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626A -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626A
KR20160073626A KR1020140182155A KR20140182155A KR20160073626A KR 20160073626 A KR20160073626 A KR 20160073626A KR 1020140182155 A KR1020140182155 A KR 1020140182155A KR 20140182155 A KR20140182155 A KR 20140182155A KR 20160073626 A KR20160073626 A KR 20160073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roval
account
settlement
server
electr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주태
Original Assignee
엄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주태 filed Critical 엄주태
Priority to KR102014018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3626A/ko
Publication of KR2016007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자 무역 허브 시스템을 통해 국제간 전자무역과 국내 기업간 전자상거래을 결합하고, 국제간 결제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에 생성된 결제대금을 근거로 수출자의 국내 구매조달 전자상거래 전용여신을 발생시켜 수출업자가 국내기업에 원부자재 구매 시 국내 기업간 전자상거래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에 결제대금이 이체되도록 함으로써 전자 무역 거래 시의 결제가 보다 편리하고 신뢰성이 있는 이점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무역 거래 시 발생하는 부대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속하게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System for Providing International Electronic Trading and Electronic Commerce, Method for Providing International Electronic Trading and Electronic Commerce in the system}
본 발명은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무역 거래 시의 결제가 보다 편리하고 신뢰성 있으며, 무역 거래 시 발생하는 부대 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게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인터넷 보급이 급격하게 증가됨에 따라 인터넷이라는 동질의 매체를 통하여 전 세계인을 대상으로 하는 전자상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자상거래는 일반적으로 기업과 기업간(BtoB : business to business), 기업과 개인간(BtoC : business to customer), 개인과 개인간(CtoC : customer to customer) 또는 정부와 기업간(BtoG : business to government)에 통합 자동화된 정보 체계 환경 아래서 전자적인 매체와 전자적 기술 및 수단을 이용하여 돈의 흐름이 수반되는 상거래뿐만 아니라 구매자 마케팅, 광고, 조달, 서비스, 생산, 수송, 구매 등을 행하는 일련의 행위를 포함한다.
이러한 전자상거래는 금융, 교육, 전시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모든 상거래 행위와 이를 지원하는 형태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주로 기업과 소비자간의 거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나, 기업과 기업간의 거래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국제 비즈니스가 일반화되면서 전자 무역이 출현하였다.
전자 무역이란, 무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컴퓨터 등 정보 처리 능력을 가진 정보 통신망을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전자 무역의 출현에 따라 결제 방법에서도 종래의 전통적인 결제 방식인 신용장과 추심 등의 단점을 극복하고 원활한 무역 결제를 지원하기 위한 각종 전자 결제 수단이 등장하고 있다. 현재 공식화된 전자 결제 제도는 트레이드 카드(trade card), 볼레로(BOLERO: bill of lading electronic registry organization), 아이덴트러스 등이 있다.
한편, 이러한 전자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무역 거래를 결제하는 경우 거래 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한 결제를 위해서 수입상이 수출상에게 일일이 자신의 계좌에서 이체를 하여야 하므로, 자신의 계좌에 그만큼의 금액이 있어야 한다. 만약, 거래를 위한 비용이 없는 경우에는 무역 거래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전자 결제 수단을 이용한 무역 결제 이외에, 전통적인 신용장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량 거래 시에 부대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신속한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17647호, 2011년 02월 18일 등록(명칭: 국제 무역 결제 시스템 및 방법)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역 거래 시의 결제가 보다 편리하고 신뢰성 있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무역 거래 시 발생하는 부대 비용을 줄이고, 신속하게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은 고객별 국제 결제 전용 아이디를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와 매칭하여 관리하고, 대금 결제를 위해 수입자 단말기로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수입자 단말비로부터 승인 시 전송된 승인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수입자의 계좌에서 결제대금을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이체하고, 동시에 수출자 은행의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수입자 결제 대금과 동일한 금액이 생성되어 이체되도록 하는 제1 승인 서버; 고객별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를 관리하는 제1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서버; 무역 거래를 위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및 관리하는 제1 전자 무역 DB 서버; 상기 승인 서버로 대금 결제 데이터 및 거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전자 무역 결제 서버; 국제 간의 결제 승인이 이루어졌을 시 상대국 공급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승인 서버에서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결제대금을 생성 이체시키도록 동작하는 전자 무역 허브 서버; 및 승인 요청을 수신 및 승인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수입자 단말기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승인 서버는, 상기 고객별 국제 결제 전용 아이디와 매칭된 고객의 승인 휴대폰번호, 전자상거래결제를 위한 계좌번호, 신용카드번호, 여신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은 고객별 결제 내역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DB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승인 서버는, 전자상거래 시 결제 내역정보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결제 승인이 이루어졌을 시 은행의 주 계정 호스트에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이체를 실현시키며, 이때 거래 상세 내역은 상기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DB 서버로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은 자국 내 은행의 계정을 관리하고,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의 이체를 실행하는 제1 호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승인 서버는 국제 간의 결제 승인이 이루어졌을 시 자국 내 은행의 주 계정인 상기 호스트에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이체를 실현시키며, 동시에 상기 전자무역 허브 서버를 통하여 상대국 공급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승인 서버에서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결제대금을 생성 이체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은 수출자 조작에 따라 상품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전자 무역 DB 서버를 통해 상기 전자 무역 허브 서버로 상품을 등록하고, 승인 요청을 수신 및 승인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수출자 단말기; 상기 수출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인도에 따른 확인 및 검수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출자 단말기로부터 거래번호 및 수출자 아이디를 제공받아 상기 수출자의 단말기로 승인을 요청하고, 승인이 확인되면, 상기 전자 무역 허브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승인 서버에 상기 수출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거래번호에 대한 수입자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제2 승인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승인 서버는, 상기 제2 승인 서버로부터 수신한 거래 번호에 대한 상기 제1 수입자 단말기에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제1 수입자의 승인이 완료되면 제1국 은행 및 제2국 은행의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이체되어 있는 무역결제 대금은 각각 코레스(CORRES) 계좌로 이체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승인 서버는, 각각 코레스(CORRES) 계좌로 이체할 시 제1국 수입자 국의 은행 코레스 계좌에는 마이너스로 제2국 수출자국의 은행 코레스 계좌에는 플러스로 이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은 전자 무역 허브 서버에 접속하여 확정된 오퍼의 조건을 확정하고, 당사자 간 모두 최종확정 시 대금결제를 위한 승인을 요청하는 과정; 제1국 금융기관 내부의 제1 승인 서버로 대금 결제 데이터 및 거래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제1 승인 서버에 등록된 수입자 단말기로 승인 요청 및 수입자로부터 비밀번호 또는 승인번호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제1 승인 서버에서 승인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승인 서버에 등록된 제1국 수입자의 한도계좌 및 계좌에서 결제대금을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이체하고, 확정된 거래 내역을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DB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이체 완료되면, 조건대로 상품을 제2국 수출자로 인도됨이 확인 및 검수 완료되면 대금 이체를 요청하는 과정; 제2 승인 서버에서 거래 번호 및 수출자 아이디를 수출자 단말기를 통해 확인하여 상기 수출자 단말기로 승인을 요청한 후 승인이 확정되면 상기 전자 무역 허브 서버를 경유하여 제1 승인 서버에 제1국 수입자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과정; 제1 수입업자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제1국 은행 및 제2국 은행의 전자상거래결제 예치 계좌에 이체되어 있는 무역결제 대금을 각각 코레스 계좌로 이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은, 공급자 단말기는 전자무역 DB 서버에 공급자의 조작에 따라 상품 등록을 위한 아이디, 등록할 물건의 프로필, 가격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상기 상품 등록을 위한 입력 후 공급자 승인을 요청하는 과정; 공급자 승인이 이루어지면 국제간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상품 등록이 완료하는 과정; 상기 승인 완료에 따라 승인 서버는 등록된 거래번호에 따른 거래 내역과 전송된 무역 금융에 필요한 자료를 검토 후 공급자의 결제 계좌로 대금을 이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에서 상기 상품 등록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은, 국제 간 결제 시 상호 신뢰를 위하여 공급자에게 상품 등록 시 이행을 담보하기 위하여 이행 증거금을 약정된 금액만큼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실시간 이체시키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행 증거금은 거래 종료 시점에 상품을 등록한 공급자 계좌에 결제 대금 이체가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여신일 경우는 소멸되며, 현금 또는 카드일 경우 피드백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에서 상기 공급자 승인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공급자의 휴대폰을 통해 승인을 요청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에서 상기 상품 등록이 완료하는 과정은, 상기 등록이 완료된 물건의 프로필을 각국별 언어로 번역되어 서비스 될 수도 있도록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은, 수요자 단말기는 수요자의 입력에 따라 공급자의 상품 구매를 위하여 상품을 선택한 후 수요자 아이디를 입력하여 제1 전자 무역 DB 서버를 통해 전자 무역 허버 서버로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과정; 구매 상세 내역과 결제 승인 요청정보는 제1국 은행의 제1 승인 서버로 전송되어 제1국 수요자의 승인을 요청, 승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제1국 은행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결제 대금 이체를 요청하고, 거래 내역을 저장함과 동시에 제2국 은행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제1국 은행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결제 대금과 동일한 금액의 결제 대금이 생성되어 이체하고, 거래 내역을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은, 공급자 단말기는 공급자 조작에 따라 제2국 전자 무역 DB 서버 상의 B국 전자무역 결제 서버에, 공급자 아이디와 거래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아이디와 거래번호 입력으로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결제 대금의 이체 승인을 제2국 전자 무역 DB 서버로 요청하는 과정; 상기 이체 승인 요청을 수신한 제2국 전자 무역 DB 서버는 공급자 단말기에 공급자 승인 요청 및 승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공급자 승인이 이루어지면, 국제 간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인 전자 무역 허브 서버를 통해 제1국 승인 서버로 이를 알려, 상기 제1국 승인 서버가 수요자 단말기로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이체 대금의 제2국 공급자 이체 승인을 요청하는 과정; 수요자 단말기는 수용자 조작에 따라 이체 승인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제1 승인 서버로 수요자가 승인함을 알리는 과정; 상기 제1 승인 서버는 제1국, 제2국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의 결제대금을 제1국, 제2국 코레스(CORRES)계좌로 이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에서 상기 이체하는 과정은, 제1국 은행 코레스 계좌로 마이너스 이체를, 제2국 은행 코레스 계좌로 플러스 이체하는 과정; 제2국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의 결제 대금을 공급자 결제 계좌로 이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은, 수출자 단말기로부터 수출자 요구에 따라 생산자금 요청이 있으면, 제1국 전자 무역 결제 허브 서버는 승인요청 및 승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수입자의 동결계좌 이체대금 및 거래 내역 확인, 수출자의 평가 후 승인이 이루어지면, 전자상거래 전용한도 여신을 발생하는 과정; 상기 수출자 단말기는 수출자의 조작에 따라 생산을 위하여 자국 내 공급자들에게 기업 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등록을 요청하는 과정; 상기 수출자 단말기는 수출자의 조작에 따라 수출상품을 수출하기 위하여 등록된 기업들에 구매오퍼를 하며 확정이 되면 승인 및 결제를 요청하는 과정; 승인 서버에서 승인이 확인되면 수출기업의 전자상거래 전용한도가 발생된 계좌에서 결제대금이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이체하는 과정; 상품의 조건대로 수요(수출)기업에 인도되면, 공급기업은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의 대금의 이체를 요청하는 과정; 상기 승인 서버에서 공급자 승인확인 및 수요기업의 승인을 확인한 후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이체되어 있는 대금을 공급자 결제계좌로 이체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에서 상기 전자상거래 시스템 등록을 요청하는 과정은, 자국 내 공급기업들은 대금 결제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기에 은행 및 사이트에 전자상거래 아이디를 등록하도록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전자 무역 허브 시스템을 통해 국제간 전자무역과 국내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결합하고, 국제간 결제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에 생성된 결제대금을 근거로 수출자의 국내 구매조달 전자상거래 전용여신을 발생시켜 수출업자가 국내기업에 원부자재 구매 시 국내 기업간 전자상거래 전자상거래결제 예치 계좌에 결제대금이 이체되도록 함으로써 전자 무역 거래 시의 결제가 보다 편리하고 신뢰성이 있는 이점이 있다. 이뿐만 아니라, 무역 거래 시 발생하는 부대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신속하게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기반의 수출자 생산자금 여신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에서 공급자 물건 등록을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용자 물건 구매를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에서 공급자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 결제대금 이체를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기반의 수출자 생산자금 여신 제공을 위한 시스템에서 수출자 생산자금 여신을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제 도 1 및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은 수입자/수출자 국가의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무역 및 전자상거래를 통합 관리하는 전자 무역 허브 서버(130)로 연결된다.
각각의 수입자/수출자 국가의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은 수입자/수출자 단말기인 제1/제2 단말기(100, 102), 전자 무역 결제 서버(110, 112), 전자 무역 DB 서버(120, 122), 승인 서버(140, 142), 호스트(150, 152),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서버(160, 162),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DB(170, 172), 코레스 계좌(180, 182), EDI 서버(190, 192) 및 각국의 은행(10, 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 구성 장치들은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은 인터넷망, 인트라넷망, 이동통신망, 위성 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이러한, 통신망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수입자/수출자 단말기인 제1/제2 단말기(100, 102)는 등록할 상품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승인 요청을 수신 및 승인을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단말이다. 이와 같은 제1/제2 단말기(100, 102)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을 경유하여 전자 무역 DB 서버(120, 122) 및 승인 서버(140, 142)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제1/제2 단말기(100, 102)는 전자 무역 DB 서버(120, 122) 및 승인 서버(140, 142)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고,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양국의 수요자와 공급자는 무역 거래 이전에 은행으로부터 전자상거래를 위한 국제간 전자상거래 결제전용 아이디(ID)를 발급받는다. 이러한 아이디는 카드 형태로 발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수요자와 공급자는 직접 은행 사이트나 본 전자상거래 서비스 사이트를 통해, 휴대폰번호, 계좌 및 카드정보, 사용아이디를 입력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국제간 전자상거래 결제전용 아이디(ID)는 전자상거래 시 국제간 결제를 위하여 입력하는 아이디로 이는 금융정보가 아닌 제3의 아이디이다. 이 아이디는 은행이 부여할 수도 있으며, 고객의 초기등록에 따라 중복되지 않는 아이디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아이디는 해킹이 되어도 오프라인 및 온라인 사용이 불가한 의미 없는 아이디이다. 또한, 이 아이디는 은행의 본인 확인 절차 및 고객의 동의절차를 통하여 휴대폰번호, 고객의 전자상거래 사용 계좌, 전자상거래 사용 신용카드, 전자상거래 사용 여신 등을 은행 내부에 등록한다.
그리고 결제 요청 시 금융정보가 아닌 국제 결제 전용 아이디를 입력하면 고객의 휴대폰 상 결제 승인요청 및 승인이 이루어 져야 만이 고객의 전자상거래 사용 계좌, 신용카드, 여신 등의 결제가 반드시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이체되도록 지정되어 있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승인 서버(110, 102)는 아이디 등록 시 은행이 고객으로부터 받은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이다. 즉, 아이디와 매칭된 고객의 승인 휴대폰번호, 전자상거래결제를 위한 계좌번호, 신용카드번호, 여신과 같은 정보를 저장한 서버이다.
승인 서버(110, 102)는 전자상거래 시 결제 내역정보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결제 승인이 이루어졌을 시 은행의 주 계정 호스트에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이체를 실현시키며, 이때 거래 상세 내역은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DB(170, 172) 서버로 동시에 전송한다.
승인 서버(110, 102)는 국제 간의 결제 승인이 이루어졌을 시 자국 내 은행의 주 계정 호스트(150, 152)에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이체를 실현시키며, 동시에 전자무역 허브 서버(130)을 통하여 상대국 공급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승인 서버(140, 142)에서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결제대금을 생성 이체시킨다.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국제간 결제를 위해서는 공급자 등록, 수요자 구매 결제, 공급자 결제 대금 이체 요청의 3개의 실시 동작이 필요하다.
첫번째로, 공급자 등록 과정을 살펴보면, 등록할 상품 프로필 입력 후 승인 요청하고, 승인 서버에서 고객의 휴대폰으로 승인 요청, 승인한 후 승인 서버에서 등록고객의 승인이 확인되면 국제간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상품 등록 완료한다. 이후,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등록 비용 또는 이행증거금(이행증거금 여신)의 동결계좌 이체 후 등록 완료한다.
두 번째로, 수요자 구매 결제 과정을 살펴보면, A국 수요자 아이디로 결제 요청한다. 이때, 전자상거래결제를 위한 계좌, 신용카드, 여신 중 선택 후 입력, 거래의 유형에 따라 자동으로 여신이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A국 은행 승인 서버에서 고객의 휴대폰, 또는 앱에 승인요청, 승인 동작 수행 후 승인 서버에서 A국 은행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결제 대금 이체 요청, 계좌 및 신용카드에서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 이체 실현한다. 이때 거래 내역은 A국은행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DB 서버에 저장하고, 이와 동시에 전자 무역 허브 서버(130)를 통하여 상대국인 B국 은행의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A국 은행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결제 대금과 동일한 금액이 생성된다. 이때, 거래 내역은 A국 은행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DB 서버에 저장된 거래 내역과 동일한 내용이 B국 은행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DB 서버에 저장된다.
만약, 신용카드를 지불 수단으로 선택하여 결제를 하였을 경우 A국 은행의 승인 서버에서 신용 카드사로 결제 내역을 전송하여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이체하는 방안과, A국 은행의 승인 서버에서 승인을 받은 후, A국 지불 시스템에서 신용 카드사와 연결되어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이체시키는 방안이 있다.
세 번째로, 공급자 결제 대금 이체 요청 과정을 살펴보면, B국 공급자 아이디와 거래 번호 입력으로 결제 대금 이체 요청하면, B국 은행 승인 서버에서 공급자의 휴대폰에 공급자 승인요청, 승인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수요자 측 은행인 A국 은행에서 수요자에게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 대금 공급자 이체에 대한 승인요청, 승인 동작을 수행한다. A국 은행 동결계좌 결제 대금의 A국 은행 코레스(CORRES) 계좌로 플러스 이체, 이와 동시에 B국 은행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결제 대금의 B국 은행 코레스(CORRES) 계좌로 마이너스 이체한다. 이때, 은행의 A, B국 코레스 계정과 별도로 국제간 전자상거래 허브 시스템인 전자 무역 허브 서버(130)의 국가별, 은행별 코레스 계정에 대차 등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과 같이 구성되는 시스템에서 국제간 전자무역 서비스를 위해서는 하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국가별 수출, 수입업자는 사전에 은행을 방문하여 은행에 전자무역에 사용할 계좌, 신용카드, 승인 휴대폰 번호를 등록하여 전자무역 아이디(ID)를 발급받아야하며, 전자무역의 특성상 무역금융의 한도 즉, 전자무역 전용한도를 설정한다. 만일 한도가 없을 시는 계좌의 잔고를 이용하여 거래할 수 있다.
A국 수입업자는 전자무역허브시스템에 접속하여 확정된 오퍼의 조건을 확정한다. 여기서, 오퍼의 조건은 대금 결제 조건, 상품 인도 조건 등과 같이 무역 거래를 위한 조건을 말한다. 오퍼의 당사자간 양측 모두 최종확정 시에는 대금결제를 위한 승인 요청이 이루어진다.
이후, A국 금융기관 내부의 승인 서버로 은행 중심 전자무역 결제 시스템은 대금 결제 데이터 및 거래 데이터를 전송한다.
승인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A국 수입업자의 휴대폰으로 음성 승인을 요청하며, 수입업자는 내역을 음성으로 확인하고 실시간으로 계좌 및 카드의 비밀번호 또는 승인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거래 내역의 문자를 전송할 수도 있고, 승인자가 다수일 경우에는 중복하여 승인을 요청한다. 여기서, 승인 요청은 전용앱을 통해서도 가능하고, 만약 승인 요청을 전용 앱을 통해 하면, 수입업자는 내역을 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승인 서버에서 승인번호를 확인하고, 승인 서버에 등록된 A국 수입업자의 한도계좌 및 계좌에서 결제대금을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이체한다. 또한 확정된 거래 내역을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DB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수출자 은행의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수입업자 결제대금과 동일한 금액이 생성되어 이체된다
그러면, B국의 수출업자는 B국 은행의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이체 완료되면 조건대로 상품을 인도한다. 이때 만일 이행증거금 이체가 필요할 경우, 승인 시스템의 절차를 거쳐 이행증거금 여신이나, 증거금을 계좌에서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이체시켜 넣을 수 있다. 수입업자에게는 이행증거금 이체를 통보한다.
이후, B국 수출업자는 조건대로 상품을 인도한 후, 인도 확인 신호 및 검수 완료 신호가 표시되면, 대금 이체 요청을 한다. 여기서, A국 수입업자의 수령 후 오프라인 방식으로 확인도 가능하다. 이때 B국 수출업자는 아이디, 거래번호를 입력하고 이체를 요청한다.
B국 은행의 승인 서버는 거래번호 및 수출자 아이디를 확인하고, B국 수출자의 휴대폰으로 승인을 요청한다. 승인 서버에서 승인이 확인되면, 전자 무역 허브 서버를 경유하여 A국의 승인 서버에 A국 수입업자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
그러면, A국의 승인 서버에서는 거래 번호에 따른 A국 수입업자의 휴대폰에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A국 수입업자의 승인이 완료되면 A국 은행 및 B국 은행의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이체되어 있는 무역결제 대금은 각각 코레스(CORRES) 계좌로 이체된다. 즉, A국 수입업자 국의 은행 코레스 계좌에는 -(마이너스)로 B국 수출업자국의 은행 코레스 계좌에는 +(플러스)로 이체된다.
또한, B국 은행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생성되어 있는 수입업자의 결제 대금은 코레스 계좌로 이체와 동시에 B국 수출업자 아이디(ID)와 매칭되어 있는 계좌로 자동 이체된다. 이후, 수출자 이행증거금 피드백 소멸된다.
상기 무역 거래에 대한 전자무역 시스템 수수료 또한 결제 승인 요청 시 자동으로 수수료 결제 내역이 떠오르며, 승인이 완료되면 자동 정산된다.
상기의 흐름은 A국 수입업자 B국 수출업자 간의 거래 흐름으로 설명하였지만, B국 수입업자 A국 수출업자의 경우에도 국가만 바뀌었을 뿐 그 거래 흐름은 동일할 것이다.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수입업자 및 수출업자의 승인이 완료되어 수출국 은행의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결제 대금이 발생되면, 수출업자는 오프라인 신용장 방식의 거래일 경우 생산을 위하여 내국신용장을 발행할 수 있으며, 또한 선적이 완료되면 금융기관에 네고(NEGO)를 요청할 수도 있다.
그러면, 전자 무역의 수출자 네고(NEGO) 대용을 위한 과정을 살펴보면, 수출업자의 무역금융 요청한다. 이때, 요청 시 전자무역 아이디, 무역거래번호 및 자국내 EDI를 이용하여 무역금융에 필요한 자료 전송한다. 신용장 근거의 네고가 아닌, 수입업자의 결제 시 생성된 전자무역결제예치계좌 대금을 근거로 무역금융금융 발생한다.
이후, 금융기관 승인 서버에서 아이디와 매칭된 수출업자 휴대폰으로 승인 요청, 수출자 승인 동작을 수행한다.
승인이 완료되면 등록된 거래번호에 따른 거래 내역과 전송된 무역금융에 필요한 자료를 금융기관은 검토하여 하자가 없을 시 승인하여 수출자의 결제계좌로 대금을 이체한다. 이때,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DB 서버에서 금융기관의 무역금융 담당자에게 검토를 위한 데이터가 자동 전송된다.
이때 대금(무역금융)은 전자상거래 전용자금으로 수출업자에게 이체시킬 수도 있다. 이는 자국내 기업간 전자상거래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즉, 수출업자가 자국 내 원부자재 구입 시 자국 내 기업간 거래를 통하여 대금을 지불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금융기관은 무역금융 승인할 때 내부의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결제 대금은 거래 조건 상 취소불능 거래의 결제 대금이지만, 기업의 신규여신으로 처리하며,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의 결제대금은 담보의 성격을 가진다. 만일 리스크가 있을 경우 금융기관은 별도로 담보를 요청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오프라인 방식으로 병행 처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기반의 수출자 생산자금 여신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기반의 수출자 생산자금 여신 제공을 위한 시스템은 A국 전자 무역 결제 허브 서버(20), 전자 무역 DB 서버(21), 전자 상거래 서버(22), 수출업자의 단말기(23), 구매 기업(24), A, B국 은행(25), 호스트(26), 승인 서버(27),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서버(28),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DB 서버(29), 공급자 단말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오프라인 거래 시 신용장이 도래하면 수출자는 생산을 위하여 내국 신용장 발행을 요청한다. 당 은행 중심 전자무역의 경우에도 수출자의 생산을 위한 내국신용장 발행에 준하는 시스템이 있다. 이는 수입업자의 결제 대금이 수출국 은행의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생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전자상거래 전용 한도 여신을 발생시킨다. 거래의 흐름은 하기와 같다.
수출업자 단말기(23)로부터 수출업자 요구에 따라 생산자금 요청이 있으면, A국 전자 무역 결제 허브 서버(20)는 승인요청 및 승인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은행의 담당자는 수입자의 동결계좌 이체대금 및 거래 내역 확인, 수출자의 평가 후 승인이 이루어지면, 전자상거래 전용한도 여신을 발생한다.
수출업자는 생산을 위하여 자국 내 공급자들에게 기업 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등록을 요청한다. 이때 자국 내 공급 기업들은 대금 결제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기에 은행 및 사이트에 전자상거래 아이디를 등록한다. 이때, 자국 내 공급기업들은 업종별, 산업별과 같은 분류에 의해 자국 내 전자상거래 데이터 뱅크에 분류 등록된다. 특히 구매기업을 중심으로 기업군 분류로 등록도 이루어진다.
이후, 수출자는 수출상품을 수출하기 위하여 등록된 기업들에 구매오퍼를 하며 확정이 되면 승인 및 결제를 요청하고, 승인 서버에서 승인이 확인되면 수출기업(구매기업)의 전자상거래 전용한도가 발생된 계좌에서 결제대금이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국내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로 이체되고, 공급기업이 상품을 인도한다.
상품의 조건대로 수요기업에 인도되면, 공급기업은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의 대금의 이체를 요청하고, 승인 서버에서 공급자 승인확인 및 수요기업의 승인을 확인한 후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에 이체되어 있는 대금을 공급자 결제계좌로 이체시킨다.
이는 국제간 전자무역과 국내 기업간 전자상거래의 결합 형태이고, 국제간 결제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에 생성된 결제대금을 근거로 수출자의 국내 구매조달 전자상거래 전용여신을 발생시켜 수출업자가 국내기업에 원부자재 구매 시 국내 기업간 전자상거래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에 결제대금이 이체되는 형태이다.
그러면, 이제 국제간 전자 무역을 위한 전자 상거래(B2B, C2C) 흐름에 대하여 도 1 및 하기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에서 공급자 물건 등록을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수요자와 공급자의 승인 서버 등록이 완료된 상태임을 전제로, B국 공급자가 물건을 등록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또한, 도 1에서 제2 단말기(102)가 B국의 공급자 단말기임을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B국 공급자 단말기(110)는 B국 전자무역 DB 서버(122)에 공급자의 조작에 따라 아이디, 등록할 물건의 프로필, 가격조건을 입력한 후 공급자 즉, 수출업자 승인을 요청한다.(S302) 이때, 수출업자 승인은 수출업자의 휴대폰을 통해 승인을 요청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수출업자 승인이 이루어지면 국제간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상품 등록이 완료된다.(S302 ~ S304)
이후, 승인이 완료되면 등록된 거래번호에 따른 거래 내역과 전송된 무역 금융에 필요한 자료를 검토 후 수출자의 결제 계좌로 대금을 이체한다.(S306) 이와 같이 등록이 완료된 물건의 프로필은 각국별 언어로 번역되어 서비스 될 수도 있다.
이때, 국제 간 결제 시 상호 신뢰를 위하여 공급자에게 물건 등록 시 이행을 담보하기 위하여 이행 증거금을 약정된 금액만큼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실시간 이체 시켜 놓을 수도 있다. 이 이행 증거금은 거래 종료 시점에 공급자계좌에 결제 대금 이체가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여신일 경우는 소멸되며, 현금 또는 카드일 경우 피드백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에서 수용자 물건 구매를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A국 수요자가 B국 공급자가 등록한 상품을 구매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또한, 도 1에서 제1 단말기(100)가 A국의 수요자 단말기임을 가정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A국 수요자 단말기(100)는 수요자의 입력에 따라 B국 공급자의 물건 구매를 위하여 물건을 선택한 후 수요자 아이디를 입력하여 A국 전자 무역 DB 서버(120)로 결제 승인을 요청한다.(S400)
이후, 구매 상세 내역과 결제 승인 요청정보는 A국 은행의 승인 서버(140)로 전송되어 A국 수요자의 승인을 요청, 승인 동작을 수행한다.(S402)
A국 은행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결제 대금 이체를 요청하고, 거래 내역을 저장한다.
상기의 S404 단계 수행과 동시에 B국 은행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A국 은행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결제 대금과 동일한 금액의 결제 대금이 생성되어 이체하고, 거래 내역을 저장한다.
즉, 거래 내역인 거래 상세 데이터는 양국 공히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DB(170, 172)로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이체 시 동시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한편,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이체가 실현되면 공급자 등록 또는 수요자 구매 시 지정되거나 전자 무역 허브 서버(130) 지정의 배송업체에 의한 물류가 시작되고, 물류가 완료되면, 물류업체는 완료 신호를 입력한다. 완료 신호가 입력되어야 만이, 공급자는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이체 대금을 자신의 계좌로 이체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상품의 형태에 따라 완료 신호가 없어도 공급자가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이체 대금을 자신의 계좌로 이체 요청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에서 공급자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 결제대금 이체를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B국 공급자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결제대금 이체를 요청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B국 공급자의 단말기(102)는 B국 공급자 조작에 따라 B국 무역 DB 서버(122) 상의 B국 전자무역 결제 서버(112) 창에, 공급자 아이디와 거래번호를 입력되면, 아이디와 거래번호 입력으로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결제 대금의 이체 승인을 요청한다.(S500)
이후, 이체 승인 요청을 수신한 B국 전자 무역 DB 서버(122)는 공급자 휴대폰 즉, B국 공급자 단말기(102)에 공급자 승인 요청 및 승인 동작을 수행한다.(S502)
만약, B국 공급자 승인이 이루어지면, 국제 간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인 전자 무역 허브 서버(130), A국 전자 무역 DB 서버(120) 및 A국 전자 무역 결제 서버(110)를 통하여 A국 승인 서버(140)에서 A국 수요자의 휴대폰인 수용자 단말기(100)로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이체 대금의 B국 공급자 이체 승인을 요청한다. 이후, A국 수요자는 자신의 휴대폰을 통해 상기의 이체 승인 요청을 확인하고, A국 수요자로부터 승인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승인 서버(140)로 수요자가 승인함을 알린다.(S504)
그러면, 승인 서버(140)는 A, B국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의 결제대금은 A, B국 코레스(CORRES)계좌로 이체한다.(S506) 즉, A국 은행 코레스 계좌로 마이너스 이체를, B국 은행 코레스 계좌로 플러스 이체를 하는 것이다.(S506) 또한, B국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의 결제 대금은 이와 동시에 B국 공급자 결제 계좌로 이체된다.
상기의 S504 단계에서 수요자는 승인을 하지 않고 거부를 할 수 있으며, 이때부터는 클레임에 대한 상호 분쟁 조정을 한 후, 재 승인이 이루어진다.
그러면, 이제 수출자 생산자금 여신을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기반의 수출자 생산자금 여신 제공을 위한 시스템에서 수출자 생산자금 여신을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오프라인 거래 시 신용장이 도래하면 수출자는 생산을 위하여 내국 신용장 발행을 요청한다. 당 은행 중심 전자무역의 경우에도 수출자의 생산을 위한 내국신용장 발행에 준하는 시스템이 있다. 이는 수입업자의 결제 대금이 수출국 은행의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생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전자상거래 전용 한도 여신을 발생시킨다.
그러면, 수출자 생산자금 여신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출업자 단말기(23)로부터 수출업자 요구에 따라 생산자금 요청이 있으면, A국 전자 무역 결제 허브 서버(20)는 승인요청 및 승인 동작을 수행한다.(S600 ~S602)
이후, 은행의 담당자는 수입자의 동결계좌 이체대금 및 거래 내역 확인, 수출자의 평가 후 승인이 이루어지면, 전자상거래 전용한도 여신을 발생한다.(S604)
수출업자는 생산을 위하여 자국 내 공급자들에게 기업 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등록을 요청한다.(S606) 이때 자국내 공급기업들은 대금 결제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기에 은행 및 사이트에 전자상거래 아이디를 등록한다. 이때, 자국 내 공급기업들은 업종별, 산업별과 같은 분류에 의해 자국 내 전자상거래 데이터 뱅크에 분류 등록된다. 특히 구매기업을 중심으로 기업군 분류로 등록도 이루어진다.
이후, 수출자는 수출상품을 수출하기 위하여 등록된 기업들에 구매오퍼를 하며 확정이 되면 승인 및 결제를 요청한다.(S608)
또한, 승인 서버에서 승인이 확인되면 수출기업(구매기업)의 전자상거래 전용한도가 발생된 계좌에서 결제대금이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국내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로 이체되고, 공급기업이 상품을 인도한다.(S610)
상품의 조건대로 수요기업에 인도되면, 공급기업은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의 대금의 이체를 요청한다.(S612)
승인 서버에서 공급자 승인확인 및 수요기업의 승인을 확인한 후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에 이체되어 있는 대금을 공급자 결제계좌로 이체시킨다.(S614 ~ S616)
이는 국제간 전자무역과 국내 기업간 전자상거래의 결합 형태이고, 국제간 결제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에 생성된 결제대금을 근거로 수출자의 국내 구매조달 전자상거래 전용여신을 발생시켜 수출업자가 국내기업에 원부자재 구매 시 국내 기업간 전자상거래 전자상거래결제예치계좌에 결제대금이 이체되는 형태이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102 : 제1/제2 단말기 110, 112 : A, B국 전자 무역 결제 서버
120, 122 : A, B국 전자 무역 DB 서버
140, 142 : 승인 서버 150, 152 : 호스트
160, 162 :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서버
170, 172 :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DB
180, 182 : 코레스 계좌 190, 192: A, B국 EDI 서버
10, 20 : A, B국 은행

Claims (17)

  1. 고객별 국제 결제 전용 아이디를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와 매칭하여 관리하고, 대금 결제를 위해 수입자 단말기로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수입자 단말비로부터 승인 시 전송된 승인번호를 확인하여 상기 수입자의 계좌에서 결제대금을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이체하고, 동시에 수출자 은행의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수입자 결제 대금과 동일한 금액이 생성되어 이체되도록 하는 제1 승인 서버;
    고객별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를 관리하는 제1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서버;
    무역 거래를 위한 상품 정보를 수신하여 등록 및 관리하는 제1 전자 무역 DB 서버;
    상기 승인 서버로 대금 결제 데이터 및 거래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전자 무역 결제 서버;
    국제 간의 결제 승인이 이루어졌을 시 상대국 공급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승인 서버에서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결제대금을 생성 이체시키도록 동작하는 전자 무역 허브 서버; 및
    승인 요청을 수신 및 승인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수입자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인 서버는,
    상기 고객별 국제 결제 전용 아이디와 매칭된 고객의 승인 휴대폰번호, 전자상거래결제를 위한 계좌번호, 신용카드번호, 여신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고객별 결재 내역정보를 저장하는 제1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DB 서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승인 서버는,
    전자상거래 시 결제 내역정보를 임시 저장하였다가, 결제 승인이 이루어졌을 시 은행의 주 계정 호스트에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이체를 실현시키며, 이때 거래 상세 내역은 상기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DB 서버로 동시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자국 내 은행의 계정을 관리하고,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의 이체를 실행하는 제1 호스트;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승인 서버는,
    국제 간의 결제 승인이 이루어졌을 시 자국 내 은행의 주 계정인 상기 호스트에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이체를 실현시키며, 동시에 상기 전자무역 허브 서버를 통하여 상대국 공급자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승인 서버에서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결제대금을 생성 이체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수출자 조작에 따라 상품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전자 무역 DB 서버를 통해 상기 전자 무역 허브 서버로 상품을 등록하고, 승인 요청을 수신 및 승인을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수출자 단말기;
    상기 수출자 단말기로부터 상품 인도에 따른 확인 및 검수 완료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출자 단말기로부터 거래번호 및 수출자 아이디를 제공받아 상기 수출자의 단말기로 승인을 요청하고, 승인이 확인되면, 상기 전자 무역 허브 서버를 경유하여 상기 제1 승인 서버에 상기 수출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거래번호에 대한 수입자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제2 승인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인 서버는,
    상기 제2 승인 서버로부터 수신한 거래 번호에 대한 상기 제1 수입자 단말기에 결제 승인을 요청하고, 상기 제1 수입자의 승인이 완료되면 제1국 은행 및 제2국 은행의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이체되어 있는 무역결제 대금은 각각 코레스(CORRES) 계좌로 이체되도록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인 서버는,
    각각 코레스(CORRES) 계좌로 이체할 시 제1국 수입자 국의 은행 코레스 계좌에는 마이너스로 제2국 수출자국의 은행 코레스 계좌에는 플러스로 이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8. 전자 무역 허브 서버에 접속하여 확정된 오퍼의 조건을 확정하고, 당사자 간 모두 최종확정 시 대금결제를 위한 승인을 요청하는 과정;
    제1국 금융기관 내부의 제1 승인 서버로 대금 결제 데이터 및 거래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제1 승인 서버에 등록된 수입자 단말기로 승인 요청 및 수입자로부터 비밀번호 또는 승인번호를 입력받는 과정;
    상기 제1 승인 서버에서 승인번호를 확인하고, 상기 제1 승인 서버에 등록된 제1국 수입자의 한도계좌 및 계좌에서 결제대금을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이체하고, 확정된 거래 내역을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DB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
    상기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이체 완료되면, 조건대로 상품을 제2국 수출자로 인도됨이 확인 및 검수 완료되면 대금 이체를 요청하는 과정;
    제2 승인 서버에서 거래 번호 및 수출자 아이디를 수출자 단말기를 통해 확인하여 상기 수출자 단말기로 승인을 요청한 후 승인이 확정되면 상기 전자 무역 허브 서버를 경유하여 제1 승인 서버에 제1국 수입자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과정;
    제1 수입업자 결제 승인이 완료되면, 제1국 은행 및 제2국 은행의 전자상거래결제 예치 계좌에 이체되어 있는 무역결제 대금을 각각 코레스 계좌로 이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9. 공급자 단말기는 전자무역 DB 서버에 공급자의 조작에 따라 상품 등록을 위한 아이디, 등록할 물건의 프로필, 가격조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
    상기 상품 등록을 위한 입력 후 수출자 승인을 요청하는 과정;
    공급자 승인이 이루어지면 국제간 전자상거래 사이트에 상품 등록이 완료하는 과정;
    상기 승인 완료에 따라 승인 서버는 등록된 거래번호에 따른 거래 내역과 전송된 무역 금융에 필요한 자료를 검토 후 공급자의 결제 계좌로 대금을 이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등록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은,
    국제 간 결제 시 상호 신뢰를 위하여 공급자에게 상품 등록 시 이행을 담보하기 위하여 이행 증거금을 약정된 금액만큼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실시간 이체시키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행 증거금은 거래 종료 시점에 상품을 등록한 공급자 계좌에 결제 대금 이체가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여신일 경우는 소멸되며, 현금 또는 카드일 경우 피드백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자 승인을 요청하는 과정은,
    상기 공급자의 휴대폰을 통해 승인을 요청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등록이 완료하는 과정은,
    상기 등록이 완료된 물건의 프로필을 각국별 언어로 번역되어 서비스 될 수도 있도록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13. 수요자 단말기는 수요자의 입력에 따라 공급자의 상품 구매를 위하여 상품을 선택한 후 수요자 아이디를 입력하여 제1 전자 무역 DB 서버를 통해 전자 무역 허버 서버로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과정;
    구매 상세 내역과 결제 승인 요청정보는 제1국 은행의 제1 승인 서버로 전송되어 제1국 수요자의 승인을 요청, 승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제1국 은행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결제 대금 이체를 요청하고, 거래 내역을 저장함과 동시에 제2국 은행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제1국 은행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결제 대금과 동일한 금액의 결제 대금이 생성되어 이체하고, 거래 내역을 저장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14. 공급자 단말기는 공급자 조작에 따라 제2국 전자 무역 DB 서버 상의 B국 전자무역 결제 서버에, 공급자 아이디와 거래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아이디와 거래번호 입력으로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결제 대금의 이체 승인을 제2국 전자 무역 DB 서버로 요청하는 과정;
    상기 이체 승인 요청을 수신한 제2국 전자 무역 DB 서버는 공급자 단말기에 공급자 승인 요청 및 승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상기 공급자 승인이 이루어지면, 국제 간 전자상거래 결제 시스템인 전자 무역 허브 서버를 통해 제1국 승인 서버로 이를 알려, 상기 제1국 승인 서버가 수요자 단말기로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 이체 대금의 제2국 공급자 이체 승인을 요청하는 과정;
    수요자 단말기는 수용자 조작에 따라 이체 승인을 위한 입력이 있으면, 제1 승인 서버로 수요자가 승인함을 알리는 과정;
    상기 제1 승인 서버는 제1국, 제2국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의 결제대금을 제1국, 제2국 코레스(CORRES)계좌로 이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하는 과정은,
    제1국 은행 코레스 계좌로 마이너스 이체를, 제2국 은행 코레스 계좌로 플러스 이체하는 과정;
    제2국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의 결제 대금을 공급자 결제 계좌로 이체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16. 수출자 단말기로부터 수출자 요구에 따라 생산자금 요청이 있으면, 제1국 전자 무역 결제 허브 서버는 승인요청 및 승인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
    수입자의 동결계좌 이체대금 및 거래 내역 확인, 수출자의 평가 후 승인이 이루어지면, 전자상거래 전용한도 여신을 발생하는 과정;
    상기 수출자 단말기는 수출자의 조작에 따라 생산을 위하여 자국 내 공급자들에게 기업 간 전자상거래 시스템 등록을 요청하는 과정;
    상기 수출자 단말기는 수출자의 조작에 따라 수출상품을 수출하기 위하여 등록된 기업들에 구매오퍼를 하며 확정이 되면 승인 및 결제를 요청하는 과정;
    승인 서버에서 승인이 확인되면 수출기업의 전자상거래 전용한도가 발생된 계좌에서 결제대금이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로 이체하는 과정;
    상품의 조건대로 수요기업에 인도되면, 공급기업은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의 대금의 이체를 요청하는 과정;
    상기 승인 서버에서 공급자 승인확인 및 수요기업의 승인을 확인한 후 전자상거래 결제 예치 계좌에 이체되어 있는 대금을 공급자 결제계좌로 이체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상거래 시스템 등록을 요청하는 과정은,
    자국 내 공급기업들은 대금 결제의 안정성이 확보되어 있기에 은행 및 사이트에 전자상거래 아이디를 등록하도록 요청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KR1020140182155A 2014-12-17 2014-12-17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KR20160073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155A KR20160073626A (ko) 2014-12-17 2014-12-17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155A KR20160073626A (ko) 2014-12-17 2014-12-17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626A true KR20160073626A (ko) 2016-06-27

Family

ID=56344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155A KR20160073626A (ko) 2014-12-17 2014-12-17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362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270B1 (ko) * 2017-09-04 2019-02-26 중소기업은행 외환특이거래 분석장치 및 방법
CN112148796A (zh) * 2020-09-28 2020-12-29 中钞信用卡产业发展有限公司杭州区块链技术研究院 一种电子贸易单据共享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2148796B (zh) * 2020-09-28 2024-05-31 中钞信用卡产业发展有限公司杭州区块链技术研究院 一种电子贸易单据共享方法、装置、设备及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647B1 (ko) 2010-08-20 2011-02-28 주식회사 페이브릿지 국제 무역 결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647B1 (ko) 2010-08-20 2011-02-28 주식회사 페이브릿지 국제 무역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270B1 (ko) * 2017-09-04 2019-02-26 중소기업은행 외환특이거래 분석장치 및 방법
CN112148796A (zh) * 2020-09-28 2020-12-29 中钞信用卡产业发展有限公司杭州区块链技术研究院 一种电子贸易单据共享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12148796B (zh) * 2020-09-28 2024-05-31 中钞信用卡产业发展有限公司杭州区块链技术研究院 一种电子贸易单据共享方法、装置、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4023B2 (en) Automated submission of prepaid programs
US8626599B2 (en) Payment processing system debt conversion notification
US20190220856A1 (en) Techniques for conducting transactions utilizing cryptocurrency
US20120166334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dentity based transactions
CN103270523A (zh) 延期支付以及选择性的资金和支付
US20140074690A1 (en) Digital receipt router
US20090125440A1 (en) Method and system for approving credit card transactions
US103040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offering products using linked transactions
CN104077699A (zh) 用于电商平台的支付数据处理方法和系统
US20130290176A1 (en) Transaction service purchase options via a payment provider
SG188187A1 (en) Network secure pay-as-you-go system
US20160140557A1 (en) E-commerce based payment system with authentication of electronic invoices
KR20100015656A (ko) 국제간의 전자상거래 방법
KR100960285B1 (ko) 신용카드 시스템을 응용한 바이어 뱅크 중심의 국제 무역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1025563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eller-initiated financing in private sales
KR100623429B1 (ko) 거래 중개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통한 거래 방법
US20150213520A1 (en)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asset conformation and/or valuation for a customer making a purchase
KR20200055439A (ko) 셀러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787423B1 (ko) 통합구매프로세스를 진행하는 전자구매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60073626A (ko) 국제간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전자 무역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방법
CN110945551A (zh) 用于维护公共网络上的交易完整性的系统、方法和计算机程序产品
KR101725632B1 (ko) 해외전자상거래 온라인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965100B1 (ko) 해외 오픈마켓의 대금 정산시스템 및 정산 방법
KR20240057797A (ko) 은행중심의 국내 및 국제 무역 결제 프로세스
KR20020094453A (ko) 상품 중개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