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812A -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812A
KR20160073812A KR1020140182605A KR20140182605A KR20160073812A KR 20160073812 A KR20160073812 A KR 20160073812A KR 1020140182605 A KR1020140182605 A KR 1020140182605A KR 20140182605 A KR20140182605 A KR 20140182605A KR 20160073812 A KR20160073812 A KR 20160073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put
image
event
subli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남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3812A/ko
Priority to US14/849,161 priority patent/US20160179194A1/en
Publication of KR20160073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8Eye characteristics, e.g. of the iris
    • G06V40/19Sensor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사용자 이벤트의 입력 횟수를 카운트(count)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이벤트의 단위 시간당 상기 입력 횟수인 이벤트 입력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입력 비율이 제1 기준값 이상이면, 서브리미널(subliminal)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브리미널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브리미널(subliminal) 효과는 인간이 쉽게 인지할 수 없는 음향 또는 이미지에 의해 인간의 잠재의식이 영향 받을 수 있다는 이론이다. 이러한 이론을 응용한 서브리미널 기술은 인간에게 특정 행동이나 느낌을 유도할 수 있으며, 치료나 광고 목적으로 의료장치, 음향장치, 표시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VDT증후군에 의해 발생하는 안구 건조증 예방을 위해 서브리미널 기술을 적용하여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그런데, 서브리미널 영상을 강제로 삽입할 경우, 사용자에게 불쾌감이 유발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카메라로 눈 깜빡임 횟수를 파악하여 사용자의 눈 깜빡임 횟수가 감소할 때, 서브리미널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그런데, 모니터나 TV의 경우, 카메라 장착을 위한 비용이 추가적으로 발생하며, 영상처리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소한 방법으로 서브리미널 영상을 제공하는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사용자 이벤트의 입력 횟수를 카운트(count)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이벤트의 단위 시간당 상기 입력 횟수인 이벤트 입력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입력 비율이 제1 기준값 이상이면, 서브리미널(subliminal)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이벤트가 상기 드래그(drag) 입력이고, 상기 드래그 입력이 지속된 드래그 시간이 제2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서브리미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상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깜빡임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눈 깜빡임 패턴으로부터 눈 깜빡임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단위 시간당 상기 눈 깜빡임 횟수인 눈 깜빡임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눈 깜빡임 비율이 제3 기준값 이하일 시점을 기준으로 기 산출된 상기 이벤트 입력 비율을 상기 제1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이벤트가 드래그 입력이면, 상기 눈 깜빡임 비율이 제3 기준값 이하인 시점을 기준으로 기 산출된 상기 드래그 시간을 상기 제2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이벤트는 터치 스크린에 의한 터치 입력, 키보드에 의한 키보드 입력, 및 마우스에 의한 마우스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리미널 영상은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유도하는 영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리미널 영상은 화면 상의 미리 설정된 영역 또는 상기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된 이벤트 발생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리미널 영상은 일반 영상에 중첩 또는 합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리미널 영상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일정 주기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표시장치는 표시부;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이벤트의 입력 횟수를 카운트(count)하고, 상기 사용자 이벤트의 단위 시간당 상기 입력 횟수인 이벤트 입력 비율을 산출하며, 상기 이벤트 입력 비율이 제1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표시부에 서브리미널(subliminal) 영상을 표시하는 서브리미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이벤트의 단위 시간당 입력 횟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서브리미널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간소한 알고리즘으로 사용자의 몰입도를 유추하여 서브리미널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가 필수적이지 않으므로,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영상처리량 증가로 인한 소비전력이 증가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개별 사용자에 따라 서브리미널 기능의 구동 조건이 설정됨으로써, 사용자의 불쾌감은 감소되고 서브리미널 효과는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서브리미널 영상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는 서브리미널 영상이 표시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눈 깜빡임 패턴을 분석하여 기준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거나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전자 기기(electronic device)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장치는 휴대폰(Cellular Phone),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컴퓨터(Tablet Computer),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음악 재생기(Music Player), 휴대용 게임 콘솔(Portable Game Console), 내비게이션(Navigation) 시스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노트북(Laptop Computer), 서버 컴퓨터(Server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디지털 TV(Digital Television), 셋-탑 박스(Set-Top Box) 및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부(10), 영상 처리부(20), 사용자 입력부(30), 촬상부(40), 서브리미널 구동부(50) 및 저장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0)는 영상 처리부(20)에 의하여 처리된 영상을 표시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10)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표시패널(미도시) 및 상기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표시부(10)는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표시장치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부(10)는 사용자의 신체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의 접촉을 감지하는 소정의 터치 인식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표시부(10)의 종류, 위치, 형태 및 크기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처리부(20)는 영상(이하, 일반 영상)을 처리하여 표시부(10)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일반 영상은 방송국에서 송출된 TV 프로그램 영상, 또는 미리 저장된 영상데이터의 재생된 영상, 또는 표시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영상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20)는 디코딩(decoding), 스케일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밝기 조절, 콘트라스트(대비) 조절, 명암 조절 및 이미지 인핸스먼트(image enhancement)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0)는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되는 장치이다. 사용자 입력부(30)는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키보드 및 마우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이벤트는 사용자 입력부(30)를 통한 사용자의 제어 동작, 또는 제어 동작에 대응되는 입력신호이다. 즉, 사용자 이벤트는 터치 스크린에 의한 터치 입력, 키보드에 의한 키보드 입력, 및 마우스에 의한 마우스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0)는 표시장치에 일체형으로 포함되거나, 별도로 구비되어 표시장치와 접속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3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촬상부(40)는 사용자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이다. 촬상부(40)는 표시장치에 내장되거나, 별도로 마련되어 표시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촬상부(40)는 스마트 폰의 내장 카메라, 또는 TV나 모니터에 장착된 캠코더일 수 있다.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사용자의 안구 건조증 예방을 위해 표시부(10)에 눈 깜빡임을 유도하는 서브리미널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사용자 이벤트의 입력 횟수를 카운트(count)하고, 상기 사용자 이벤트의 단위 시간당 입력 횟수인 이벤트 입력 비율을 산출한다. 그리고,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이벤트 입력 비율이 제1 기준값 이상이면, 표시부(10)에 서브리미널 영상을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20)를 제어한다. 즉,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사용자의 몰입도를 판단하고, 몰입도가 증가된 경우, 서브리미널 영상을 구동한다. 이를 위하여,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사용자 이벤트를 분석하여 서브리미널 영상이 구동되는 조건을 판단하는 이벤트 분석부(51)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60)는 서브리미널 영상 데이터, 서브리미널 영상의 구동 조건에 관한 정보, 사용자 이벤트 및 이벤트 입력 비율에 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사용자 입력부(30)를 통해 사용자 이벤트를 입력받는다(S10). 여기서, 사용자 이벤트는 사용자 입력부(30)를 통한 사용자의 제어 동작, 또는 제어 동작에 대응되는 입력신호이다. 즉, 사용자 이벤트는 터치 스크린에 의한 터치 입력, 키보드에 의한 키보드 입력, 및 마우스에 의한 마우스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사용자 이벤트의 입력 횟수를 카운트한다(S20).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입력 횟수를 카운트하다가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 이벤트의 입력이 없을 경우 초기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터치 입력이 10회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후, 1분 동안 후속되는 터치 입력이 없다면, 입력 횟수는 0회로 초기화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이벤트의 종류 및 입력 횟수는 저장부(6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사용자 이벤트의 단위 시간당 입력 횟수인 이벤트 입력 비율을 산출한다. 그리고,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이벤트 입력 비율이 제1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5). 예를 들면, 제1 기준값이 분당 100회인 경우,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분당 터치 입력 횟수를 산출하여, 분당 터치 입력 횟수가 100회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5에서, 이벤트 입력 비율이 제1 기준값 이상인 경우,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서브리미널 영상을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20)를 제어하고, 이벤트 입력 비율이 제1 기준값 미만인 경우, 단계 S10으로 리턴한다(S40). 여기서, 제1 기준값은 미리 설정되며, 서브리미널 영상은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유도하는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준값이 분당 100회이고, 분당 터치 입력 횟수가 100회 이상인 경우,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눈 깜빡임을 유도하는 서브리미널 영상을 표시부(10)에 표시하도록 한다.
즉,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터치 입력 횟수가 많다는 것을 근거로 사용자의 과몰입 상태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하는 경우, 터치 입력 횟수가 크게 증가할 수 있으며, 이때 눈 깜빡임이 현저히 줄어든다. 이러한 상태가 장시간 유지되면, 사용자는 안구 건조증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서브리미널 영상을 구동하여 사용자의 무의식적인 눈 깜빡임을 유도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과몰입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제1 기준값은 실험적/통계적 방법으로 산출되어 표시장치의 제조 단계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서, 제1 기준값은 사용자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되거나 가변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에 선택적으로 단계 S15 및 단계 S17이 부가될 수 있다.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사용자 이벤트가 드래그(drag) 입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5). 드래그 입력은 유저 인터페이스 상에서 포인터를 잡아 끌어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동작을 지칭한다. 예를 들면, 드래그 입력은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된 상태에서 손가락을 다른 위치로 움직인 다음 떼거나, 마우스 버튼을 누른 채 마우스를 움직여 간 다음 마우스 버튼을 놓는 동작이다.
단계 S15에서, 사용자 이벤트가 드래그 입력인 경우,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상기 드래그 입력이 지속된 드래그 시간이 제2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7). 만약, 드래그 입력이 지속된 드래그 시간이 제2 기준값 이상인 경우,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서브리미널 영상을 표시하도록 영상 처리부(20)를 제어한다(S40).
예를 들면, 제2 기준값이 1분이고, 드래그 시간이 1분 이상인 경우,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눈 깜빡임을 유도하는 서브리미널 영상을 표시부(10)에 표시하도록 한다. 즉,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드래그 시간이 길다는 것을 근거로 사용자의 과몰입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하는 경우, 드래그 시간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때 눈 깜빡임이 현저히 줄어든다. 이러한 상태가 장시간 유지되면, 사용자는 안구 건조증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서브리미널 영상을 구동하여 사용자의 무의식적인 눈 깜빡임을 유도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과몰입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제2 기준값은 실험적/통계적 방법으로 산출되어 표시장치의 제조 단계에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서, 제2 기준값은 사용자에 따라 다른 값으로 설정되거나 가변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 이벤트의 단위 시간당 입력 횟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서브리미널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간소한 알고리즘으로 사용자의 몰입도를 유추하여 서브리미널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서브리미널 영상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며, 도 4a, 도 4b, 도 5a 및 도 5b는 서브리미널 영상이 표시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서브리미널 영상은 사용자의 소정의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행동 유도 영상으로서,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유도하는 눈 깜빡임 유도 영상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리미널 영상은 한 쪽 눈의 이미지, 또는 양 쪽 눈의 이미지, 또는 양 쪽 눈이 감긴 이미지일 수 있다. 또는 서브리미널 영상은 눈 깜빡임을 지시하는 문자일 수 있다. 이러한 눈 깜빡임 유도 영상은 동조 효과 또는 잠재 학습(subliminal learning)를 통하여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유도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일반 영상(NI)에 서브리미널 영상(SI)이 중첩 또는 합성된 합성 영상(CI)을 표시하거나, 일반 영상(NI)을 대체하여 서브리미널 영상(SI)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장치는 일반 영상(NI) 프레임들 사이에 소정의 주기마다 서브리미널 영상(SI) 프레임 또는 이의 합성 영상(CI) 프레임을 삽입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리미널 영상(SI) 또는 이의 합성 영상(CI)은 일정한 유지 시간을 가지고 주기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리미널 영상(SI)은 약 4초 간격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브리미널 영상(SI) 또는 합성 영상(CI)의 주기(또는 시간 간격) 및 유지 시간(또는 서브리미널 영상(SI) 또는 합성 영상(CI)이 계속하여 표시되는 시간) 중 적어도 하나가 가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브리미널 영상(SI) 또는 합성 영상(CI)은 사용자에 의해 인지 가능한 시간보다 짧은 시간 동안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 깜빡임 유도 영상이 소정의 주기마다 한 프레임 동안만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눈 깜빡임 유도 영상은 사용자에 의해 의식적으로 인지되지 않아 사용자의 불쾌감이 유발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눈 깜빡임 유도 영상은 사용자에 식역하(subliminal) 자극으로 제공되고, 동조 효과 또는 잠재 학습(subliminal learning)에 의해 사용자의 행동, 예를 들어 눈 깜빡임을 유도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는 화면 상의 미리 설정된 영역 또는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된 이벤트 발생 영역(EP)에 서브리미널 영상(SI) 또는 합성 영상(CI')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장치는 터치 스크린에서 사용자의 손가락(P)에 의해 발생된 터치 좌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터치 좌표에 기초하여 일반 영상(NI)이 표시되는 영역 중 이벤트 발생 영역(EP)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벤트 발생 영역(EP)에 서브리미널 영상(SI)이 합성된 합성 영상(CI')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표시장치는 마우스의 포인터 좌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포인터 좌표에 기초하여 일반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 중 이벤트 발생 영역(EP)을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서브리미널 영상(SI)이 표시되는 영역은 특정 위치 예를 들면, 화면의 중앙 영역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발생 영역(EP)과 화면의 중앙 영역은 사용자의 시선이 위치할 확률이 높으므로, 서브리미널 영상(SI)의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단, 서브리미널 영상(SI) 또는 합성 영상(CI')이 위치하는 영역은 사용자에 알맞게 설정되거나 또는 가변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눈 깜빡임 패턴을 분석하여 기준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촬상부(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깜빡임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S100). 여기서, 상기 눈 깜빡임 패턴을 감지하는 것은 눈 깜빡임의 주기(즉, 눈 깜빡임들 사이의 시간 간격) 및 진행 시간(즉, 눈 깜빡임의 시작과 완료 사이의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표시장치는 상기 감지된 눈 깜빡임 패턴에 기초하여 눈 깜빡임 횟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S110). 그리고, 표시장치는 단위 시간당 상기 눈 깜빡임 횟수인 눈 깜빡임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S120). 예를 들면, 눈 깜빡임 비율은 분당 눈 깜빡임 횟수일 수 있다.
표시장치는 상기 눈 깜빡임 비율이 제3 기준값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예를 들면, 제3 기준값이 분당 15회로 설정되면, 눈 깜빡임 비율이 분당 15회 이하인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기준값은 안구 건조증이 예방되는 최소한의 눈 깜빡임 비율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130에서, 눈 깜빡임 비율이 제3 기준값 초과인 경우, 단계 S100으로 리턴한다. 선택적으로, 표시장치는 현재 입력된 사용자 이벤트가 드래그 입력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S140).
단계 S130에서, 상기 눈 깜빡임 비율이 제3 기준값 이하고, 단계 S140에서 사용자 이벤트가 드래그 입력이 아닌 경우, 표시장치는 눈 깜빡임 비율이 제3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는 시점을 기준으로 산출된 이벤트 입력 비율을 상기 제1 기준값으로 설정으로 설정한다(S150). 단, 이벤트 입력 비율은 실시간으로 산출되고 있음을 전제한다.
예를 들면, 제3 기준값이 분당 15회이고 현재 파악된 눈 깜빡임 비율이 분당 15회 이하인 경우, 현재 산출되고 있는 이벤트 입력 비율인 분당 터치 입력 횟수 80회를 제1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표시장치는 사용자의 분당 터치 입력 횟수 80회를 넘어서면 눈 깜빡임 횟수가 지나치게 줄어드는 패턴을 갖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근거로 눈 깜빡임을 유도하는 서브리미널 영상의 구동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눈 깜빡임 패턴에 기초하여 서브리미널 구동 조건이 결정되고, 이에 따라 눈 깜빡임 유도 영상이 표시됨으로써, 사용자의 특성이 고려된 서브리미널 구동이 가능하며, 동일한 조건에 따라 눈 깜빡임 유도 영상이 표시되는 경우에 비하여, 사용자의 불쾌감이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눈 깜빡임 비율이 제3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는 시점의 이벤트 입력 비율에 관한 정보를 다수 저장하여, 다수의 이벤트 입력 비율의 평균값을 제1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눈 깜빡임 패턴에 대응되는 서브리미널 구동 조건의 적합도 및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단계 S130에서, 상기 눈 깜빡임 비율이 제3 기준값 이하고, 단계 S140에서 사용자 이벤트가 드래그 입력인 경우, 상기 눈 깜빡임 비율이 제3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는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드래그 입력이 지속된 드래그 시간을 상기 제2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S160). 단, 드래그 시간은 실시간으로 산출되고 있음을 전제한다.
예를 들면, 제3 기준값이 분당 15회이고 현재 파악된 눈 깜빡임 비율이 분당 15회 이하인 경우, 현재 산출되고 있는 드래그 시간인 50초를 제2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표시장치는 사용자의 드래그 시간이 50초를 넘어서면 눈 깜빡임 횟수가 지나치게 줄어드는 패턴을 갖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근거로 눈 깜빡임을 유도하는 서브리미널 영상의 구동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눈 깜빡임 비율이 제3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는 시점의 드래그 시간에 관한 정보를 다수 저장하여, 다수의 드래그 시간의 평균값을 제2 기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눈 깜빡임 패턴에 대응되는 서브리미널 구동 조건의 적합도 및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촬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눈 깜빡임 패턴이 구동되는 최적 조건을 판단하기 위해 표시장치의 서브리미널 구동부(50)는 패턴 분석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표시부 20: 영상 처리부
30: 사용자 입력부 40: 촬상부
50: 서브리미널 구동부 51: 이벤트 분석부
53: 패턴 분석부 60: 저장부

Claims (10)

  1. 사용자 이벤트의 입력 횟수를 카운트(count)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이벤트의 단위 시간당 상기 입력 횟수인 이벤트 입력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벤트 입력 비율이 제1 기준값 이상이면, 서브리미널(subliminal)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벤트가 드래그(drag) 입력이고, 상기 드래그 입력이 지속된 드래그 시간이 제2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서브리미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촬상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 깜빡임 패턴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눈 깜빡임 패턴으로부터 눈 깜빡임 횟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단위 시간당 상기 눈 깜빡임 횟수인 눈 깜빡임 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눈 깜빡임 비율이 제3 기준값 이하일 시점을 기준으로 기 산출된 상기 이벤트 입력 비율을 상기 제1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벤트가 드래그 입력이면,
    상기 눈 깜빡임 비율이 제3 기준값 이하인 시점을 기준으로 기 산출된 상기 드래그 시간을 상기 제2 기준값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이벤트는 터치 스크린에 의한 터치 입력, 키보드에 의한 키보드 입력, 및 마우스에 의한 마우스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리미널 영상은 사용자의 눈 깜빡임을 유도하는 영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리미널 영상은 화면 상의 미리 설정된 영역 또는 상기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된 이벤트 발생 영역에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리미널 영상은 일반 영상에 중첩 또는 합성되어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리미널 영상은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일정 주기로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0. 표시부;
    사용자 이벤트가 발생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이벤트의 입력 횟수를 카운트(count)하고, 상기 사용자 이벤트의 단위 시간당 상기 입력 횟수인 이벤트 입력 비율을 산출하며, 상기 이벤트 입력 비율이 제1 기준값 이상이면, 상기 표시부에 서브리미널(subliminal) 영상을 표시하는 서브리미널 구동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140182605A 2014-12-17 2014-12-17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60073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605A KR20160073812A (ko) 2014-12-17 2014-12-17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US14/849,161 US20160179194A1 (en) 2014-12-17 2015-09-09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605A KR20160073812A (ko) 2014-12-17 2014-12-17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812A true KR20160073812A (ko) 2016-06-27

Family

ID=56129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605A KR20160073812A (ko) 2014-12-17 2014-12-17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79194A1 (ko)
KR (1) KR20160073812A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88990B2 (en) * 2004-05-28 2012-05-29 Maximilian Zamorsky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stimulating the blinking of the eyes of a user by subliminal modification of display parameters
US20110033830A1 (en) * 2009-08-08 2011-02-10 Gabe Cherian Cts pep prevention educational products
KR101836381B1 (ko) * 2011-01-28 2018-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단말기에서 화면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12157195A1 (ja) * 2011-05-19 2012-11-2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3次元用メガネ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79194A1 (en) 2016-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731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for remote interactions
US9829931B2 (en) Head-mounted display, image display system, information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head-mounted display
US950742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to assist in capturing images
JP7420510B2 (ja) フォービエイテッド・レンダリング・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3181180B (zh) 提示控制装置以及提示控制方法
US10379605B2 (en) Head mounted display, mobile information termin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display control program,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system
RU2549165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US20160232561A1 (en) Visual object efficacy measuring device
KR20160121287A (ko) 이벤트에 기반하여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장치
CN106796452A (zh) 通过敲击控制的头戴式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用于控制该装置的计算机程序
CN109154862B (zh) 用于处理虚拟现实内容的装置、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JPWO2018235595A1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Feldstein et al. A simple video-based technique for measuring latency in virtual reality or teleoperation
KR10154106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감각 기관의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80189994A1 (e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ugmented reality with physical objects to change user states
KR20160073812A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TWI533238B (zh) 動作偵測與判斷裝置及方法
CN112995738A (zh) 视频播放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US20190366031A1 (en) Visual disorder treatment
KR20190066429A (ko) 가상 현실 콘텐츠의 시청 피로도 예측 모델에 관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N109788271B (zh) 立体图像显示方法与电子装置
US8858327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game
CN116048251A (zh) Vr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7234337A (zh) 眼球追踪装置的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7631941A (zh) 图像更新方法、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