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581A - System for measuring volume electricla resistivity of DC cable - Google Patents

System for measuring volume electricla resistivity of DC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581A
KR20160073581A KR1020140182041A KR20140182041A KR20160073581A KR 20160073581 A KR20160073581 A KR 20160073581A KR 1020140182041 A KR1020140182041 A KR 1020140182041A KR 20140182041 A KR20140182041 A KR 20140182041A KR 20160073581 A KR20160073581 A KR 20160073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insulating layer
layer
conductor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20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49186B1 (en
Inventor
홍성표
강채홍
이수길
이태호
채병하
이수봉
최승명
정의환
김윤형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2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186B1/en
Publication of KR20160073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58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1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025Measuring very high resistances, e.g. isolation resistances, i.e. megohm-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Relating To Insul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to measure volume resistivity of a DC cable including a conductor, an inner semiconductor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n outer semiconductor layer. The system comprises: a measurement electrode unit which is mount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an exposed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DC cable; a resistance terminal which is connected to an exposed conductor of both ends of the DC cable and surrounds the exposed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a reinforcement insulating layer which surrounds the exposed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DC cable; a voltage supply unit which applies a voltage to the conductor of the DC cable; and an ammeter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electrode unit to measure the electric current.

Description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 {System for measuring volume electricla resistivity of DC cabl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olume resistance measuring system for a DC cable,

본 발명은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easuring the volume resistance of a DC cable.

일반적으로 케이블을 설계하는 경우에 전계분포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DC(direct current) 케이블에 인가되는 DC 전계의 경우에 상기 DC 케이블의 절연재료의 체적고유저항에 따라 전계가 분포되는 저항성 전계 분포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DC 케이블의 설계를 위해서는 상기 DC 케이블의 절연층의 체적고유저항을 아는 것이 필요하다. In general,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when designing a cabl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DC electric field applied to a DC (Direct Current) cable, a resistive electric field in which an electric field i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volume resistivity of the insulating material of the DC cabl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Therefore, in order to design the DC cable, it is necessary to know the volume resistivity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DC cable.

상기 DC 케이블의 절연층을 이루는 원재료의 체적고유저항은 측정되고 있지만, 이는 상기 DC 케이블의 제품에 적용되기 전에 얇은 판 형상의 측정용 시편을 제작하여 체적고유저항을 측정하게 된다. 그러므로, 실제로 상기 원재료가 DC 케이블에 적용되는 경우에 체적고유저항값의 측정이 필요하게 된다.Volumetric resistivity of the raw material constituting the insulation layer of the DC cable is measured. However, before application to the DC cable product, a thin plate-like measurement specimen is prepared and the volume resistivity is measured. Therefore, when the raw material is actually applied to the DC cable, measurement of the volume resistivity value becomes necessary.

도 6은 종래 방법에 따른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장치를 도시한다.6 shows a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volume resistance of a cable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전술한 바와 같이, 측정용 시편을 제작하여 측정하는 경우에 얇은 판 형상으로 제작하게 되므로, DC 전압을 인가하여 높은 전계에서도 측정이 가능하다. 하지만, 실제 DC 케이블의 경우에 절연층의 두께가 측정용 시편에 비해 현저히 두꺼우므로 높은 전계를 인가하기 위해서는 전압 인가를 위한 구성이 필수적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a measurement specimen is manufactured and measured, it is manufactured in a thin plate shap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easure even a high electric field by applying a DC voltage. However, in the case of an actual DC cable,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ng layer is considerably thicker than that of the measuring specimen, and therefore, a configuration for applying a voltage is necessary in order to apply a high electric field.

도 6을 참조하면, 종래의 케이블 체적저항측정장치(10)는 DC 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미도시)을 일부 제거하고 절연층(14)이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의 도체(15)에 전압공급부(12)를 연결하여 전압을 인가한다. 한편, 상기 노출된 절연층(14)의 표면에는 전극부(16)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부(16)에 전류계(18)가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전압공급부(12)에 의해 인가된 전압(V)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전류계(18)에 의해 흐르는 전류(I)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6, a conventional cable volume resistance measuring apparatus 10 removes a part of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not shown) of a DC cable and applies a voltage (voltage) to the conductor 15 of the cable in a state in which the insulating layer 14 is exposed The supply unit 12 is connected to apply a voltage. An electrode section 16 is provid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14 and an ammeter 18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section 16. The voltage V applied by the voltage supply unit 12 can be known and the current I flowing through the ammeter 18 can be measured.

한편,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DC 케이블의 체적고유저항(ρ)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volume resistivity p of the DC cable to be measured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전압(V)과 전류(I)는 각각 상기 전압공급부(12) 및 전류계(18)에 의해 측정이 가능하다. 나아가, 상기 'A'는 체적고유저항을 측정하고자 하는 상기 DC 케이블의 절연층의 유효면적을 나타내므로, 실제 DC 케이블의 절연층의 면적을 측정하여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l'은 상기 절연층의 절연두께를 나타내므로 실제 DC 케이블의 절연층의 두께를 측정하여 알 수 있다.The voltage V and the current I can be measured by the voltage supply unit 12 and the ammeter 18, respectively. Further, 'A' represents the effective area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DC cable for which the volume resistivity is to be measured, so that it can be known by measuring the area of the insulating layer of the actual DC cable. Also, '1' represents the insulation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so that it can be known by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insulation layer of the DC cable.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구성에서는 기중, 즉 공기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측정이 이루어지므로 연면거리 확보를 위해 상기 도체로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상기 외부반도전층을 상대적으로 긴 거리 이상으로 제거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 구성에서는 제거되고 남아있는 외부반도전층(미도시)의 단부와 도체(15) 단부에 전계가 집중되어 원하는 목표전계를 인가하기 힘들고, 상기 목표전계에 도달하기 전에 국부 방전으로 인하여 실험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수반한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since measurement is performed in a state of air, that is, in the presence of air, it is troublesome to remove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over a relatively long distance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nductor in order to secure the creepage distance there was. Further, in the conventiona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apply a desired target electric field because the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on the end of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not shown) and the end portion of the conductor 15 that are removed and left, Which leads to the problem that the experiment is difficul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을 측정하는 경우에 상기 DC 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을 제거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는 체적저항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olume resistance measuring system capable of reducing the inconvenience of removing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of the DC cable in measuring the volume resistance of the DC cabl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을 측정하는 경우에 상기 DC 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의 단부 및 도체의 단부에 전계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높은 전계인가를 가능하도록 하는 체적저항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olume resistance measuring system for preventing the electric field from being concentrated on the end of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of the DC cable and the end of the conductor when measuring the volume resistance of the DC cable, thereby enabling a high electric field to be applied .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도체, 내부 반도전층, 절연층 및 외부 반도전층을 포함하는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을 측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DC 케이블의 노출된 상기 절연층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는 측정전극부, 상기 DC 케이블 양단부에 노출된 도체와 연결되며 상기 노출된 절연층을 감싸는 저항단말부, 상기 DC 케이블의 상기 노출된 절연층을 감싸는 보강절연층, 상기 DC 케이블의 도체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공급부 및 상기 측정전극부와 연결되어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 system for measuring a volume resistance of a DC cable including a conductor,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the system comprising: A resistance terminal portion connected to a conductor exposed at both ends of the DC cable and surrounding the exposed insulation layer, a reinforcing insulation layer surrounding the exposed insulation layer of the DC cable, And a current measuring unit connected to the measuring electrode unit for measuring a current.

여기서, 상기 노출된 절연층의 외주를 따라 상기 측정전극부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드전극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sensing electrode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guard electrode unit spaced apart from the measurement electrode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n outer periphery of the exposed insulating layer.

한편, 상기 보강절연층은 상기 측정전극부, 가드전극부 및 저항단말부 사이의 노출된 상기 절연층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exposed insulating layer between the measuring electrode portion, the guard electrode portion, and the resistance terminal portion.

또한, 상기 측정전극부 및 가드전극부는 상기 DC 케이블의 외부 반도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easurement electrode portion and the guard electrode portion may be formed of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of the DC cabl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을 측정하는 경우에 상기 DC 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을 측정전극부 또는 가드전극부로 활용하여 상기 외부반도전층을 제거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the volume resistivity of the DC cable is measured, the external semiconductive layer of the DC cable is used as the measuring electrode portion or the guard electrode portion to remove the external semiconductive layer .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을 측정하는 경우에 상기 DC 케이블의 도체와 외부반도전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저항단말부를 구비하여 상기 외부반도전층의 단부 및 도체의 단부에 전계가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여 높은 전계인가를 가능하도록 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sistance terminal portio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ductor of the DC cable and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when measuring the volume resistance of the DC cable, so that the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on the end of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and the end portion of the conductor So that a high electric field can be applied.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DC 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의 회로도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에서 DC 케이블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에서 상기 DC 케이블의 등전위 분포 및 종래의 측정장치에서 등전위 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에서 상기 DC 케이블의 전계분포 및 종래의 측정장치에서 전계분포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C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ircuit diagram of a volume resistance measuring system of a DC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DC cable in a volume resistance measurement system of a DC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the equipotential distribution of the DC cable and the equipotential distribution in the conventional measuring apparatus in the volume resistance measuring system of the DC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n electric field distribution of the DC cable and a field distribution in a conventional measuring apparatus in a volume resistance measuring system of a DC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onventional apparatus for measuring a volume resistance of a DC cabl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DC 케이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DC c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DC 케이블(110)은 중심부를 따라 도체(112)를 구비한다. 도체(112)는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게 되며,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체(112)는 복수개의 소선을 연선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the DC cable 110 has a conductor 112 along a center portion thereof. The conductor 112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current flows, and may be made of, for example, copper or aluminum. The conductor 112 is formed by stranding a plurality of small wires.

그런데, 도체(112)는 그 표면이 평활하지 않아 전계가 불균일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도체(112) 표면과 후술하는 절연층(120) 사이에 공극이 생기게 되면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체(112) 외부를 반도전성 카본지와 같은 반도전성 물질 등으로 감싸게 되며, 반도전성 물질에 의해 형성된 층을 내부반도전층(114)으로 정의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112 is not smooth, the electric field may be uneven, and a corona discharge tends to occur partially. In addition, when a gap is form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112 and the insulating layer 120 described later, the insulating performance may be deteriorat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uter surface of the conductor 112 is covered with a semiconductive material such as semiconductive carbon paper, and a layer formed by the semiconductive material is defined as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114.

내부반도전층(114)은 도체면의 전하분포를 고르게 하여 전계를 균일하게 하여 후술하는 절연층(120)의 절연내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나아가, 도체(112)와 절연층(120) 간의 간격형성을 방지하여 코로나 방전 및 이온화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내부반도전층(114)은 DC 케이블(110) 제작 시에 절연층(120)의 도체(112) 내부 침투를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114 improves the dielectric strength of the insulating layer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making the electric charge distribution on the conductive surface uniform and making the electric field uniform. Further, the formation of the gap between the conductor 112 and the insulating layer 120 is prevented to prevent corona discharge and ionization.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114 also prevents penetr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120 into the conductor 112 when the DC cable 110 is manufactured.

내부반도전층(114)의 바깥쪽에는 절연층(120)이 구비된다. 절연층(120)은 도체(112)를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켜준다. 일반적으로 절연층(120)은 파괴전압이 높고, 절연성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유전손실이 적으며 내열성 등의 열에 대한 저항 성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절연층(120)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사용되며,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가교 수지일 수 있으며 가교제로서 실란 또는 유기 과산화물, 예를 들어, 다이큐밀퍼옥사이드(DCP)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An insulating layer 120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114. The insulating layer 120 electrically insulates the conductor 112 from the outside. Generally, the insulating layer 120 should have a high breakdown voltage and be able to maintain the insulating performance for a long period of time. Furthermore, it should have low dielectric loss and resistance to heat such as heat resistance. Therefore, a polyolefin resin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is used for the insulating layer 120, and a polyethylene resin is preferable. The polyethylene resin may be a crosslinked resin, and may be produced by a silane or an organic peroxide such as, for example, dicumylperoxide (DCP) as a crosslinking agent.

하지만, 상기 절연층(120)은 전력 케이블에 직류 고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도체(112)로부터 내부반도전층(114), 절연층(120) 등으로 전하가 주입되고 이의 영향으로 절연층(120) 내에 공간전하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형성된 공간전하는 케이블의 사용시간에 따라 절연층(120) 내에 축적되고 이렇게 축적된 공간전하는 케이블에 임펄스 전압이 인가되거나 케이블에 인가된 직류전압의 극성이 급격하게 반전되는 경우 도체(112) 근방의 전계강도를 급격히 상승시켜 전력 케이블의 절연 파괴전압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유발한다.However, when the direct current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power cable, the insulation layer 120 injects charges from the conductor 112 into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114, the insulation layer 120, and the like, A space charge can be formed. The generated space charge is accumulated in the insulating layer 120 according to the use time of the cable, and the accumulated space charge is applied to the cable, or when the polarity of the DC voltage applied to the cable is abruptly reversed, An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is rapidly increased to lower the dielectric breakdown voltage of the power cable.

이에 상기 절연층(120)은 가교 수지 외에 무기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기입자는 나노크기의 규산알루미늄, 규산칼슘, 탄산칼슘, 산화마그네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절연층의 임펄스 강도 측면에서, 상기 무기입자로서 산화마그네슘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마그네슘 천연광석으로부터 얻을 수 있지만, 해수중의 마그네슘 소금을 이용한 인공 합성원료로부터도 제조할 수 있으며, 고순도로 품질이나 물성이 안정된 재료로 공급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The insulating layer 120 may include inorganic particles in addition to the crosslinked resin. The inorganic particles may be nano-sized aluminum silicate, calcium silicate, calcium carbonate, magnesium oxide, or the like.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the impulse strength of the insulating layer, magnesium oxide is preferable as the inorganic particles. The magnesium oxide can be obtained from magnesium natural ore, but can also be prepared from artificial synthetic materials using magnesium salt in seawater, and it is also possible to supply the material with high purity and stable quality and physical properties.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기본적으로 면심입방구조의 결정 구조를 갖지만 합성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 순도, 결정화도, 물성 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화마그네슘은 정육면체형(cubic), 적층형(terrace), 막대형(rod), 다공성(porous), 구형(spherical)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특이한 물성에 따라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산화마그네슘을 비롯한 무기입자는 케이블에 전계 인가 시 기재 수지와 무기입자의 경계에 퍼텐셜 우물(potential well)을 형성함으로써 전하의 이동 및 공간전하 축적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한다.Although the magnesium oxide has a crystal structure of a face-centered cubic structure, it may have various shapes, purity, crystallinity, physical properties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synthesis method. Specifically, the magnesium oxide is divided into a cubic shape, a terrace shape, a rod shape, a porous shape, and a spherical shape. The magnesium oxide may be variously used depending on its specific physical properties. Such inorganic particles including magnesium oxide exhibit an effect of suppressing the movement of charges and the accumulation of space charges by forming a potential well at the boundary between the base resin and the inorganic particles when an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the cable.

그러나, 상기 절연층(120)에 첨가되는 무기 입자는 다량 첨가시 불순물로서 작용하고, 소함량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전력 케이블에서 요구되는 또 하나의 중요 특성인 임펄스 강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는 바, 상기 무기 입자만으로는 축적된 공간전하를 충분히 저감할 수 없기 때문에 0.2 내지 5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inorganic particles added to the insulating layer 120 act as impurities when added in a large amount and have a problem of lowering the impulse strength, which is another important characteristic required in a power cable even when used in small amounts, Since the accumulated space charge can not be sufficiently reduced by the inorganic particles alone, it is preferable to add 0.2 to 5 parts by weight.

한편, 상기 절연층(120)은 절연지를 내부반도전층(114) 표면에 감는 지절연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절연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체(112) 표면에 절연지가 감긴 상태에서 절연유에 함침시키게 된다. 상기 함침공정을 통해 절연유가 절연지에 흡수되며, 상기 절연유의 점도에 따라 'OF(oil filled) 케이블'과 'MI(mass impregnated) 케이블'로 구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formed through an insulation process in which insulating paper is wound around the surface of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114. At this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insulation characteristic, the insulator is impregnated in the insulating oil while the insulator is wound on the surface of the conductor 112. The insulating oil is absorbed by the insulating paper through the impregnation process and can be divided into 'OF (oil filled) cable' and 'MI (mass impregnated) cable' depending on the viscosity of the insulating oil.

OF 케이블은 상대적으로 저점도의 절연유를 사용하여 절연지를 함침하게 되며, 절연유를 가압하여 유압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한 채로 작동시켜야 하므로 연장 길이가 제한적이다. 이에 비하여, MI 케이블은 상대적으로 고점도의 절연유를 사용하여 절연지를 함침하게 되므로 절연지 내에서 절연유의 유동이 적어서 유압을 유지할 필요가 없는 바 연장 길이가 긴 장점이 있다.The OF cable is impregnated with insulating paper using a relatively low-viscosity insulating oil. Since the oil must be pressurized to keep the hydraulic pressure at a certain level, the extension length is limited. On the other hand, the MI cable impregnates insulating paper using a relatively high-viscosity insulating oil, so there is a merit that the length of the extension is long since there is no need to maintain the hydraulic pressure because the flow of the insulating oil is small in the insulating paper.

상기 절연층(120)은 복수의 절연지를 감싸서 형성되며, 예를 들어 크래프트지(Kraft paper) 또는 크래프트지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반복적으로 감싸서 형성될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formed by wrapping a plurality of insulating paper, for example, by repeatedly wrapping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kraft paper or kraft paper and polypropylene resin.

구체적으로, 크래프트지(Kraft paper) 만을 권취하여 절연층을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복합 절연지, 예컨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의 상하면에 크래프트지가 적층된 구조의 절연지를 권취하여 절연층을 형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an insulating layer may be formed by winding only a kraft paper, but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nsulating layer by winding an insulating pap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kraft paper is lamin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 composite insulating paper such as a polypropylene resin can do.

크래프트지만을 권취하여 절연유를 함침시킨 MI 케이블의 경우에는 케이블 작동 시(통전시) 케이블 도체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반경방향으로 안쪽, 즉 상기 내부반도전층 방향의 절연층 부분에서 반경방향으로 바깥쪽, 즉 후술하는 외부반도전층 방향의 절연층 부분으로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고온인 내부반도전층 쪽의 절연층 부분의 절연유가 점도가 낮아지고 열팽창을 하여 외부반도전층 쪽의 절연층으로 이동하게 되며, 온도 하강 시에는 열팽창에 의하여 이동한 절연유가 점도가 높아지고 원래대로 되돌아가지 않게 되어 반경방향으로 안쪽, 즉 내부반도전층 쪽의 절연층 부분에 기포가 발생하게 되어 절연 성능의 저하를 야기한다.In the case of a MI cable in which a craft is wound and impregnated with an insulating oil, the MI cable is radially inward due to the current flowing in the cable conductor during operation of the cable (during energization), that is, radially outward in the insulating layer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That is, a temperature difference occurs in a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in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direction described later. Therefore, the viscosity of the insulating oil in the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at the higher temperature, that is, the upper half of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is lowered and thermally expanded to move to the insulating layer at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side. So that air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radially inward portion, that is, in the insulating layer portion on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side, resulting in lowering of the insulation performance.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복합 절연지로 절연층을 형성하는 경우, 케이블 작동 시 기름에 함침되지 않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가 열팽창함으로써 절연유의 유동을 억제할 수 있으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절연 저항이 크래프트지보다 크기 때문에 기포가 생성되더라도 기포에 분담되는 전압을 완화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forming the insulating layer with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as described above, the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olypropylene resin which is not impregnated with the oil during the operation of the cable thermally expands, so that the flow of the insulating oil can be suppressed. Since the insulation resistance is larger than that of the craft paper, even if bubbles are generated, the voltage shared by the bubbles can be mitigated.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절연유가 함침되지 않기 때문에 중력에 의하여 절연유가 케이블 직경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케이블 제조시의 함침 온도 또는 케이블 작동시의 작동 온도에 따라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열팽창하여 크래프트지에 면압을 가하게 되므로 절연유의 유동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olypropylene resin is not impregnated with the insulating oil,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low of the insulating oil in the cable diameter direction due to gravity.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impregnation temperature during cable production or the operating temperature during cable operation, The thermal expansion causes the surface pressure to be applied to the kraft paper, so that the flow of the insulating oil can be further suppressed.

복합 절연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의 일면에 크래프트지를 적층한 것, 크래프트지의 상하면에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적층한 것 또는 크래프트지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를 교대로 4층 이상으로 적층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의 작용 및 효과는 상기한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수지의 상하면에 크래프트지가 적층된 구조의 절연지의 경우와 같다.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may be prepared by laminating kraft paper on one side of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olypropylene resin, thermoplastic resin such as polypropylene resin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kraft paper, or thermoplastic resin such as kraft paper and polypropylene resin alternately in four layers Or the like can be used. In this case, the action and effec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insulating paper having a structure in which a craft paper is laminat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above-mentioned polypropylene resin.

또한, 상기 절연층(120)은 상기 복합 절연지를 권취하여 형성하되 내부반도전층(114)과 접하는 면과 외부반도전층(125)과 접하는 면 중 어느 한 면 또는 양면 모두를 크래프트지로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부반도전층(114)과 접하는 면과 외부반도전층(125)과 접하는 면 모두를 크래프트지로 권취하여 형성할 수 있다.The insulating layer 120 may be formed of a kraft paper by winding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so that both the surface contacting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114 and the surface contacting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25 can be formed of kraft paper. , Preferably both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114 and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25 can be formed by winding with a kraft paper.

이 경우, 복합 절연지보다 저항률이 낮은 크래프트지가 절연층의 내부반도전층(114)과 접하는 면 또는 외부반도전층(125)과 접하는 면 중 한 면 또는 양면 모두에 형성되므로 임펄스 파괴의 기점인 절연층과 내부반도전층이 접하는 부분 또는 절연층과 외부반도전층이 접하는 부분에 기포가 생기더라도 크래프트지층의 전계 완화 효과에 의해서, 임펄스 파괴 특성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또한, 크래프트지는 임펄스 파괴에 대한 극성 효과가 거의 없기 때문에, 플라스틱 래미네이트 종이를 이용한 것에 의해 발생하는 임펄스 극성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kraft paper having a resistivity lower than that of the composite insulating paper is formed on one surface or both surfaces of the insulating layer contacting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114 or the surface contacting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25, Even if air bubbles are generated in a portion where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is in contact or in a portion where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event impulse breakdown characteristics from deteriorating due to the electric field relaxation effect of the kraft ground layer. In addition, since the craft paper has little polarity effect on impulse breakage, it can reduce the impulse polarity effect caused by using plastic laminate paper.

한편, 절연층(120)의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를 차폐하지 않으면, 전계의 일부는 절연층(120)으로 흡수되지만, 대부분의 전계는 외부로 방전된다. 이 경우, 전계가 소정치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전계에 의해 절연층(120)과 DC 케이블(110)의 외피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절연층(120)의 바깥쪽에는 다시 반도전층이 구비되며, 전술한 내부반도전층(114)과 구별하기 위하여 외부반도전층(125)으로 정의된다. 결국, 외부반도전층(125)은 접지되어 전술한 내부반도전층(114) 과의 사이에 전기력선의 분포를 등전위로 만들어 절연층(120)의 절연내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외부반도전층(125)은 케이블에 있어서 절연층(120)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코로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If not only the inside but also the outside of the insulating layer 120 is not shielded, a part of the electric field is absorbed by the insulating layer 120, but most of the electric fiel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is case, if the electric field becomes larg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outer layer of the insulation layer 1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DC cable 110 may be damaged by an electric field. Therefore, a semiconductive lay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sulating layer 120 and is defined as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125 to distinguish it from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114 described above. As a result,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25 is grounded and serves to improve the dielectric strength of the insulating layer 120 by mak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nes of electric force between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114 and the inner semiconductive layer 114 equal. In addition,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25 can smooth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120 in the cable, thereby alleviating the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and preventing the corona discharge.

외부반도전층(125)의 바깥쪽에는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금속시스 또는 중성선으로 이루어진 차폐층(127)이 구비된다. 차폐층(127)은 전기적 차폐 및 단락전류의 귀로를 위하여 구비된다.A shielding layer 127 made of a metal sheath or a neutral wire is provided outside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25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able. The shielding layer 127 is provided for electrical shielding and return of short-circuit current.

DC 케이블(110)의 외곽에는 외피(129)가 구비된다. 외피(129)는 DC 케이블(110)의 외곽에 구비되어 DC 케이블(110)의 내부 구성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외피(129)는 빛, 풍우, 습기, 공기 중의 기체 등 각종 기후를 비롯한 자연환경에 견딜 수 있는 내후성, 화학물질 등과 같은 약품 등에 견디는 내약품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성질을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PVC(Polyvinyl chloride; 폴리염화비닐) 또는 PE(Polyethylene: 폴리에틸렌)를 재질로 하여 외피를 제작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을 측정하는 시스템에 대해서 살펴본다.The outer surface of the DC cable 110 is provided with a shell 129. The enclosure 129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DC cable 110 to protect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C cable 110. Therefore, the shell 129 has excellent chemical resistance and mechanical strength to withstand chemicals such as weatherability, chemical substances, and the like, which can withstand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light, weather, moisture and air in various climatic conditions. Generally, it is made of PVC (Polyvinyl Chloride) or PE (Polyethylene). Hereinafter, a system for measuring a volume resistance of a DC cable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의 회로도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에서 DC 케이블의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circuit diagram of a volume resistance measuring system of a DC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al configuration of a DC cable in a volume resistance measuring system of a DC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DC 케이블(110)의 노출된 상기 절연층(120)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는 측정전극부(130), 상기 DC 케이블(110) 양단부에 노출된 도체(112)와 연결되며 상기 노출된 절연층(120)을 감싸는 저항단말부(150), 상기 DC 케이블(110)의 상기 노출된 절연층(120)을 감싸는 보강절연층(140), 상기 DC 케이블의 도체(112)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공급부(160) 및 상기 측정전극부(130)와 연결되어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170)를 구비한다. 나아가, 상기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노출된 절연층(120)의 외주를 따라 상기 측정전극부(130)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드전극부(132)를 더 구비할 수 있다.2 and 3, the volume resistance measuring system 100 of the DC cable includes a measuring electrode unit 130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exposed insulation layer 120 of the DC cable 110, A resistance terminal unit 150 connected to the conductor 112 exposed at both ends of the DC cable 110 and surrounding the exposed insulation layer 120; a resistance terminal unit 150 surrounding the exposed insulation layer 120 of the DC cable 110; A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140, a voltage supplying unit 160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conductor 112 of the DC cable and an ammeter 170 connected to the measuring electrode unit 130 to measure a current. In addition, the volume resistance measurement system 100 of the DC cable may include at least one guard electrode portion 132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easurement electrode portion 130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exposed insulation layer 120 ).

상기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DC 케이블(110)의 체적저항을 측정하는 경우에 상기 절연층(12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DC 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125, 도 1 참조)을 제거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DC 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125)을 상기 측정전극부(130) 및 가드전극부(132)로 활용하게 되어, 상기 외부반도전층을 제거하는 길이를 줄여 종래 기술에 비해 상기 외부반도전층을 제거하는 수고를 덜어줄 수 있다. The volume resistivity measuring system 100 of the DC cable measures the volume resistivity of the DC cable 110 such that at least a part of the insulating layer 120 is exposed when the volume of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25 ).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25 of the DC cable is used as the measurement electrode unit 130 and the guard electrode unit 132, thereby reducing the length of removing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It is possible to relieve the trouble of removing the outer half-layer.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DC 케이블(110)의 절연층(120)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DC 케이블(110)의 외부반도전층(125)이 제거되며, 상기 DC 케이블(110)의 양단부에는 도체(112)가 미리 결정된 길이만큼 돌출하여 노출된다. 상기 도체(112)에는 전압공급부(160)가 연결된다. 상기 전압공급부(160)는 상기 도체(112)로 미리 결정된 전압을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DC 케이블(110)의 도체(112)가 상기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100)에서 고압 전극부의 역할을 하게 된다.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25 of the DC cable 110 is remov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insulation layer 120 of the DC cable 110 is exposed, 112 are projected and exposed by a predetermined length. A voltage supply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conductor 112. The voltage supply unit 160 applies a predetermined voltage to the conductor 112. Therefore, the conductor 112 of the DC cable 110 serves as a high-voltage electrode part in the volume resistance measurement system 100 of the DC cable.

상기 DC 케이블(110)의 노출된 절연층(120)의 외주에는 측정전극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측정전극부(130)는 별도의 구성요소를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DC 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125)을 활용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외부반도전층을 제거하는 경우에 상기 노출된 절연층(120)의 대략 중간부위에 미리 결정된 폭을 가지는 외부반도전층을 남겨두게 되어 상기 남겨진 외부반도전층을 측정전극부(130)로 활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별도의 측정전극부를 제작 및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구성에서는 외부반도전층을 상대적으로 긴 거리만큼 제거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A measurement electrode unit 130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exposed insulation layer 120 of the DC cable 110. Although the measurement electrode unit 13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component,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external semiconductive layer 125 of the DC cable. That is, when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is removed,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s left at the substantially middle portion of the exposed insulating layer 120, so that the remaining semiconductive layer is utilized as the measuring electrode unit 130 .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void the inconvenience of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a separate measuring electrode unit. Furthermore,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rouble of removing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by a relatively long distance.

상기 측정전극부(130)에는 전류계(170)가 연결된다. 상기 전류계(170)는 상기 측정전극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도체(112)에 인가된 전압에 의해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게 된다.An ammeter 170 is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electrode unit 130. The ammeter 170 is connected to the measuring electrode unit 130 to measure a current flowing by the voltage applied to the conductor 112.

한편, 상기 가드전극부(132)는 상기 측정전극부(130)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상기 노출된 절연층(120)의 외주를 따라 구비된다. 상기 가드전극부(132)는 상기 측정전극부(130)와 마찬가지로 상기 DC 케이블의 외부반도전층(125)을 활용하여 구성된다. 나아가, 상기 가드전극부(132)는 바람직하게 상기 측정전극부(130)를 사이에 두고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드전극부(132)는 상기 측정전극부(130)와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절연층(120)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누설전류를 제거하여 보다 정확한 전류 측정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guard electrode portion 132 is spaced apart from the measuring electrode portion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exposed insulating layer 120. The guard electrode portion 132 is constructed using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25 of the DC cable in the same manner as the measurement electrode portion 130. Further, the guard electrode part 132 may be provided in a pair with the measurement electrode part 13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guard electrode part 132 is spaced apart from the measurement electrode part 130 to remove a leakage current flowing along the surface of the insulating layer 120 to enable more accurate current measurement.

한편, 상기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100)은 상기 DC 케이블의 상기 노출된 절연층(120)을 감싸는 보강절연층(140)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보강절연층(140)은 상기 DC 케이블(110)의 노출된 절연층(120)을 감싸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절연층(140)은 상기 측정전극부(130), 가드전극부(132) 및 저항단말부(150) 사이의 노출된 상기 절연층(120)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보강절연층(140)은 외부의 공기에 비해 절연내력이 높은 절연테이프 등을 권취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volume resistance measuring system 100 of the DC cable includes a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140 surrounding the exposed insulating layer 120 of the DC cable.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140 covers the exposed insulating layer 120 of the DC cable 110.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14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exposed insulating layer 120 between the measuring electrode unit 130, the guard electrode unit 132, and the resistance terminal unit 150 .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140 may be formed by winding an insulating tape or the like having a higher dielectric strength than external air.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노출된 도체(11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저항단말부(15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저항단말부(150)는 그 일단부가 상기 노출된 도체(112)에 연결되며, 그 타단부는 가드전극부(132)에 연결된다. 상기 가드전극부(13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DC 케이블(110)의 외부반도전층(125)을 활용하여 구성되므로, 상기와 같이 저항단말부(150)에 의해 도체(112)와 외부반도전층으로 구성된 가드전극부(132)를 연결하게 되면 종래에 비해 상기 DC 케이블의 등전위선 분포가 집중되지 않고 균등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 resistance terminal unit 15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posed conductor 112 is provided. One end of the resistance terminal unit 150 is connected to the exposed conductor 112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guard electrode unit 132. Since the guard electrode portion 132 is formed by utilizing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25 of the DC cable 110 as described above, The distribution of the equipotential lines of the DC cable is not concentrated and the uniform distance can be maintained.

한편, 상기 저항단말부(150)는 그 체적저항값이 대략 1.0*108 내지 1.0*1012 (Ω·cm)의 값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Raychem'사의 'SCTM'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sistance terminal unit 15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volume resistance value of approximately 1.0 * 10 8 to 1.0 * 10 12 (? Cm), for example, 'SCTM' . ≪ / RTI >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에서 상기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수학식 1]을 활용한 방법과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The method of measuring the volume resistance of the DC cable in the volume resistance measuring system of the DC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similar to the method using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technique of Equation 1, It is omit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에서 상기 DC 케이블(110)의 등전위 분포 및 종래의 측정장치에서 등전위 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도 4(A)의 도면이 본 발명에 따른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에서 상기 DC 케이블(110)의 등전위 분포를 도시하며, 도 4(B)의 도면이 종래의 측정장치에서 등전위 분포를 도시한다.4 is a diagram showing the equipotential distribution of the DC cable 110 and the equipotential distribution in a conventional measuring apparatus in the volume resistance measuring system of the DC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A show the equipotential distribution of the DC cable 110 in a system for measuring the volume resistance of a DC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과 같이 도체(112)와 외부반도전층(125)을 연결하는 저항단말부(150)를 구비하게 되면, 상기 외부반도전층(125)의 단부에 등전위선이 집중되지 않고 도 4(a)와 같이 등전위선이 상기 저항단말부(150)를 따라 대략 균일한 간격으로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A)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200'은 공기를 도시한다.4, when the resistance terminal unit 150 connecting the conductor 112 and the external semiconductive layer 125 is provided as in the volume resistance measuring system of the DC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semiconductive layer 125 And the equipotential lines are distributed at substantially uniform intervals along the resistance terminal unit 150 as shown in FIG. 4 (a). Reference numeral 200, which is not described in FIG. 4 (A), shows air.

반면에, 본 발명의 저항단말부(150)를 구비하지 않는 종래 장치에서는 등전위선이 균일한 간격으로 분포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외부반도전층(125)의 단부에 등전위선이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device not including the resistance terminal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equipotential lines are not distributed at uniform intervals, but the equipotential lines are concentrated at the ends of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25.

상기와 같은 결과는 도 5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에서 상기 DC 케이블(110)의 전계분포 및 종래의 측정장치에서 전계분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도 5(A)의 도면이 본 발명에 따른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에서 상기 DC 케이블의 전계 분포를 도시하며, 도 5(B)의 도면이 종래의 측정장치에서 전계 분포를 도시한다.The above result can be confirmed also in FIG. FIG. 5 is a view showing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of the DC cable 110 and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in a conventional measuring apparatus in the volume resistance measuring system of a DC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of the DC cable in the volume resistance measuring system of the DC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view of FIG. 5 (B) shows the electric field distribution in the conventional measuring apparatus do.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과 같이 도체(112)와 외부반도전층(125)을 연결하는 저항단말부(150)를 구비하게 되면, 상기 외부반도전층(125)의 단부에 전계가 집중되지 않고 도 5(a)와 같이 상기 절연층(120)의 내부를 따라 전계가 퍼져서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다.5, when the resistance terminal unit 150 connecting the conductor 112 and the external semiconductive layer 125 is provided as in the volume resistance measuring system of the DC c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semiconductive layer 125 The electric field is not concentrated on the end portion of the insulating layer 120 and the electric field is spread and distributed along the inside of the insulating layer 120 as shown in FIG. 5 (a).

반면에, 본 발명의 저항단말부(150)를 구비하지 않는 종래 장치에서는 전계가 상기 외부반도전층(125)의 단부에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onventional device without the resistance terminal unit 15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electric field is concentrated on the end of the outer semiconductive layer 125.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y basically includ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
112...도체
120...절연층
130...측정전극부
132...가드전극부
140...보강절연층
150...저항단말부
100 ... Voltage resistance measurement system of DC cable
112 ... conductor
120 ... insulating layer
130 ... measuring electrode portion
132 ... guard electrode portion
140 ... reinforced insulation layer
150 ... resistance terminal section

Claims (4)

도체, 내부 반도전층, 절연층 및 외부 반도전층을 포함하는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을 측정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DC 케이블의 노출된 상기 절연층의 외주를 따라 구비되는 측정전극부;
상기 DC 케이블 양단부에 노출된 도체와 연결되며 상기 노출된 절연층을 감싸는 저항단말부;
상기 DC 케이블의 상기 노출된 절연층을 감싸는 보강절연층;
상기 DC 케이블의 도체에 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공급부; 및
상기 측정전극부와 연결되어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
A system for measuring a volume resistance of a DC cable including a conductor, an inner semiconductive layer, an insulating layer, and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A measuring electrode unit provided along an outer periphery of the exposed insulating layer of the DC cable;
A resistor terminal connected to a conductor exposed at both ends of the DC cable and surrounding the exposed insulation layer;
A reinforcing insulation layer surrounding the exposed insulation layer of the DC cable;
A voltage supplier for applying a voltage to the conductor of the DC cable; And
And an ammeter connected to the measuring electrode unit and measuring a curr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된 절연층의 외주를 따라 상기 측정전극부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드전극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guard electrode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measuring electrode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an outer periphery of the exposed insulating lay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절연층은 상기 측정전극부, 가드전극부 및 저항단말부 사이의 노출된 상기 절연층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einforcing insulating layer is provided to surround the exposed insulating layer between the measuring electrode portion, the guard electrode portion and the resistance terminal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전극부 및 가드전극부는 상기 DC 케이블의 외부 반도전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DC 케이블의 체적저항측정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measurement electrode portion and the guard electrode portion are formed of an outer semiconductive layer of the DC cable.

KR1020140182041A 2014-12-17 2014-12-17 System for measuring volume electricla resistivity of DC cable KR1022491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041A KR102249186B1 (en) 2014-12-17 2014-12-17 System for measuring volume electricla resistivity of DC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2041A KR102249186B1 (en) 2014-12-17 2014-12-17 System for measuring volume electricla resistivity of DC c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581A true KR20160073581A (en) 2016-06-27
KR102249186B1 KR102249186B1 (en) 2021-05-07

Family

ID=5634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2041A KR102249186B1 (en) 2014-12-17 2014-12-17 System for measuring volume electricla resistivity of DC c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18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896A (en) * 1995-02-24 1996-09-1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Method for diagnosing deterioration of electric wire/ cable
JP2000088900A (en) * 1998-09-08 2000-03-31 Advantest Corp Surface/volume resistance measuring device
JP2013511119A (en) * 2009-11-11 2013-03-28 ボレアリス エージー Cab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30081405A (en) * 2012-01-09 2013-07-17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Volume electrical resistivity equipment for cable in npp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3896A (en) * 1995-02-24 1996-09-13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Method for diagnosing deterioration of electric wire/ cable
JP2000088900A (en) * 1998-09-08 2000-03-31 Advantest Corp Surface/volume resistance measuring device
JP2013511119A (en) * 2009-11-11 2013-03-28 ボレアリス エージー Cab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30081405A (en) * 2012-01-09 2013-07-17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Volume electrical resistivity equipment for cable in np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186B1 (en)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585B1 (en) Termination connection box
KR102238971B1 (en) Termination connection box for DC cable
KR102416896B1 (en) Joint box
CN107980164A (en) Electric power cable and the process for producing electric power cable
KR102386760B1 (en) Joint for High-Voltage Direct Current
EP3113191B1 (en) Power cable having end connecting portion
US20180270909A1 (en) Voltage-Leveled Heating Cable with Adjustable Power Output
KR20160088780A (en) Joint sleeve and Connection structrue
KR102386728B1 (en) Joint for ultra high voltage cable and ultra high voltage cable joi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170105246A (en) Joint sleeve for cable connecting case and cable having joint sleeve
KR102249186B1 (en) System for measuring volume electricla resistivity of DC cable
KR20150117528A (en) Joint for DC cable
KR102378680B1 (en) Joint for high voltage DC power cable and high voltage DC power cable joint system comprising the same
KR20150097364A (en) Mass impregnated cable and connection method therefor
CN103794276A (en) Flexible high-voltage direct-current cross-linked polyethylene insulation power cable
KR20150115470A (en) Wide use type premolded join
EP3185381A1 (en) Joint box of high-viscosity insulation oil impregnated cable
KR20150117355A (en) Termination connection part for power cable
RU160436U1 (en) ENCLOSED POWER CABLE CLUTCH WITH PLASTIC INSULATION
KR102505579B1 (en) Joint For Ultra High Voltage Cable And Ultra High Voltage Cable System Having The Same
KR102096111B1 (en) Premolded joint for DC cable
CN204029423U (en) A kind of flexible high pressure direct current power cable with cross-linked polyethylene insulation
KR20160091029A (en) Termination connection box
WO2018190497A1 (en) Joint box for ultra-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and ultra-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system comprising same
KR20230175124A (en) DC Power Cabl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