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608A -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2608A
KR20160072608A KR1020140180483A KR20140180483A KR20160072608A KR 20160072608 A KR20160072608 A KR 20160072608A KR 1020140180483 A KR1020140180483 A KR 1020140180483A KR 20140180483 A KR20140180483 A KR 20140180483A KR 20160072608 A KR20160072608 A KR 20160072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ody case
converter
sensor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주
이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주식회사 엘이디파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주식회사 엘이디파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4018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2608A/ko
Publication of KR2016007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6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컨버터에 필요한 센서유닛을 슬롯 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원가를 절감하도록 한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저면에 다수개의 LED 소자가 일정한 간격으로 갖고 실장된 PCB 기판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LED 소자에서 출사된 광을 산란시키는 광확산판과, 상기 광확산판을 상기 본체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광확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배면에 구성되어 상기 LED 소자에 전류를 변환하여 공급하는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조도 감지, 인체 감지, 화재 감지, 음향 감지, 카메라, 스피커, 통신 유닛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탑재한 센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LED ILLU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컨버터에 필요한 센서유닛을 슬롯 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원가를 절감하도록 한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내 조명등으로는 거실등, 방등, 주방등, 화장실등이 있으며, 이들은 백열전구, 형광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외에 조명간판에 사용되는 광원으로도 형광등을 보편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현재에는 필라멘트를 이용한 백열전구에서부터 형광체를 이용한 형광등 및 삼파장램프, 엘이디 조명등이 다양한 형태로 설치되어 조명산업에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삼파장 램프에 비해 현재에는 기존 광원에 비해 에너지 절감 효과가 뛰어나고,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차세대 광원인 LED(Light Emittion Diode)가 서서히 그 빛을 발하고 있다.
상기 LED를 이용한 조명의 한계였던 휘도(밝기) 문제가 최근 크게 개선되면서 응용시장이 산업 전반으로 확산, 본격적인 엘이디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저전력 소모량 등의 뛰어난 특성으로 이는 p형와 n형이 접합된 반도체 양쪽에 전극 단자를 만들고 단자간에 전압을 가하면 전류가 흘러 p-n접합 부근에서 빛을 방출하는 소자로서, 고휘도의 광도를 얻을 수 있는 단계까지 발전되어 왔다.
이런 LED 조명장치는 크게 SMD(Surface Mount Device)타입과 램프타입이 사용되고 있으며, 종래의 조명을 구성하는 광원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LED 조명장치는 배열되어 있는 LED가 모두 동시에 점등되므로, LED가 점등되는 형태가 단순할 뿐만 아니라, LED가 초기 점등될 때 순간적으로 밝아지기 때문에 눈부심 등이 유발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외부의 밝기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조도의 광을 출사한다. 이로 인해 외부의 밝은 광으로 인해 실제도 높은 조도의 광이 필요 없음에도 불구하고 일정하게 높은 조도의 광을 제공하기 때문에, 높은 소비전력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LED 조명장치에서 소비전력을 줄이기 위해 조도센서, 인체감지센서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고, 이에 추가적으로 화재나 외부 침입을 감지하기 위하여 화재감지센서, 카메라, 스피커 등 각종 센서를 부착하여 사용하고 있지만, 이로 인하여 전체적인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0-2010-0045878 주변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에 따라 조명모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장치 공개특허공보 10-2002-0005213 인체, 소리, 조도를 감지하여 조명을 제어하는 방법 공개특허공보 10-2009-0108979 환경 센서를 통하여 이에 대응하여 가로등을 제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컨버터에 필요한 센서유닛을 슬롯 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원가를 절감하도록 한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저면에 다수개의 LED 소자가 일정한 간격으로 갖고 실장된 PCB 기판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LED 소자에서 출사된 광을 산란시키는 광확산판과, 상기 광확산판을 상기 본체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광확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배면에 구성되어 상기 LED 소자에 전류를 변환하여 공급하는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조도 감지, 인체 감지, 화재 감지, 음향 감지, 카메라, 스피커, 통신 유닛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탑재한 센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LED 조명장치에 조도센서를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주변이 밝을 경우 조명장치의 조도를 자동으로 감소시키어 전력소모를 줄일 수가 있다.
둘째, LED 조명장치를 현관등이나 거실등, 화장실등, 침실등으로 설치할 경우 컨버터에 인체감지센서를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사람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여 사람이 없는 공간의 광원을 자동으로 소등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다.
셋째, LED 조명장치에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수단을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이동통신단말기를 통해 원하는 장소에 위치한 조명장치를 원격으로 ON 또는 OFF함과 더불어 조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도모함과 동시에 전력소비를 줄일 수가 있다.
넷째, LED 조명장치에 카메라를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외부의 침입시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저장 및 외부로 전달하여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다섯째, LED 조명장치에 화재감지센서를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화재 발생시 신속하게 발견 및 대처할 수 있다.
여섯째, LED 조명장치에 음향센서를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박수 소리나 특정음을 인식하여 수면모드 진입/해제를 진행함으로써 50% 디밍을 할 수 있다.
일곱째, LED 조명장치에 스피커를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음향을 외부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다.
여덟째, 컨버터에 필요한 센서유닛을 슬롯 방식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전체적인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LED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에서 컨버터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LED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후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 및 도 2의 LED 조명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센서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에서 컨버터 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공간(111)을 갖는 본체 케이스(110)와,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저면에 다수개의 LED 소자(121)가 일정한 간격으로 갖고 실장된 PCB 기판(120)과,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LED 소자(121)에서 출사된 광을 산란시키는 광확산판(130)과, 상기 광확산판(130)을 상기 본체 케이스(110)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광확산판(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140)과,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배면에 구성되어 상기 LED 소자(121)에 전류를 변환하여 공급하는 컨버터(150) 및 상기 컨버터(15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조도 감지, 인체 감지, 화재 감지, 음향 감지, 적외선, 카메라, 스피커, 통신 유닛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탑재한 센서유닛(16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광확산판(130)과 본체 케이스(110)는 상기 고정 프레임(140)을 사용하여 고정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본체 케이스(110)에 슬라이드홈을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 상기 광확산판(130)을 슬라이딩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상기 PCB 기판(120)은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측면이나 저면에 구성되는데, 상기 PCB 기판(120)과 광확산판(130) 사이에는 도광판(도시되지 않음)을 구성하여 산란을 통해 상기 LED 소자(121)에서 출사된 광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110)는 방열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110)는 상부에 단턱면을 갖고, 상기 단턱면에 상기 광확산판(130)이 올려지고, 상기 광확산판(130)의 가장자리와 함께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둘레를 상기 고정 프레임(140)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다.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140)을 이용하여 상기 광확산판(130)과 본체 케이스(110)를 고정하지 않고 별도의 고정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내부 표면은 Ag, Al2O3, TiO2, Al, PET 등과 같이 반사효율이 우수한 재질로 백색 코팅이 되어 있고, 상기 본체 케이스(110)는 300㎜×300㎜, 300㎜×600㎜, 600㎜×600㎜ 등과 같이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110)는 사각틀 형상 외에 원형, 타원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내면 중 중심부는 평면 구조를 갖으면서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양측은 소정의 경사를 갖는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하거나 수직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방열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금속 PCB 기판 또는 금속 재질의 케이스를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상부에 광확산판(130)이 덮여진 상태에서 고정 프레임(140)을 통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밀폐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이 효과적으로 방출되지 않아 LED 소자(121)의 수명을 떨어뜨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이나 벽면에 부착되는 LED 조명장치에서 본체 케이스(110)의 측면 및 배면을 관통하도록 루버 타입 구조를 갖는 복수개의 통기공을 형성하여 밀폐된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통기공을 통해 외부로 신속하여 배출하여 방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광확산판(130)의 표면에 코팅된 정전기 방지용 물질은 일반 냉장고의 외부 표면에 코팅된 물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광확산판(130)의 표면저항을 감소시켜 정전기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것으로서, 조명장치의 광속을 유지하여 광효율이 감소되지 않도록 무색 투명의 박막 코팅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PCB 기판(120)은 열방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금속 PCB 기판으로서, 상기 PCB 기판(120) 중 각 LED 소자(121)가 실장된 부분을 제외하고 표면 Ag, Al2O3, TiO2, Al, PEN, PET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백색 코팅을 하거나 별도의 반사판을 부착하여 각 LED 소자(121) 발광시 광원을 반사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LED 소자(121)는 적색(R), 녹색(G), 청색(B) 및 백색(W)의 발광다이오드 중에서 적어도 하나 또는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40)을 클립 구조로 형성하여 상기 광확산판(130)을 상기 본체 케이스(110)와 함께 고정할 수도 있다.
상기 광확산판(130)은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각 LED 소자(121)로부터 조사되는 광원의 투과량을 보정하기 위한 반투명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컨버터(150)에 의하여 각 LED 소자(121)의 점등유지시간 설정이 정밀하게 설정되고, 페이드 인/아웃(Fade In/Out) 기능이 적용되어 초기 점등시 눈부심 현상이 최소화된다.
상기 컨버터(150)는 인체감지센서, 조도센서, 적외선 센서,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인체감지신호 및 조도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LED 소자(121)의 밝기 또는 색온도를 제어하여 환경에 따라 최적의 밝기를 갖도록 제어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컨버터(150)는 상기 각 LED 소자(121)가 발광하였을 때 빛을 감지하지 못할 정도인 10~20%로 색온도 또는 밝기를 제어함으로써 전력소모를 한층더 줄일 수가 있다.
예를 들면, LED 조명장치의 최대 밝기를 100%로 가정했을 경우에 초기에는 100%의 밝기로 구동을 하다가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10~20%을 디밍하여 80~90%의 밝기가 되더라도 홍체는 이를 인식하지 못하므로 전체적인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LED 소자의 수명을 한층더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컨버터(150)가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배면에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컨버터(150)의 고정 수리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일측면에 클립 체결 방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컨버터(150)를 상기 본체 케이스(110)의 일측면에 클립 체결 방식으로 체결함으로써 컨버터의 고장 수리시 전체적으로 LED 조명장치를 분해하지 않고 수리함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컨버터(15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조도센서(161), 인체감지센서(162), 음향감지센서(163), 화재감지센서(164), 카메라(165), 스피커(166), 통신유닛(167)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장착한 센서유닛(160)이 결합된다.
상기 센서유닛(160)은 막대 형태의 바(bar) 타입 또는 둥근형 타입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센서유닛(160)은 어떤 형상으로 구성해도 상관없다.
이때 상기 컨버터(150)의 일측면에는 상기 센서유닛(1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센서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삽입부재(151)가 구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부재(151)에 결합하도록 상기 센서유닛(160)의 일측에는 연결부재(171)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재(151)는 상기 컨버터(150)의 측면에 소정깊이로 삽입홈을 구성하여 형성하거나 별도의 커넥터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재(161)는 상기 삽입부재(151)에 후크 결합과 같이 슬롯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도센서(161)의 경우에는 실내 중에서 창가쪽에 위치한 조명장치에 설치하여 주위의 조도에 따라 밝기를 조절하도록 하고, 상기 인체감지센서(162)는 거실등, 화장실등, 침실등, 현관등에 설치하여 사람이 없을 경우에 조도를 낮추거나 조명을 자동으로 OFF할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센서(162)는 주변 환경 내의 열을 감지하여 인체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인체감지센서(162)는 감지거리 및 감지각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개의 열감지 센서를 포함한다. 각 열감지 센서는 열감지 신호를 출력하여 이를 멀티플렉서(MUX)에 공급한다. 이 열감지 센서는 써모파일센서(thermopile sensor)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멀티 플렉서는 열감지 센서들로부터 병렬로 동시에 공급되는 열감지신호들을 시분할방식으로 순차 출력하여 증폭기에 공급한다. 상기 증폭기는 멀티플렉서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열감지 신호들을 증폭함으로써 인체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이 인체감지신호를 상기 컨버터(150)에 공급한다.
상기 컨버터(150)는 증폭기로부터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인체감지신호들을 순차적으로 기준 온도 데이터들과 비교함으로써 이들 인체감지신호들 중 어느 하나라도 기준 온도 데이터들의 범위에 위치하면 그 주변 환경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어느 인체감지신호도 상기 기준 온도 데이터들의 범위에 속하지 않을 경우 그 주변 환경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상기 인체감지센서(162)는 열감지 센서를 주 센서로 가지는데, 감지의 정확도 및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이 인체감지센서(162)는 이 열감지 센서 이외에 초음파센서, 도플러센서 및 적외선센서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보조 센서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체감지센서(162)는 동작감지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바, 이 동작감지센서는 주변 환경 내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 움직임이 있을 경우 이 주변 환경 내에 사람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162)는 상술된 바와 같이 열과 움직임을 함께 감지하여 주변 환경 내에의 사람의 존재 여부를 더욱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체감지로 움직임이 없을 경우 5~20분이 지나면 자동으로 0%디밍을 통해 LED 조명장치(100)를 소등한다.
또한, 상기 음향감지센서(163)는 침실등에 설치하여 박수와 같은 특정 음향에 반응하여 조명장치를 자동으로 ON 또는 OFF할 수 있다.
상기 음향감지센서(163)의 감지 범위내의 사람이 박수를 4번 치면, 이 박수 소리에 응답하여 음향감지센서(163)가 감지결과를 컨버터(150)에 공급하고, 그러면 상기 컨버터(150)는 LED 조명장치(100)에 구비된 모든 LED들을 소등하거나 또는 점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음향감지센서(163)에서 박수 4번 등의 특정음을 인식하게 되면 수면모드로 진입 또는 해제를 통해 LED 조명장치(100)를 디밍할 수 있다.
상기 화재감지센서(164)는 주방등이나 보일러실등에 설치하여 화재 발생시 신속하여 발견할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화재신고를 함으로써 화재로부터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165)는 현관등이나 배란다등에 설치하여 외부에 침입시 자동으로 녹화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166)는 강단이나 사람들이 많은 실내등에 장착하여 긴급한 사고 내용 등을 전달할 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유닛(167)은 외부에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전원의 ON/OFF 상태를 확인 및 제어할 수가 있고, 조도를 원하는 밝기로 조절할 수가 있다.
상기 통신유닛(167)은 LED 조명장치(100)와 직접 통신을 통해 상기 LED 조명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상술된 바와 같은 컨버터(150)의 제어 없이 상기 통신유닛(167)을 통해 외부의 원격 제어를 통해 LED 조명장치(100)의 각 LED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통신유닛(167)과 컨버터(150)간은 지그비 통신 방식을 통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다.
따라서 다수의 LED 조명장치가 설치된 학교 교실이나 회의실 등에서 외부의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교실이나 회의실에 설치된 LED 조명장치를 개별적으로 원격 제어를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유닛(167)은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일 수 있다.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통신은 저전력(100mW)이며 설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블루투스는 사용자가 실내안에서 LED 조명유닛(100)에 대해서 상기 개인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는 경우와 같이 100m 이내의 근거리 무선통신에 적합하다.
또한, 상기 통신유닛(167)은 블루투스 외에도 FM(Frequency Modulation, 주파수 변조)방식,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분할다중접속)방식,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Equipment)밴드 방식, 와이파이(WiFi)방식, 적외선(Infrared Ray)방식,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방식, 지그비(Zigbee, USN) 방식 등을 이용하여 스마트폰(200)과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실에서 수업을 진행할 때 수리영역 관련 수업시간에는 이 교실에 설치된 LED 조명장치(100)가 7600~8000캘빈의 조도를 갖는 푸른색의 광을 출사하도록 하고, 언어영역 관련 수업시간에는 4200~4600캘빈의 조도를 갖는 백색의 광을 출사하도록 하고, 그리고 미술 및 음악 관련 예술 수업시간에는 2200~2600 캘빈의 조도를 갖는 적색의 광을 출사하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대강당의 경우 연설자에게 조명이 집중되도록 하여 화자나 청중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으며, 공연이나 연극시에는 관람석측으로 은은한 조명을 비춤으로써 연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식당의 경우에는 밝고 활발한 분위기의 조명이 연출되도록 각 LED 조명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버터(150)에 각종 기능을 갖는 센서유닛(160)을 필요에 따라 구입하여 장착함으로써 전체적인 원가를 절감함과 더불어 전력소모를 줄이고, 화재나 외부 침입에 대해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를 저장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컨버터(150)에 센서유닛(160)을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LED 조명장치의 본체 케이스(110)나 그에 인접한 부분에 조명장치와 연동할 수 있도록 센서유닛(160)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센서유닛(160)을 상기 컨버터(150)에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센서유닛(160)을 상기 컨버터(150)와는 별개로 다른 곳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센서유닛(160)을 통해 다수의 본체 케이스(110)를 연결하여 그룹 제어 등을 통해 전력 소모를 줄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에서 추가적으로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실시간으로 각 조명장치의 온도를 검출하여 화재를 감지함과 더불어 고장진단을 할 수 있다.
즉, 각 LED 조명장치에 온도센서를 부착하여 온도를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이를 통해 일정 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할 경우에 화재로 판단하여 신속하게 외부로 전달하거나 일정 온도 이하로 떨어진 경우에는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외부로 전달함으로써 화재 감시 및 고장 진단을 실시간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는 조도 또는 인체의 감지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소등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고, 상기 통신유닛을 통해 그룹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110 : 본체 케이스 111 : 내부공간
120 : PCB 기판 121 : LED 소자
130 : 광확산판 140 : 고정 프레임
150 : 컨버터 151 : 삽입부재
160 : 센서유닛 171 : 연결부재

Claims (7)

  1.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 공간을 갖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의 저면에 다수개의 LED 소자가 일정한 간격으로 갖고 실장된 PCB 기판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LED 소자에서 출사된 광을 산란시키는 광확산판과,
    상기 광확산판을 상기 본체 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광확산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되는 고정 프레임과,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배면에 구성되어 상기 LED 소자에 전류를 변환하여 공급하는 컨버터와,
    상기 컨버터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조도 감지, 인체 감지, 화재 감지, 음향 감지, 카메라, 스피커, 통신 유닛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탑재한 센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측면에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상기 컨버터에 슬롯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본체 케이스의 배면 또는 측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유닛은 조도센서, 인체감지센서, 음향감지센서, 화재감지센서, 카메라, 스피커, 통신유닛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는 상기 각 LED 소자가 발광하였을 때 빛을 감지하지 못할 정도인 10~20%로 색온도 또는 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터 또는 본체 케이스에 온도센서를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KR1020140180483A 2014-12-15 2014-12-15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KR201600726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483A KR20160072608A (ko) 2014-12-15 2014-12-15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483A KR20160072608A (ko) 2014-12-15 2014-12-15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608A true KR20160072608A (ko) 2016-06-23

Family

ID=56353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483A KR20160072608A (ko) 2014-12-15 2014-12-15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260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882B1 (ko) * 2018-03-31 2019-04-17 (주) 가나테크엠 평판 조명등의 센서 내장형 조도 제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213A (ko) 2000-06-27 2002-01-17 김충섭 물용매하에서의 3-트리플로오로메틸-5-하이드록시피라졸인산에스테르 유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
KR20090108979A (ko) 2008-04-14 2009-10-19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센서를 구비하는 유비쿼터스 가로등
KR20100045878A (ko) 2008-10-24 2010-05-04 주식회사 엘이디 에비뉴 감성 조명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213A (ko) 2000-06-27 2002-01-17 김충섭 물용매하에서의 3-트리플로오로메틸-5-하이드록시피라졸인산에스테르 유도체의 개선된 제조방법
KR20090108979A (ko) 2008-04-14 2009-10-19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환경센서를 구비하는 유비쿼터스 가로등
KR20100045878A (ko) 2008-10-24 2010-05-04 주식회사 엘이디 에비뉴 감성 조명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882B1 (ko) * 2018-03-31 2019-04-17 (주) 가나테크엠 평판 조명등의 센서 내장형 조도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5474B1 (ko) 에코센서를 구비한 led 조명장치
US8237377B2 (en) Energy efficient lighting system and method
US9860954B1 (en) Automatic sensing system and automatic sensing control method for LED lighting
KR101448962B1 (ko) 마이크로웨이브센서가 구비된 디밍용 led 램프, led 램프 제어 어셈블리 및 그를 이용한 조명 시설
US20080158878A1 (en) Flow-Through LED Lighting System
JP6118427B2 (ja) 照明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9443454B1 (en) Real-estate sign support assembly
JP2011165577A (ja) 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US20200340637A1 (en) Lighting Assembly for Adjustable Light Distribution
US10070501B2 (en) Lighting system and support apparatus
KR20120126965A (ko) 감성조명 시스템
JP2013179093A (ja) 照明装置
CN109792824B (zh) 表征照明环境的方法、系统及确定对象深度队列的方法
KR20160072608A (ko) 센서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led 조명장치
KR102161846B1 (ko) 융복합형 스마트 led 조명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조명 관제시스템
WO2019105880A1 (en) Lighting fixture design
JP2014130848A (ja) 照明装置
JP2005061934A (ja) Led照明装置を利用した位置情報管理システム
EP3779914A1 (en) Acoustic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2013225529A (ja) 照明装置
KR102021468B1 (ko) 조립형 곡면 엘이디 조명 등기구
KR20160072607A (ko) 엘이디 조명장치
JP2011258533A (ja) Led照明灯及び照明灯の管理システム
US8405315B2 (en) Energy-saving lamp
JP2006286435A (ja) 多点光源ユニットおよび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