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1626A -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1626A
KR20160071626A KR1020140178978A KR20140178978A KR20160071626A KR 20160071626 A KR20160071626 A KR 20160071626A KR 1020140178978 A KR1020140178978 A KR 1020140178978A KR 20140178978 A KR20140178978 A KR 20140178978A KR 20160071626 A KR20160071626 A KR 20160071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digital device
display
touch inpu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5343B1 (ko
Inventor
박시화
이주환
천시내
이도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8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343B1/ko
Priority to EP14907654.9A priority patent/EP3230843B1/en
Priority to PCT/KR2014/012965 priority patent/WO2016093416A1/en
Priority to US14/594,658 priority patent/US9569085B2/en
Publication of KR2016007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06F3/04855Interaction with scrollb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Scrolling o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으로, 제 1 바디와 제 2 바디의 제 1 폴딩 각도 및 제 1 바디와 제 3 바디의 제 2 폴딩 각도에 기초하여 제 1 모드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드에서 제 1 어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모드에서 상기 제 1 폴딩 각도 및 상기 제 2 폴딩 각도가 변경됨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변경된 제 1 폴딩 각도가 제 1 스레스홀드 각도 이상임과 상기 변경된 제 2 폴딩 각도가 제 2 스레스홀드 각도 미만임을 디텍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바디의 후면이 다른 리얼 오브젝트와 맞닿은 상태임을 디텍트하면 제 2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모드는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1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어플리케이션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와 관련된 제 2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제 2 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모드일 수 있다.

Description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The Apparatus and Method for Portable Device displaying index information}
본 명세서는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디지털 디바이스는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유닛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를 하나의 화면에 디스플레이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된 인덱스 정보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한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인덱스 정보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가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명세서는,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에 대한 인덱스 오더를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인덱스 오더를 설정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다르게 설정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 형태에 기초하여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는 컨텐츠 및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터치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1 형태(the first shape)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2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상기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제 1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scrolling)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2 형태(the second shape)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는 상기 제 1 형태에서 제 1 인덱스 오더(the first index order)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 2 형태에서 제 2 인덱스 오더(the second index order)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은 컨텐츠 및 컨텐츠를 스크롤링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1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2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에 대한 인덱스 오더를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인덱스 오더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디지털 디바이스는 제 1 인터페이스 형태에 기초하여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에서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방향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 속성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 속성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를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서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명세서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비주얼 정보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노트북, HMD, 스마트 워치 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비주얼 정보를 컨트롤 할 수 있는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터치 센서 유닛(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각각의 유닛들은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이루는 구성 요소 또는 부품일 수 있다. 즉, 각각의 유닛들은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하우징된 하나의 독립한 유닛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프로세서(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비주얼 정보는 컨텐츠 및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저장된 연락처, 저장된 이미지 및 저장된 즐겨찾기 목록 등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는 일정한 순서를 가지고 디스플레이되는 비주얼 정보일 수 있다. 일 예로, 유저가 연락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개별적으로 저장된 연락처 각각은 하나의 컨텐츠일 수 있다. 즉,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에는 복수의 컨텐츠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하나의 이미지가 하나의 컨텐츠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날짜 또는 저장된 순서 등에 기초하여 복수의 이미지가 포함된 폴더가 하나의 컨텐츠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즐겨찾기에 대한 각각의 주소 하나가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복수의 주소가 포함된 하나의 폴더가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인터페이스는 인덱스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인터페이스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인터페이스를 스크롤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컨텐츠는 인덱스 인터페이스에 의해 스크롤되는 비주얼 정보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정면 영역뿐만 아니라 측면 영역에도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 내부에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내부에 일정한 곡률로 구부러진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 중 구부러지지 않고,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정면에 위치하는 영역이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디지털 디바이스(100) 측면에 위치하는 영역이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엣지에 의해 구별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엣지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하우징 과정에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별하기 위해 설계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11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을 구별하여 각각을 독립적인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은 엣지에 의해서 서로 구별되는 영역일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터치 센서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센서 유닛(12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 입력 또는 디바이스가 인식하는 환경을 프로세서(130)로 전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센서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에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사용하여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 수단은 터치 센서일 수 있다. 즉, 터치 센서 유닛(120)은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의해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으로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지문 센서, 모션 센서, 근접 센서, 조도 센서, 음성 인식 센서 및 압력 센서 등의 컨트롤 인풋 입력을 센싱하기 위한 다양한 센싱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유저의 컨트롤 인풋을 센싱하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터치 센서 유닛(120)은 하나의 통합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은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시에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된 비주얼 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 및 터치 센서 유닛(12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유닛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을 이용하여 컨텐츠 및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제 1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인터페이스는 컨텐츠에 대한 인덱스 정보를 나타내는 인덱스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는 인덱스 정보에 대응하고 제 1 인터페이스에 의해 스크롤될 수 있는 각각의 비주얼 정보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130)는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컨트롤 인풋은 터치 인풋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2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는 제 1 인터페이스에 의해 스크롤되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이때, 제 1 형태는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방향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컨텐츠는 기설정된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기설정된 오더는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가 생성된 순서 등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컨텐츠는 기설정된 오더에 기초하여 세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제 1 형태는 세로 방향으로 복수의 오브젝트가 나열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컨텐츠가 가로 방향으로 기설정된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 1 형태는 가로 방향으로 복수의 오브젝트가 나열된 형태일 수 있다. 즉,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형태는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방향 또는 형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터치 센서 유닛(120)을 이용하여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제 1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일 예로, 제 1 방향은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형태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이동하는 제 2 방향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2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제 2 인터페이스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제 1 인터페이스 밖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면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즉, 제 1 인터페이스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술한 형태와 관련하여, 제 1 형태는 세로 방향의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제 2 형태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에 기초하여 알파벳 “U”와 같은 형태일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는 도 3b에서 후술한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1 형태에서 제 1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2 형태에서 제 2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인덱스 오더는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순서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제 1 인덱스 오더는 언어 배열 순서일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컨텐츠가 연락처이고, 연락처가 알파벳 순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 1 인덱스 오더는 알파벳 순서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오브젝트는 알파벳일 수 있다. 즉, 1 인덱스 오더는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순서와 동일하게 복수의 오브젝트인 알파벳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덱스 오더는 제 2 형태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 예로, 제 2 형태는 “U”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오브젝트는 알파벳이고, 복수의 컨텐츠는 알파벳 순서로 디스플레이되는 연락처일 수 있다. 이때, 제 2 인덱스 오더는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의 일부 영역에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순서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오더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인덱스 오더는 제 1 인터페이스 내를 기준으로 할때는 연속하는 순서지만 복수의 컨텐츠와 관련해서는 반대 방향으로 배열되는 순서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3b에서 후술한다.
또한, 상술한 엘레먼트들은 별도의 엘리먼트로 디지털 디바이스(100)에 포함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로 통합되어 포함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컨텐츠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하나의 화면에 모두 디스플레이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 1 인터페이스(210)는 유저(240)의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고, 유저의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복수의 컨텐츠 각각은 연락처일 수 있다. 일 예로, “Dan”에 대한 연락처는 하나의 컨텐츠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에서 제 1 오브젝트(220-1)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오브젝트(220-1)는 제 1 컨텐츠(230-1)에 대응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220-1)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컨텐츠(23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 1 오브젝트(220-1)는 알파벳 “D”일 수 있다. 이때, 제 1 컨텐츠(230-1)는 알파벳 “D”로 시작하는 연락처 중 가장 알파벳 순서가 가장 빠른 연락처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오브젝트(220-1)인 알파벳 “D”를 선택하면 알파벳 “D”로 시작하는 연락처 중 알파벳 순서가 가장 빠른 제 1 컨텐츠(23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오브젝트(220-2)에 대한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제 2 컨텐츠(23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오브젝트(220-2)는 알파벳 “M”일 수 있으며, 제 2 컨텐츠(230-2)는 알파벳 “M”으로 시작하는 연락처 중 알파벳 순서가 가장 빠른 연락처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3a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방향을 제 1 오브젝트(310-1)에서 제 2 오브젝트(310-2)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1 방향은 제 2 오브젝트(310-2)에서 제 1 오브젝트(310-1)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제 1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210)에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면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오브젝트(310-1)에서 제 2 오브젝트(310-2)까지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컨텐츠(320-1)에서부터 제 2 컨텐츠(320-2)까지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속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가 스크롤링되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형태는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순서와 동일한 방향으로 복수의 오브젝트가 나열된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컨텐츠가 세로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된 경우, 제 1 인터페이스(210)는 세로 방향의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1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덱스 오더는 컨텐츠의 속성에 기초한 오더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 예로, 복수의 오브젝트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일 수 있다. 컨텐츠 속성은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의 생성 순서 컨텐츠의 크기 등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제 1 인덱스 오더는 상술한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설정되는 오더일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컨텐츠가 연락처인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알파벳 순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210)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오브젝트는 알파벳일 수 있다. 이때, 제 1 인덱스 오더는 알파벳 순서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순서와 동일하게 제 1 인덱스 오더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3b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제 2 방향은 제 1 언터페이스(210)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면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형태는 제 1 인터페이스(210)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일부 오브젝트를 옆으로 이동시켜 디스플레이한 형태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저가 인덱스 정보를 나타내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한손으로 제어하는 경우, 유저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크기 및 손 크기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하기 힘들 수 있다. 즉, 유저가 수행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도달하는 위치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유저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으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한 손으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하는 경우에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디텍트된 위치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U”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 중 일부를 옆으로 이동시킨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컨텐츠가 알파벳 순서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된 연락처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에서 알파벳 “H”에서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H”의 다음 알파벳인 “I”를 옆으로 이동시킨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2 형태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인터페이스(210)가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제 1 인터페이스는 제 1 파트(330) 및 제 2 파트(340)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30)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1 시퀀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시퀀스는 기존의 알파벳 순서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40)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2 시퀀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시퀀스는 알파벳 순서의 역순일 수 있다. 제 2 파트(340)에서는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컨텐츠와 다른 방향으로 알파벳이 배열될 수 있다. 즉, 제 2 인덱스 오더는 제 2 형태에서 제 1 파트(330) 및 제 2 파트(340)를 다른 시퀀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오더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인덱스 오더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기준에서는 연속한 순서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인터페이스(210)가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경우, 복수의 오브젝트는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에서는 동일한 인덱스 오더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제 1 인터페이스(210) 내를 이동하는 컨트롤 인풋으로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또한, 제 2 인덱스 오더는 복수의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된 순서를 기준에서는 방향이 변경된 오더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인터페이스(210)가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40)에 있는 복수의 오브젝트에 대한 컨트롤 인풋의 이동 방향과 복수의 컨텐츠가 스크롤링되는 방향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위치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210)의 제 2 형태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의 제 1 위치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밖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를 기준으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1 파트(330) 및 제 2 파트(340)로 나누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의 제 2 위치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밖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위치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의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위치를 기준으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1 파트(330) 및 제 2 파트(340)로 나누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a를 참조하면, 복수의 컨텐츠는 알파벳 순서로 디스플레이된 각각의 연락처일 수 있다. 또한, 제 1 인터페이스(100)는 복수의 오브젝트로서 알파벳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에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위치는 알파벳 “H”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형태는 “H”를 기준으로 제 1 파트(330) 및 제 2 파트(340)로 나누어진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30)에서 알파벳 순서인 제 1 시퀀스 오더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40)에서 알파벳 순서의 역순인 제 2 시퀀스 오더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4b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위치에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위치는 알파벳 “T”에 해당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형태는 “T”를 기준으로 제 1 파트(330) 및 제 2 파트(340)로 나누어진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30)에서 알파벳 순서인 제 1 시퀀스 오더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40)에서 알파벳 순서의 역순인 제 2 시퀀스 오더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파트(340)에는 복수의 오브젝트로서 알파벳 및 한글 자음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오브젝트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하여 다른 언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알파벳 순서의 다음 순서로서 한글 자음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한글 자음을 제 2 시퀀스로서 역순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에서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2 형태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에 대한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a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형태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오브젝트는 알파벳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유닛(110)의 크기를 고려하여 “A”부터 “T”까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310-2)에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310)의 제 1 위치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30)에 기존과 동일하게 “A”부터 “H”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40)에서 제 2 파트(340)의 크기를 고려하여 “I” 부터 “P”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40)의 크기를 고려하여 제 1 인터페이스(210)에 포함됨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도 5b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형태에서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오브젝트 전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형태에서 “A”부터 “T”까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가 제 2 형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30)에 “A”부터 “T”까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의 제 1 파트(330)에 “A”부터 “H”까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의 제 2 파트(340)에 “I”부터 “T”까지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의 형태가 변경되어도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오브젝트의 수는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에서 이동함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의 제 1 오브젝트(610-1)에 위치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는 터치가 디스플레이 유닛(110)에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610-1)에 대응하는 제 1 컨텐츠(62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 후,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릴리즈 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의 제 2 오브젝트(610-2)로 이동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유지된 상태에서 제 2 오브젝트(610-2)로 이동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오브젝트(610-2)에 대응하는 제 2 컨텐츠(62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오브젝트(610-1)에서 제 2 오브젝트(610-2)로 이동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방향은 위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컨텐츠가 스크롤링되는 방향은 아래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이동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가 한손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를 제어하는 경우, 유저는 손을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하고,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릴리즈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디스플레이 유닛(110)에서 떨어진 상태로 변경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유지된 상태에서만 제 1 인터페이스(210)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의 제 2 위치에서 제 3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3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3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을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에서 제 1 오브젝트(710-1)로 이동함을 디텍트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710-1)에 대응하는 제 1 컨텐츠(72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 내를 이동하는 터치 인풋으로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710-1)가 디스플레이된 위치에서 제 3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3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에서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3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3 방향에 기초하여 제 3 형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3 방향의 이동 방향을 따라 제 1 인터페이스(210)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3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디텍트되는 위치에 기초하여 제 3 형태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디텍트되는 위치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210)는 제 1 파트, 제 2 파트 및 제 3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에서 제 1 시퀀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에서 제 2 시퀀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3 파트에서 제 3 시퀀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복수의 오브젝트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기준으로 연속되는 오더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오브젝트는 복수의 컨텐츠를 기준으로 제 1 파트, 제 2 파트 및 제 3 파트가 각각 다른 오더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810-1)가 디스플레이된 제 1 위치에서 제 2 오브젝트(810-2)가 디스플레이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오브젝트(810-1)는 제 2 파트(340)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또한, 제 2 오브젝트(810-2)는 제 1 파트(330)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위치를 제 1 오브젝트(810-2)에 대응하는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810-2)의 제 2 위치를 기준으로 제 1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을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810-1)가 디스플레이된 제 1 위치에서 제 2 오브젝트(810-2)가 디스플레이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오브젝트(810-1)는 알파벳 “M”일 수 있다. 또한, 제 2 오브젝트(810-2)는 알파벳 “D”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알파벳 “M”을 알파벳 “D”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알파벳 “M”을 기준으로 알파벳 순서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에서 제 1 인덱스 오더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자신이 필요로하는 오브젝트를 제 1 인터페이스(2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방향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제 2 방향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다르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방향으로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좌측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방향으로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우측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형태를 변경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아래쪽과 우측 방향의 중간 방향으로서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함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대각선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제 1 인터페이스의 형태를 변경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 속성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복수의 오브젝트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일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의 제 1 인덱스 오더를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속성은 컨텐츠의 생성 순서,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의 크기, 컨텐츠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 1 인터페이스(210)는 컨텐츠에 기초하여 컨텐츠와 관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컨텐츠는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하나의 컨텐츠는 동일한 속성을 갖는 복수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그룹일 수 있다. 이때, 동일한 속성은 이미지 생성 날짜, 이미지 형태, 이미지 크기 등일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210)는 컨텐츠에 대응하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컨텐츠(1030-1)은 2014년 11월 26일에 촬영된 이미지 그룹일 수 있다. 이때, 제 1 컨텐츠(1030-1)에 대응하는 제 1 오브젝트(1020-1)은 이미지 촬영 날짜에 기초한 정보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 및 컨텐츠에 대응하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밖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2 형태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디텍트된 위치에 기초하여 변경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의 변경된 형태에 기초하여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에 위치하는 제 1 오브젝트(1020-1) 옆에 제 1 컨텐츠(103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에 위치하는 제 2 오브젝트(1020-2) 옆에 제 2 컨텐츠(1030-2)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에 기초하여 제 1 인터페이스(210)의 형태 및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컨텐츠 속성에 따라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 1 인터페이스(1130)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인터페이스(1130)는 스크롤바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스크롤바인 제 1 인터페이스(1130) 내에서의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1130) 내에서 이동하는 컨트롤 인풋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1130)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1130) 밖으로 이동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하면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1을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1130)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1130) 밖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140)에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존에 디스플레이되지 못했던 컨텐츠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140)에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제 1 인터페이스(1130)를 스크롤하지 않더라도 복수의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120) 및 웹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1120)에 대한 즐겨찾기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는 즐겨찾기에 등록된 웹주소일 수 있으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11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기저장된 컨텐츠가 많을 경우 하나의 화면에 모든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스크롤바인 제 1 인터페이스(113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1130)를 이용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1130)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1130) 밖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1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140)에 복수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스크롤링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복수의 컨텐츠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1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1130)를 스크롤링하지 않더라도 복수의 컨텐츠를 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2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제 1 인터페이스를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2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220)에 비주얼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21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정면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220)은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측면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210)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220)은 적어도 하나의 엣지에 의해 구별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210)에 제 1 인터페이스(2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210)는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인터페이스(210)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210) 밖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인터페이스(210)는 제 1 파트(330) 및 제 2 파트(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330)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2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340)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2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에 기초하여 변경된 제 1 인터페이스(210)의 일부를 제 2 디스플레이 영역(12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저는 측면 영역을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어 영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가 정면 영역 및 측면 영역에서 제 1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정면 영역(1310)에 비주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측면 영역(1320)에서 비주얼 정보를 제어하는 컨트롤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정면 영역(1310)에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측면 영역(1320)을 터치하는 터치 인풋으로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측면 영역(1320)에서 제 1 위치를 터치하는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제 1 위치는 제 1 인터페이스(210)의 제 1 오브젝트(1330-1)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위치는 정면 영역(1310)과 측면 영역(1320)의 경계인 엣지 부분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오브젝트(1330-1)에 대응하는 제 1 컨텐츠(1340-1)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2 위치는 디지털 디바이스(100)의 후면 영역(미도시)과 측면 영역(1320)의 경계인 엣지일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측면 영역(1320) 내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310)에 제 1 인터페이스(210)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측면 영역(1320)과 후면 영역(미도시)의 엣지 부분에서 이동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이용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즉,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 및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 1 디스플레이 영역(13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측면 영역(1320)을 터치하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통해 제 1 인터페이스(21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컨텐츠 및 컨텐츠를 스크롤링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41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 저장된 연락처, 저장된 이미지 및 저장된 즐겨찾기 목록 등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일 예로, 유저가 연락처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개별적으로 저장된 연락처 각각은 하나의 컨텐츠일 수 있다. 즉, 연락처 어플리케이션에는 복수의 컨텐츠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갤러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하나의 이미지가 하나의 컨텐츠일 수 있다. 즉, 컨텐츠는 인덱스 인터페이스에 의해 스크롤되는 비주얼 정보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1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420) 이때, 도 1 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인덱스 오더는 언어 배열 순서, 숫자 배열 순서 등일 수 있다. 또한, 제 1 인덱스 오더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되는 순서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제 1 인덱스 오더는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순서와 동일한 오더일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할 수 있다.(S1430) 이때,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터치 인풋은 터치 센서 유닛(120)에 의해 디텍트되는 터치 인풋일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S1440) 이때, 도 3a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 1 방향을 제 1 인터페이스 내의 제 1 오브젝트에서 제 2 오브젝트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 1 방향은 제 2 오브젝트에서 제 1 오브젝트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제 1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가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450) 이때, 도 3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방향은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다. 즉, 제 2 방향은 제 1 언터페이스 내에서 제 1 인터페이스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2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460) 이때, 도 3b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인덱스 오더는 제 2 형태에서 제 1 파트 및 제 2 파트를 다른 시퀀스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오더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1 파트에서 제 1 시퀀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디바이스(100)는 제 2 파트에서 제 2 시퀀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제 1 시퀀스 및 제 2 시퀀스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디스플레이되는 오더일 수 있다.
나아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이전에 설명된 실시예들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설계하는 것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명세서에 따른 디지털 디바이스(100) 및 그 제어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디지털 디바이스(100) 및 제어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송신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그리고 당해 명세서에서는 물건 발명과 방법 발명이 모두 설명되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양 발명의 설명은 보충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100 : 디지털 디바이스
110 : 디스플레이 유닛
120 : 터치 센서 유닛

Claims (20)

  1. 디지털 디바이스에 있어서,
    컨텐츠 및 컨텐츠를 스크롤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 대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터치 센서 유닛; 및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터치 센서 유닛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로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1 형태(the first shape)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1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상기 제 1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1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 2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상기 컨트롤 인풋이 디텍트되면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2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제 1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scrolling)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2 형태(the second shape)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는 상기 제 1 형태에서 제 1 인덱스 오더(the first index order)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제 2 형태에서 제 2 인덱스 오더(the second index order)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상기 제 1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된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인, 디지털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인, 디지털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각각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대응하는 썸네일 인포메이션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덱스 오더를 상기 컨텐츠의 컨텐츠 속성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속성은 컨텐츠의 생성 순서,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의 크기, 컨텐츠의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 2 형태를 상기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의 상기 제 2 방향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내의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함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 2 형태를 상기 제 1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내의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를 상기 제 2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파트에서는 제 1 시퀀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2 파트에서는 제 2 시퀀스에 기초하여 복수의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상기 제 1 파트 및 상기 제 2 파트는 상기 제 1 위치를 기준으로 나누어지는, 디지털 디바이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파트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파트에 위치하는 제 3 위치로 이동하는 제 3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한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3 위치를 상기 제 2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위치로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를 상기 제 1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내의 제 2 위치에서 제 3 방향으로 이동함을 디텍트하는 경우,
    상기 제 3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3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제 3 방향은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밖으로 이동하는 방향인, 디지털 디바이스.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경우,
    상기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릴리즈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제 1 인터페이스 내에서 이동함을 디텍트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경우,
    상기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이 릴리즈되면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제 1 디스플레이 영역 및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정면 영역에 설정되고,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은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의 측면 영역에 설정되되,
    상기 정면 영역 및 상기 측면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엣지(edge)에 의해 구별되는 영역인, 디지털 디바이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상기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경우,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1 파트를 상기 제 1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의 제 2 파트를 상기 제 2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덱스 오더는 언어 배열 순서 및 숫자 배열 순서 중 적어도 하나인, 디지털 디바이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 및 상기 터치 센서 유닛은 하나의 통합된 터치 센시티브 디스플레이 유닛;인, 디지털 디바이스.
  20.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및 컨텐츠를 스크롤링하는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1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1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방향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스크롤링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서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슬라이드 터치 인풋을 디텍트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를 제 2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제 1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를 제 2 인덱스 오더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KR1020140178978A 2014-12-12 2014-12-12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5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978A KR102345343B1 (ko) 2014-12-12 2014-12-12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EP14907654.9A EP3230843B1 (en) 2014-12-12 2014-12-29 Digital device displaying index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CT/KR2014/012965 WO2016093416A1 (en) 2014-12-12 2014-12-29 Digital device displaying index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4/594,658 US9569085B2 (en) 2014-12-12 2015-01-12 Digital device displaying index inform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978A KR102345343B1 (ko) 2014-12-12 2014-12-12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626A true KR20160071626A (ko) 2016-06-22
KR102345343B1 KR102345343B1 (ko) 2021-12-30

Family

ID=5610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978A KR102345343B1 (ko) 2014-12-12 2014-12-12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69085B2 (ko)
EP (1) EP3230843B1 (ko)
KR (1) KR102345343B1 (ko)
WO (1) WO20160934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411A1 (ko) * 2018-03-15 2019-09-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506B1 (ko) * 2014-09-26 2021-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647272A (zh) * 2018-06-26 2020-01-03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显示控制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943A (ko) * 2010-04-08 201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2575B2 (en) 2006-09-26 2014-09-09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Speed dependent displaying of information item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1620874B1 (ko) 2009-05-19 2016-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목록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9864501B2 (en) * 2010-07-30 2018-01-09 Apaar Tuli Displaying information
KR101515623B1 (ko) * 2012-05-14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2107491B1 (ko) * 2012-08-27 2020-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리스트 스크롤 바 제어 방법 및 모바일 장치
KR101977081B1 (ko) 2012-08-28 2019-05-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바를 이용한 컨텐츠 제어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9195368B2 (en) 2012-09-13 2015-11-24 Google Inc. Providing radial menus with touchscreens
US9766778B2 (en) * 2012-11-27 2017-09-19 Vonage Busine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apid access to a contact in a contact list
KR102087005B1 (ko) * 2013-01-31 2020-03-11 삼성전자 주식회사 페이지 검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2943A (ko) * 2010-04-08 2011-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7411A1 (ko) * 2018-03-15 2019-09-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컨텐츠를 표시하는 방법
CN111919194A (zh) * 2018-03-15 2020-11-10 三星电子株式会社 电子装置及内容显示方法
US11216147B2 (en) 2018-03-15 2022-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ent display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69085B2 (en) 2017-02-14
US20160170630A1 (en) 2016-06-16
EP3230843A1 (en) 2017-10-18
EP3230843B1 (en) 2023-06-21
KR102345343B1 (ko) 2021-12-30
EP3230843A4 (en) 2018-07-04
WO2016093416A1 (en)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8873B2 (en) Emoji and canned responses
US20200201540A1 (en)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user input
US11762546B2 (en) Device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conveying proximity-based and contact-based input events
KR102476243B1 (ko) 터치 입력 커서 조작
US92921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100254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JP6180888B2 (ja) 電子機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2859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EP26606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20130314337A1 (en) Electronic device and handwritten document creation method
EP266072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EP26606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JP6991486B2 (ja) 文字列に文字を挿入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50346919A1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ng a Content Hierarchy
JP5925957B2 (ja)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データ処理方法
WO20131640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US20160299657A1 (en) Gesture Controlled Display of Content Items
US20240004532A1 (en) Interactions between an input device and an electronic device
JP5634617B1 (ja) 電子機器および処理方法
KR102345343B1 (ko) 인덱스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230385523A1 (en) Manipulation of handwritten content on an electronic device
CA282177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KR101899916B1 (ko) 디스플레이될 정보 엘리먼트의 에지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20190063937A (ko) 표시 영역 자동 분할 방법 및 장치
WO201316401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xt se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