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698A - 단말장치 및 컨텐츠 검색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및 컨텐츠 검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698A
KR20160071698A KR1020140179179A KR20140179179A KR20160071698A KR 20160071698 A KR20160071698 A KR 20160071698A KR 1020140179179 A KR1020140179179 A KR 1020140179179A KR 20140179179 A KR20140179179 A KR 20140179179A KR 20160071698 A KR20160071698 A KR 20160071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g information
search
content
searched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0271B1 (ko
Inventor
최형탁
조상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9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0271B1/ko
Priority to US14/963,697 priority patent/US10452719B2/en
Priority to EP15868345.8A priority patent/EP3230904B1/en
Priority to CN201580067078.8A priority patent/CN107111634A/zh
Priority to PCT/KR2015/013488 priority patent/WO2016093631A1/en
Publication of KR20160071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0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0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35Query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10File systems; File servers
    • G06F16/17Details of further file system functions
    • G06F16/178Techniques for file synchronisation in file systems
    • G06F16/1794Details of file format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3Upd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2Query form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단말장치가 개시된다. 본 단말장치는,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를 입력받는 입력부, 입력된 검색어 및 기저장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를 검색하고,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로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검색된 로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장치 및 컨텐츠 검색 방법{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 CONTENTS}
본 발명은 단말장치 및 컨텐츠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 컨텐츠와 시간상 관련된 행위를 통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컨텐츠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장치는 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망에 연결 가능하며,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치이다. 최근의 단말장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가능하며, 사용자는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를 보거나,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단말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컨텐츠의 제목이나, 저장위치를 알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제목이나 저장위치를 알지 못하는 경우, 종래의 단말장치에서는 컨텐츠의 검색이 용이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제목이나 저장위치를 알지 못하면, 사용자는 저장된 컨텐츠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사람은 행위 기반으로 특정 사항을 기억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찾으려 하는 컨텐츠의 제목 또는 저장위치를 기억하지 못하더라도, 해당 컨텐츠의 시청 과정 중, 실행 과정 중 또는 해당 컨텐츠의 생성 과정 중에 함께 수행한 행위를 기억하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특정 메모를 생성한 시점에 다른 사용자 A와 통화를 수행한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상황 이후에, 사용자가 특정 메모를 찾아야 하나, 해당 메모의 재목은 기억나지 않고, 메모를 생성한 시점에 사용자 A와 통화를 수행한 기억이 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종래의 단말장치는 이러한 사용자의 전화 통화 행위를 통하여 특정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컨텐츠와 시간상 관련된 행위를 통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단말장치 및 컨텐츠 검색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는, 단말장치에 있어서,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검색어 및 기저장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로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로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입력부는, 상기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종류를 더 입력받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상기 컨텐츠 종류에 대응되는 로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색어는, 상기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와 시간상으로 관련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단말장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서의 사용자 행위를 시간에 따른 로그 정보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로그 정보는, 시간에 따른 애플리케이션별 수행된 태스크 및 이벤트 정보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부는, 상기 로그 정보를 구성하는 요소를 그래프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단말장치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입력된 텍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 정보로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단말장치는, 상기 저장된 로그 정보를 타 단말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본 단말장치는, 타 단말장치 및 서버에 저장된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기저장된 로그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로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로그 정보를 검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종류는, 비디오 파일, 메모 파일, 음원 파일, 녹음 파일, 웹 페이지, 사진 파일, 문서 파일,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검색어는, 통화 상대, 채팅 상대, SNS 키워드, 위치,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타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는, 시간 범위 정보를 더 입력받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입력된 시간 범위 정보 내의 시간 범위를 검색하도록 상기 검색부를 제어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부는, 음성 인식 방식으로, 상기 컨텐츠의 종류 및 검색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방법은,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검색어 및 기저장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로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로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종류를 더 입력받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상기 컨텐츠 종류에 대응되는 로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본 컨텐츠 검색 방법은,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서의 사용자 행위를 시간에 따른 로그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컨텐츠 검색 방법은, 상기 기저장된 로그 정보를 타 단말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컨텐츠 검색 방법은, 타 단말장치 및 서버에 저장된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장된 로그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로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상기 컨텐츠 종류에 대응되는 로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시간 범위 정보를 더 입력받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시간 범위 정보 내의 시간 범위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검색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검색 방법은,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검색어 및 기저장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로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로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비디오 컨텐츠를 검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메모 컨텐츠를 검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음원 컨텐츠를 검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문서 컨텐츠를 검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녹음 파일을 검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이메일을 검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특정 웹 페이지를 검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사진 컨텐츠를 검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타 단말장치의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서버로 전달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저장부에 저장된 로그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검색부(150), 설정부(160) 및 제어부(17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장치(100)는 스마트 폰, 노트북, PMP, MP3 player, 스마트 TV, 웨어러블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 등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단말장치(100)를 외부 장치(구체적으로, 타 단말장치와 클라우드 서버)에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고,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외부 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예를 들어, Z-wave, 4LoWPAN, RFID, LTE D2D, BLE, GPRS, Weightless, Edge Zigbee, ANT+, NFC, IrDA, DECT, WLAN, 블루투스, 와이파이, Wi-Fi Direct, GSM, UMTS, LTE, WiBRO 등의 무선 통신) 방식에 의해서 접속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타 단말장치(200) 또는 서버(3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후술할 저장부(140)에 저장된 로그 정보를 타 단말장치(200) 또는 서버(300)에 제공하거나, 타 단말장치(200) 또는 서버(300)에 저장된 로그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때 수신되는 로그 정보는 단말장치(100)에서 생성된 단말장치(100)의 로그 정보이거나, 타 단말장치(200)에서 생성된 타 단말장치(200)의 로그 정보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단말장치(100)에 지원하는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20)는 LCD, CRT 등과 같은 모니터일 수 있으며, 후술할 입력부(13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단말장치(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른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어를 입력받기 위한 검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후술한 검색부(150)의 검색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20)는 후술한 검색부(150)의 검색 결과에 따른 검색된 로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된 컨텐츠가 복수개인 경우,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20)는 복수의 컨텐츠 중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에 해당할 가능성이 큰 컨텐츠가 상위에 표시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단말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다. 이러한 입력부(130)는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 등과 같은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디스플레이부(120)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입력부(130)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장치(100)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 있으며,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동작을 위한 각종 조작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입력된 조작 명령은 저장부(140)의 로그 정보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30)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검색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검색어는 컨텐츠와 직접적인 관련된 검색어이거나, 컨텐츠와 시간상으로 관련된 검색어일 수 있다. 후자의 검색어는 통화 상대, 채팅 상대, SNS 키워드, 위치,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타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등과 같이 사용자의 행위와 관련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후자의 검색어를 입력받은 경우, 입력부(130)는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 종류가 함께 검색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30)는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종류를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컨텐츠의 종류를 상술한 검색어와 함께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30)는 시간 범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30)는 입력받은 검색어의 조건으로써 시간 범위 정보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3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검색어를 텍스트로 입력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성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130)는 입력된 음성을 자체적으로 음성 인식하거나, 타 단말장치 또는 서버에 음성을 전달하고, 타 단말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음성 인식 결과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저장부(140)는 단말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40)는 단말장치(100)의 구동시 필요한 각종 명령어의 집합인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은 특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응용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키기 위한 운영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애플리케이션 각각에 대한 로그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단말장치(100)가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하는 PC 또는 스마트 TV 등인 경우, 저장부(140)는 로그 정보를 사용자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여기서, 로그 정보는, 시간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된 태스크(ex 특정 컨텐츠의 재생, 특정 컨텐츠의 생성, 특정 사용자와의 통화, 특정 사용자와의 채팅 등), 애플리케이션에서 발생한 이벤트 정보(타 사용자로부터의 전화 수신, 알림), GPS 주소 정보), 애플리케이션에서 입력받은 텍스트(검색 사이트에서 입력받은 검색어, SNS 키워드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복수의 로그 정보를 행위/데스크/시간 단위로 관계 지어 그래프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복수의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비디오 파일, 메모 파일, 음원 파일, 녹음 파일, 웹 페이지, 사진 파일, 문서 파일, 이메일, 이북 파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단말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 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를 포함한 Removable Disk, 네트워크를 통한 웹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검색부(150)는 입력된 검색어 및 기저장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찾으려고 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를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색부(150)는 통화 상대, 채팅 상대, SNS 키워드, 위치,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타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등과 같은 검색어를 갖는 로그 정보를 검색하고, 해당 로그 정보의 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검색어가 사용자 A인 경우, 사용자 A와의 통화/채팅/문자 등의 사용자 행위를 갖는 로그 정보를 추출하고, 해당 행위의 시점을 추출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30)를 통하여 범위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검색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검색을 수행할 때, 입력받음 범위 정보를 이용하여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받은 범위가 채팅인 경우, 검색부(150)는 입력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행위 중 채팅 행위에 대한 로그 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부(150)는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컨텐츠 종류에 대응되는 로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색부(150)는 기저장된 복수의 로그 정보 중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시간 정보와 입력된 컨텐츠 종류에 대응하는 객체 정보를 갖는 로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추출된 시점이 오늘 오전 10시인 경우, 로그 정보를 기초로 10시에 수행된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할 수 있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에서 재생된 컨텐츠를 검색 결과로 추출할 수 있다.
설정부(160)는 입력된 시간 범위 정보 내의 시간 범위를 검색하도록 검색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30)를 통하여 범위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설정부(16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검색을 수행할 때, 입력받음 범위 정보 내에서 검색이 수행되도록 검색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받은 범위가 이번 주인 경우, 설정부(160)는 입력된 검색어에 해당하는 사용자 행위 중 이번 주에 수행된 사용자 행위만을 갖는 로그 정보를 추출되도록 검색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단말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로부터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명령을 입력받으면, 제어부(170)는 선택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에 따른 화면이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과정에서 수행된 일련의 태스크 및 이벤트를 로그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텍스트가 입력되면, 제어부(170)는 입력된 텍스트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 정보로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로그 정보를 타 단말장치(200) 또는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른 로그 정보는 사용자의 행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바, 일반적인 로그 정보보다 용량이 크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생성된 로그 정보를 기설정된 주기 단위로 타 단말장치(200) 또는 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로그 정보가 타 단말장치(200) 또는 서버(300)에 전송되는 경우, 검색이 필요한 시점에, 제어부(170)는 타 단말장치(200) 또는 서버(300)에 저장된 로그 정보를 수신하여 검색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구현시에는 타 단말장치(200)에서 생성된 로그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170)는 수신된 타 단말장치(200)의 로그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검색이 수행되도록 검색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단말장치가 전화되지 않은 태블릿이고, 사용자가 수행한 행위가 타 단말장치인 스마트폰을 이용한 통화 등의 행위인 경우, 제어부(170)는 타 단말장치(200)의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 검색이 수행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및 검색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입력부(130)를 통하여 컨텐츠 검색 명령을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키워드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검색되도록 검색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검색 결과가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입력부(130)를 통하여 검색 범위 정보를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검색 범위 내에서 검색이 수행되도록 검색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된 검색 범위가 이번 주라는 시간 정보인 경우, 검색부(150)는 로그 정보 중 이번 주에 수행된 로그 정보만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행위를 검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로그 정보를 1차적으로 필터링 한 이후에, 행위를 검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검색어에 대응되는 행위를 검색한 이후에 입력된 검색 범위 내로 검색 결과를 필터링할 수도 있다.
한편, 타 단말장치(200)로부터 로그 정보의 제공 요청은 입력받으면, 제어부(170)는 기저장된 로그 정보를 타 단말장치(200)에 제공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70)는 저장된 모든 로그 정보를 타 단말장치(200)에 제공되도록 하거나, 제공 요청에 대응한 일부 로그 정보만을 타 단말장치(200)에 제공되도록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 단말장치가 오늘, 이번 주와 같은 기간 동안의 로그 정보를 요청한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기간에 대응되는 로그 정보만을 타 단말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는, 컨텐츠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제목, 저장 장소, 키워드뿐만 아니라, 해당 컨텐츠와 시간상 관련된 사용자 행위로도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바,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검색부(150), 설정부(160)와 제어부(17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검색부(150)의 기능과 설정부(160)의 기능과 제어부(170)의 기능을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단말장치(100)가 입력부(130)를 통하여 검색어가 입력된 경우에 검색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즉, 수동 검색만을 지원하는 것으로 수행되었지만, 사용자가 특정 검색어를 입력하지 않은 경우에도 검색 동작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전화 통화를 수행하는 시점에 영화를 보고 있었던 경우, 특정 사용자와의 전화 통화가 종료되면, 단말장치(100)는 자동으로 이전 통화 시점에서 보고 있던 영화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단말장치(100)는 현재 수행하고 있는 태스크를 검색어로 이용하여 검색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단말장치(100)가 자체적인 로그 정보만을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단말장치(100)는 타 단말장치(200)에서 생성된 로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로그 정보와 자체적으로 생성한 로그 정보를 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하나의 장치가 통합된 로그 정보를 갖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단말장치가 각각 동일한 로그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즉, 각 단말장치에서 생성되는 로그 정보는 상호 공유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단말장치(100)가 로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로그 정보를 검색하는 동작 모두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로그 정보의 생성과 검색 동작은 구분된 별도의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에서는 로그 정보를 생성하여 서버에 전달하고, 컨텐츠 검색은 서버 측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단말장치(100)가 특정 행위를 기초로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반대로 컨텐츠를 기초로 행위를 검색할 수 있으며, 제1 컨텐츠를 기초로 다른 제2 컨텐츠를 검색하거나, 제1 행위를 기초로 제2 행위를 검색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행위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지만, 사용자 입장이 아닌 기계입장에서 상기 행위라는 용어는 태스크라는 용어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기저장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컨텐츠를 찾는 검색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로그 정보는 단말장치의 잠금 해제시에도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3 및 도 1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 내지 도 11은 다양한 컨텐츠 검색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비디오 컨텐츠를 검색하는 제1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1 실시 예는, 사용자가 1달 동안 100개의 비디오 파일을 보왔는데 그 중 특정 비디오 파일을 찾고 싶은데, 비디오 파일의 제목이 기억나지 않는 경우의 검색 예이다.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영화 제목을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영화에 출현한 배우를 기억해 내고, 배우를 토대로 영화 제목을 검색하여 찾고자 하는 비디오 파일을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비디오 파일에 파일명이 제목과 다르거나, 사용자의 일상을 기록한 동영상 파일로, 의미 있는 파일명을 갖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찾고자 하는 비디오 파일을 찾기 위해서는, 저장된 모든 비디오 파일을 일일이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
만약, 사용자가 특정 비디오 컨텐츠(212)를 보는 시점에, 친구 A와 채팅을 수행하였고, 친구 A와 채팅을 수행하였다는 기억이 있다면, 사용자는 이러한 행위를 기초로 특정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장치(100)에 "친구 A + 비디오"라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색어를 입력받은 단말장치(100)는 친구 A를 갖는 로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로그 정보에서 해당 친구 A와의 채팅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채팅 시점이 확인되면, 단말장치(100)는 확인된 행위 시점에 수행된 다른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비디오 컨텐츠가 영화 2(212)임을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친구 A와 채팅 또는 통화를 자주 한 경우, 상술한 검색 결과는 복수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검색어를 부가하여, 검색 범위를 더욱 한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어로 채팅을 부가하여, 친구 A와의 통화한 시점은 배제하고, 친구 A와의 채팅한 시점에 대한 비디오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또는 검색어로 이전 주라는 기간을 부가하여, 친구 A와의 채팅 또는 통화 시점 중 이번 주의 통화 시점에 대한 비디오 컨텐츠를 검색할 수도 있다.
도 3은 메모 컨텐츠를 검색하는 제2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 실시 예는, 사용자가 오늘 하루 10개의 메모를 작성하였고, 그 중 하나의 메모를 찾고 싶은데, 메모의 제목 또는 메모 주제가 기억나지 않는 경우의 검색 예이다.
통상적으로 사람은 자신이 해야 하는 행위 등에 대해서 잊지 않도록 메모를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간혹 메모한 행위만을 기억하고 어떠한 메모를 하였는지 기억 못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종래에는 모든 메모를 뒤져서 찾고자 하는 메모를 찾아야 하였다. 그러나 도 3과 같이 10개의 메모가 아니라, 수백 개의 메모를 몇 주 또는 몇 달의 기간을 걸쳐 작성한 경우, 모든 메모를 뒤진다는 것은 쉽지 않은 행동이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해당 행위의 메모할 때, 친구 B로부터 전화가 와서 통화를 하였으며, 이러한 통화 행위가 기억난 경우, 사용자는 이러한 통화 행위를 기초로 특정 메모를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장치(100)에 "친구 B + 메모"라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색어를 입력받은 단말장치(100)는 친구 B를 갖는 로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로그 정보에서 친구 B와의 전화 통화 시점(321)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확인된 전화 통화 시점에 수행된 메모라는 행위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한 메모(313)를 찾을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두 개의 행위가 하나의 시점에 동시에 수행되는 그것을 기초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컨텐츠를 찾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두 행위가 시간상으로 동시일 필요는 없고, 일정 시간이상 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친구 B와의 통화 시점이 사용자가 메모 3(313)을 완료한 이후인 경우라도, 사용자는 메모를 완성한 이후에 친구 B와의 통화를 한 것이 기억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장치(100)는 확인된 전화 통화 시점과 동일한 시점이 아니더라도, 일정 시간 범위 내의 메모라는 행위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메모(313)를 찾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시점의 범위는 디폴트값을 갖도록 구현되거나,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검색 시점에 이러한 시간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로그 정보를 저장하는 시점에 이러한 시간 차이를 고려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로그 정보를 연관 지을 때, 동일한 시점에 수행된 로그 정보를 연관짓는 것이 아니라, 기설정된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수행된 로그 정보들 간에도 연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음원 컨텐츠를 검색하는 제3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3 실시 예는 사용자가 오늘 200 개의 음악을 청취하였으며, 그 중 하나의 음악을 찾고 싶은데, 가수나 노래 제목이 기억나지 않는 경우의 검색 예이다.
통상적으로 음원 파일은 노래 제목 또는 노래 제목+가수이름의 파일명을 갖거나, 노래 제목, 가수, 앨범 등의 정보를 태그 정보로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음원을 찾기 위해서는 노래 제목, 가수, 앨범 등을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이러한 점을 정보를 모르는 경우, 종래에는 모든 음원을 재청취하여 찾아야 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스트리밍 방식으로 음악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가 많으며, 스트리밍 방식의 경우, 사용자는 수백 곡을 순차적으로 듣는다는 점에서, 모든 음원을 다시 청취하여 원하는 음원을 찾는다는 것은 쉽지 않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가 특정 음악(413)을 들을 때, 친구 C와 채팅을 하면서 지금 듣고 있는 음악 좋다라는 코멘트를 한 행위가 기억난 경우, 사용자는 이러한 채팅 행위를 기초로 특정 음악을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장치(100)에 "친구 C + 음악"이라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색어를 입력받은 단말장치(100)는 친구 C를 갖는 로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로그 정보에서 친구 C와의 채팅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확인된 채팅 시점에 수행된 음악 청취라는 행위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음악 파일(421)을 찾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친구 C와 채팅을 오랜 시간 수행한 경우에, 검색된 음악 파일은 많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검색어로 채팅 시 사용한 텍스트 중 일부를 키워드로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단말장치(100)에 "친구 C + 음악 + 좋다."라는 키워드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때, 단말장치는 친구 C와 채팅 중에 좋다라는 텍스트를 사용자 입력한 시점을 검색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음악 파일을 찾을 수 있다.
도 5는 문서 컨텐츠를 검색하는 제4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4 실시 예는 사용자가 오늘 하루 동안 5개의 문서를 작성하였으며, 그 중 하나의 문서 파일을 찾고 싶은데, 저장한 파일 명이 기억나지 않는 경우의 검색 예이다.
통상적으로, 문서 파일은 사용자 임의로 파일명을 설정하는데, 문서의 내용과 관련지어 파일명을 설정하는 게 일반적이다. 그래서, 다른 컨텐츠와 다르게 사용자가 원하는 문서 파일을 찾는 건 어렵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동시에 5개의 문서를 작업 중이었고, 정전에 의하여 모든 문서가 임시 파일로 저장되게 된 경우에, 임시 파일은 일정한 이름을 갖지 않으며,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에는 수백 개의 임시 파일이 저장된다는 점에서,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임시파일을 찾지 용이하지 않다.
하지만,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문서에 대한 작업을 수행할 때, 해당 문서 작업과 관련된 질문을 상사 C와 채팅으로 한 기억이 난 경우, 사용자는 이러한 채팅 행위를 기초로 특정 문서를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장치(100)에 "상사 C + 문서"라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색어를 입력받은 단말장치(100)는 상사 C를 갖는 로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로그 정보에서 상사 C와의 채팅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확인된 채팅 시점 또는 채팅 시점 주변에 텍스트가 입력된 문서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문서 파일을 찾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여러 문서를 동시에 열어 놓고 작업한 경우에, 정확한 문서 파일을 찾기 어려울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찾고자 하는 문서의 종류를 검색어로 한정하여, 더욱 정확하게 찾고자 하는 문서 파일을 찾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찾고자하는 문서가 PDF 파일인 경우, 사용자는 단말장치(100)에 "상사 C + 문서 + PDF"라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색어를 입력받은 단말장치(100)는 상사C와의 채팅 시점에 열어 놓인 PDF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도 6은 녹음 파일을 검색하는 제5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5 실시 예는, 사용자가 최근 한 달 동안 100개의 음성 파일을 생성하였고, 그중 하나의 음성 파일을 찾고 싶은데, 음성 파일의 제목 또는 음성 파일을 생성 시점이 기억나지 않는 경우의 검색 예이다.
통상적으로 음성 파일은 생성된 시점 정보만으로 파일명이 생성되어, 생성 시점을 모르는 경우, 검색이 용이하지 않은 파일이다.
이러한 경우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음성 파일의 생성 중간에 거래 업체 지인 E로부터 전화가 와 통화를 하였으며, 그 기억이 있다면, 사용자는 이러한 통화 행위를 기초로 음성 파일을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장치(100)에 "지인 E + 녹음"이라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색어를 입력받은 단말장치(100)는 지인 E를 갖는 로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로그 정보에서 지인 E와의 전화 통화 시점(622)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확인된 전화 통화 시점에 수행된 녹음 행위를 검색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한 음성 파일(612)을 찾을 수 있다.
도 7은 이메일을 검색하는 제6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6 실시 예는, 사용자가 몇 달 전에 이메일을 전송하였고, 특정 이메일을 찾고 싶은데, 어떠한 이메일 주소로 보낸 메일이고 정확한 시점이 기억나지 않는 경우의 검색 예이다.
다만, 사용자가 이메일을 전송하고, 이메일 전송하였다는 전화 연락을 한 기억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전화 연락을 한 "친구 A와 이메일"이라는 검색어를 이용하여 찾고자하는 이메일을 검색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이메일이라는 컨텐츠는 단말장치에 저장되지 않고, 서버 등에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경우, 단말장치(100)는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이메일 행위에 대응되는 로그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해당 로그 정보와 단말장치(100)에 저장된 통화 행위와 관련된 로그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이메일을 검색할 수 있다.
도 8은 특정 웹 페이지를 검색하는 제7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7 실시 예는 사용자가 오늘 하루종일 100개의 웹 페이지를 보았으며, 그 중 하나의 웹 페이지를 찾고 싶은데, 정확한 웹페이지 주소가 기억나지 않는 경우의 검색 예이다.
다만, 사용자가 해당 웹페이지를 보는 시점에 집에 도착한 기억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단말장치(100)에 "집 + 웹 페이지"를 검색어로 넣을 수 있다. 이러한 검색어를 입력받은 단말장치(100)는 GPS 또는 위치 기반 애플리케이션의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집에 도착한 시점을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된 시점에 로그 정보 중 웹 페이지 행위를 갖는 로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로그 정보 내의 웹 페이지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사진 컨텐츠를 검색하는 제8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실시 예는 사용자가 100개의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그 중 하나의 사진을 찾고 싶은 경우의 검색 예이다.
통상적으로 사진은 촬영과 관련된 메타 데이터만을 갖는다는 점에서, 촬영된 위치 또는 시간을 모르는 경우, 검색어만으로 사진을 찾기는 용이하지 않다.
다만, 사용자가 사진 촬영 이후에, 해당 사진을 특정 키워드와 함께 SNS에 올린 기억이 있는 경우, 사용자는 SNS 업로드 행위를 기초로 찾고자 하는 사진을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장치(100)에 "SNS + 사진"을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장치(100)는 SNS을 한 행위 직전에 촬영된 사진(914)을 사용자가 찾는 사진으로 검색할 수 있다.
도 10은 타 단말장치의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제9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9 실시 예는 사용자가 일 주일 동안 10개의 비디오 파일을 보왔는데 그 중 특정 비디오 파일을 찾고 싶은데, 비디오 파일의 제목이 기억나지 않는 경우의 검색 예이다.
만약, 사용자가 특정 비디오 컨텐츠(1013)를 보는 시점에, 다른 단말장치를 이용하여 친구 A와 전화 통화를 하였고, 친구 A와 전화 통화를 한 기억이 있다면, 사용자는 이러한 행위를 기초로 특정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장치(100)에 "친구 A + 비디오"라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전화 행위는 타 단말장치에서의 행위인바, 단말장치(100)는 타 단말장치(200)에 로그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타 단말장치(200)의 로그 정보와 기저장된 단말장치의 로그 정보를 기초로 친구 A를 갖는 로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로그 정보에서 해당 친구 A와의 채팅 시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장치(100)는 확인된 행위 시점에 수행된 다른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비디오 컨텐츠가 영화 3(1013)임을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타 단말장치(200)의 로그 정보의 수신은 사용자의 검색이 요청된 시점에 수행되거나, 단말장치(100)에 저장된 로그 정보에 친구 A라는 로그 정보가 검색되지 않은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또는 기설정된 주기로 단말장치(100)와 타 단말장치(200)가 로그 정보를 공유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서버로 전달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제10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실시 예는 사용자가 오늘 하루 10개의 문서를 작성하였는데, 그 중 하나의 문서를 찾고 싶으나, 문서 파일이 어디에 저장하였는지 기억나지 않은 경우의 검색 예이다.
다만, 사용자는 특정 문서의 작업 시점에, 친구 B와 스마트폰으로 채팅을 하였고, 친구 B와 채팅을 한 기억이 있다면, 사용자는 이러한 행위를 기초로 특정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장치(100)에 "친구 B + 문서"라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사용한 각 단말장치(100, 200)의 로그 정보는 서버(300)에 저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단말장치(100)는 서버(300)로부터 로그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문서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단말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검색어를 서버(300)에 전송하고, 서버(300)에서 수신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문서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 결과는 단말장치(100)에 제공되어, 최종 검색 결과는 단말장치(100)상에서 제공될 수 있다.
도 12는 저장부에 저장된 로그 정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검색을 위해서는 사용자 행위 기반의 로그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로그 정보는 온톨로지 형태로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온톨로지란 실세계 객체 간의 의미적인 관계를 정의함으로써 지식 정보를 컴퓨터로 처리할 수 있는 명시적인 명세(explicit specification)를 제공한다.
이러한 온톨로지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RDF/RDFS, 그리고 OWL과 같은 그래프 기반 표현 언어가 널리 알려져 있다. 이들 온톨로지 언어는 객체 혹은 객체에 대한 개념, 그리고 객체가 가지는 속성의 유형을 정점(vertex)으로 표현하고, 객체 간의 관계 및 객체의 속성을 변(edge)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실시 예에 따른 로그 정보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 애플리케이션에서 수행된 태스크(또는 컨텐츠), 통화 상대, 채팅 상대 등이 정점으로 표현되고, 객체의 속성을 변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기저장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의 컨텐츠를 검색하는데 이용하는 예만을 설명하였지만, 로그 정보는 단말장치(100)의 잠금 해제를 이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13은 도 1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1300)은 안내 메시지 영역(1310), 질문 영역(1320), 답변 영역(1320)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 메시지 영역(1310)은 단말장치가 잠금되어 있으니, 해제를 위한 방법을 안내하는 메시지를 표시하는 영역이다.
질문 영역(1320)은 기저장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해제를 위한 질문을 표시하는 영역이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은 로그 정보가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 질문 영역(1320)은 영화 2의 시청 중에 채팅한 사람이 누군지를 질문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질문에 대해서 사용자가 답변 영역(1320)에 'A'를 입력한다면, 단말장치의 잠금은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A'가 아닌 다른 사람이 입력되면, 다시 키워드를 넣는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다른 로그 정보에 의한 다른 질문을 표시할 수도 있다.
답변 영역(1330)은 질문 영역(1320)에 대응되는 답변을 입력받은 영역이다. 답변 영역(1330)을 통하여 입력받든 키워드가 질문 영역(1320)에 기재된 질문에 대응되는 답변이면, 제어부(170)는 단말장치(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20)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받을 수 있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종류 및 컨텐츠와 시간상으로 관련된 검색어를 입력받는다(S1410). 구체적으로,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종류와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시청 또는 생성한 시점과 관련된 사용자 행위와 관련된 검색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비디오 파일, 메모 파일, 음원 파일, 녹음 파일, 웹 페이지, 사진 파일, 문서 파일, 이메일 등일 수 있다. 그리고 검색어는 사용자 행위와 관련된 통화 상대, 채팅 상대, SNS 키워드, 위치,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타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등일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검색어 및 기저장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를 검색하고,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컨텐츠 종류에 대응되는 로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S1420). 구체적으로, 입력된 검색어를 기초로, 검색어에 대응되는 로그 정보를 검색하고, 검색된 로그 정보에서의 시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된 시간 정보와 컨텐츠 정류를 기초로 로그 정보를 재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로그 정보를 표시한다(S1430). 구체적으로, 앞선 과정에서 검색된 로그 정보 또는 로그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검색 결과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타 단말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방법은, 컨텐츠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제목, 저장 장소, 키워드 등을 사용자가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해당 컨텐츠와 시간상 관련된 사용자 행위를 이용하여 컨텐츠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와 같은 제어 방법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단말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단말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거나, 운용체제와 같은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로그 정보에 대응되는 질문을 표시한다(S1510). 구체적으로, 단말장치(100)가 잠김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가 켜지게 되면, 로그 정보에 대응되는 질문 및 질문에 따른 답변을 입력받을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키워드를 입력받는다(S1520).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답변 영역에 질문에 대응되는 키워드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가 질문에 대응되는 키워드인지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단말장치(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S1530). 만약,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가 질문에 대응하지 않은 키워드인 경우, 다른 키워드를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다른 로그 정보에 따른 다른 질문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잠금 해제 방법은 사용자 경험에 따른 로그 정보에 기초하여 잠금이 해제되는바, 타 사용자가 해당 잠금을 해제하기 어렵다. 또한, 로그 정보의 업데이트에 의하여 매번 잠금 해제에 사용되는 로그 정보가 상이한바, 보완성이 향상된다. 도 15과 같은 잠금 해제 방법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단말장치상에서 실행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단말장치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거나, 운용체제와 같은 플랫폼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 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단말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50: 검색부
160: 설정부 170: 제어부

Claims (20)

  1. 단말장치에 있어서,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검색어 및 기저장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로그 정보를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로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종류를 더 입력받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상기 컨텐츠 종류에 대응되는 로그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는,
    상기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와 시간상으로 관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서의 사용자 행위를 시간에 따른 로그 정보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정보는, 시간에 따른 애플리케이션별 수행된 태스크 및 이벤트 정보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로그 정보를 구성하는 요소를 그래프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입력된 텍스트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텍스트를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 정보로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로그 정보를 타 단말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타 단말장치 및 서버에 저장된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부는,
    상기 기저장된 로그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로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로그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종류는,
    비디오 파일, 메모 파일, 음원 파일, 녹음 파일, 웹 페이지, 사진 파일, 문서 파일, 이메일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어는,
    통화 상대, 채팅 상대, SNS 키워드, 위치,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타 단말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시간 범위 정보를 더 입력받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입력된 시간 범위 정보 내의 시간 범위를 검색하도록 상기 검색부를 제어하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음성 인식 방식으로, 상기 컨텐츠의 종류 및 검색어를 입력받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14. 컨텐츠 검색 방법에 있어서,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검색어 및 기저장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로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로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종류를 더 입력받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상기 컨텐츠 종류에 대응되는 로그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각각에서의 사용자 행위를 시간에 따른 로그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장된 로그 정보를 타 단말장치 또는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타 단말장치 및 서버에 저장된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장된 로그 정보 및 상기 수신된 로그 정보를 기초로 상기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상기 컨텐츠 종류에 대응되는 로그 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받는 단계는, 시간 범위 정보를 더 입력받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시간 범위 정보 내의 시간 범위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검색 방법.
  20. 컨텐츠 검색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검색 방법은,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검색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검색어 및 기저장된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응되는 시간 범위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시간 범위 내의 로그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로그 정보에 대응하는 컨텐츠 리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40179179A 2014-12-12 2014-12-12 단말장치 및 컨텐츠 검색 방법 KR102040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179A KR102040271B1 (ko) 2014-12-12 2014-12-12 단말장치 및 컨텐츠 검색 방법
US14/963,697 US10452719B2 (en) 2014-12-12 2015-12-09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 contents
EP15868345.8A EP3230904B1 (en) 2014-12-12 2015-12-10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 contents
CN201580067078.8A CN107111634A (zh) 2014-12-12 2015-12-10 搜索内容的终端装置和方法
PCT/KR2015/013488 WO2016093631A1 (en) 2014-12-12 2015-12-10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 conte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9179A KR102040271B1 (ko) 2014-12-12 2014-12-12 단말장치 및 컨텐츠 검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698A true KR20160071698A (ko) 2016-06-22
KR102040271B1 KR102040271B1 (ko) 2019-11-04

Family

ID=56107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179A KR102040271B1 (ko) 2014-12-12 2014-12-12 단말장치 및 컨텐츠 검색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52719B2 (ko)
EP (1) EP3230904B1 (ko)
KR (1) KR102040271B1 (ko)
CN (1) CN107111634A (ko)
WO (1) WO2016093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9863B (zh) * 2017-12-26 2021-09-17 深圳市优必选科技有限公司 一种物体查找方法、装置、终端设备和存储介质
CN110807089B (zh) * 2019-10-29 2023-02-28 出门问问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问答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20240008539A (ko) * 2022-07-12 2024-01-19 (주)제이앤피메디 각주 번호 자동 넘버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1573A1 (en) * 2007-01-11 2008-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ized service method using user history in mobile terminal and system using the method
US20120265764A1 (en) * 2011-04-18 2012-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le searching on mobile devices
US20140067861A1 (en) * 2012-08-29 201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content searching method u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895B1 (ko) * 1996-05-25 2003-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부호화 및 복호화방법 및 그 장치
JP2007257086A (ja) * 2006-03-20 2007-10-04 Fujitsu Ltd 行動記録支援プログラム、システム、装置、および方法
US7406790B2 (en) * 2006-11-01 2008-08-05 Gnesa Aric M Labeling system for coil binders
US8473429B2 (en) * 2008-07-10 2013-06-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anaging personal digital assets over multiple devices
US9557889B2 (en) * 2009-01-28 2017-01-31 Headwater Partners I Llc Service plan design, user interfaces,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s, and device management
CN101937489B (zh) * 2010-08-26 2012-03-21 无锡北邮感知技术产业研究院有限公司 基于事件驱动的导医信息服务系统及其工作方法
JP5185358B2 (ja) * 2010-12-13 2013-04-17 株式会社東芝 行動履歴検索装置
CN102110167B (zh) * 2011-03-01 2013-07-31 上海维宏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数控系统中实现日志信息管理的方法
US8805741B2 (en) * 2011-09-30 2014-08-12 Tata Consultancy Services Limited Classification-based digital rights management
KR20130041484A (ko) * 2011-10-17 2013-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의 메뉴스크린 운용 방법 및 장치
JP5998807B2 (ja) 2012-09-28 2016-09-28 株式会社メルコホールディングス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160012038A (ko) * 2014-07-23 2016-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비교영상을 제시하는 관심영역의 진단 지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1573A1 (en) * 2007-01-11 2008-07-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Personalized service method using user history in mobile terminal and system using the method
US20120265764A1 (en) * 2011-04-18 2012-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ile searching on mobile devices
WO2012145158A1 (en) * 2011-04-18 2012-10-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New Orchard Road File searching on mobile devices
US20140067861A1 (en) * 2012-08-29 201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content search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40029741A (ko) * 2012-08-29 201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아비스 및 그의 컨텐츠 검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30904A4 (en) 2018-01-10
WO2016093631A1 (en) 2016-06-16
US10452719B2 (en) 2019-10-22
EP3230904B1 (en) 2022-03-23
CN107111634A (zh) 2017-08-29
US20160171058A1 (en) 2016-06-16
KR102040271B1 (ko) 2019-11-04
EP3230904A1 (en) 201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54935B (zh) 一种用于分析用于任务完成的捕获的信息的方法、系统及可读存储设备
US11379529B2 (en) Composing rich content messages
KR102581622B1 (ko) 태스크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효율성 향상
US10554664B2 (en) Activity feed for hosted files
US10521189B1 (en) Voice assistant with user data context
US11263592B2 (en) Multi-calendar harmonization
EP2936404B1 (en) Suggesting related items
EP3221803B1 (en) Relevant file identification using automated queries to disparate data storage locations
US20150186478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ee Representation of Search Results
US2016030894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ying users of changes to files in cloud-based file-storage systems
US9524071B2 (en) Threshold view
US20160179899A1 (en) Method of providing content and electronic apparatus performing the method
EP3114566B1 (en) Shadowing local on-premises information to a cloud-based computing system
EP3771147A1 (en)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configured to manage channel titles associated with group-based communication channels
US11620337B2 (en) Identifying and contextualizing individuals in an organization
US20160188581A1 (en) Contextual searches for documents
KR102040271B1 (ko) 단말장치 및 컨텐츠 검색 방법
US20180234374A1 (en) Sharing of bundled content
KR102103015B1 (ko)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US11093870B2 (en) Suggesting people qualified to provide assistance with regard to an issue identified in a file
US11611519B1 (en) Event trigger visibility within a group-based communication system
US20240205038A1 (en) Personalized navigable meeting summary generator
WO2024129192A1 (en) Personalized navigable meeting summary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