환배관(135)을 따라 팽창밸브(132)를 거쳐 증발기(133a)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증발기(133a)에서는 냉매가 증발하면서 외기와 열교환하여 외기를 건조하면서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냉각된 외기는 증발기팬(133b)에 의하여 하우징(1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ndenser 131a may be moved to the evaporator 133a through the expansion valve 132 along the circulation pipe 135. [ At this time, in the evaporator 133a, the refrigerant evaporates and heat-exchanges with the outside air to cool the outside air while drying. Further, the cooled outside air can be supplied into the housing 110 by the evaporator fan 133b.

상기와 같은 경우 냉각된 외기(건조풍) 제1 공간(S1) 및 제2 공간(S2), 제1 공간(S1) 및 제3 공간(S3)을 연통하도록 형성된 관통홀(H)을 통하여 각 공간(S)에 공급됨으로써 각 공간(S) 내부의 우산을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각 공간(S)의 습한 공기는 응축기팬(131b)의 작동에 따라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rough the through holes H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first space S1 and the second space S2, the first space S1 and the third space S3, It is possible to dry the umbrella inside each space S by being supplied to the space S. In addition, the humid air in each space S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condenser fan 131b.

한편,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동안 사용자가 볼일을 본 후 자물쇠(140)를 작동시켜 커버(120)를 개방하고 우산을 회수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커버(120)를 개방한 후 가력부(151)를 가력할 수 있다. Meanwhile, while the user operate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the user can operate the lock 140 to open the cover 120 and recover the umbrella. At this time, the user can apply the force portion 151 after opening the cover 120.

가력부(151)를 잡아당기는 경우 연결부(152)가 가력부(151)를 따라 이동하고 연결부(152)는 이동부(153)를 이동시킴으로써 우산을 각 공간(S)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 152 moves along the force applying portion 151 and the connecting portion 152 moves the moving portion 153 so that the umbrella can be drawn out of the respective spaces S when the pressing portion 151 is pulled.

따라서 우산 보관장치(100)는 우산을 보관할 때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우산을 회수 후 사용자가 우산을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mbrella storage apparatus 100 can remove the moisture when storing the umbrella, and the user can quickly use the umbrella after the umbrella is recovered.

또한, 우산 보관장치(100)는 우산을 쉽게 보관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mbrella storage device 100 can easily store the umbrella and can remove moisture quickly.

우산 보관장치(100)는 우산을 보관함에 있어서 별도의 비닐봉투 등을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우산 보관 시 별도의 쓰레기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The umbrella storage device 100 does not need to use a separate plastic bag for storing the umbrella, so that no additional waste may be generated when the umbrella is stored.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possible to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all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우산 보관장치
110: 하우징
120: 커버
130: 건조유닛
140: 자물쇠
150: 우산인출유닛
160: 수분배출배관
100: Umbrella storage device
110: Housing
120: cover
130: drying unit
140: Locks
150: Umbrella retrieval unit
160: Water discharge pipe

Claims (9)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우산을 수납 가능하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간을 개폐하는 커버; 및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공간과 연결되어 상기 공간으로 건조풍을 제공하는 건조유닛;을 포함하는 우산 보관장치.
A housing having at least one space for accommodating at least one umbrella therein;
A cover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to open and close the space; And
And a drying unit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space to provide drying air to the sp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설치되어 동전 투입 시 상기 커버의 개폐를 제어하는 자물쇠;를 더 포함하는 우산 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ock provided on the cover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ver when a coin is inser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에 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공간 내부의 우산을 인출하는 우산인출유닛;을 더 포함하는 우산 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umbrella taking-out unit install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space to draw out an umbrella inside the spac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인출유닛은,
가력부;
상기 가력부와 연결되어 상기 공간 내부에 삽입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의 운동에 따라서 상기 우산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우산 보관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umbrella take-
A pressing portion;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engaging portion and inserted into the space;
And a moving part installed on the connecting part to move the umbrella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par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공간을 형성하는 저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우산 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ottom surface defining a space inside the housing is formed oblique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공간 내부의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분배출배관;을 더 포함하는 우산 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water discharge pipe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discharging moisture inside the space to the outside.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공간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우산 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plurality of spaces ar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공간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냉매와 열교환하는 응축기유닛;
상기 응축기유닛의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상기 냉매를 증발시켜 건조풍을 상기 공간으로 공급하는 증발기유닛; 및
상기 증발기유닛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를 포함하는 우산 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ying unit includes:
A condenser unit for exchanging heat betwee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pace and the refrigerant;
An expansion valve for expanding the refrigerant of the condenser unit;
An evaporator unit for evaporating the refrigerant to supply the drying air to the space; And
And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the refrigerant of the evaporator unit.
제 1 항에 있어서,
한 개 이상의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의 서로 마주보는 모서리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우산 보관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posite corners of the partition dividing one or more spaces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KR1020140183079A 2014-12-18 2014-12-18 Umbrella storing apparatus KR1016906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079A KR101690693B1 (en) 2014-12-18 2014-12-18 Umbrella stor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3079A KR101690693B1 (en) 2014-12-18 2014-12-18 Umbrella stor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158A true KR20160074158A (en) 2016-06-28
KR101690693B1 KR101690693B1 (en) 2016-12-28

Family

ID=5636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3079A KR101690693B1 (en) 2014-12-18 2014-12-18 Umbrella stor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69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5670A (en) * 2017-12-26 2018-06-22 徐美娣 A kind of umbrella storing cabinet specia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179Y1 (en) * 2000-08-29 2001-03-15 신창식 Umbrella stand with drying function
KR20110054666A (en) * 2009-11-18 2011-05-25 박길호 Footwear decoration having dehumidification ability
KR101071982B1 (en) * 2011-04-08 2011-10-10 (주)퍼니테크 Foot chest
CN104055391A (en) * 2013-03-22 2014-09-24 朱俐敏 Umbrella storage box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179Y1 (en) * 2000-08-29 2001-03-15 신창식 Umbrella stand with drying function
KR20110054666A (en) * 2009-11-18 2011-05-25 박길호 Footwear decoration having dehumidification ability
KR101071982B1 (en) * 2011-04-08 2011-10-10 (주)퍼니테크 Foot chest
CN104055391A (en) * 2013-03-22 2014-09-24 朱俐敏 Umbrella storage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5670A (en) * 2017-12-26 2018-06-22 徐美娣 A kind of umbrella storing cabinet spec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693B1 (en) 2016-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9290B2 (en) Clothes dryer
KR102647130B1 (en) Apparatus for treating clothing
US20160010882A1 (en) Dehumidifier
US10101042B2 (en) Air conditioner including a hand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222684B2 (en)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necting refrigerant pipe thereof
CN108291729A (en) Movable air conditioner
KR101690693B1 (en) Umbrella storing apparatus
KR20100088231A (en) A refrigerator
JP2018519105A (en) Dryer
KR101071982B1 (en) Foot chest
CN102122200A (en) Apparatus for cooling computer body by introducing cooling air therein
US20180340290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891251B1 (en) Refrigerator and Door open and close method of the same
KR200383741Y1 (en) Storage structure of private box easily for space use
CN105605853A (en) Refrigerator
JP4918863B2 (en) Product storage device
JP2010271885A (en) Vending machine
KR102565581B1 (en) Portable type air conditioning system
KR20160011376A (en) Multi-purpose food container
JP2009277080A (en) Vending machine
KR102197027B1 (en) toolbox for corrosion protection
CN219296311U (en) Order storage device
JP5334626B2 (en) Multiple coin purse for multiple coin sorting
KR20120107158A (en) Reagent bottle with reagent cabinet equipped with a cart to carry
JP2000220866A (en) Low-temperature dr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