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2223A - 핸즈프리 빔 패턴 구성 - Google Patents

핸즈프리 빔 패턴 구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2223A
KR20160072223A KR1020167013065A KR20167013065A KR20160072223A KR 20160072223 A KR20160072223 A KR 20160072223A KR 1020167013065 A KR1020167013065 A KR 1020167013065A KR 20167013065 A KR20167013065 A KR 20167013065A KR 20160072223 A KR20160072223 A KR 20160072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stener
beam pattern
voice command
listening area
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3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5211B1 (ko
Inventor
존 제이. 베이커
마틴 이. 존슨
아프루즈 패밀리
마이클 비. 하우즈
크레이그 엠. 스탠리
브래드 지. 부저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60072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2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04Training, enrolment or model build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7/00Speaker identification or verification techniques
    • G10L17/06Decision making techniques; Pattern matching strate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3/00Details of 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3/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3/12Beamforming aspects for stereophonic sound reproduction with loudspeaker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20Processing of the output signals of the acoustic transducers of an array for obtaining a desired directivity characteristic
    • H04R2430/23Direction finding using a sum-delay beam-form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사용자/청취자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에 의해 방출된 하나 이상의 빔 패턴을 조정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이 기술된다. 오디오 시스템은 청취자 위치 추정부, 청취자 식별부, 및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를 포함한 오디오 수신기를 포함한다. 청취자 위치 추정부, 청취자 식별부, 및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에서의 입력들이 어레이 프로세서 내로 공급된다. 어레이 프로세서는 이들 디바이스들 각각에서의 입력들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들을 구동시켜 청취 영역 내로 빔 패턴들을 방출하게 한다. 위치, 선호 사용 세팅 및 청취자로부터의 보이스 커맨드를 분석함으로써, 생성된 빔 패턴이 최소의 직접적 입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명시적 및 암시적 선호도에 따라 맞춤화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또한 기술된다.

Description

핸즈프리 빔 패턴 구성{HANDSFREE BEAM PATTERN CONFIGURATION}
본 출원은 2013년 11월 22일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1/907,946호의 우선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한다.
보이스 커맨드(voice commands)에 대응하여 스피커 시스템에 의해 출력된 빔 패턴을 구성 및 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기술된다. 다른 실시예들이 또한 기술된다.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들은 특정 방향으로 사운드를 집중시키는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들의 트랜스듀서 세트들이 지연(delay) 및 에너지 레벨을 포함한 상이한 파라미터 및 세팅에 따라 개별적이고 분리적으로 구동되어 청취 구역 내에 하나 이상의 빔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빔 패턴들은 청취 영역 내의 특정 물체 또는 개인에게 사운드를 집중시킬 수 있다.
빔 패턴들이 상이한 방향 및/또는 특정 물체 또는 개인들에 사운드가 집중되도록 허용하긴 하지만, 빔 패턴들을 구성하는 것은 종종 복잡하고 힘겨운 과정이다. 예를 들어, 위에 주지된 바와 같이, 빔 패턴의 구성은 요구되는 결과를 이루기 위해 라우드스피커 어레이 내의 각각의 트랜스듀서를 위한 구동 신호들의 지연 및 에너지 레벨을 개별적이고 분리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요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청취자의 선호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에 의해 방출된 하나 이상의 빔 패턴들을 조정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시스템은 청취자 위치 추정부, 청취자 식별부, 및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로 구성된 오디오 수신기를 포함한다. 청취자 위치 추정부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들에서 수신된 감지된 보이스 커맨드들에 기초하여 청취 영역 내의 하나 이상의 청취자들의 위치를 추정한다. 청취자 식별부는 보이스 커맨드들과 저장된 스피치 시그니처(speech signature)들을 비교한 것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청취자들과 사용자 프로파일들의 연관화를 시도한다. 사용자 프로파일들은 오디오 시스템의 이전 사용에 기초하여 식별된 각각의 청취자에 대해 개인화된 선호 세팅(preferred setting)들과 연관된다.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는 각각의 보이스 커맨드에서 청취자들에 의해 지정된 세팅을 결정한다.
청취자 위치 추정부, 청취자 식별부, 및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에서의 입력들이 어레이 프로세서 내로 공급된다. 어레이 프로세서는 이들 디바이스들 각각에서의 입력들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들을 구동시켜 청취 영역 내로 빔 패턴들을 방출하게 한다. 위치, 선호 사용 세팅 이력 및 청취자로부터의 보이스 커맨드들을 분석함으로써, 생성된 빔 패턴들이 최소의 직접적 입력을 이용하여 청취자의 명시적 및 암시적 선호도에 따라 맞춤화된다.
상기 발명의 내용은 본 발명의 모든 태양들의 총망라한 목록을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위에서 요약된 다양한 태양들의 모든 적합한 조합들로부터 실시될 수 있는 모든 시스템들 및 방법들뿐만 아니라, 아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개시된 것들, 특히 출원과 함께 제출된 청구범위에서 지적된 것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한 조합들은 상기 발명의 내용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특별한 이점들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 도면의 도면들에 제한으로서가 아니라 예로서 도시되며, 첨부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 부호는 유사한 요소를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일" 또는 "하나의" 실시예에 대한 언급들은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에 대한 것은 아니며, 이들은 적어도 하나를 의미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 캐비넷 내에 하우징된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2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일 캐비넷 내에 하우징된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수신기의 기능 유닛 블록 다이어그램 및 일부 구성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청취 영역 내의 청취자의 추정 위치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라우드스피커 어레이에 의해 방출된 사운드의 조정 방법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별개의 보이스 커맨드를 발화하는 청취자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7a 및 도 7b는 예시적 보이스 커맨드에 기초하여 청취자를 위해 생성된 빔 패턴을 도시한다.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여러 실시예들이 설명된다. 많은 상세 사항들이 기재되지만,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은 이들 상세 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다른 예들에서, 본 설명의 이해를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주지의 회로들, 구조들, 및 기술들은 상세히 나타내지 않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1)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오디오 시스템(1)은 외부 오디오 소스(2), 오디오 수신기(3), 및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시스템(1)은 하나 이상의 의도된 청취자들(5A, 5B)이 위치된 방 또는 청취 영역(6) 내로 사운드 프로그램 컨텐츠를 출력한다. 청취자들(5A, 5B)은 청취 영역(6) 내의 다양한 위치들에 착석해있을 수 있고, 오디오 수신기(3)는 이하 추가적으로 상세히 설명될 청취자들(5A, 5B)의 커맨드 및 선호도에 따라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에 의해 출력된 사운드를 조정할 수 있다.
외부 오디오 소스(2)는 사운드 프로그램 컨텐츠를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트림을 프로세싱을 위해 오디오 수신기(3)로 송신할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시스템(1) 내의 외부 오디오 소스(2)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운드 프로그램 컨텐츠를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트림을 프로세싱을 위해 오디오 수신기(3)로 송신하는 랩톱 컴퓨터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외부 오디오 소스(2)는 대안적으로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모바일 디바이스(예컨대, 모바일 폰 또는 모바일 뮤직 플레이어), 및 원격 미디어 서버(예컨대, 인터넷 스트리밍 뮤직 또는 무비 서비스), 셋톱 박스, 텔레비전, 게임 시스템, 퍼스널 비디오 리코더,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 시스템(1)의 컴포넌트들은 분산되어 개별적 유닛들 내에 포함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오디오 수신기(3)는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 내부에 통합되어 독립형 유닛(standalone unit)을 제공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는 유선 또는 무선 연결 중 하나를 통해 사운드 프로그램 컨텐츠를 표현하는 하나 이상의 오디오 스트림을 외부 오디오 소스(2)에서 직접적으로 수신한다.
비록 외부 오디오 소스(2)로부터 오디오 스트림을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했으나, 오디오 수신기(3)가 로컬 저장 매체 내에 저장된 오디오 스트림에 액세스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디오 수신기(3)는 외부 오디오 소스(2)와 상호작용하지 않으면서 프로세싱을 위한 오디오 스트림을 로컬 저장 매체에서 검색한다.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오디오 수신기(3)는 오디오 스트림을 프로세싱하고 하나 이상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를 구동하기 위한 임의의 유형의 디바이스 또는 디바이스들의 세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수신기(3)는 랩톱 컴퓨터, 데스크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모바일 디바이스, 홈시어터 오디오 수신기, 또는 오디오 신호의 프로세싱이 가능한 하드웨어 프로세서들 및 논리 구조들의 세트일 수 있다.
이제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를 살펴보면, 도 2a는 단일의 캐비넷(8) 내에 하우징된 다수의 트랜스듀서들(7)을 구비한 하나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를 도시한다. 이러한 예시에서, 10개의 트랜스듀서들(7)이 캐비넷(8) 내에 단일 행으로 정렬되어 사운드-바 유형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다른 예시에서,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는 캐비넷(8) 내에서 8행 4열로 균일하게 정렬된 32개의 구별되는 트랜스듀서들(7)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균일하거나 비-균일한 이격거리를 갖는 상이한 수의 트랜스듀서들(7)이 이용될 수 있다. 평탄면 또는 직선으로 정렬된 것으로 도시되었긴 하나, 트랜스듀서들(7)은 원호를 따라 굴곡진 형태로 정렬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들(7)은 전대역(full-range) 드라이버들, 중대역(mid-range) 드라이버들, 서브-우퍼(subwoofer)들, 우퍼들, 및 트위터(tweeter)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각각의 트랜스듀서들(7)은 와이어 코일(예컨대, 음성 코일)을 제한하여 원통형 자성 갭(cylindrical magnetic gap)을 통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요성 서스펜션을 거쳐 강성 바스켓(rigid basket) 또는 프레임에 접속되는 경량 다이아프램 또는 콘(cone)을 사용할 수 있다. 전기적 오디오 신호가 음성 코일에 인가되는 경우, 전류에 의해 자계가 음성 코일에서 생성되어 그것을 가변 전자석으로 만든다. 코일 및 트랜스듀서들(7)의 자기 시스템은 상호작용하여 코일(및 이에 따른 부착된 콘)이 앞뒤로 이동하게 하는 기계적 힘을 생성하고, 이로써 소스(예컨대, 신호 프로세서, 컴퓨터, 및 오디오 수신기)로부터 오는 인가된 전기적 오디오 신호의 제어 하에 사운드를 재생한다.
각각의 트랜스듀서(7)는 개별적이고 불연속적인(discrete) 오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사운드를 생성하도록 개별적이고 분리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는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 내의 트랜스듀서들(7)로 하여금 상이한 파라미터 및 세팅(지연 및 에너지 레벨 포함)에 따라 개별적이고 분리적으로 구동되도록 허용함으로써, 청취자(5)들의 선호도에 따라 재생되는 사운드 프로그램 컨텐츠의 각각의 채널들을 시뮬레이팅하거나 보다 잘 표현할 수 있는 많은 방향성/빔 패턴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이한 폭/방향성 및 각도를 가진 빔 패턴들이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에 의해 방출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는 오디오 수신기(3)와의 연결을 위한 배선 또는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는 다수의 배선점(wiring point)들을 포함할 수 있고, 오디오 수신기(3)는 상보적 배선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배선점들은 각각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 및 오디오 수신기(3)의 후면 상의 결합 포스트 또는 스프링 클립일 수 있다. 배선들이 각각의 배선점들을 둘러 개별적으로 싸여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결합되어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를 오디오 수신기(3)와 전기적으로 결합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는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오디오 수신기(3)에 결합됨으로써 어레이(4)와 오디오 수신기(3)가 물리적으로 접합되지 않으면서 무선 주파수 연결을 유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는 오디오 수신기(3) 내의 대응하는 와이파이 송신기에서 나온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와이파이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는 오디오 수신기(3)에서 수신된 무선 오디오 신호를 이용하여 트랜스듀서들(7)을 구동하기 위한 통합된 증폭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는 다음에 기술되는 기법들에 따라 신호를 프로세싱하고 각각의 트랜스듀서(7)를 구동하기 위한 컴포넌트들을 포함한 독립형 유닛일 수 있다.
도 1에는 단일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를 포함한 것으로 도시되었긴 하나, 오디오 시스템(1)은 무선 또는 유선 연결을 통해 오디오 수신기(3)에 결합된 임의의 수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시스템(1)은 하나의 사운드 프로그램 컨텐츠의 각각 전면-좌 채널, 전면-중앙 채널, 전면-우 채널, 후면-우 서라운드 채널, 후면-좌 서라운드 채널 및 저주파수 채널(예컨대, 서브-우퍼)을 표현하는 6개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오디오 시스템(1)은 하나의 스테레오 사운드 프로그램 컨텐츠의 전면-좌 채널 및 전면-우 채널을 표현하는 2개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수신기(3)의 기능 유닛 블록 다이어그램 및 일부 구성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은 오디오 수신기(3) 내에 포함된 요소들을 대표하며, 다른 컴포넌트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도 3의 각각의 요소는 하기에 예로서 기술될 것이다.
오디오 수신기(3)는 하나 이상의 외부 오디오 소스(2)들로부터의 전기, 무선, 또는 광 신호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사운드 프로그램 컨텐츠 채널들을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들(9)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들(9)은 오디오 수신기(3)의 노출된 표면 상에 위치한 물리적 커넥터들의 세트를 포함한 디지털 입력들(9A, 9B)의 세트 및 아날로그 입력들(9C, 9D)의 세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들(9)은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입력, 광 디지털 입력(Toslink), 동축 디지털 입력 및 포노(phono)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수신기(3)는 외부 오디오 소스(2)와의 무선 연결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입력들(9)은 무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외부 오디오 소스(2)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어댑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무선 어댑터는 블루투스, IEEE 802.11x, 셀룰러 GSM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셀룰러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또는 LTE (Long Term Evolution)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오디오 소스(2)와 오디오 수신기(3)는 하나의 분리가 불가능한 유닛 내에 통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는 또한 동일한 유닛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오디오 소스(2) 및 오디오 수신기(3)는 유닛의 좌우측에 통합된 트랜스듀서들(7)을 구비한 하나의 컴퓨팅 유닛 내에 있을 수 있다.
오디오 수신기(3)를 참조하면, 입력들(9)로부터의 일반적 신호 흐름에 대해 이제 기술한다. 먼저 디지털 입력들(9A, 9B)을 보면, 오디오 수신기(3)는 입력들(9A 및/또는 9B)을 통해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디코더(10A 또는 10B)를 이용하여 전기, 광, 또는 무선 신호들을 사운드 프로그램 컨텐츠를 표현하는 오디오 채널들의 세트로 디코딩한다. 예를 들어, 디코더(10A)는 6개의 오디오 채널들을 포함한 단일 신호(예컨대, 5.1 신호)를 수신하여 신호를 6개 오디오 채널들로 디코딩할 수 있다. 디코더들(10)은 AAC (Advanced Audio Coding), MPEG Audio Layer II, MPEG Audio Layer III, 및 Free Lossless Audio Codec (FLAC)를 포함한 임의의 코덱 또는 기법을 이용하여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아날로그 입력들(9C, 9D)을 보면, 아날로그 입력들(9C, 9D)에 의해 수신된 각각의 아날로그 신호는 사운드 프로그램 컨텐츠의 단일의 오디오 채널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사운드 프로그램 컨텐츠의 각각의 채널을 수신하기 위해 다수의 아날로그 입력들(9C, 9D)이 필요할 수 있다. 오디오 채널들은 디지털 오디오 채널들을 형성하기 위해 각각의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11A, 11B)에 의해 디지털화될 수 있다.
디코더들(10A, 10B)과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들(11A, 11B) 각각으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 채널들이 멀티플렉서(12)로 공급된다. 멀티플렉서(12)는 제어 신호(13)에 기초하여 오디오 채널들의 세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제어 신호(13)는 오디오 수신기(3) 내의 제어 회로 또는 프로세서,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수신기(3)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는 디지털 오디오 채널들의 세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해 멀티플렉서(12)로 제어 신호(13)를 출력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12)는 선택된 디지털 오디오 채널들을 어레이 프로세서(14)에 공급한다. 멀티플렉서(12)에 의해 출력된 채널들이 어레이 프로세서(14)에 의해 프로세싱되어 프로세싱된 구동 신호들의 세트를 생성한다. 프로세싱은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과 같은 변환들을 이용하여 시간 도메인 및 주파수 도메인 양측 모두에서 동작할 수 있다. 어레이 프로세서(14)는 주문형 반도체(ASIC),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디지털 신호 제어기, 또는 하드웨어 로직 구조물들(예컨대, 필터들, 산술 로직 유닛들, 및 전용 상태 기계들)의 세트와 같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다. 어레이 프로세서(14)는 청취자 위치 추정부(15), 청취자 식별부(16), 및/또는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17)로부터의 입력들에 기초하여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 내의 트랜스듀서들(7)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의 세트를 생성한다.
청취자 위치 추정부(15)는 청취 영역(6) 내의 하나 이상의 청취자들의 위치를 추정한다. 예를 들어, 위치 추정부(15)는 청취 영역(6) 내의 청취자(5)의 물리적 좌표, 또는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에 대한 청취자(5)의 각도를 추정할 수 있다. 도 4a는 청취 영역(6) 내의 청취자(5A)의 추정 위치를 도시한다. 추정 위치는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의 측부에 대한 좌표 x, y에 의해 정의된다. 도 4a에는 데카르트 좌표로 도시되었긴 하나, 청취자(5A)의 추정 위치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에 대한 각도로서 표현될 수 있다(예컨대, 청취자(5A)는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의 종축의 좌측에 대해 도임). 단일의 청취자(5)에 대해 기술되었긴 하나, 위치 추정부(15)는 청취 영역(6) 내의 다수의 청취자(5)들(예컨대, 청취자들(5A, 5B))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청취자 위치 추정부(15)는 청취자(5)들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임의의 디바이스나 알고리듬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취 영역(6) 내의 하나 이상의 청취자(5)들의 위치의 결정을 돕기 위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들(18A-18D)이 청취자 위치 추정부(15)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들(18A-18D)은 오디오 코덱(19)에 직접 결합된다. 오디오 코덱(19)은 마이크로폰들(18A-18D)에서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이나 신호를 코딩 또는 디코딩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지털 오디오 신호 프로세싱에 부가하여, 오디오 코덱(19)은 마이크로폰들(18A-18D)에 의해 생성된 마이크로폰 신호들을 위해 아날로그 도메인과 디지털 도메인 간의 변환(conversion)을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들(18A-18D)이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 내로 통합되며, 감지된 사운드들에 대응하는 마이이크로폰 신호들은 하나 이상의 무선 프로토콜(예컨대, 블루투스 및 IEEE 802.11x)을 이용하여 오디오 수신기(3)로 송신된다. 예를 들어, 도 1,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들(18A-18D)이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 내로 통합된다. 마이크로폰들(18A-18D)은 마이크로전기기계 시스템(MicroElectrical-Mechanical System, MEMS) 마이크로폰, 압전 마이크로폰, 일렉트릿 콘덴서 마이크로폰(electret condenser microphone), 또는 동적 마이크로폰을 포함하는, 임의의 유형의 음향-전기 트랜스듀서 또는 센서일 수 있다. 마이크로폰들(18A-18D)은 카디오이드(cardioid), 전방향성(omnidirectional) 및 8자형(figure-eight)과 같은 폴라 패턴(polar pattern)의 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들(18A-18D)의 폴라 패턴들은 시간 경과에 따라 계속해서 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들(18A-18D)은 마이크로폰 어레이(18)를 형성할 수 있다. 청취자 위치 추정부(15)는 마이크로폰 어레이(18)에서 입력들을 수신하고 이러한 입력들에 기초하여 청취자(5)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폰 어레이(18)는 청취 영역(6) 내의 청취자(5)로부터 보이스 커맨드를 감지하고 감지된 보이스 커맨드에 기초하여 청취자(5)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취자(5)는 "음악을 재생해줘"라고 말함으로써 오디오 시스템(1)으로 하여금 사운드를 출력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어레이(18)에 의해 이러한 커맨드를 감지함에 응답하여, 위치 추정부(15)는 청취 영역(6) 내의 발화중인 청취자(5)의 위치 파악을 위한 시도를 시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청취자(5)는 오디오 시스템(1)에게 인사함/대화시작함(address)(예컨대, 오디오 시스템(1)의 이름이 "시스템"일 경우 "안녕 시스템"이라 함)에 의해 위치 추정부(15)로 하여금 청취 영역(6) 내의 청취자(5)의 위치 파악에 착수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취자 위치 추정부(15)는 감지된 사운드(즉, 감지된 보이스 커맨드)의 도착 각도를 결정함에 의해 청취 영역(6) 내의 청취자(5)들 중 하나 이상의 청취자들의 위치를 추정한다. 예를 들어, 위치 추정부(15)는 불연속적 개수의 각도/방향으로 포인팅(pointing)하고 있는 다수의 빔형성부를 통해 마이크로폰 어레이(18)로부터 수신된 감지된 마이크로폰 신호들을 구동(run)하여 도착 각도를 추정할 수 있다. 각각의 빔형성부에서 출력된 에너지가 계산되고 가장 큰 에너지를 가진 방향이 도착 각도로서 선택된다. 비록 청취자(5)와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간의 각도 또는 방향에 관련하여 기술되고 있으나, 일 실시예에서 위치 추정부(15)는 마이크로폰 어레이(18)에서 수신된 감지된 마이크로폰 신호들에 기초하여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에 대한 청취자(5)의 거리를 또한 추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취 영역(6) 내의 청취자(5)들 중 하나 이상의 청취자들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다수의 마이크로폰 어레이(18)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들(4A, 4B)은 각각 마이크로폰들(18A-18D, 18E-18H)에 의해 구성된 별개의 마이크로폰 어레이(18)들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들(4A, 4B)의 상대적 지오메트리를 알면, 하나 이상의 청취자(5)들의 위치는 삼각측량을 이용하여 추정될 수 있다. 본 예시에서, 청취자(5)들의 추정된 위치는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들(4A, 4B)에 의해 생성된 빔 패턴을 각도 및 거리에 대해 조정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B) 보다 청취자(5B)에서 보다 멀리 떨어진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A)의 게인이 증가됨에 따라 청취자(5B)에게 오디오 시스템(1)의 사운드가 보다 균형있게 들릴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청취 영역(6) 내의 청취자(5)들 중 하나 이상의 청취자들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다수의 개별적 마이크로폰들(18A-18C)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들(4A-4C)은 각각 개별적 마이크로폰들(18A-18C)을 포함할 수 있다.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들(4A-4C)의 상대적 지오메트리를 알면, 각각의 마이크로폰(18A-18C)으로의 사운드 도착의 시간적 지연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청취자(5)들의 위치가 추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18B)이 마이크로폰(18A)에 비해 시간(dAB) 후에 보이스 커맨드를 감지한 경우, 청취자(5B)는 일정한 지연선(AB) 상에 착석해 있다. 유사하게, 마이크로폰(18B)이 마이크로폰(18C)에 비해 시간(dBC) 후에 보이스 커맨드를 감지한 경우, 청취자(5B)는 일정한 지연선(BC) 상에 착석해 있다. 지연선들(AB, BC)의 교차점은 청취자(5B)의 위치의 추정을 표현한다. 청취자(5B)의 추정된 위치는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들(4A-4C)에 의해 생성된 빔 패턴을 조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수신기(3)는 청취 영역(6) 내의 청취자(5)들의 신분을 결정하기 위한 청취자 식별부(16)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취자 식별부(16)는 마이크로폰 어레이(18)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신호는 보이스 커맨드 또는 청취자(5)에 의해 발화된 다른 스피치를 표현할 수 있다. 청취자 식별부(16)는 이러한 스피치 신호들을 기지의 사용자들/청취자들에 대응하는 패턴에 대해 비교한다. 예를 들어, 오디오 수신기(3)는 기지의 사용자들/청취자들의 스피치 패턴들을 저장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된 스피치 패턴들은 오디오 시스템(1)의 일반 사용 중이나 오디오 시스템(1)의 구성 중에 기록될 수 있다.
비교에 기초하여 청취자 식별부(16)는 청취자(5)로부터의 스피치를 기지의 사용자 프로파일과 연관시킨다. 사용자 프로파일은 식별된 청취자(5)를 위한 하나 이상의 선호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도에는 선호 볼륨 세팅, 선호 저음 레벨 세팅, 선호 고음 레벨 세팅, 선호 잔향비 레벨 세팅, 선호 이퀄라이제이션 세팅, 청취 영역(6) 내의 공통 착석 구역, 및/또는 다른 유사한 세팅/선호도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취자(5)로부터의 스피치와 사용자 프로파일과 연관된 저장된 스피치 패턴 간의 매칭이 실패한 경우, 청취자 식별부(16)는 신규 청취자(5)를 위한 신규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새롭게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은 디폴트 세팅을 이용해 초기화될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신규 청취자(5)가 (예컨대,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17)에 의해 프로세싱된 보이스 커맨드를 이용하여) 오디오 시스템(1)을 이용하고 선호도에 기초해 세팅을 변경함에 따라, 사용자 프로파일 세팅은 이러한 선호도에 매칭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륨을 올리라는 청취자(5A)의 요청에 응답하여, 청취자(5A)의 사용자 프로파일이 업데이트되어 보다 높은 볼륨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청취자(5A)에 의한 오디오 시스템(1)의 이후의 사용 동안 오디오 수신기(3) 및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에 의해 출력되는 오디오의 볼륨이 보다 높은 볼륨에서 시작할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청취자(5)들 각각에 의한 오디오 시스템(1)의 사용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 프로파일 선호도에도 유사한 조정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프로파일 세팅은 컨텐츠 기반이므로 청취자(5)의 사용자 프로파일 내의 각각의 세팅은 상이한 컨텐츠 유형에 대해 개별적 값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볼륨 세팅은 음악, 영화, 텔레비전 등에 대해 개별적 선호값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세밀화(delineation)는 장르에 기초하여 추가적으로 나뉠 수 있다(예컨대, 코미디 영화, 공포 영화, 및 드라마 영화 별로 개별적 볼륨 세팅).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프로파일 세팅은 하루 중 시간대에 따라 유사하게 나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호 볼륨 세팅은 하루 중 시간대에 기초할 수 있으므로 아침 시간대의 선호 볼륨 세팅은 제1 값(예컨대, 15 dB)이고 오후 시간대의 선호 볼륨 세팅은 제2 값(예컨대, 20 dB)이다. 볼륨 세팅과 관련하여 기술되었긴 하나, 각각의 청취자(5)에 대한 각각의 사용자 프로파일 세팅이 유사하게 나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수신기(3)는 또한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17)를 포함할 수 있다.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17)는 오디오 코덱(19)을 통해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으로 마이크로폰 어레이(18)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마이크로폰 신호는 청취자(5)에 의해 발화된 보이스 커맨드를 표현할 수 있다.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17)는 이러한 마이크로폰 신호들을 프로세싱함으로써 청취자(5)로부터의 의도된 커맨드를 결정하고 대응하는 제어 신호들을 어레이 프로세서(14)로 송신함으로써 커맨드를 이행하게 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신호들은 "안녕 시스템!" 또는 "시스템, 나를 추가해줘!"라고 말하는 청취자(5A)에 대응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신호들의 수신에 응답하여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17)는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어레이 프로세서(14)로 하여금 청취자(5A)로 지향된 빔 패턴을 생성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빔 패턴은 또한 청취자 위치 추정부(15) 및 청취자 식별부(16)로부터의 입력들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므로 빔 패턴은 청취자(5A)의 선호도에 따라 청취자(5A)의 현재 위치 상으로 집중된다.
일 실시예에서, 청취자(5A)는 청취자 위치 추정부(15)에 의해 결정된 청취자(5)의 추정된 위치 대신에 청취 영역(6) 내의 사전 설정된 구역, 위치, 또는 구역에 빔 패턴을 집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취자(5A)는 "구역 2는 절반 볼륨(half volume)으로 해줘"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구역 2는 청취자(5B)가 위치해 있는 청취 영역(6) 내의 소파 상의 우측 최전방 좌석으로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청취자(5A)로부터의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17)가 제어 신호를 송신함에 따라 어레이 프로세서(14)는 청취 영역(6) 내의 구역 2로의 빔 패턴을 절반 볼륨으로 생성하도록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를 구동한다.
일 실시예에서, 빔 패턴은 오디오 시스템(1)의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식별된 청취자(5)에게로 지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구역들(1, 2)로 사운드 빔이 지향된 채로 여러 날 동안 오후 6시에 청취자(5A)에 의해 오디오 시스템(1)이 지속적으로 사용된 후라면, 오후 6시 또는 그쯤 청취자(5A)에 의한 오디오 시스템(1)의 후속적 사용은 미리 정의된 구역들(1, 2)로 사운드 빔들을 지향하도록 디폴트화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오디오 시스템(1)은 청취자 위치 추정부(15)가 하나 이상의 청취자(5)들의 위치를 추정하지 못할 경우 청취자(5)들의 최근 알려진 위치에 디폴트화할 수 있다. 청취자(5)들의 가장 최근에 알려진 위치는 청취 영역(6) 내의 공통/선호 착석 위치들과 함께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20)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17)는 보이스 커맨드를 분석하여 수행해야 할 작동들을 결정한다. 보이스 커맨드들은 사전 설정된 작동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청취자(5A)는 "트랜스 음악을 이퀄라이징해줘"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17)는 어레이 프로세서(17)로 하여금 트랜스 음악을 위한 사전 설정된 이퀄라이제이션 세팅에 기초하여 입력된 오디오를 이퀄라이징하게 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송신한다. 다른 예에서, 청취자(5A)는 "시스템, 이 방을 플러드 해줘(flood the room)!"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에 응답하여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17)가 제어 신호를 송신함에 따라 어레이 프로세서(17)는 전체 청취 영역(6)을 감싸는 넓은 빔 패턴을 생성하도록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를 구동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청취자 위치 추정부(15), 청취자 식별부(16) 및/또는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17)로부터의 입력들에 기초하여, 하나의 사운드 프로그램 컨텐츠의 하나 이상의 오디오 채널들이 어레이 프로세서(14)에 의해 변경되어 청취자(5)의 선호도에 따른 빔 패턴을 생성하게 된다. 사운드 프로그램 컨텐츠의 프로세싱된 세그먼트들이 어레이 프로세서(14)를 통과하여 하나 이상의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들(21)로 이동함에 따라 하나 이상의 개별적 아날로그 신호들이 생성된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들(21)에 의해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들은 전력 증폭기(22)로 공급되어 요구되는 빔 패턴을 생성하도록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의 선택된 트랜스듀서들(7)을 구동시킨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에 의해 방출된 사운드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30)이 기술된다. 방법(30)의 동작들은 오디오 수신기(3),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 및 오디오 시스템(1)의 다른 디바이스들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30)은 청취자(5)가 보이스 커맨드를 발화하는 동작(31)에서 시작된다. 보이스 커맨드는 사운드 빔을 사용자나 청취 영역(6) 내의 지정된 위치로의 집중,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에 의해 방출된 사운드의 조정(예컨대, 볼륨, 이퀄라이제이션, 및 잔향비), 및/또는 다른 유사한 변경에 대한 청취자(5)의 요구를 나타낼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별개의 보이스 커맨드를 발화하는 청취자(5A)의 예시를 도시한다.
청취자가 보이스 커맨드를 발화함에 따라, 동작(32)에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들(18)을 이용하여 보이스 커맨드를 감지한다. 마이크로폰 어레이들(18)은 각각 하나 이상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들(4) 내로 통합되거나, 오디오 수신기(3)와 직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감지된 보이스 커맨드에 대응하는 마이크로폰 신호들은 이하 상세히 기술되는 추가 프로세싱을 위해 오디오 수신기(3)로 릴레이될 수 있다.
동작(33)에서, 마이크로폰 신호들은 사용자 프로파일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스피치 패턴들/시그니처들과 비교됨으로써 발화중인 청취자(5)가 식별된다. 비교는 발화중인 청취자(5)를 식별하기 위한 보이스 인식 수행의 알려진 기법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청취자(5)로부터의 스피치와 사용자 프로파일과 연관된 저장된 스피치 패턴들/시그니처들 간의 매칭이 실패한 경우, 동작(33)은 신규 청취자(5)를 위한 신규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새롭게 생성된 사용자 프로파일은 디폴트 세팅을 이용해 초기화될 수 있다. 시간이 경과하면서 신규 청취자(5)가 오디오 시스템(1)을 이용하고 선호도(예컨대, 보이스 커맨드)에 기초해 세팅을 변경함에 따라, 사용자 프로파일 세팅은 이러한 선호도에 매칭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동작(34)에서, 방법(30)은 오디오 수신기(3) 및 라우드스피커 어레이(4)에 의해 생성될 빔 패턴에 적용하기 위한 세팅들을 결정한다. 세팅들은 감지된 보이스 커맨드, 발화중인/식별된 청취자(5)의 추정된 위치, 및/또는 발화중인/식별된 청취자(5)와 연관된 사용자 프로파일 내에 저장된 선호도 내의 지시(indication)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동(35)은 전술된 바와 같이 청취자 위치 추정부(15)를 이용하여 발화중인/식별된 청취자(5)의 추정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추정된 위치를 이용하여, 동작(35)은 빔 패턴을 조향하기 위한 방향 세팅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감지된 보이스 커맨드는 "사운드를 절반 볼륨으로 줄여줘"라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보이스 커맨드에 응답하여, 동작(35)은 빔 패턴을 위한 볼륨 세팅을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동작(35)은 연관된 사용자 프로파일 내의 저장된 선호도에 기초하여 빔 패턴을 통과하여 방출된 오디오의 이퀄라이제이션 세팅을 결정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예시적 보이스 커맨드에 기초하여, 동작(34)은 구역 1로 지향된 제1 빔 패턴을 절반 볼륨, 구역 2로 지향된 제2 빔 패턴을 최대 볼륨(full volume)으로 하기 위한 세팅을 결정할 수 있다. 청취자들(5A, 5B)의 신분, 하루 중 시간대, 오디오 컨텐츠, 등에 기초하여 다른 세팅들이 결정될 수도 있다. 도 6a의 예시적 보이스 커맨드에 기초하여 동작(34)은 청취자(5A)의 추정된 위치로 지향된 제1 빔 패턴 및 청취자(5B)의 추정된 위치로 지향된 제2 빔 패턴을 위한 세팅을 결정할 수 있다. 청취자들(5A, 5B)의 신분, 하루 중 시간대, 오디오 컨텐츠, 등에 기초하여 다른 세팅이 결정될 수도 있다.
동작(35)에서, 방법(30)은 상당한 오버헤드 및 청취자들(5A, 5B)에 의한 상호작용 없이 맞춤된(tailored) 빔 패턴들을 생성하도록 결정된 세팅을 적용한다. 특히, 생성된 빔 패턴들은 청취자들(5A, 5B)로부터 최소의 입력을 이용하여 청취자들(5A 및/또는 5B)의 명시적 및 암시적 선호도에 따라 맞춤화(customize)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6a 및 도 6b의 보이스 커맨드에 기초하여 청취자들(5A, 5B)을 위해 생성된 빔 패턴들을 각각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30)은 시간이 경과하면서 청취자(5)들의 선호도 및 위치가 변경됨에 따라 청취자(5)들을 위한 빔 패턴을 변경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35)은 현재 이용되는 세팅에 기초하여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20) 내에 저장된 각각의 사용자 프로파일을 위한 선호도를 업데이트한다. 이러한 조정에 따라 청취자 세팅이 최근의(up-to-date) 것이고 각각의 청취자(5)의 현재 선호도가 반영되도록 보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계 판독가능 매체(예컨대, 마이크로전자 메모리)가 전술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데이터 프로세싱 컴포넌트들(본 명세서에서는 대체로 "프로세서"로 지칭됨)을 프로그래밍하는 명령어들을 저장해 온 제조 물품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동작들 중 일부는 하드웨어 내장 로직(hardwired logic)을 포함하는 특정 하드웨어 컴포넌트들(예컨대, 전용 디지털 필터 블록들 및 상태 기계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들 동작들은, 대안적으로, 프로그래밍된 데이터 프로세싱 컴포넌트들 및 고정된 하드웨어 내장 회로 컴포넌트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소정 실시예들이 설명되고 첨부 도면에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실시예들이 광범위한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다른 변형들이 당업자에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이 도시되고 설명된 특정 구성들 및 배열들로 한정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본 설명은 제한 대신에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25)

  1. 라우드스피커 어레이에 의해 방출되는 사운드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청취 영역 내의 사용자로부터의 보이스 커맨드(voice command)를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들에 의해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보이스 커맨드에 기초하여 빔 패턴을 조향(steer)하기 위한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상기 결정된 위치로 상기 빔 패턴을 조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상기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들로부터 수신된 마이크로폰 신호들을 상기 청취 영역 내에서 불연속적(discrete) 개수의 방향들로 포인팅(pointing)하고 있는 빔형성부들의 세트로 공급하는 단계;
    각각의 빔형성부로부터의 에너지 출력을 계산하는 단계; 및
    가장 큰 에너지 출력을 가진 상기 빔형성부에 기초하여 상기 보이스 커맨드의 도착 각도를 결정하는 단계 - 상기 빔 패턴을 조향하기 위한 상기 결정된 위치는 상기 보이스 커맨드의 상기 도착 각도의 방향에 있음 - 를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들로부터 마이크로폰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들을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스피치 시그니처(speech signature)들과 비교하여 매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상기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매칭된 사용자 프로파일에서 선호 위치 세팅을 검색하는 단계 - 상기 선호 위치 세팅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사용 습관 이력(historical usage habit)에 기초하여 설정됨 -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매칭된 사용자 프로파일에서 하나 이상의 선호 세팅들을 검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빔 패턴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선호 세팅들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들과 상기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들과 연관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피치 시그니처들 사이에서 매치를 결정할 수 없는 것에 응답하여 새로운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 어레이들로부터 상기 보이스 커맨드에 대응하는 마이크로폰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들을 프로세싱하여 상기 보이스 커맨드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빔 패턴을 위한 하나 이상의 선호 세팅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빔 패턴은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선호 세팅들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선호 세팅들은 상기 빔 패턴을 조향하기 위한 상기 청취 영역 내의 미리 정의된 위치를 나타내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선호 세팅들은 상기 빔 패턴의 볼륨, 저음(bass), 고음(treble) 및 잔향비(reverberation ratio)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방법.
  10. 하나 이상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들에 의해 방출되는 사운드를 조정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으로서,
    청취자로부터의 보이스 커맨드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마이크로폰들;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폰들로부터 수신된 상기 감지된 보이스 커맨드를 표현하는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들 중 하나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에 의해 방출되는 빔 패턴에 적용하기 위한 제1 세팅을 결정하기 위한 보이스 커맨드 프로세서; 및
    상기 결정된 제1 세팅에 기초하여 상기 빔 패턴을 방출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들 중 상기 하나의 라우드스피커 어레이 내의 각각의 트랜스듀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들의 세트를 생성하기 위한 어레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폰들로부터 수신된 상기 감지된 보이스 커맨드를 표현하는 상기 신호들에 기초하여 상기 청취자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한 청취자 위치 추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어레이 프로세서는 상기 빔 패턴을 상기 추정된 위치로 조향하기 위한 상기 구동 신호들을 생성하는, 오디오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기지의 청취자들을 위한 스피치 시그니처들을 저장하는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폰들로부터 수신된 상기 감지된 보이스 커맨드를 표현하는 상기 신호들과 상기 저장된 스피치 시그니처들 각각을 비교하여 상기 청취자에 대응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식별하기 위한 청취자 식별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자 식별부는 상기 청취자에 대응하는 상기 사용자 프로파일과 연관된 제2 세팅을 상기 어레이 프로세서로 공급하며, 상기 어레이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세팅에 기초하여 상기 빔 패턴을 방출하기 위한 상기 구동 신호들을 생성하는, 오디오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자 위치 추정부가 상기 청취자의 위치를 추정하지 못한 경우, 상기 제2 세팅은 상기 빔 패턴을 지향(direct)하기 위한 상기 청취자에 대응하는 선호 위치인, 오디오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폰들은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들을 형성하고, 각각의 마이크로폰 어레이는 개별적 라우드스피커 어레이 내에 통합되는, 오디오 시스템.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마이크로폰들 각각은 개별적 라우드스피커 어레이 내에 통합되는, 오디오 시스템.
  17. 라우드스피커 어레이에 의해 방출되는 사운드를 조정하기 위한 제조 물품으로서,
    명령어들을 저장한 비일시적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하며, 컴퓨팅 디바이스 내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명령어들은,
    마이크로폰 신호들로부터 청취 영역 내의 사용자로부터의 보이스 커맨드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보이스 커맨드에 기초하여 빔 패턴을 조향하기 위한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위치를 결정하며,
    상기 청취 영역 내의 상기 결정된 위치로 상기 빔 패턴을 조향하는, 제조 물품.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일시적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추가적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추가적 명령어는,
    상기 청취 영역 내에서 불연속적 개수의 방향들로 포인팅하고 있는 빔형성부들의 세트로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들을 공급하고,
    각각의 빔형성부로부터의 에너지 출력을 계산하고,
    가장 큰 에너지 출력을 가진 상기 빔형성부에 기초하여 상기 보이스 커맨드의 도착 각도를 결정하며, 상기 빔 패턴을 조향하기 위한 상기 결정된 위치는 상기 보이스 커맨드의 상기 도착 각도의 방향에 있는, 제조 물품.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일시적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추가적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추가적 명령어는,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들을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스피치 시그니처들과 비교하여 매치를 결정하는, 제조 물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일시적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추가적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추가적 명령어는,
    상기 매칭된 사용자 프로파일에서 선호 위치 세팅을 검색하며, 상기 선호 위치 세팅은 상기 사용자에 의한 사용 습관 이력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제조 물품.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일시적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추가적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추가적 명령어는,
    상기 매칭된 사용자 프로파일에서 하나 이상의 선호 세팅들을 검색하며, 상기 빔 패턴은 상기 하나 이상의 선호 세팅들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제조 물품.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비일시적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추가적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추가적 명령어는,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들과 상기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들과 연관된 상기 하나 이상의 스피치 시그니처들 사이에서 매치를 결정할 수 없는 것에 응답하여 새로운 사용자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제조 물품.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일시적 기계-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추가적 명령어를 저장하며,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추가적 명령어는,
    상기 마이크로폰 신호들을 프로세싱하여 상기 보이스 커맨드에 의해 나타나는 상기 빔 패턴을 위한 하나 이상의 선호 세팅들을 결정하며, 상기 빔 패턴은 상기 결정된 하나 이상의 선호 세팅들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제조 물품.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선호 세팅들은 상기 빔 패턴을 조향하기 위한 상기 청취 영역 내의 미리 정의된 위치를 나타내는, 제조 물품.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선호 세팅들은 상기 빔 패턴의 볼륨, 저음, 고음 및 잔향비 중 하나 이상을 나타내는, 제조 물품.
KR1020167013065A 2013-11-22 2014-09-25 핸즈프리 빔 패턴 구성 KR1018152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907946P 2013-11-22 2013-11-22
US61/907,946 2013-11-22
PCT/US2014/057547 WO2015076930A1 (en) 2013-11-22 2014-09-25 Handsfree beam pattern configura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696A Division KR101960215B1 (ko) 2013-11-22 2014-09-25 핸즈프리 빔 패턴 구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2223A true KR20160072223A (ko) 2016-06-22
KR101815211B1 KR101815211B1 (ko) 2018-01-05

Family

ID=5170341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3065A KR101815211B1 (ko) 2013-11-22 2014-09-25 핸즈프리 빔 패턴 구성
KR1020177037696A KR101960215B1 (ko) 2013-11-22 2014-09-25 핸즈프리 빔 패턴 구성
KR1020187027374A KR102012612B1 (ko) 2013-11-22 2014-09-25 핸즈프리 빔 패턴 구성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696A KR101960215B1 (ko) 2013-11-22 2014-09-25 핸즈프리 빔 패턴 구성
KR1020187027374A KR102012612B1 (ko) 2013-11-22 2014-09-25 핸즈프리 빔 패턴 구성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251008B2 (ko)
EP (1) EP3072315B1 (ko)
JP (2) JP6430506B2 (ko)
KR (3) KR101815211B1 (ko)
CN (3) CN105794231B (ko)
AU (3) AU2014353473C1 (ko)
WO (1) WO20150769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1008B2 (en) 2013-11-22 2019-04-02 Apple Inc. Handsfree beam pattern configur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9128B2 (en) 2009-03-16 2014-04-0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rent position in content at a variable scrubbing rate
US10706096B2 (en) 2011-08-18 2020-07-07 Apple Inc. Management of local and remote media items
US9002322B2 (en) 2011-09-29 2015-04-07 Apple Inc.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US9689960B1 (en) 2013-04-04 2017-06-27 Amazon Technologies, Inc. Beam rejection in multi-beam microphone systems
EP3149554B1 (en) 2014-05-30 2024-05-01 Apple Inc. Continuity
US10339293B2 (en) 2014-08-15 2019-07-02 Apple Inc. Authenticated device used to unlock another device
CN113824998A (zh) 2014-09-02 2021-12-21 苹果公司 音乐用户界面
US10042602B2 (en) * 2015-09-30 2018-08-07 Sonos, Inc. Activity reset
CN105407443B (zh) 2015-10-29 2018-02-1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录音方法及装置
EP3188505B1 (en) * 2016-01-04 2020-04-01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Sound reproduction for a multiplicity of listeners
JP6905824B2 (ja) * 2016-01-04 2021-07-21 ハーマン ベッカー オートモーティブ システムズ ゲーエムベーハー 非常に多数のリスナのための音響再生
EP3188504B1 (en) 2016-01-04 2020-07-29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ulti-media reproduction for a multiplicity of recipients
US9898245B1 (en) 2016-01-15 2018-02-20 Sonos, Inc. System limits based on known triggers
US9858927B2 (en) * 2016-02-12 2018-01-02 Amazon Technologies, Inc Processing spoken commands to control distributed audio outputs
US9898250B1 (en) * 2016-02-12 2018-02-20 Amazon Technologies, Inc. Controlling distributed audio outputs to enable voice output
US10979843B2 (en) * 2016-04-08 2021-04-13 Qualcomm Incorporated Spatialized audio output based on predicted position data
DK179186B1 (en) 2016-05-19 2018-01-15 Apple Inc REMOTE AUTHORIZATION TO CONTINUE WITH AN ACTION
DK201670622A1 (en) 2016-06-12 2018-02-1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transactions
EP3484177A4 (en) * 2016-07-05 2019-07-03 Sony Corporation ACOUSTIC FIELD FORM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US9955253B1 (en) * 2016-10-18 2018-04-24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ional loudspeaker control with facial detection
CN106528545B (zh) * 2016-10-19 2020-03-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语音信息的处理方法及装置
US10992795B2 (en) 2017-05-16 2021-04-27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US11431836B2 (en) 2017-05-02 2022-08-30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initiating media playback
US10928980B2 (en) 2017-05-12 2021-02-2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laying and managing audio items
US20220279063A1 (en) 2017-05-16 2022-09-01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EP3624460B1 (en) * 2017-05-16 2022-06-29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CN111857644A (zh) * 2017-05-16 2020-10-30 苹果公司 用于家庭媒体控制的方法和界面
CN111343060B (zh) 2017-05-16 2022-02-11 苹果公司 用于家庭媒体控制的方法和界面
WO2018210429A1 (en) * 2017-05-19 2018-11-22 Gibson Innovations Belgium Nv Calibration system for loudspeakers
US10531196B2 (en) * 2017-06-02 2020-01-07 Apple Inc. Spatially ducking audio produced through a beamforming loudspeaker array
US10674303B2 (en) 2017-09-29 2020-06-02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accuracy of voice recognition
CN108536418A (zh) * 2018-03-26 2018-09-14 深圳市冠旭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音箱播放模式切换的方法、装置及无线音箱
US10524048B2 (en) * 2018-04-13 2019-12-31 Bose Corporation Intelligent beam steering in microphone array
US10708691B2 (en) * 2018-06-22 2020-07-07 EVA Automation, Inc. Dynamic equalization in a directional speaker array
US10524053B1 (en) 2018-06-22 2019-12-31 EVA Automation, Inc. Dynamically adapting sound based on background sound
US20190394598A1 (en) * 2018-06-22 2019-12-26 EVA Automation, Inc. Self-Configuring Speakers
US10440473B1 (en) * 2018-06-22 2019-10-08 EVA Automation, Inc. Automatic de-baffling
US10484809B1 (en) 2018-06-22 2019-11-19 EVA Automation, Inc. Closed-loop adaptation of 3D sound
US10531221B1 (en) 2018-06-22 2020-01-07 EVA Automation, Inc. Automatic room filling
US20190391783A1 (en) * 2018-06-22 2019-12-26 EVA Automation, Inc. Sound Adaptation Based on Content and Context
US10511906B1 (en) 2018-06-22 2019-12-17 EVA Automation, Inc. Dynamically adapting sound based on environmental characterization
US11089403B1 (en) * 2018-08-31 2021-08-10 Dream Incorporated Directivity control system
US10932079B2 (en) * 2019-02-04 2021-02-23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orporated Acoustical listening area mapping and frequency correction
CN111624554B (zh) * 2019-02-27 2023-05-02 北京京东尚科信息技术有限公司 声源定位方法和装置
CN111629301B (zh) * 2019-02-27 2021-12-31 北京地平线机器人技术研发有限公司 用于控制多个扬声器播放音频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CA3131489A1 (en) 2019-02-27 2020-09-03 Louisiana-Pacific Corporation Fire-resistant manufactured-wood based siding
WO2020206177A1 (en) 2019-04-02 2020-10-08 Sy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patial audio rendering
KR102436985B1 (ko) 2019-05-31 2022-08-29 애플 인크. 오디오 미디어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DK201970533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US10904029B2 (en) 2019-05-31 2021-01-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controllable external devices
US11010121B2 (en) 2019-05-31 2021-05-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US11659332B2 (en) * 2019-07-30 2023-05-23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Estimating user location in a system including smart audio devices
KR20210083059A (ko) * 2019-12-26 202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데이터의 출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134349B1 (en) 2020-03-09 2021-09-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Hearing assistance device with smart audio focus control
US11513667B2 (en) 2020-05-11 2022-11-29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audio message
US11392291B2 (en) 2020-09-25 2022-07-19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media control with dynamic feedback
US11847378B2 (en) 2021-06-06 2023-12-19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routing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55326A (en) * 1992-05-18 1993-10-19 Alden Stevenson Interactive audio control system
JP3127066B2 (ja) 1992-10-30 2001-01-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ション パーソナル・マルチメディア・スピーカ・システム
PT932398E (pt) * 1996-06-28 2006-09-29 Ortho Mcneil Pharm Inc Utilizacao do topiramento ou dos seus derivados para a producao de um medicamento para o tratamento de disturbios bipolares maniaco- depressivos
KR20020028918A (ko) 2000-04-28 2002-04-17 요트.게.아. 롤페즈 오디오 시스템
GB0304126D0 (en) * 2003-02-24 2003-03-26 1 Ltd Sound beam loudspeaker system
JP4765289B2 (ja) * 2003-12-10 2011-09-07 ソニー株式会社 音響システムにおけるスピーカ装置の配置関係検出方法、音響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スピーカ装置
KR101086398B1 (ko) 2003-12-24 2011-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지향성 제어 가능 스피커시스템 및 그 방법
US7626569B2 (en) 2004-10-25 2009-12-01 Graphics Properties Holdings, Inc. Movable audio/video communication interface system
GB0426448D0 (en) 2004-12-02 2005-01-0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osition sensing using loudspeakers as microphones
US7995768B2 (en) 2005-01-27 2011-08-09 Yamaha Corporation Sound reinforcement system
US7522742B2 (en) * 2005-03-21 2009-04-21 Speakercraft, Inc. Speaker assembly with moveable baffle
US8126159B2 (en) * 2005-05-17 2012-02-2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personalized sound zones
PL2005414T3 (pl) 2006-03-31 2012-07-31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Urządzenie oraz sposób przetwarzania danych
US20080101624A1 (en) 2006-10-24 2008-05-01 Motorola, Inc. Speaker directionality for user interface enhancement
JP5380777B2 (ja) * 2007-02-21 2014-01-08 ヤマハ株式会社 音声会議装置
JP5305743B2 (ja) 2008-06-02 2013-10-02 株式会社東芝 音響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US8379891B2 (en) 2008-06-04 2013-02-19 Microsoft Corporation Loudspeaker array design
US20090304205A1 (en) * 2008-06-10 2009-12-10 Sony Corporation Of Japan Techniques for personalizing audio levels
US20090312849A1 (en) * 2008-06-16 2009-12-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utomated audio visual system configuration
US8274611B2 (en) 2008-06-27 2012-09-25 Mitsubishi Electric Visual Solutions America, Inc. System and methods for television with integrated sound projection system
TW201136334A (en) * 2009-09-02 2011-10-16 Nat Semiconductor Corp Beam forming in spatialized audio sound systems using distributed array filters
US20110091055A1 (en) * 2009-10-19 2011-04-21 Broadcom Corporation Loudspeaker localization techniques
CN102860041A (zh) * 2010-04-26 2013-01-02 剑桥机电有限公司 对收听者进行位置跟踪的扬声器
US8965546B2 (en) 2010-07-26 2015-02-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enhanced acoustic imaging
MX2013006068A (es) * 2010-12-03 2013-12-02 Fraunhofer Ges Forschung Adquisicion de sonido, mediante la extraccion de informacion geometrica de estimativos de direccion de llegada.
JP5060631B1 (ja) 2011-03-31 2012-10-31 株式会社東芝 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方法
US20130028443A1 (en) 2011-07-28 2013-01-31 Apple Inc. Devices with enhanced audio
US9408011B2 (en) * 2011-12-19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Automated user/sensor location recognition to customize audio performance in a distributed multi-sensor environment
US9084058B2 (en) * 2011-12-29 2015-07-14 Sonos, Inc. Sound field calibration using listener localization
US8825020B2 (en) * 2012-01-12 2014-09-02 Sensory, Incorporated Information access and device control using mobile phones and audio in the home environment
US20130219417A1 (en) * 2012-02-16 2013-08-2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Automated Personalization
US20140006017A1 (en) * 2012-06-29 2014-01-0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generating obfuscated speech signal
US9047054B1 (en) * 2012-12-20 2015-06-02 Audible, Inc. User location-based management of content presentation
WO2015009748A1 (en) * 2013-07-15 2015-01-22 Dts, Inc. Spatial calibration of surround sound systems including listener position estimation
KR101815211B1 (ko) 2013-11-22 2018-01-05 애플 인크. 핸즈프리 빔 패턴 구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51008B2 (en) 2013-11-22 2019-04-02 Apple Inc. Handsfree beam pattern configu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0215B1 (ko) 2019-03-19
AU2018200212B2 (en) 2019-04-18
EP3072315A1 (en) 2016-09-28
AU2019202553A1 (en) 2019-05-02
JP6615300B2 (ja) 2019-12-04
CN109379671A (zh) 2019-02-22
AU2018200212A1 (en) 2018-02-01
JP2017500785A (ja) 2017-01-05
KR101815211B1 (ko) 2018-01-05
KR20180108878A (ko) 2018-10-04
AU2014353473A1 (en) 2016-06-09
KR20180002905A (ko) 2018-01-08
KR102012612B1 (ko) 2019-08-20
CN112351367B (zh) 2022-11-29
EP3072315B1 (en) 2021-11-03
AU2014353473B2 (en) 2017-11-02
JP2019017114A (ja) 2019-01-31
US20190208347A1 (en) 2019-07-04
AU2014353473C1 (en) 2018-04-05
US20160295340A1 (en) 2016-10-06
AU2019202553B2 (en) 2020-08-06
CN105794231A (zh) 2016-07-20
CN105794231B (zh) 2018-11-06
JP6430506B2 (ja) 2018-11-28
WO2015076930A1 (en) 2015-05-28
CN109379671B (zh) 2020-11-03
US11432096B2 (en) 2022-08-30
CN112351367A (zh) 2021-02-09
US10251008B2 (en) 201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211B1 (ko) 핸즈프리 빔 패턴 구성
US11399255B2 (en) Adjusting the beam pattern of a speaker array based on the location of one or more listeners
CN106941645B (zh) 大量听众的声音再现的系统和方法
JP2016516355A (ja) スピーカアレイを用いた堅牢なクロストークキャンセル
US9729992B1 (en) Front loudspeaker directivity for surround sound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