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218A - Grinding assembly and food-waste treatment devi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Grinding assembly and food-waste treatment devi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218A
KR20160073218A KR1020140181740A KR20140181740A KR20160073218A KR 20160073218 A KR20160073218 A KR 20160073218A KR 1020140181740 A KR1020140181740 A KR 1020140181740A KR 20140181740 A KR20140181740 A KR 20140181740A KR 20160073218 A KR20160073218 A KR 201600732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housing
grinding assembly
food waste
crush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성춘
정대중
장동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1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3218A/en
Publication of KR20160073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21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waste treating device capable of simultaneously and efficiently grinding and dehydrating food waste which is placed ins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d waste treating device includes: a housing; a dehydration container installed in the housing to rotate; and a grinding blade installed in the dehydration container to rotate. The dehydration container and the grinding blade can be relatively rotated. So, the dehydration container and the grinding blade are relatively rotated, and the food waste can be treated in a high efficiency level even at a relatively low rotation number. Therefore, the food waste treating device can solve a failure due to an overload applied to the device and can save electricity.

Description

분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Grinding assembly and food-waste treatment device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nding assembly and a food waste disposal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투입된 음식물의 분쇄와 탈수를 동시에, 그리고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분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nding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inding assembly and a food garbage disposing device using the same that can perform grinding and dehydrating of introduced food simultaneously and more efficiently.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 등으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다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는데, 이렇게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는 쉽게 부패하여 처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어서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a large amount of food waste has been generated in homes and restaurants due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s, etc. Food wastes thus generated are easily corrupted and difficult to be treated, and various methods for treating such food wastes are being developed.

이 중의 한 방법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배출, 처리하는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가 개발되고 있다.As one of these methods, various types of food waste grinding apparatuses for grinding, discharging and treating food garbage have been developed.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의 경우로서, 일례로 한국공개특허 제 2010-0036050호 에는 회전하는 분쇄날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나, 음식물 쓰레기에는 수분이 상당량 포함되어 있어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과정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분쇄 후 별개의 탈수장치 등을 통하여 탈수를 하여야 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후,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분쇄 기능 및 탈수기능이 합쳐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이들은 아직 단순히 양 기능을 한 장치에 통합하는데에 그치는 수준에 불과하다.
As a case of such a conventional food garbage grinding apparatus,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0-0036050 discloses a grinding apparatus for grinding food garbage using a rotating grinding blade, but the food garbage contains a considerable amount of water Therefore, a dehydration process for removing moisture is required,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dehydration must be performed through a separate dehydrator after grinding.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garbag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a crushing function and a dehydration function has been developed, but they are still merely merely integrating both functions into one apparatus.

KR 2010-0036050 AKR 2010-0036050 A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와 탈수를 동시에 행할 수 있을뿐 아니라, 탈수 효율성이 보다 향상된 분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inding assembly capable of simultaneously grinding and dewatering food wastes and further improving dehydration efficiency, and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using the same The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분쇄 어셈블리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는 탈수통; 및 상기 탈수통 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는 분쇄날;을 포함하며, 상기 탈수통과 상기 분쇄날은 상대회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ood grinding assembly comprising: a housing; A spinneret rotatably positioned within the housing; And a pulverizing blade rotatably disposed in the dehydrating tub, wherein the pulverizing blade is relatively rotatable.

상기 탈수통과 상기 분쇄날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ehydrating and crushing blade is rotatable in the opposite direction.

상기 분쇄날과 연결된 제 1 기어; 상기 탈수통 저면의 내주면에 위치하는 제 2 기어; 및 상기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기어 및 상기 제 3 기어가 연동함으로써 상기 분쇄날과 상기 탈수통의 상대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 first gear connected to the crushing blade; A second gear locate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dewatering container; And a third gear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ear and the second gear, wherein the second gear and the third gear interlock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whereby the pulverizing blade and the dehydrating tub It is preferable that relative rotation is performed.

상기 제 2 기어는, 상기 제 1 기어 및 상기 제 3 기어 양쪽 모두에 선택적으로 이격 또는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 2 기어가 상기 제 1 기어 및 상기 제 3 기어와 접촉하면 상기 분쇄날과 상기 탈수통의 상대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기어가 상기 제 1 기어 및 상기 제 3 기어와 이격되면 상기 분쇄날의 회전만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second gear is capable of selectively separating or contacting both the first gear and the third gear, and when the second gear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gear and the third gear, the pulverizing blade and the dehydrating tub When the second gea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gear and the third gear, only the rotation of the crushing blade is performed.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동심을 이루며,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서 연장되는 격벽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housing is concentric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partition wall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is located.

상기 탈수통 하부 둘레와 상기 격벽 사이에 위치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packing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dehydrating tub and the partition wall.

상기 패킹부재에는, 상기 격벽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상기 격벽이 감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artition is formed in the packing member, and the partition is fitted to the groove.

또한, 상기 분쇄 어셈블리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분쇄 및 탈수가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in which food waste is put into the grinding assembly, and pulverized and dehydrated.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는 배출공이 타공되되, 상기 배출공은 상기 격벽과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a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discharge hole is located between the partition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배출공과 연통되는 배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discharge pip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상기 하우징의 일측은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은 하수관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e side of the housing is connected to a drain port of the sink, and the drain pipe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분쇄날과 탈수통이 상대회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수로도 높은 효율의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가능하며, 이는 장치에 걸리는 과부하로 인한 고장 문제해결 및 절전효과로 이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grinding assembly and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including the grind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rinding blade and the dewatering container relatively rotate,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food waste with high efficiency even at a relatively low rotation spe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resolving the trouble due to the overload and the power saving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분쇄통에 각 기어가 연결된 상태의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하우징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의 종단면도로서, 제 3 기어의 동작을 나타낸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grinding assembl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rinding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ottom view of the grinding cylinder in which each gear is connected to the grinding cylinder, which is one component of the grind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top plan view of a housing as an embodiment of a grind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longitudinal section of a mill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grind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gear.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Thes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by describing in detail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describ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또한, 기술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described embodiments are provided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do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분쇄 어셈블리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The respectiv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ulverizing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tegrally or individually as needed. In addition, some components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usage pattern.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의 구성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grind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attached 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분쇄통에 각 기어가 연결된 상태의 저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의 일 구성인 하우징을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의 종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의 종단면도로서, 제 3 기어의 동작을 나타낸다.
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grind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rind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grind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a housing, which is an embodiment of a grind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lan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a grind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hird gear. Fi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탈수통(200), 및 분쇄날(3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grind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using 100, a dehydrating cylinder 200, and a crushing blade 300, as shown in Fig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는 그 용도가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음식물 쓰레기 등의 수분을 포함한 대상물을 분쇄 및 탈수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The grind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n its use, but may be used for grinding and dewatering an object including moisture such as food waste. This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하우징(100)은 바람직하게는 중공의 통 형상으로서 그 내부에 소정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동심을 이루도록 하우징(100)의 내측 하부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격벽(110)이 위치하고,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격벽(110) 사이의 하부면에는 배출공(120)이 타공되며, 이 배출공(120)으로부터 연통되어 하우징(100)의 외측까지 연장되는 배출관(130)이 위치할 수 있다.The housing 100 preferably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4, a partition wall 110 is formed in the housing 100 so as to extend from the inner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so as to be concentric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discharge hole 120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partition wall 110 and a discharge pipe 130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hole 120 and exte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housing 100 is positioned can do.

그리고, 쓰레기 투입을 위하여 개방된 하우징(100)의 일측을 덮는 덮개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음식물 쓰레기 장치가 싱크대에 설치되어 사용될 경우, 덮개의 일부가 개구되어, 여기에 싱크대의 배수구가 연결되며, 상기 배출관(130)에는 하수관이 연결됨으로써, 싱크대에 설치하여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다.A lid that covers one side of the opened housing 100 for waste input may be located. When the food garbage system is installed in the sink, a part of the cover is opened, a drain port of the sink is connected to the drain port, and a drain pipe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탈수통(200)은 하우징(100) 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이 탈수통(200)의 회전에 의해 탈수되어 배출된다. 이를 위해, 탈수통(200)이 외주에는 탈수된 수분을 탈수통(2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탈수공(220)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탈수통(200)의 하부면 둘레에 걸쳐서 패킹부재(210)가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패킹부재(210)의 둘레에 상기 격벽(110)과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이 홈과 격벽(110)이 감합되도록 탈수통(200)이 하우징(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ehydration tub 200 is rotatably disposed within the housing 100, and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introduced food debris is dehydrated and discharged by the rotation of the dehydration tub 200. To this end, a plurality of dewatering holes 220 for discharging dehydrated water to the outside of the dewatering tub 20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watering tub 200. The packing member 210 is positioned around the lower surface of the dewatering container 200 and preferably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artition wall 110 is formed around the packing member 210, The dewatering cylinder 200 may be disposed in the housing 100 so that the dewatering cylinder 110 is engaged.

분쇄날(300)은 탈수통(200) 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날(300)의 회전에 의해 분쇄된다. The pulverizing blade 300 is rotatably disposed in the dehydrating tub 200, and the charged food waste is pulverized by the rotation of the pulverizing blade 300.

상기한 탈수통(200) 및 분쇄날(300)의 회전에 대하며 설명하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날(300)은 하우징(100)의 일측에 위치한 구동부(40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축(410)에 연결되어 구동부(40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한다, 또한, 상기 구동축(410)에는 구동부(40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 1 기어(510)가,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00)과 탈수통(20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rushing blade 300 includes a driving part 400 dispos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00, The first gear 510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00 to the driving shaft 410. The first gear 510 rotates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00,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housing 100 and the dewatering tub 200.

그리고, 탈수통(200)의 회전은, 탈수통(200) 저면의 내주면에 제 2 기어(520)가 위치하고, 구동축(410)에 연결된 제 1 기어(510)와 탈수통(200)에 형성된 제 2 기어(520)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양 기어와 치합하는 제 3 기어(530)에 의해, 구동축(410)의 구동에 따른 제 1 기어(5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한다.The second gear 520 is loc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ewatering cylinder 200 and the first gear 510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410 and the first gear 510 connected to the dewatering cylinder 200 The first gear 510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e shaft 410 by the third gear 53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ear 510 and the second gear 520 and meshing with the both gears.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도 3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날(300)과 탈수통(200)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대회전하게 된다. 이로써, 분쇄와 탈수가 동시에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보다 효과적인 탈수가 가능하다. 다시 말해, 분쇄날(300)과 탈수통(200)이 상대회전함에 따라 상대회전하지 않는 경우, 즉 분쇄가 완전히 이루어진 후에 탈수통(200)이 회전하는 경우보다 효과적인 탈수가 가능하며, 이는 상기한 상대회전에 따라 같은 회전수로도 탈수통(200)이 약 2배로 회전하는 것과 같은 탈수효율을 가져오게 된다. 또한, 이러한 효과는 상대적인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대회전에 의하지 않고 이러한 효과를 내기 위하여 탈수통(200)을 2배속으로 회전시키면 구동계통의 과부하로 인한 고장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상기한 분쇄날(300)과 탈수통(200)의 상대회전으로 인하여 이러한 과부하의 문제없이 고효율의 탈수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3, the crushing blade 300 and the dewatering drum 200 relatively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s a result, both pulverization and dehydration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and more effective dehydration is possible.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dewater more effectively than when the dewatering cylinder 200 rotates after the crushing blade 300 and the dewatering cylinder 200 do not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that is, after the pulverization is completely completed, The dewatering tub 200 is rotated about twice with the same rotation number according to the relative rotation. This effect is caused by relative rotation. For example, when the dewatering cylinder 200 is rotated at 2 times speed to achieve this effect without depending on the relative rotation, problems such as failure due to overload of the drive system occur However, due to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crushing blade 300 and the dewatering tub 200, the dewatering effect of high efficiency can be obtained without such an overload problem.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기어(530)는 바람직하게는 구동축(410)과 소정거리 이격된 회전축(43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제 1 기어(510) 및 제 3 기어(530)와 선택적으로 접촉 및 이격이 가능하도록 하여, 제 3 기어(530)가 제 1 기어(510) 및 제 2 기어(520)와 접촉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분쇄날(300)과 탈수통(200)의 상대회전이 이루어지고, 제 3 기어(530)가 제 1 기어(510) 및 제 2 기어(520)와 이격되면 분쇄날(300)만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5 and 6, the third gear 530 is preferably movab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430 spaced apart from the drive shaft 4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en the third gear 53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gear 510 and the second gear 520 so that the third gear 530 can be selectively brought into contact with and separated from the third gear 530, When the third gear 53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gear 510 and the second gear 520, only the crushing blade 300 can be rotated.

이로써, 상기한 분쇄날(300)과 탈수통(200)의 상대회전 또는 탈수통(200)의 단독회전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필요에 따른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Thus,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crushing blade 300 and the dewatering tub 200 or the independent rotation of the dewatering cylinder 200 can be selectively used, and convenience as needed can be achiev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grinding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하우징(100)의 탈수통(200)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된다.First, food waste is put into the dewatering tub 200 of the housing 100.

다음으로 구동부(400)가 구동됨으로써 구동축(410)이 회전하며, 이에 설치된 제 1 기어(510)의 회전에 의해 이와 치합하는 제 3 기어(530) 및 제 2 기어(520)가 회전함으로써 분쇄날(300)과 탈수통(200)의 상대회전이 이루어지고, 이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거의 2배의 효율로 분쇄 및 탈수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Next, the driving unit 400 is driven to rotate the driving shaft 410, and the third gear 530 and the second gear 520, which mesh with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510 installed on the driving shaft 410, Relative rotation of the dewatering vessel 300 and the dewatering vessel 200 is carried out, whereby pulverization and dehydration can be performed at almost twice the efficiency as described above.

탈수된 수분은 탈수통(200)에 형성된 탈수공(220)을 통하여 탈수공(22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즉, 수분은 탈수통(200)의 외주면과 하우징(100)의 내주면 사이로 배출되어 하부로 집수된다. 이때 하우징(100) 하부면에 위치한 격벽(110) 및 탈수통(200)의 하부 둘레에 위치하는 패킹부재(210)로 인하여 하우징(100) 하부의 내주면 측으로만 유동하게 되고, 하우징(100)의 중심측으로 의 유동이 방지됨으로써 구동축(410)과 구동부(400)로 수분이 유입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미연에 방지한다.The dehydrat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ewatering hole 220 through the dewatering hole 220 formed in the dewatering container 200. That is, the moisture is discharg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hydrator 20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is collected to the lower portion. At this time, due to the packing member 210 located around the low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110 and the drainage cylinder 200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00, the refrigerant flows only to the inner peripheral side of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00, The flow to the center side is prevented, thereby preventing a failure that may occur due to the inflow of moisture into the driving shaft 410 and the driving unit 400.

하우징(100) 하부 내주면을 따라 유동하던 수분은 하우징(100)의 격벽(110)과 내주면 사이에 타공된 배출공(120)을 통하여 배출되고 배출된 수분은 연통된 배출관(13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배출관(130)이 하수관과 연결된 상태라면 하수관을 통하여 배출되어 처리된다.The moisture that has flow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20 formed between the partition 1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discharged moist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s described above, if the discharge pipe 130 is connected to the sewage pipe,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sewage pipe and treat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하면, 분쇄날과 탈수통이 상대회전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낮은 회전수로도 높은 효율의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가능하며, 이는 장치에 걸리는 과부하로 인한 고장 문제해결 및 절전효과로 이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grinding assembly and the food garbage disposal apparatus using the same, the grinding blade and the dehydrating drum relatively rotate, so that it is possible to treat the food garbage with high efficiency even at a relatively low rotation speed,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resolving the trouble due to the overload and the power saving effec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numer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should also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하우징
110: 격벽
120: 배출공
130: 배출관
200: 탈수통
210: 패킹부재
220: 탈수공
300: 분쇄날
400: 구동부
410: 구동축
430: 회전축
510: 제 1 기어
520: 제 2 기어
530: 제 3 기어
100: Housing
110:
120: Exhaust hole
130: discharge pipe
200: Dewatering tub
210: packing member
220: Dehydration ball
300: crushed blade
400:
410: drive shaft
430:
510: first gear
520: second gear
530: Third gear

Claims (11)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는 탈수통(200); 및
상기 탈수통(200) 내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는 분쇄날(300);을 포함하며,
상기 탈수통(200)과 상기 분쇄날(300)은 상대회전이 가능한,
분쇄 어셈블리.
A housing (100);
A dehydrator (200) rotatably positioned within the housing (100); And
And a crushing blade (300) rotatably positioned in the dewatering vessel (200)
The dehydrator 200 and the crushing blade 300 ar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Grinding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200)과 상기 분쇄날(300)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분쇄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hydrator 200 and the crushing blade 300 are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Grinding assembl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날(300)과 연결된 제 1 기어(510);
상기 탈수통(200) 저면의 내주면에 위치하는 제 2 기어(520); 및
상기 제 1 기어(510)와 상기 제 2 기어(52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3 기어(5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기어(5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2 기어(520) 및 상기 제 3 기어(530)가 연동함으로써 상기 분쇄날(300)과 상기 탈수통(200)의 상대회전이 이루어지는,
분쇄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gear 510 connected to the crushing blade 300;
A second gear 520 position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dehydrator 200; And
And a third gear (530)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gear (510) and the second gear (520)
The second gear 520 and the third gear 530 interlock with each other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510 so that the crushing blade 300 and the dewatering drum 200 are relatively rotated.
Grinding assembl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어(520)는,
상기 제 1 기어(510) 및 상기 제 3 기어(530) 양쪽 모두에 선택적으로 이격 또는 접촉가능하고,
상기 제 2 기어(520)가 상기 제 1 기어(510) 및 상기 제 3 기어(530)와 접촉하면 상기 분쇄날(300)과 상기 탈수통(200)의 상대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기어(520)가 상기 제 1 기어(510) 및 상기 제 3 기어(530)와 이격되면 상기 분쇄날(300)의 회전만이 이루어지는,
분쇄 어셈블리.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gear (520)
The first gear 510 and the third gear 530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or contacted with each other,
When the second gear 520 makes contact with the first gear 510 and the third gear 530, the crushing blade 300 and the dewatering drum 200 are relatively rotated,
When the second gear 52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gear 510 and the third gear 530, only the crushing blade 300 is rotated.
Grinding assembl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주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동심을 이루며,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면에서 연장되는 격벽(110)이 위치하는,
분쇄 어셈블리.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housing 100,
The partition wall 110 is concentric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Grinding assembly.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통(200) 하부 둘레와 상기 격벽(110) 사이에 위치하는 패킹부재(210)를 더 포함하는,
분쇄 어셈블리.
6. The method of claim 5,
Further comprising a packing member (210) positioned between a lower periphery of the dehydrating tub (200) and the partition wall (110)
Grinding assembl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210)에는,
상기 격벽(110)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에 상기 격벽(110)이 감합되는,
분쇄 어셈블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In the packing member 210,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barrier rib 110 is formed and the barrier rib 110 is fitted into the groove,
Grinding assembly.
제 5 항에 따른 분쇄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분쇄 어셈블리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분쇄 및 탈수가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 grinding assembly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ood waste is put into the pulverizing assembly, pulverized and dehydrated,
Food waste disposal system.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하부면에는 배출공(120)이 타공되되, 상기 배출공(120)은 상기 격벽(110)과 상기 하우징(100)의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A discharge hole 120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discharge hole 120 is located between the partition wall 110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100. [
Food waste disposal system.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120)과 연통되는 배출관(130)을 더 포함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discharge tube (130) in communication with said discharge hole (120)
Food waste disposal system.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일측은 싱크대의 배수구와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130)은 하수관과 연결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One side of the housing 100 is connected to a drain port of a sink, and the drain pipe 130 is connected to a drain pipe.
Food waste disposal system.
KR1020140181740A 2014-12-16 2014-12-16 Grinding assembly and food-waste treatment device using the same KR2016007321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740A KR20160073218A (en) 2014-12-16 2014-12-16 Grinding assembly and food-waste treatment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740A KR20160073218A (en) 2014-12-16 2014-12-16 Grinding assembly and food-waste treatment devi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218A true KR20160073218A (en) 2016-06-24

Family

ID=56343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740A KR20160073218A (en) 2014-12-16 2014-12-16 Grinding assembly and food-waste treatment devi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3218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007B1 (en) * 2020-09-14 2022-01-03 김진국 Food Waste Processing Produc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6050A (en) 2008-09-29 2010-04-07 김숙자 Dispos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6050A (en) 2008-09-29 2010-04-07 김숙자 Dispos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007B1 (en) * 2020-09-14 2022-01-03 김진국 Food Waste Processing Product
WO2022203356A1 (en) * 2020-09-14 2022-09-29 김진국 Food waste processor
KR20220133722A (en) * 2020-09-14 2022-10-05 김진국 Food Waste Processing Produc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005B1 (en) A treatment appratus for waste foods
JP2597021B2 (en) Garbage crusher
KR101365155B1 (en) The food-garbage treating device
KR20160073218A (en) Grinding assembly and food-waste treatment device using the same
KR101291524B1 (en)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with grinding and dewatering function
KR20050019063A (en) Disposal apparatus for food and drink waste
KR20150003588U (en) Apparatus for disposal of garbage
KR101679740B1 (en) a cleaning and drying apparatus for a sink
KR101388996B1 (en) food waste treatment device
KR102423438B1 (en) Food Disposer
KR101379344B1 (en) A dehydrator for food waste
KR101374554B1 (en) Food waste weight reduction emission apparatus
KR20040019756A (en) Refuse disposal apparatus
KR200396649Y1 (en) Device for crushing and dehydrating food grabage
KR100684523B1 (en) Foods waste processing device
KR200422465Y1 (en) Food waste processor
JPH03291197A (en) Garbage treating machine
KR20070113846A (en) A dehydrate for using kitchen waste the centrifugal force
KR100624006B1 (en) A treatment appratus for waste foods
KR200381124Y1 (en) A treatment appratus for waste foods
KR0183534B1 (en) Dewatering equipment for food wastes
KR100645881B1 (en) A treatment appratus for waste foods
KR200181324Y1 (en) Food garbage disposer
KR200300262Y1 (en) Refuse disposal apparatus
KR200381125Y1 (en) A treatment appratus for waste f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