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4056A -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 Google Patents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4056A
KR20160074056A KR1020140182822A KR20140182822A KR20160074056A KR 20160074056 A KR20160074056 A KR 20160074056A KR 1020140182822 A KR1020140182822 A KR 1020140182822A KR 20140182822 A KR20140182822 A KR 20140182822A KR 20160074056 A KR20160074056 A KR 201600740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iratory
cabinet
building
server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1020140182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4056A/ko
Publication of KR20160074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40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건물이나 지하공간 등에 설치된 방독면보관함 내부의 방독면이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하여 사용될 시 자동으로 이를 소방서 등의 공공기관에게 통지하여, 해당 건물의 긴급상황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독면이 방독면캐비넷에 이탈할 시, 이를 감지하여 긴급상황을 구조본부의 서버에 전달함으로서 긴급상황을 알릴 수 있다.

Description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EMERGENCY NO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긴급상황을 원격으로 알려 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이나 지하공간 등에 설치된 방독면보관함 내부의 방독면이 긴급상황 발생으로 인하여 사용될 시 자동으로 이를 소방서 등의 공공기관에게 통지하여, 해당 건물의 긴급상황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중, 대형 건축물이나 지하철역, 지하상가 등의 지하공간은 그 특성상 매우 많은 이용자가 내부에서 활동하게 되고, 또한 그 구조상 출입구의 숫자가 한정된다는 특징이 있다.
만약 상기와 같은 특성을 지닌 중, 대형 건축물이나 지하공간(이하 건축물)에서 화재 등의 긴급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상술한 특성상 막대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건축물은 다양한 종류의 안전시설을 설치하게 된다.
방독면 또한 상기한 안전시설 중의 하나로서, 일정한 형태의 방독면 보관함에 다수의 방독면이 거치되어 긴급상황 발생 시 내부의 인명이 안면부에 사용하여 가스 등의 유독물질로부터 호흡기를 보호하는 데 사용한다. 특히 화재 등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화염으로 인한 피해보다도 건물 내부의 내장재나 물체 등이 연소하면서 발생시키는 유독가스로 인한 질식사 피해가 크기 때문에, 상기 방독면은 내부 인명을 보호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방독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독가스가 사용자의 호흡기에 침입하는 것을 원천봉쇄할 수 있어야 하므로, 밀폐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잘 정비되어 있어야 하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격리된 방독면 보관함에 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긴급상황이 발생 시에 이를 알리고 구조하는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데, 우선 등록특허 10-0976150호는 능동형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긴급구조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보안등이나 대로변 신호등의 온/오프 제어기를 SOS수신기능이 추간된 양방향 무선기술로 개량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써 본 발명과는 그 사상과 구성, 기능이 완전히 다른 기술이다.
그리고 등록특허 10-1372575호는 가장 코드를 이용한 응급 상황 신고 시스템 및 그 방법으로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능을 갖는 기기나 현금 자동 인출기와 같은 금융거래 기기, 통신기능을 갖는 도어록 장치 등에 보안 코드를 추가하여 위급상황에서 가장 코드를 생성 저장하여 이를 응급관제부에 송신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등록특허 역시 본 발명과는 그 구성, 동작 방식이 완전히 상이한 기술이다.
또한 공개특허 10-2010-0056726호는 화재 대응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화재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화재상황을 파악하고, 화재가 감지되면 엘리베이터 내부 승객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 후 이동 경로를 파악하여 엘리베이터가 운행되도록 하는 화재 대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의 공개특허 역시 화재를 감지하는 방식이 본 발명과 완전히 달라, 이에 따라 구성 및 동작 방식이 완전히 상이하며, 또한 화재 시에는 엘리베이터를 운행하는 것이 매우 위험한 상황을 발생시킬 수 있는 만큼 실제 효용에 있어서는 의문시되는 기술이다.
그리고 등록특허 10-0660155호는 자가진단 기능이 있는 화재경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등록특허는 화재 감지를 화재감지기를 통해 실시하고, 음향 및 빛 신호를 발산할 수 있는 안개투시 랜턴장치가 설치된 소화기를 이용하는 기술로서 본 발명과는 그 구성 및 동작 방식이 완전히 상이한 기술이다.
그리고 등록특허 10-1245057호는 화재 감지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등록특허는 화재감지기가 촬영한 RGB데이터를 변환하여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여부 판단 방법에 대한 기술로서 본 발명과는 완전히 상이한 기술이다.
또한 등록특허 10-1279886호는 소방관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소방관 위치추적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등록특허 10-0969974호는 지하철역이나 학교, 관공서 등의 공공장소에 자동 외부 제세동기나 소화기 등의 응급구호장치를 설치하고, 통신망을 통해 응급구호장치의 상태를 파악하면서 구호요원 또는 응급처치자에게 응급구호장치의 위치나 사용방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구호시스템 및 구호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과는 완전히 상이한 기술이다.
이외에도 지하철 또는 역사에 비치되어 영상 및 음성정보를 수집하는 이동식 단말부를 이용한 재난 대처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는 등록특허 10-1421030호, 광고 기능의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비상호출, 상황전파기능, 실시간 상호작용 및 안전정보 제공 구성을 포함한 재난대응 및 멀티콘텐츠와 상호작용 정보용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및 운용방법을 개시하고 있는 등록특허 10-1358667호, 소방안전기구와 인명구조기구가 비치된 보관함을 개시하고 있는 등록특허 10-0905234호, 화학 자동 경보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는 등록특허 10-1235977호 등이 있으나, 모두 본 발명과는 그 사상 및 구성 등에서 완전히 상이한 기술들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개발된 기술과는 다른 방법으로서, 건축물 내부에 설치된 방독면 및 방독면 캐비넷을 이용하여 방독면의 사용 유무로서 해당 건축물 내부의 긴급상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방독면이 내부에 거치되어 있는 방독면캐비넷이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건축물에 사용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방독면캐비넷 각각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방독면캐비넷 내부의 방독면이 방독면캐비넷 바깥으로 사출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감지부;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부가 각각 전송하는 구조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는 서버; 그리고 상기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가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구조 신호를 가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있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하나 이상의 감지부는 각각 상기 방독면캐비넷에서 방독면이 사출되는 것을 감지하고, 이를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의 작동 유무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기전원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화재감시 방법이 복잡한 화재감시 센서나 감지기 등을 이용함으로써 비경제적이고, 또한 단가가 낮은 센서의 경우 감지 정도가 낮아 화재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감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반면에 방독면이 방독면캐비넷에서 이탈하는 것만으로도 곧바로 긴급상황 발생 신호를 소방서 등의 관공서(이하 관공서)에 통보할 수 있으므로 빠르게 긴급상황을 전파할 수 있으며 또한 경제적이다.
또한 긴급상황이 실제로 발생하면 내부의 인원들은 혼란스러운 상태가 되어 관공서에 능동적으로 신고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인원들은 생존을 위하여 방독면을 반드시 사용할 것이므로 매우 효과적인 긴급상황 탐지 및 대처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의 구조도.
도 2, 도 3은 본 발명의 방독면캐비넷의 작동 구조도.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와 실시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들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1000)의 구조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10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도 1을 통하여 상기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1000)을 설명하기에 앞서, 우선 본 발명의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1000)은 그 구성요소로서 하나 이상의 방독면(100)과, 상기 방독면을 거치하는 하나 이상의 방독면캐비넷(110), 상기 하나 이상의 방독면캐비넷(110) 각각에 설치되는 감지부(120),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부(12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서버(200)와, 상기 서버(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300)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1000)에서 상기 방독면캐비넷(110) 및 이와 연결된 감지부(120)는 하나 뿐 아니라 둘 이상의 건물에 각각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으므로, 도 1에서는 두 개의 건물(A, B)에 각각 하나씩의, 각각 감지부(120a, 120b)가 설치되어 있는 방독면캐비넷(110a, 110b)이 설치되고, 상기 A건물방독면캐비넷(110a) 및 B건물방독면캐비넷(110b)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방독면(100a, 100b)가 거치되어 있는 것을 일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A건물방독면(100a)은 상기 A건물방독면캐비넷(110a) 내부의 각각의 방독면 하나(101a, 102a...)를 통칭하는 것으로 하며, 이는 B건물방독면(100b) 도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술한 일예시 구성과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10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A건물(A) 및 B건물(B)에는 각각 A건물방독면캐비넷(110a), B건물방독면캐비넷(110b)이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방독면캐비넷(110a, 110b)에는 하나 이상의 방독면(100a, 100b)이 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방독면캐비넷(110a, 110b)에는 감지부(120a, 120b)가 일대 일로 연결되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감지부(120a, 120b)는 각각 연결된 방독면캐비넷(110a, 110b) 내의 방독면(100a, 100b) 중 어느 하나라도 상기 방독면캐비넷(110a, 110b)에서 이탈할 시 이를 감지하여 해당 건물에 대한 구조신호를 상기 서버(200)에 전달하는 감지기(121a, 121b)와, 상기 각각의 감지기(121a, 121b)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감지기전원(122a, 122b)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기전원(122)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기(121)의 작동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데, 이는 건축물의 긴급상황으로 인하여 내부의 인원이 방독면(100)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닌, 단순 정비 등의 이유로 방독면(100)을 꺼내서 사용하여야 할 시에, 잘못된 구조신호를 서버(200)에 전달하는 것을 막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서버(200)는 상기 각각의 감지부(120a, 120b)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전송하는 해당 건물의 구조신호를 전송받아, 이를 디스플레이(3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디스플레이(300)는 상기 건물의 구조신호를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구조대원(P)에게 전달함으로서, 상기 구조대원(P)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구조대원(P)이 상주하고, 상기 서버(200) 및 디스플레이(300)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본부(H)는 소방서나 경찰서 등의 관공서 뿐 아니라 사설 경비 및 구조업체 등을 모두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임을 알려 둔다.
상술한 설명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동작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건축물 등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방독면캐비넷(110) 내에 거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방독면(100) 중 어느 하나가, 화재 등의 긴급상황으로 인하여 사용자에 의해 방독면캐비넷(110) 바깥으로 사출될 시, 상기 감지부(120)가 이를 감지하여 즉시 자신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서버(200)에 해당 건축물에 대한 구조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200)는 이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300)를 통하여 구조본부(H) 내의 구조대원(P)에게 이를 통보함으로서, 상기 구조대원(P)이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도 1을 통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면, 예를 들어 B건물(B)에 긴급상황이 발생하여, 내부의 인원이 B건물(B) 내에 설치된 B건물방독면캐비넷(110b) 내 B건물방독면(100b) 중 제1방독면(101b)를 꺼내게 되면, 상기 B건물방독면캐비넷(110b)에 연결 설치되어 있는 B건물감지부(120b)의 감지기(121b)는 상기 제1방독면(101b)의 사출을 감지하고, 즉시 자신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서버(200)에 B건물(B)에 대한 구조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조신호를 전송하게 됨으로서 서버(200)는 B건물(B)로부터 전송되어 온 구조신호를 디스플레이(300)에 시각적으로 구조대원(P)에게 전송하고, 상기 구조대원(P)은 B건물(B)의 구조신호를 감지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1000)이 동작하는데, 여기서 상기 감지부(120)의 감지기(121)가 방독면(100)의 이탈을 감지하는 방법의 제1, 제2예시가 도 2 및 도 3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감지기(121)가 방독면(100)의 이탈을 감지하는 방법은 다양한 종래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 우선 도 2를 통하여 상기한 이탈 감지의 제1예시 방법을 설명하면, 각각의 방독면(100)에는 무선 통신 가능한 모듈인 통신모듈(i)이 내장 설치되고, 상기 감지기(121)에는 상기 통신모듈(i)과 무선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안테나(121i)가 설치되어 있다.
평소에는 상기 방독면(100)은 움직이지 않고 있으므로, 상기 방독면(100)과 연결된 통신모듈(i) 역시 정지하여 있다. 상기 감지기(121)는 상기 통신모듈(i)의 정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는 상기 통신모듈(i)을 GPS모듈로 하고 상기 감지기(121)로 이를 감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주기적으로 상기 감지기(121)가 안테나(121i)를 통하여 상기 통신모듈(i)에 신호를 보내어 이를 감지해 낼 수도 있다. 이는 종래의 다양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방독면(100)중 제1방독면(101)이 방독면캐비넷(110)으로부터 사출되면, 상기 감지기(121)는 상기 제1방독면의 통신모듈(i)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서버(200)에 구조신고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을 통하여 상기한 이탈 감지의 제2예시 방법을 설명하면, 각각의 방독면(100)에는 연결핀(r)이 내장 설치되고, 상기 감지기(121)는 케이블(c)을 통해 각각의 방독면(100)의 연결핀(r)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방독면(100)중 제1방독면(101)이 방독면캐비넷(110)으로부터 사출되면, 상기 감지기(121)는 상기 제1방독면의 연결핀(r1)과 케이블(c)의 분리를 감지하여 상기 서버(200)에 구조신고를 전송하게 된다.
100, 101 : 방독면. 110 : 방독면캐비넷.
120 : 감지부. 121 : 감지기.
122 : 감지기전원. 200 : 서버.
300 : 디스플레이. i : 통신모듈.
c : 케이블. r : 연결핀.

Claims (2)

  1. 하나 이상의 방독면이 내부에 거치되어 있는 방독면캐비넷이 하나 이상 설치되어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건축물에 사용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으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방독면캐비넷 각각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방독면캐비넷 내부의 방독면이 방독면캐비넷 바깥으로 사출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감지부;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부가 각각 전송하는 구조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는 서버; 그리고 상기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부가 서버를 통해 전송하는 구조 신호를 가시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감지부는 각각 상기 방독면캐비넷에서 방독면이 사출되는 것을 감지하고, 이를 서버로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감지기와, 상기 감지기의 작동 유무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기전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KR1020140182822A 2014-12-18 2014-12-18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KR201600740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822A KR20160074056A (ko) 2014-12-18 2014-12-18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822A KR20160074056A (ko) 2014-12-18 2014-12-18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4056A true KR20160074056A (ko) 2016-06-28

Family

ID=56366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822A KR20160074056A (ko) 2014-12-18 2014-12-18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40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7521A (zh) * 2019-11-20 2020-02-21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基于紧急报警功能配电柜的报警系统及方法
KR200491168Y1 (ko) * 2019-04-30 2020-02-26 조보갑 충전기능을 구비한 확성기 보관함
KR20220149038A (ko)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아이엠알 카메라, 스피커, 이미지 캡셔닝 기술, 음성합성 기술을 이용한 공공장소 위험상황 알림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168Y1 (ko) * 2019-04-30 2020-02-26 조보갑 충전기능을 구비한 확성기 보관함
CN110827521A (zh) * 2019-11-20 2020-02-21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基于紧急报警功能配电柜的报警系统及方法
KR20220149038A (ko) 2021-04-30 2022-11-08 주식회사 아이엠알 카메라, 스피커, 이미지 캡셔닝 기술, 음성합성 기술을 이용한 공공장소 위험상황 알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6805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s for providing security crisis locations and notifications
JP3193926U (ja) スマートセーフティプロテクト統合システム機器
KR102126281B1 (ko) 사물인터넷 기반 스마트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감지시스템
WO2017072923A1 (ja) デジタルセフテイ・サポート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871621B1 (en) Digital smart security system and method, and program
KR20190072703A (ko) 재난사고 비상 신호의 전송 안전시스템 및 전송안전 관리방법
KR101444395B1 (ko) 비상 대처가 가능한 지능형 자동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1018583B1 (ko) 지능형 소방 방재 시스템
KR102018988B1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KR101324849B1 (ko)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인명구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583184B1 (ko) 재난 감지 시스템
CN107851368A (zh) 安全自动化系统和操作方法
KR102133442B1 (ko) 화재 대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화재 대피 시스템
KR102302316B1 (ko) 건물의 화재장소와 소방기기의 위치에 대한 영상제공시스템
JPWO2017073101A1 (ja) デジタルスマートセフティ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60074056A (ko) 긴급 상황 알림 시스템
KR102063919B1 (ko) 건물 재난 알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물 재난 알림 방법
KR102578878B1 (ko) 자가 관리형 비상벨
KR20200007756A (ko) 스마트 소화기보관함
KR20040087995A (ko) 네트워크 fire 방재감시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2578877B1 (ko) IoT메인컨트롤러와 112 비상벨을 이용한 재난안전 및 범죄예방을 위한 감시시스템
US11900788B1 (en) Automatic pull station protector and method
KR102266482B1 (ko) 화재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재감지 시스템
TWI715388B (zh) 火警系統
KR102261496B1 (ko) 방범감지시스템 중심의 재난관제센터에 탑재된 화재 신고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