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3014A - 전자장치의 기능을 확장하는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장치의 기능을 확장하는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3014A
KR20160073014A KR1020140181262A KR20140181262A KR20160073014A KR 20160073014 A KR20160073014 A KR 20160073014A KR 1020140181262 A KR1020140181262 A KR 1020140181262A KR 20140181262 A KR20140181262 A KR 20140181262A KR 20160073014 A KR20160073014 A KR 20160073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auxiliary device
user interface
data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승태
김일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1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3014A/ko
Priority to US14/736,876 priority patent/US9927945B2/en
Publication of KR20160073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3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2External expansion units, e.g. docking st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7/00Structural details; Housings
    • G04G17/08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을 처리하는 방법은 보조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보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장치의 기능을 확장하는 보조장치{ASSISTING APPARATUS FOR EXTENDING FUNCTION OF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전자장치 및 상기 전자장치에 연결되는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는 태블릿(tablet) 컴퓨터,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이 사용자가 소지하는 장치뿐만 아니라, 전자 시계(예: smart watch),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 display, HMD)(예: 전자 안경), 전자 신발, 전자 의복 또는 전자 문신 등과 같이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착용 또는 이식될 수 있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웨어러블 장치를 소형화하여 사용성이나 디자인 만족도를 실현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으나, 웨어러블 장치가 기본적으로 필요로하는 하드웨어 구성이나 프로세서의 성능에 한계가 있어 소형화나 디자인 만족도를 실현하는데 다소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웨어러블 장치가 기본적으로 필요로하는 하드웨어 구성이나 프로세서의 성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웨어러블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이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장치의 동작을 처리하는 방법은 보조 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보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보조장치의 동작을 처리하는 방법은 전자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는데 요구되는 식별값을 제공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장치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장치는 보조장치에 장착 및 탈착되는 구조를 구비하는 하우징부와, 전자장치에서 제공하는 제1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과, 상기 보조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보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사용하는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싱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보조장치는 상기 전자장치에 장착 및 탈착되며, 상기 전자장치에 장착됨에 따라 식별값을 제공하는 구조를 구비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전자장치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싱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가 구비하지 않는 하드웨어 또는 처리 동작을 구비하는 보조장치를 전자장치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보조장치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전자장치에 제공하도록 구비함으로써, 전자장치의 기능 및 성능을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보조장치는 전자장치에 구비되는 하드웨어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전자장치의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장치와 상기 장치에 연결되는 전자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장치에 연결되는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동작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동작 제어 방법에서 제공하는 제1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동작 제어 방법에서 제공하는 제2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장치의 동작을 처리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present disclosure)를 설명한다. 본 개시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으나,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 가운데 사용될 수 있는"포함한다,""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된 해당 기능, 동작,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및/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 가운데 "제 1,", "제2", "첫째", "둘째" 등의 표현들이 본 개시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장치와 상기 보조장치에 연결되는 전자장치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전자장치(20)는 사용자의 일 부분에 장착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21)를 통해 소정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장치(30)는 전자장치(20)에 결합 될 수 있다. 보조장치(30)는 상기 전자장치(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쌀 수 있는 구조의 하우징 구조체(3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구조체(31)는 상기 전자장치(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21)가 노출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보조장치(30)는 크래들의 형태로 전자장치(20)와 결합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장치에 연결되는 전자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전자장치(20)는 디스플레이부(21), 연결부(22), 전원부(23), 제어부(24), 및 통신부(25a, 25b)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부(22)는 상기 보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또는 전력 등을 전달받기 위하여, 상기 보조장치와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연결할 수 있는 연결단자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보조장치와 비접촉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나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데이터 송수신회로나 무선 전력 송수신회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부(23)는 전자장치에 구비되는 구성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예컨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23)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상기 배터리(23)에 공급하여 충전을 진행할 수 있는 충전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4)는 전자장치(20)에 구비되는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신호 또는 명령을 제공하고, 전자장치(20)의 구동시 발생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또는 전자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특히, 연결부(22)는 보조장치(30)에 구비되는 대응 연결부(32)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22)는 상기 단자부를 통해 입력되는 전압(또는 전류)값을 제어부(24)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4)는 상기 연결부(22)의 단자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압(또는 전류, 저항, 데이터)값을 통해, 보조장치(3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24)는 상기 연결부(22)의 단자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압(또는 전류, 저항, 데이터)값을 확인하고, 전압(또는 전류, 저항, 데이터)값에 대응되는 보조장치(3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25a, 25b)는 보조장치(30)와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보조장치(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25a)를 포함할 수 다. 보조장치(30)는 전자장치(20)에 근접하게 결합되므로, 전자장치(20)와 보조장치(30)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 방식은 수 센치미터 이내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이를 고려하여, 예컨대, 상기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RFID, NFC, BLE, Wifi-Direct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은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는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는 통신 방식은 포고 핀(POGO Pin)을 사용하는 통신 방식, USB, Micro USB 등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또한, 통신부(25a, 25b)는 제2통신부(25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통신부(25b)는 제1통신부(25a)가 보조장치(30)와 연결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통신부(25a)는 블루투스 통신을 처리하고, 제2통신부(25b)는 NFC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통신부(25b)는 블루투스 통신의 동작 개시를 요청하는 정보와, 보안 인증 정보 등을 보조장치(3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통신부(25a)는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자장치(20)가 보조장치(30)에 결합됨에 따라 능동적으로 보조장치(30)와 통신 연결을 처리할 수 있다.
제1통신부(25a)는 보조장치(3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예컨대, 심박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 GPS 신호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위치 데이터 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통신부(25a)는 전자장치(20)에서 지원하지 않는 통신 방식(예, 3G, WCDMA, LTE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보조장치(30)로부터 수신하고, 전자장치(20)에서 지원하지 않는 통신 방식(예, 3G, WCDMA, LTE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방식)을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보조장치(30)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4)는 전자장치(20)의 기능을 제공하는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자장치(20)에서 기본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자장치(20)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자장치(20)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의 기본 기능인, 시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는 보조장치(3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보조장치(3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심박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GPS 신호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전자장치(20)에서 지원하지 않는 통신 방식(예, 3G, WCDMA, LTE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보조장치(30)는 하우징 구조체(31), 대응 연결부(32), 충전 관리부(33), 제어부(34), 및 통신부(35a, 35b, 35c)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 구조체(31)는 상기 전자장치(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감쌀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 구조체(31)는 그 내부에 상기 전자장치(20)를 수납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장치(20)가 수납되는 영역으로 액체가 유입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대응 연결부(32)는 상기 전자장치(20)의 연결부(22)가 구비되는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22)와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연결할 수 있는 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이에 대한 다른 실시예로써, 대응 연결부(32)는 상기 보조장치와 비접촉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나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는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대응 연결부(32)는 보조장치(30)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값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식별값은 보조장치(30)의 종류에 따라 미리 정해진 크기의 전압(또는 전류)값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장치(30)는 상기 전자장치(20)에 충전전력을 제공하는 충전 관리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 관리부(33)는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에서 제공되는 전력을 상기 충전전력으로써 상기 전자장치(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상기 충전 관리부(33)는 충전 제어회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충전 제어회로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상기 충전전력으로써 상기 전자장치(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 관리부(33)는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상기 전자장치(20)에 충전전력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34)는 보조장치(30)에 구비되는 구성부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신호 또는 명령을 제공하고,보조장치(30)의 구동시 발생되는 정보를 제공하고, 또는 보조장치(30)의 구동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통신부(35)는 전자장치(20)와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전자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35a)를 포함할 수 다. 상기 전자장치(20)와 보조장치(30)는 근접하게 결합되므로, 전자장치(20)와 보조장치(30) 사이를 연결하는 통신 방식은 수 센치미터 이내에서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이를 고려하여, 예컨대, 상기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은 블루투스, RFID, NFC, BLE, Wifi-Direct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은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는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는 통신 방식은 포고 핀(POGO Pin)을 사용하는 통신 방식, USB, Micro USB 등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부(35a)는 보조장치(30)에 구비되는 구성부(예, GPS부(36), 센서부(37) 등)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예컨대, 심박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 GPS 신호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위치 데이터 등을 수신하고, 이러한 데이터들을 전자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장치(30)는, 전자장치(20)에 구비되지 않는 구성부(예, GPS부(36), 센서부(37) 등)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예컨대, 심박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 GPS 신호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위치 데이터 등을 전자장치(2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20)는 상기 보조장치(30)가 결합됨에 따라, 전자장치(20)에 구비되지 않는 구성부(예, GPS부(36), 센서부(37) 등)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예컨대, 심박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 GPS 신호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위치 데이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자장치(20)에 상기 보조장치(30)를 결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장치(20)에 구비되지 않는 구성부(예, GPS부(36), 센서부(37) 등)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예컨대, 심박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 GPS 신호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위치 데이터 등을 필요로하지 않는 경우, 보다 간단하게 구성되는 전자장치(20) 만을 채용 또는 휴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장치(30)를 결합함으로써, 전자장치(20)에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확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5)는 제2통신부(35b)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통신부(35b)는 제1통신부(35a)가 전자장치(20)와 연결을 처리하는데 필요한 정보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제1통신부(35a)는 블루투스 통신을 처리하고, 제2통신부(35b)는 NFC 통신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통신부(35b)는 블루투스 통신의 동작 개시를 요청하는 정보와, 보안 인증 정보 등을 전자장치(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통신부(35b)는 블루투스 통신의 동작 개시를 요청하는 정보와 보안 인증 정보 등을 제어부(34)로 제공하고, 제어부(34)는 보안 인증 정보를 확인하여, 제1통신부(35a)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제1통신부(35a)는 전자장치(20)에 구비되는 제1통신부(25a)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제1통신부(35a)는 통신을 개시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제2통신부(35b)를 통해 전자장치(20)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전자장치(20)와 통신 연결을 처리할 수 있다.
통신부(35)는 제3통신부(35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통신부(35c)는 전자장치(20)에서 지원하지 않는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장치(20)에서 지원하지 않는 통신 방식은, 3G, WCDMA, LTE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통신부(35c)는 전자장치(20)에서 지원하지 않는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제1통신부(35a)로 전달하고, 제1통신부(35a)는 상기 전달받은 데이터를 전자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통신부(35a)는 전자장치(20)로부터, 상기 제3통신부(35c)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통신부(35a)는 상기 제3통신부(35c)를 통해 전송할 데이터를 제3통신부(35c)로 전달하고, 제3통신부(35c)는 상기 데이터를, 전자장치(20)에서 지원하지 않는 통신 방식을 통해 목적지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장치(30)는, 전자장치(20)에 구비되지 않는 구성부(예, 3G, WCDMA, LTE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방식을 처리하는 통신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예컨대, 셀룰러 통신 데이터 등을 전자장치(2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20)는 상기 보조장치(30)가 결합됨에 따라, 전자장치(20)에 구비되지 않는 구성부(예, 3G, WCDMA, LTE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방식을 처리하는 통신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예컨대, 셀룰러 통신 데이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자장치(20)에 상기 보조장치(30)를 결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장치(20)에 구비되지 않는 구성부(예, 3G, WCDMA, LTE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방식을 처리하는 통신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예컨대, 셀룰러 통신 데이터 등을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보다 간단하게 구성되는 전자장치(20) 만을 채용 또는 휴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장치(30)를 결합함으로써, 전자장치(20)에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확장하는 유리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보조장치(30)는 메모리부(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부(38)는 대응 연결부(32)를 통해 전자장치(2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38)(또는 제어부(34))는 메모리 확장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며, 전자장치(20)는 상기 메모리부(38)를 확장 메모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장치(30)는, 전자장치(20)에 구비되지 않는 구성부(예, 3G, WCDMA, LTE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방식을 처리하는 통신부, GPS 처리부, 센서부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부들을 통해 확인되는 데이터를 전자장치(20)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전술한 구성부들에 제공하거나, 전술한 구성부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전자장치(20)에 상기 보조장치(30)를 결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장치(20)에 구비되지 않는 구성부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우, 보다 간단하게 구성되는 전자장치(20) 만을 채용 또는 휴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상기 보조장치(30)를 결합함으로써, 전자장치(20)에서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확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장치(20)가 보조장치(30)와 결합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전자장치(20)는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장치(20)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으며, 상기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자장치(20)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의 기본 기능인, 시계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는 보조장치(3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보조장치(3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공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심박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GPS 신호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전자장치(20)에서 지원하지 않는 통신 방식(예, 3G, WCDMA, LTE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전자장치(20)는,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보조장치(3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상기 보조장치(30)가 심박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GPS 신호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전자장치(20)에서 지원하지 않는 통신 방식(예, 3G, WCDMA, LTE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사용하여 제2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이렇게 구성된 제2인터페이스를 전자장치(20)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동작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동작 제어 방법에서 제공하는 제1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동작 제어 방법에서 제공하는 제2인터페이스의 일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동작 제어 방법은 전자장치의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제1인터페이스 제공할 수 있다(401). 예컨대, 전술한 전자장치가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일 경우, 도 5a에 예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전자장치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자장치에 보조장치가 장착될 수 있다. 전자장치는 보조장치의 장착 여부에 따라 그 운영모드가 다르게 설정되어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402 동작에서, 전자장치는 보조장치가 장착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장치가 장착됨에 따라, 전자장치는 보조장치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는 보조장치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전자장치는 이러한 단자부를 통해 입력되는 식별값(예, 전압, 전류, 저항, 데이터 값 등)이 입력되는 것을 감지함으로써, 보조장치의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전자장치는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방식, 예컨대, NFC 통신 방식 등을 사용하여 보조장치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통신 방식에 의해 전자장치에 NFC 통신 데이터가 제공됨에 따라, 보조장치의 장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상기 미리 정해진 통신 방식은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는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지는 통신 방식은 포고 핀(POGO Pin)을 사용하는 통신 방식, USB, Micro USB 등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403 동작에서는 전자장치에 장착된 보조장치의 종류를 확인하고, 404 동작에서는 보조장치와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403 동작 및 404 동작은 402 동작에 기초하여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장치가 보조장치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부를 사용하여 보조장치가 장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 전자장치는 단자부를 통해 검출되는 식별값(예, 전압 또는 전류값)을 확인하여 보조장치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장치는 보조장치의 종류에 따른 식별값을 미리 정의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단자부를 통해 검출되는 식별값(예, 전압 또는 전류값, 저항, 데이터 값 등)에 대응되는 보조장치의 종류가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404 동작에서 전자장치는, 상기 단자부를 통해 통신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자부는 마이크로 USB 방식에 기초하여 구비되는 단자, 또는 Pogo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구비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장치는 상기 마이크로 USB 방식, 또는 Pogo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전자장치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방식(예컨대, NFC 통신 방식 등)을 사용하여 보조장치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403동작에서, 전자장치는 보조장치와 NFC 통신 방식 등을 사용하여 통신을 연결하에 앞서, 보조장치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그리고, 404 동작에서, 전자장치는 보조장치와 NFC 통신 방식에 의한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404 동작에서 전자장치는 보조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 RFID 통신 방식, BLE 통신 방식, Wifi-Direct 통신 방식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포고 핀(POGO Pin), USB, MicroUSB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와 보조장치 사이의 연결하는 방식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405동작에서, 전자장치는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 예컨대, 도 5b 에 예시되는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자장치에 구비되지 않는 하드웨어, 또는 전자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보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인터페이스 일 수 있다. 예컨대, 전자장치가 보조장치로부터, 보조장치의 심박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GPS 신호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전자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통신 방식(예, 3G, WCDMA, LTE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한 인터페이스 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상기 보조장치가 심박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GPS 신호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전자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통신 방식(예, 3G, WCDMA, LTE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사용하여 제2인터페이스를 구성하고, 전자장치는 이렇게 구성된 제2인터페이스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장치의 동작을 처리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보조장치는 전자장치가 결합되기 이전에는 동작을 대기한다(601동작). 이후, 전자장치가 보조장치에 장착됨에 따라, 보조장치는 디비이스의 결합을 감지하고, 상기 전자장치가 장착되었음을 확인한다(602 동작). 예컨대, 보조장치는 전자장치와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단자부가 전자장치와 결합됨에 따라, 보조장치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회로는 전자장치에 구비되는 회로를 통해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장치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회로에서 제공하는 전류는 전자장치를 통해 보조장치로 다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렇게 보조장치의 연결부에 구비되는 회로로 미리 정해진 값의 전류가 유입됨에 따라, 보조장치는 전자장치의 결합을 감지할 수 있다.
603 동작에서, 보조장치는 전자장치의 통신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장치는 상기 전자장치와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단자부를 통해 통신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자부는 마이크로 USB 방식에 기초하여 구비되는 단자, 또는 Pogo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구비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장치는 상기 마이크로 USB 방식, 또는 Pogo 통신 방식에 기초하여 통신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보조장치가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서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방식(예컨대, NFC 통신 방식 등)을 사용하여 전자장치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603 동작에서, 보조장치는 전자장치와 NFC 통신 방식 등을 사용하여 통신을 연결하기에 앞서, 보조장치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교환할 수도 있다. 그리고, 603 동작에서, 보조장치는 전자장치와 NFC 통신 방식에 의한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603 동작에서 보조장치는 전자장치와 블루투스 통신 방식, RFID 통신 방식, BLE 통신 방식, Wifi-Direct 통신 방식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포고 핀(POGO Pin), USB, MicroUSB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연결을 진행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장치와 보조장치 사이의 연결하는 방식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604 동작에서, 보조장치는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 예컨대, 도 5b 에 예시되는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자장치에 구비되지 않는 하드웨어, 또는 전자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처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보조장치의 심박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GPS 신호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위치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전자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통신 방식(예, 3G, WCDMA, LTE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한 인터페이스 일 수 있다.
보조장치가 전자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할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보조장치가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전자장치에 제공하고, 전자장치가 보조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제2인터페이스를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604 동작에서, 상기 보조장치는 심박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등으로부터 제공되는 센서 데이터, 또는 GPS 신호를 기반으로 확인되는 위치 데이터, 또는 전자장치에서 지원하지 않는 통신 방식(예, 3G, WCDMA, LTE 등과 같은 셀룰러 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등을 전자장치 측으로 제공하는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동작을 처리하는 방법에 따르면, 전자장치가 구비하지 않는 하드웨어 또는 처리 동작을 구비하는 보조장치를 제한적인 하드웨어 구성을 구비함에 따라 그 동작을 처리하는데 제한적인 전자장치에 결합하고, 보조장치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전자장치에 제공함으로써, 전자장치의 기능 및 성능을 다양하게 확장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장치가 3GPP 통신방식에 따른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통신모뎀을 구비함에 따라, 전자장치는 전화 통화 기능, 문자 송수신 기능, 미디어 스트리밍 플레이 기능, 또는 데이터 통신 기능 등의 동작을 확장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보조장치가 GPS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GPS 모듈을 구비함에 따라, 위치 트랙킹 기능, 또는 위치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등의 동작을 확장하여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써, 보조장치가 심박 센서, 온도 및 습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함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을 확인하거나, 헬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동작을 확장하여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보조장치는 전자장치에 구비되는 하드웨어 구성을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전자장치의 성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보조장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전자장치의 구동에 요구되는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 또는 외부 인터페이스 단자(예, AV 출력 단자, USB 단자, micro-USB 단자 등)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전자장치에 보조장치를 결합하는 것만으로, 전자장치에서 지원되지 않는 다양한 성능 또는 기능을 증대시키거나, 확장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Claims (18)

  1. 전자장치의 동작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보조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보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보조장치와 결합됨에 따라 접촉되는 단자로부터 제공되는 값을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는 동작은,
    상기 보조장치와 결합됨에 따라 접촉되는 단자로부터 제공되는 식별값을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식별값에 대응되는 보조장치의 종류를 확인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은,
    전자장치에서 제공하는 제1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과,
    상기 보조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보조장치가 전자장치에 구비되는 제1통신 방식과 다른 제2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또는 상기 보조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보조장치의 동작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자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는데 요구되는 식별값을 제공하는 동작과,
    상기 전자장치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은,
    상기 보조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는 동작과,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상기 전자장치에 제공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보조장치가 전자장치에 구비되는 제1통신 방식과 다른 제2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또는 상기 보조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전자장치에 있어서,
    보조장치에 장착 및 탈착되는 구조를 구비하는 하우징부와,
    전자장치에서 제공하는 제1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과, 상기 보조장치와의 결합을 확인하는 동작과, 상기 보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사용하는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싱 처리부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보조장치와 결합됨에 따라 접촉되는 단자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싱 처리부는, 상기 단자부를 통해 제공되는 식별값을 확인하여 보조장치의 종류를 확인하는 전자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기 보조장치가 전자장치에 구비되는 제1통신 방식과 다른 제2통신 방식을 통해 수신한 데이터, 또는 상기 보조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생성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2. 전자장치에 결합되는 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에 장착 및 탈착되며, 상기 전자장치에 장착됨에 따라 식별값을 제공하는 구조를 구비하는 하우징부와,
    상기 전자장치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제공하는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세싱 처리부를 포함하는 보조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를 구비하는 보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와 제1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제1통신부와,
    상기 제1통신 방식과 다른 제2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제2통신부를 구비하는 보조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요구되는 데이터는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송수신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조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센서부를 포함하는 보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장치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요구되는 데이터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조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전자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수납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수납공간으로 액체의 유입을 막는 방수 구조를 구비하는 보조장치.
KR1020140181262A 2014-12-16 2014-12-16 전자장치의 기능을 확장하는 보조장치 KR20160073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262A KR20160073014A (ko) 2014-12-16 2014-12-16 전자장치의 기능을 확장하는 보조장치
US14/736,876 US9927945B2 (en) 2014-12-16 2015-06-11 Electronic device and auxiliary apparatus and method of processing an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1262A KR20160073014A (ko) 2014-12-16 2014-12-16 전자장치의 기능을 확장하는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3014A true KR20160073014A (ko) 2016-06-24

Family

ID=5611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262A KR20160073014A (ko) 2014-12-16 2014-12-16 전자장치의 기능을 확장하는 보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27945B2 (ko)
KR (1) KR2016007301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59146B (zh) * 2015-11-23 2016-11-21 廣達電腦股份有限公司 可攜式電子系統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4010A (en) 1998-11-19 2000-11-28 Microsoft Corporation Battery charging docking cradle for a mobile computer
JP4042340B2 (ja) 2000-05-17 2008-02-0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機器
IL160417A (en) 2004-02-16 2011-04-28 Mosaid Technologies Inc Unit added to the outlet
JP2012114683A (ja) * 2010-11-25 2012-06-14 Kyocera Corp 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におけるエコー低減方法
JP6479659B2 (ja) * 2012-08-14 2019-03-06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Dc電力分配システム
US8966521B2 (en) * 2013-03-14 2015-02-24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present supplemental media on a second screen
US20150227245A1 (en) * 2014-02-10 2015-08-13 Polyera Corporation Attachable Device with Flexible Electronic Display Orientation Detection
US9398002B2 (en) * 2014-07-15 2016-07-19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Secure communication during provisioning of a mobile device to stream media content from a media cli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27945B2 (en) 2018-03-27
US20160174274A1 (en)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2279B1 (ko) 전자 장치를 위한 크래들
CN106469928B (zh) 电子设备和电子设备中有线和无线充电的方法
KR102415898B1 (ko) 외부장치 연결에 따른 기능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7800456B (zh) 带构件以及包括该带构件的可穿戴电子装置
CN106997097B (zh) 电子设备和用于控制该电子设备的电力的方法
KR20170067050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170149474A1 (en) Electronic device and accessory device of the electronic device
KR20150098827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절전 방법
US2017004776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charging in electronic device
KR102359271B1 (ko) 복수의 배터리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KR20170005687A (ko) 전력 송수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045416A (ko) 전자 장치와 전자 장치가 외부 장치의 접속 단자를 인식하는 방법
CN112042176B (zh) 电子装置和控制电子装置的方法
KR2016001257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결제 방법
US20190356176A1 (en) Electronic device and foreign object detection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KR20160141982A (ko) 제어 패널을 포함하는 인체 착용형 장치
KR20150125485A (ko) 외부 장치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가지는 전자 장치 및 장치 연결 방법
KR20160001966A (ko) 전자장치 휴대용 케이스 및 휴대용 전자장치
CN113892920A (zh) 可穿戴设备的佩戴检测方法、装置及电子设备
TWI547777B (zh) 具有無線通訊功能之手錶
KR20200032546A (ko)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외부 장치의 연결을 제어하는 방법
KR20160073014A (ko) 전자장치의 기능을 확장하는 보조장치
CN114243162A (zh) 电池加热方法、装置和设备
KR20160009296A (ko) 전자 장치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장치, 및 전자 장치
EP36294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impedance of terminal included i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