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626A -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71626A KR20160071626A KR1020140178978A KR20140178978A KR20160071626A KR 20160071626 A KR20160071626 A KR 20160071626A KR 1020140178978 A KR1020140178978 A KR 1020140178978A KR 20140178978 A KR20140178978 A KR 20140178978A KR 20160071626 A KR20160071626 A KR 201600716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terface
- digital device
- display
- touch input
- cont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Scrolling on a displa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제 1 폴딩 각도 및 제 1 바디와 제 3 바디의 제 2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제 1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1 폴딩 각도 및 상기 제 2 폴딩 각도가 변경됨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제 1 폴딩 각도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임과 상기 변경된 제 2 폴딩 각도가 제 2 스레스홀드 각도 미만임을 디텍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바디의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임을 디텍트하면 제 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와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모드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를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인덱스 정보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인덱스 정보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가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는,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에 대한 인덱스 오더를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인덱스 오더를 설정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다르게 설정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 형태에 기초하여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컨텐츠 및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터치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1 형태(the first shape)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2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상기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제 1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scrolling)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2 형태(the second shape)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는 상기 제 1 형태에서 제 1 인덱스 오더(the first index order)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 2 형태에서 제 2 인덱스 오더(the second index order)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컨텐츠 및 컨텐츠를 스크롤링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1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2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에 대한 인덱스 오더를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인덱스 오더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인터페이스 형태에 기초하여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에서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방향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 속성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 속성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를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서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에서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방향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 속성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 속성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를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서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비주얼 정보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HMD, 스마트 워치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비주얼 정보를 컨트롤 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터치 센서 유닛(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각각의 유닛들은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이루는 구성 요소 또는 부품일 수 있다. 즉, 각각의 유닛들은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우징된 하나의 독립한 유닛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비주얼 정보는 컨텐츠 및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저장된 연락처, 저장된 이미지 및 저장된 즐겨찾기 목록 등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는 일정한 순서를 가지고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유저가 연락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개별적으로 저장된 연락처 각각은 하나의 컨텐츠일 수 있다. 즉,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에는 복수의 컨텐츠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하나의 이미지가 하나의 컨텐츠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날짜 또는 저장된 순서 등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가 포함된 폴더가 하나의 컨텐츠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즐겨찾기에 대한 각각의 주소 하나가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복수의 주소가 포함된 하나의 폴더가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인터페이스는 인덱스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인터페이스를 스크롤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컨텐츠는 인덱스 인터페이스에 의해 스크롤되는 비주얼 정보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정면 영역뿐만 아니라 측면 영역에도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 내부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내부에 일정한 곡률로 구부러진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 중 구부러지지 않고,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정면에 위치하는 영역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디지털 디바이스(100) 측면에 위치하는 영역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엣지에 의해 구별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엣지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하우징 과정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별하기 위해 설계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을 구별하여 각각을 독립적인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은 엣지에 의해서 서로 구별되는 영역일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서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서 유닛(12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 입력 또는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환경을 프로세서(130)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센서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수단은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즉, 터치 센서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으로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지문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음성 인식 센서 및 압력 센서 등의 컨트롤 인풋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하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터치 센서 유닛(120)은 하나의 통합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터치 센서 유닛(1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유닛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이용하여 컨텐츠 및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제 1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인터페이스는 컨텐츠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나타내는 인덱스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는 인덱스 정보에 대응하고 제 1 인터페이스에 의해 스크롤될 수 있는 각각의 비주얼 정보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2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는 제 1 인터페이스에 의해 스크롤되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이때, 제 1 형태는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컨텐츠는 기설정된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오더는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가 생성된 순서 등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컨텐츠는 기설정된 오더에 기초하여 세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제 1 형태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의 오브젝트가 나열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컨텐츠가 가로 방향으로 기설정된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 1 형태는 가로 방향으로 복수의 오브젝트가 나열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형태는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방향 또는 형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터치 센서 유닛(120)을 이용하여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제 1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방향은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형태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이동하는 제 2 방향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제 2 인터페이스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제 1 인터페이스 밖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면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제 1 인터페이스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형태와 관련하여, 제 1 형태는 세로 방향의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 2 형태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에 기초하여 알파벳 “U”와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3b에서 후술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1 형태에서 제 1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2 형태에서 제 2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인덱스 오더는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순서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인덱스 오더는 언어 배열 순서일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컨텐츠가 연락처이고, 연락처가 알파벳 순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 1 인덱스 오더는 알파벳 순서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오브젝트는 알파벳일 수 있다. 즉, 1 인덱스 오더는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순서와 동일하게 복수의 오브젝트인 알파벳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덱스 오더는 제 2 형태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 예로, 제 2 형태는 “U”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오브젝트는 알파벳이고, 복수의 컨텐츠는 알파벳 순서로 디스플레이되는 연락처일 수 있다. 이때, 제 2 인덱스 오더는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의 일부 영역에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순서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오더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인덱스 오더는 제 1 인터페이스 내를 기준으로 할때는 연속하는 순서지만 복수의 컨텐츠와 관련해서는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는 순서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3b에서 후술한다.
또한, 상술한 엘레먼트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컨텐츠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하나의 화면에 모두 디스플레이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210)는 유저(240)의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유저의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복수의 컨텐츠 각각은 연락처일 수 있다. 일 예로, “Dan”에 대한 연락처는 하나의 컨텐츠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에서 제 1 오브젝트(220-1)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오브젝트(220-1)는 제 1 컨텐츠(230-1)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220-1)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컨텐츠(23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오브젝트(220-1)는 알파벳 “D”일 수 있다. 이때, 제 1 컨텐츠(230-1)는 알파벳 “D”로 시작하는 연락처 중 가장 알파벳 순서가 가장 빠른 연락처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오브젝트(220-1)인 알파벳 “D”를 선택하면 알파벳 “D”로 시작하는 연락처 중 알파벳 순서가 가장 빠른 제 1 컨텐츠(23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오브젝트(220-2)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제 2 컨텐츠(23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오브젝트(220-2)는 알파벳 “M”일 수 있으며, 제 2 컨텐츠(230-2)는 알파벳 “M”으로 시작하는 연락처 중 알파벳 순서가 가장 빠른 연락처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3a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방향을 제 1 오브젝트(310-1)에서 제 2 오브젝트(310-2)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1 방향은 제 2 오브젝트(310-2)에서 제 1 오브젝트(310-1)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제 1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210)에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면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오브젝트(310-1)에서 제 2 오브젝트(310-2)까지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텐츠(320-1)에서부터 제 2 컨텐츠(320-2)까지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속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가 스크롤링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형태는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순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의 오브젝트가 나열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컨텐츠가 세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 1 인터페이스(210)는 세로 방향의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1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덱스 오더는 컨텐츠의 속성에 기초한 오더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 예로, 복수의 오브젝트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일 수 있다. 컨텐츠 속성은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의 생성 순서 컨텐츠의 크기 등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제 1 인덱스 오더는 상술한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오더일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컨텐츠가 연락처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알파벳 순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210)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오브젝트는 알파벳일 수 있다. 이때, 제 1 인덱스 오더는 알파벳 순서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순서와 동일하게 제 1 인덱스 오더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3b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제 2 방향은 제 1 언터페이스(210)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면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형태는 제 1 인터페이스(210)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일부 오브젝트를 옆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한 형태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가 인덱스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한손으로 제어하는 경우, 유저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크기 및 손 크기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하기 힘들 수 있다. 즉, 유저가 수행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도달하는 위치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유저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으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한 손으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하는 경우에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디텍트된 위치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U”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일부를 옆으로 이동시킨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컨텐츠가 알파벳 순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연락처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에서 알파벳 “H”에서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H”의 다음 알파벳인 “I”를 옆으로 이동시킨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2 형태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인터페이스(210)가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 1 인터페이스는 제 1 파트(330) 및 제 2 파트(340)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30)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1 시퀀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시퀀스는 기존의 알파벳 순서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40)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2 시퀀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시퀀스는 알파벳 순서의 역순일 수 있다. 제 2 파트(340)에서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와 다른 방향으로 알파벳이 배열될 수 있다. 즉, 제 2 인덱스 오더는 제 2 형태에서 제 1 파트(330) 및 제 2 파트(340)를 다른 시퀀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오더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인덱스 오더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기준에서는 연속한 순서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인터페이스(210)가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경우, 복수의 오브젝트는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에서는 동일한 인덱스 오더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제 1 인터페이스(210) 내를 이동하는 컨트롤 인풋으로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덱스 오더는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순서를 기준에서는 방향이 변경된 오더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인터페이스(210)가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40)에 있는 복수의 오브젝트에 대한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과 복수의 컨텐츠가 스크롤링되는 방향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210)의 제 2 형태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의 제 1 위치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밖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를 기준으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1 파트(330) 및 제 2 파트(340)로 나누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밖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위치를 기준으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1 파트(330) 및 제 2 파트(340)로 나누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a를 참조하면, 복수의 컨텐츠는 알파벳 순서로 디스플레이된 각각의 연락처일 수 있다. 또한, 제 1 인터페이스(100)는 복수의 오브젝트로서 알파벳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에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위치는 알파벳 “H”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형태는 “H”를 기준으로 제 1 파트(330) 및 제 2 파트(340)로 나누어진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30)에서 알파벳 순서인 제 1 시퀀스 오더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40)에서 알파벳 순서의 역순인 제 2 시퀀스 오더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4b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위치에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위치는 알파벳 “T”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형태는 “T”를 기준으로 제 1 파트(330) 및 제 2 파트(340)로 나누어진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30)에서 알파벳 순서인 제 1 시퀀스 오더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40)에서 알파벳 순서의 역순인 제 2 시퀀스 오더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파트(340)에는 복수의 오브젝트로서 알파벳 및 한글 자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오브젝트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하여 다른 언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알파벳 순서의 다음 순서로서 한글 자음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한글 자음을 제 2 시퀀스로서 역순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에서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2 형태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에 대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a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형태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오브젝트는 알파벳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크기를 고려하여 “A”부터 “T”까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310-2)에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310)의 제 1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30)에 기존과 동일하게 “A”부터 “H”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40)에서 제 2 파트(340)의 크기를 고려하여 “I” 부터 “P”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40)의 크기를 고려하여 제 1 인터페이스(210)에 포함됨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5b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형태에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오브젝트 전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형태에서 “A”부터 “T”까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가 제 2 형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30)에 “A”부터 “T”까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의 제 1 파트(330)에 “A”부터 “H”까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의 제 2 파트(340)에 “I”부터 “T”까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의 형태가 변경되어도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오브젝트의 수는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함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의 제 1 오브젝트(610-1)에 위치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는 터치가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610-1)에 대응하는 제 1 컨텐츠(62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 후,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릴리즈 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의 제 2 오브젝트(610-2)로 이동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 2 오브젝트(610-2)로 이동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오브젝트(610-2)에 대응하는 제 2 컨텐츠(62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오브젝트(610-1)에서 제 2 오브젝트(610-2)로 이동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방향은 위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컨텐츠가 스크롤링되는 방향은 아래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가 한손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제어하는 경우, 유저는 손을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하고,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릴리즈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떨어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유지된 상태에서만 제 1 인터페이스(210)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의 제 2 위치에서 제 3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3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3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을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에서 제 1 오브젝트(710-1)로 이동함을 디텍트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710-1)에 대응하는 제 1 컨텐츠(72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 내를 이동하는 터치 인풋으로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710-1)가 디스플레이된 위치에서 제 3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3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에서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3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3 방향에 기초하여 제 3 형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3 방향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제 1 인터페이스(210)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3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디텍트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제 3 형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디텍트되는 위치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210)는 제 1 파트, 제 2 파트 및 제 3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에서 제 1 시퀀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에서 제 2 시퀀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3 파트에서 제 3 시퀀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복수의 오브젝트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기준으로 연속되는 오더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오브젝트는 복수의 컨텐츠를 기준으로 제 1 파트, 제 2 파트 및 제 3 파트가 각각 다른 오더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810-1)가 디스플레이된 제 1 위치에서 제 2 오브젝트(810-2)가 디스플레이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오브젝트(810-1)는 제 2 파트(340)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또한, 제 2 오브젝트(810-2)는 제 1 파트(330)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위치를 제 1 오브젝트(810-2)에 대응하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810-2)의 제 2 위치를 기준으로 제 1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을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810-1)가 디스플레이된 제 1 위치에서 제 2 오브젝트(810-2)가 디스플레이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오브젝트(810-1)는 알파벳 “M”일 수 있다. 또한, 제 2 오브젝트(810-2)는 알파벳 “D”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알파벳 “M”을 알파벳 “D”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알파벳 “M”을 기준으로 알파벳 순서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에서 제 1 인덱스 오더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자신이 필요로하는 오브젝트를 제 1 인터페이스(2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방향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제 2 방향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방향으로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좌측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방향으로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우측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형태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아래쪽과 우측 방향의 중간 방향으로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대각선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 속성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복수의 오브젝트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일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의 제 1 인덱스 오더를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속성은 컨텐츠의 생성 순서,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의 크기, 컨텐츠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인터페이스(210)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컨텐츠는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하나의 컨텐츠는 동일한 속성을 갖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그룹일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속성은 이미지 생성 날짜, 이미지 형태, 이미지 크기 등일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210)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컨텐츠(1030-1)은 2014년 11월 26일에 촬영된 이미지 그룹일 수 있다. 이때, 제 1 컨텐츠(1030-1)에 대응하는 제 1 오브젝트(1020-1)은 이미지 촬영 날짜에 기초한 정보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밖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형태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디텍트된 위치에 기초하여 변경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의 변경된 형태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에 위치하는 제 1 오브젝트(1020-1) 옆에 제 1 컨텐츠(103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에 위치하는 제 2 오브젝트(1020-2) 옆에 제 2 컨텐츠(103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210)의 형태 및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 속성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인터페이스(1130)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인터페이스(1130)는 스크롤바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스크롤바인 제 1 인터페이스(1130) 내에서의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1130) 내에서 이동하는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1130)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1130) 밖으로 이동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을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1130)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1130) 밖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140)에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존에 디스플레이되지 못했던 컨텐츠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140)에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제 1 인터페이스(1130)를 스크롤하지 않더라도 복수의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120) 및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120)에 대한 즐겨찾기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즐겨찾기에 등록된 웹주소일 수 있으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1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저장된 컨텐츠가 많을 경우 하나의 화면에 모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스크롤바인 제 1 인터페이스(11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1130)를 이용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1130)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1130) 밖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140)에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스크롤링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1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1130)를 스크롤링하지 않더라도 복수의 컨텐츠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를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2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220)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21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정면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22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측면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2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220)은 적어도 하나의 엣지에 의해 구별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210)에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210)는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밖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210)는 제 1 파트(330) 및 제 2 파트(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30)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2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40)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2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에 기초하여 변경된 제 1 인터페이스(210)의 일부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2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측면 영역을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어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서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정면 영역(1310)에 비주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측면 영역(1320)에서 비주얼 정보를 제어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정면 영역(1310)에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측면 영역(1320)을 터치하는 터치 인풋으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측면 영역(1320)에서 제 1 위치를 터치하는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위치는 제 1 인터페이스(210)의 제 1 오브젝트(1330-1)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위치는 정면 영역(1310)과 측면 영역(1320)의 경계인 엣지 부분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1330-1)에 대응하는 제 1 컨텐츠(134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위치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후면 영역(미도시)과 측면 영역(1320)의 경계인 엣지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측면 영역(1320) 내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310)에 제 1 인터페이스(210)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측면 영역(1320)과 후면 영역(미도시)의 엣지 부분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이용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 및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3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측면 영역(1320)을 터치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통해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컨텐츠 및 컨텐츠를 스크롤링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41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저장된 연락처, 저장된 이미지 및 저장된 즐겨찾기 목록 등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 예로, 유저가 연락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개별적으로 저장된 연락처 각각은 하나의 컨텐츠일 수 있다. 즉,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에는 복수의 컨텐츠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하나의 이미지가 하나의 컨텐츠일 수 있다. 즉, 컨텐츠는 인덱스 인터페이스에 의해 스크롤되는 비주얼 정보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1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420) 이때, 도 1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인덱스 오더는 언어 배열 순서, 숫자 배열 순서 등일 수 있다. 또한, 제 1 인덱스 오더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순서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 1 인덱스 오더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순서와 동일한 오더일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S143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터치 인풋은 터치 센서 유닛(120)에 의해 디텍트되는 터치 인풋일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S1440) 이때, 도 3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방향을 제 1 인터페이스 내의 제 1 오브젝트에서 제 2 오브젝트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1 방향은 제 2 오브젝트에서 제 1 오브젝트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제 1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450) 이때, 도 3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제 2 방향은 제 1 언터페이스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2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460) 이때, 도 3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인덱스 오더는 제 2 형태에서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를 다른 시퀀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오더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에서 제 1 시퀀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에서 제 2 시퀀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시퀀스 및 제 2 시퀀스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오더일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100)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100)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송신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 디지털 디바이스
110 : 디스플레이 유닛
120 : 터치 센서 유닛
110 : 디스플레이 유닛
120 : 터치 센서 유닛
Claims (20)
-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컨텐츠 및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터치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1 형태(the first shape)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2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상기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제 1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scrolling)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2 형태(the second shape)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는 상기 제 1 형태에서 제 1 인덱스 오더(the first index order)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 2 형태에서 제 2 인덱스 오더(the second index order)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된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인, 디지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인, 디지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 인포메이션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덱스 오더를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속성은 컨텐츠의 생성 순서,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의 크기, 컨텐츠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 2 형태를 상기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상기 제 2 방향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내의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함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 2 형태를 상기 제 1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내의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를 상기 제 2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파트에서는 제 1 시퀀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2 파트에서는 제 2 시퀀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 1 파트 및 상기 제 2 파트는 상기 제 1 위치를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파트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파트에 위치하는 제 3 위치로 이동하는 제 3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3 위치를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내의 제 2 위치에서 제 3 방향으로 이동함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제 3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3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3 방향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인, 디지털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경우,
상기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이동함을 디텍트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경우,
상기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릴리즈되면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정면 영역에 설정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측면 영역에 설정되되,
상기 정면 영역 및 상기 측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엣지(edge)에 의해 구별되는 영역인, 디지털 디바이스.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파트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2 파트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덱스 오더는 언어 배열 순서 및 숫자 배열 순서 중 적어도 하나인, 디지털 디바이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터치 센서 유닛은 하나의 통합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인, 디지털 디바이스. -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및 컨텐츠를 스크롤링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1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2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8978A KR102345343B1 (ko) | 2014-12-12 | 2014-12-12 |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EP14907654.9A EP3230843B1 (en) | 2014-12-12 | 2014-12-29 | Digital device displaying index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PCT/KR2014/012965 WO2016093416A1 (en) | 2014-12-12 | 2014-12-29 | Digital device displaying index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US14/594,658 US9569085B2 (en) | 2014-12-12 | 2015-01-12 | Digital device displaying index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78978A KR102345343B1 (ko) | 2014-12-12 | 2014-12-12 |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1626A true KR20160071626A (ko) | 2016-06-22 |
KR102345343B1 KR102345343B1 (ko) | 2021-12-30 |
Family
ID=5610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8978A KR102345343B1 (ko) | 2014-12-12 | 2014-12-12 |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569085B2 (ko) |
EP (1) | EP3230843B1 (ko) |
KR (1) | KR102345343B1 (ko) |
WO (1) | WO2016093416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77411A1 (ko) * | 2018-03-15 | 2019-09-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2506B1 (ko) * | 2014-09-26 | 2021-05-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CN110647272A (zh) * | 2018-06-26 | 2020-01-03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一种显示控制方法及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12943A (ko) * | 2010-04-08 | 2011-10-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832575B2 (en) | 2006-09-26 | 2014-09-09 |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 Speed dependent displaying of information item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
KR101620874B1 (ko) | 2009-05-19 | 2016-05-13 | 삼성전자주식회사 | 목록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
US9864501B2 (en) * | 2010-07-30 | 2018-01-09 | Apaar Tuli | Displaying information |
KR101515623B1 (ko) * | 2012-05-14 | 2015-04-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
KR102107491B1 (ko) * | 2012-08-27 | 2020-05-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리스트 스크롤 바 제어 방법 및 모바일 장치 |
KR101977081B1 (ko) | 2012-08-28 | 2019-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스크롤 바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
US9195368B2 (en) | 2012-09-13 | 2015-11-24 | Google Inc. | Providing radial menus with touchscreens |
US9766778B2 (en) * | 2012-11-27 | 2017-09-19 | Vonage Busines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access to a contact in a contact list |
KR102087005B1 (ko) * | 2013-01-31 | 2020-03-1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페이지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
2014
- 2014-12-12 KR KR1020140178978A patent/KR10234534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2-29 WO PCT/KR2014/012965 patent/WO2016093416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12-29 EP EP14907654.9A patent/EP3230843B1/en active Active
-
2015
- 2015-01-12 US US14/594,658 patent/US956908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12943A (ko) * | 2010-04-08 | 2011-10-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77411A1 (ko) * | 2018-03-15 | 2019-09-1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
CN111919194A (zh) * | 2018-03-15 | 2020-11-10 | 三星电子株式会社 | 电子装置及内容显示方法 |
US11216147B2 (en) | 2018-03-15 | 2022-01-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display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569085B2 (en) | 2017-02-14 |
US20160170630A1 (en) | 2016-06-16 |
EP3230843A1 (en) | 2017-10-18 |
EP3230843B1 (en) | 2023-06-21 |
KR102345343B1 (ko) | 2021-12-30 |
EP3230843A4 (en) | 2018-07-04 |
WO2016093416A1 (en) | 2016-06-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048873B2 (en) | Emoji and canned responses | |
US20200201540A1 (en) |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put | |
US11762546B2 (en) | Device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conveying proximity-based and contact-based input events | |
KR102476243B1 (ko) | 터치 입력 커서 조작 | |
US9292192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 |
US10025487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 |
JP6180888B2 (ja) | 電子機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
US2013028593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 |
EP266069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 |
US20130314337A1 (en) | Electronic device and handwritten document creation method | |
EP266072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 |
EP2660696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 |
JP6991486B2 (ja) | 文字列に文字を挿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 |
US20150346919A1 (en) |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 Content Hierarchy | |
JP5925957B2 (ja) |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データ処理方法 | |
WO201316401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 |
US20160299657A1 (en) | Gesture Controlled Display of Content Items | |
US20240004532A1 (en) | Interactions between an input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 |
JP5634617B1 (ja) | 電子機器および処理方法 | |
KR102345343B1 (ko) |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
US20230385523A1 (en) | Manipulation of handwritten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 |
CA2821772C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 |
KR101899916B1 (ko) | 디스플레이될 정보 엘리먼트의 에지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 |
KR20190063937A (ko) | 표시 영역 자동 분할 방법 및 장치 | |
WO201316401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