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580A - 스마트폰 결합 형태의 보안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결합 형태의 보안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2580A
KR20160072580A KR1020140180388A KR20140180388A KR20160072580A KR 20160072580 A KR20160072580 A KR 20160072580A KR 1020140180388 A KR1020140180388 A KR 1020140180388A KR 20140180388 A KR20140180388 A KR 20140180388A KR 20160072580 A KR20160072580 A KR 201600725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ayment
terminal
user terminal
security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성
이수용
홍진우
김학민
이희준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8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2580A/ko
Publication of KR20160072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58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06Q20/3227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using secure elements embedded in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보안 패치를 설치하여 사용자에 의한 결제과정은 개선하고 보안성은 향상시킨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보안 패치를 설치하여 결제과정에서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입력과정을 개선하여 불필요한 인증과 결제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결합 형태의 보안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METHOD AND PAYMENT SYSTEM WITH SECURITY PATCH ON SMART PHONE PARTS}
본 발명은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보안 패치를 설치하여 사용자에 의한 결제과정은 개선하고 보안성은 향상시킨 스마트폰 결합 형태의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결제방식은 신용카드회사로부터 발급받은 신용카드와 금융거래 가맹점에 비치된 금융거래단말기, 인증 서버를 통한 인증에 의해 금융거래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제요청이 이루어지면 결제 단말에 부착된 입력장치에 결제자의 서명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장치를 통해 사용승인을 한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금융거래가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이 결제 단말을 통해서 이루어지므로 결제자의 서명만으로도 금융결제가 승인이 되어, 도난된 신용카드가 사용되는 경우에도 이를 방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결제카드의 명의자와 사용자가 다른 경우에 사용자가 명의자의 사용목적에 부합한 사용이 이루어지는 지를 인식할 수 없고, 명의자의 의도와는 다른 신용결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환불절차 및 결제취소절차를 취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금융거래를 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이 도난방지가 곤란하다는 점 및 명의자 이외의 타 사용자에 의한 금융결제를 명의자의 의도대로 관리하기 어렵다는 점을 보완하는 기술의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한편, 카드결제의 간편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공지된 바 있다.
예를 들어, 카드를 소지하지 않고 핸드폰 번호만 입력하면 상기 핸드폰 번호에 대응되는 카드로 결제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일 예는 한국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0-0031640, "이동전화번호를 이용한 결제방법"), 한국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8-0133237, "모바일 카드결제 시스템과 그를 이용한 모바일 카드결제 서비스 방법"), 한국특허출원(출원번호 10-2008-0112238, "전화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카드 결제시스템, 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방법") 등을 통해 공지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카드를 소지하지 않아도 핸드폰만 소지하고 있으면 편리하게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편의성으로 인해 보안성은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휴대폰을 이용한 결제는 간편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지만, 보안성에 있어서 치명적인 약점이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0-0031640호, 발명의 명칭: 이동전화번호를 이용한 결제방법. 한국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133237호, 발명의 명칭: 모바일 카드결제 시스템과 그를 이용한 모바일 카드결제 서비스 방법. 한국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8-0112238호, 발명의 명칭: 전화번호를 이용한 모바일 카드 결제시스템, 그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방법.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보안 패치를 설치하여 사용자에 의한 결제과정은 개선하고 보안성은 향상시킨 스마트폰 결합 형태의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임의의 신호에 활성화되고, 결제 시스템 단말기에 사전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결제 암호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 패치부; 상기 보안 패치부가 수납되도록 하고, 소정의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결제 암호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보안 패치부에 저장된 정보들과,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결제 시스템 단말기와, 상품의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가맹점 단말기 사이에 인증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상기 보안 패치부의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결제 암호 정보가 저장되고, 가맹점 단말기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상품의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가맹점 단말기로 전송하여 인증 결과에 따라 결제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결제 시스템 단말기; 및 상기 보안 패치부의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통해 가맹점 정보와 상품의 결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제공하는 결제 암호 정보와 결제 확인 정보와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 시스템 단말기에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가맹점 단말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안 패치부는 사용자 단말기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단말기 구동용 전원 단자와 충전 및 데이터 송수신에 사용되는 usb단자 스피커로 출력을 내보내는 스피커 단자와 같이 전원의 제어가 가능한 곳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 패치의 일부분 예를 들어 안쪽 또는 내부 등에 근거리 통신망용 안테나와 무선발생용 I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 패치는 무선발생용 IC를 결제앱에서 ON/OFF 할수 있도록 스위치 연결되거나 스위치용 I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 패치의 IC는 거리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 패치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 패치가 설치되는 단자부는 기존의 충전이나 데이터 송수신, 전기적 신호의 이동이 보장되어, 기대되는 동작에 문제가 없도록 관통된 통전 단자를 포함하거나, 무선신호 전달용 단자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안 패치는 감싸거나 끼우는 등 일방 이상이 접촉 또는 비접촉하는 형태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어댑터를 함께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를 특정화 하고, 변경이나 도용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암호화 코드를 삽입하고, 결제 또는 인증시에만 전원이 공급되어 동작하는 방식으로 구현하고, 이를 스마트기기 제조시 삽입하고 기관이나 은행에서 앱과 보안인증을 설정하는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안 패치부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결제 암호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 단말기 고유번호, 패치번호, 결제승인용 비밀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안 패치부는 활성화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하여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공급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결제 시스템 단말기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보안 패치 통신부; 상기 활성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의 저장과 사용자 단말기로의 전송을 제어하는 보안 패치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보안 패치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통신 중 하나 이상, 예를 들어 알에프아이디(RFID) 또는 와이파이(WiFi)를 이용한 무선 데이터 포맷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보안 패치부, 결제 시스템 단말기, 가맹점 단말기와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 결제 확인 정보, 결제 승인 확인 정보, 가맹점 정보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가맹점 단말기와 페어링되어 상품의 결제 정보, 결제 확인 정보,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부; 상기 데이터 통신부와 블루투스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가맹점 정보가 수신되면,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자로부터 보안 패치부에 저장된 결제 암호 정보를 입력받아 인증하여 결제 시스템 단말기와, 가맹점 단말기 사이의 인증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 사용자로부터 상기 결제 암호 정보와 결제 확인 정보와,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의 동작 과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는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보호기 암호 정보,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암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 정보를 추가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제 시스템 단말기는 보안 패치부에 저장되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를 검출하는 보안 패치 정보 입력부; 가맹점 단말기와 결제 승인 요청 정보와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송수신하는 결제 정보 통신부; 상기 보안 패치 정보 입력부에서 검출한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는 저장하고, 상기 결제 정보 통신부에서 전송되는 결제 승인 요청 정보와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인증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시스템 관리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결제 시스템 관리부는 상기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와 가맹점 단말기로 개별 전송 또는 동시에 다수의 주문자를 인지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맹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된 보안 패치부의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보안 패치 검출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페어링되어 상품의 결제 정보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결제 시스템 단말기와 가맹점 정보, 결제 승인 요청 정보, 결제 확인 정보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보안 패치 검출부와, 블루투스 통신부와, 데이터 통신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보안 패치 검출부에서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의 사용자 단말기로 가맹점 정보를 전송하며, 상품의 결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결제 시스템 단말기와의 인증을 통해 결제를 수행하는 가맹점 단말기 제어부; 주문 정보를 포함한 상품의 결제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로 입력된 상품의 결제 정보와 결제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으로서, a) 보안 패치부와 결제 시스템 단말기에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결제 암호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b) 가맹점 단말기가 보안 패치부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검출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전화번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전화번호의 사용자 단말기로 미리 설정된 가맹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가맹점 단말기와 연동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맹점 단말기에서 상품의 결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상품의 결제 정보를 결제 시스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e) 사용자가 가맹점 단말기와 결제 시스템 단말기로부터 결제 내역과 가맹점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비교하여 자동 혹은 수동으로 결제 암호 작성을 준비하고, 사용자가 인증 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와 결제 시스템 단말기로 결제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결제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결제 시스템 단말기로부터 결제 인증정보를 수신하면, 가맹점 단말기와 사용자의 결제 승인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단계는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 결제 시스템 단말기와 접속하여 미리 설정된 고유번호를 입력받아 인증 후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c)단계는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보호기 암호 정보,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암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 정보를 추가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하면 가맹점 단말기와 연동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이 온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d)단계는 사용자의 결제 암호 정보를 검출하여 인증 시 블루투스 통신망 이외의 근거리 통신은 오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f)단계는 결제가 완료된 결과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보안 패치를 설치하여 결제과정에서의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입력과정을 개선하여 불필요한 인증과 결제과정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의 보안 패치 설치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의 보안 패치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의 결제 시스템 단말기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의 가맹점 포스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결합 형태의 보안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결제 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보안 패치부의 설치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보안 패치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사용자 단말기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5는 결제 시스템 단말기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6은 가맹점 포스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은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와, 사용자 단말기(200)와,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와, 가맹자 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임의의 신호에 활성화되고,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에 사전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결제 암호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으로서, 전원 공급부(110)와, 보안 패치 통신부(120)와, 보안 패치 제어부(130)와, 데이터 저장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전원을 공급받고, 외부 신호에 반응하여 전파를 출력하도록 구현하고, 결재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에 따라 전원을 끄고 켤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보안 패치부(1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단말기(204) 구동용 전원 단자(203)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즉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덮개부(201)를 분리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내측에 배터리(202)와 연결된 전원 단자(203)와, NFC 단말기(204)를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전원 단자(203)와 연결되는 NFC 전원단자(205)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활성화 신호가 입력되면 스위칭 온(ON) 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활성화 신호는 가맹점 단말기(400)와 연동된 와이파이 리더 신호이거나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이 출력하는 와이파이 통신 신호이다.
또한, 충전단자(207)에 보안패치부(100)를 설치하는 경우 와이파이 신호에 반응하고, NFC단말기에서 동작을 끌 수 있는 스위칭 IC나 기타 수단을 포함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전원 공급부(110)는 와이파이 신호에 의해 활성화되어 보안 패치부(1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보안 패치부(100)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안 패치 통신부(12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서, 스마트폰 데이터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 포맷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보안 패치 제어부(130)는 활성화 신호가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결제 암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14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 결제 계좌 정보 등을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는 사용자의 이동통신 전화번호 및 사용자 단말기의 고유번호(또는 기기번호)이며, 상기 결제 암호 정보는 결제를 위해 부여되는 일련의 패치번호(또는 카드번호) 및 사용자가 설정한 결제승인용 비밀번호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가 수납되도록 하고, 소정의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결제 암호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보안 패치부(100)에 저장된 정보들과,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와, 상품의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가맹점 단말기(400) 사이에 인증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데이터 통신부(210)와, 블루투스 통신부(220)와,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30)와, 입력부(240)와,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210)는 보안 패치부(100),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 가맹점 단말기(400)와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 결제 확인 정보, 결제 승인 확인 정보, 가맹점 정보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서, 일정 주파수 대역을 통해 RF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220)는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30)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되고, 가맹점 단말기(400)와 페어링되어 상기 가맹점 단말기(400)로부터 상품의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맹점 단말기(400)로 결제 확인 정보,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30)는 데이터 통신부(210)와 블루투스 통신부(220)의 동작을 제어하고,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동작되도록 하며, 가맹점 단말기(400)로부터 가맹점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자로부터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에 저장된 결제 암호 정보를 입력받아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에 저장된 결제용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인증하거나 결재 애플리케이션에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인증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와, 가맹점 단말기(400) 사이의 결제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동작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30)는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경우 미리 설정된 URL 정보를 통해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에 접속하여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거나 특정 위치에 설치된 OFF라인 상의 기기를 통해 다운로드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안패치(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는 입력된 내용을 출력만 할뿐 다른 내용으로 변경되지 않는 단방향 출력을 기본으로 하고, 특수한 목적이 필요한 경우 추가 IC나 교체를 수단을 설치하여야 한다.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은 프로그램의 정상적인 설치를 위해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가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설치용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미리 저장된 확인용 비밀번호와 비교하여 정상적인 설치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30)는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 보호기 암호 정보 또는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시작을 인식하기 위한 동작 암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이 동작되도록 한다.
상기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결제 암호 정보와, 결제 확인 정보와,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30)로 출력하며, 바람직하는 터치패드이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50)는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30)의 동작 과정과,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와, 가맹점 단말기(400) 사이에 송수신되는 결제 암호 정보, 결제 확인 정보, 결제 승인 확인 정보, 가맹점 정보 등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설정한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의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결제 암호 정보를 입력받아서 저장하여 등록하고, 가맹점 단말기(40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상품의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가맹점 단말기(400)로 전송하여 인증 결과에 따라 결제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구성으로서, 보안 패치 정보 입력부(310)와, 결제 정보 통신부(320)와, 결제 시스템 관리부(330)와, 데이터 베이스(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안 패치 정보 입력부(310)는 사용자가 설정한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의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를 검출하여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하여 관리되도록 한다.
상기 결제 정보 통신부(320)는 가맹점 단말기(400)에서 결제 승인 요청 정보와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 시스템 관리부(330)로 제공하고, 상기 결제 시스템 관리부(330)에서 출력되는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와 가맹점 단말기(400)로 송신한다.
즉 상기 결제 시스템 관리부(330)는 결제 승인 요청에 대한 확인 정보로서, 상기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와 가맹점 단말기(400)로 각각 전송함으로써, 불법적인 결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제 시스템 관리부(330)는 보안 패치 정보 입력부(310)에서 검출한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는 데이터 베이스(340)에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결제 정보 통신부(320)에서 전송되는 결제 승인 요청 정보와 사용자 단말기(200)와 가맹점 단말기(400)로 각각 제공된 결제 승인 확인 정보가 함께 수신되었는지 여부와 상기 수신된 정보의 인증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제 시스템 관리부(330)는 결제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의 결과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340)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결제 암호 정보와, 결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가맹점 단말기(400)는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의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고, 사용자 단말기(200)가 제공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통해 가맹점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상품의 결제 정보 송수신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결제 암호 정보와, 결제 확인 정보와,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에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구성으로서, 보안 패치 검출부(410)와, 블루투스 통신부(420)와, 데이터 통신부(430)와, 가맹점 단말기 제어부(440)와, 입력부(450)와, 디스플레이부(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안 패치 검출부(410)는 상점의 출입구 또는 상점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의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여 가맹점 단말기 제어부(440)로 출력한다.
상기 블루투스 통신부(42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 페어링되어 상품의 결제 정보와, 결제 확인 정보, 결제 승인 확인 정보 등을 송수신한다.
상기 데이터 통신부(430)는 사용자 단말기(200) 및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와 가맹점 정보, 결제 승인 요청 정보, 결제 확인 정보 등이 송수신되도록 한다.
상기 가맹점 단말기 제어부(440)는 보안 패치 검출부(410)와, 블루투스 통신부(420)와, 데이터 통신부(4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보안 패치 검출부(410)에서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의 사용자 단말기(200)로 가맹점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상기 가맹점 단말기 제어부(440)는 입력부(450)를 통해 주문 정보를 포함한 상품의 결제 정보가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기(200)로 상기 상품의 결제 정보가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전송되는 결제 확인 정보 및 결제 승인 확인 정보 등을 수신하여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와의 인증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입력부(450)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주문 정보를 포함한 상품의 결제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 제어부(440)로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60)는 입력부(450)로 입력된 상품의 결제 정보와 결제 과정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결제 방법)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에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결제 암호 정보를 설정하여 저장하고, 상기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되며, 상기 설정된 정보들을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에 등록한 다음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URL 접속 정보 즉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와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 소정의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S100)한다.
또한, 상기 S100단계에서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는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와 접속하여 미리 설정된 고유번호를 입력받아 인증 후 설치함으로써, 비정상적이거나 불법적인 설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 단말기(200)가 임의의 매장에 입장하면, 상기 매장에 설치된 가맹점 단말기(400)의 보안 패치 검출부(410)가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에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면, 상기 활성화 신호에 의해 상기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는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상기 보안 패치 검출부(410)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는 가맹점 단말기(400)에서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획득하며, 상기 획득한 전화번호의 사용자 단말기(200)로 미리 설정된 가맹점 정보를 전송(S110)한다.
상기 가맹점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진동 또는 음향 등을 통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가맹점 단말기(400)와 연동(S120)되도록 한다.
상기 S12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 보호기 암호 정보를 검출하여 인증되면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2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시작을 위해 미리 설정한 동작 암호 정보를 검출하여 인증되면,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120단계에서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가맹점 단말기(400)와 연동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이 온 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가 주문 정보를 제공하면, S130단계에서 가맹점 단말기(400)는 상기 주문 정보에 대응하는 상품의 결제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단말기(200)와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로 제공하고, 상기 S130단계에서 상품의 결제 정보가 사용자 단말기(200)와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에 수신되면, 상기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신용과 결제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기(200)로 결제 확인 인증을 요청한다.
S140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으로부터 받은 정보와 가맹전 단말기(400)에서 받은 결제 정보를 수신하고,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은 두 정보를 확인하여 자동결제로 넘어가거나, 확인을 요청하게 된다.
S150단계를 통해 사용자가 결제 비밀번호를 작성하고 인증 단계를 실행한다.
S160단계에서 결제 애플리케이션 또는 각 보안패치(100, 209, 2012)에 설치된 암호 생성기에서 결제용 비밀번호를 발생시키고 이를 가맹점 단말기(400)과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으로 전송한다.
S170단계에서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은 결제결과를 가맹점 단말기(400)으로 전송하여 결제를 완료한다.
또한, 상기 S150단계에서 사용자의 결제 암호 정보를 검출하여 인증하는 경우 블루투스 통신망 이외의 다른 데이터 통신수단은 모두 오프 되도록 한다.
상기 S170단계에서 전송된 결제 승인 확인 정보가 확인되면,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는 데이터 베이스(340)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결제 계좌 정보 등을 통해 조회하여 결제가 완료(S180)되도록 하고, 상기 결제 완료된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영수증 출력 또는 이메일로 결과를 전송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한 다음 매장에 입장한 다음부터 결제를 위한 태깅 없이 1회의 결제 인증과정을 통해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보안 설정 여부에 따라 화면 보호기 암호 입력단계,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시작 입력단계, 결제 승인 확인 정보 입력단계 등 다양한 추가 설정을 통해 보안등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보안 패치부 110 : 전원 공급부
120 : 보안 패치 통신부 130 : 보안 패치 제어부
140 : 데이터 저장부 200 : 사용자 단말기
201 : 덮개부 202 : 배터리
203 : 전원 단자 204 : NFC 단말기
205 : NFC 전원 단자 206 : 베터리 접촉단자
207 : 충전단자 208 : 헤드폰 단자
209 :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 210 : 데이터 통신부
211 : 보안패치 어댑터 212 : 헤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
220 : 블루투스 통신부 230 :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
240 : 입력부 250 : 디스플레이부
300 : 결제 시스템 단말기 310 : 보안 패치 정보 입력부
320 : 결제 정보 통신부 330 : 결제 시스템 관리부
340 : 데이터 베이스 400 : 가맹점 단말기
410 : 보안 패치 검출부 420 : 블루투스 통신부
430 : 데이터 통신부 440 : 가맹점 단말기 제어부
450 : 입력부 460 : 디스플레이부

Claims (15)

  1. 사용자 단말기(200)의 전원 및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임의의 신호에 활성화되고,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에 사전 등록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결제 암호 정보를 저장하는 보안 패치부(100)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
    상기 각 보안 패치부(100, 209, 212)가 수납되도록 하고, 소정의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로부터 결제 암호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각 보안 패치부(100, 209, 212)에 저장된 정보들과,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제공하는 상기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와, 상품의 결제 정보를 제공하는 가맹점 단말기(400) 사이에 인증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200);
    상기 보안 패치부(100)의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결제 암호 정보가 저장되고, 가맹점 단말기(400)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상품의 결제 정보가 수신되면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가맹점 단말기(400)로 전송하여 인증 결과에 따라 결제의 승인 여부를 결정하는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 및
    상기 각 보안 패치부(100, 209, 212)의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통해 가맹점 정보와 상품의 결제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제공하는 결제 암호 정보와 결제 확인 정보와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에 결제 승인을 요청하는 가맹점 단말기(400)를 포함하는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 패치(209) 또는 헤드폰 단자 보안패치(212)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먼지 방지 장치 모양으로 외부 삽입되는 형태로 충전단자(207), 헤드폰 단자(208) 등에 착탈 가능하게 구현되고, 각 보안패치는 보안패치 어댑터(211)을 통해 충전 및 음악감상을 포함한 기존 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나, 보안패치를 물리적 또는 화학적 작용을 통해 분리하는 경우 파손 또는 변색, 오염되는 방식으로 사용을 제한하는 결제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는 활성화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와 연결되어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 공급부(110);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보안 패치 통신부(120);
    상기 활성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의 저장과 사용자 단말기(200)로의 전송을 제어하는 보안 패치 제어부(13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 패치 통신부(120)는 RF 통신 또는 NFC 통신 와이파이(WiFi)등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무선 데이터 포맷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는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 가맹점 단말기(400)와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 결제 확인 정보, 결제 승인 확인 정보, 가맹점 정보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210);
    상기 가맹점 단말기(400)와 페어링되어 상품의 결제 정보, 결제 확인 정보,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부(220);
    상기 데이터 통신부(210)와 블루투스 통신부(22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가맹점 정보가 수신되면,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사용자로부터 보안 패치부(100)에 저장된 결제 암호 정보를 입력받아 인증하여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와, 가맹점 단말기(400) 사이의 인증을 통한 결제를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30);
    사용자로부터 상기 결제 암호 정보와 결제 확인 정보와,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24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30)의 동작 과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제어부(230)는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 보호기 암호 정보,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암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 정보를 추가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는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에 저장되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를 검출하는 보안 패치 정보 입력부(310);
    가맹점 단말기(400)와 결제 승인 요청 정보와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송수신하는 결제 정보 통신부(320);
    상기 보안 패치 정보 입력부(310)에서 검출한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는 저장하고, 상기 결제 정보 통신부(320)에서 전송되는 결제 승인 요청 정보와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인증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결제 시스템 관리부(33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 정보, 결제 암호 정보,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시스템 관리부(330)는 상기 결제 승인 확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와 가맹점 단말기(400)로 개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 단말기(40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보안 패치부(100)의 활성화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수신하는 보안 패치 검출부(410);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페어링되어 상품의 결제 정보를 송수신하는 블루투스 통신부(420);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와 가맹점 정보, 결제 승인 요청 정보, 결제 확인 정보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통신부(430);
    상기 보안 패치 검출부(410)와, 블루투스 통신부(420)와, 데이터 통신부(43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보안 패치 검출부(410)에서 수신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검출되면,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의 사용자 단말기(200)로 가맹점 정보를 전송하며, 상품의 결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와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와의 인증을 통해 결제를 수행하는 가맹점 단말기 제어부(440);
    주문 정보를 포함한 상품의 결제 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 제어부(440)로 출력하는 입력부(450); 및
    상기 입력부(450)로 입력된 상품의 결제 정보와 결제 과정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11. a)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와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에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결제 암호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단말기(200)에 소정의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
    b) 가맹점 단말기(400)가 보안 패치부(100) 또는 충전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09) 또는 해드폰단자 방진형 보안패치(212)에 저장된 사용자 단말기 정보를 검출하여 사용자 단말기(200)의 전화번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전화번호의 사용자 단말기(200)로 미리 설정된 가맹점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가 가맹점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켜 가맹점 단말기(400)와 블루투스 연동하는 단계;
    d)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가맹점 단말기에서 상품의 결제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사용자 단말기 정보와 상품의 결제 정보를 결제 시스템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e) 사용자가 가맹점 단말기와 결제 시스템 단말기로부터 결제 내역과 가맹점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비교하여 자동 혹은 수동으로 결제 암호 작성을 준비하고, 사용자가 인증하여 상기 가맹점 단말기와 결제 시스템 단말기로 결제 확인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가맹점 단말기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결제 인증정보를 수신하고, 결제 시스템 단말기로부터 결제 인증정보를 수신하면, 가맹점 단말기와 사용자의 결제 승인을 완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시 결제 시스템 단말기(300)와 접속하여 미리 설정된 고유번호를 입력받아 인증 후 설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 보호기 암호 정보,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암호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호 정보를 추가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용 애플리케이션이 구동하면 가맹점 단말기(400)와 연동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이 온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는 사용자의 결제 암호 정보를 검출하여 인증 시 블루투스 통신망 이외의 통신은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1020140180388A 2014-12-15 2014-12-15 스마트폰 결합 형태의 보안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25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388A KR20160072580A (ko) 2014-12-15 2014-12-15 스마트폰 결합 형태의 보안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388A KR20160072580A (ko) 2014-12-15 2014-12-15 스마트폰 결합 형태의 보안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580A true KR20160072580A (ko) 2016-06-23

Family

ID=56353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388A KR20160072580A (ko) 2014-12-15 2014-12-15 스마트폰 결합 형태의 보안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25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074B1 (ko) * 2019-03-22 2020-02-21 주식회사 크린에어텍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프랜차이즈 개방형 메뉴 주문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640A (ko) 1998-11-09 2000-06-05 전주범 세탁기의 세탁물 구김 방지방법
KR20080112238A (ko) 2006-02-21 2008-12-24 바이오비전 에이지 각막 포켓 형성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640A (ko) 1998-11-09 2000-06-05 전주범 세탁기의 세탁물 구김 방지방법
KR20080112238A (ko) 2006-02-21 2008-12-24 바이오비전 에이지 각막 포켓 형성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074B1 (ko) * 2019-03-22 2020-02-21 주식회사 크린에어텍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프랜차이즈 개방형 메뉴 주문 시스템 및 방법
WO2020197180A3 (ko) * 2019-03-22 2020-11-19 주식회사 크린에어텍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프랜차이즈 메뉴 주문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60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nient and secure mobile transactions
KR101760622B1 (ko) 스마트 카드를 이용한 결제 승인 방법, 이를 수행하는 카드사 서버 및 스마트 카드
US20140052637A1 (en) Portable device wireless reader and payment transaction terminal secure memory functionality
WO2014076584A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mobile contactless payment
US20160027006A1 (en) Encrypting pin receiver
KR20110084865A (ko) 모바일 아이디와 접촉/비접촉식 통신을 이용한 모바일 신용카드 결제방법 및 장치
CN114424226A (zh) 用于将值加载到车载设备上的系统
KR20190091081A (ko) 전자 지갑 결제시 보안이 강화된 방법으로 와이파이에 자동 접속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1272600B1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무선 결제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
KR20100009150A (ko) 휴대폰을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그 방법
GB2510430A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wallet data access
KR101784423B1 (ko) 근거리 유저 기반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22303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접촉식 모바일 결제 디바이스, 상기 모바일 결제 디바이스의 결제데이터 처리방법, 및 사용자 단말에서의 결제데이터 처리방법
CN104680371A (zh) 一种无卡交易处理方法和系统
KR101718789B1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접촉식 모바일 결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데이터 처리방법
KR20170133307A (ko) 실물카드를 이용한 온라인 금융거래 본인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03463A (ko) 안전한 거래 방법
US20210110377A1 (en) Processing payments
KR101629174B1 (ko) 가맹점 인증형 결제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72580A (ko) 스마트폰 결합 형태의 보안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4014A (ko) 상점 인증기를 포함하는 안전한 모바일 결제 방법 및 시스템
KR101662902B1 (ko) 보안 패치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32272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접촉식 모바일 결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데이터 처리방법
KR20170033832A (ko)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비접촉식 모바일 결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결제데이터 처리방법
CN111652612B (zh) 移动支付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