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387A -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 Google Patents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2387A
KR20160072387A KR1020140179751A KR20140179751A KR20160072387A KR 20160072387 A KR20160072387 A KR 20160072387A KR 1020140179751 A KR1020140179751 A KR 1020140179751A KR 20140179751 A KR20140179751 A KR 20140179751A KR 20160072387 A KR20160072387 A KR 20160072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ilm transistor
wir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7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9100B1 (en
Inventor
이병준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9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100B1/en
Publication of KR20160072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387A/en
Priority to KR1020220013200A priority patent/KR10244002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1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4Parallel electrical configurations of multiple O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a short failure between electrodes, wires, or the electrode and the wire caused by migration of a metal layer by laser beam projection in the repair, and a repair method thereof. Provided is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where a plurality of pixel areas are defined; a plurality of wires included on the boundary of the pixel areas or inside the pixel areas; a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which are included inside each of the pixel areas on the substrate and include on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where a gate insulation film and an interlayer insulation film are located across a semiconductor layer, and on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 protection layer plac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s; a flattening layer placed on the protection layer;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placed on the flattening layer; and a crack suppressing pattern which overlaps one electrode made of a metal material among components for forming the thin film transistors or any one among the wires and is formed by being floated as an island shape.

Description

유기전계 발광소자{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 발광소자(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에 관한 것이며, 특히 리페어(repair) 시 레이저 빔 조사에 의한 금속층의 전이(migration)에 의한 전극간, 배선간 혹은 전극과 배선간의 쇼트 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이의 리페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a short failure between electrodes, between wirings, or between electrodes and wirings due to migration of a metal layer by laser beam irradiation during repai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a repair method thereof.

평판 디스플레이(FPD ; Flat Panel Display)중 하나인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높은 휘도와 낮은 동작 전압 특성을 갖는다.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hich is one of flat panel displays (FPDs), has high luminance and low operating voltage characteristics.

또한,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형이기 때문에 명암대비(contrast ratio)가 크고, 초박형 디스플레이의 구현이 가능하며, 응답시간이 수 마이크로초(㎲) 정도로 동화상 구현이 쉽고, 시야각의 제한이 없으며 저온에서도 안정적이고, 직류 5V 내지 15V의 낮은 전압으로 구동하므로 구동회로의 제작 및 설계가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it is a self-luminous type that emits light by itself, it has a large contrast ratio, can realize an ultra-thin display, has a response time of several microseconds (μs), is easy to implement a moving image, Since it is stable and driven by a low voltage of 5V to 15V, it is easy to manufacture and design a driving circuit.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장점을 갖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최근에는 TV, 모니터, 핸드폰 등 다양한 IT기기에 이용되고 있다. Therefore,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e advantages as described above has recently been used in various IT devices such as a TV, a monitor, and a mobile phone.

이하,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기본적인 구조에 대해서 조금 더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basic structure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크게 어레이 소자와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로 이루지고 있다. 상기 어레이 소자는 게이트 및 데이터 배선과 연결된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제 1 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있다.BACKGROUND ART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largely composed of an array element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The array element includes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a gate and a data line, and at least on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cludes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second electrode.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상기 유기 발광층 자체가 각각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발광물질로 형성하여 풀 컬러를 표시하거나, 또는 상기 유기 발광층 전체를 화이트를 발광하는 유기 발광물질을 형성함으로써 백색광을 발광하도록 하고, 각 화소영역에 대응하여 적, 녹, 청색 안료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패턴을 형성하여 백색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층으로부터 나온 백색광이 상기 적, 녹, 청색 컬러필터 패턴을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풀 컬러를 표시하고 있다.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such a structure, the organic luminescent layer itself may be formed of a luminescent material that emits red, green, or blue to display a full color, or an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that emits white as the whole of the organic luminescent layer A color filter pattern including red, green and blue pigments is formed corresponding to each pixel region so that whit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emitting white light passes through the red, green and blue color filter patterns Full color is displayed.

하지만, 전술한 구성을 갖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배선과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박막트랜지스터의 특성 저하 또는 내부 쇼트 발생으로 정상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불량이 발생되고 있다.However,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defects such as degrad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in film transistor or occurrence of internal short-circuit during the fabrication of the wiring and the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have been caused.

이렇게 하나의 화소영역 내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가 정상 구동이 되지 않는 경우, 이러한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로 전류 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암점화 되거나, 또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이 쇼트되는 경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정상 구동되지 않고 소스 전극으로 인가된 전압이 온(on)/오프(off) 되지 않고 바로 드레인 전극으로 직접 인가됨으로서 이러한 구동을 하는 화소영역은 항상 온(on) 상태가 되어 휘점화 되고 있다.When the thin film transistor formed in one pixel region can not be normally driven, the current or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onnected to the thin film transistor, so that the current is ignited or the source electrode and the drain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When the TFT is short-circuite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not normally driven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source electrode is directly applied to the drain electrode without being turned on / off, so that the driving pixel region is always on And it is burned.

이렇게 하나의 특정 화소영역이 암점화 또는 휘점화 되는 경우, 암점화된 화소영역은 현 구조 특성 상 리페어가 불가하므로 암점화된 상태 그대로 두고 있으며, 휘점화된 화소영역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전극과의 전기적 연결 부분 또는(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의 전기적 연결부분을 소정의 에너지 밀도를 갖는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절단함으로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로 전류가 흐리지 못하도록 하여 암점화하고 있다. In the case where one particular pixel region is dark or bright, the dark-lit pixel region is left in a dark state because it can not be repaired due to the current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bright- (Or an electrically connected portion between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is irradiated with a laser beam having a predetermined energy density to cut off the current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o ignite the arm.

이렇게 휘점화된 불량이 발생된 화소영역을 암점화하는 것은 휘점화 불량은 시인성이 좋아 사용자의 눈에 띄게 되어 표시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표시영역 전면에 하나만 발생되어도 표시장치로서 불량이 되어 최종 제품화될 수 없지만, 암점화된 화소영역은 사용자가 거의 인지하지 못하므로 통상 표시영역 전체에 10 내지 20개 정도가 발생되어도 표시장치로 제품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ignition of the pixel area in which the defective ignition is generated ignites the defective ignition of the ignition, because the ignition failure is noticeable to the user and causes the deterioration of the display quality. Therefore, even if only one is generated on the entire display area, However, since the darkened pixel region is hardly perceiv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commercialize the display region even if about 10 to 20 pixels are generated in the entire display region.

하지만, 도 1(종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화소영역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게이트 배선과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간의 연결부분에 대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부분 주위에서 쇼트 불량이 발생된 것을 나타낸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1)는 이렇게 휘점화 불량이 발생된 화소영역에 있어 특정 영역 즉,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와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의 제 1 전극(60)과의 전기적 연결 부분,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와의 전기적 연결부분, 게이트 배선(GL)과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간의 연결부분 중 어느 한군데 이상에 대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절단시킴으로서 전기적 연결을 끊고 있는데, 이러한 레이저 빔 조사 시 상기 레이저 빔 자체의 에너지에 의해 절단 부분 주위에서 열이 발생되고, 이에 영향을 받아 무기 또는 유기 물질로 이루어진 절연막(18, 40, 50)을 내부에 크랙이 발생되고 있다.1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pixel region of a conventional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 diagram showing that a short-circuit defect occurred around a portion irradiating a laser beam 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gate wiring and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he conventional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 has a specific region such as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the first electrode 60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in the pixel region where the defective lighting is generated, (Not shown) and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gate wiring GL and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 laser beam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is cut off by irradiating the laser beam. When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by the energy of the laser beam itself, Heat is generated in the periphery thereof, and a crack is generated inside the insulating films 18, 40, and 50 made of an inorganic or organic material under the influence of the heat.

이렇게 절연막(18, 40, 50)에 크랙이 발생한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절연막(18, 40, 50)의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전극(미도시) 또는 배선(GL, DL)이 상기 크랙 부분을 통해 전이됨으로서 상기 크랙이 발생된 절연막(18, 40, 50)을 사이에 둔 전극(미도시)간, 전극(미도시)과 배선(GL, DL)간, 또는 배선(GL, DL)간의 도통이 이루어짐으로서 쇼트 불량이 발생되고 있다.When cracks are generated in the insulating films 18, 40, and 50, an electrode (not shown) or wires GL, DL (not shown) formed of a metal material positioned between the insulating films 18, Is transferred between the electrodes (not shown), between the electrodes (not shown) and the lines GL, DL, or between the electrodes (not shown) sandwiched between the cracked insulating films 18, 40, GL, and DL, thereby causing short-circuit defects.

이렇게 절연막(18, 40, 50)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이웃하는 전극(미도시)간, 전극(미도시)과 배선(GL, DL)간, 또는 배선(GL, DL)간의 쇼트가 발생하는 경우 암점화된 화소영역이 다시 휘점화될 수도 있으며, 혹은 이웃하는 화소영역에 영향을 미쳐 화소라인 전체가 휘점화 혹은 암점화되는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A short circuit occurs between electrodes vert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with the insulating films 18, 40, and 50 therebetween, electrodes (not shown) and the lines GL and DL, or between the lines GL and D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ark-lit pixel region may be re-ignited again or the neighboring pixel region may be influenced and the entire pixel line may be burned or ignited.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레이저 빔 조사를 통한 리페어 진행 시 절연막에 크랙이 발생되더라도 금속물질의 전이에 의한 상기 크랙이 발생된 절연막을 사이에 둔 전극간, 배선간, 또는 전극과 배선간의 쇼트를 억제할 수 있는 유기전계 발광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an prevent cracks from occurring in the insulating film during repairing through laser beam irradiation,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a short circuit between an electrode and a wirin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다수의 화소영역이 정의된 기판과, 상기 화소영역 경계 또는 상기 화소영역 내에 구비된 다수의 배선과, 상기 기판 상의 각 화소영역 내에 구비되며, 반도체층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절연막과 층간절연막이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이와 연결된 하나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 위로 구비된 보호막과, 상기 보호막 위로 구비된 평탄화층과, 상기 평탄화층 위로 구비된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어느 하나의 전극 또는 상기 다수의 배선 중 어느 하나와 중첩하며 아일랜드 형태로 플로팅되어 구비된 크랙 억제 패턴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ing a substrate on which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are defined, a plurality of wirings provided in the pixel region boundary or the pixel region, A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including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he thin film transistor being provided in the pixel region and having a gate insulating film and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disposed therebetwee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rovid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and an electrode made of a metal material or a plurality of wires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thin film transistor. A crack that overlaps with one and floats in island shape. It includes a pattern.

이때, 상기 크랙 억제 패턴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 또는 보호막 상에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어느 하나의 전극 또는 상기 다수의 배선 중 어느 하나의 위로 추가적인 절연막이 개재되어 상기 추가적인 절연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 또는 보호막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rack-suppressing pattern may be provid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or the protective film, or an additional insulating film may be interposed on any one of the electrodes or the plurality of wirings made of metal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may be provided between the insulating film and the gate insulating film or the protective film.

또한, 상기 크랙 억제 패턴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rack-inhibiting pattern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그리고 상기 각 화소영역에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센스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센스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제 1 보조배선 및 제 2 보조배선이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배선은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과 각각 연결된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전원배선인 것이 특징이다.In each pixel region, a sense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first auxiliary wiring and a second auxiliary wiring connected to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ar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wirings ar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A gate wiring and a data wiring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power wiring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이때, 상기 크랙 억제 패턴이 구비된 부분은 리페어 공정 진행 시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부분이 되며, 상기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부분은,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게이트 배선의 연결 부분,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의 연결 부분 및 상기 센스 박막트랜지스터와 제 2 보조배선이 연결된 부분인 것이 특징이다.
At this time,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crack suppression pattern becomes a portion irradiated with the laser beam in the course of the repair process, and the portion irradiated with the laser beam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gate wiring, And the connection part of the electroluminescence diode and the second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second auxiliary wirin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불량이 발생되어 휘점화된 화소영역을 암점화 상태로 만들기 위해 리페어 공정 진행 시 레이저 빔이 조사된다 하더라도 절연막 내부에서의 크랙이 한정적으로 발생되며, 이러한 크랙을 통해 금속물질의 전이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크랙 방지 패턴에 의해 상기 크랙이 발생된 절연막을 사이에 둔 전극간, 배선간 혹은 전극 및 배선간의 쇼트는 원천적으로 억제될 수 있으므로 리페어 불량을 저감키는 효과가 있다.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during the repair process, cracks are limitedly generated in the insulating film in order to make the pixel region, which is defective, Even if a transition of the metal material occurs through such a crack, the short circuit between the electrodes and between the electrodes and between the electrodes and the wiring sandwiched by the cracked insulating film can be originally suppressed by the crack prevention pattern, Is effective.

도 1은 종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화소영역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게이트 배선과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간의 연결부분에 대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부분 주위에서 쇼트 불량이 발생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하나의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하나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하나의 화소영역에 대한 회로도.
도 3은 하나의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하나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및 보조 박막트랜지스터로서 하나의 센스 박막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하나의 화소영역에 대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하나의 화소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회로도로서 암점화를 위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절단되는 부분 및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인 크랙 확장 방지 패턴을 함께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있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있어 리페어를 위한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게이트 배선과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간의 연결 부분 및 이의 주변에 위치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있어 리페어를 위한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센스 박막트랜지스터와 제 2 보조배선간의 연결 부분 및 이의 주변에 위치하는 구성요소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비교예에 따른 하나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패턴이 구비된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단면도로서 레이저 빔 조사를 통한 리페어 공정 진행 시를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pixel region of a conventional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showing a shot defect around a portion irradiating a laser beam to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gate wiring and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3 is a circuit diagram of one pixel region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on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on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one sense thin film transistor as an auxiliary thin film transistor.
FIG. 4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one pixel region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 portion cut by irradiating a laser beam for ignition of a cell and a crack extension prevention patter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where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formed in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art between a gate wiring and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o which a laser beam for repairing is irradiated, and components surrounding the connection part,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sense thin film transistor to which a laser beam for repairing is irradiated and a second auxiliary wiring, and components surrounding the connection portion,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pattern made of a metal material with one insulating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Fig.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우선,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기본적인 구조 및 동작특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First, the basic structure and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일반적인 하나의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하나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하나의 화소영역에 대한 회로도이다. 2 is a circuit diagram of one pixel region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ncluding a general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on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r1)와 하나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ELD1)에 있어 하나의 화소영역(P)에는 스위칭(switching) 박막트랜지스터(Tr1)와 구동(driving) 박막트랜지스터(Tr2), 스토리지 커패시터(StgC), 그리고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가 구성되고 있다.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r1 is formed in one pixel region P of the organic EL device ELD1 having on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r1 and on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a storage capacitor StgC,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are constituted.

즉, 제 1 방향으로 게이트 배선(GL)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방향과 교차되는 제 2 방향으로 형성되어 화소영역(P)을 정의하며 데이터 배선(DL)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이격하며 전원전압(VDD)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배선(PL)이 형성되어 있다. That is, a gate line GL is form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data line DL is formed in a second direction intersecting the first direction to define a pixel region P, A power supply line PL for applying a power supply voltage VDD is formed.

또한,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게이트 배선(GL)이 교차하는 부분에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r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r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가 형성되어 있다.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r1 is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data line DL intersects with the gate line GL an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r1 is formed have.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의 일측 단자인 제 1 전극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고, 타측 단자인 제 2 전극은 접지되고 있으며,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소스 전극은 상기 전원배선(PL)과 연결되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전원배선(PL)은 전원전압(VDD)을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로 전달하게 된다. The first electrode, which is one terminal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is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the second electrode of the other electrode is grounded, and the sourc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The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PL so that the power supply line PL transfers the power supply voltage VD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그리고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전극 사이에는 스토리지 커패시터(StgC)가 형성되고 있다. A storage capacitor StgC is form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따라서 상기 게이트 배선(GL)을 통해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r1)가 온(on) 되고, 상기 데이터 배선(DL)의 신호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에 전달되어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가 온(on) 되므로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를 통해 빛이 출력된다. Therefore, when a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gate line GL,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r1 is turned on and the signal of the data line DL is transmit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The transistor Tr2 is turned on so that light is output through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이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가 온(on) 상태가 되면, 전원배선(PL)으로부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이 정해지며 이로 인해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는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을 구현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스토리지 커패시터(StgC)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r1)가 오프(off) 되었을 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r1)가 오프(off) 상태가 되더라도 다음 프레임(frame)까지 상기 유기전계발광 다이오드(E)에 흐르는 전류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is turned on, the level of a current flowing from the power supply line PL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is determined. 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The storage capacitor StgC is capable of maintaining a constant gate voltag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when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r1 is turned off The level of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can be kept constant until the next frame even if the switching transistor Tr1 is turned off.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기전계 발광소자(ELD1)는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각 화소영역(P)에 하나의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r1)와 하나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가 구비된 것을 보이고 있다.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LD1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the most basic and shows that on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r1 and on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are provided in each pixel region P. [

하지만, 유기전계 발광소자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는 이의 안정적인 구동, 또는 표시영역 내 화소영역의 위치를 고려하여 휘도 특성을 신뢰성 있게 안정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다수의 보조 박막트랜지스터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러한 다수의 보조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간의 연결과 상기 다수의 보조 박막트랜지스터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또는 전원배선과의 연결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However,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auxiliary thin film transistors to reliably and reliably realize its luminance characteristic in consideration of its stable driving or the position of the pixel region in the display region In this ca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auxiliary thin film transistors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auxiliary thin film transistors and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or the power supply wiring can be variously modified.

도 3은 하나의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하나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및 보조 박막트랜지스터로서 하나의 센스 박막트랜지스터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하나의 화소영역에 대한 회로도이다. 3 is a circuit diagram of one pixel region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on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on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one thin film transistor as an auxiliary thin film transistor.

도시한 바와같이, 화소영역(P) 내에 3개의 박막트랜지스터(Tr1, Tr2, Tr3)가 구비된 유기전계 발광소자(ELD2)의 표시영역에는 서로 교차하며 게이트 배선(GL) 및 데이터 배선(DL)이 형성되고 있다.A gate line GL and a data line DL intersect each other in a display region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ELD2 having three thin film transistors Tr1, Tr2 and Tr3 in a pixel region P, Is formed.

또한, 상기 게이트 배선(GL)과 나란하게 제 1 보조배선(SL)이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나란하게 전원전압(VDD) 인가를 위한 전원배선(PL) 및 제 2 보조배선(Vref)이 형성되고 있다.A first auxiliary wiring line SL is formed in parallel with the gate line GL and a power wiring line PL for applying a power source voltage VDD and a second auxiliary wiring line (Vref) is formed.

이때, 상기 각 화소영역(P) 내의 소자영역(DA)에는 상기 게이트 배선(GL) 및 데이터 배선(DL)과 연결된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r1)와,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r1)와 전원배선(PL)과 연결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와 제 1 보조배선(SL) 및 제 2 보조배선(Vref)과 연결된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가 구비되고 있다.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r1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 and the data line DL is formed in the element region DA in each pixel region P and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r1 connected to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r1 and the power line PL And a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irings SL and Vref.

상기 제 1 보조배선(SL)은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고 있으며, 상기 제 2 보조배선(Vref)은 상기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의 소스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있다.The first auxiliary wiring SL is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and the second auxiliary wiring Vref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of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조금 더 구체적으로 각 화소영역(P)에 구비된 구성요소간의 연결 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소스 전극은 상기 전원배선(PL)과 연결되고 있으며,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의 드레인 전극 및 스토리지 커패시터(StgC)와 연결되고 있으며,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r1)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고 있다. A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line PL and a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is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The drain electrode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r1 is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of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and the storage capacitor StgC and the drain electrode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r1 is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

상기 제 1 보조배선(SL)은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r1)의 게이트 전극에 스캔 전압(scan voltage)을 인가하는 게이트 배선(GL)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의 게이트 전극에 센스 전압(sense voltage)을 인가하는 센스 배선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first auxiliary line SL has the same role as the gate line GL for applying a scan voltage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r1 and is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GL of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And serves as a sense wiring for applying a sense voltage.

또한, 상기 제 2 보조배선(Vref)은 기준 전압인 공통전압을 인가하는 레퍼런스 배선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second auxiliary wiring Vref functions as a reference wiring for applying a common voltage which is a reference voltage.

그리고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며 제 1 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제 2 전극으로 이루어진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가 구비되고 있으며,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드레인 전극과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의 제 1 전극이 서로 연결된 구성을 이루고 있다.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connected to a drain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and including a first electrode,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The drain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And the first electrodes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렇게 하나의 화소영역(P)에 내부에 제 1 보조배선(SL) 및 제 2 보조배선(Vref)과 연결된 하나의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가 더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센스 박막트랜지스터 없이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도 2의 Tr1, Tr2)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도 2의 ELD1) 대비 더욱 안정적으로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에 인가되는 전원을 콘트롤 할 수 있으므로 표시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on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connected to the first auxiliary wiring line SL and the second auxiliary wiring line Vref is further provided in one pixel region P,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power applied to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more stably tha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having the thin film transistors Tr1 and Tr2 (FIG. 2) (ELD1 in FIG. 2) .

이러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ELD2)는 이러한 다수의 구성요소를 구현해야 하므로 제조 공정 중 이물 불량이 발생하거나 혹은 정전기 등이 발생하거나, 또는 제조 공정적으로 환경 또는 공정 조건 등의 변화에 의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쇼트 혹은 단선 등의 불량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쇼트 혹은 단선 불량 발생에 의해 최종적으로 불량이 발생된 화소영역이 휘점화 또는 암점화 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Since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LD2 including these components must implement such a large number of components, foreign matter may be generat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static electricity may be generated, or a change in environment or process conditions A defect such as a short circuit or disconnection may be generated. Such a phenomenon that a pixel area in which a defect is finally generated due to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or a disconnection occurs, is caused to cause a burnout or a dark ignition.

특히, 도 2에 개시된 2개의 박막트랜지스터(도 2의 Tr1, Tr2)를 구비한 유기전계 발광소자(도 2의 ELD1) 대비 하나의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와 2개의 보조배선(SL, Vref)이 더욱 구비되는 상대적으로 더욱 복잡한 구성을 갖는 도 3에 개시된 유기전계 발광소자(도 3의 ELD2)가 휘점화 또는 암점화 불량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on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and two auxiliary wirings SL and Vref are provided in comparison with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ELD1 in Fig. 2) having two thin film transistors (Tr1 and Tr2 in Fig. 2) (ELD2 in Fig. 3) disclosed in Fig. 3 having a relatively more complicated configuration, which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re complicated structure, is more liable to cause a larger number of defective or ignition defects.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져 리페어 빈도가 높은 도 3에 개시된 유기전계 발광소자(ELD2)를 위주로 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발명의 사상은 도 3에 개시된 유기전계 발광소자(ELD2)뿐만이 아니라 도 2에 개시된 화소영역 별로 2개의 박막트랜지스터(도 2의 Tr1, Tr2)가 구비된 유기전계 발광소자(도 2의 EDL1)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Hereinafter, the organic EL device ELD2 shown in FIG. 3 having a relatively complicated structure and having a high repair frequency will be mainly described. In this case,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organic EL device ELD2 disclosed in FIG. 3, but also to the organic EL device having two thin film transistors (Tr1 and Tr2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EDL1 of FIG. 2 as well.

한편, 전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유기전계 발광소자(ELD2)는 화소영역(P) 내의 쇼트 및 단선 불량 발생 시 특히 휘점화된 화소영역(P)에 대해서는 특정 영역에 대해 레이저 빔 조사를 통해 단선시킴으로서 암점화되도록 리페어 공정을 진행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organic EL device ELD2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hen a short circuit and a disconnection defect in the pixel region P occur, particularly, in the pixel region P in which the luminance is ignited, The repair process is being carried out so that the arm is igni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하나의 화소영역에 대한 개략적인 회로도로서 암점화를 위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절단되는 부분 및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인 크랙 억제 패턴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FIG. 4 is a schematic circuit diagram of one pixel region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a portion cut by irradiating a laser beam for arm ignition and a crack- Fig.

이때, 도 4에 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는 크랙 억제 패턴 이외의 구성요소는 도 3에 개시된 유기전계 발광소자(도 3의 ELD2)와 동일하며 이러한 구성요소간의 배치 및 연결 관계는 도 3을 통해 설명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한다.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4 is the same as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ELD2 in FIG. 3) shown in FIG. 3 except for the crack suppressing pattern, The arrangement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m a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에 있어서 가장 특징적인 구성 중 하나로서 리페어를 위한 레이저 빔 조사에 의해 상기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부근의 절연막(미도시)에 크랙이 발생되고 이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금속성 물질로 이루어진 전극 또는 배선(GL, DL, PL, SL, Vref)이 상기 크랙을 통해 전이함으로서 다른 전극 혹은 배선(GL, DL, PL, SL, Vref)과 쇼트 불량을 야기시키는 것을 억제시키기 위해 상기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부분(A1, A2, A3)을 포함하여 이의 주변에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며 타 구성요소와 이격하여 접촉되지 않는 아일랜드 형태로 크랙 확장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는 크랙 억제 패턴(SM1, SM2, SM3)이 구비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As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structures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rack is generated in a nearby insulating film (not shown) irradiated with the laser beam by a laser beam for repairing (GL, DL, PL, SL, Vref) with the other electrodes or the wirings (GL, DL, PL, SL, Vref) (A1, A2, and A3) irradiated with the laser beam so as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cracks, and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round the laser beam irradiating portion and suppresses crack extension in an island shape that is not in contact with other components Crack suppressing patterns SM1, SM2, and SM3 are provided.

이때, 암점화를 위해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부분(A1, A2, A3)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Tr1)와 게이트 배선(GL)간의 연결 부분(A1),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와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간의 연결 부분(A2) 및 보조 박막트랜지스터인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와 제 2 보조배선(Vref) 간의 연결 부분(A3)이 되고 있다.At this time, the portions A1, A2, and A3 irradiated with the laser beam for ignition of the arm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 A1 between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r1 and the gate wiring GL,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The connecting portion A2 between the pixel electrode E and the connecting portion A3 between the second thin film transistor Tr3 serving as the auxiliary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second auxiliary wiring Vref.

따라서 이렇게 암점화를 위해 레이저 빔을 조사되는 각 부분(A1, A2, A3)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에 의해 절단되어야 하는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전극 혹은 배선(GL, DL, PL, SL, Vref)을 덮으며 구비된 절연막 상부에 레이저 빔이 직접 조사되는 부분(A1, A2, A3)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상기 절연막 상에 플로팅된 아일랜드 형태를 갖는 크랙 억제 패턴(SM1, SM2, SM3)이 구비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DL, PL, SL, and Vref made of a metal material to be cut by the laser beam in each of the parts A1, A2, and A3 irradiated with the laser beam for arm ignition And crack-suppressing patterns SM1, SM2, and SM3 having an island shape floating on the insulating film and having an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portions A1, A2, and A3 directly irradiated with the laser beam ar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sulating film .

이러한 크랙 억제 패턴(SM1, SM2, SM3)은 각 화소영역(P)에 구비되는 구성요소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하나의 화소영역(P)에 대한 회로적 구동은 도 3에 개시된 유기전계 발광소자(도 3의 ELD2)와 동일한 동작을 하게 되며, 이러한 크랙 억제 패턴(SM1, SM2, SM3)은 단면적으로 레이저 빔 조사에 의해 절단되는 전극 또는 배선(GL, DL, PL, SL, Vref)의 위치 변화에 따라 그 적층 배치 구조가 달라지는 것이 특징이므로 이하 단면도를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Since the crack suppressing patterns SM1, SM2 and SM3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provided in the pixel regions P, the circuit driving for one pixel region P is performed by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L2, PL, SL, and Vref cut by laser beam irradiation in cross-sectional area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elements (ELD2 in FIG. 3) Since the structure of the lamination arrangemen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views.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있어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있어 리페어를 위한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게이트 배선과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 간의 연결 부분 및 이의 주변에 위치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에 있어 리페어를 위한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센스 박막트랜지스터와 제 2 보조배선간의 연결 부분 및 이의 주변에 위치하는 구성요소 대한 단면도이다.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ortion where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formed in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a gate wiring and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component located around the connection por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cond auxiliary wiring, and a peripheral portion thereof.

이때, 또 다른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부분인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 간의 연결 부분(도 4의 A2)은 실질적으로 그 적층 구조적으로 상기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와 제 2 보조배선(Vref)간의 연결 부분(A3)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하였다.At this time, the connection portion (A2 in FIG. 4) between the organic EL device E and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which is another laser beam irradiation portion, is substantially laminated structurally with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A3) between the auxiliary wirings (Vref).

또한, 각 화소영역(P) 내의 소자영역(DA)에 형성된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Tr2)와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는 모두 동일한 단면 구성을 가지므로 대표적으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단면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Tr2)와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 이들 각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Tr2, Tr3)에 대응해서만 형성되는 구성요소 즉, 게이트 전극(115)과 산화물 반도체층(120)과 서로 이격하는 소스 전극(133) 및 드레인 전극(136)에 대해서는 동일한 숫자의 도면부호를 부여함과 동시에 스위칭, 구동 및 센스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Tr2, Tr3) 순으로 각 숫자의 도면부호 끝에 a, b, c를 함께 부여하였으며, 게이트 절연막(118)과 층간절연막(123) 및 보호막(140)은 표시영역에 전면에 걸쳐 서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는 구성요소이므로 동일한 숫자의 도면부호만을 부여하였다.The driving and thin film transistor Tr2 and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formed in the element region DA in each pixel region P have the same cross sectional configuration as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Not shown, Tr2, Tr3)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constituting the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Tr2) and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The source electrode 133 and the drain electrode 136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gate electrode 115 and the oxide semiconductor layer 120 by the corresponding numeral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 b and c are attached to the ends of the numeral in the order of the driving and sense thin film transistors (not shown, Tr2 and Tr3), and the gate insulating film 118,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3,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component to be formed, so connected to each other it was given only the reference numerals of the same number.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는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Tr3, Tr2)와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가 구비된 제 1 기판(110)과, 이와 대향하여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를 보호하고 외부로부터의 습기 또는 산소 유입을 방지하는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제 2 기판(17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ubstrate 110 having a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Tr3 and Tr2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And a second substrate 170 for encapsulation that protects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against the moisture and oxygen from the outside.

이때,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기판(110)에 있어 표시영역 외측의 비표시영역에는 구동을 위한 구동회로(미도시) 등이 구비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이 실장되고 있다. Although not shown,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having a driving circuit (not shown) for driving is mounted on the non-display area of the first substrate 110 outside the display area.

한편, 상기 제 2 기판(17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110)과 마주하여 이격하는 형태로 구비된 것을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 제 2 기판(170)은 점착층을 포함하는 필름 형태로 상기 제 1 기판(110)의 최상층에 구비된 상기 제 2 전극(168)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제 2 전극(168) 상부로 유기절연막(미도시) 또는 무기절연막(미도시)이 더욱 구비되어 그 자체로 인캡슐레이션 막(미도시)으로 이용됨으로서 생략할 수도 있다.Meanwhile, although the second substrate 170 is shown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bstrate 110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170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second electrode 168 provided 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first substrate 110 in the form of a film including an adhesive layer, An insulating film (not shown) or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and used as an encapsulation film (not show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는 제 1 기판(110)에 구성적 특징이 있으므로 이후 제 1 기판(110)의 구성을 위주로 하여 설명한다. Since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acteristic feature on the first substrate 110,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structure of the first substrate 110. FIG.

상기 제 1 기판(110)에는 각 화소영역(P) 내에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와, 구동 및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2, Tr3)로 이루어진 3개의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Tr2, Tr3)가 구비되고 있으며,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와 연결되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가 구비되고 있다. The first substrate 110 is provided with three thin film transistors (not shown, Tr2 and Tr3) each including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driving and sense thin film transistors Tr2 and Tr3 in each pixel region P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그리고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와 연결되며 서로 교차하는 게이트 배선(GL) 및 데이터 배선(DL)이 구비되고 있으며, 상기 게이트 배선(GL) 또는 데이터 배선(DL)과 나란하게 이격하며 전원배선(도 4의 PL)과 제 1 및 제 2 보조배선(도 4의 SL, Vref)이 더욱 구비되고 있다.The gate wiring GL and the data wiring DL are connected to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intersect with each other. The gate wiring GL and the data wiring DL are spaced apart from the gate wiring GL or the data wiring DL, (PL in Fig. 4) and first and second auxiliary wirings (SL and Vref in Fig. 4).

이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는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및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와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전원배선(도 4의 PL) 및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와 연결되고 있으며, 상기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와 더불어 상기 제 1 및 제 2 보조배선(도 4의 SL, Vref)과 연결되고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is connected to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and to the power supply line (PL of FIG. 4)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And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irings (SL and Vref in Fig. 4) in addition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는 게이트 전극(115b)과, 게이트 절연막(118)과, 산화물 반도체층(120b)과, 반도체층 콘택홀(125)이 구비된 층간절연막(123)과, 상기 층간절연막(123) 상에서 서로 이격하며 각각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125)을 통해 상기 산화물 반도체층(120b)과 각각 접촉하는 소스 전극(133b) 및 드레인 전극(136b)으로 구성되고 있다.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includes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3 having a gate electrode 115b, a gate insulating film 118, an oxide semiconductor layer 120b, a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 125, And a source electrode 133b and a drain electrode 136b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on the insulating layer 123 and contact the oxide semiconductor layer 120b through the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 125,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와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 또한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와 동일한 적층 구조를 이루고 있다.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also have the same lamination structure as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이때,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115b)이 형성된 동일한 층 즉, 제 1 기판(1410) 상에는 상기 게이트 전극(115b)과 동일한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며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게이트 배선(GL)과 이와 이격하며 나란하게 상기 제 1 보조배선(미도시)이 형성되고 있다.At this time, on the same layer where the gate electrode 115b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is formed, that is, on the first substrate 1410, the gate wiring 115b is formed of the same metal material as the gate electrode 115b, GL) and the first auxiliary wiring (not shown) are formed in parallel to each other.

또한,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3b, 136b)이 형성된 동일한 층 즉, 층간절연막(123) 상에는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3b, 136b)과 동일한 금속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게이트 배선(GL)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데이터 배선(DL)이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이격하며 나란하게 전원배선(도 4의 PL) 및 제 2 보조배선(Vref)이 형성되고 있다. The same layer as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33b and 136b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is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layer 123.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33b and 136b ar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as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33b and 136b, The power supply line PL and the second auxiliary line Vref are spaced apart from the data line DL and extend in the direction intersecting the line GL to form the data line DL. .

한편,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의 게이트 전극(미도시)은 상기 게이트 배선(GL)과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의 소스 전극(미도시)은 상기 데이터 배선(DL)과 연결되고 있다.A gate electrode (not shown)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gate line GL and a source electrode (not shown)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

그리고 상기 제 1 보조배선(도 4의 SL)은 상기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의 게이트 전극(115c)과 연결되고 있으며, 상기 제 2 보조배선(Vref)은 상기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의 소스 전극(133c)과 연결되고 있으며, 상기 전원배선(도 4의 PL)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소스 전극(133b)과 연결되고 있다.The first auxiliary wiring SL is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115c of the sense transistor Tr3 and the second auxiliary wiring Vref is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of the sense transistor Tr3. And the power supply line (PL in FIG. 4) is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133b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한편,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Tr2)와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가 보텀 게이트 구조를 이루는 것을 일례로 나타내었지만, 상기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Tr2)와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의 적층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Although the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and the sensing thin film transistor Tr3 have a bottom gate structure in the drawing, the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not shown) It will be obvious that the lamination structur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r3 can be variously modified.

일례로, 상기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Tr2)와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는 폴리실리콘의 반도체층을 가지며 탑 게이트 타입(Top gate type)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Tr2) and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have a polysilicon semiconductor layer and may be configured as a top gate type.

이러한 경우, 상기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Tr2)와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는 순수 폴리실리콘의 액티브 영역과 이의 양측에 불순물이 도핑된 폴리실리콘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으로 이루어진 반도체층과, 게이트 절연막과, 상기 액티브영역과 중첩하여 형성된 게이트 전극과,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영역을 각각 노출시키는 반도체층 콘택홀을 갖는 층간절연막과, 상기 반도체층 콘택홀을 통해 각각 상기 소스 및 드레인 영역과 접촉하며 서로 이격하며 형성된 소스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is case, the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Tr2) and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comprise a semiconductor layer composed of an active region of pure polysilicon and source and drain regions of polysilicon doped with impurities on both sides thereof,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having a gate insulating film, a gate electrode formed to overlap with the active region, and a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 exposing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respectively, and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which contacts the source and drain regions through the semiconductor layer contact holes And source and drain electrodes form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한편, 비록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데이터 배선(DL)이 형성된 동일한 층 즉, 층간절연막(123) 상에는 전원배선(도 4의 PL)이 형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원배선(도 4의 PL)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소스 전극(133b)과 연결되고 있다. 4) is formed on the same layer on which the data line DL is formed, that is,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3. The power line (PL in FIG. 4) And is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133b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이때, 상기 게이트 전극(115b)과 게이트 배선(GL), 데이터 배선(DL)과 전원배선(도 4의 PL), 소스 및 드레인 전극(133b, 136b)과, 제 1 및 제 2 보조배선(도 4의 SL, Vrf)은 저저항 특성을 갖는 금속물질 예를들면 예를들면 구리(Cu), 구리 합금(AlNd),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Nd), 몰리브덴(Mo) 및 몰리티타늄(MoTi)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서 단일층 또는 이중층 이상의 다중층 구조를 이루게 된다. At this time, the gate electrode 115b and the gate wiring GL, the data wiring DL and the power wiring (PL in Fig. 4), the source and drain electrodes 133b and 136b and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wirings 4 SL and Vrf are metal materials having low resistance characteristics such as copper (Cu), copper alloy (AlNd), aluminum (Al), aluminum alloy (AlNd), molybdenum (Mo) MoTi) to form a single layer or a multilayer structure of more than two layers.

한편, 상기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Tr2)와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 위로 무기절연물질 예를들면 산화실리콘(SiO2) 또는 질화실리콘(SiNx)으로 이루어진 보호막(140)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protective film 140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such as silicon oxide (SiO 2 ) or silicon nitride (SiNx) is formed on the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Tr 2) and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 3 .

이때, 상기 보호막(140)에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드레인 전극(136b)을 노출시키는 제 1 드레인 콘택홀(143)이 구비되고 있다.The passivation layer 140 is provided with a first drain contact hole 143 for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136b of the driving TFT Tr2.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에 있어서 가장 특징적인 구성 중 하나로서 리페어 공정 진행시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부분(A1, A2, A3) 즉,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와 게이트 배선(GL)간의 연결 부분(A1),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와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간의 연결 부분(미도시) 및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와 제 2 보조배선(Vref) 간의 연결 부분(A3)에 있어서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게이트 절연막(118), 층간절연막(123), 혹은 상기 스위칭 및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 Tr2)와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를 덮으며 구비된 보호막(140) 상에 플로팅된 형태로 상기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를 이루는 어떠한 구성요소와도 연결되지 않은 아일랜드 형태의 크랙 억제 패턴(SM1, 미도시, SM3)이 구비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structures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ortions A1, A2, and A3 irradiated with the laser beam during the repair process, that is,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between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and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and the second thin film transistor Tr3 and the second auxiliary wiring Vref,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3 or the switching and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and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are formed of a metal material at the connecting portion A3 between the gate insulating film 118, Shaped crack suppression pattern SM1 (not shown) SM3 that is not connected to any component constituting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1 in a floating state on the protective film 140 cov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1 It is special A.

이러한 크랙 억제 패턴(SM1, 미도시, SM3)은 상기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영역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지며, 상기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절단되어야 할 전극 또는 배선(Vref, GL)과 중첩하며 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절연막(118, 123, 140) 상부에 형성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The crack suppression pattern SM1 has an area larger than the area of the area irradiated with the laser beam and overlaps the electrode or wiring Vref GL to be cut by irradiating the laser beam, And is formed on the insulating films 118, 123,

도면에 있어서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와 게이트 배선(GL)간의 연결 부분(A1)에 대응해서는 게이트 절연막(118) 상에 제 1 크랙 억제 패턴(SM1)이 구비되고 있으며, 센스 박막트랜지스터(Tr3)와 제 2 보조배선(Vref) 간의 연결 부분(A3)에 있어서는 상기 보호막(140) 상부로 제 3 크랙 억제 패턴(SM3)이 구비됨을 보이고 있다. In the figure, the first crack suppression pattern SM1 is provid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118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nection portion A1 between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nd the gate wiring GL, and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Tr3 The third crack suppression pattern SM3 is provided on the protective film 140 at the connection portion A3 between the first auxiliary wiring Vref and the second auxiliary wiring Vref.

이때,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와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간의 연결 부분(도 4의 A2)에 대응해서도 상기 보호막(140) 상부에 제 2 크랙 억제 패턴(도 4의 SM2)이 구비되고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econd crack suppressing pattern (see FIG. 4) may be formed on the protective film 140 in correspondence with a connection portion (A2 in FIG. 4) between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SM2) are provided.

이러한 크랙 억제 패턴(SM1, 미도시, SM3)은 상기 게이트 배선(GL) 또는 데이터 배선(DL)을 이루는 저저항 특성을 갖는 동일한 금속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저저항 특성을 갖는 금속물질 이외에 다른 금속물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The crack suppression pattern SM1 (not shown) may be made of the same metal material having the low resistance characteristic of the gate line GL or the data line DL, But may be made of other metal materials.

이러한 크랙 억제 패턴(SM1, 미도시, SM3)은 레이저 빔 조사에 의해 절단되는 전극 또는 배선(GL, Vref) 부분이 절단되는 시점에서 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무기물질 또는 유기물질로 이루어진 절연막(118, 123, 140, 150)에 높은 열에너지가 전달됨으로서 크랙이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전극 혹은 배선(GL, Vref) 상부에 위치하는 절연막(118, 123 )에 대해서만 상기 크랙 억제 패턴(SM1, 미도시, SM3)이 위치하는 부분까지만 크랙이 형성되며, 상기 크랙 억제 패턴(SM1, 미도시, SM3) 각각의 상부에 위치하는 절연막(123, 140, 150)에 대해서는 크랙 발생이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rack suppressing patterns SM1 (not shown) and SM3 are formed on the insulating films 118 and 118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or an organic material located on the electrode / wiring GL, Vref, The cracks are generated only by the insulating films 118 and 123 located above the electrodes or the wirings GL and Vref to which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The cracks are formed only to a portion where the cracks SM1 and SM3 are located and the insulating films 123, 140 and 150 located above the crack suppression patterns SM1 and SM3 .

이때, 상기 레이저 빔 조사는 제 1 기판(110)의 저면을 통해 이루어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 1 기판(110)의 최상부에는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를 이루는 제 2 전극(168)이 표시영역 전면에 형성되고 있는 바, 레이저 빔 조사 시 위치 파악이 용이하기 않다. At this time, the laser beam irradi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10. Since the second electrode 168 forming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is form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10, it is not easy to grasp the position when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그리고 상기 제 2 기판(170)을 통해 레이저 빔을 조사하게 되면 제 2 전극(168) 자체에 손상이 가해지게 된다.When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through the second substrate 170, the second electrode 168 itself is damaged.

또한, 상기 제 2 전극(170)을 통과하여 이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극 또는 배선(GL, Vref)에 대해 조사되어야 하므로 레이저 빔의 에너지 밀도가 상대적으로 제 1 기판(110)을 통해 조사하는 것 대비 높아지게 되며, 이 경우 더욱더 절연막(118, 123, 140, 150) 내에 크랙이 발생된다.Since the laser beam should be irradiated onto the electrode or the wiring lines GL and Vref positioned below the second electrode 170, the laser beam should be irradiated relatively through the first substrate 110 In this case, a crack is further generated in the insulating films 118, 123, 140, and 150.

따라서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레이저 빔 조사는 제 1 기판(110)의 저면을 통해 하나의 전극 또는 배선(GL, Vref)에 대해서만 절단이 가능한 수준의 에너지 밀도를 갖는 레이저 빔이 조사되도록 진행되고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through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10 to irradiate a laser beam having a level of energy density capable of cutting only one electrode or the wiring lines GL and Vref.

따라서 리페어를 위한 레이저 빔이 상기 제 1 기판(110)의 저면을 통해 조사된다 하더라도 상기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전극 또는 배선(GL, Vref)을 기준으로 이와 접촉하며 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절연막(118, 123)에 대해서만 크랙이 발생되며, 상기 크랙 억제 패턴(SM1, 미도시, SM3)에 의해 저지되어 크랙은 더 이상 상부로 진행되지 못하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laser beam for repairing is irradiat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ubstrate 110, the insulating films 118 and 118, which are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s or the wirings GL and Vref irradiated with the laser beam, 123, and cracks are prevented by the crack suppression patterns SM1 (not shown) and SM3, so that the cracks can no longer move upward.

그러므로 상기 크랙이 발생된 부분을 통해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전극 혹은 배선(GL, Vref)이 전이한다 하더라도 종래의 유기전계 발광소자(도 1의 1)에서와 같은 서로 절연막(18, 23, 4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이웃하는 전극간, 배선(도 1의 GL, DL)간 혹은 전극과 배선 간의 쇼트는 억제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electrodes or wiring lines GL and Vref made of a metal are transferred through the cracked portion, the insulating films 18, 23 and 40 can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conventional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 (Between GL and DL in FIG. 1) or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wiring can be suppres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 또한 한정적으로 절연막(118, 123)에 대해 크랙이 발생되며, 이러한 크랙을 통해 전극 또는 배선(GL, Vref)을 이루는 금속물질이 전이한다. The organic EL device 1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limitedly cracked with respect to the insulating films 118 and 123 and the metal material forming the electrodes or the lines GL and Vref is transferred through the cracks.

하지만 이러한 금속물질의 전이는 상기 크랙 억제 패턴(SM1, 미도시, SM3)까지만 이루어지게 되며, 크랙이 발생된 부분을 통해 전이된 금속물질에 의해 전극 또는 배선(GL, Vref)과 상기 크랙 억제 패턴(SM1, 미도시, SM3)과의 쇼트가 발생되지만 상기 크랙 억제 패턴(SM1, 미도시, SM3)은 아일랜드 형태로 절연막(118, 123) 상에 플로팅 된 형태로 어떠한 구성요소와 전기적 연결없이 형성된 것이므로 각 화소영역 내에서 회로 구동적으로 어떠한 문제도 발생되지 않는다. However, this transition of the metal material is limited to the crack suppression pattern SM1 (not shown) and SM3, and the electrode or the wiring lines GL and Vref by the metal material transferred through the cracked portion and the crack- The SM1 (not shown) and the SM3 are formed in an island shape in a floating state on the insulating films 118 and 123 without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any of the components (SM1, SM3, SM3) So that no problem arises in terms of circuit driving within each pixel region.

따라서 크랙을 통해 금속물질의 전이가 발생된 전극 또는 배선(GL, Vred)과 크랙 억제 패턴(SM1, 미도시, SM3)간의 쇼트는 전혀 문제되지 않으며, 상기 크랙이 상부로 퍼지는 것을 억제하게 됨으로서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유기전계 발광소자(101)의 구성요소간의 쇼트 발생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in short-circuiting between the electrode or the wiring lines GL and Vred where the metal material is transferred through the cracks and the crack suppressing pattern SM1 (not shown, SM3) And serves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a short circuit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101 made of a material.

리페어 공정은 하나의 레이어를 이루는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전극 또는 배선(GL, Vref)에 대해서만 절단이 가능한 정도의 에너지 밀도를 갖는 레이저 빔을 조사하게 되며, 이러한 레이저 빔 조사에 의해서는 서로 중첩되는 두 개의 금속층 모두를 절단할 수 있는 충분한 에너지를 갖지 못하므로 레이저 빔 조사에 의해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크랙 억제 패턴(SM1, 미도시, SM3) 자체가 절단되는 일은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의해 상기 크랙 억제 패턴(SM1, 미도시, SM3) 상부에 위치하는 절연막에 대해서는 크랙이 발생되지 않는다.The repair process irradiates a laser beam having an energy density enough to be cut only to electrodes or interconnections GL and Vref made of a metal material forming one layer. By this laser beam irradiation, two The crack suppression pattern SM1 (not shown) made of a metal material is not cut by the laser beam irradiation because the metal layer does not have sufficient energy to cut both the metal layer and the crack suppression pattern SM1, not shown, SM3), cracks are not generated in the upper insulating film.

한편, 상기 보호막(140) 위로 그 표면이 평탄한 상태의 평탄화층(150)이 표시영역 전면에 대해 형성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planarization layer 150 having a flat surface on the protective film 140 is formed over the entire display region.

이때, 상기 평탄화층(150)에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에 대응하여 이의 드레인 전극(136b)을 노출시키는 제 2 드레인 콘택홀(153)이 구비되고 있으며, 이러한 제 2 드레인 콘택홀(153)은 화소영역(P)의 개구율 향상을 위해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Tr2)의 드레인 전극(136b)을 노출시키는 상기 제 1 드레인 콘택홀(143)과 중첩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The second drain contact hole 153 exposes the drain electrode 136b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in the planarization layer 150. The second drain contact hole 153, And the first drain contact hole 143 exposing the drain electrode 136b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r2 for improving the aperture ratio of the pixel region P. [

또한, 상기 평탄화층(150) 위로 각 화소영역(P)별로 서로 연결된 상기 제 1 및 제 2 드레인 콘택홀(143, 153)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136b)과 접촉하며 일함수 값이 큰 투명 도전성 물질 예를들면 인듐-틴-옥사이드(ITO)로 이루어져 애노드 전극의 역할을 하는 제 1 전극(160)이 형성되고 있다.The first and second drain contact holes 143 and 153 are connected to the planarization layer 150 for each pixel region P and are in contact with the drain electrode 136b. The first electrode 160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indium-tin-oxide (ITO) and serves as an anode electrode.

한편, 상기 제 1 전극(160) 위로 각 화소영역(P)의 경계에는 뱅크(163)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a bank 163 is formed at the boundary of each pixel region P above the first electrode 160.

이때, 상기 뱅크(163)는 각 화소영역(P)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제 1 전극(160)의 가장자리 소정폭과 중첩하며 상기 제 1 전극(160)의 중앙부를 노출시키며 형성되고 있다. The banks 163 are formed to surround the pixel regions P and overlap the predetermined width of the first electrodes 160 to expose the center of the first electrodes 160.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기 뱅크(163)는 투명한 유기절연물질 예를들면 폴리이미드(poly imide)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블랙을 나타내는 물질 예를들면 블랙수지로 이루어지고 있다. The bank 163 having such a structure is made of a transparent organic insulating material, for example, polyimide, or made of a black material, for example, a black resin.

그리고 상기 각 화소영역(P)의 상기 뱅크(163)로 둘러싸인 제 1 전극(160)의 상부에는 유기 발광층(165)이 형성되어 있다.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65 is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160 surrounded by the banks 163 of the pixel regions P, respectively.

또한, 상기 유기 발광층(165)과 상기 뱅크(163) 상부에는 표시영역 전면에 대해 캐소드 전극을 역할을 하도록, 일함수 값이 비교적 작은 금속물질 예를들면 알루미늄(Al), 알루미늄 합금(AlNd), 은(Ag), 마그네슘(Mg), 금(Au), 알루미늄마그네슘 합금(AlMg)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섞인 물질로 이루어진 제 2 전극(168)이 형성되고 있다. Aluminum (Al), an aluminum alloy (AlNd), an aluminum alloy (AlNd), or a metal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low work function value may be formed on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65 and the bank 163, A second electrode 168 made of any one of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silver (Ag), magnesium (Mg), gold (Au), and aluminum magnesium alloy (AlMg) is formed.

한편, 각 화소영역에 있어 상기 제 1, 2 전극(160, 168)과 그 사이에 형성된 상기 유기 발광층(165)은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를 이루게 된다.In the pixel regio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160 and 168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65 formed therebetween form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도면에 나타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전극(160)과 유기 발광층(165) 사이 및 상기 유기 발광층(165)과 제 2 전극(168) 사이에는 각각 상기 유기 발광층(165)의 발광 효율 향상을 위해 다층 구조의 제 1 발광보상층(미도시)과 제 2 발광보상층(미도시)이 더욱 형성될 수도 있다. Although not shown, a multilayer structure (not shown)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160 and the organic emission layer 165 and between the organic emission layer 165 and the second electrode 168 to improve the emission efficiency of the organic emission layer 165, A first light emission compensation layer (not shown) and a second emission compensation layer (not shown) may be further formed.

이때, 다층의 상기 제 1 발광보상층(미도시)은 상기 제 1 전극(160) 상부로 순차 적층되며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과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발광보상층(미도시)은 상기 유기 발광층(165)으로부터 순차 적층되며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과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emission compensation layer (not shown) may b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first electrode 160, and may include a hole injection layer and a hole transporting layer. 2 emission compensation layer (not shown) may be sequentially stacked from the organic emission layer 165 and may include an electron transporting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한편, 상기 제 1 발광보상층(미도시)과 제 2 발광보상층(미도시)은 이중층 구조를 이루는 것을 일례로 나타내었지만, 반드시 이중층 구조를 이룰 필요는 없다. 즉, 상기 제 1 발광보상층(미도시)은 정공주입층 또는 정공수송층이 되어 단일층 구조를 이룰 수도 있고, 상기 제 2 발광보상층(미도시) 또한 전자주입층 또는 전자수송층이 되어 단일층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luminescence compensation layer (not shown) and the second luminescence compensation layer (not shown) have a bilayer structure as an example, the bilayer structure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hat is, the first emission compensation layer (not shown) may be a hole injection layer or a hole transport layer to form a single layer structure, and the second emission compensation layer (not shown) may also be an electron injection layer o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Structure.

더불어 상기 제 1 발광보상층(미도시)은 전자블록킹층이 더욱 포함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발광보상층(미도시)은 정공블록킹층이 더욱 포함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emission compensation layer (not shown)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n blocking layer, and the second emission compensation layer (not shown) may further include a hole blocking layer.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각 화소영역(P)에는 상기 보호막(140)과 상기 평탄화층(150) 사이에 선택적으로 화소영역(P)별로 순차 반복하며 적, 녹,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갖는 컬러필터 패턴(미도시)이 더욱 구비될 수도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101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ixel region P (not shown) between the passivation layer 140 and the planarization layer 150, ), And may further include a color filter pattern (not shown) having any one of red, green, and blue colors.

이렇게 보호막(140)과 평탄화층(150) 사이에 적, 녹, 청색 중 어느 하나의 색을 갖는 컬러필터 패턴(미도시)이 구비된 경우, 상기 유기 발광층(165)은 화소영역(P)별로 구분없이 표시영역 전면에서 화이트를 발광하는 화이트 유기 발광층(165)을 이루는 것이 특징이며, 유기 발광층(165)으로 나온 화이트 광이 상기 적, 녹, 청색 컬러필터 패턴(미도시)을 투과함으로서 풀 컬러를 구현하게 된다.When a color filter pattern (not shown) having any one of red, green, and blue colors is provided between the protective layer 140 and the planarization layer 150,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65 is divided into the pixel regions P Green, and blue color filter patterns (not shown) to form a white organic emission layer 165 that emits white light from the front of the display region without any distinction. The white light emitted from the organic emission layer 165 transmits the red, .

이때, 상기 적, 녹, 청색 컬러필터 패턴(미도시)이 구비되지 않는 화소영역은 화이트를 구현하게 됨으로서 적, 녹, 청 및 화이트의 4색 구현에 의해 화이트와 블랙의 명암비를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At this time, the pixel region in which the red, green, and blue color filter patterns (not shown) are not provided implements white so that the contrast ratio of white and black is further improved by implementing four colors of red, .

한편, 상기 적, 녹, 청색 컬러필터 패턴(미도시)은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와 같이 생략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유기 발광층(165)이 화소영역(P)별로 순차 반복하는 형태로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구성 또는 적, 녹, 청 및 화이트를 발광하는 구성을 이루게 됨으로서 풀 컬러를 구현할 수 있다. The red, green, and blue color filter patterns (not shown) may be omitted as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case, Green, and blue light or red, green, blue, and white light, respectively, in a repeating manner in the order of red, green, and blue.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는 전술한 구성을 갖는 상기 제 1 기판(110)에 대응하여 상기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E)의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제 2 기판(미도시)이 구비되고 있다.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substrate (not shown) for encapsulation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strate 110 having the above- Is provided.

이 경우, 상기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미도시)은 그 가장자리를 따라 실란트 또는 프릿으로 이루어진 접착제(미도시)가 구비되고 있으며, 이러한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미도시)이 합착되어 패널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In this case,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not shown) are provided with an adhesive (not shown) made of a sealant or a frit along an edge thereof. The adhesive (not shown)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not shown) are bonded together to maintain the panel state.

이때, 서로 이격하는 상기 제 1 기판(110)과 제 2 기판(미도시) 사이에는 진공의 상태를 갖거나 또는 불활성 기체로 채워짐으로써 불활성 가스 분위기를 가질 수 있다. At this time, a vacuum state may be established between the first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substrate (not shown) which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r an inert gas atmosphere may be formed by being filled with an inert gas.

상기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상기 제 2 기판(미도시)은 유연한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또는 유리기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The second substrate (not shown) for the encapsulation may be made of plastic having a flexible property, or may be formed of a glass substrat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는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상기 제 2 기판(미도시)이 생략된 구성을 이룰 수도 있다. Meanwhile,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econd substrate (not shown) for encapsulation is omitted.

즉, 상기 제 2 기판(미도시)은 점착층을 포함하는 필름 형태로 상기 제 1 기판(110)의 최상층에 구비된 상기 제 2 전극(168)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기 제 2 전극(168) 상부로 유기절연막(미도시) 또는 무기절연막(미도시)이 더욱 구비되어 캡핑막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기절연막(미도시) 또는 무기절연막(미도시)은 그 자체로 인캡슐레이션 막(미도시)으로 이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기판(미도시)은 생략된다.That is, the second substrate (not shown) may be configured to contact the second electrode 168 provided on the uppermost layer of the first substrate 110 in the form of a film including an adhesive layer, An organic insulating film (not shown) or an inorganic insulating film (not shown) is further provided on the electrode 168 to form a capping film. The organic insulating film (not shown) or the inorganic insulating film (not shown) (Not shown). In this case, the second substrate (not shown) may be omitted.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는 불량이 발생되어 특히 휘점화된 화소영역(P)을 암점화 상태로 만들기 위해 리페어 공정 진행 시 레이저 빔이 조사된다 하더라도 절연막(118, 123) 내부에서의 크랙이 한정적으로 발생되며, 이러한 크랙을 통해 금속물질의 전이가 발생한다 하더라도 크랙 억제 패턴(SM1, 미도시, SM3)에 의해 상기 크랙이 발생된 절연막(118, 123)을 사이에 둔 전극간 혹은 전극 및 배선간의 쇼트는 원천적으로 억제될 수 있으므로 리페어 불량을 저감키는 효과를 갖는다.
Even if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during the repair process in order to make the pixel region P in which the defective pixel region P has been ignited due to the defects being generated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cracks are generated i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s 118 and 123 in a limited manner and even if the metal material is transferred through the cracks, the cracks are generated by the cracks suppressing pattern SM1 (not shown) ) Between the electrodes or the wiring between the electrodes and the wiring can be originally suppressed, thereby reducing repair defect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101)에 있어서는 상기 크랙 억제 패턴(SM1, 미도시, SM3)이 유기전계 발광소자(101) 구현을 위해 구비된 절연막인 게이트 절연막(118) 또는(및) 보호막(140) 상에 형성됨을 보이고 있다. 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ck suppression pattern SM1 (not shown) and SM3 are form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118, which is an insulating film provided for realizing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1, Or on the protective film 140, as shown in FIG.

이렇게 상기 크랙 억제 패턴(SM1, 미도시, Sm3)은 유기전계 발광소자(101)의 구성요소인 상기 게이트 절연막(118) 및 보호막(140)과 더불어 층간절연막(123) 상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8(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비교예에 따른 하나의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패턴이 구비된 유기전계 발광소자의 단면도로서 레이저 빔 조사를 통한 리페어 공정 진행 시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면, 비교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ELD3)로서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의 적층 구조상 리페어를 위해 레이저 빔 조사가 이루어지는 전극 또는 배선(이하 제 1 금속 패턴(MP1)이라 칭함)에 대해 이의 상부로 하나의 절연막(이하 제 1 절연막(IL1)이라 칭함)이 존재하고, 상기 제 1 절연막(IL1) 상에 또 다른 전극 또는 배선(이하 제 2 금속 패턴(MP2)이라 칭함)이 구비된 구성을 이루는 경우, 상기 제 1 절연막(IL1) 상에 크랙 억제 패턴을 형성하더라도 상기 제 2 금속 패턴(MP2)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게 됨으로서 상기 제 1 절연막(IL1)에 크랙이 발생되면 상기 제 1 금속패턴(MP1)과 제 2 금속패턴(MP2)간의 쇼트는 억제할 수 없다. The crack suppression pattern SM1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123 together with the gate insulating film 118 and the protective film 140, which are components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01, 8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arativ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pattern made of a metal material with one insulating layer sandwiched therebetwe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ocess step "), an electrode or a wir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metal pattern) for laser beam irradiation for repairing on a laminated structure of a thin film transistor (not shown) as the organic EL device ELD3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Hereafter referred to as a first metal layer) is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layer IL1 and an insulating lay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rst metal layer) (MP2), even if a crack-inhibiting pattern is formed on the first insulating film IL1, the first insulating film IL1 is located in the same layer as the second metal pattern MP2, IL1, a short circuit between the first metal pattern MP1 and the second metal pattern MP2 can not be suppressed.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201)는 상기 제 1 절연막(IL1)과 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금속패턴(MP2) 사이에 별도의 제 2 절연막(IL2)을 재개시킨 후, 상기 제 1 절연막(IL1)과 추가된 제 2 절연막(IL2) 사이에 상기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부분(SM4)에 대응하여 이보다 더 큰 면적을 가지며 타 구성요소와 연결되지 않는 아일랜드 형태의 크랙 억제 패턴(SM4)이 구비된 구성을 이로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201 according to the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parate structure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film IL1 and the second metal pattern MP2 located on the first insulating film IL1. The second insulating film IL2 is formed between the first insulating film IL1 and the added second insulating film IL2 so as to correspond to the portion SM4 irradiated with the laser beam, And an island-shaped crack suppression pattern SM4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crack suppression pattern SM4.

그 외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동일하므로 이하 그 설명은 생략한다.
The other structure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1: 유기전계 발광소자
110: 제 1 기판
118: 게이트 절연막
123: 층간절연막
140 : 보호막
150: 평탄화층
160: 제 1 전극
156: 유기 발광층
168: 제 2 전극
170: 제 2 기판
A1: 레이저빔 조사 부분 1
DL: 데이터 배선
E: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
GL: 게이트 배선
101: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110: first substrate
118: Gate insulating film
123: Interlayer insulating film
140: Shield
150: planarization layer
160: first electrode
156: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168: Second electrode
170: second substrate
A1: Laser beam irradiation part 1
DL: Data wiring
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GL: gate wiring

Claims (7)

다수의 화소영역이 정의된 기판과;
상기 화소영역 경계 또는 상기 화소영역 내에 구비된 다수의 배선과;
상기 기판 상의 각 화소영역 내에 구비되며, 반도체층을 사이에 두고 게이트 절연막과 층간절연막이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나의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이와 연결된 하나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 위로 구비된 보호막과;
상기 보호막 위로 구비된 평탄화층과;
상기 평탄화층 위로 구비된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어느 하나의 전극 또는 상기 다수의 배선 중 어느 하나와 중첩하며 아일랜드 형태로 플로팅되어 구비된 크랙 억제 패턴을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A substrate on which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are defined;
A plurality of wirings provided within the pixel region boundary or the pixel region;
A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each thin film transistor including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being disposed in each pixel region on the substrate and having a gate insulating film and an interlayer insulating film interposed therebetween;
A protective layer provided on the plurality of thin film transistors;
A planarization layer provided on the protective film;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osed on the planarization layer;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further comprising: a crack suppressing pattern formed on the substrate and overlapped with any one of the electrodes of the metal thin film transistor or the plurality of wiring lin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억제 패턴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 또는 보호막 상에 구비된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 발광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ack-inhibiting pattern is provided on the gate insulating film or the protective fil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억제 패턴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를 이루는 구성요소 중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어느 하나의 전극 또는 상기 다수의 배선 중 어느 하나의 위로 추가적인 절연막이 개재되어 상기 추가적인 절연막과 상기 게이트 절연막 또는 보호막 사이에 구비된 유기전계 발광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ack-suppressing pattern may be formed by depositing an additional insulating film on any one of the electrodes constituting the thin film transistor and a metal material or between the additional insulating film and the gate insulating film or the protective film,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억제 패턴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유기전계 발광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rack suppression pattern is made of a metal materi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화소영역에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센스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센스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제 1 보조배선 및 제 2 보조배선이 구비되며,
상기 다수의 배선은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과 각각 연결된 게이트 배선 및 데이터 배선과,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된 전원배선인 유기전계 발광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each pixel region includes a sense thin film transistor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first auxiliary wiring and a second auxiliary wiring connected to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Wherein the plurality of wirings are a gate wiring and a data wiring respectively connected to a gate electrode and a source electrode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power wiring connected to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랙 억제 패턴이 구비된 부분은 리페어 공정 진행 시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부분인 유기전계 발광소자.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portion provided with the crack suppression pattern is a portion irradiated with a laser beam in the course of a repair process.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빔이 조사되는 부분은,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게이트 배선의 연결 부분,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유기전계 발광 다이오드의 연결 부분 및 상기 센스 박막트랜지스터와 제 2 보조배선이 연결된 부분인 유기전계 발광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ortion irradiated with the laser beam is,
Wherein a connection portion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gate wiring, a connection portion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a portion of the sense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second auxiliary wiring are connected.
KR1020140179751A 2014-12-12 2014-12-12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KR1023591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51A KR102359100B1 (en) 2014-12-12 2014-12-12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KR1020220013200A KR102440025B1 (en) 2014-12-12 2022-01-28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751A KR102359100B1 (en) 2014-12-12 2014-12-12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200A Division KR102440025B1 (en) 2014-12-12 2022-01-28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387A true KR20160072387A (en) 2016-06-23
KR102359100B1 KR102359100B1 (en) 2022-02-07

Family

ID=5635310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751A KR102359100B1 (en) 2014-12-12 2014-12-12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KR1020220013200A KR102440025B1 (en) 2014-12-12 2022-01-28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200A KR102440025B1 (en) 2014-12-12 2022-01-28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59100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077A (en) * 2003-09-11 2005-03-1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Active matrix substrat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00035847A (en) * 2008-09-29 201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30010340A (en) * 2011-07-18 2013-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077A (en) * 2003-09-11 2005-03-17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Active matrix substrat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00035847A (en) * 2008-09-29 2010-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130010340A (en) * 2011-07-18 2013-01-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repair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0025B1 (en) 2022-09-02
KR20220019741A (en) 2022-02-17
KR102359100B1 (en) 202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649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and repair method of the same
KR100932989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64227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KR20100093220A (en) Pixel repair structure for repairing pixel defect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repairing the same
KR20180079011A (en) Orag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having a connecting clad electrode
KR20120039874A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KR102203772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JP2011090153A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286094B1 (en) Method of fabricating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repairing the same
KR20190079309A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JP2003233329A (en) Method for repairing display device
US915363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70074569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aratus
KR102297088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KR101622563B1 (en) Top emission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2016001506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2571667B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15011353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10057522A (en) Display device
KR20170081010A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repairing the same
JP2013197298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KR102440025B1 (en)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US9960388B2 (en) Display device with light emitting elements and pixel electrodes
KR20120041889A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2380330B1 (en) Large Area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Having A Repai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