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212A - 축산분뇨 발효장치 - Google Patents

축산분뇨 발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212A
KR20160073212A KR1020140181727A KR20140181727A KR20160073212A KR 20160073212 A KR20160073212 A KR 20160073212A KR 1020140181727 A KR1020140181727 A KR 1020140181727A KR 20140181727 A KR20140181727 A KR 20140181727A KR 20160073212 A KR20160073212 A KR 201600732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re
fermentation
fermentation reaction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행정
박성배
Original Assignee
박성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배 filed Critical 박성배
Priority to KR1020140181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3212A/ko
Publication of KR201600732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2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Abstract

본 발명의 축산분뇨 발효장치는 분뇨의 발효가 일어나는 발효 반응부와, 상기 발효 반응부에 발효대상인 분뇨를 공급하는 분뇨 투입부와, 상기 발효 반응부의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기포를 기체와 액체로 분리하여 기체만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수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수분리부는 다공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산분뇨 발효장치{Fermenter for livestock sludge}
본 발명은 축산분뇨 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축산분뇨를 발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축산분뇨 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산업이 대형화됨에 따라 가축의 사육과정에서 발생되는 많은 양의 분뇨를 처리하는 데에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종래 분뇨 처리 방법을 보면, 고형의 분과 액형의 뇨를 분리한 후, 분리된 분은 톱밥이나 왕겨와 같은 수분을 조절하는 재료를 혼합하여 발효를 시킨 후 퇴비로 사용하거나 매립하고, 분리된 뇨는 약품 처리, 미생물 처리 등과 같은 복잡한 오수 처리 공정을 거쳐 유기물 등을 제거하여 정화를 한 후 방류한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 방법은 자연 상태에서 분해될 수 있는 수용량이 한정되어 있어서 토양오염과 수질오염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축산농가에서는 축산시설의 규모에 맞는 축산분뇨 처리 시설을 갖추어야하며, 이에 따라 축산분뇨 처리시설 및 오폐수 처리시설에 대한 수요가 커지고 있다.
축산분뇨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뇨를 발효할 수 있는 생물학적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분뇨가 발효되는 과정에서 많은 양의 거품이 발생하게 되는데, 발생된 거품층에 미생물이 갇혀 성장이 저해되고 산소 전달이 힘들어지기 때문에 발효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거품 제거장치를 구비한 축산분뇨 발효 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들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 한국공개특허 제2011-0054936호는 분뇨가 채워지는 분뇨탱크, 상기 분뇨탱크에 발효 처리될 분뇨가 투입되는 분뇨투입구, 분뇨 발효시 생성되는 가스를 외부로 환기하는 환기구, 분뇨 발효시 발효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계, 분뇨의 량을 확인하는 분뇨측정관, 분뇨 발효시 발생하는 거품을 제거하는 소포기, 발효완료된 액비를 배출하는 액비 배출구를 구비한 축산 분뇨 발효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분뇨탱크에는 외부의 공급을 흡입하여 분뇨 내부로 공급하는 공기공급기 상기 공기공급기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온풍기 및 상기 분뇨탱크에는 외부에서 육안으로 분뇨 발효 진행상태를 확인하는 투시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 분뇨 발효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소포장치는 분뇨탱크 하부에 분뇨액을 펌핑하고, 이를 분뇨탱크 상부에서 분사하여 거품을 깨는 방식으로, 분뇨액을 분사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장치가 필요하고, 거품의 깨는 효율이 낮다는 단점을 가진다. 다른 선행기술 한국등록특허 제1392425호는 양돈분뇨 속성 분해발효용 소포장치에 관한 것으로 임펠라를 이용하여 기포를 물리적으로 터트리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도 임펠라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동력장치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점도가 있는 분뇨 내에서 임펠라가 효과적으로 움직이기 어려워서 임펠라 구동부에 과도한 부하가 걸려 내구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분뇨를 발효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별도의 동력없이 제거할 수 있고, 간단한 구조 변경으로 발효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분뇨 발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분뇨의 발효가 일어나는 발효 반응부와, 상기 발효 반응부에 발효대상인 분뇨를 공급하는 분뇨 투입부와, 상기 발효 반응부의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기포를 기체와 액체로 분리하여 기체만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수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수분리부는 다공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발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뇨 발효장치는 발효대상인 분뇨에 공기를 공급하여 발효를 촉진시키는 공기 흡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발효 반응부에 저장된 분뇨를 배출시켜 다시 발효 반응부로 이송시키는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에 공급되는 공기의 통로는 상기 기수분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과한 분뇨를 상기 발효 반응부에 다시 이송시키는 이송관의 끝부분이 발효 반응부에 저장된 분뇨에 잠길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발효 반응부의 아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수분리부는 다공성층을 지탱할 수 있는 다공성층 지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축산분뇨 발효장치는 아래의 효과를 가진다
1. 축산분뇨를 발효시켜 친환경적으로 처리하므로 축산농가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2.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다공성층을 포함한 기수분리부에 의해 발생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3. 공기 흡입부를 구비하여 외부 공기를 분뇨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발효 효율을 높일 수 있다.
4. 발효 반응부 내에 저장된 분뇨를 분뇨 이동통로를 따라 순환시켜 공기와의 접촉을 증가시킬 수 있다.
5. 발효 반응부의 하부에 있어 상대적으로 공기와의 접촉이 적은 분뇨를 위쪽으로 순환시켜 저장된 분뇨 전체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6. 분뇨 이동통로에 밸브를 장착하여 이동 통로 내의 압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이동 통로를 지나는 분뇨 내 공기의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7. 수면계를 구비하여 발효 반응부 내부의 분뇨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발효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발효장치에서 발생하는 기포의 이동과 기포 제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분뇨 발효장치는 분뇨의 발효가 일어나는 발효 반응부와, 상기 발효 반응부에 발효대상인 분뇨를 공급하는 분뇨 투입부와, 상기 발효 반응부의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기포를 기체와 액체로 분리하여 기체만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수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수분리부는 다공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분뇨 발효장치는 가축 분뇨 외에도 유기물이 포함된 폐수 등과 같이 발효 과정을 거쳐 퇴비로 활용되거나 정화 과정이 필요한 대상에 대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분뇨 발효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뇨 발효장치(100)는 발효 반응부(110) 및 기수분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발효 반응부(110)에서는 분뇨물이 투입되고 발효가 일어나며, 발효를 촉진시키기 위해 미생물을 추가로 투입할 수 있다. 발효 반응부(110)의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기포는 기수분리부(120)에서 기체와 액체로 분리된다.
발효 반응부(110)는 분뇨가 투입되는 분뇨 투입부(111)를 포함할 수 있고, 분뇨 투입부의 위치는 발효 반응부 내에 있는 분뇨(112)가 분뇨 투입부를 통해 넘치지 않도록 발효 반응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뇨 투입부(111)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분뇨를 투입하기 위하여 분뇨 투입부(111)에는 밸브(111a)가 설치될 수 있다. 발효 반응부(110)는 분뇨의 발효가 완료된 발효물을 배출할 수 있는 발효물 배출부(113)를 포함할 수 있고, 발효물 배출부(113)는 발효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발효 반응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물 배출부에는 밸브(113a)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발효 반응부에는 수면계(114)가 설치될 수 있는데, 수면계는 투명창을 구비하여 발효 반응부 내부에 있는 분뇨의 수위를 나타낼 수 있다. 수면계는 발효 반응부의 높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관의 형태일 수 있다. 수면계의 하단은 발효 반응부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고, 수면계의 상단은 분뇨 투입부와 연결될 수 있다.
기수분리부(120)는 발효 반응부의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기포를 기체와 액체로 분리하여 기체만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한다. 발효 반응부에서 생성된 기포는 기포의 발생 양이 많아지면서 위쪽으로 이동하므로 기수분리부는 발효 반응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효 반응부(110)와 기수분리부(120) 사이에 기포 이동통로(124)가 설치될 수 있고, 기포는 기포 이동통로를 통해 기수분리부에 도달될 수 있다. 기포 이동통로는 생략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발효 반응부에서 생성된 기포가 별도의 기포 이동통로를 거치지 않고 기수분리부로 바로 이동될 수 있다. 기수분리부는 다공성층(121)을 포함할 수 있고, 다공성층을 지탱할 수 있는 다공성층 지지수단(122)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기포는 기수분리부의 다공성층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터질 수 있고, 터진 기포는 기체와 액체로 분리된 후 기체는 상부로 배출되고, 액체는 다시 발효 반응부로 회수될 수 있다. 다공성층(121)은 내부에 포어가 있는 고분자 수지, 금속 또는 이들의 복합체이거나, 섬유가 엉키거나 직조된 형태의 필터일 수 있고, 복수개의 금속 메쉬가 적층된 구조일 수도 있고, 기체나 액체에서 입자를 걸러내기 위해 쓰이는 공지된 구성의 필터일 수 있다. 또한, 다공성 층은 자갈, 모래, 흙 등과 같이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입자들이 충진된 형태일 수도 있다. 다공성층은 기수분리부 내부 전체를 차지할 수 있고, 일부만을 차지할 수 있다. 다공성층 지지수단(122)은 다공성층 밑에 설치될 수 있고, 다공성층 전체를 감싸고 있을 수도 있다. 특히 다공성 층이 입자들이 충진된 형태인 경우에는 다공성층 지지수단은 충진된 입자보다 구멍이 형성된 지지체일 수 있다. 다공성층 지지수단(122)은 다공성층을 지탱하는 것 외에도 다공성층과 같이 기포와 부딪혀 기포를 깨트리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다공성층을 지탱할 수 있고, 기포 또는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구조의 지지물이라면 다공성층 지지수단은 다양한 형태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공성층 지지수단은 예를 들어 메쉬, 그물망, 여과지, 개포형(open-cell) 발포체 등일 수 있다. 다공성층을 지나 기체와 액체로 분리된 후, 기체는 기수분리부(120)에 연결된 기체 배출부(125)를 통해 외부로 나갈 수 있고, 기수분리부(120)에서 분리된 액체는 중력방향으로 흘러 분뇨 회수 통로(123)를 통해 발효 반응부(110)로 재공급될 수 있다. 기체 배출부는 기수분리부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분뇨 회수 통로(123)는 기수분리부(120)의 하부와 발효 반응부(1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기포에서 분리된 액체가 중력방향으로 떨어져 발효 반응부로 회수될 수 있도록, 분뇨 회수통로(123)는 최대한 기수분리부의 하부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는 분뇨 회수통로 외에도 기포 이동통로(124)를 통해 발효 반응부(110)로 이송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액체가 발효 반응부로 떨어지는 과정에서 기포와 부딪히면서 기포가 깨지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분뇨 발효장치(100)는 공기 흡입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흡입부(130)는 분뇨에 공기를 공급하여 발효를 촉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공기 흡입부(130)는 발효 반응부(110)에 저장된 분뇨를 배출시켜 발효 반응부(110)로 재이송시키는 경로 상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공기 흡입부에 공급되는 공기의 통로는 기수분리부(120)에 연결될 수 있다. 기수분리부에 연결된 공기 주입통로(132)는 기수분리부(120)의 다공성층(121)의 아래쪽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기수분리부(120)의 기체 배출부(125)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일부 유입되므로(기포에서 분리된 기체와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난류를 형성하며 일부는 외부로 배출되고 일부는 다시 내부로 들어오는 현상이 발생한다), 다공성층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하여 다공성층 내부에서의 기포 파괴가 촉진될 수 있다. 다공성층을 통과한 후에 기포를 구성하던 액체의 분뇨는 다시 거품을 생성할 수도 있는데, 이때 다공성층으로 유입되던 공기에 의하여 거품들이 역방향으로 다공성층을 통과하면서 거품이 다시 깨질 수 있다. 공기 주입통로(132)는 기수분리부의 하부에 연결되지 않고, 발효 반응부의 상부 공기층 부분에 연결될 수도 있다. 분뇨 발효장치는 발효 반응부 내에 저장된 분뇨가 배출되어 다시 발효 반응부 내로 재이송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관인 분뇨 이동통로(131a, 131b, 131c)를 포함할 수 있다. 분뇨 이동통로는 분뇨 제1이동통로(131a), 분뇨 제2이동통로(131b), 분뇨 제3이동통로(131c)로 구분될 수 있다. 분뇨 제1이동통로(131a)는 발효 반응부(110)와 공기 흡입부(130) 사이를 연결하는 관으로, 발효 반응부 내부에 저장된 분뇨가 펌프(133)에 의해 발효 반응부 밖으로 나와 분뇨 제1이동통로를 따라 공기 흡입부(130)로 이송된다. 분뇨 제1이동통로는 발효 반응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발효 반응부 내 분뇨의 수위가 낮더라도 분뇨가 분뇨 제1이동통로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발효 반응부 내부의 공기층과의 거리가 멀어서 공기의 용해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반응부 밑부분의 분뇨를 외부로 순환시키면서 공기를 용해시켜서 발효를 촉진시킬 수 있다. 분뇨 제1이동통로(131a)를 따라 이동하는 분뇨는 공기 흡입부(130)를 지나 분뇨 제2이동통로, 분뇨 제3이동통로 순으로 흐를 수 있다. 분뇨 제2이동통와 분뇨 제3이동통로는 통로에 설치되어 있는 제3밸브(131d)로 구분되어질 수 있다. 분뇨 제2이동통로는 공기 흡입부부터 제3밸브까지를 말하며, 분뇨 제3이동통로는 제3밸브부터 발효 반응부 내부까지를 말한다. 제3밸브(131d)를 조절하여 분뇨 제2이동통로(131b) 내의 압력을 높일 수 있고, 공기 흡입부를 통과하여 분뇨 제2이동통로로 들어온 분뇨는 높은 압력을 받으며, 높아진 압력에 의하여 기체인 공기의 용해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공기가 녹아든 분뇨는 분뇨 제3이동통로(131c)를 따라 발효 반응부로 다시 회수될 수 있다. 분뇨 제3이동통로의 끝부분은 발효 반응부에 저장된 분뇨에 잠길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발효 반응부의 아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분뇨 제3이동통로가 발효 반응부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지 않으면 분뇨 제3이동통로를 통하여 발효 반응부로 유입되는 분뇨는 공기층을 통과하면서 낙하하게 되고, 낙하된 분뇨는 아래쪽의 분뇨와 충돌하면서 다시 기포를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분뇨 제3이동통로가 분뇨에 잠겨 있으면 분뇨가 액체 상태인 분뇨의 내부로 공급되므로, 분뇨가 발효 반응부 내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기포 생성을 막을 수 있다. 공기 흡입부(130)는 분뇨 제1이동통로(131a)와 분뇨 제2이동통로(131b) 사이에 위치하고, 분뇨 이동통로 내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공기 흡입부(130)는 이젝터 또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공지된 장치일 수 있다. 이젝터는 액체의 유체가 관을 통과하는 동안에 일부 영역에 압력이 낮아지면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장치이다. 또한 공기 흡입부는 외부의 공기 등을 유입시키기 위하여 팬이나 에어 블로워와 같은 별도의 동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구성은 공기 주입통로(132)에 연결된 기체 주입부(134)이고, 기체 주입부(134)를 통해서 외부의 공기나 오존 등이 공급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오존을 생성하기 위한 장치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공기는 기체 배출부(125)를 통해 기수분리부로 들어올 수 있고, 공기 흡입부(130)와 기수분리부(120) 사이를 잇는 공기 주입통로(132)를 따라 공기 흡입부로 들어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축산분뇨 발효장치에서 발생하는 기포의 이동과 기포 제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기포의 발생과 제거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뇨 투입부(111)로 분뇨가 투입되면 발효 반응부(110)에서 발효가 진행된다. 분뇨의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기포가 발생하는데, 발생된 기포들이 많아져 거품이 되면 기포들은 기포 이동통로(124)를 통과하여 기수분리부(120)로 이동한다. 기수분리부(120)의 내부로 이동한 기포들은 다공성층(121)을 통과하는데, 통과하는 과정에서 기포가 깨져 액체과 기체가 분리된다. 분리된 기체는 기체 배출부(12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고, 분리된 액체는 분뇨 회수 통로(123) 또는 기포 이동통로(124)를 통하여 다시 발효 반응부(110)로 회수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발효 반응부로 공기를 용해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분뇨의 발효과정에는 공기가 필요한데, 발효 반응부(110)에서 발효가 진행되면 발효에 필요한 공기가 부족하게 된다. 이때, 펌프(133)가 구동되면서 발효 반응부(110)의 하부에 연결된 분뇨 제1이동통로(131a)를 통하여 분뇨가 공기 흡입부(130)로 이송된다. 공기 흡입부(130)에는 공기 주입통로(132)가 연결되어서 공기가 투입되고, 투입된 공기는 분뇨 제1이동통로(131a)를 통하여 이송된 분뇨에 용해된다. 공기 흡입부(130)에 연결된 분뇨 제2이동통로(131b)에는 공기 주입통로(132)에서 유입된 공기와 분뇨 제1이동통로(131a)에서 이송된 분뇨가 만나서 공기가 분뇨에 용해된다. 이때, 분뇨 제2이동통로(131b)의 일단에는 제3밸브(131d)가 연결되어 있고, 제3밸브(131d)의 통로를 조절하면 분뇨 제2이동통로(131b) 내부의 압력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공기가 분뇨에 잘 용해될 수 있다. 제3밸브(131d)를 통과한 분뇨는 분뇨 제3이동통로(131c)를 통과하여 발효 반응부(110)로 재투입된다. 이때, 분뇨 제3이동통로(131c)는 아래쪽으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서 저장된 분뇨에 제3이동통로(131c)의 끝 부분이 잠기게 되고, 분뇨가 발효 반응부 내부의 공기를 통과하며 하부에 저장된 분뇨와 충돌하여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분뇨 제3이동통로(131c)의 끝이 저장된 분뇨에 잠기지 않게 되면, 분뇨의 낙하와 충돌에 의한 기포의 발생 외에도 분뇨 제3이동통로(131c)의 끝에서 압력이 낮아지며 기포가 발생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 구현예를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설명된 구현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구현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분뇨 발효장치 110: 발효 반응부
111: 분뇨 투입부 111a: 제1밸브
112: 분뇨 113: 발효물 배출부
113a: 제2밸브 114: 수면계
120: 기수분리부 121: 다공성층
122: 다공성층 지지수단 123: 분뇨 회수 통로
124: 기포 이동통로 125: 기체 배출부
130: 공기 흡입부 131a: 분뇨 제1이동통로
131b: 분뇨 제2이동통로 131c: 분뇨 제3이동통로
131d: 제3밸브 132: 공기 주입통로
133: 펌프 134: 기체 주입부

Claims (4)

  1. 분뇨의 발효가 일어나는 발효 반응부;
    상기 발효 반응부에 발효대상인 분뇨를 공급하는 분뇨 투입부; 및
    상기 발효 반응부의 발효 과정에서 생성된 기포를 기체와 액체로 분리하여 기체만을 외부로 방출하는 기수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수분리부는 다공성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발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대상인 분뇨에 공기를 공급하여 발효를 촉진시키는 공기 흡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부는 상기 발효 반응부에 저장된 분뇨를 배출시켜 다시 발효 반응부로 이송시키는 경로 상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 흡입부에 공급되는 공기의 통로는 상기 기수분리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발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흡입부를 통과한 분뇨를 상기 발효 반응부에 다시 이송시키는 이송관의 끝부분이 발효 반응부에 저장된 분뇨에 잠길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발효반응부의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발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수분리부는 다공성층을 지탱할 수 있는 다공성층 지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뇨 발효장치.
KR1020140181727A 2014-12-16 2014-12-16 축산분뇨 발효장치 KR201600732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727A KR20160073212A (ko) 2014-12-16 2014-12-16 축산분뇨 발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727A KR20160073212A (ko) 2014-12-16 2014-12-16 축산분뇨 발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212A true KR20160073212A (ko) 2016-06-24

Family

ID=56343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727A KR20160073212A (ko) 2014-12-16 2014-12-16 축산분뇨 발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32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09016A (ja) * 2021-01-14 2022-07-27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発泡ドレン装置、およびメタン発酵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09016A (ja) * 2021-01-14 2022-07-27 株式会社神鋼環境ソリューション 発泡ドレン装置、およびメタン発酵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28226B (zh) 养殖场废弃物综合处理系统
KR101346525B1 (ko) 폐수 응집 처리장치
CN102754613B (zh) 一种一体化循环水养殖系统
US7993521B2 (en) Plant and method for generating biogas from biologically degradable material containing liquid and solid components, in particular waste products, and a biogas generation container for use in the plant
KR100649261B1 (ko) 분리막 세정용 폭기량이 최소화된 외부 침지식 생물학적분리막 반응조
KR101189747B1 (ko) 수조식 양식장용 급배수 정화 시스템
KR101044445B1 (ko) 돈사 순환형 친환경 돈분뇨 처리 장치 및 방법
CA2628323A1 (en) Plant and process for generating biogas from biodegradable material containing liquid and solid components, in particular waste products, and also biogas generation container for use in the plant
CN204211537U (zh) 一体化兼氧mbr膜生物反应器
JP4682116B2 (ja) 有機性廃水処理方法ならびに有機性廃水処理装置
KR101579310B1 (ko) 외부 침지식 분리막 시스템
CN203794746U (zh) 医疗废水回用处理系统
CN206156978U (zh) 畜禽养殖废水处理系统
JP2009154156A (ja) 嫌気性水処理装置
KR100976144B1 (ko) 가축 분뇨 처리장치 및 가축 분뇨 처리방법
CN206645889U (zh) 一种污水处理一体化设备
KR20160073212A (ko) 축산분뇨 발효장치
JP2014076434A (ja) 畜産動物の排尿処理方法
CN206219375U (zh) 一种用于畜禽养殖废水的处理系统
CN104860486A (zh) 一种适用于鱼类增殖放流站的组合式模块化生物过滤器
KR20110001685A (ko) 외부 침지식 분리막 시스템
CN205398404U (zh) 一种新型家用养殖废水处理装置
KR101157642B1 (ko) 버블을 이용한 산소용해장치
CN106630427A (zh) 养殖排泄物预处理系统
CN207061979U (zh) 厌氧反应器大流量循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